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881B1 -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4881B1 KR102474881B1 KR1020210090364A KR20210090364A KR102474881B1 KR 102474881 B1 KR102474881 B1 KR 102474881B1 KR 1020210090364 A KR1020210090364 A KR 1020210090364A KR 20210090364 A KR20210090364 A KR 20210090364A KR 102474881 B1 KR102474881 B1 KR 1024748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r
- air pocket
- lamp
- auxiliary
- infrared ray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13 tourmal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032 tourm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70527 tourmal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3 feldsp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2 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atom Chemical compound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09 Kieselg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XCZMVOFGPJBDE-UHFFFAOYSA-L calc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Ca+2] AXCZMVOFGPJBD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20 calc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1 calc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0 il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GIBGUSAECPPNB-UHFFFAOYSA-L nonaaluminum;magnesium;tripotassium;1,3-dioxido-2,4,5-trioxa-1,3-disilabicyclo[1.1.1]pentane;iron(2+);oxygen(2-);fluoride;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2].[O-2].[O-2].[O-2].[O-2].[F-].[Mg+2].[Al+3].[Al+3].[Al+3].[Al+3].[Al+3].[Al+3].[Al+3].[Al+3].[Al+3].[K+].[K+].[K+].[Fe+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 VGIBGUSAECPPN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3 pyrophyl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91 radiatio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5—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여 기능성과 편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스탠드를 사용할 때 인체에 유익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벽의 마감에는 벽돌 또는 평판 상의 점토질의 소성제품인 타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벽돌 또는 타일 등은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 등으로 건물의 내외벽에 고정한다.
현재 사용하는 실내 건축용 타일은 주방, 화장실, 베란다 등과 일부 인테리어 소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위생적인 측면보다는 디자인 및 실용성을 위주로 발전해 왔고, 일부 항균성 타일은 PVC 계열과 유약 부분에 세라믹제를 코팅한 항균 타일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타일이나 벽돌은 주로 콘크리트나 세라믹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게 되며, 최근에는 황토를 혼합하여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갖는 마감재를 사용하기도 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0837850호(2008.06.05.)의 '토양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수산화칼슘과 황토에 맥반석, 일라이트, 토르말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고, 여기에 실리카와 함께 플라이애쉬, 규조토, 화산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과 도석, 납석, 활석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광석입자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염료, 항균제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서 제조되는 타일을 제안하고 있다.
최근에는 여러 가지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타일과 같은 마감재 또는 건축자재를 제조하고자 하는 노력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인체에 유익한 광물이 포함된 재료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황토는 주로 침대 또는 소파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조명 또는 스탠드에 사용된 예는 극히 드문 상태로 사용자가 스탠드를 사용하면서 다량의 원적외선을 신체에 조사할 수 있는 기능성 스탠드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실시 예는 램프에서 발생된 빛과 원적외선이, 보조 램프 유닛에서 발생된 빛과 함께 사용자 또는 특정 위치에 조사될 수 있어 편의성이 형상되고,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로 보조 램프 유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부족한 조도량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전등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이 인체에 보다 많이 침투하도록 에어 포켓부를 구비한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전등에서 원적외선의 방사와 함께 열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 되도록 구조가 변경됨으로써 보다 많은 원적외선이 방사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는 내측 상부에 소켓(S)이 구비된 본체부(50); 상기 소켓(S)에 설치되고, 전원 인가시 빛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램프(L); 상기 본체부(5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램프(L)에서 조사된 빛과 원적외선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저장되도록 형성된 에어 포켓부(110)와, 상기 램프(L)에서 발생된 빛과 원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중앙에 개구부(101)가 형성된 커버부(100); 상기 커버부(100)의 외측 전면에서 상기 램프(L)의 조사범위 이내 또는 조사범위 이외의 위치까지 조사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210)가 구비된 보조 램프 유닛(200); 및 상기 커버부(100)의 후단부에서 연장된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100)에 