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965B1 -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965B1
KR102475965B1 KR1020220130222A KR20220130222A KR102475965B1 KR 102475965 B1 KR102475965 B1 KR 102475965B1 KR 1020220130222 A KR1020220130222 A KR 1020220130222A KR 20220130222 A KR20220130222 A KR 20220130222A KR 102475965 B1 KR102475965 B1 KR 10247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product
menu
information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노현
Original Assignee
성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노현 filed Critical 성노현
Priority to KR102022013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홈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꿀 상품의 노출 배치를 상품 추천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고, 꿀 상품을 추천하여 꿀 구매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꿀 상품 소비를 증진시킬 수 있고, 꿀 상품의 구매자가 별다른 어려움없이 다양한 꿀 상품을 추천받아서 손쉽게 원하는 꿀 상품을 구매하며, 이에 따라 꿀 상품 구매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roduct Recommending Service Configuring User Customized Page}
본 발명은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홈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꿀 상품의 노출 배치를 상품 추천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고, 꿀 상품을 추천하여 꿀 구매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꿀 상품 소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꿀은 벌이 꽃의 꿀샘에서 채집해서 벌집에 저장해둔 것이다.
꽃에서 가져온 꿀에 벌의 효소가 더해져 우리가 먹는 꿀이 된다. 꿀에는 우리의 몸에 좋은 영양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서 피로회복, 불면증, 신경통, 관절염, 숙취 해소에 좋다. 그리고 설탕같은 단당류가 아니며 미네랄,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다.
꿀의 종류는 벌이 꿀을 가져오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아카시아꿀, 밤꿀, 유채꿀 등 다시 한 번 나뉘어진다.
꿀의 등급은 상품을 보면, 탄소동위원소비라고 적혀 있으며, 꽃에서 나는 천연꿀의 값을 의미하는데, 숫자는 마이너스로 숫자가 클수록 좋은 등급이라 한다.
꿀의 등급은 -23.5% 내지 -22.5% 보다 낮으면 천연꿀로 여겨지고, 이보다 높으면 사양꿀로 구분된다. 사양꿀은 설탕을 먹여 키운 벌을 통해 얻는 꿀이다.
탄소동위원소비는 검사를 통해 표기하는 것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사양꿀은 사양꿀이라고 표기하도록 되어 있다.
꿀을 판매하는 방법은 판매자가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홈페이지에 다양한 꿀을 전시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어떤 꿀을 구매해야 할 지, 어떤 꿀이 좋은 꿀인지, 나에게 맞는 꿀을 알지 못하므로 꿀 구매를 어려워하고, 이에 따라 꿀의 구매 의욕이 낮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꿀 상품 소비의 증진시키는데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2144943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홈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꿀 상품의 노출 배치를 상품 추천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고, 꿀 상품을 추천하여 꿀 구매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꿀 상품 소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꿀 상품 추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꿀 상품을 구매하는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로 표시하고, 다양한 꿀 상품의 종류를 입력받아 구매 처리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앱을 통해 원하는 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 상에서 꿀 상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상품 추천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모듈로 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꿀 상품의 노출 배치를 상품 추천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맞춤형 페이지 메뉴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상기 맞춤형 페이지 메뉴의 판매순위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판매순위 메뉴의 메뉴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품 추천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상품 추천 관리 서버는, 구매 요청된 꿀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 후, 연령, 지역, 연락처 등의 구매자 정보, 구매한 꿀 상품 정보, 상품 구매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 이력 저장부; 및 상기 판매순위 메뉴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매 이력 저장부에서 구매한 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꿀 상품별로 판매액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누적된 판매액이 많은 순서로 꿀 상품을 내림차순으로 정렬 및 저장하는 빅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빅데이터 관리부에서 판매순위가 높은 꿀 상품(우선순위)을 기설정된 상위 순번에 따라 꿀 상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꿀 상품이 상위 노출되도록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판매순위가 높은 꿀 상품을 상위 노출한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꿀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꿀 상품 선택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꿀 상품 선택 메뉴는 꿀의 색깔, 꿀의 향기, 꿀의 맛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상위 분류 메뉴와, 상기 각각의 상위 분류 메뉴는 색깔별, 향기별, 맛별로 꿀의 특징을 설명하는 특징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하위 분류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각 하위 분류 메뉴의 선택 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최종 꿀 상품을 표시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하위 분류 메뉴 또는 상기 최종 꿀 상품 중에서 바 형태로 음영 처리하여 활성화하여 구매자 선호도를 가이드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꿀 상품을 추천하여 꿀 구매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꿀 상품 소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꿀 상품의 구매자가 별다른 어려움없이 다양한 꿀 상품을 추천받아서 손쉽게 원하는 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홈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꿀 상품의 노출 배치를 상품 추천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구성함으로써 꿀 상품 구매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 상품 선택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의 색깔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의 