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720B1 -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720B1
KR102475720B1 KR1020210130550A KR20210130550A KR102475720B1 KR 102475720 B1 KR102475720 B1 KR 102475720B1 KR 1020210130550 A KR1020210130550 A KR 1020210130550A KR 20210130550 A KR20210130550 A KR 20210130550A KR 102475720 B1 KR102475720 B1 KR 102475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box
goods
rail car
cou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건
정대현
Original Assignee
(주)스테이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테이하이 filed Critical (주)스테이하이
Priority to KR1020210130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20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 A47G29/28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having a receptacle inside the house and a delivery pipe or the like passing through a door, wall, or the like, e.g. for delivering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무접촉으로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며 내부에 수납된 택배물품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택배함과, 상기 택배함의 후방으로 이송된 택배물품을 픽업하여 공동 현수이송 레일카에 적재하는 이송적재 로봇과, 상기 이송적재 로봇에 의하여 적재된 택배물품을 현수레일을 이용하여 이송한 뒤 택배전용 엘리베이터에 적재하는 공동 현수 레일카와, 상기 공동 현수 레일카에 의해 적재된 택배물품을 배송처에 맞는 층수로 수직 이송이시킨 후 개별 현수 레일카에 적재하는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와, 상기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에 의해 적재된 택배물품을 현수레일을 이용하여 배송처로 이송하는 개별 현수 이송레일카와, 상기 택배함의 개폐여부, 택배물품의 수납여부 및 이송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택배함, 이송적재 로봇, 공동 현수 레일카,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 개별 현수 레일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택배함, 이송적재 로봇, 공동 현수 레일카,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 개별 현수 레일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Delivery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arcel delivery for apartment houses}
이 발명은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택배기사가 택배물품을 택배함에 수납시키면, 이송적재 로봇, 현수 레일카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배송처까지 택배물품이 비대면으로 자동으로 일괄 이송되도록 하며, 택배기사가 택배함에 택배물품을 무접촉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코로나 감염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택배함에 수납된 물품이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입주민 대표자회에서 택배 차량이 단지내 지상도로를 통행하는 것을 제한함과 동시에 택배 기사들에게 저상 택배차량으로 지하 주차장으로 출입하거나 지상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손수레로 택배물품을 배송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반발한 택배기사들이 아파트 정문에 택배물품을 두고 가는 것과 같이 택배 기사들과 공동주택 입주민간의 택배갈등이 불거지면서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입주민들이 엘리베이터내에서 택배 기사들과 마주치게 되는 것을 꺼리게 되면서 택배 기사들이 공동주택내 엘리베이터를 사용하기가 어려워지게 됨에 따라 택배 기사들이 계단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경우에 엄청난 노동력을 소모하게 된다.
참고로, 아파트에 배달되는 다양한 물품을 사람이 타고다니는 탑승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물품만을 전문적으로 배달하도록 물품 배송 엘리베이터를 별도로 설비하여서 기존의 탑승용 엘리베이터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외부 침입자를 통제하여 절도사건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20606호(공개일자 2011년 03월 03일)의 "아파트용 물품 배송 엘리베이터"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번호 10-2011-0020606호는 택배물품을 물품 배송 엘리베이터까지 이송하는 방안 및 코로나 감염에 대한 대응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20606호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택배기사가 택배물품을 택배함에 수납시키면, 이송적재 로봇, 현수 레일카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배송처까지 택배물품이 비대면으로 자동으로 일괄 이송되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택배기사가 택배함에 택배물품을 무접촉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코로나 감염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택배함에 수납된 물품이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신체와 무접촉으로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며 내부에 수납된 택배물품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택배함과, 상기 택배함의 후방으로 이송된 택배물품을 픽업하여 공동 현수이송 레일카에 적재하는 이송적재 로봇과, 상기 이송적재 로봇에 의하여 적재된 택배물품을 제1 현수레일을 이용하여 이송하는 공동 현수 레일카와, 상기 공동 현수 레일카에 의해 적재된 택배물품을 배송처에 맞는 층수로 수직 이송시키는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와, 상기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에 의해 적재된 택배물품을 제2 현수레일을 이용하여 배송처로 이송하는 개별 현수 이송레일카와, 상기 택배함의 개폐여부, 택배물품의 수납여부 및 이송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택배함, 이송적재 로봇, 공동 현수 레일카,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 