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341B1 -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341B1
KR102476341B1 KR1020200118901A KR20200118901A KR102476341B1 KR 102476341 B1 KR102476341 B1 KR 102476341B1 KR 1020200118901 A KR1020200118901 A KR 1020200118901A KR 20200118901 A KR20200118901 A KR 20200118901A KR 102476341 B1 KR102476341 B1 KR 102476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are
belt
control box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551A (ko
Inventor
권도혁
Original Assignee
권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도혁 filed Critical 권도혁
Priority to KR1020200118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3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00Bandages, poultices, compresses specially adapted to veterina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관절부위의 광자치료(光子治療) 및 근력보강은 물론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연동으로 원격제어와 정보수집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무릎관절 부위에 착용된 상태로, 신체에 유효한 광자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어벨트; 반려동물의 몸통 정해진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케어벨트의 운용제어 및 반려동물 활동정보 수집제공의 프로그램 구동을 하는 컨트롤박스; 및, 상기 케어벨트와 상기 컨트롤박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케어벨트 및 상기 컨트롤박스의 위치를 고정하는 릴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JOINT CARE DEVICE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관절부위의 광자치료(光子治療) 및 근력보강은 물론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연동으로 원격제어와 정보수집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 인구고령화(人口高齡化)와 핵가족화(核家族化) 및 1인가구의 증가로 가족구성원이 감소하면서 생활의 외로움을 달래는 등 정서적 의지를 위한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 / pets)을 기르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農林畜産食品部,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의 「2019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2019년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전체가구(전국 2,238만 가구 환산시)의 26.4%에 해당하는 591만 가구로 추산됐다. 이는, 전년도 대비 80만 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처럼,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증가로 인해 반려동물의 양육비 지출 역시 증가하는 바, 가장 많은 지출은 사료 및 간식비(85.8%)이고, 그 다음으로 질병 및 부상의 치료비(64%), 백신이나 사상충 등의 예방비(58.9%), 샴푸 및 이발 등의 미용비(55.3%)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앞으로 수요가 높아질 가능성이 큰 반려동물 관련시장은 의료 및 미용시장(40.7%)의 수요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서비스시장(33.4%), 사료시장(9.8%), 동물장묘업(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반려동물의 양육비 지출 및 관련시장이 점차 증가되므로 그에 따른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후지파행(後肢跛行 / 뒷다리 보행장애)의 증상을 나타내는 개과(Canidae) 동물의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인 슬개골(膝蓋骨, patella / 무릎뼈) 탈구(脫臼, dislocation)는 퇴행성 관절염, 동통(疼痛, pain), 절룩거림이 주요증상인 정형외과적 질환이다.
이러한 슬개골 탈구는, 84%의 선천적인 요인과 16%의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탈구의 정도와 경골(tibia, 脛骨 / 정강뼈) 변위에 따라 1~4등급으로 구분되는데, 그대로 내버려두면 뒷다리(이하 "후지"라 함) 성장에 있어 변형과 장애를 일으킨다. 즉, 열린 성장판 위에 비정상적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명확한 골격계 기형이 나타나고 이러한 기형은 3등급과 4등급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며, 압력이 장시간 존재할수록 근골격계 이상이 더욱더 심화하므로 외과적인 치료를 즉시 요한다.
현재의 반려동물 관절질환 치료방법은 수술이나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반려동물(반려견)은 수술 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무릎상태가 호전되었다고 느끼면 전력으로 뛰거나 사물 위로 뛰어오르는 등 질환을 앓기 전처럼 행동하므로 질환이 다시 악화(재발)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118호(발명의 명칭 : 반려견의 관절 보호 장치)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671호(고안의 명칭 :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등을 통해, 슬개골의 탈구를 예방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관절을 움직이게 만들어 무릎관절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관련 선행기술이 다수 개시되어 있긴 하나, 이들 선행기술은 통증 및 염증완화의 질환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반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9950호를 통해, 질환이 있는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처 치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 램프가 개시된 바 있으나, 해당 선행기술은 단순히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근적외선의 조사로 상처 치료 등에 도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사람과 달리 가만있지 못하고 계속해서 움직이는 활동특성을 나타내는 반려견(반려동물)에게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란 불가능에 가까워, 반려동물의 관절케어 전용의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치 못하다.
