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993B1 -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 Google Patents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993B1
KR102475993B1 KR1020200108484A KR20200108484A KR102475993B1 KR 102475993 B1 KR102475993 B1 KR 102475993B1 KR 1020200108484 A KR1020200108484 A KR 1020200108484A KR 20200108484 A KR20200108484 A KR 20200108484A KR 102475993 B1 KR102475993 B1 KR 10247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cleaning
control unit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7521A (ko
Inventor
배혜경
Original Assignee
(주)쓰리엠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엠탑 filed Critical (주)쓰리엠탑
Priority to KR1020200108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9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수모듈을 갖는 3 몹 로봇 걸레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부 조작에 따라 제어부가 걸레청소주행부의 회전 제어를 통하여 청소몸체가 직진 또는 회전 및 정지 상태에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로봇 걸레청소기에 있어서, 삼각 판형상의 청소몸체와 상기 청소몸체의 각 모서리측 하부에 구비되는 걸레청소주행부, 상기 청소몸체의 구비되는 물탱크부, 상기 청소몸체의 내부에서 구비되는 물펌프부, 상기 물펌프부에 의하여 펌핑된 물을 걸레청소주행부로 공급하는 급수노즐, 상기 청소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 사용자의 조작부 조작에 따라 제어부가 걸레청소주행부의 회전 제어를 통하여 청소몸체가 직진 또는 회전 및 정지 상태에서 물펌프부에 의하여 걸레청소주행부에 직접 물을 펌핑 공급하여 청소 정지과정에 누수 없이 청소면을 명확하게 물걸레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3 MOB ROBOT CLEANER}
본 발명은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걸레청소기의 청소몸체 상부에서 장착되는 물탱크를 장착할 수 있는 함체로 형성된 살균몸체와, 상기 살균몸체에 상부에 구성되며 물탱크가 안착하는 살균수전환부와, 살균몸체 일면에 구성되는 조작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살균수전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하여서 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로 변환한 살균수를 통해 물걸레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 걸레 청소기는 청소면과 마찰 접촉을 통하여 자가주행을 하며 청소면을 걸레로 자동으로 청소를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로봇 걸레 청소기는 청소몸체와 청소면과 마찰접촉에 의하여 청소와 이동 추진력을 유발하는 회전 몹, 상기 몹을 회전시키는 몹구동모터, 청소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몹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 및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로봇 걸레 청소기는 회전 몹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면서 청소면을 청소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로봇 걸레 청소기는 몹에 물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몹에서 공급되는 물을 걸레가 흡수하여 청소면을 물걸레 청소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가주행 형 물걸레 청소기는 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청소효과가 더 향상되게 소독효과를 갖는 전해수로의 전환장치를 부착하기에 크기가 한정적이어서 일반의 수돗물 만을 사용하게되고, 소독효과를 갖는 전해수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7-004189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가주행형 로봇 걸레 청소기의 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청소효과가 더 향상되게 소독효과를 갖는 전해수로의 전화장치를 부착하기에 크기가 한정적이어서 일반의 수돗물 만을 사용하게되고, 소독효과를 갖는 전해수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에 있어서, 걸레청소기의 청소몸체 상부에서 장착되는 물탱크를 장착할 수 있는 함체로 형성된 살균몸체와, 상기 살균몸체에 상부에 구성되며 물탱크가 안착하는 살균수전환부와, 살균몸체 일면에 구성되는 조작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살균수전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가주행 형 물걸레 청소기에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의 물을 전해수로 전환하여 사용되게 함으로써 청소면을 살균수를 이용하여 살균청소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물걸레 청소기에 장착되는 물탱크에 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에 그대로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갖는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예시도.
