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002B1 - 개별 제어가 가능한 광원 수단을 구비하며, 방열성이 증대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 Google Patents

개별 제어가 가능한 광원 수단을 구비하며, 방열성이 증대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002B1
KR102475002B1 KR1020220024434A KR20220024434A KR102475002B1 KR 102475002 B1 KR102475002 B1 KR 102475002B1 KR 1020220024434 A KR1020220024434 A KR 1020220024434A KR 20220024434 A KR20220024434 A KR 20220024434A KR 102475002 B1 KR102475002 B1 KR 10247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ewage pipe
light source
repair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도씨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도씨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도씨앤지
Priority to KR102022002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제어가 가능한 광원 수단을 구비하며, 방열성이 증대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원 수단을 선택적으로 개별 제어할 수 있으며, 빛을 발산하는 LED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보수 비용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별 제어가 가능한 광원 수단을 구비하며, 방열성이 증대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Partial repair device for sewage pipe with an individual controllable light source means and increased heat dissipation}
본 발명은 개별 제어가 가능한 광원 수단을 구비하며, 방열성이 증대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원 수단을 선택적으로 개별 제어할 수 있으며, 빛을 발산하는 LED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보수 비용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흉관, 합성수지로 된 염화비닐관, 도관 등과 같이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 등에는 관자체의 노후화, 지반의 침하 또는 지상으로부터의 토압의 변동 등에 의해 균열, 파손 또는 그 접속부가 분리되는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하수관에 이러한 결함이 발생되면, 하수관 내부를 흐르는 오폐수가 결함 부분을 통하여 지반으로 유출되며, 유출된 오폐수는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된다.
노후화 된 하수관로를 보수하는 보수 공법은 땅을 굴착하여 매설된 하수관을 새로운 하수관으로 교체하는 굴착 보수방법과 문제가 발생된 결함 부위를 찾아 하수관로 내부로 보수 장치를 투입하여 결함 부위에 보수재를 충진하거나 보수재를 설치하여 부분적으로 보수하는 비굴착방식이 있다.
굴착 보수방법은 비용과 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반면, 비굴착 보수 방법은 비교적 기간이 짧고 비용이 더 경제적이며, 보행자 통행이나 차량의 교통 흐름에 큰 불편을 주지 않기 때문에 비굴착 방식의 보수 방법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비굴착 보수 방법 중 보수재를 이용한 방법의 경우 노후된 구간의 배관을 한번에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보수재를 이용하여 노후된 배관을 보수할 때는 먼저, 기존 하수관로에 있어서 노후되어 결함이 발생된 보수 구간을 지정하고, 보수 구간 양단 부근의 지하에 지상 쪽으로 작업구를 형성하며 보수 구간 관로의 양단을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작업구를 통해 보수 구간 내부로 보수 장치를 투입하고, 광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원통형의 보수재를 보수 구간으로 견인한 상태에서 공기나 물의 압력에 의해 결함 구간 관로 내벽에 밀착시킨 후 열을 가하게되면, 보수재에 외측에 도포된 광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면서 보강 구간의 내벽에 고정된다.