결국, 반려동물의 건강관리에 있어 관절질환으로 인한 통증 및 염증완화의 질환개선(치료효과 도모)을 목적하는 광(적외선) 조사방식의 관절케이기기를 개시하되, 반려동물의 활동특성을 감안한 착용구조 달성을 통해 활동특성과 상관없이 꾸준하고 충분한 사용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는 반려동물 전용 관절케어기기의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118호(2017.09.05.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671호(2020.07.28.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9950호(2011.08.22.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려동물의 무릎관절 부위에 착용 가능하고 그 상태로 신체에 유효한 광을 조사하는 광치료모듈이 내재된 케어벨트를 구비하여, 계속해서 움직이는 활동특성을 나타내는 반려동물에게서도 광 조사를 이용한 관절부위의 지속적이고도 충분한 질환개선(관절부위의 통증 및 염증완화)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케어벨트의 정해진 부위로부터 팽차아여 착용부위를 압박하는 압박수단을 더 구비하여, 약해진 근력의 보강 및 그에 따른 하체안정화로 슬개골 탈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케어벨트를 포함한 기기운용 전반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에 무선통신모듈 및 위성항법장치인(GPS)와 각종 센서들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기기의 원격제어(광 조사시간 조절 등)는 물론 반려동물의 위치파악(미아방지)과 활동시간 및 활동상황 등의 각종 정보취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무릎관절 부위에 착용된 상태로, 신체에 유효한 광자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어벨트; 반려동물의 몸통 정해진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케어벨트의 운용제어 및 반려동물 활동정보 수집제공의 프로그램 구동을 하는 컨트롤박스; 및, 상기 케어벨트와 상기 컨트롤박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케어벨트 및 상기 컨트롤박스의 위치를 고정하는 릴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어벨트 및 상기 컨트롤박스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컨트롤박스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거 상기 케어벨트의 정해진 부위를 팽창시켜, 관절부위의 보강 및 그로 인한 하체안정화로 슬개골 탈구가 방지되게 하는 압박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어벨트는, 반려동물의 무릎관절 부위의 전방에 대응밀착하는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관절부위에 둘러매어 상기 벨트본체를 고정시키는 착용밴드와, 상기 벨트본체 내측에 구비된 상태로, 관절부위를 향해 광자를 조사하는 광치료모듈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컨트롤박스의 박스본체 하면은, 반려동물의 몸통 정해진 부위에 대응밀착하도록 만곡되고, 밀착부위에서의 유동을 억제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릴케이블은, 상기 컨트롤박스 내 제어회로의 입력신호를 상기 케어벨트 내 광치료모듈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어회로 및 상기 광치료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임의위치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케이블을 자동으로 권취시켜 상기 케이블에 장력이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어벨트가 착용부위로부터 흘러내리거나 또는 상기 컨트롤박스가 밀착부위로부터 들떠 유동하지 않고 위치고정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길이조절을 가능케 한 릴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벨트본체의 양측으로 연장된 착용밴드에 형성되는 한편 압축공기 주입으로 팽창하여 관절부위를 압박함으로써 해당 관절부위의 근력이 보강되도록 한 에어포켓과, 상기 컨트롤박스의 박스본체에 내재되고, 상기 컨트롤박스 내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회로로부터 신호를 받아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에어포켓과 상기 컴프레셔를 연결하도록 상기 릴케이블의 케이블 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컴프레셔에서 발생한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포켓으로 주입되게 하는 기체주입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광치료모듈은, 광 파장을 관절부위의 피부속으로 침투시키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조합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피조직에 흡수되어 포피린을 자극하고 세포 내 단일산소를 다량생산하여 박테리아를 괴멸하는 405~420nm 파장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진피조직까지 침투하여 미토콘드리아를 자극하고 아데노신트리포스페이트 생성을 활성화시키며 엘라스틴과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재생에 도움주는 610~680nm 파장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피부재생을 촉진하는 800~900nm 파장의 발광다이오드, 블루광과 가시광선을 혼합해 열을 발생시켜 혈액순환개선에 도움주는 630~900nm 파장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피부속으로 침투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한 혈액순환 개선 및 노폐물 운반과 함께 산소공급 등 신진대사 촉진에 도움주는 근적외선 방출 발광다이오드, 근육이완에 도움주는 원적외선 방출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로 조합된다.
