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900B1 -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900B1
KR102475900B1 KR1020210170293A KR20210170293A KR102475900B1 KR 102475900 B1 KR102475900 B1 KR 102475900B1 KR 1020210170293 A KR1020210170293 A KR 1020210170293A KR 20210170293 A KR20210170293 A KR 20210170293A KR 102475900 B1 KR102475900 B1 KR 102475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line
water
strainer
wate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용
이창진
서희수
박동희
안태욱
박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이앤티
Priority to KR102021017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로 공급되는 평형수를 연속적으로 여과하여 공급할 수 있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질 분석 장치(Q)로 투입되는 선박 평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평형수가 공급되는 메인라인(11)에 한 쌍으로 연결되고, 제 1밸브모듈(V1)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제 1, 2여과라인(10)(10')과,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 상에 설치되어 평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비되는 제 1, 2스트레이너(12)(12')와,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 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수질분석장치(Q)에 연결되는 인렛라인(20)과, 상기 인렛라인(20)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 1, 2스트레이너(12)(12')를 역세척하는 역세척수라인(30) 및 스트레이너 역세척에 사용된 역세척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드레인라인(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Filtering system for ballast water quality analysis device}
본 발명은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로 공급되는 평형수를 연속적으로 여과하여 공급할 수 있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상 운송용 선박은 균형, 안전성 및 조종 성능 향상 등을 위하여 밸러스트 수(평형수; ballast water)를 선내의 밸러스트 탱크로 유입하여 밸러스트 상태로 항해를 하게 되는바, 여기서 밸러스트 수는 밸러스팅 작업(ballasting operation)을 통해 한 항구에서 채워져서 다른 곳으로 이송되고, 디밸러스팅 작업(deballasting operation)을 통해 새로운 항구 내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타지에서 유입되어 온 밸러스트 수에 포함된 해양 생물 및 병원균의 방출은 새로운 환경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항구에서도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위험할 수 있다.
즉, 비-천연적인 해양 생물을 신규 생태계로 도입시키면, 신규 종에 대해 자연적인 방어체계를 지니고 있지 않을 수 있는 천연 식물군 및 동물군에게 파괴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또한, 콜레라와 같은 해로운 세균성 병원균이 원래의 항구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병원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밸러스트 탱크 내에서 증식되어, 이들이 방출되는 영역에서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해양 생물 및 병원균에 의해 제기되는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밸러스트 수를 살균 처리하는 방식의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를 사용하고 있고,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밸러스트 수가 국제해사기구(IMO :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기준치에 부합하는지 검사하기 위한 측정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밸러스트 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해 수질 측정 정밀도에 저하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741139호에서, 선박의 밸러스트수가 유출입 될 수 있는 유입부와 유출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하는 자동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세척부는 여과장치 하부에 위치하며 필터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흡입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흡입부의 일측을 수용하여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역세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구동부의 구동축을 중심으로 동심원 경로를 따라 구성되고 여과와 역세척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필터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필터부의 동심원 경로 상의 각각의 필터 엘리먼트와 연통되어 역세수를 받아들이는 하나 이상의 플러싱암과,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부의 회전력을 플러싱암으로 전달하는 플러싱바디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10-1842057호에서, 내부에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통형의 필터부가 구비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체 유입관; 상기 필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에 의하여 여과된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 배출관; 및 상기 필터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세척 노즐 및 상기 역세척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역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는 역세척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필터를 이용하여 밸러스트수를 효과적으로 여과하려는 것이나, 필터의 막힘이 발생 시, 필터 세척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수질 측정이 불가능하고, 특히, 미생물, 해파리 같은 물질을 포함하는 점성이 강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해역에서 필터 세척에 따른 시간이 지연되면서 선박 운항에 차질이 발생되는 폐단이 따랐다.