개별 현수 레일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택배함, 이송적재 로봇, 공동 현수 레일카,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 개별 현수 레일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이송적재 로봇은, 상기 택배함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수평레일 및 하부 수평레일과, 상기 상부 수평레일 및 하부 수평레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수평레일 및 하부 수평레일을 따라서 수평이동 및 회전운동을 하는 수직회전바와, 상기 수직회전바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회전바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또한 집게운동을 하는 그리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택배함은, 상하좌우면의 내부면에 단열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면은 개방되어 있는 박스형 몸체와, 상기 박스형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비접촉 스위치부와, 상기 도어의 내부 하부면상에 제어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비접촉 스위치부는, 사각형의 작동판과, 근접센서와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와, 상기 작동판의 네군데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와, 네군데 모서리에 상기 고정바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근접센서와 마주보는 위치에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과 조절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판이 고정바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가이드판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항균층과, 상기 가이드홀의 둘레에 설치되는 항균링과, 상기 가이드판과 작동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비접촉 스위치부는, 도어를 열기 위한 개방 스위치와, 도어를 닫기 위한 폐쇄 스위치와,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단열시트는, 상면 점착층 및 하면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점착시트와, 상기 양면 점착시트의 하면 점착층에 형성되어 있는 스치로폼층과, 상기 양면 점착시트의 상면 점착층에 형성되어 있는 황토석회층과, 상기 황토석회층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글라스비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제어방법의 구성은, 동작이 시작되면 개방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개방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택배함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와, 폐쇄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폐쇄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택배함의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와, 택배함의 도어를 폐쇄한 뒤에 택배함에 택배물품이 수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택배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 배송처를 확인하는 단계와, 택배함을 구동하여 택배물품이 후방으로 이송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이송적재 로봇을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공동 현수 레일카에 적재하는 단계와, 공동 현수 레일카를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이송시킨 후 택배전용 엘리베이터에 적재하는 단계와,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를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배송처의 층수로 수직 이송시킨 후 개별 현수 레일카에 적재하는 단계와, 개별 현수 레일카를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배송처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제어방법의 구성은, 상기 배송처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반송 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경우에는 택배물품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지 않고 그대로 택배함에 보관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택배기사가 택배물품을 택배함에 수납시키면, 이송적재 로봇, 현수 레일카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배송처까지 택배물품이 비대면으로 자동으로 일괄 이송되도록 하며, 택배기사가 택배함에 택배물품을 무접촉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코로나 감염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택배함에 수납된 물품이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택배함의 전면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비접촉 스위치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비접촉 스위치부의 일부 사시 구성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택배함용 단열시트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택배함과 이송적재로봇의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이송적재로봇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표현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연결된다"거나 "접속된다"라는 표현은 직접적인 연결 또는 접속뿐만이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는 연결 또는 접속을 포함한다. 