이러한, 보수재를 이용하는 종래의 보수 장치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964721호, 국내등록특허 제10-1964720호, 국내 등록특허 10-2082179호, 국내 등록특허 제10-2192466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수 장치는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하수의 흐름이 막히게 되고, 보수재에 도포된 광경화제에 일정한 조도의 빛을 조사하여 열경화시키는 과정에서 광원의 불균일한 조사를 통해 광경화제의 균일한 경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폐된 공간 안에서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과 광경화성 수지의 발열로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국내등록특허 KR 10-2082180에는 제1, 제2 헤드(10,20)와 제1,2헤드(10,2))에 지지되는 UV 모듈(30), 제1,2헤드(10,20)에 지지되며 UV 모듈(30)을 보호하는 냉각 튜브(40), 냉각 튜브(40)의 외부에서 제1,2헤드(10,20)에 지지되는 팽창 튜브(51), 팽창 튜브(51)에 의해 팽창되며 UV 모듈(30)의 UV에 의해 경화되어 관로의 부분 손상부에 라이닝되는 보수 튜브(50), 냉각 튜브(40)에 의해 UV 모듈(30)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에어를 주입하여 UV 모듈(30)을 냉각함과 더불어 냉각 튜브(40)에 에어를 주입하여 관로의 벽면으로 팽창시키는 냉각과 팽창 겸용의 에어주입기(60)를 포함하는 비굴착 관로 부분 보수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보수 장치는 UV 모듈인 다수의 LED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링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경우 각 LED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되지 않고 인접한 LED로 전달되어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보수 장치들은 하수관의 결함 부분이 소정 영역인 것에 비해 원통형의 보수 튜브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결함 부분을 중심으로 하수관 내측의 원주 방향을 모두 보강하게 되어, 필요 이상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불필요한 영역까지 광원을 조사하여 에너지 낭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최소한의 보수재를 이용하여 하수관로에 발생된 결함 부위를 보수할 수 있으며, 보수재로 균일한 광원 조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LED 간에 열 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LED의 수명 증대와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부분 보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광원 수단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보수재가 외주면에 접하여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팽창 튜브;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팽창 튜브 사이에 소정의 밀폐된 공간을 갖도록 상기 팽창 튜브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관형의 제1 소켓과 제2 소켓을 포함하는 소켓부; 상기 제1 소켓과 상기 제2 소켓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원 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팽창 튜브의 사이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 수단을 가지며, 상기 광원 수단:은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된 블록; 및 상기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LED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LED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ED 회로 기판과 상기 블록의 상부면은 평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 수단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팽창 튜브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보수재를 끈, 밴드 등을 통해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팽창 튜브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내부 공간을 가지고, 하부면이 개방된 구조로,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본체의 내측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냉각 유체가 각 블록의 중공을 경유하며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수냉 유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켓과 상기 제2 소켓에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팽팽하게 유지되는 복수개의 와이어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잇다.
본 발명의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에 의하면, 본체에 형성된 광원 수단을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해 결함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의 광원 수단만을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밴드에 의해 팽창 튜브에 고정되는 구조로 보수재에서 결함 부위에 필요한 일부만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형의 보수재를 사용하지 않아도되, 비용 소모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하수관로의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에 의하면, 각 광원 수단의 블록이 인접한 블록과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서 있고, 상부면이 평면이며, 블록이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LED에서 발생한 열이 블록을 통해 본체로 전달되어 열이 방출되기 때문에 인접한 블록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고, 각 블록에 배치된 LED 간에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에 의하면, 블록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거나, 블록의 내부공간과 본체가 연통되는 구조, 또는 각 블록의 내측을 냉각 유체가 경유하여 흐를 수 있도록 수냉 유로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면서, 열 방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의 제1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방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의 보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의 보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의 제1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의 단면도,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방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의 보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의 