더하여, 상기 광치료모듈은, 피부속으로의 미세전력 침투에 의해 근력이 보강되도록 한 전기자극을 부여하는 전기프로브가 더 조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는, 케어벨트에 구비된 광치료모듈로부터 발광·방출되어 관절부위로 조사되는 광원자극 및 전기자극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관절부위 통증 및 염증이 완화되는 관절질환 개선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케어벨트의 착용밴드에 형성된 에어포켓 팽창에 따른 착용부위의 압박으로 관절부위의 근력보강 및 그로 인한 하체안정화의 도모로 슬개골 탈구가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케어벨트 작동제어의 컨트롤박스에 내재된 GPS와 센서들에 의한 반려동물의 위치파악과 더불어 광 조사시간 및 반려동물의 활동시간과 활동상황(걷기, 뛰기의 기록 등) 등의 각종 정보취득이 가능하고, 상기 컨트롤박스에 내재된 통신모듈에 의한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기기의 전원 온/오프, 기기운용(광치료모듈로부터의 광조사, 에어포켓의 팽창)의 시간설정, 광의 세기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국내 반려동물 연관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지금, 지금까지와 같은 각종 효과 달성으로 인한 소비자 구매욕구 충족과 제품 경쟁력 확보에 따른 기업의 이익창출과 아울러 반려동물 관련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에 있어서, 케어벨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에 있어서, 압박수단 중 에어포켓의 팽창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의 착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에 있어서 케어벨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에 있어서 압박수단 중 에어포켓의 팽창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A)는, 반려동물의 무릎관절 부위에 착용된 상태로 신체에 유효한 광자(光子, photon)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어벨트(1)와, 반려동물의 몸통 정해진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케어벨트(1)의 운용제어 및 반려동물 활동정보 수집제공의 프로그램 구동을 하는 컨트롤박스(2)와, 상기 케어벨트(1)와 컨트롤박스(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그들 케어벨트(1) 및 컨트롤박스(2)의 위치를 고정하는 릴케이블(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어벨트(1) 및 컨트롤박스(2)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컨트롤박스(2)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거 케어벨트(1)의 정해진 부위를 팽창시켜, 관절부위의 보강 및 그로 인한 하체(다리)안정화로 슬개골 탈구가 방지되게 하는 압박수단(4)을 더 포함한다.
케어벨트(1)는, 광자를 이용한 관절부위의 통증 및 염증완화(질환개선)와 함께 해당 관절부위의 근력보강(하체안정화)을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무릎관절 부위의 전방에 대응밀착하는 벨트본체(11)와, 상기 벨트본체(1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관절부위에 둘러매어 벨트본체(11)를 고정시키는 착용밴드(12)와, 상기 벨트본체(11) 내측에 구비된 상태로 관절부위를 향해 신체에 유효한 광자를 조사하는 광치료모듈(13)로 구성된다.