또한, "~부"라는 표현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등을 포함하며, 1개의 유닛은 1개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구성은, 신체와 무접촉으로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며 내부에 수납된 택배물품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택배함(10)과, 상기 택배함(10)의 후방으로 이송된 택배물품(B)을 픽업하여 공동 현수이송 레일카(30)에 적재하는 이송적재 로봇(20)과, 상기 이송적재 로봇(20)에 의하여 적재된 택배물품(B)을 제1 현수레일을 이용하여 이송한 뒤 택배전용 엘리베이터(40)에 적재하는 공동 현수 레일카(30)와, 상기 공동 현수 레일카(40)에 의해 적재된 택배물품(B)을 배송처에 맞는 층수로 수직 이송이시킨 후 개별 현수 레일카(50)에 적재하는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40)와, 상기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40)에 의해 적재된 택배물품(B)을 제2 현수레일을 이용하여 배송처로 이송하는 개별 현수 이송레일카(50)와, 상기 택배함(10)의 개폐여부, 택배물품(B)의 수납여부 및 이송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60)와, 상기 센서부(6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택배함(10), 이송적재 로봇(20), 공동 현수 레일카(30),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40), 개별 현수 레일카(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와,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택배함(10), 이송적재 로봇(20), 공동 현수 레일카(30),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40), 개별 현수 레일카(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동 현수 레일카(30)와 개별 현수 레일카(50)는,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에 매달려서 이송되며, 화물적재가 가능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택배함의 전면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택배함과 이송적재로봇의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택배함(10)의 구성은, 상하좌우면의 내부면에 단열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면은 개방되어 있는 박스형 몸체(11)와, 상기 박스형 몸체(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12)와, 상기 도어(11)에 설치되어 있는 비접촉 스위치부(13)와, 상기 도어(12)의 내부 하부면상에 제어부(7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비접촉 스위치부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비접촉 스위치부의 일부 사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비접촉 스위치부(13)는, 사각형의 작동판(131)과, 근접센서(60a, 60b)와 발광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132a, 132b)와, 상기 작동판(131)의 네군데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134)와, 상기 고정바(134)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135)와, 네군데 모서리에 상기 고정바(134)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근접센서(60a, 60b)와 마주보는 위치에 가이드홀(136a, 136b)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136)과, 상기 가이드판(136)과 조절부재(135)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37)과, 상기 가이드판(136)이 고정바(134)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138)와, 상기 가이드판(136)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항균층(139)과, 상기 가이드홀(136a, 136b)의 둘레에 설치되는 항균링(140a, 140b)과, 상기 가이드판(136)과 작동판(131)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바(1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132a, 132b)는 개방 스위치(132a)와 폐쇄 스위치(132b)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 스위치(132a)는 개방용 근접센서(60a)와 발광다이오드(LED)가 설치되며, 상기 폐쇄 스위치(132b)는 폐쇄용 근접센서(60b)와 발광다이오드(LED)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판(136)의 가이드홀(136a, 136b)은 개방 스위치용 근접센서(133a)를 위한 제1 가이드홀(136a)과, 폐쇄 스위치용 근접센서(133b)를 위한 제2 가이드홀(136b)로 이루어진다,
상기 항균링(140a, 140b)은 제1 가이드홀용 항균링(140a)과 제2 가이드홀용 항균링(140b)으로 이루어진다.
센서부(60)는, 개방 스위치(132a)에 설치되는 개방용 근접센서(60a)와, 폐쇄 스위치(132b)에 설치되는 폐쇄용 근접센서(60b)를 포함하며, 택배물품(B)의 수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도시되지 않음)와, 공동 현수 레일카의 이송 경로 및 개별 현수 레일카의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있는 광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 스위치(132a)와 폐쇄 스위치(132b) 이외에 반송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반송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센서로서 기능한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택배함용 단열시트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택배함용 단열시트의 구성은, 상면 점착층(1a) 및 하면 점착층(1b)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점착시트(1)와, 상기 양면 점착시트(1)의 하면 점착층(1b)에 형성되어 있는 스치로폼층(2)과, 상기 양면 점착시트(1)의 상면 점착층(1a)에 형성되어 있는 황토석회층(3)과, 상기 황토석회층(3)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층(3a)과, 상기 점착제층(3a)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글라스비드층(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치로폼층(2)은 폐스치로폼을 지름 1mm 이하의 미세입자로 분쇄하여 스치로폼 미세입자를 제조한 후에, 스치로폼 미세입자를 양면 점착시트(1)의 일면에 분사하여 부착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으로서, 함체 외부의 차가운 온도가 함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함체 내부의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하로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함체 내부에서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치로폼층(2)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치로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단열방염시트를 얇고 가볍게 제작할 수가 있고, 폐스치로폼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이다.