도 4 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로봇 걸레 청소기의 물탱크를 장착할 수 있는 함체로 형성된 살균몸체와, 상기 살균몸체에 상부에 구성되며 물탱크가 안착하는 살균수전환부와, 살균몸체 일면에 구성되는 조작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살균수전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하여서 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로 변환하여 전해수를 통해 물걸레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로봇 걸레 청소기(1)의 물탱크(2)를 장착할 수 있는 함체로 형성된 살균몸체(10)와, 상기 살균몸체에 상부에 구성되며 물탱크(2)가 안착하는 살균수전환부(20)와, 살균몸체(10) 일면에 구성되는 조작부(30), 조작부(30)의 조작에 의해 살균수전환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5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살균몸체(10)에는 물탱크(2)를 장착하여 물탱크(2)에 수용된 물을 전해수로 전환하는 살균수전환부(20)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살균수전환부(20)는 물탱크(2)가 안착하는 물탱크안착부(21)와, 물탱크안착부(21)의 저면에서 요입된 물저수부(22), 상기 물저수부(22)의 바닥에서 내부로 투입되어 물을 전기분해하는 한 쌍의 전극(2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물저수부(22)의 중앙에는 물탱크(2)의 하부에 형성된 탱크배출구(2a)를 개폐하는 탱크배출밸브(2b)를 밀어 올려 탱크배출구(2a)를 개방하기 위한 배출구개방돌기(22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물저수부(22)의 일측에는 물탱크분리체크밸브(22b)가 구비되어 물탱크(2)를 분리시 물저수부(22)에 부압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살균몸체(10)의 일측으로는 살균수전환부(20)를 가동하기 위한 조작부(30)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30)에는 제어부(40)가 구비되어 조작부 입력에 따라 살균수전환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부(50)는 살균수전환부(20)와 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전환부(20)의 물저수부(22)에는 살균수를 보다 원할히 생성할 수 있도록 살균수순환부(24)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살균수순환부(24)는 물저수부(22)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22c)와, 살균몸체(10)상부에 구비되는 펌프(24a)와, 배출구(22c)와 펌프(24a)는 배출관로로 연결되고 상기 펌프(24a)상부에는 물탱크(2) 상부로 펌프(24a)에 의해 물저수부(22)에서 펌핑된 물을 공급되게 구성한 살균수공급관(24b)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살균수공급관(24b)은 U자형 관을 회동되게 구비하거나 자바라 타입의 관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로봇 걸레 청소기(1)의 물탱크(2)를 장착할 수 있는 함체로 형성된 살균몸체(10)와, 상기 살균몸체에 상부에 구성되며 물탱크(2)가 안착하는 살균수전환부(20)와, 살균몸체(10) 일면에 구성되는 조작부(30), 조작부(30)의 조작에 의해 살균수전환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50)로 구성여 실시하게 되면, 로봇 걸레 청소기(1)에 장착되며 물걸레 청소에 사용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2)을 전해수로 전기분해한 살규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청수면의 물걸레 청소가 살균청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살균몸체(10)에 구성된 살균수전환부(20)를 구성하는 물저수부(22)는 물탱크(2)의 탱크배출밸브(2b)를 밀어 올려 탱크배출구(2a)의 개방이 물탱크(2)가 안착됨과 동시에 이루어지고, 물저수부(22)에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극(23)이 구비되어 있어 전해수로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탱크(2)는 탱크배출밸브(2b)가 계속 열려있어 물저수부(22)에서 전기분해된 전해수와 물탱크(0의 물이 대류에 의해 교환되는 것이다.
또한, 물저수부(22)에는 물탱크분리체크밸브(22b)가 구비되어 있어 물저수부(22)에 부압이 발생하지 않아 물탱크(2)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전환부(20)의 물저수부(22)에는 살균수를 보다 원할히 생성할 수 있도록 살균수순환부(24)를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물저수부(22)에서 전해수로 전환된 물을 펌프(24a)를 통해 물탱크(2)의 상부로 직접 공급하게 되어 물탱크(2)에 저장된 물을 쉽게 순환시킬 수 있어 보다 빠른 전해수로 전기분해한 살규수생성이 용이해 지는 것이다.
