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865B1 -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865B1
KR102475865B1 KR1020210078004A KR20210078004A KR102475865B1 KR 102475865 B1 KR102475865 B1 KR 102475865B1 KR 1020210078004 A KR1020210078004 A KR 1020210078004A KR 20210078004 A KR20210078004 A KR 20210078004A KR 102475865 B1 KR102475865 B1 KR 10247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ed switchgear
gas insulated
movable electrode
protection device
arc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식
김인성
이제섭
홍희세
백승국
Original Assignee
이엔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엔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엔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02B13/065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through monitoring changes of gas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및 내아크 보호장치가 결합된 가스절연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내아크 보호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탱크, 구동전류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톰슨코일, 상기 톰슨코일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서로 반대인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가동전극, 상기 가동전극이 투입되어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 사고전류의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고정전극, 및 상기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전극의 투입 시 상기 사고전류를 상기 탱크로 지락시키는 단락/지락유도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ARC PROTECTION DEVICE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또는 기체절연 개폐장치 내아크 사고의 발생을 감지하여 개폐장치 내 차단기에 개방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아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 전력계통에서 사용되는 배전전압급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별도의 아크(arc) 소호를 위한 아크제거기 또는 아크보호장치를 장착하지 않고, 각 가스 구획 내에 장착된 방압변을 이용하여 내아크 사고 발생 시 압력방출을 통해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보호하고 사고 발생구획 이외의 다른 가스 구획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절연물의 열화 및 절연물 내부의 공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코로나 등으로 인한 절연저감에 따라 내아크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며, 내아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구획 내의 탱크 내부 부품을 전부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정전 시간의 증가 및 교체 비용 상승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내아크의 발생을 인식하고 발생시키는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고속으로 3상 단락 회로를 형성함과 함께 차단기에 개방 신호를 전송하여 사고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내아크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탱크, 구동전류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톰슨코일, 상기 톰슨코일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서로 반대인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가동전극, 상기 가동전극이 투입되어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 사고전류의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고정전극, 및 상기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전극의 투입 시 상기 사고전류를 상기 탱크로 지락시키는 단락/지락유도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아크 발생에 따라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톰슨코일로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톰슨코일은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자로 제1 전류를 인가하여 가동전극을 상기 고정전극 방향으로 투입시키고, 상기 제2 단자로 제2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가동전극을 상기 고정전극으로부터 개방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 또는 차단기에 개방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류를 인가 후 미리 정한 시간 후 제2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전극과 동심을 갖도록 상기 가동전극에 설치된 날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락/지락유도판은 상기 가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에 투입되어 접촉할 때 상기 단락/지락유도판과 접촉하여 상기 가동전극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가동전극의 투입 시 상기 가동전극의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내아크 보호장치는,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모선부 탱크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전극의 투입 시 상기 탱크 내 가스를 방출시키는 가스방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 내아크 사고의 발생 시 제어 신호에 의해 즉각적으로 동작함으로써 3상 단락 회로를 형성하고, 사고전류를 지락시킬 수 있다. 사고전류의 지락 이후 제어부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또는 별도의 차단기에 개방신호를 제공하여 사고전류를 차단하고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부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전극을 투입 또는 개방하는 톰슨코일은 서로 역방향의 제1 전류와 제2 전류가 인가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으로 가동전극을 좌,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내아크 보호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구조 변경이 필요없이 내아크 보호장치를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모선부 탱크에 결합하여 내아크 보호를 위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결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100)는 탱크(110), 스페이서 부싱(120), 고정전극(130), 가동전극(140), 톰슨코일(150), 단락/지락유도판(160), 가스방출장치(170), 케이블 인출단자(180), 커버(190), 코일 설치판(200), 제1 단자(210) 및 제2 단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100)는 3상 전원에 대해 일괄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 부싱(120), 고정전극(130), 가동전극(140), 및 톰슨코일(150) 등을 3개씩 구비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것과 같이 3개의 가동전극(140)과 접촉하는 단락/지락유도판의 구성으로 인해 하나의 가동전극(140)이 동작하는 경우에도 3상 전부에 대한 단락 및 지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탱크(110)는 내아크 보호장치(100)의 외형을 정의하며, 내아크 보호장치(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탱크(1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탱크(110)에는 스페이서 부싱(120), 가스방출장치(170), 케이블 인출단자(180), 커버(19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탱크(110) 내부에는 SF6 가스 또는 드라이 에어(dry air)가 충진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싱(120)은 내아크 보호장치(100)와 가스절연 개폐장치(미도시)의 모선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부를 구성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싱(120)은 고정전극(130)과 연결되고, 내부에 형성된 연결단자(230)를 통해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사고전류를 내아크 보호장치(100)로 통전시킬 수 있다.