향기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의 맛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페이지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의 우선 순위에 따라 페이지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횟수, 연령별, 지역별에 따라 도출된 가중치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에 위치한 매장 정보를 지도 데이터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꿀 상품 추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꿀 상품을 구매하는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102)으로 사용자 단말기(110)와 연계하고,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을 통해 꿀 상품 구매 서비스 프로그램 기능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꿀 상품을 구매한 상품 구매 이력에 대한 통계 자료를 관리하고, 구매자 맞춤형 꿀 상품을 추천하는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와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는 상품 추천과 구매, 판매에 있어서 꿀 상품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품의 종류는 전자 제품, 의류, 식품 등 모든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이 소지하는 단말이며,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11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망(102)을 통해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망(102)은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102)은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102)은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하고, 앱을 통해 원하는 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 상에서 꿀 상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맞춤형 상품 추천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와 통신망(102)을 통하여 연계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은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꿀 상품 추천 프로그램을 제공받도록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되거나, 웹기반 서비스로 제공되는 관리 앱이다.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을 통하여 제공되는 꿀 상품 추천 프로그램은 구매자의 꿀 상품 구매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구매자가 꿀 상품 추천을 하는 맞춤형 꿀 상품 추천 프로그램이다.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는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천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세분화된 프로그램 중 이용자에게 알맞은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은 단말기 형태에 따라 다른 버전으로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바일 버전이나 PC 버전으로 구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꿀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꿀 상품 선택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연령, 지역, 연락처 등의 구매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는 입력부(131), 데이터 수집부(132), 데이터베이스부(133), 텍스트 저장부(134), 형태소 분석부(135), 상품 정보 저장부(136), 제어부(137), 선호도 저장부(138), 선호도 분석부(139),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 이벤트 감지부(141), 무선 통신부(142), 상품 결제 처리부(143), 구매 이력 저장부(144), 빅데이터 관리부(145), 상품 추천부(146), 지도 데이터 생성부(147) 및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를 포함한다.
입력부(131)는 웹사이트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웹사이트 관련 정보란, 원하는 언론사 등의 사이트 정보, 언론사 등의 SNS 정보들을 의미하며, 입력부(131)는 입력받은 웹사이트 관련 정보를 통해서, 수집하고자 하는 URL을 설정할 수 있다.
SNS 서버(120)는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유튜브(youtube)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로서, 인플루언서들이 업로드한 영상을 검색하고,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SNS 서버(120)는 복수의 사용자의 SNS 계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각 사용자는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이미지, 동영상 및/또는 글을 업로드하는 등의 SNS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SNS 활동은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서버(120)에는 사용자의 호감을 표시하는 선호도(예: '좋아요', '공유', '구독', '팔로우' 등의 표기)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이 반영된 특정 사용자의 SNS 활동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SNS 서버(120)는 선호도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꿀 상품이 포함된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데이터 수집부(132)는 SNS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전용 크롤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32)는 SNS 서버(120)로부터 꿀 상품이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133)에 저장한다.
데이터 수집부(132)는 입력부(131)에 설정된 웹사이트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웹사이트에서 꿀 상품이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133)에 저장한다.
데이터 수집부(132)는 입력받은 웹사이트 관련 정보들을 통해, 해당 사이트의 다양한 웹 문서 데이터(웹 페이지 데이터 등)를 수집한다. 웹 문서 데이터는 꿀 상품이 포함된 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133)는 OCR 처리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터 수집부(132)로부터 수신한 꿀 상품이 포함된 영상 정보 내에 포함된 텍스트 라인에 대해 언어 후보군이 하나 이상이 있는지 식별하고,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능(알고리즘)을 식별된 언어에 매칭하도록 적용하여 텍스트 라인을 인식하며, 인식한 텍스트 라인을 텍스트 저장부(134)에 저장한다.
형태소 분석부(135)는 텍스트 저장부(134)에 저장한 텍스트 라인을 입력받아 문장 형태 또는 복수의 단어들의 조합 형태로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들을 형태소 단위로 분석한다.
상품 정보 저장부(136)는 꿀 상품에 매칭되는 특징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카시아꿀은 수백색 꿀이고, 부드러운 향기가 나는 꿀이고, 맛이 좋은 꿀을 나타낸다. 여기서, 꿀 상품은 아카시아꿀이고, 특징 정보들은 수백색, 담황색 등의 색깔 정보, 부드러운 향기 등의 향기 정보, 맛이 좋은 꿀의 맛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특징 정보는 해당 꿀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색깔, 향기, 맛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품 정보 저장부(136)는 꿀 상품에 대응하는 요약 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요약 텍스트 정보는 꿀 상품의 특징을 예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함축된 내용이다.