보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비굴착 방식으로 하수관로(P)의 파손, 등을 포함하는 결함 부위를 보강하는 데 사용되며, 하수관로(P) 내측에서 결함 부위 지역으로 외측에 광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보강재(T)를 이동시킨 후 팽창시키고, 하수관로(P) 내측에 밀착된 보강재(T)로 광원을 조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100)는 베이스부(110), 팽창 튜브(120), 소켓부(130), 이송부(140)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본체(111), 상기 본체(111)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광원 수단(112) 및 공기 주입 수단(113)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1)는 상기 하수관로(P)에서 흐르는 물이 내측에서 통과할 수 있는 관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원 수단(112)은 상기 팽창 튜브(T)로 빛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본체(111)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11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블록(112a)과 상기 블록(112a)의 상부면에 배치된 LED 회로 기판(11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11)와 블록(112a)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112a)은 각 블록(112a) 간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11)와 상기 블록(112a)은 열 방출 효율이 높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본체(111)와 상기 블록(112a)은 알루미늄(Al)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블록(112a)은 상기 본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되며, 단면이 다각형인 육면체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블록(112a)은 육면체 구조를 갖되, 상기 LED 회로 기판(112b)이 배치되는 상부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LED 회로 기판(112b)과 상기 블록(112a)의 접촉 면적을 늘려 상기 LED(10)가 빛을 발산하면서 발생하는 열이 본체(111)로 이동되어 방출되는 방열 구조를 가짐으로써, 각 블록(112a)간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에 의한 LED(10)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블록(112a)은 상기 LED 회로 기판(112b)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블록(112a)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어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112a-1)이 형성되거나 상기 블록(112a)에 내부 공간(112a-2)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112a-2)과 상기 본체(111)의 내측과 연통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하수도관(P)의 내부 공기 또는 상기 공기 주입 수단(113)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블록(112a)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블록(112a)의 내부를 경유하면서, 상기 블록(112a)에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기 블록(112a)의 방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외부에서 유입된 냉각 유체가 상기 각 블록(112a)의 중공(112a-1)을 경유하며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수냉 유로(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회로 기판(112b)은 평면 구조로 상기 블록(112a)과 상부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LED(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LED(10)는 상기 보수재(T)에 도포된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자외선(UV)을 방출하고, 상기 LED 회로 기판(112b) 상에 형성되는 상기 LED(10)의 개수와 배치 간격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LED(10)의 스펙과 상기 LED 회로 기판(112b)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10)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블록별(112a)로 LED 회로 기판(112b)의 LED(10)들이 제어되거나, 상기 LED 회로 기판(112b) 내의 LED(10)의 켜지는 개수를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각도 또는 위치에 해당하는 광원 수단(112)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불필요한 광원 수단(112)의 동작을 방지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주입구(113)는 상기 본체(111)에 형성되며, 도시되진 않았으나 외부의 공기 공급 장치(2)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본체(111)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팽창 튜브(120)는 외주면에 상기 보수재(T)가 접하여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보수재(T)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부(110)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 주입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한다.
또한, 상기 팽창 튜브(120)는 상기 LED(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관통되어, 상기 보수재(T)로 전달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인 실리콘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수재(T)는 상기 팽창 튜브(120)에 끈, 밴드 등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팽창 튜브(120)는 고정 효율 및 기밀성 향상과 상기 보수재(T)의 배치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이드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21)은 상기 팽창 튜브(12)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으로, 상기 보수재(T)의 일측과 타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최소 한 쌍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21)은 보수재(T)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보수재(T)가 끈, 밴드 등에 의해 상기 팽창 튜브(120)에 고정될 수 있어, 상기 보수재(T)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하수관로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보수재(T)를 원하는 길이 또는 형태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보수재(T)를 시트 형태로 제조하여, 원하는 길이 또는 형태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하수관로(P)의 결함 