고정전극(130)은 탱크(110)의 내부에서 스페이서 부싱(120)과 결합되어 고정되며,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 내아크 발생 시 투입되는 가동전극(140)과 결합하여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 사고전류의 전류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가동전극(140)의 투입 시 고정전극(130)은 가동전극(140)의 일단부(145)와 결합할 수 있다.
고정전극(130)은 예를 들어 일단이 스페이서 부싱(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여러 갈래로 구분되어 가동전극(140)과 맞물려 고정시키는 튤립콘텍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동전극(140)은 가스절연 개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며, 예시적으로 도 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아크 보호장치(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가동전극(140)이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도 2 내지 6의 좌, 우측 방향으로 설명한다.
가동전극(140)은 우측으로 투입되어 고정전극(13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사고전류의 단락이 완료된 후에는 좌측으로 개방되어 고정전극(130)과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신호가 제1 단자(210)를 통해 톰슨코일(150)에 인가되면 가동전극(140)은 톰슨코일(150)이 발생시킨 전자기력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도 2의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고정전극(130)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제어 신호가 제2 단자(220)를 통해 톰슨코일(150)에 인가되면 가동전극(140)은 톰슨코일(150)이 발생시킨 전자기력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도 2의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고정전극(13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가동전극(140)은 톰슨코일(150)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력에 고정전극(130)에 접촉할 때까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단락/지락유도판(160)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전극(140)의 중단부에 가동전극(140)과 동심을 갖도록 형성된 날개부(146)가 가동전극(140)의 투입 시 단락/지락유도판(16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날개부(146)가 단락/지락유도판(160)과 접촉할 때까지 가동전극(140)이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단락/지락유도판(160)은 날개부(146)와 접촉함으로써 가동전극(14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전극(140)이 고정전극(130)과 접촉하여 사고전류의 전류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날개부(146)가 단락/지락유도판(160)과 접촉함으로써 사고전류가 지락될 수 있는 접지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모선부로부터 제공된 사고전류는 고정전극(130)과 가동전극(140)을 통해 단락/지락유도판(160)을 거쳐 지락될 수 있다.
톰슨코일(150)은 코일 설치판(200)에 고정되고, 가동전극(140)을 둘러싸도록 복수 회 권선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톰슨코일(150)의 일단은 제1 단자(2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단자(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자 및 제2 단자(210,220)는 탱크(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톰슨코일(150)은 제어 신호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가동전극(140)을 우측으로 투입시키거나 좌측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아크 발생 감지 신호를 제공받은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단락/지락유도판(160)은 톰슨코일(150)과 고정전극(130) 사이에서 가동전극(14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락/지락유도판(160)은 상술한 사고전류를 접지할 수 있도록 탱크(110)와 연결된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락/지락유도판(160)은 가동전극(140)이 슬라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61)는 단락/지락유도판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탱크(110) 내 배치된 3개의 가동전극(140, 240, 340)과 대응되도록 3개의 가이드(161)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단락/지락유도판(160)은 3개의 가동전극(140, 240, 340)과 모두 결합되어, 3상 중 어느 하나에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3개의 가동전극(140, 240, 340)을 모두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로부터 내아크 발생의 감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가스방출장치(170)는 가동전극(140)의 동작 시 탱크(110) 내부의 보호를 위해 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다. 즉, 가동전극(140)의 동작과 함께 사고전류가 흐르면, 탱크(110) 내 온도가 상승 및 내부 기압이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가스방출장치(170)가 개방되어 탱크(110) 및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케이블 인출단자(180)는 제1 단자(210) 및 제2 단자(220)와 연결된 케이블을 탱크(110) 내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탱크(1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190)는 탱크(110)의 일면에 형성되어 탱크(1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사고전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즉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내아크 발생이 감지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동작 중인 상태의 내아크 보호장치(100)가 도시된다.