상기 벨트본체(11)는, 관절부위의 전방에 대응밀착하도록 정해진 굴곡을 가지며 관절운동에 따라 형태변형이 자유로운 유연성소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광치료모듈(13)을 내재(內在)하되 그 광치료모듈(13)과 관절부위에 간극을 형성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착용밴드(12)는, 관절부위에 둘러매기에 적당한 길이를 가지며 착용감을 고려하는 한편 반려동물별 체격편차(관절 굵기 등)를 감안하여 신축성(길이조절)과 탄력성을 동시에 겸비한 탄성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관절부위에 둘러맬 경우 서로 접(중첩)하는 각 선단부에는 상호접합을 위한 접합부재(1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광치료모듈(13)은, 관절질환의 개선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적외선 및 가시광선 파장을 관절부위의 피부속으로 침투시키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31)로 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다이오드(131)는, 상피조직(epidermal)에 흡수되어 포피린을 자극하고 세포 내 단일산소를 다량생산하여 박테리아를 괴멸하는 405~420nm 파장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진피조직(dermal)까지 침투하여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를 자극하고 아데노신트리포스페이트(ATP) 생성을 활성화시키며 엘라스틴(elastin)과 콜라겐(collagen)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재생에 도움주는 610~680nm 파장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피부재생을 촉진하는 800~900nm 파장의 발광다이오드, 블루광과 가시광선을 혼합해 열을 발생시켜 혈액순환개선에 도움주는 630~900nm 파장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피부속으로 침투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한 혈액순환 개선 및 노폐물 운반과 함께 산소공급 등 신진대사 촉진에 도움주는 근적외선 방출 발광다이오드, 근육이완에 도움주는 원적외선 방출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피부속으로의 미세전력(저출력) 침투에 의해 근력이 보강되도록 한 전기자극(electrical musclestimulation; EMS)을 부여하는 전기프로브(132)가 더 조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박스본체(11) 내부에는, 기기와 관절부위 사이를 온/냉 상태로 변화시켜 피부에 온도자극을 주기 위한 온도조절장치(도시하지 않음), 관절부위의 피부상태 등 각종 정보취득을 위한 복수의 광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컨트롤박스(2)는, 기기운용 및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반려동물의 몸통 정해진 부위에 대응밀착하는 한편 구성요소 단일화의 박스본체(21)와, 상기 박스본체(21)에 내재되고 기기운용 전반의 기억·연산·제어기능을 수행(프로그램 구동)하는 제어회로(22)와, 전원 온/오프 및 작동설정 등의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모듈(23)과, 상기 박스본체(21)에 내재되며 제어회로(22)를 통해 수집 및 분석된 반려동물의 활동정보를 포함한 기기의 운영정보 전반을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출하거나 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24)과, 상기 박스본체(21)에 내재되는 한편 정격용량의 전력을 저장하고 그 전력을 기기작동의 동력원으로 공급하는 배터리(25)로 구성된다.
또한, 반려동물의 위치파악을 위한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이하 'GPS'라 함), 광 조사시간은 물론 반려동물의 활동정보 취득하는 각종 센서(Senso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박스본체(21)는, 각 구성요소들(상기 제어회로, 조작모듈, 무선통신모듈, 배터리)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박스형태를 이루며 반려동물의 몸통에 대응밀착하도록 하면이 안장과 유사한 형태(만곡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면에는 밀착부위에서의 유동(미끄러짐 등)을 억제하는 미끄럼방지부재(실리콘 또는 고무패드 등 / 미도시)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회로(22)는, 연산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기능을 하나의 칩 속에 집적(集積)하여 연산과 제어를 병행할 수 있게 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탑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모듈(23)은, 기기의 전원 온/오프 및 운용프로그램의 설정을 위한 조작버튼부(231)와, 기기의 운용상태를 화면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모듈(24)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적용으로 사용자 디바이스(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와 상호통신이 가능한 것(블루투스모듈)이 바람직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배터리(25)는, 물리 또는 화학반응으로 전위차를 발생시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통상의 전지, 혹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일정용량의 전력을 저장해 둘 수 있고 그렇게 저장된 전력의 공급이 가능한 통상의 충전식 배터리인 축전지(蓄電池) 중 어느 하나로써, 교체가 가능하거나 충전포트(USB단자 등 /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한 재충전이 가능하다.
릴케이블(3)은, 상기 케어벨트(1)와 컨트롤박스(2)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과 아울러 그들 케어벨트(1) 및 컨트롤박스(2)의 고정상태 유지를 위한 것으로, 상기 컨트롤박스(2) 내 제어회로(22)의 입력신호를 상기 케어벨트(1) 내 광치료모듈(13)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어회로(22) 및 광치료모듈(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선(導線, 30)이 삽입된 케이블(31)과, 상기 케이블(31)의 임의위치에 구비된 상태로 그 케이블(31)을 자동으로 권취(捲取, wind / 감김)시켜 상기 케이블(31)에 장력(張力, tension)이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케어벨트(1)가 착용부위(관절부위)로부터 흘러내리거나 또는 상기 컨트롤박스(2)가 밀착부위(몸통의 정해진 부위)로부터 들떠 유동하지 않고 위치고정상태를 견고히 유지토록 함과 아울러 케이블(31)의 길이조절을 가능케 한 릴(32)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31)은, 몸통 및 다리굴곡에 대응하여 자유로운 곡률을 나타내는 유연성을 발휘하면서도 일정장력에 견딜 수 있는 합성수지 띠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릴(32)은, 스프링에 의해 중심축이 일방향(감김방향) 회전동작을 지속함에 의거 그 중심축에 케이블(31)이 자동권취되게 하는 수단이라면 얼마든지 채용 가능하다.