하기에는 꿀 상품별로 요약 텍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유채꿀은 유백색의 꿀로 감미롭고 풀냄새 같은 것이 나고, 봄철 제주도에서 채취한다. 아카시아꿀은 백황색의 꿀로 감미로운 아카시아향이 나고, 5월경 채취한다. 밤꿀은 흙갈색을 띄고 쓴맛이 나며 밤꿀만의 독특한 향이 나고, 6월경 채취한다. 잡화꿀은 여러가지 꽃이 섞인 꿀로 황갈색을 띄며 감미롭고 여러 향을 가지고 있으며, 6월 내지 9월경 채취한다. 싸리꿀은 백황색의 꿀로 감미롭고 독특한 향이 나며, 8월경 채취한다.
꿀 상품은 크게 색깔, 향기, 맛에 의한 구별한다.
꿀은 밀원의 종류에 따라 당, 산, 질소, 무기물의 함량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밀원에 따라 맛과 색깔, 향기가 다르게 나타나고 그 성분도 차이를 보이게 된다. 꿀의 이름을 '아카시아꿀', '유채꿀', '밤꿀', '잡화꿀' 이라고 부르는 것이 이러한 밀원의 종류에 따라 꿀의 이름을 붙이기 때문이다.
꿀의 색깔에 의한 분류는 수백색 꿀을 나타내는 아카시아꿀, 담황색의 꿀을 나타내는 유채꿀, 피나무꿀, 진달래꿀, 사과꿀, 자운영꿀, 클로버꿀이고, 황금색 꿀을 나타내는 싸리꿀, 감꿀, 밀감꿀이고, 갈색 꿀을 나타내는 메밀꿀이고, 흑갈색 꿀을 나타내는 밤꿀이다.
꿀의 향기에 의한 분류는 부드러운 향기가 나는 꿀을 나타내는 아카시아 꿀, 싸리꿀, 감꿀, 산딸기꿀, 자운영꿀이고, 독특하고 강한 향기가 나는 꿀을 나타내는 밀감꿀, 피나무꿀, 산추꿀이고, 짙은 향기가 나는 꿀을 나타내는 메밀꿀, 밤꿀이다.
꿀의 맛에 의한 분류는 맛이 좋은 꿀을 나타내는 아카시아 꿀, 싸리꿀, 사과꿀, 사과꿀, 자운영꿀이고, 약간 탁한 맛이 나는 꿀을 나타내는 메밀꿀이고, 쓴 맛이 나는 꿀을 나타내는 밤꿀이다.
제어부(137)는 형태소 분석부(135)에서 분석한 형태소 단위의 텍스트 정보와, 상품 정보 저장부(136)에 저장한 꿀 상품 또는 특징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꿀 상품 또는 특징 정보를 검출한다.
제어부(137)는 검출한 꿀 상품과 특징 정보들을 선호도 저장부(138)에 저장한다.
선호도 저장부(138)는 꿀 상품과 특징 정보를 저장할 때, 이미 저장된 꿀 상품과 특징 정보가 있는 경우, 꿀 상품의 개수와, 특징 정보의 개수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선호도 저장부(138)는 꿀 상품과 특징 정보를 저장할 때, 꿀 상품과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고유 번호를 각각 매칭하여 저장한다.
선호도 분석부(139)는 선호도 저장부(138)에 저장된 꿀 상품의 개수를 검색하고, 검색한 꿀 상품의 개수가 가장 많은 꿀 상품을 선호 꿀 상품으로 설정하고, 선호도 저장부(138)에 저장된 특징 정보의 개수를 검색하고, 검색한 특징 정보의 개수가 가장 많은 특징 정보를 선호 특징 정보로 설정한다.
선호도 분석부(139)는 선호 꿀 상품 또는 선호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고유 번호를 각각 매칭하여 선호도 저장부(138)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 상품 선택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의 색깔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의 향기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의 맛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하고, 구매자가 꿀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컨텍스트 메뉴를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꿀 상품을 선택하는 항목을 클릭할 때 뜨는 팝업 메뉴인 컨텍스트 메뉴를 형성하여 메뉴 구조가 다단 구조로 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도 3과 같은 형태의 홈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11)를 화면에 출력한다.