대한 틸팅 각도 조절을 위한 틸팅부(300)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연장축(2)의 단부에 결합된 받침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포켓부(110)는 상기 커버부(100)에 개구된 입구부(111a)와, 상기 입구부(111a)를 통해 유입된 가열된 공기가 갖는 열 에너지가 상기 커버부(100)의 전면으로 전도 되도록 상기 커버부(100)의 전면을 향해 방사 형태로 연장된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111c, 111cc)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100)에 형성된 마운팅 홀(M)을 통해 상기 본체부(50)와 결합되는 체결 부재(F)가 구비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210)는 상기 체결 부재(F)와 함께 조립되는 지지 브라켓(220)과, 상기 지지 브라켓(2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인트 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램프 유닛(200)은 상기 조인트 부(230)에 양단이 연결되고, 복수의 보조 램프(204)가 구비된 바디부(206); 상기 바디부(206)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램프(204)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바디부(206)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디부(206)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열 배출 홀(242)이 형성된 커버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240)는 선단부와 후단부가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부(244)가 형성되고, 상기 열 배출 홀(242)은 상기 경사부(244)에 경사진 상태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는 상기 에어 포켓부(110)의 좌우 양측에 서 서로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2 보조 에어 포켓부(111cc)는 상기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의 좌우측 중앙 위치에서 하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된다.
본 실시 예들은 원적외선이 빛과 함께 방사되고, 부족한 조도는 보조 램프 유닛을 통해 보완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 예들은 보조 램프 유닛에 대한 조사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조사각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본체부의 내부에 에어 포켓부를 통한 공기의 대류 유동을 유도하여 열전달을 통한 온도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를 향한 원적외선 방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스탠드에 대한 기능과 함께 대량의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사되도록 하여 원적외선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본체부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3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실시 예에 의한 커버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보조 램프 유닛이 체결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보조 램프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의한 보조 램프 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포켓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본체부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3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실시 예에 의한 커버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보조 램프 유닛이 체결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보조 램프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의한 보조 램프 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에어 포켓부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1)는 친환경 재료인 점토 또는 황토가 사용되므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어 인체에 무해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1)는 내측 상부에 소켓(S)이 구비된 본체부(50)와, 상기 소켓(S)에 설치되고, 전원 인가시 빛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램프(L)와, 상기 본체부(5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램프(L)에서 조사된 빛과 원적외선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저장되도록 형성된 에어 포켓부(110)와, 상기 램프(L)에서 발생된 빛과 원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중앙에 개구부(101)가 형성된 커버부(100)와, 상기 커버부(100)의 외측 전면에서 상기 램프(L)의 조사범위 이내 또는 조사범위 이외의 위치까지 조사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210)가 구비된 보조 램프 유닛(200) 및 상기 커버부(100)의 후단부에서 연장된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100)에 대한 틸팅 각도 조절을 위한 틸팅부(300)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연장축(2)의 단부에 결합된 받침부(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틸팅부(300)는 나비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부(50)에 대한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장축(2)의 외측에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투명 재질로 형성된 보호 커버(4)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 커버(4)는 받침부(400)의 상면에 결합된다.
받침부(400)는 본체부(50) 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갖게 이루어지므로 묵 중심이 상기 받침부(400)에 위치하게 되어 일측 방향으로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50)는 반구 형태 또는 반원 형태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반구 형태로 도시하였다.
본체부(50)는 일 예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점토 또는 황토 또는 고령토 또는 청자토 또는 백자토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로 선택되어 성형될 수 있으며 특별히 특정 재료로 한정 하지 않는다.
일 예로 본체부(50)는 점토 또는 황토와 같은 광물로 형성되고, 원적외선이 보다 용이하게 방사되도록 원적외선 광물(토르말린석과 맥반석과 게르마늄, 백장석) 성분과 유약이 혼합된 광물층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원적외선 방사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유발한다.