압박수단(4)은, 관절부위의 근력보강 및 그에 따른 하체안정화를 통한 슬개골 탈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벨트본체(11)의 양측으로 연장된 착용밴드(12)에 형성되는 한편 압축공기 주입으로 팽창하여 관절부위를 압박함으로써 해당 관절부위의 근력이 보강되도록 한 에어포켓(41)과, 상기 컨트롤박스(2)의 박스본체(21)에 내재되고 제어회로(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제어회로(22)로부터 신호를 받아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컴프레셔(42)와, 상기 에어포켓(41)과 컴프레셔(42)를 연결하도록 릴케이블(3)의 상기 케이블(31) 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컴프레셔(42)에서 발생한 압축공기가 에어포켓(41)으로 주입되게 하는 기체주입로(43)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포켓(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재(121) 부착범위를 제외한 착용밴드(12)의 전체범위로부터 팽창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프레셔(42)는, 컨트롤박스(2)의 박스본체(21)에 내재된 상태로 압축공기를 발생하는데 적합한 초소형 공기압축기(空氣壓縮機, air compressors)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관계 및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기계요소라 한다면 얼마든지 달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의 착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관절부위 특히, 걷기와 뛰기 등 하체(다리)움직임을 담당하는 신체부위인 무릎관절의 통증 및 염증완화 등 관절질환 개선(치료 등)을 도모하고, 또한 약해진 근력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반려동물에 착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쪽 다리(뒷다리)의 무릎관절 부위에 케어벨트(1)를 착용시키고, 릴케이블(3)에 의해 상기 케어벨트(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박스(2)를 반려동물의 몸통 정해진 부위(둔부)에 밀착시킨다.
이때, 관절부위와 몸통의 정해진 부위에 각각 착용 및 밀착된 상기 케어벨트(1)와 컨트롤박스(2)는 상기 릴케이블(3)의 자동권취동작에 의해 착용부위로부터 흘러내리거나 밀착부위로부터 들떠 유동하지 않게 되는 바, 이는 릴케이블(3)의 릴(32)의 중심축이 일방향 지속회전되려는 작용으로 상기 릴케이블(3)의 케이블(31)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31)에 장력이 부여됨으로써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박스(2)의 박스본체(21) 외부로 노출된 조작모듈(23)의 조작버튼부(231) 중 전원 온/오프버튼을 조작해서 기기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상기 조작버튼부(231) 중 기능설정버튼을 조작해서 케어벨트(1)의 벨트본체(11) 내부에 구비된 광치료모듈(3 / 발광다이오드 : 131)로부터 에서 신체에 유효한 광자(적외선 등)가 조사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관절부위의 통증 및 염증완화(질환개선)가 도모되게 한다. 또한, 상기 광치료모듈(13)의 전기프로브(132)를 통해 미세전력이 방출도록 하여 피부속으로 전기자극이 이루어져 관절부위의 근력이 보강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조작버튼부(231) 중 기능설정버튼을 추가조작해서 상기 컨트롤박스(2)의 박스본체(21)에 내재된 컴프레셔(42)를 작동시켜 압축공기가 발생되도록 하고, 그 압축공기가 릴케이블(3)의 케이블(31)에 형성된 기체주입로(43)를 거쳐 상기 케어벨트(1)의 착용밴드(12)에 형성된 에어포켓(41)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에 따라, 상기 에어포켓(41)이 팽창(도 4 참조)하여 착용부위(관절부위)를 압박하고 그로써 관절부위의 근력보강 및 이로 인한 하체안정화로 슬개골 탈구가 예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박스(2)에 더 내재되는 GPS 및 센서들에 의한 반려동물의 위치파악과 더불어 광 조사시간, 반려동물의 활동시간과 활동상황(걷기, 뛰기의 기록 등) 등의 각종 정보취득이 가능하며, 통신모듈(24)에 의한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기기의 전원 온/오프, 기기운용(광치료모듈로부터의 광조사, 에어포켓의 팽창)의 시간설정, 광의 세기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A)에 의하면, 상기 케어벨트(1 / 벨트본체 : 11)에 구비된 광치료모듈(13)로부터 발광·방출되어 관절부위로 조사되는 광원자극 및 전기자극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관절부위 통증 및 염증완화(질환개선)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본체(11) 양측의 착용밴드(12)에 형성된 에어포켓(41) 팽창에 따른 착용부위의 압박으로 관절부위의 근력보강 및 그로 인한 하체안정화의 도모로 슬개골 탈구가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관절케어기기, 1 : 케어벨트
2 : 컨트롤박스, 3 : 릴케이블
4 : 압박수단, 11 : 벨트본체
12 : 착용밴드, 13 : 광치료모듈