상기 황토석회층(3)은 황토층과 석회층이 줄무늬 형태를 이루면서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황토층의 다공실 구조 특성은 매우 우수한 흡/보수성을 가지며, 결로 현상을 억제하고, 석회층은 수분과 발열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결로 현상을 방지하며, 인장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점착제층(3a)은, 천연소재인 우뭇가사리에 물을 붓고 끓이면서 폐지를 조각상태로 잘게 썰어 넣고 함께 끓인 후 황토석회층(3)에 도포하여 형성한다. 상기 점착제층(3a)은 폐지 조각이 펄프가 되어 섬유질 형태로 남아 단열재로서 함체내부의 온도가 이슬점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함체 내부에서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펄프의 원료로서 폐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이다.
상기 글라스비드층(4)은 재료의 특성상 표면이 균일하지 않고 거친 표면을 갖게 됨으로써 함체내부의 온도가 이슬점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함체 내부에서 결로가 발생되더라도 글라스비드층(4)으로부터 함체 내부의 전기장치를 향하여 물방울이 낙하되지 않고 글라스비드층(4)의 거친 표면을 따라서 함체의 하부로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함체 내부의 전기장치에 쇼트, 누전 등의 고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택배함과 이송적재 로봇의 측단면 구성도이고, 도 7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이송적재 로봇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이송적재 로봇의 구성은, 택배함(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수평레일(21) 및 하부 수평레일(22)과, 상기 상부 수평레일(21) 및 하부 수평레일(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수평레일(21) 및 하부 수평레일(22)을 따라서 수평이동 및 회전운동을 하는 수직회전바(23)와, 상기 수직회전바(2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회전바(23)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또한 집게운동을 하는 그리퍼(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동작이 시작되면 개방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개방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택배함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S20)와, 폐쇄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0)와, 폐쇄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택배함의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S40)와, 택배함의 도어를 폐쇄한 뒤에 택배함에 택배물품이 수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택배함에 택배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 배송처를 확인하는 단계(S60)와, 택배함을 구동하여 택배물품이 후방으로 이송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S70)와, 이송적재 로봇을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공동 현수 레일카에 적재하는 단계(S80)와, 공동 현수 레일카를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이송시킨 후 택배전용 엘리베이터에 적재하는 단계(S90)와,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를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배송처의 층수로 수직 이송시킨 후 개별 현수 레일카에 적재하는 단계(S100)와, 개별 현수 레일카를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배송처로 이송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70)는 비접촉 스위치부(13)의 개방 스위치(132a)에 설치되어 있는 개방용 근접센서(60a)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개방 스위치(132a)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
택배기사가 배송처의 택배함(10)에 택배물품(B)을 수납하려는 목적으로 도어(12)를 개방하기 위하여 개방 스위치(132a)를 누르고자 하는 경우에 가이드판(136)의 제1 가이드홀(136a)로 손가락을 넣게 되는데, 상기 제1 가이드홀(136a)은 택배기사의 손가락을 개방 스위치용 근접센서(133a)로 안내하게 되며, 택배기사의 손가락이 개방 스위치용 근접센서(133a)에 닿기 전에 개방 스위치용 근접센서(133a)가 온된다.
제어부(70)는 센서부(60)의 개방용 근접센서(60a)가 온된 경우에, 개방 스위치(132a)가 온된 것으로 판단하고, 개방 스위치(132a)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함과 동시에 구동부(80)를 제어하여 택배함(10)의 도어(12)가 개방되도록 한다(S20).