본체부(50)에는 내측 소켓(S)에 램프(L)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L)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크기 또는 모양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체부(50)에는 커버부(100)와 결합되도록 선단부 내측 원주 방향에 복수개의 지지부재(1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후술할 체결 부재(F)가 삽입되는 체결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 부재(F)가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0)는 일 예로 상기 본체부(50)의 하면과 대응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0)는 전면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된 원적외선 방사 홀(102)이 형성되고, 중앙에 개구부(101)가 형성되어 상기 램프(L)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원적외선 방사 홀(102)과 개구부(101)를 통해 조사되고, 원적외선도 함께 외측으로 방출된다.
상기 커버부(100)에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 홀(102)이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에 마운팅 홀(M)이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 홀(M)은 후술할 체결 부재(F)가 설치되는 곳으로 본체부(50)에 커버부(100)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마운팅 홀(M)이 원적외선 방사 홀(102)과 원주 방향에서 겹치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이유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 홀(102)을 통해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체결 부재(F)는 상기 본체부(50)의 내측에 구비된 지지부재(10)를 경유하고 상기 커버부(100)의 전면 외측까지 연장된 체결 축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 너트(N)를 통해 상기 본체부(50)에 커버부(100)를 탈부착 시킬 수 있다.
체결 부재(F)는 본체부(50)의 내측에서 지지부재와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는 체결 암(미도시)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부(50)에 커버부(100)가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50)에 커버부(100)가 밀착되도록 상기 체결 너트(N)를 체결 축에 나사 결합시킬 경우 상기 커버부(100)가 본체부(50)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보조 램프 유닛(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램프 유닛(200) 없이 램프(L)에 커버부(100)만 구비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커버부(100)에 보조 램프 유닛(200)을 부착시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램프(L)와 보조 램프 유닛(200)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램프 유닛(200)은 램프(L)의 조사 범위 이내에서 함께 조사되도록 사용하거나, 상기 램프(L)의 조사범위 이외의 위치까지 조사 범위를 확대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보다 확대된 조사 면적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조 램프 유닛(200)은 커버부(100)의 전면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210)를 매개로 조사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자는 보조 램프 유닛(200)을 통해 램프(L) 단독 사용으로 부족한 조도를 보충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어 어두운 곳에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210)는 상기 체결 부재(F)와 함께 조립되는 지지 브라켓(220)과, 상기 지지 브라켓(2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인트 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브라켓(220)은 일단이 상기 체결 부재(F)에 삽입되는 제1 지지 브라켓(222)과, 상기 제1 지지 브라켓(222)의 외측으로 연장된 단부에서 커버부(10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제2 지지 브라켓(2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 브라켓(222)은 체결 부재(F)와 결합을 위해 구비되고, 제2 지지 브라켓(224)은 보조 램프 유닛(200)과 결합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 브라켓(224)은 후술할 조인트 부(230)가 삽입되도록 반구 형태의 조인트 홈(224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인트 부(230)가 삽입된다.