21 : 박스본체, 22 : 제어회로
23 : 조작모듈, 24 : 무선통신모듈
25 : 배터리, 31 : 케이블
32 : 릴, 41 : 에어포켓
42 : 컴프레셔, 43 : 기체주입로
121 : 접합부재, 131 : 발광다이오드
132 : 전기프로브, 231 : 조작버튼부
232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반려동물의 무릎관절 부위에 착용된 상태로, 신체에 유효한 광자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어벨트;
    반려동물의 몸통 정해진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케어벨트의 운용제어 및 반려동물 활동정보 수집제공의 프로그램 구동을 하는 컨트롤박스; 및,
    상기 케어벨트와 상기 컨트롤박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케어벨트 및 상기 컨트롤박스의 위치를 고정하는 릴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벨트 및 상기 컨트롤박스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컨트롤박스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거 상기 케어벨트의 정해진 부위를 팽창시켜, 관절부위의 보강 및 그로 인한 하체안정화로 슬개골 탈구가 방지되게 하는 압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벨트는, 반려동물의 무릎관절 부위의 전방에 대응밀착하는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관절부위에 둘러매어 상기 벨트본체를 고정시키는 착용밴드와,
    상기 벨트본체 내측에 구비된 상태로, 관절부위를 향해 광자를 조사하는 광치료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박스본체 하면은, 반려동물의 몸통 정해진 부위에 대응밀착하도록 만곡되고, 밀착부위에서의 유동을 억제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케이블은, 상기 컨트롤박스 내 제어회로의 입력신호를 상기 케어벨트 내 광치료모듈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어회로 및 상기 광치료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임의위치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케이블을 자동으로 권취시켜 상기 케이블에 장력이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어벨트가 착용부위로부터 흘러내리거나 또는 상기 컨트롤박스가 밀착부위로부터 들떠 유동하지 않고 위치고정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길이조절을 가능케 한 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벨트본체의 양측으로 연장된 착용밴드에 형성되는 한편 압축공기 주입으로 팽창하여 관절부위를 압박함으로써 해당 관절부위의 근력이 보강되도록 한 에어포켓과,
    상기 컨트롤박스의 박스본체에 내재되고, 상기 컨트롤박스 내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회로로부터 신호를 받아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에어포켓과 상기 컴프레셔를 연결하도록 상기 릴케이블의 케이블 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컴프레셔에서 발생한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포켓으로 주입되게 하는 기체주입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치료모듈은, 광 파장을 관절부위의 피부속으로 침투시키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조합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피조직에 흡수되어 포피린을 자극하고 세포 내 단일산소를 다량생산하여 박테리아를 괴멸하는 405~420nm 파장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진피조직까지 침투하여 미토콘드리아를 자극하고 아데노신트리포스페이트 생성을 활성화시키며 엘라스틴과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재생에 도움주는 610~680nm 파장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피부재생을 촉진하는 800~900nm 파장의 발광다이오드, 블루광과 가시광선을 혼합해 열을 발생시켜 혈액순환개선에 도움주는 630~900nm 파장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피부속으로 침투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한 혈액순환 개선 및 노폐물 운반과 함께 산소공급 등 신진대사 촉진에 도움주는 근적외선 방출 발광다이오드, 근육이완에 도움주는 원적외선 방출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치료모듈은, 피부속으로의 미세전력 침투에 의해 근력이 보강되도록 한 전기자극을 부여하는 전기프로브가 더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KR1020200118901A 2020-09-16 2020-09-16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KR102476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01A KR102476341B1 (ko) 2020-09-16 2020-09-16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01A KR102476341B1 (ko) 2020-09-16 2020-09-16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551A KR20220036551A (ko) 2022-03-23