컨텍스트 메뉴(Context Menu)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꿀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꿀 상품 선택 메뉴(112)를 클릭할 때 뜨는 상위 분류 메뉴와 하위 분류 메뉴의 팝업 메뉴이며, 메뉴를 호출한 동작,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선택된 항목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선택 사항을 나열하여 보여준다
여기서, 꿀 상품 선택 메뉴(112)는 꿀의 색깔(112a), 꿀의 향기(112b), 꿀의 맛(112c)으로 이루어진 상위 분류 메뉴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에서는 색깔, 향기, 맛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여 꿀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꿀의 색깔을 나타내는 메뉴를 선택하면, 수백색, 담황색, 황금색, 갈색, 흑갈색을 색깔별로 하위 분류 메뉴를 표시하고, 수백색을 선택하면, 아카시아꿀의 꿀 상품이 나타나고, 담황색을 선택하면, 유채꿀, 피나무꿀, 진달래꿀, 사과꿀, 자운영꿀, 클로버꿀의 꿀 상품이 나타나고, 황금색을 선택하면, 싸리꿀, 감꿀, 밀감꿀의 꿀 상품이 나타나고, 갈색을 선택하면, 메밀꿀의 꿀 상품이 나타나고, 흑갈색을 선택하면, 밤꿀의 꿀 상품이 나타난다.
꿀의 향기를 나타내는 메뉴를 선택하면, 부드러운 향기, 독특하고 강한 향기, 짙은 향기를 향기별로 하위 분류 메뉴를 표시하고, 부드러운 향기를 선택하면, 아카시아 꿀의 꿀 상품이 나타나고, 독특하고 강한 향기를 선택하면, 밀감꿀, 피나무꿀, 산추꿀의 꿀 상품이 나타나고, 짙은 향기를 선택하면, 메밀꿀, 밤꿀의 꿀 상품이 나타난다.
꿀의 맛을 나타내는 메뉴를 선택하면, 맛이 좋은 꿀, 약간 탁한 맛이 나는 꿀, 쓴 맛이 나는 꿀을 맛별로 하위 분류 메뉴를 표시하고, 맛이 좋은 꿀을 선택하면, 아카시아 꿀의 꿀 상품이 나타나고, 싸리꿀, 사과꿀, 산딸기꿀, 클로버꿀, 자운영꿀의 꿀 상품이 나타나고, 약간 탁한 맛이 나는 꿀을 선택하면, 메밀꽃의 꿀 상품이 나타나고, 쓴 맛이 나는 꿀을 선택하면, 밤꿀의 꿀 상품이 나타낸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각각의 상위 분류 메뉴(꿀의 색깔, 꿀의 향기, 꿀의 맛)마다 각 상위 분류 메뉴에 속하는 복수의 하위 분류 메뉴를 표시하고, 각각의 하위 분류 메뉴의 선택 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꿀 상품이 표시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필요에 따라 상위 분류 메뉴와 하위 분류 메뉴를 변경하거나 추가,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하위 분류 메뉴와 꿀 상품에 고유 번호를 각각 매칭하여 할당하고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선호도 분석부(139)에서 설정한 선호 꿀 상품 또는 선호 특징 정보에 할당된 제1 고유 번호와, 하위 분류 메뉴 또는 꿀 상품에 할당된 제2 고유 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고유 번호가 있는지 판단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제1 고유 번호와 일치하는 제2 고유 번호가 있는 경우, 해당 제2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하위 분류 메뉴 또는 꿀 상품을 바 형태로 음영 처리하여 활성화한다.
음영 처리되어 활성화된 메뉴는 사람들에게 인기있거나 선호하는 꿀 상품 또는 꿀 상품에 해당하는 특징 정보를 나타내며, 구매자가 꿀 상품의 선택 시 참고할 수 있는 구매자 선호도 가이드 정보로 이용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을 통하여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와 접속하고,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에서 제공하는 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지(상위 분류 메뉴, 하위 분류 메뉴, 꿀 상품, 구매 메뉴의 기능 메뉴)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와의 통신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의 다양한 상품 선택 메뉴를 선택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상위 분류 메뉴, 하위 분류 메뉴, 꿀 상품, 구매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102)을 통해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능 메뉴에서 여러 개의 꿀 상품 중 하나의 꿀 상품을 선택하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 사용자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42)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과 호환되는 서버 관리 프로그램간 기능 연동을 위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벤트 감지부(141)는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뉴 선택 신호를 분석하여 상위 분류 메뉴, 하위 분류 메뉴, 꿀 상품 메뉴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이벤트 감지부(141)에서 판단한 상위 분류 메뉴, 하위 분류 메뉴, 꿀 상품 메뉴 중 하나의 메뉴 선택 신호를 감지하고, 메뉴에 해당하는 세부 메뉴 정보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부터 세부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위 분류 메뉴가 꿀의 색깔인 경우, 세부 메뉴 정보로 수백색, 담황색, 황금색, 갈색, 흑갈색로 팝업 메뉴로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구매 메뉴의 구매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구매 메뉴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102)을 통해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벤트 감지부(141)는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의 구매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구매 메뉴 선택 신호를 분석하여 상품 결제 처리부(143)로 전송한다.