상기 제2 지지 브라켓(224)은 후술할 바디부(206)가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조사 각도가 변경될 때 상기 커버부(100)의 전면과 최소한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지지 브라켓(222)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조인트 부(230)는 후술할 바디부(206)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 조인트 부(230)는 상기 조인트 홈(224a)에 삽입되도록 구 형태로 이루어진 조인트 볼로 형성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부(230)가 상기 제2 지지 브라켓(224)에 삽입될 경우 후술할 바디부(206)가 화살표 방향에서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조사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부(230)는 바디부(206)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보조 램프 유닛(200)은 상기 조인트 부(230)에 양단이 연결되고, 복수의 보조 램프(204)가 구비된 바디부(206)와, 상기 바디부(206)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램프(204)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바디부(206)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디부(206)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열 배출 홀(242)이 형성된 커버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06)는 전술한 커버부(100)의 원적외선 방사 홀(102)과 겹치지 않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어 후술할 보조 램프(204)가 램프(L)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커버부(100)를 외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원적외선 방사 홀(102)의 반경 방향 외측에 보조 램프 유닛(200)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적외선 방사 홀(102)의 개구된 영역이 항시 오픈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램프(L)에서 발생된 원적외선은 원적외선 방사 홀(102)을 통해 다량의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해지고, 상기 보조 램프 유닛(200)은 사용자 또는 상기 커버부(100)의 외측을 향해 빛을 안정적으로 조사할 수 있게 되어 원적외선 방출과 함께 빛을 함께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램프 유닛(200)은 조사각에 따라 조사 범위가 조절되고, 부족한 광량을 보완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디부(206)는 커버부(100)의 원주 방향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지게 연장되므로 커버부(1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주변 구조물과 직접적인 충돌로 인한 파손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보조 램프 유닛(200)은 도면에 도시된 배치 상태 이외에도 다르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배치 상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보조 램프(204)는 엘이디(LED)가 사용되고, 램프(L)의 부족한 광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램프(204)는 바디부(206)의 내측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바디부(206)는 상기 커버부(240)를 제외한 보조 램프 유닛(2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부(240)는 보조 램프(204)와 마주보며 바디부(206)에 구비되고, 내측면에 사용자의 눈부심이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필름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눈부심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열 배출 홀(242)은 보조 램프(204)에서 발생된 열기가 배출되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보조 램프(204) 자체에서 발생된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목적과, 상기 램프(L)에서 발생된 열기가 보조 램프(204)를 가열할 때 발생된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240)는 선단부와 후단부가 바디부(206)를 바라보는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부(244)가 형성되고, 상기 열 배출 홀(242)은 상기 경사부(244)에 경사진 상태로 개구된다.
상기 열 배출 홀(242)은 보조 램프(204)에서 발생된 빛이 사용자의 눈으로 조사될 경우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부(240)에는 열 배출 홀(242)을 통한 빛 번짐이 최소화 되도록 상기 커버부(240)의 양측 단부에 격벽(246)이 구비된다.
상기 격벽(246)은 커버부(240)가 길이 방향에서 연장된 양측 단부에 구비된 제1 격벽(246a)과, 상기 제1 격벽(246a)의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2 격벽(246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격벽(246b)에는 단면도를 기준으로 보조 램프(204)의 빛이 상기 제1 격벽(246a)으로 최소한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제2 격벽(246b)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보조 램프(204)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격벽(246b)은 보조 램프(204)에서 조사된 빛을 재 반사 시켜 열 배출 홀(242)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눈부심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부(100)는 외측 중 하측으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커버부(100)의 내측에 에어 포켓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포켓부(110)에 소정의 온도를 갖는 공기를 이동 없이 가둔 상태로 지속적인 대류 현상을 통해 표면 온도를 상승시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커버부(100)의 하측에 위치될 경우 소정의 온도를 갖는 원적외선이 하측을 향해 다량 방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00)는 온도가 높을 수록 원적외선의 외부 방사량이 증가하므로 램프(L)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와 함께 상기 커버부(100)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원적외선 방사량을 동시에 증가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포켓부(110)는 상기 커버부(100)에 개구된 입구부(111a)와, 상기 입구부(111a)를 통해 유입된 가열된 공기가 갖는 열 에너지가 상기 커버부(100)의 전면으로 전도 되도록 상기 커버부(100)의 전면을 향해 방사 형태로 연장된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111c, 111cc)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포켓부(110)는 본체부(50)와 같이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재질(점토, 황토, 백토)로 제작된다.
상기 커버부(100)는 상면 또는 하면에 알루미늄 또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판 형태의 열전달판이 함께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며 특별히 특정 재질 또는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사용된다.
상기 에어 포켓부(110)는 원적외선 방사량의 극대화를 위해 특정 온도로 외부에서 열이 가해질 경우 본체부(50)의 외측으로 조사되는 방사율이 현저하게 증가되도록 열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는 점토, 황토, 백토,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와 유사하게 열전달율이 높은 재질이 사용되므로 상기 에어 포켓부(110)를 통한 원적외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에어 포켓부(110)는 구 형태, 타원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나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공기의 대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내측이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부(50)가 제작될 때 별도의 구성품으로 삽입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함께 제작될 수 있다.