택배함(10)의 도어(12)가 개방되도록 한 다음에, 제어부(70)는 비접촉 스위치(13)의 폐쇄 스위치(132b)에 설치되어 있는 폐쇄용 근접센서(60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폐쇄 스위치(132b)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
택배기사가 택배물품을 택배함(10)에 수납한 후 도어(12)를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 스위치(132b)를 누르고자 하는 경우에 가이드판(136)의 제2 가이드홀(136b)로 손가락을 넣게 되는데, 상기 제2 가이드홀(136b)은 택배기사의 손가락을 폐쇄 스위치용 근접센서(133b)로 안내하게 되며, 택배기사의 손가락이 폐쇄 스위치용 근접센서(133b)에 닿기 전에 폐쇄 스위치용 근접센서(133b)가 온된다.
제어부(70)는 센서부(60)의 폐쇄용 근접센서(60b)가 온된 경우에 폐쇄 스위치(132b)가 온된 것으로 판단하고, 폐쇄 스위치(132b)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함과 동시에 구동부(80)를 제어하여 택배함(10)의 도어(12)가 폐쇄되도록 한다(S40).
이와 같이 택배기사가 택배함(10)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개방 스위치(132a)와 폐쇄 스위치(132b)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택배함(10)의 도어(12)가 개폐되고, 택배함(10)의 소유자가 택배물품을 반품하거나 개인물품을 잠시 보관하기 위하여 택배함(10)을 열고 닫는 경우에도 개방 스위치(132a)와 폐쇄 스위치(132b)를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택배함(10)의 도어(12)가 개폐됨으로써 접촉으로 인한 코로나 감염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택배함(10)의 도어(12)가 폐쇄되도록 한 뒤에, 제어부(10)는 센서부(60)의 광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택배함(10)에 택배물품(B)이 수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50). 상기 택배함(10)의 내부에는 센서부(60)의 광센서가 설치되어 있어서 택배물품(B)의 수납여부를 감지한다.
택배함에 택배물품(B)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70)는 택배물품(B)의 수납되어 있던 택배함(10)의 위치로부터 배송처를 확인한다(S60). 예를들어, 택배물품(B)이 602호용 택배함(10)에 수납되어 있었다면 배송처는 602호임을 확인할 수가 있다.
배송처를 확인하고 난 다음에, 제어부(70)는 구동부80)를 제어하여 택배함(10)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4)를 구동함으로써 택배물품(B)이 후방으로 이송되어 노출되도록 한다(S70).
그러나, 배송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반송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70)는 택배물품(B)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지 않고 그대로 택배함(10)에 보관되도록 한다.
택배물품(B)이 후방으로 이송되어 노출된 경우에, 제어부(70)는 구동부(80)를 이용하여 이송적재 로봇을 구동함으로써 대기 위치에 있던 그리퍼(24)가 택배물품(B)이 노출되어 있는 택배함(10)을 향하여 이송되도록 한다. 이송적재로봇의 수직회전바(23)는 상부 수평레일(21) 및 하부 수평레일(22)을 따라서 수평이동 및 회전운동을 하고, 상기 수직회전바(2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회전바(23)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그리퍼(24)는 수직회전바(23)를 따라서 상하운동을 함으로써 그리퍼(124)가 택배물품(B)이 노출되어 있는 곳으로 이송된다. 택배물품(B)이 노출되어 있는 곳으로 이송된 그리퍼(24)는 집게운동을 통하여 택배물품(B)을 파지한 후에, 수직회전바(23)의 수평이동 및 회전운동과 그리퍼(24)의 상하 운동을 통해 택배물품(B)을 공동 현수 레일카에 적재한다(S80).