상품 결제 처리부(143)는 구매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구매 요청된 꿀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상품 결제 처리부(143)는 꿀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전자결제 대행사(미도시)와 연동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품 결제 처리부(143)는 구매 요청된 꿀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 후, 연령, 지역, 연락처 등의 구매자 정보, 구매한 꿀 상품 정보, 상품 구매 이력 정보를 구매 이력 저장부(144)에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커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커서 추적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커서 추적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커서가 꿀 상품 메뉴가 위치하는 경우, 위치한 꿀 상품 메뉴의 요약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102)을 통해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벤트 감지부(141)는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의 꿀 상품 메뉴의 요약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요약 정보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요약 정보를 요청한 꿀 상품 메뉴를 추출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이벤트 감지부(141)에서 추출한 꿀 상품 메뉴를 수신하고, 상품 정보 저장부(136)에서 꿀 상품 메뉴에 해당하는 요약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말풍선 또는 툴팁(Tooltip)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커서가 위치한 꿀 상품 메뉴의 위에 해당 꿀 상품의 요약 텍스트를 말풍선 또는 툴팁(Tooltip)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표시한다.
빅데이터 관리부(145)는 구매 이력 저장부(144)로부터 연령, 지역, 연락처 등의 구매자 정보, 구매한 꿀 상품 정보, 상품 구매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품 구매 이력 정보를 기초로 꿀 상품별로 상품 구매 횟수를 누적하여 계산하여 저장한다.
빅데이터 관리부(145)는 구매 이력 저장부(144)로부터 연령, 지역, 연락처 등의 구매자 정보, 구매한 꿀 상품 정보, 상품 구매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연령별로 구매한 꿀 상품 정보를 누적하여 분석하며, 연령별로 가장 많이 구매한 꿀 상품을 계산한다. 빅데이터 관리부(145)는 연령별로 선호하는 꿀 상품을 분석하여 연령별 선호 꿀 상품을 순위별로 계산하여 저장한다.
빅데이터 관리부(145)는 구매 이력 저장부(144)로부터 연령, 지역, 연락처 등의 구매자 정보, 구매한 꿀 상품 정보, 상품 구매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지역별로 구매한 꿀 상품 정보를 누적하여 분석하며, 지역별로 가장 많이 구매한 꿀 상품을 계산한다. 빅데이터 관리부(145)는 지역별로 선호하는 꿀 상품을 분석하여 지역별 선호 꿀 상품을 순위별로 계산하여 저장한다.
빅데이터 관리부(145)는 지역별로 꿀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판매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매장 정보는 매장의 위치 정보, 연락처, 판매되는 꿀 상품과, 주력 꿀 상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사용자 맞춤형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페이지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의 우선 순위에 따라 페이지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모듈로, 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꿀 상품의 노출 배치를 상품 추천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맞춤형 페이지 메뉴(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맞춤형 페이지 메뉴(113)는 판매순위(114), 연령별(115), 지역별(116), 사용자 선택(117), 상품 추천 지수(118)의 상위 분류 메뉴를 포함한다.
판매순위(114), 연령별(115), 지역별(116), 사용자 선택(117), 상품 추천 지수(118)는 상품 추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능 메뉴이다.
사용자 단말기(110)에서는 판매순위(114), 연령별(115), 지역별(116), 사용자 선택(117), 상품 추천 지수(118)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따라 상품 추천의 우선순위에 따라 꿀 상품의 노출 배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맞춤형 페이지 메뉴(113)의 판매순위 메뉴(114)를 선택하면, 선택된 판매순위 메뉴(114)의 메뉴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102)을 통해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빅데이터 관리부(145)는 무선 통신부(142)로부터 판매순위 메뉴(115)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구매 이력 저장부(144)에서 구매한 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꿀 상품별로 판매액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된 판매액이 많은 순서로 꿀 상품을 내림차순으로 정렬 및 저장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같이,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빅데이터 관리부(145)에서 판매순위가 높은 꿀 상품(우선순위)을 기설정된 상위 순번에 따라 꿀 상품을 추출하고, 추출한 꿀 상품이 상위 노출되도록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생성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판매순위가 높은 꿀 상품을 상위 노출한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9의 (a)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부터 판매순위가 높은 꿀 상품 정보와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맞춤형 페이지 메뉴(113)의 연령별 메뉴(115)를 선택하면, 선택된 연령별 메뉴(115)의 메뉴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102)을 통해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메뉴 선택 신호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입력된 구매자가 원하는 연령 정보를 포함한다.