램프(L)가 작동될 경우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L)와 커버부(10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의 대류 현상이 발생된다. 커버부(100)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외측으로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사용자의 피부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이 사용자의 혈액 순환 및 노폐물 배출과 함께 유해 세균에 대한 살균 효과를 유발시켜 친환경 마감재 또는 타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는 도면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보조 에어 포켓부(111cc)는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의 좌우측 사이에서 도면기준 하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된다.
본체부(50)는 하면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될 경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에어 포켓부(110)의 내부에서의 공기 온도가 상승되면서 대류 현상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공기 온도가 에어 포켓부(110)에서 상승될 경우 열전달 현상에 의해 커버부(100)의 하면에서의 표면 온도가 하강 되지 않고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므로 특정 온도로 가열되지 않는 상온의 온도에서도 보다 많은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수 있다.
에어 포켓부(110)는 일종의 챔버 역할을 하되 대류 및 열전달 현상에 의해 에어 포켓부(100)의 주변과 커버부(50)의 온도 하강을 딜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는 상기 에어 포켓부(110)와 연통된 일종의 통로에 해당되고, 상기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에서 순환하는 열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는 내측 하단부(111b)에 복수개가 방사 형태로 배치되므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대류 순환 이동되면서 상기 에어 포켓부(110)에서 체류하게 되고 열전달을 통해 커버부(100)에 대한 온도 하강을 최대한 지연시켜 다량의 원적외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위치되고, 제2 보조 에어 포켓부(111cc)는 좌우 양측(도면 기준)으로 이웃한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 사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된다. 상기 보조 에어 포켓부(111cc)가 이와 같이 연장되는 이유는 본체부(50)의 두께를 고려하여 짧게 연장된다.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111c, 111cc)에는 일부의 공기가 대류 현상에 의해 유입된 이후에 손쉽게 빠져나가지 않고 머무르게 되므로 특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가둘 수 있어 커버부(50)가 소정의 온도로 상승된 이후에 급격한 온도 하강을 방지하여 다량의 원적외선을 외측으로 방사하는데 보다 유리해 진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111c, 111cc)에 가열된 공기가 머무르게 되면서 커버부(100)의 표면 온도가 하강되는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에어 포켓부(110)에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111c, 111cc)와 연결된 연결 부위에 직경이 감소된 제1,2 직경 감소부(111c1, 111cc1)가 형성된다.
상기 제1,2 직경 감소부(111c1, 111cc1)는 구 형태로 형성된 에어 포켓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대류 이동하는 공기가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111c, 111cc)로 유입된 이후에 다시 배출되는 량이 최소화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구 형태의 에어 포켓부(110)는 내주면에서 가열된 공기의 대류 순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111c, 111cc)로 일부의 공기가 유입 및 체류하게 되어 커버부(100) 전체의 온도 하강을 방지하고 지속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50)는 표면 열손실로 인한 온도 하강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에어 포켓부(110)를 통한 공기의 가열 및 대류 현상을 유도하여 방사율을 증가시키는데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에어 포켓부(110)를 종 방향 단면을 잘라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면에 개구된 입구부(111a)가 상협 구조로 개구되고, 상기 입구부(111a)를 기준으로 하광 구조의 내측 하단부(111b)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하단부(111b)에서 상기 커버부(100)의 하면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111c, 111cc)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 포켓부(110)가 상협하광 형태로 형성되는 이유는 커버부(100)의 하면 온도가 하강 되지 않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온도로 가열이 되는 경우에도 보다 많은 원적외선을 외측으로 방출시키기 위해서이다.
일 예로 커버부(100)는 단면도로 도시된 구조를 갖고 점토 또는 황토와 같은 광물로 형성되며, 하면에 원적외선이 보다 용이하게 방사되도록 원적외선 광물(토르말린석과 맥반석과 게르마늄, 백장석) 성분과 유약이 혼합된 광물층(101)이 형성되어 있어 상면의 온도가 높을수록 원적외선 방사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유발한다.