택배물품(B)이 공동 현수 레일카에 적재되고 나면, 제어부(70)는 구동부(80)를 이용하여 택배함(10)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4)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이송적재 로봇의 그리퍼(24)도 대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70)는 구동부(80)를 이용하여 공동 현수 레일카를 구동함으로써 택배물품(B)을 이송시킨 후 택배전용 엘리베이터에 적재한다(S90). 상기 공동 현수 레일카의 이송 경로에는 센서부(60)의 광센서가 설치되어 있어서 택배물품(B)의 이송 위치를 감지하며, 택배물품(B)이 택배전용 엘리베이터에 적재되고 나면 제어부(70)는 구동부(80)를 이용하여 공동 현수 레일카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다음에, 제어부(70)는 구동부(80)를 이용하여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를 구동함으로써 택배물품(B)을 배송처의 층수로 수직 이송시킨 후 개별 현수 레일카에 적재한다(S100). 상기 택배전용 엘리베이터의 수직 이송 경로에는 센서부(60)의 광센서가 설치되어 있어서 택배물품(B)의 이송 위치를 감지하며, 택배물품(B)이 개별 현수 레일카에 적재되고 나면, 제어부(70)는 구동부(80)를 이용하여 택배전용 엘리베이터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70)는 구동부(80)를 이용하여 개별 현수 레일카를 구동함으로써 택배물품(B)을 배송처에 이송한다(S110). 상기 개별 현수 레일카의 이송 경로에는 센서부(60)의 광센서가 설치되어 있어서 택배물품(B)의 이송 위치를 감지하며, 택배물품(B)이 배송처에 이송되고 나면, 제어부(70)는 구동부(80)를 이용하여 개별 현수 레일카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10 : 택배함
20 : 이송적재 로봇
30 : 공동 현수 레일카
40 : 택배전용엘리베이터
50 : 개별 현수 레일카
60 : 센서부
70 : 제어부
80 : 구동부

Claims (8)

  1. 신체와 무접촉으로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며 내부에 수납된 택배물품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택배함과,
    상기 택배함의 후방으로 이송된 택배물품을 픽업하여 공동 현수이송 레일카에 적재하는 이송적재 로봇과,
    상기 이송적재 로봇에 의하여 적재된 택배물품을 제1 현수레일을 이용하여 이송하는 공동 현수 레일카와,
    상기 공동 현수 레일카에 의해 적재된 택배물품을 배송처에 맞는 층수로 수직 이송시키는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와,
    상기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에 의해 적재된 택배물품을 제2 현수레일을 이용하여 배송처로 이송하는 개별 현수 이송레일카와,
    상기 택배함의 개폐여부, 택배물품의 수납여부 및 이송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택배함, 이송적재 로봇, 공동 현수 레일카,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 개별 현수 레일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택배함, 이송적재 로봇, 공동 현수 레일카,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부, 개별 현수 레일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적재 로봇은, 상기 택배함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수평레일 및 하부 수평레일과, 상기 상부 수평레일 및 하부 수평레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수평레일 및 하부 수평레일을 따라서 수평이동 및 회전운동을 하는 수직회전바와, 상기 수직회전바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회전바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또한 집게운동을 하는 그리퍼를 포함하며,
    상기 택배함은, 상하좌우면의 내부면에 단열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면은 개방되어 있는 박스형 몸체와, 상기 박스형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비접촉 스위치부와, 상기 도어의 내부 하부면상에 제어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 스위치부는, 사각형의 작동판과, 근접센서와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와, 상기 작동판의 네군데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와, 네군데 모서리에 상기 고정바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근접센서와 마주보는 위치에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과 조절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판이 고정바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가이드판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항균층과, 상기 가이드홀의 둘레에 설치되는 항균링과, 상기 가이드판과 작동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바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시트는, 상면 점착층 및 하면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 점착시트와, 상기 양면 점착시트의 하면 점착층에 형성되어 있는 스치로폼층과, 상기 양면 점착시트의 상면 점착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황토층과 석회층이 줄무늬 형태를 이루면서 교번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황토층의 흡/보수성과 석회층의 수분 발열반응성질을 이용하는 황토석회층과, 상기 황토석회층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글라스비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스위치부는, 도어를 열기 위한 개방 스위치와, 도어를 닫기 위한 폐쇄 스위치와,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의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의 동작이 시작되면, 사용자에 의해 개방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개방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택배함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폐쇄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폐쇄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택배함의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와,