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무선 통신부(142)로부터 연령별 메뉴(115)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빅데이터 관리부(145)로부터 연령별 선호 꿀 상품을 순위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같이,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연령별 메뉴(115)의 메뉴 선택 신호에서 연령 정보를 추출하고, 연령 정보(예를 들어 20대 등)를 기초로 연령별 선호 꿀 상품을 추출하며, 순위가 높은 연령별 선호 꿀 상품(우선순위)을 기설정된 상위 순번에 따라 꿀 상품을 추출하며, 추출한 꿀 상품이 상위 노출되도록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생성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순위가 높은 연령별 선호 꿀 상품을 상위 노출한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9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부터 순위가 높은 연령별 선호 꿀 상품 정보와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맞춤형 페이지 메뉴(113)의 지역별 메뉴(116)를 선택하면, 선택된 지역별 메뉴(116)의 메뉴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102)을 통해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메뉴 선택 신호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입력된 구매자가 원하는 지역 정보,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무선 통신부(142)로부터 지역별 메뉴(116)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빅데이터 관리부(145)로부터 지역별 선호 꿀 상품을 순위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같이,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지역별 메뉴(116)의 메뉴 선택 신호에서 지역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지역 정보와 위치 정보(예를 들어, 서울 등)를 기초로 지역별 선호 꿀 상품을 추출하며, 순위가 높은 지역별 선호 꿀 상품(우선순위)을 기설정된 상위 순번에 따라 꿀 상품을 추출하며, 추출한 꿀 상품이 상위 노출되도록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생성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순위가 높은 지역별 선호 꿀 상품을 상위 노출한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10의 (a)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부터 순위가 높은 지역별 선호 꿀 상품 정보와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맞춤형 페이지 메뉴(113)의 사용자 선택 메뉴(117)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용자 선택 메뉴(117)의 메뉴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102)을 통해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메뉴 선택 신호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입력된 구매자가 원하는 연령 정보, 위치 정보, 판매순위 정보 중 2개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연령 정보, 지역 정보와, 연령 정보, 판매순위 정보와, 지역 정보, 판매순위 정보의 3가지 케이스가 있다.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무선 통신부(142)로부터 사용자 선택 메뉴(117)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빅데이터 관리부(145)로부터 지역별 선호 꿀 상품을 순위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연령별 선호 꿀 상품을 순위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수신하며, 누적된 판매액이 많은 순서로 꿀 상품을 정렬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사용자 선택 메뉴(116)의 메뉴 선택 신호에서 연령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연령 정보를 기초로 연령별 선호 꿀 상품을 추출하고, 위치 정보를 기초로 지역별 선호 꿀 상품을 추출한다.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순위가 높은 연령별 선호 꿀 상품(우선순위)을 기설정된 상위 순번에 따라 꿀 상품을 추출하며, 순위가 높은 지역별 선호 꿀 상품(우선순위)을 기설정된 상위 순번에 따라 꿀 상품을 추출한다.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지역별 순위와 연령별 순위에 따라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하기의 수학식 1를 이용하여 상품 순위를 계산하고, 계산한 상품 순위가 높은 순서로 기설정된 상위 순위 개수만큼의 꿀 상품을 추출하고, 추출한 꿀 상품에 관련된 상품 정보가 상위 노출되도록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생성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꿀 상품을 상위 노출한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부터 꿀 상품 정보와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20대에서 도 9의 (b)에서 1번(아카시아꿀), 2번(유채꿀), 3번(메밀꿀)인 경우, 1번 1.8, 2번 1.6, 3번 1.4, 나머지 꿀을 1로 제1 가중치를 설정하고, 서울에서 도 10의 (a)에서 1번(아카시아꿀), 2번(밤꿀), 3번(사과꿀)인 경우, 1번 1.8, 2번 1.6, 3번 1.4, 나머지 꿀을 1로 제2 가중치를 설정한다.
또한, 동일한 원리로 판매순위도 1번 1.8, 2번 1.6, 3번 1.4, 나머지 꿀을 1로 가중치를 설정한다.
Figure 112022106997998-pat00001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지역 정보와 연령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맞춤형 웹페이지를 생성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연령 정보, 판매순위 정보와, 지역 정보, 판매순위 정보도 동일한 원리로 상품 순위를 계산하여 맞춤형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맞춤형 페이지 메뉴(113)의 상품 추천 지수 메뉴(118)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 추천 지수 메뉴(118)의 메뉴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102)을 통해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무선 통신부(142)로부터 상품 추천 지수 메뉴(116)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품 추천부(146)에서 계산한 상품 추천 지수가 높은 순서로 기설정된 상위 순위 개수만큼의 꿀 상품을 수신한다.
상품 추천 지수의 계산은 이하의 상품 추천부(146)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같이,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148)는 상품 추천 지수가 높은 선호 꿀 상품(우선순위)을 기설정된 상위 순번에 따라 꿀 상품을 추출하며, 추출한 꿀 상품이 상위 노출되도록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생성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상품 추천 지수의 순위가 높은 꿀 상품이 상위 노출된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10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부터 상품 추천 지수의 순위가 높은 꿀 상품와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횟수, 연령별, 지역별에 따라 도출된 가중치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품 추천부(146)는 도 11의 (a)와 같이, 빅데이터 관리부(145)로부터 수신한 꿀 상품의 상품 구매 횟수에 따라 제3 가중치를 도출한다.