제1 단자(210) 또는 제2 단자(220)를 통해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톰슨코일(15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따라서 가동전극(140)도 투입되지 않고 고정전극(13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가스방출장치(170)는 닫힌 상태로 탱크(110) 내 드라이 에어의 충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스절연 개폐장치로부터 내아크 발생의 감지와 함께 제어부(미도시)로 감지 신호가 제공된다. 제어부는 제어 신호를 제1 단자(210)에 제공함으로써 톰슨코일(150)에 제1 구동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톰슨코일(150)은 인가된 제1 구동전류로 인해 가동전극(140)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도 4의 가동전극(140)은 고정전극(130)과 접촉할 때까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직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의 사고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류경로는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동전극(140)이 고정전극(130)과 접촉하여 가스절연 개폐장치로부터 제공된 사고전류가 흐르는 전류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전류경로는 고정전극(130) 및 가동전극(140)을 따라 단락/지락유도판(160)으로 흐르며, 단락/지락유도판(160)과 연결된 탱크(110)를 통해 지락될 수 있다.
또한, 사고전류가 흐름으로 인해 탱크(110) 내 가스 온도 및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가스방출장치(170)가 개방되어 탱크(110) 내 기압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단락/지락유도판(160)은 3개의 가동전극(140, 240, 340)과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가동전극(140)만이 구동하는 경우에도 3상 전체의 접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류를 인가한 후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개방신호 또는 별도의 차단기에 개방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방신호에 의해 차단기가 개방되어 사고전류가 차단되고, 내아크가 발생한 사고 구획의 내부 부품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동전극(140)이 투입되어 사고전류의 지락이 완료되면, 톰슨전극(150)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가동전극(14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회로를 개방시키는 것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제2 단자(210)에 제공됨으로써 톰슨코일(150)에 제2 구동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예를 들어 제1 구동전류를 제공한 후 미리 정한 시간 이후에 제2 구동전류를 제2 단자(2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또는 별도의 차단기로부터 회로 개방이 사고전류 차단이 완료됨에 따른 별도의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이에 대응하여 제2 구동전류를 제2 단자(2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톰슨코일(150)은 인가된 제2 구동전류로 인해 가동전극(140)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가동전극(140)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전극(130)과의 연결을 개방시켜 고정전극(130)과 단락/지락유도판(160) 사이의 전류경로도 개방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100)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 내아크 사고의 발생 시 제어 신호에 의해 즉각적으로 동작함으로써 3상 단락 회로를 형성하고, 사고전류를 지락시킬 수 있다. 사고전류의 지락 이후 제어부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또는 별도의 차단기에 개방신호를 제공하여 사고전류를 차단하고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부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전극(140)을 투입 또는 개방하는 톰슨코일(150)은 서로 역방향의 제1 전류와 제2 전류가 인가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으로 가동전극(140)을 좌,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내아크 보호장치(10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결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아크 보호장치(100)는 가스절연 개폐장치(500)의 모선부 탱크(5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구조 변경이 필요없이 내아크 보호장치(100)를 통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아크 보호가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모선부 탱크(510)에는 사고전류가 내아크 보호장치(100)를 통해 지락될 수 있도록 별도의 출력단자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내아크 보호장치 110: 탱크
120: 스페이서 부싱 130: 고정전극
140: 가동전극 150: 톰슨코일
160: 단락/지락유도판 170: 가스방출장치
180: 케이블 인출단자 190: 커버
200: 코일 설치판 210: 제1 단자
220: 제2 단자

Claims (10)

  1.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연결되어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아크 사고의 발생을 감지하는 내아크 보호장치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탱크;
    구동전류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톰슨코일;
    상기 톰슨코일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서로 반대인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가동전극;
    상기 가동전극이 투입되어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 내 사고전류의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고정전극;
    상기 고정전극과 연결되고, 내부에 형성된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사고전류를 상기 고정전극으로 통전시키도록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모선부와 내아크 보호장치가 결합하는 연결부를 구성하는 스페이서 부싱;
    상기 탱크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전극의 투입 시 상기 탱크 내 가스를 방출시키는 가스방출장치;