KR 10-1741139B1 (2017.05.23.) KR 10-1842057B1 (2018.03.26.)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한 쌍의 스트레이너 중 어느 하나가 평형수를 여과하는 중에 다른 하나의 스트레이너는 역세척수라인을 타고 드레인되는 평형수에 의해 역세척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수질분석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개선된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되, 수질 분석 장치(Q)로 투입되는 선박 평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평형수가 공급되는 메인라인(11)에 한 쌍으로 연결되고, 제 1밸브모듈(V1)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제 1, 2여과라인(10)(10');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 상에 설치되어 평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비되는 제 1, 2스트레이너(12)(12');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 출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 2밸브모듈(V2)에 의해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수질분석장치(Q)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인렛라인(20); 상기 인렛라인(20)에 일단이 연결되어, 유량조절밸브(31)에 의해 평형수 일부를 드레인하고, 다른 일단은 제 1, 2스트레이너(12)(12') 출구 측과 대응하는 제 1, 2여과라인(10)(10') 상에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31)에서 드레인된 평형수를 제 3밸브모듈(V3)에 의해 제 1, 2스트레이너(12)(12') 중 어느 일측으로 역류시켜 역세척하도록 구비되는 역세척수라인(30); 및 상기 제 1, 2스트레이너(12)(12') 입구 측과 대응하는 제 1, 2여과라인(10)(10')에 연결되고, 제 4밸브모듈(V4)에 의해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스트레이너 역세척에 사용된 역세척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드레인라인(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4밸브모듈(V1)(V2)(V3)(V4)은 제 1, 2스트레이너(12)(12') 중 어느 하나가 평형수를 여과하는 중에 다른 하나의 스트레이너는 역세척수라인(30)을 타고 드레인되는 평형수에 의해 역세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밸브(31)에 의해 드레인되는 평형수 양은 인렛라인(20)을 통하여 이송되는 평형수 전체 양 기준 40~6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 3, 4밸브모듈(V1)(V2)(V3)(V4)은, 3-way 밸브로 적용하여 평형수 흐름을 제어거나, 한 쌍의 2-way 밸브를 1조의 밸브모듈로 구성로 구성하여 제 1, 2여과라인을 타고 흐르는 해수의 흐름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 3, 4밸브모듈(V1)(V2)(V3)(V4)에 의해 제 1, 2스트레이너(12)(12')가 교대로 역세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1스트레이너(12)를 역세척시, 상기 제 1, 2밸브모듈(V1)(V2)의 작동에 의해 제 2여과라인(10')이 활성화되면, 평형수가 제 2스트레이너(12')를 거쳐 여과된 상태로 인렛라인(20)을 타고 수질분석장치(Q)로 공급되고, 인렛라인(20)을 타고 이송되는 평형수 중 일부는 역세척수라인(30)을 타고 제 3밸브모듈(V3) 측으로 이송되며, 제 3, 4밸브모듈(V3)(V4)의 작동에 의해 평형수가 제 1스트레이너(12) 측으로 역류되어 역세척과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2스트레이너(12')를 역세척시, 상기 제 1, 2밸브모듈(V1)(V2)에 의해 제 1여과라인(10)이 활성화되면, 평형수가 제 1스트레이너(12)를 거쳐 여과된 상태로 인렛라인(20)을 타고 수질분석장치(Q)로 공급되고, 인렛라인(20)을 타고 이송되는 평형수 중 일부는 역세척수라인(30)을 타고 제 3밸브모듈(V3) 측으로 이송되며, 제 3, 4밸브모듈(V3)(V4)의 작동에 의해 평형수가 제 2스트레이너(12') 측으로 역류되어 역세척 과정을 수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한 쌍의 스트레이너 중 어느 하나가 평형수를 여과하는 중에 다른 하나의 스트레이너는 역세척수라인을 타고 드레인되는 평형수에 의해 역세척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수질분석이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별도의 세척장치가 생략되어 장비의 간소화는 물론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여과된 평형수를 역세척에 이용하므로 세척 중 스트레이너의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의 제 1, 2, 3, 4밸브모듈을 3-way 밸브로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의 제 1, 2, 3, 4밸브모듈을 볼밸브로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상, 하, 전, 후" 등의 방향을 타나내는 표현들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수질 분석 장치로 투입되는 선박 평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한 쌍의 스트레이너 중 어느 하나가 평형수를 여과하는 중에 다른 하나의 스트레이너는 역세척수라인을 타고 드레인되는 평형수에 의해 역세척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수질분석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크게 제 1, 2여과라인(10)(10'), 제 1, 2스트레이너(12)(12'), 인렛라인(20), 역세척수라인(30), 드레인라인(40)을 포함하는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 1, 2여과라인(10)(10')은 평형수가 공급되는 메인라인(11)에 한 쌍으로 연결되고, 제 1밸브모듈(V1)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메인라인(11)을 통하여 공급되는 선박 평형수가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에는 제 1밸브모듈(V1)이 설치되어 어느 하나가 선택적 개방됨과 동시에 다른 하나는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이송되는 평형수는 후술하는 제 1, 2스트레이너(12)(12') 중 어느 하나를 거쳐 여과된 상태로 인렛라인(20)을 타고 수질분석장치(Q) 측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2스트레이너(12)(12')는 평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질분석장치(Q)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 상에 각각 설치되어 평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킨다.