상품 추천부(146)는 도 11의 (b)와 같이, 빅데이터 관리부(145)로부터 수신한 연령별 선호 꿀 상품을 기설정된 상위 순위로 정렬하고, 구매자 연령별로 꿀 상품에 따라 제4 가중치를 도출한다.
상품 추천부(146)는 도 11의 (c)와 같이, 빅데이터 관리부(145)로부터 수신한 지역별 선호 꿀 상품을 기설정된 상위 순위로 정렬하고, 구매 지역별로 꿀 상품에 따라 제5 가중치를 도출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꿀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구매자 연령과 구매 지역을 포함한 구매자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망(102)을 통해 상품 추천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상품 추천부(146)는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의 구매자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자 정보에서 구매자 연령과 구매 지역을 기초로 제2 가중치와 제3 가중치를 계산한다.
상품 추천부(146)는 계산된 제3 가중치, 제4 가중치, 제5 가중치를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상품 추천 지수(Product Suggestion Index, PSI)를 계산한다.
Figure 112022106997998-pat00002
여기서, a1은 상품 구매 횟수에 따른 도출된 제3 가중치, a2는 구매자 연령별로 꿀 상품에 따라 도출된 제4 가중치, a3은 구매 지역별로 꿀 상품에 따라 도출된 제5 가중치를 나타낸다.
상품 추천부(146)는 계산한 상품 추천 지수가 높은 순서로 기설정된 상위 순위 개수만큼의 꿀 상품을 추출하고, 추출한 꿀 상품에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제어부(137)로부터 수신한 꿀 상품에 관련된 상품 정보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에 위치한 매장 정보를 지도 데이터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37)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빅데이터 관리부(145)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각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37)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와, 각각의 매장 정보의 위치 정보 간의 거리 정보를 계산한다.
지도 데이터 생성부(147)는 지역별로 수집된 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지리 정보가 관리되는 단위 지역별, 예를 들어 행정구역상 구 또는 읍 별 좌표 정보와 공간 정보를 포함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지도 데이터 생성부(147)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요청받게 되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 영역 내에 지도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어부(137)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매장 정보의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기(110)와 매장 정보의 거리 정보를 수신한다.
지도 데이터 생성부(147)는 추출한 지도 데이터 상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와, 매장 정보의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기(110)와 매장 정보의 거리 정보를 표시하여 제어부(137)로 전송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제어부(137)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와, 매장 정보의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기(110)와 매장 정보의 거리 정보를 표시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매장마다 연락처, 판매되는 꿀 상품의 매장 정보를 말풍선 또는 툴팁(Tooltip)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생성한 지도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꿀 상품의 제조 방법은 초진공 상태를 이용하여 벌꿀을 35도 이하 온도로만 농축하여 영양 파괴없이 자연 그대로 성분을 담은 초진공 농축기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2: 통신망
110: 사용자 단말기 111: 웹페이지
112: 꿀 상품 선택 메뉴 113: 맞춤형 페이지
120: SNS 서버 130: 상품 추천 관리 서버
131: 입력부 132: 데이터 수집부
133: 데이터베이스부 134: 텍스트 저장부
135: 형태소 분석부 136: 상품 정보 저장부
137: 제어부 138: 선호도 저장부
139: 선호도 분석부 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141: 이벤트 감지부 142: 무선 통신부
143: 상품 결제 처리부 144: 구매 이력 저장부
145: 빅데이터 관리부 146: 상품 추천부
147: 지도 데이터 생성부 148: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

Claims (5)

  1. 상품 추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품 구매 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상품을 구매하는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로 표시하고, 다양한 상품의 종류를 입력받아 구매 처리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앱을 통해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 상에서 상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상품 추천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모듈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상품의 노출 배치를 상품 추천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맞춤형 페이지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상품 구매 서비스 앱에서 상기 맞춤형 페이지 메뉴의 판매순위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판매순위 메뉴의 메뉴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품 추천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품 추천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구매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구매 요청된 꿀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상품 결제 처리부;
    상기 구매 요청된 꿀 상품에 대한 결제가 처리된 후, 연령, 지역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구매자 정보, 구매한 꿀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 이력 저장부;
    상기 판매순위 메뉴의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매 이력 저장부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별로 판매액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누적된 판매액이 많은 순서로 상품을 내림차순으로 정렬 및 저장하는 빅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에서 판매순위가 높은 상품(우선순위)을 기설정된 상위 순번에 따라 상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상품이 상위 노출되도록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맞춤형 웹페이지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꿀 상품 선택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꿀 상품 선택 메뉴는 꿀의 색깔, 꿀의 향기, 꿀의 맛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상위 분류 메뉴와, 상기 각각의 상위 분류 메뉴는 색깔별, 향기별, 맛별로 꿀의 특징을 설명하는 특징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하위 분류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각 하위 분류 메뉴의 선택 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최종 꿀 상품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하위 분류 메뉴 또는 상기 최종 꿀 상품 중에서 바 형태로 음영 처리하여 활성화하여 구매자 선호도를 가이드하는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고,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연령, 지역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구매자 정보, 상기 구매한 꿀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품별 상품 구매 횟수, 연령별 선호 꿀 상품 순위 및 지역별 선호 꿀 상품 순위를 도출하고,