부위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상기 보수재(T)를 절단하여 보수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보수재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소켓부(130)는 관형의 제1 소켓(131)과 제2 소켓(132)을 포함하며, 각 소켓(131,132)은 상기 본체(111)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소켓(131)과 상기 제2 소켓(132)은 상기 본체(11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여, 결합된 상기 제1 소켓(131)과 제2 소켓(132)은 상기 팽창 튜브(120)의 일측과 타측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팽창 튜브(120)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팽창 튜브(120)는 상기 제1 소켓(131)과 상기 제2 소켓(132)에 끈, 밴드 등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 효율 및 기밀성 향상을 위해 외측 둘레를 따라각각 홈(131a, 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소켓(131)과 상기 제2 소켓(132)에 의해 상기 팽창 튜브(120)와 상기 본체부(110)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며, 이에 상기 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상기 팽창 튜브(120)와 상기 본체부(110)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팽창 튜브(120)가 팽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100)는 상기 팽창 튜브(1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팽창 튜브(12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W)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와이어(W)는 일단이 상기 제1 소켓(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소켓(132)에 연결되되, 장력을 갖도록 각 소켓(131,132)에 고정되며, 각 소켓(131,132)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팽창 튜브(1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팽창 튜브(120)의 인장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보수재(T)를 끈, 밴드 등으로 고정시킬 때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송부(140)는 복수 개의 바퀴(20)를 갖는 제1 이송 부재(141)와 제2 이송 부재(142)를 포함하며, 각 이송 부재(141,142)는 상기 제1 소켓(131)과 상기 제2 소켓(13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 부재(131)와 상기 제2 이송 부재(132)에는 상기 하수관로(P) 내에서 상기 본체부(110)가 회전하거나,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바퀴(20)가 형성되며 바퀴(20)의 개수와 구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이송 부재(141)와 상기 제2 이송 부재(142)은 원판 형상으로 각 소켓(131,132)의 외측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하수관로(P) 내에서 흐르는 물이 상기 본체(111)로 흐를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광원 수단(112)을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통신망을 통해 상기 LED 회로 기판(112b)과 통신하여 상기 LED(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광원 수단(112)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공되거나, 상기 하수관로 보수 장치(100)의 각 구성 중 어느 한곳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부분 보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하수관로(P) 내부에서 보수가 필요한 결함 부위(Crack)를 확인하고, 상기 팽창 튜브(120)를 상기 소켓부(130)에 끈, 밴드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결함 부위(Crack)의 보수에 필요한 보수재(T)를 상기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100)의 팽창 튜브(120)에 끈, 밴드등을 통해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팽창 튜브(120)의 가이드홈(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끈, 밴드 등을 위치시켜, 상기 보수재(T)를 고정시키며, 상기 보수재(T)는 원통형이거나, 상기 결합 부위(Crack)의 보수에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로 절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수관로 부분 보수 방법은 미리 보수에 필요한 상기 보수재(T)의 길이와 크기를 확인한 후 상기 팽창 튜브(120)의 가이드홈(121)의 간격과 위치를 맞춤형으로 형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하수관로(P)에 상기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100)를 투입하고, 결함 부위(Crack)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외부의 공기공급 장치(2)로부터 공기를 유입받아, 상기 팽창 튜브(120)를 팽창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보수재(T)는 결함 부위(Crack)를 포함하는 하수관로(T) 내측에 밀착되게되고, 상기 보수재(T)가 밀착된 상태에서 광원 수단(112)을 제어하여 빛을 조사한다.
또한, 컨트롤러를 통해 광원 수단(112)을 제어하여 상기 보수재(T)로 빛을 조사하게 되며, 보수에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로 절단된 보수재(T)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수재(T)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각도 또는 위치에 해당하는 광원 수단(112)을 제어하여 빛을 조사한다.
이후, 일정 시간 이후 상기 보수재(T)의 광경화성 물질이 경화되면, 상기 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팽창 튜브(120)를 수축시킴으로써, 부분 보수가 완료된다.
따라서.본 발명의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는 필요한 각도에 배치된 광원 수단만을 동작시켜 빛을 발산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팽창 튜브에 상기 보수재를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시트 형태의 보수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소비를 줄여 공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배치된 광원 수단에 의해 각 블록별로 LED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되고, 상기 블록으로 전달된 열이 방출될 수 있는 최적의 방열 구조를 가져, 열에 의한 LED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110:본체부
111:본체 112:광원 수단
113:공기 유입구 114:수냉 유로
120:팽창 튜브 121:가이드홈
130:소켓부 131:제1 소켓
132:제2 소켓 140:이송부
141:제1 이송 부재 142:제2 이송 부재

Claims (9)