이를 위해 에어 포켓부(110)의 입구부(111a)는 작은 면적으로 개구되고, 내측 하단부(111b)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 포켓부(110)에서 열의 지속적인 대류 이동에 의한 온도 유지는 지속되고, 상기 입구부(111a)의 외측에 해당되는 커버부(100)의 하면으로는 상대적으로 열의 배출 이동은 감소되어 열손실이 최소화 되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00)는 하면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될 경우 상기 에어 포켓부(110)의 내부에서의 공기 온도가 상승되나, 입구부(111a)의 개구된 면적이 작아서 열의 외부 유출은 감소되며 상기 에어 포켓부(110)에서의 대류 현상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에어 포켓부(110)에서 공기 온도가 상승될 경우 열전달 현상에 의해 커버부(100)의 표면 온도가 하강되지 않고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므로 특정 온도로 가열되지 않는 상온의 온도에서도 원적외선을 보다 많이 방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50 : 본체부
L : 램프
100 : 커버부
110 : 에어 포켓부
111a : 입구부
111c, 111cc :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
200 : 보조 램프 유닛
210 : 각도 조절부
220 : 지지 브라켓
230 : 조인트 부
L : 램프
100 : 커버부
110 : 에어 포켓부
111a : 입구부
111c, 111cc :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
200 : 보조 램프 유닛
210 : 각도 조절부
220 : 지지 브라켓
230 : 조인트 부
Claims (5)
- 내측 상부에 소켓(S)이 구비된 본체부(50);
상기 소켓(S)에 설치되고, 전원 인가시 빛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램프(L);
상기 본체부(5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램프(L)에서 조사된 빛과 원적외선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저장되도록 형성된 에어 포켓부(110)와, 상기 램프(L)에서 발생된 빛과 원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중앙에 개구부(101)가 형성된 커버부(100);
상기 커버부(100)의 외측 전면에서 상기 램프(L)의 조사범위 이내 또는 조사범위 이외의 위치까지 조사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210)가 구비된 보조 램프 유닛(200); 및
상기 커버부(100)의 후단부에서 연장된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100)에 대한 틸팅 각도 조절을 위한 틸팅부(300)에 결합되어 지면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연장축(2)의 단부에 결합된 받침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포켓부(110)는 상기 커버부(100)에 개구된 입구부(111a)와, 상기 입구부(111a)를 통해 유입된 가열된 공기가 갖는 열 에너지가 상기 커버부(100)의 전면으로 전도 되도록 상기 커버부(100)의 전면을 향해 방사 형태로 연장된 제1,2 보조 에어 포켓부(111c, 111cc)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00)에 형성된 마운팅 홀(M)을 통해 상기 본체부(50)와 결합되는 체결 부재(F)가 구비되며,
상기 각도 조절부(210)는 상기 체결 부재(F)와 함께 조립되는 지지 브라켓(220)과, 상기 지지 브라켓(2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인트 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램프 유닛(200)은 상기 조인트 부(230)에 양단이 연결되고, 복수의 보조 램프(204)가 구비된 바디부(206)와, 상기 바디부(206)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램프(204)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바디부(206)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디부(206)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열 배출 홀(242)이 형성된 커버부(240)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40)는 선단부와 후단부가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부(244)가 형성되고, 상기 열 배출 홀(242)은 상기 경사부(244)에 경사진 상태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는 상기 에어 포켓부(110)의 좌우 양측에 서 서로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2 보조 에어 포켓부(111cc)는 상기 제1 보조 에어 포켓부(111c)의 좌우측 중앙 위치에서 하측을 향해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된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0364A KR102474881B1 (ko) | 2021-07-09 | 2021-07-09 |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0364A KR102474881B1 (ko) | 2021-07-09 | 2021-07-09 |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4881B1 true KR102474881B1 (ko) | 2022-12-07 |
