KR102477119B1 - 쿠션부재용 충전재 - Google Patents

쿠션부재용 충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119B1
KR102477119B1 KR1020200084766A KR20200084766A KR102477119B1 KR 102477119 B1 KR102477119 B1 KR 102477119B1 KR 1020200084766 A KR1020200084766 A KR 1020200084766A KR 20200084766 A KR20200084766 A KR 20200084766A KR 102477119 B1 KR102477119 B1 KR 102477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filler
hollow
spaced apar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846A (ko
Inventor
홍성권
Original Assignee
홍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권 filed Critical 홍성권
Priority to KR102020008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1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이중 원통 구조를 갖으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가 지지부재의해 고정 지지됨에 따라 서로 겹쳐지거나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아 원활한 통풍이 가능하고, 우수한 탄성복원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충전수량이 상대적으로 절감될 수 있어 경제적임은 물론 편안한 사용감이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내,외부에 2중의 중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인체에 대한 쿠션력과 탄성복원력이 배가됨과 동시에 통풍효과도 증대될 수 있으며 인체 접촉면적의 감소를 통해 땀 형성이 방지되도록 한 쿠션부재용 충전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내부에 동축적으로 이격배열되되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 1 부재에 비해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부재 외부로 그 양단이 돌출 위치되는 제 2 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 1 부재 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부재의 외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이격거리가 유지된 상태에서 서로 지지되게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쿠션부재용 충전재{FILLER FOR CUSHION}
개시된 내용은 베개, 쿠션, 빈백, 메트리스와 같이 다양한 쿠션부재의 내부에 충전되어 사용되는 쿠션부재용 충전재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전에는 일반적으로 베개 등의 쿠션부재 속재료로 왕겨나 좁쌀 또는 솜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속재료로 채워진 베개는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위생상의 좋지 못하고 무게가 무거울 뿐만아니라 탄성복원력이 없어 사용감이 좋지 못하고 머리나 얼굴이 장시간 밀착될 경우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내부가 중공된 작은 원기둥 형상의 플라스틱 성형물로 속을 채워서 사용하거나 탄성복원력이 뛰어난 라텍스 재질의 쿠션부재들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플라스틱 성형물의 경우 원기둥 형상의 속재료가 서로 밀착되거나 겹쳐질 수 있고 내부가 중공됨에 따라 그 형상이 쉽게 변형됨에 따라 복원력이 저하되고 통풍이 잘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원기둥 형상의 속재료 단부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위치될 경우 흡사 빨대의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통풍이 원활히 되지 못하는 것이었다.
또한 라텍스 재질의 쿠션부재들의 경우 뛰어난 탄성복원력을 갖는 장점은 있으나 통풍이 되지 않고, 땀과 같은 분비물이 쉽게 흡수되지만 세탁을 할 수 없어 그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80466호(2000.02.17)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21993호(2020.06.05)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7543호(2004.04.01)
서로 겹쳐지거나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아 원활한 통풍이 가능하고, 탄성복원력이 우수해 충전수량이 상대적으로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편안한 사용감이 제공될 수 있는 쿠션부재용 충전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내,외부에 2중의 중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인체에 대한 쿠션력과 탄성복원력이 배가됨과 동시에 통풍효과도 증대될 수 있으며 인체 접촉면적의 감소를 통해 땀 형성이 방지되는 쿠션부재용 충전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내부에 동축적으로 이격배열되되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되며 상기 제 1 부재에 비해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부재 외부로 그 양단이 돌출 위치되는 제 2 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 1 부재 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부재의 외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이격거리가 유지된 상태에서 서로 지지되게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부재용 충전재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 상기 제 1 부재, 제 2 부재 및 지지부재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실리콘 또는 합성고무 중 하나의 재질로 제조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내부중공부를 형성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외주면에 일체로 다수개가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 1 부재의 외주면 둘레에 상호 이격된 외부중공부를 형성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재용 충전재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중공부가 형성된 다수의 중공부재가 폐곡선을 따라 서로 연접되어 내부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재는 일정 길이의 기둥 형상을 가지는 쿠션부재용 충전재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쿠션부재용 충전재에 의하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이중 원통 구조를 갖으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가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 지지됨에 따라 서로 겹쳐지거나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아 원활한 통풍이 가능하고, 우수한 탄성복원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충전수량이 상대적으로 절감되어 경제적임은 물론 편안한 사용감이 제공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은 쿠션부재용 충전재에 의하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또는 중공부재에 의해 내,외부에 2중의 중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인체에 대한 쿠션력과 탄성복원력이 배가됨과 동시에 통풍효과도 증대될 수 있으며 인체 접촉면적의 감소를 통해 땀 형성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의 단면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의 사용상태도.