  1.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수관로에서 흐르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관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광원 수단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보수재가 외주면에 접하여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실리콘 소재의 팽창 튜브;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팽창 튜브 사이에 소정의 밀폐된 공간을 갖도록 상기 팽창 튜브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관형의 제1 소켓과 제2 소켓을 포함하는 소켓부;
    상기 제1 소켓과 상기 제2 소켓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원 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팽창 튜브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 수단을 가지며,
    상기 광원 수단: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되,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고 하부면이 개방되어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본체의 내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블록; 및
    상기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LED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LED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 광원 수단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회로 기판과 상기 블록의 상부면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튜브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보수재를 끈, 밴드 등을 통해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켓과 상기 제2 소켓에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팽팽하게 유지되는 복수개의 와이어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24434A 2022-02-24 2022-02-24 개별 제어가 가능한 광원 수단을 구비하며, 방열성이 증대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KR10247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434A KR102475002B1 (ko) 2022-02-24 2022-02-24 개별 제어가 가능한 광원 수단을 구비하며, 방열성이 증대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434A KR102475002B1 (ko) 2022-02-24 2022-02-24 개별 제어가 가능한 광원 수단을 구비하며, 방열성이 증대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002B1 true KR102475002B1 (ko) 2022-12-07

Family

ID=8444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434A KR102475002B1 (ko) 2022-02-24 2022-02-24 개별 제어가 가능한 광원 수단을 구비하며, 방열성이 증대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0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4684A (ja) * 1998-04-05 1999-10-29 Sumiyoshi Seisakusho:Kk 光硬化式管路内面補修方法および装置
JP2009214407A (ja) * 2008-03-10 2009-09-24 Yoshika Kk 管路更生方法
KR20120085398A (ko) * 2011-01-24 2012-08-01 주식회사 새미래환경이엔씨 비굴착식 파형강관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팩커
US20180194072A1 (en) * 2017-01-09 2018-07-12 Kanres Technology Device for curing pipeline inner resin linings
KR102082179B1 (ko) * 2019-05-24 2020-02-27 주식회사 힘센기술 비굴착 관로 보수용 공기냉각식 uv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4684A (ja) * 1998-04-05 1999-10-29 Sumiyoshi Seisakusho:Kk 光硬化式管路内面補修方法および装置
JP2009214407A (ja) * 2008-03-10 2009-09-24 Yoshika Kk 管路更生方法
KR20120085398A (ko) * 2011-01-24 2012-08-01 주식회사 새미래환경이엔씨 비굴착식 파형강관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팩커
US20180194072A1 (en) * 2017-01-09 2018-07-12 Kanres Technology Device for curing pipeline inner resin linings
KR102082179B1 (ko) * 2019-05-24 2020-02-27 주식회사 힘센기술 비굴착 관로 보수용 공기냉각식 uv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821B1 (ko)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KR102082180B1 (ko) 팽창튜브를 이용한 무선식 비굴착 관로 부분 보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부분 보수 방법
JP4964015B2 (ja) 光硬化性ライニング材の光硬化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光硬化システム
KR101354120B1 (ko) 비굴착보수장치 및 그 보수공법
EP2208920B1 (en) Method of sealing a pipeline and a sealing system
KR102192466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부분 보수·보강 장치 및 공법
KR20100027768A (ko)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2475002B1 (ko) 개별 제어가 가능한 광원 수단을 구비하며, 방열성이 증대된 하수관로 부분 보수 장치
KR102235985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관로 보수·보강 장치 및 공법
KR102058109B1 (ko) 관로 보수용 패커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부분 보수공법
KR100784192B1 (ko) 비 굴착식 관보수용 팩커를 이용한 비 굴착식 관 보수방법
KR102192465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가지관 보수·보강 장치 및 공법
KR100776418B1 (ko) 워터체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보수장치 및 공법
KR101309333B1 (ko) 관교체 방법
KR20040000159A (ko) 하수 가지관의 비굴착 보수장치 및 그 공법
JP7169579B2 (ja) マンホールの補修工法及びマンホールの補修システム
KR101738539B1 (ko) 노후 하수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 보강공법 및 장치
KR20080108892A (ko) 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기 및 보수공법
KR102058004B1 (ko) 노후관로 보수·보강을 위한 조립식 경량 패커 장치
KR200369219Y1 (ko) 관로용 비굴착식 부분 보수장치
KR100872593B1 (ko) 슬라이드 패커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 보수 공법
JP2925466B2 (ja) 既設管渠の更生工法
KR102578875B1 (ko) 자외선 경화반응 기반 하수관로 비굴착 부분 보수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보수방법
KR200428156Y1 (ko) 워터체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보수장치
KR20080087400A (ko) 열선 내장형 관로 보수장치 및 그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