상기 제 1, 2스트레이너(12)(12')는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이송되는 평형수를 여과하도록 구비되는바, 어느 하나의 스트레이너가 여과기능을 수행 시, 다른 하나의 스트레이너는 역세척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트레이너는 제 1, 2여과라인(10)(10') 상에 여과망을 경사각으로 배치하여 여과기능을 수행하고, 후술하는 평형수 역류 이송에 의해 주기적으로 역세척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렛라인(20)은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 출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 2밸브모듈(V2)에 의해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수질분석장치(Q)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인렛라인(20)은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공급되는 여과된 평형수를 수질분석장치(Q)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여과라인은 제 2밸브모듈(V2)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인렛라인(20) 상에는 선박 내로 유입되는 평형수를 샘플링 하여 수질분석장치(Q) 측으로 정량, 정압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정량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수라인(30)은 상기 인렛라인(20)에 일단이 연결되어, 유량조절밸브(31)에 의해 평형수 일부를 드레인하고, 다른 일단은 제 1, 2스트레이너(12)(12') 출구 측과 대응하는 제 1, 2여과라인(10)(10') 상에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31)에서 드레인된 평형수를 제 3밸브모듈(V3)에 의해 제 1, 2스트레이너(12)(12') 중 어느 일측으로 역류시켜 역세척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역세척수라인(30)은 제 3밸브모듈(V3)에 의해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바, 이때 역세척수라인(30)은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수질분석장치(Q)로 평형수를 공급하지 않는 여과라인과 연통되도록 제 3밸브모듈(V3) 작동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밸브(31)에 의해 드레인되는 평형수 양은 인렛라인(20)을 통하여 이송되는 평형수 전체 양 기준 40~60%로 설정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31)에 의해 드레인되는 평형수 양이 인렛라인(20)을 통하여 이송되는 평형수 전체 양 기준 40% 미만이면 드레인 압력이 저하되어 스트레이너 역세척 효율이 저하되고, 60%를 초과하면 수질분석장치(Q) 측으로 공급되는 평행수 압력이 저하되어 수질검사 정밀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라인(40)은 상기 제 1, 2스트레이너(12)(12') 입구 측과 대응하는 제 1, 2여과라인(10)(10')에 연결되고, 제 4밸브모듈(V4)에 의해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스트레이너 역세척에 사용된 역세척수를 선박 내에 별도로 설치되는 드레인 탱크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4밸브모듈(V4)은 제 3밸브모듈(V3)과 연계 작동되어, 역세척수라인(30)이 연결되는 어느 일측 여과라인과 드레인라인(40)이 연통하게 된다.
역세척수라인(30)을 통하여 역류(드레인)되어 제 1, 2스트레이너(12)(12') 중 어느 하나를 역세척 후 드레인라인(40)으로 이동되는 평형수는 바로 해양으로 배출되지 않고, 평형수 처리 시스템이 설치되는 기관실 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드레인 탱크로 수집된다.
이처럼, 상기 제 1, 2, 3, 4밸브모듈(V1)(V2)(V3)(V4)은 제 1, 2스트레이너(12)(12') 중 어느 하나가 평형수를 여과하는 중에 다른 하나의 스트레이너는 역세척수라인(30)을 타고 드레인되는 평형수에 의해 역세척되도록 제어된다.