또한, 펌프(24a)에 상부에는 U자형 관을 회동되게 구비하거나 자바라 타입의 관체를 사용함으로써 물탱크(2)로 물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로봇 걸레 청소기 2 : 물탱크
2a : 탱크배출구 2b : 탱크배출밸브
10 : 살균몸체
20 : 살균수전환부
21 : 물탱크안착부 22 : 물저수부
22a : 배출구개방돌기 22b : 물탱크분리체크밸브
22c : 배출구 23 : 전극
24 : 살균수순환부 24a : 펌프
24b : 살균수공급관
30 : 조작부
40 : 제어부
50 : 전원부

Claims (3)

  1. 로봇 걸레 청소기(1)의 물탱크(2)를 장착할 수 있는 함체로 형성된 살균몸체(10)와, 상기 살균몸체에 상부에 구성되며 물탱크(2)가 안착하는 살균수전환부(20)와, 살균몸체(10) 일면에 구성되는 조작부(30), 조작부(30)의 조작에 의해 살균수전환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50)로 구성되되,
    상기 살균수전환부(20)는 물탱크(2)가 안착하는 물탱크안착부(21)와, 물탱크안착부(21)의 저면으로 요입되며 물탱크(2)의 탱크배출밸브(2b)를 밀어올리는 배출구개방돌기(22a)가 형성된 물저수부(22), 상기 물저수부(22)의 바닥에서 내부로 투입되어 물을 전기분해하는 한 쌍의 전극(23)으로 구성되며,
    상기 물저수부(22)의 일측에는 물탱크(2)를 분리시 부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물탱크분리체크밸브(22b)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몸체(10)의 일측으로는 살균수전환부(20)를 가동하기 위한 조작부(30)와, 조작부(30)에는 살균수전환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 및 살균수전환부(20)와 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로 구성되며,
    상기 물저수부(22)에는 살균수를 보다 원할히 생성할 수 있도록 살균수순환부(24)가 구성되고,
    상기 살균수순환부(24)는 물저수부(22)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22c)와, 살균몸체(10)상부에 구비되는 펌프(24a)와, 배출구(22c)와 펌프(24a)는 배출관로로 연결되고 상기 펌프(24a)상부에는 물탱크(2) 상부로 펌프(24a)에 의해 물저수부(22)에서 펌핑된 물을 공급되게 구성한 살균수공급관(24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공급관(24b)은 U자형 관을 회동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3. 제 1 항 있어서,
    상기 살균수공급관(24b)은 자바라 타입의 관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KR1020200108484A 2020-08-27 2020-08-27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KR102475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484A KR102475993B1 (ko) 2020-08-27 2020-08-27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484A KR102475993B1 (ko) 2020-08-27 2020-08-27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521A KR20220027521A (ko) 2022-03-08
KR102475993B1 true KR102475993B1 (ko) 2022-12-09

Family

ID=8081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484A KR102475993B1 (ko) 2020-08-27 2020-08-27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9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29B1 (ko) * 2013-12-17 2015-06-24 햄스코케이테크전해 주식회사 전해수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282A (ja) * 1996-08-27 1998-03-03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100992565B1 (ko) 2005-10-17 2010-11-08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KR101799296B1 (ko) * 2015-12-23 2017-11-20 주식회사 디앤티 물걸레 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29B1 (ko) * 2013-12-17 2015-06-24 햄스코케이테크전해 주식회사 전해수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521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3668B2 (en) Automatic water faucet device
KR20210030298A (ko) 살균수모듈을 갖는 3 몹 로봇 걸레청소기
KR20130129059A (ko) 걸레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1740507B1 (ko) 살균 효과가 있는 구강 세정기
JP7018549B2 (ja) シェービング装置及び洗浄装置を備えたシェービングシステム
KR101595405B1 (ko) 살균수 발생장치
KR102475993B1 (ko) 걸레청소기용 살균수기
KR101569910B1 (ko) 양변기 살균장치
JP2000287924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US20120125385A1 (en)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JP4822763B2 (ja) 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水溶液生成ボトル
KR102465646B1 (ko) 살균수모듈을 갖는 3 몹 로봇 걸레청소기
KR20200104667A (ko) 펫 욕조
JP6057173B2 (ja) トイレ装置
JP4467354B2 (ja) 洗浄装置及び除菌装置
KR20220001215A (ko) 청소기 노즐
KR20170023670A (ko) 스킨 케어용 워터 클리너
KR101871984B1 (ko) 콘택트렌즈 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188348A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内視鏡洗浄装置
JP2020120927A (ja) 口腔洗浄器
KR102214638B1 (ko) 전해수 생성장치 및 그 구성방법
JP2023100035A (ja) 浴室用浄化装置
JP7054521B2 (ja) ポータブル型電解水生成装置
JP2006239200A (ja) 食器乾燥機
JP2023100033A (ja) 浴室用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