도 4 및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의 사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의 사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일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의 구성부재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제 1 부재(10)를 포함한다. 이 제 1 부재(10)는 쿠션부재용 충전재(1)의 외측에 위치되며 통풍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력에 대해 1차적인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1 부재(10)는 그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 제 1 부재(1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각기둥, 오각기둥 및 육각기둥 등 다각기둥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1 부재(10)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재질은 탄성복원력을 갖는 실리콘 또는 합성고무 재질 중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제 2 부재(20)를 포함한다. 이 제 2 부재(20)는 제 1 부재(10)의 내측에 위치되며 통풍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력에 대한 2차적인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2 부재(20)는 그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되 전술한 제 1 부재(10)의 외부로 그 양단이 돌출 위치될 수 있도록 제 1 부재(10)에 비해 그 전체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제 2 부재(20)가 제 1 부재(10)에 비해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은 쿠션부재용 충전재(1)가 쿠션부재(100) 내에서 그 중심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경우 이웃하는 제 2 부재(20)끼리는 그 단부가 맞닿이 제 2 부재(20)내로는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나 이때에도 제 1 부재(10)끼리는 그 단부가 맞닿지 않고 이격되어 있어 이 사이로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 2 부재(20)의 내경은, 제 2 부재(20)가 제 1 부재(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부재(10)의 탄성복원 거리가 확보되고 원활한 통풍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 1 부재(10)의 내주연에 과도하게 근접되지 않는 길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부재(10)와 마찬가지로 도면에서는 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 제 1 부재(1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각기둥, 오각기둥 및 육각기둥 등 다각기둥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각각 다른 형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 모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 1 부재(10)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 2 부재(20)는 다각기둥 중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대로 제 1 부재(10)는 다각기둥 중 하나로, 제 2 부재(2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 부재(20)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재질은 탄성복원력을 갖는 실리콘 또는 합성고무 재질 중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재질의 경우도 형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각각 다른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 모두 실리콘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제 1 부재(10)는 실리콘 재질로 제조되고 제 2 부재(20)는 합성고무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고, 제 1 부재(10)는 합성고무 재질로 제조되고 제 2 부재(20)는 실리콘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 사이에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30)가 구비된다. 이 지지부재(30)는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의 이격거리가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쿠션부재용 충전재(1) 전체 형상이 유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재(30)는 그 일측이 전술한 제 1 부재(10) 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2 부재(20)의 외부에 연결된다. 이때 제 2 부재(20)의 외부에 연결되는 측은 제 1 부재(10) 단부보다 다소 높은 위치까지 연결되어 지지부재(30)의 양단이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부재(10)의 외부로 지지부재(30)의 양단이 경사지게 노출되지 않을 경우 제 1 부재(10)의 단부와 노출된 제 2 부재(20)의 외부에 수직단턱이 형성되어 근접 위치된 쿠션부재용 충전재(1)끼리 이 수직단턱이 맞닿게 되면 서로 엉키거나 탄성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부재(30)는 전술한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또는 합성고무 재질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는데,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와 모두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고, 모두 동일하지 않은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30)에 의해 동축적으로 이격배열되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를 포함하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합성수지재로 제조 가능하며 예를 들어 압출 후 일정길이간격으로 절삭가공한 후 절삭부위의 정중앙을 절단하는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의 이중 원통 구조를 가지며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가 지지부재(30)에 의해 고정 지지됨에 따라 서로 겹쳐지거나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아 원활한 통풍이 가능하고, 우수한 탄성복원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적은 충전수량이 사용될수 있어 경제적이며 편안한 사용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지지부재(30)에 의해 동축적으로 이격배열되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에 의해 2중의 중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인체에 대한 쿠션력과 탄성복원력이 배가됨과 동시에 통풍효과도 증대될 수 있으며 인체 접촉면적의 감소를 통해 땀 형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다. 이하에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의 구성부재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중공부(111)를 형성하는 제 1 부재(110)와, 제 1 부재(110)의 외주면에 일체로 다수개가 이격되어 구비되고 제 1 부재(110)의 외주면 둘레에 상호 이격된 외부중공부(121)를 형성하는 제 2 부재(120)를 포함한다.