    상기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전극의 투입 시 상기 사고전류를 상기 탱크로 지락시키는 단락/지락유도판; 및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내아크 발생에 따라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톰슨코일로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아크 보호장치는,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모선부 탱크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전극과 상기 고정전극은 3상 전원에 대응하도록 각각 3개의 가동전극과, 상기 3개의 가동전극이 각각 투입되는 3개의 고정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단락/지락유도판은 상기 3개의 가동전극과 모두 결합되어 상기 3상 전원 중 어느 하나에 사고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3개의 가동전극 중 어느 하나가 투입되는 경우에 상기 3상 전원 모두에 대한 접지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전류를 인가한 후, 상기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톰슨코일은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자로 제1 전류를 인가하여 가동전극을 상기 고정전극 방향으로 투입시키고, 상기 제2 단자로 제2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가동전극을 상기 고정전극으로부터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류를 인가 후 미리 정한 시간 후 제2 전류를 인가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전극과 동심을 갖도록 상기 가동전극에 설치된 날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락/지락유도판은 상기 가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에 투입되어 접촉할 때 상기 단락/지락유도판과 접촉하여 상기 가동전극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가동전극의 투입 시 상기 가동전극의 스토퍼로 기능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8. 삭제
  9. 삭제
  10. 상기 제1 항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가 외부에 결합된,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20210078004A 2021-06-16 2021-06-16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KR10247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04A KR102475865B1 (ko) 2021-06-16 2021-06-16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04A KR102475865B1 (ko) 2021-06-16 2021-06-16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865B1 true KR102475865B1 (ko) 2022-12-09

Family

ID=8444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004A KR102475865B1 (ko) 2021-06-16 2021-06-16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8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4656A (ja) * 2008-06-20 2010-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放圧板とそれを用いた放圧装置および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229746B1 (ko) * 2012-11-19 2013-02-05 (주)서전기전 아크 에너지 흡수형 안전 지킴이 배전반
KR20160140523A (ko) * 2016-10-07 2016-1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속 투입 스위치
KR20170105912A (ko) * 2016-03-11 2017-09-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 제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4656A (ja) * 2008-06-20 2010-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放圧板とそれを用いた放圧装置および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229746B1 (ko) * 2012-11-19 2013-02-05 (주)서전기전 아크 에너지 흡수형 안전 지킴이 배전반
KR20170105912A (ko) * 2016-03-11 2017-09-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 제거기
KR20160140523A (ko) * 2016-10-07 2016-1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속 투입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1192A (en) Arcing fault protection system for a switchgear enclosure
WO2016108622A1 (ko) 차단기용 전자반발 조작기
KR101668341B1 (ko) 개폐 장치
US20100110616A1 (en) Disconnect switch with overcurrent device and enclosure for reduced hazard
US9673005B2 (en) Switchgear
KR20120080137A (ko) 개폐기 유닛 및 스위치 기어
US4130850A (en) High speed fault diverter switch for gas-insulated systems
EP2930729B1 (en) A knife switch assembly, a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witchgear and a method for preventing electric discharges
KR102475865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내아크 보호장치
KR101100710B1 (ko) 지중배전 선로용 차단기
US9653243B2 (en) Separating unit with electromagnetic drive
JPH04332416A (ja) ガス断路器及びガス絶縁開閉装置
US10529522B2 (en) Circuit breaker
CA2310619C (en) Arcing fault protection system for a switchgear enclosure
KR200435046Y1 (ko) 일체형의 격실금속피복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KR970002006B1 (ko) 전기장치의 서지(surge)억제
EP27338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ressing very fast transients
CN111697478B (zh) 配电箱的电弧排出系统
US9429312B2 (en) Component for electric power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power circuit in an electric power system is open or closed
US20150114933A1 (en) Pushrod assembly for a medium voltage vacuum circuit breaker
KR101779721B1 (ko) 고속 투입 스위치
KR20110130914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KR101546647B1 (ko) 상분리 축소형 29kv 가스 절연 개폐 장치
US20240006860A1 (en) Direct current switchgear
KR102648597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