    택배함의 도어를 폐쇄한 뒤에 택배함에 택배물품이 수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택배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 배송처를 확인하는 단계와,
    택배함을 구동하여 택배물품이 후방으로 이송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이송적재 로봇을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공동 현수 레일카에 적재하는 단계와,
    공동 현수 레일카를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이송시킨 후 택배전용 엘리베이터에 적재하는 단계와,
    택배전용 엘리베이터를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배송처의 층수로 수직 이송시킨 후 개별 현수 레일카에 적재하는 단계와,
    개별 현수 레일카를 구동하여 택배물품을 배송처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처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반송 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경우에는 택배물품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지 않고 그대로 택배함에 보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10130550A 2021-10-01 2021-10-01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475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50A KR102475720B1 (ko) 2021-10-01 2021-10-01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50A KR102475720B1 (ko) 2021-10-01 2021-10-01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720B1 true KR102475720B1 (ko) 2022-12-08

Family

ID=8443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550A KR102475720B1 (ko) 2021-10-01 2021-10-01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7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9471A (ja) * 1991-05-17 1993-07-09 Whirlpool Corp 冷蔵庫の断熱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ライナーを製造する方法及び冷蔵庫の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断熱壁構造体
KR20050105638A (ko) * 2003-05-30 2005-11-08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보관함을 이용한 물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0710616B1 (ko) * 2005-03-21 2007-04-24 손을택 배달품 배달장치 및 방법
KR20110020606A (ko) 2009-08-24 2011-03-03 (주)동경하이테크 아파트용 물품 배송 엘리베이터
KR102252006B1 (ko) * 2020-11-30 2021-05-13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9471A (ja) * 1991-05-17 1993-07-09 Whirlpool Corp 冷蔵庫の断熱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ライナーを製造する方法及び冷蔵庫の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断熱壁構造体
KR20050105638A (ko) * 2003-05-30 2005-11-08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보관함을 이용한 물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0710616B1 (ko) * 2005-03-21 2007-04-24 손을택 배달품 배달장치 및 방법
KR20110020606A (ko) 2009-08-24 2011-03-03 (주)동경하이테크 아파트용 물품 배송 엘리베이터
KR102252006B1 (ko) * 2020-11-30 2021-05-13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7540B2 (ja) 巻上機における貨物の位置検出方法とその装置
US6161655A (en) Non-contact elevator call button
CN106586439B (zh) 一种智能空中轨道载物小车传输系统
TW462945B (en) Material handling and transport system and process
CN103803388B (zh) 电梯的乘坐检测系统
TR201900727T4 (tr) Bir bina alanından yolcuların ve/veya yüklerin transfer edilmesi için asansör sistemi.
CN106185546A (zh) 一种三开门嵌套式楼体贯通电梯
KR102475720B1 (ko)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70118876A (ko) 복수의 통로 및 복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20230348225A1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when a car is full
KR20160134977A (ko) 화물 적재 시스템 및 화물 적재 방법
WO2023013843A1 (ko) 고층 건물 실내 배송용 자동 택배 리프트 시스템
JP2017154839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群管理システム、並びに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206133784U (zh) 智能商用机器人之快速高效取货装置
CN111573296B (zh) 传送装置、控制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339395B1 (ko)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
CN205397426U (zh) 动车立体多层式物品安检自动分拣一体设备
CN100353270C (zh) 传送系统
JPH02270782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CN210804627U (zh) 一种智能楼宇快递投送装置
CN108287508A (zh) 基于物联网的酒店客房控制系统
US20020008005A1 (en) Clean room having an escalator, and method of transport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rein
CN206641656U (zh) 一种多功能物流货物周转架
WO2023063483A1 (ko) 로봇 물류보관배송 통합자동화시스템
TWI228481B (en) Trans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