도 2는 제 1, 2, 3, 4밸브모듈(V1)(V2)(V3)(V4)이 전기, 유압 또는 공압을 포함하는 동력원에 의해 작동되는 3-way 밸브에 의해 자동 제어되도록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상기 제 1, 2, 3, 4밸브모듈(V1)(V2)(V3)(V4)이 각각 한 쌍의 볼밸브 조합으로 적용되어 수동조작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밸브모듈은 액츄에이터로 작동되는 3-way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고, 수동 또는 액츄에이터로 작동되는 한 쌍의 2-way 밸브를 1조의 밸브모듈로 구성하여 제 1, 2여과라인을 타고 흐르는 해수의 흐름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지게 조작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2, 3, 4밸브모듈(V1)(V2)(V3)(V4) 제어에 의한 평형수 여과 및 제 1, 2스트레이너(12)(12')가 교대로 역세척되는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상기 1스트레이너(12)의 역세척 과정을 나타낸 도 2 (b) 및 도 3 (b)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2밸브모듈(V1)(V2)의 작동에 의해 제 2여과라인(10')이 활성화되면, 평형수가 제 2스트레이너(12')를 거쳐 여과된 상태로 인렛라인(20)을 타고 수질분석장치(Q)로 공급되고, 인렛라인(20)을 타고 이송되는 평형수 중 일부는 역세척수라인(30)을 타고 제 3밸브모듈(V3) 측으로 이송되며, 제 3, 4밸브모듈(V3)(V4)의 작동에 의해 평형수가 제 1스트레이너(12) 측으로 역류되어 역세척과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2스트레이너(12')를 역세척 시에는 도 2 (a) 및 도 3 (a)처럼, 상기 제 1, 2밸브모듈(V1)(V2)에 의해 제 1여과라인(10)이 활성화되면, 평형수가 제 1스트레이너(12)를 거쳐 여과된 상태로 인렛라인(20)을 타고 수질분석장치(Q)로 공급되고, 인렛라인(20)을 타고 이송되는 평형수 중 일부는 역세척수라인(30)을 타고 제 3밸브모듈(V3) 측으로 이송되며, 제 3, 4밸브모듈(V3)(V4)의 작동에 의해 평형수가 제 2스트레이너(12') 측으로 역류되어 역세척 과정을 수행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스트레이너를 이용하여 평형수를 여과한 상태로 수질분석장치(Q)로 공급함과 동시에 수질분석장치(Q)로 공급되는 평형수 중 일부를 역류시켜 다른 하나의 스트레이너를 역세척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수질분석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별도의 세척장치가 생략되어 장비가 간소화되며, 여과된 평형수를 역세척에 이용하므로 세척 중 스트레이너의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10': 제 1, 2여과라인
11: 메인라인 12, 12': 제 1, 2스트레이너
20: 인렛라인
30: 역세척수라인 31: 유량조절밸브
40: 드레인라인
Q: 수질 분석 장치
V1, V2, V3, V4: 제 1, 2, 3, 4밸브모듈

Claims (3)

  1. 수질 분석 장치(Q)로 투입되는 선박 평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평형수가 공급되는 메인라인(11)에 한 쌍으로 연결되고, 제 1밸브모듈(V1)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제 1, 2여과라인(10)(10');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 상에 설치되어 평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비되는 제 1, 2스트레이너(12)(12');
    상기 제 1, 2여과라인(10)(10') 출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 2밸브모듈(V2)에 의해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수질분석장치(Q)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인렛라인(20);
    상기 인렛라인(20)에 일단이 연결되어, 유량조절밸브(31)에 의해 평형수 일부를 드레인하고, 다른 일단은 제 1, 2스트레이너(12)(12') 출구 측과 대응하는 제 1, 2여과라인(10)(10') 상에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31)에서 드레인된 평형수를 제 3밸브모듈(V3)에 의해 제 1, 2스트레이너(12)(12') 중 어느 일측으로 역류시켜 역세척하도록 구비되는 역세척수라인(30); 및
    상기 제 1, 2스트레이너(12)(12') 입구 측과 대응하는 제 1, 2여과라인(10)(10')에 연결되고, 제 4밸브모듈(V4)에 의해 제 1, 2여과라인(10)(1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스트레이너 역세척에 사용된 역세척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드레인라인(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4밸브모듈(V1)(V2)(V3)(V4)은 제 1, 2스트레이너(12)(12') 중 어느 하나가 평형수를 여과하는 중에 다른 하나의 스트레이너는 역세척수라인(30)을 타고 드레인되는 평형수에 의해 역세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4밸브모듈(V1)(V2)(V3)(V4)은, 3-way 밸브로 적용하여 평형수 흐름을 제어거나, 한 쌍의 2-way 밸브를 1조의 밸브모듈로 구성로 구성하여 제 1, 2여과라인을 타고 흐르는 해수의 흐름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4밸브모듈(V1)(V2)(V3)(V4)에 의해 제 1, 2스트레이너(12)(12')가 교대로 역세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1스트레이너(12)를 역세척 시, 상기 제 1, 2밸브모듈(V1)(V2)의 작동에 의해 제 2여과라인(10')이 활성화되면, 평형수가 제 2스트레이너(12')를 거쳐 여과된 상태로 인렛라인(20)을 