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60B1 - 코딩 교육장치 - Google Patents

코딩 교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60B1
KR102474960B1 KR1020210031257A KR20210031257A KR102474960B1 KR 102474960 B1 KR102474960 B1 KR 102474960B1 KR 1020210031257 A KR1020210031257 A KR 1020210031257A KR 20210031257 A KR20210031257 A KR 20210031257A KR 102474960 B1 KR102474960 B1 KR 102474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oding education
support housing
control modu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923A (ko
Inventor
김도원
Original Assignee
김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원 filed Critical 김도원
Priority to KR102021003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96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09B23/18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for digital electronics; for computers, e.g. 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딩 교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코딩된 프로그램을 통해 광원모듈의 발광되는 광원이 제어되고, 광원을 통해 발광되는 광이 블록부를 통해 분산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코딩의 알고리즘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절차지향적인 컴퓨터언어를 직관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코딩 교육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딩 교육장치{APPARATUS FOR CODING EDUCATION}
본 발명은 코딩 교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교육이 논리력과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부각되면서 소프트웨어를 코딩하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교육은 컴퓨팅적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 교육으로서, 문제를 접하면 문제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된 프로그램 코드를 디바이스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단계적인 과정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때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어떠한 토대와 규칙으로 코딩해야 하는지를 논리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는 알고리즘에 대한 교육도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알고리즘에 대한 교육은 일종의 논리적 언어를 배우는 과정이므로, 논리적 언어가 가지고 있는 기초적인 개념을 알게 하고, 창조적인 경험과 사용자가 만들어낸 것에 대한 성취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알고리즘 교육을 통해 자연스럽게 논리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창의적인 사고가 가능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한편, 종래 코딩교육장치의 일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4461호에 표시부에 출력된 단위 프로그램 명령어에 대응되는 블록을 드래그 앤 드랍으로 일렬로 배치하여 쉽게 코딩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코딩 교육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 배치 방식의 코딩 교육 장치 이외, 다양한 방식으로 코딩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코딩된 프로그램을 통해 광원모듈의 발광되는 광원이 제어되고, 광원을 통해 발광되는 광이 블록부를 통해 분산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코딩의 알고리즘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절차지향적인 컴퓨터언어를 직관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코딩 교육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코딩 교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코딩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어모듈(701)이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하우징부(101); 상기 지지하우징부(101)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모듈(7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딩된 프로그램에 따른 상기 제어모듈(701)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광원(401)이 구비된 광원모듈(103); 상기 지지하우징부(1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주부(403); 및 상기 지주부(403)에 결합되되, 상기 광원모듈(103)에 구비된 상기 광원(40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401)에서 발광된 광을 분산시키는 블록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 교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하우징부(101)는, 내측에 외부 음향을 센싱한 음향신호를 상기 제어모듈(701)로 전송하는 마이크부(10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 교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원모듈(103)의 광원(401)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 교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원(401)과 상기 블록부(105)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지주부(403)는, 인접하는 블록부(10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 교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록부(105)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입체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 교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코딩된 프로그램을 통해 광원모듈의 발광되는 광원이 제어되고, 광원을 통해 발광되는 광이 블록부를 통해 분산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코딩의 알고리즘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절차지향적인 컴퓨터언어를 직관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코딩 교육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광원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지지하우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지지하우징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광원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지지하우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지지하우징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장치(100)는, 코딩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어모듈(701)이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하우징부(101); 지지하우징부(101)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어모듈(7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코딩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모듈(701)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광원(401)이 구비된 광원모듈(103); 지지하우징부(1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주부(403); 및 지주부(403)에 결합되되, 광원모듈(103)에 구비된 광원(40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광원(401)에서 발광된 광을 분산시키는 블록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지지하우징부(101)는, 내측에 코딩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어모듈(701)을 갖는다.
한편, 제어모듈(701)은, 외부 장치(일예로, 스마트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 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모듈이 될 수 있다.
제어모듈(701)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업데이트된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지지하우징부(101)는 일예로, 하부플레이트(107a), 전면플레이트(107b), 후면플레이트(107c), 좌우측면플레이트(107d,107e) 그리고 상부플레이트(107f)를 포함한다.
하부플레이트(107a)와 상부플레이트(107f)는 결속볼트(B)에 의해 상호 고정지지된다.
물론, 결속볼트(B)는 하부플레이트(107a)를 관통하여 더 연장되고, 하부플레이트(107a)를 관통하여 연장된 결속볼트(B)의 단부에는 바닥지지캡(115)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플레이트(107b)와 후면플레이트(107c)에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은, 지지하우징부(101)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방출되는 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지지하우징부(101)는, 내측에 외부 음향을 센싱한 음향신호를 제어모듈(701)로 전송하는 마이크부(10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모듈(7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마이크부(109)를 통해 제어모듈(701)로 전송된 음향신호에 따라, 후술할 광원모듈(103)의 광원(401)이 발광되는 상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또한, 지지하우징부(101)는, 제어모듈(701)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음향을 송출하는 스피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스피커부(미도시)를 통해 음향을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음향 송출과 함께 광원모듈(103)의 광원(401)이 발광되는 상태를 제어하도록 코딩된다.
이어서, 광원모듈(103)은, 지지하우징부(101)의 상부에 결합된다.
광원모듈(103)은, 제어모듈(7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광원모듈(103)은, 단부에 제어모듈(7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단자(301)를 가진다.
광원모듈(103)은, 코딩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모듈(701)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광원(401)을 갖는다.
일예로, 광원(401)은 LED로 제공될 수 있다.
광원모듈(103)에 구비되는 광원(401)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로 제공되는 광원(401)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물론, 복수개의 광원(401)은, 코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이어서, 지주부(403)는, 지지하우징부(101)의 상부에 결합된다.
도면들에서는 지주부(403)가 한쌍으로 제공되고, 한쌍의 지주부(403) 사이에 광원모듈(103)이 배치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지주부(40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지주부(403)는, 일측 단부가 지지하우징부(101)(좀 더 구체적으로 상부플레이트(107f))에 형성된 너트부(303)에 나사결합되어서 고정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주부(403)는, 타측 단부에 마감캡(113)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마감캡(113)은 도 1 기준 최상단에 위치한 블록부(105)가 지주부(40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지주부(403)는, 후술할 인접하는 블록부(10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111)를 더 포함한다.
간격조절부재(111)는 일예로 중공의 링 구조(형상)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격조절부재(111)가 링 구조물로 제공되어서, 지주부(403)에 외삽되는 간격조절부재(111)의 개수에 따라 인접하는 블록부(105)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어서, 블록부(105)는, 지주부(403)에 결합되되, 광원모듈(103)에 구비된 광원(40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광원(401)에서 발광된 광을 분산시킨다.
이러한 블록부(105)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입체 구조물로 제공된다.
일예로, 블록부(105)는 아크릴 소재의 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부(105)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코딩된 프로그램을 통해 광원모듈의 발광되는 광원이 제어되고, 광원을 통해 발광되는 광이 블록부를 통해 분산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코딩의 알고리즘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절차지향적인 컴퓨터언어를 직관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코딩 교육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코딩 교육장치
101 : 지지하우징부
103 : 광원모듈
105 : 블록부
107a : 하부플레이트
107b : 전면플레이트
107c : 후면플레이트
107d : 좌측면플레이트
107e : 우측면플레이트
107f : 상부플레이트
109 : 마이크부
111 : 간격조절부재
113 : 마감캡
115 : 바닥지지캡
301 : 단자
303 : 너트부
401 : 광원
701 : 제어모듈