이 때 제 1 부재(110)는 쿠션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통풍을 가능하게 하는 내부중공부(111)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제 1 부재(110)의 외주면에 일체로 다수개가 이격되는 제 2 부재(120)는 제 1 부재(110)의 외주면 둘레에 쿠션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통풍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중공부(121)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부재(110)의 외주면 둘레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 2 부재(12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원형 횡단면을 가지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각형 황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외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를 포함하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합성수지재로 제조 가능하며 예를 들어 일체로 압출된 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에 의해 내부중공부(111)와 외부중공부(121)로 이루어지는 2중의 중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인체에 대한 쿠션력과 탄성복원력이 배가됨과 동시에 통풍효과도 증대될 수 있으며 인체 접촉면적의 감소를 통해 땀 형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다. 이하에는 도 6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의 구성부재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공부(211)가 형성된 다수의 중공부재(210)가 폐곡선을 따라 서로 연접되어 내부중공부(213)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중공부재(210)는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5개가 폐곡선을 따라 연접되어 내부에 별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내부중공부(213)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일정길이의 육각기둥 등과 같이 다양한 황단면을 가지는 일정길이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다수의 중공부재(210)를 포함하는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합성수지재로 제조 가능하며 예를 들어 압출 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부재용 충전재(1')는 폐곡선을 따라 연ㅈ접배열되는 다수의 중공부재(210)에 의해 중공부(211)와 내부중공부(213)로 이루어지는 2중의 중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인체에 대한 쿠션력과 탄성복원력이 배가됨과 동시에 통풍효과도 증대될 수 있으며 인체 접촉면적의 감소를 통해 땀 형성이 방지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1', 1" : 쿠션부재용 충전재
10 : 제 1 부재
20 : 제 2 부재
30 : 지지부재
100 : 쿠션부재
110 : 제 1 부재
111 : 내부중공부
120 : 제 2 부재
121 : 외부중공부
210 : 중공부재
211 : 중공부
213 : 내부중공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중공부를 형성하는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외주면에 일체로 다수개가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 1 부재의 외주면 둘레에 상호 이격된 외부중공부를 형성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재는 반원형 또는 사각형 황단면을 가지는 외부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되 일체로 압출된 후 일정길이로 절단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부재용 충전재.
  5. 삭제
  6. 삭제
KR1020200084766A 2020-07-09 2020-07-09 쿠션부재용 충전재 KR102477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66A KR102477119B1 (ko) 2020-07-09 2020-07-09 쿠션부재용 충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66A KR102477119B1 (ko) 2020-07-09 2020-07-09 쿠션부재용 충전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46A KR20220006846A (ko) 2022-01-18
KR102477119B1 true KR102477119B1 (ko) 2022-12-13

Family

ID=8005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766A KR102477119B1 (ko) 2020-07-09 2020-07-09 쿠션부재용 충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1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543Y1 (ko) 2004-01-03 2004-04-17 문승자 쿠션재용 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3057A1 (de) * 1985-01-30 1986-07-31 Hoechst Ag, 6230 Frankfurt Aufschaeumbares kunststoffgranulat und daraus hergestelltes packmaterial
KR900009096Y1 (ko) * 1987-05-12 1990-09-29 김윤규 베갯속
KR920000224Y1 (ko) * 1989-03-30 1992-01-15 김재관 고체연료 제조기의 압출조정장치
KR930002037Y1 (ko) * 1990-12-24 1993-04-2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220v 및 110v겸용 전원접속용 플러그
JP3616410B2 (ja) * 1994-10-03 2005-02-02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クッション材
KR19980066837U (ko) * 1997-05-20 1998-12-05 권석웅 베개속 칩
KR19990060468A (ko) * 1997-12-31 1999-07-26 임선정 쿠션재용 플라스틱 성형물
KR200180466Y1 (ko) 1999-12-13 2000-05-01 강신한 베개 속 칩
KR200461528Y1 (ko) * 2009-10-28 2012-07-20 이능희 베개용 쿠션재
KR20170072537A (ko) * 2015-12-17 2017-06-27 문병광 건강 기능성 캡슐형 충전재
US20170340131A1 (en) * 2016-05-24 2017-11-30 Healthcare Co., Ltd Foam filling elements
KR102011003B1 (ko) * 2017-08-24 2019-08-14 심군섭 작물재배용 다용도 보호장치
KR102121993B1 (ko) 2018-06-21 2020-06-11 이명수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543Y1 (ko) 2004-01-03 2004-04-17 문승자 쿠션재용 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46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4451B2 (en) Pillow including gelatinous elastomer cushion having deformable wall members and related methods
US9220345B2 (en) Pressure-relief pillows
US10863837B2 (en) Pillow including gelatinous elastomer cushioning materials
KR102414730B1 (ko) 탄성 중합체 쿠션 요소 및 포켓형 코일 층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및 관련 방법
US20120102654A1 (en) Pillow
US9232867B2 (en) Pad structure
US20060162087A1 (en) Breathing mattress for be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472755Y1 (ko) 기능성 베게
KR102477119B1 (ko) 쿠션부재용 충전재
KR20200001104U (ko) 애완동물 쿠션
KR101478499B1 (ko) 복합구조를 가진 목쿠션
AU2019101719A4 (en) Pillow
JP7393758B2 (ja) 抱き枕
US2499965A (en) Latex foam or the like sponge rubber pillow
JP5054849B1 (ja) 睡眠用枕
JP6372839B1 (ja)
KR101674828B1 (ko) 합성수지 베개
KR20210009805A (ko) 쿠션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KR20110100353A (ko) 침구류 충진 부재
KR200492646Y1 (ko) Epp와 솜이 양측에 구비되는 베개
CN210055478U (zh) 一种新型枕头
US20120291205A1 (en) Mattress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employing elastic band(s) encasement, including for bedding and seating applications
JP2018094121A (ja) パイプ材、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JPS6339684Y2 (ko)
KR101158496B1 (ko) 베개를 포함한 쿠션류의 내부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