    상기 상품 추천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별 상품 구매 횟수를 기초로 제1 가중치를 도출하고, 상기 연령별 선호 꿀 상품 순위 및 상기 구매자 정보에 포함된 연령을 기초로 제2 가중치를 도출하고, 상기 지역별 선호 꿀 상품 순위 및 상기 구매자 정보에 포함된 지역을 기초로 제3 가중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가중치, 상기 제2 가중치 및 상기 제3 가중치를 기초로 상품 추천 지수를 계산하는 상품 추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꿀 상품의 상품 추천 지수는 다음의 수학식을 기초로 계산되고,
    Figure 112022125868749-pat00015
    ,
    상기 PSI는 상기 특정 꿀 상품의 상기 상품 추천 지수를 나타내고, 상기 a1은 상기 특정 꿀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a2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a3는 상기 특정 꿀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제3 가중치를 나타내고,
    상기 상품 추천부는 상기 상품 추천 지수가 높은 순서에 따라 기설정된 상위 개수만큼의 꿀 상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꿀 상품에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30222A 2022-10-12 2022-10-12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75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222A KR102475965B1 (ko) 2022-10-12 2022-10-12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222A KR102475965B1 (ko) 2022-10-12 2022-10-12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965B1 true KR102475965B1 (ko) 2022-12-09

Family

ID=8444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222A KR102475965B1 (ko) 2022-10-12 2022-10-12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9981A (zh) * 2023-07-23 2023-08-22 武汉商学院 基于用户行为的智慧社区推荐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449A (ko) *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44943B1 (ko) 2018-06-18 2020-08-14 유승상 오프라인 매장의 잠재고객을 위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상품추천방법
KR20220094604A (ko) * 2020-12-29 2022-07-06 농업회사법인 허니엣비 주식회사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방법
KR20220116719A (ko) * 2021-02-15 2022-08-23 네오네시아 주식회사 모바일 메신저에 게시된 상품판매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449A (ko) *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44943B1 (ko) 2018-06-18 2020-08-14 유승상 오프라인 매장의 잠재고객을 위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상품추천방법
KR20220094604A (ko) * 2020-12-29 2022-07-06 농업회사법인 허니엣비 주식회사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방법
KR20220116719A (ko) * 2021-02-15 2022-08-23 네오네시아 주식회사 모바일 메신저에 게시된 상품판매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9981A (zh) * 2023-07-23 2023-08-22 武汉商学院 基于用户行为的智慧社区推荐系统及方法
CN116629981B (zh) * 2023-07-23 2023-10-13 武汉商学院 基于用户行为的智慧社区推荐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84455B (zh) 一种物品推荐方法及推荐设备
KR102147649B1 (ko)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532479A (zh) 一种信息推荐方法、装置及设备
KR102227552B1 (ko) 상황인지 알고리즘 기반 리뷰 카테고리를 이용한 음식점 노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8841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hung et al. Interactive design recommendation using sensor based smart wear and weather WebBot
KR102252188B1 (ko) 사용자 구매 기준을 반영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1068A (ko) 사용자의 체형 및 구매 이력을 이용하여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180349981A1 (en) Methods and systems of discovery of products in e-commerce
US11694218B2 (en) Computer technology for automated pricing guidance
JP2002318814A (ja) 商品検索方法、商品検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44965B1 (ko) 과일추천서버 및 방법
JP697620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10007715A (ko) 감성 지수를 이용한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378770A (zh) 一种电商运营选款推荐的方法及装置
KR102475965B1 (ko)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2488781A (zh) 搜索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230034B1 (ko) 취향 아이디 코드의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그리고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Razzaq et al. An automatic determining food security status: machine learning based analysis of household survey data
JP694551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90055963A (ko) 키워드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Herbig et al. Design guidelines for assistance systems supporting sustainable purchase decisions
KR102132931B1 (ko) 사용자 맞춤식 가치 정보 검색 및 소셜 네트워크 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5964B1 (ko)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2951374B (zh) 数据分析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