Claims (5)

  1. 코딩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어모듈(701)이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하우징부(101);
    상기 지지하우징부(101)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모듈(7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딩된 프로그램에 따른 상기 제어모듈(701)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광원(401)이 구비된 광원모듈(103);
    상기 지지하우징부(1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주부(403); 및
    상기 지주부(403)에 결합되되, 상기 광원모듈(103)에 구비된 상기 광원(40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401)에서 발광된 광을 분산시키는 블록부(105);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401)과 상기 블록부(105)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지주부(403)는, 인접하는 블록부(10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 교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하우징부(101)는,
    내측에 외부 음향을 센싱한 음향신호를 상기 제어모듈(701)로 전송하는 마이크부(10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 교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103)의 광원(401)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 교육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105)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입체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 교육장치.
KR1020210031257A 2021-03-10 2021-03-10 코딩 교육장치 KR102474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257A KR102474960B1 (ko) 2021-03-10 2021-03-10 코딩 교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257A KR102474960B1 (ko) 2021-03-10 2021-03-10 코딩 교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923A KR20220126923A (ko) 2022-09-19
KR102474960B1 true KR102474960B1 (ko) 2022-12-05

Family

ID=8346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257A KR102474960B1 (ko) 2021-03-10 2021-03-10 코딩 교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9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989B1 (en) 2000-02-17 2001-07-17 Joseph V Ingraselino Synchronized confetti sprayer and descending illuminated ball
US6755713B1 (en) 2003-05-08 2004-06-29 Mattel Toy with correlated audible and visual outpu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179Y1 (ko) * 2012-02-01 2014-02-07 안성하 바람개비 설치 구조물
WO2017132424A1 (en) * 2016-01-26 2017-08-03 Munchkin, Inc. Educational illumination stacker
US10157552B2 (en) * 2016-07-05 2018-12-18 Brainy Yak Labs Llc Educational la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989B1 (en) 2000-02-17 2001-07-17 Joseph V Ingraselino Synchronized confetti sprayer and descending illuminated ball
US6755713B1 (en) 2003-05-08 2004-06-29 Mattel Toy with correlated audible and visual output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7/0209803호(2017.7.27.) 1부.*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8/0012513호(2018.1.1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923A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6872B2 (ja) 発光ダイオード・スイッチ素子ならびにアレイ
US10935816B2 (en) Light-emitting diode glasses, control system for multiple light-emitting diode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588444B1 (ko)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JP6877688B2 (ja) プログラミング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プログラミング方法
JP6643650B2 (ja) ライト調整システムおよびライト
US20210109719A1 (en) Programm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ming method
US20100136880A1 (en) Replica eye
US11910189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using visual afterimage of light source
KR102474960B1 (ko) 코딩 교육장치
KR102071270B1 (ko) 컬러 블럭을 이용한 유아용 코딩교육 시스템
KR20160100106A (ko) 입체퍼즐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KR20180057951A (ko)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함양시켜 주는 학습용 전자펜 시스템.
JP2017225518A (ja) 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制御システム
KR101946546B1 (ko) 복수의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학습용 개발보드 장치, 입력방법 및 시스템
US8939811B2 (en) Optical toy
KR20190099657A (ko) Diy 조명 장치
KR101875216B1 (ko) 스탠드
KR100824585B1 (ko) 보드 상에 조립되는 블록을 가지는 교구
KR101292318B1 (ko) 교육용 로봇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로봇 컨트롤러
US11925875B2 (en) Interactive electronic toy system
RU2772388C2 (ru) Игрушеч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с блоком управления робототехникой
KR102492224B1 (ko) 사운드 증강 시스템 및 사운드 웨어러블 장치
KR20200082686A (ko) 한글 및 코딩 교육용 스마트 한글 블록 시스템
KR20080040648A (ko)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1806632B2 (en) Educational electronic circuit block set and simulation board displaying electric current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