KR102476341B1 true KR102476341B1 (ko) 2022-12-08

Family

ID=8096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901A KR102476341B1 (ko) 2020-09-16 2020-09-16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972B1 (ko) 2022-11-18 2023-06-29 김원경 반려동물용 근육 강화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044Y1 (ko) 2006-08-03 2006-11-02 문명건 벨트형 복합 마사지기
CN204863919U (zh) 2015-08-29 2015-12-16 郭春红 一种使用方便的电磁感应治疗仪
WO2018026680A1 (en) 2016-07-31 2018-02-08 Flexlite Corporation Light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CN110935099A (zh) 2019-12-11 2020-03-31 东华大学 一种治疗狗腰间盘突出的穿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376B1 (ko) * 2001-10-15 2005-03-28 장익춘 관절 치료기
KR100925966B1 (ko) * 2007-11-22 2009-11-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증 완화 기능 밴드
KR101059950B1 (ko) 2010-12-17 2011-08-26 (주)블루앤 반려동물 케어 램프
KR20130031172A (ko) * 2011-09-20 2013-03-28 박행배 복합 파장 광 요법 진동 마사지 장치
KR101409181B1 (ko) * 2012-02-17 2014-06-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시광선 조사 및 진동자극 기능이 탑재된 재활치료용 기능적 전기자극기
KR101777118B1 (ko) 2016-03-21 2017-09-11 조영기 반려견의 관절 보호 장치
KR20200001671U (ko) 2019-01-18 2020-07-28 김정현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044Y1 (ko) 2006-08-03 2006-11-02 문명건 벨트형 복합 마사지기
CN204863919U (zh) 2015-08-29 2015-12-16 郭春红 一种使用方便的电磁感应治疗仪
WO2018026680A1 (en) 2016-07-31 2018-02-08 Flexlite Corporation Light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CN110935099A (zh) 2019-12-11 2020-03-31 东华大学 一种治疗狗腰间盘突出的穿戴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551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5684B2 (en) Portable ligh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US6974224B2 (en) Modularized light processing of body components
CA2772186C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ymptoms of restless legs syndrome
CN107708801A (zh) 光治疗绷带系统
US20050177093A1 (en) Joint / tissue inflammation therapy and monitoring device
US20070208395A1 (en) Phototherap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Phototherapy to a Body Surface
US20080058905A1 (e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light as therapy for fungal infection
AU2015215851A1 (en) Laser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WO2011082407A2 (en) Portable ultrasound system
KR102476341B1 (ko)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CN107921179A (zh) 医疗伤口愈合促进器和骨髓炎治疗装置
CN113811354A (zh) 用于进行生物刺激光疗的装置
CN102362718A (zh) 一种带消毒装置的鞋子
KR200401329Y1 (ko) 허리 벨트용 및 관절 밴드용 레이저 치료기
KR200497183Y1 (ko) 반려동물용 led 온열 광조사기
JP2007000610A (ja) 発光ダイオード治療装置
KR102086909B1 (ko) 발 질환 치료용 장치
KR20220094418A (ko)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led 장치
CN106621054A (zh) 用于抗颈椎颈肌劳损的柔性可穿戴式光疗仪
WO2024019986A1 (en) Light therapy blanket
US11801397B2 (en) Wearable light therapy device
CN219090203U (zh) 一种脚部护理装置
KR102399087B1 (ko) 휴대용 무좀 치료장치
KR200299932Y1 (ko) 애완동물 치료 목걸이
KR20210019928A (ko) 반려동물용 led 온열 광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