Family
ID=8444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0364A KR102474881B1 (ko) | 2021-07-09 | 2021-07-09 |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4881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64009A (ja) * | 1995-03-16 | 1996-10-11 | David M Burd | 反射式ハイブリッドランプアッセンブリ |
KR20030031375A (ko) * | 2001-10-15 | 2003-04-21 | 장익춘 | 관절 치료기 |
KR100837850B1 (ko) | 2007-06-12 | 2008-06-13 | 동서산업주식회사 | 토양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090107628A (ko) * | 2008-04-10 | 2009-10-14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사 및 대류 열전달을 이용한 가열장치 |
KR20130063059A (ko) * | 2011-12-06 | 2013-06-14 | 금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엘이디를 구비한 탄소램프 히터 |
JP2019505959A (ja) * | 2016-01-19 | 2019-02-28 |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 照明デバイス |
KR102105450B1 (ko) * | 2020-02-03 | 2020-04-29 | 오희정 |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 |
KR102245412B1 (ko) * | 2020-02-28 | 2021-04-28 | 자현당 주식회사 | 원적외선 방사용 마감재 |
-
2021
- 2021-07-09 KR KR1020210090364A patent/KR1024748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64009A (ja) * | 1995-03-16 | 1996-10-11 | David M Burd | 反射式ハイブリッドランプアッセンブリ |
KR20030031375A (ko) * | 2001-10-15 | 2003-04-21 | 장익춘 | 관절 치료기 |
KR100837850B1 (ko) | 2007-06-12 | 2008-06-13 | 동서산업주식회사 | 토양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090107628A (ko) * | 2008-04-10 | 2009-10-14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사 및 대류 열전달을 이용한 가열장치 |
KR20130063059A (ko) * | 2011-12-06 | 2013-06-14 | 금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엘이디를 구비한 탄소램프 히터 |
JP2019505959A (ja) * | 2016-01-19 | 2019-02-28 |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 照明デバイス |
KR102105450B1 (ko) * | 2020-02-03 | 2020-04-29 | 오희정 |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 |
KR102245412B1 (ko) * | 2020-02-28 | 2021-04-28 | 자현당 주식회사 | 원적외선 방사용 마감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6650B1 (ko) | 난방용 방열기 | |
KR102474881B1 (ko) |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 |
DK200200290U3 (da) | Brusekombination | |
KR102245412B1 (ko) | 원적외선 방사용 마감재 | |
KR102310103B1 (ko) | 원적외선 방사용 전등 | |
KR100767731B1 (ko) | 전기 발열램프용 히터 | |
KR20160133094A (ko) | 다용도 온열치료기 | |
EP3655694B1 (en) | Lighting module | |
KR102293149B1 (ko) | 원적외선 방사용 타공판 | |
WO2013085403A1 (en) | Segment of an aquarium cover with a heating and lighting device | |
KR102544317B1 (ko) | 원적외선 취침등 | |
KR20220106388A (ko) | 원적외선 복사ㆍ방사에 의한 냉난방 장치 | |
KR101099554B1 (ko) | 원적외선 전기 히터 | |
US1156437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animals | |
JP2905090B2 (ja) | 室内ヒーター装置 | |
KR200238057Y1 (ko) |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스텐드 | |
KR102582337B1 (ko) | 원적외선 방사용 찜질 유닛 | |
KR200276499Y1 (ko) | 원적외선 방사 좌욕기 | |
KR200405348Y1 (ko) |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가진 선풍기형 전기히터 | |
AU2007237156B2 (en) | Room conditioning | |
CN212157352U (zh) | 紫外线消毒浴霸 | |
KR200185898Y1 (ko) | 침대 | |
KR200165281Y1 (ko) | 포터블 맥반석 사우나 장치 | |
KR200374824Y1 (ko) | 입식 전기난로 | |
KR20090107628A (ko) | 복사 및 대류 열전달을 이용한 가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