타고 수질분석장치(Q)로 공급되고, 인렛라인(20)을 타고 이송되는 평형수 중 일부는 역세척수라인(30)을 타고 제 3밸브모듈(V3) 측으로 이송되며, 제 3, 4밸브모듈(V3)(V4)의 작동에 의해 평형수가 제 1스트레이너(12) 측으로 역류되어 역세척과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2스트레이너(12')를 역세척 시, 상기 제 1, 2밸브모듈(V1)(V2)에 의해 제 1여과라인(10)이 활성화되면, 평형수가 제 1스트레이너(12)를 거쳐 여과된 상태로 인렛라인(20)을 타고 수질분석장치(Q)로 공급되고, 인렛라인(20)을 타고 이송되는 평형수 중 일부는 역세척수라인(30)을 타고 제 3밸브모듈(V3) 측으로 이송되며, 제 3, 4밸브모듈(V3)(V4)의 작동에 의해 평형수가 제 2스트레이너(12') 측으로 역류되어 역세척 과정을 수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KR1020210170293A 2021-12-01 2021-12-01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KR102475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293A KR102475900B1 (ko) 2021-12-01 2021-12-01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293A KR102475900B1 (ko) 2021-12-01 2021-12-01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900B1 true KR102475900B1 (ko) 2022-12-08

Family

ID=8443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293A KR102475900B1 (ko) 2021-12-01 2021-12-01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9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673A (ko) * 2010-06-07 2011-12-14 (주)월드이엔지 선박 밸러스트 수 자동 포집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95806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필터링된 해수를 이용한 필터 세척 시스템
KR101741139B1 (ko) 2013-02-25 2017-05-30 주식회사 파나시아 고밀도 필터 구조의 고효율 캔들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1842057B1 (ko) 2017-04-12 2018-03-26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및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용 필터 구조체
KR20210006805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신우이앤티 선박 평형수의 수질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673A (ko) * 2010-06-07 2011-12-14 (주)월드이엔지 선박 밸러스트 수 자동 포집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95806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필터링된 해수를 이용한 필터 세척 시스템
KR101741139B1 (ko) 2013-02-25 2017-05-30 주식회사 파나시아 고밀도 필터 구조의 고효율 캔들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1842057B1 (ko) 2017-04-12 2018-03-26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및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용 필터 구조체
KR20210006805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신우이앤티 선박 평형수의 수질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4182C (en) Water treatment plant
JP5923664B2 (ja) 同時逆洗浄を自動制御するマルチケージ型バラスト水濾過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5189549B2 (ja)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WO2014060473A1 (en) Ballast water filtration
JP4882164B2 (ja) 膜濾過装置
KR101541641B1 (ko) 역세척 필터 장치
KR102475900B1 (ko) 선박 평형수 수질 분석 장치용 필터링 시스템
JP2007136273A (ja) 加圧型膜ろ過装置
KR20120012594A (ko) 세척기능을 갖는 여과기
WO2009136448A1 (ja) 水回路の洗浄機構及びこの洗浄機構に用いられる濾過器
KR101042967B1 (ko) 여과층 제어형 호소여과장치
CN205500944U (zh) 海水淡化装置
CN205500859U (zh) 净水系统
CN207130054U (zh) 一种海水过滤系统
KR20100033109A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939559B1 (ko) 수족관용 정수 순환시스템
KR101306596B1 (ko)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KR20190078762A (ko) 정수기
KR102168831B1 (ko) 폐액 자동배출 여과장치
WO2016140009A1 (ja) バラスト水の製造方法及び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JP6664673B1 (ja) 濾過システム
JP6699346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200383104Y1 (ko)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CN220078717U (zh) 一种超滤串并联纳滤与反渗透膜集成分离试验装置
JP7251565B2 (ja) 船舶用バラスト水処理装置及び船舶用バラスト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