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450B1 -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450B1
KR102105450B1 KR1020200012349A KR20200012349A KR102105450B1 KR 102105450 B1 KR102105450 B1 KR 102105450B1 KR 1020200012349 A KR1020200012349 A KR 1020200012349A KR 20200012349 A KR20200012349 A KR 20200012349A KR 102105450 B1 KR102105450 B1 KR 102105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far
lamp
infrared lamp
ir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정
오봉규
Original Assignee
오희정
오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정, 오봉규 filed Critical 오희정
Priority to KR1020200012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3Oxides of refractory metals or ytt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40Oxides
    • C23C16/405Oxides of refractory metals or ytt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4/00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 C23C24/02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by application of pressure only
    • C23C24/04Impact or kinetic deposition of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4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61N2005/0633Arrangements for lifting or hinging the frame which supports th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a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팅 대상인 적외선램프의 표면을 35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연소시켜 이물질을 소각하는 단계;와 이물질 소각 후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을 전처리하기 위해 샌딩하는 단계;와 샌딩 후 상기 적외선램프를 진공챔버에 넣고40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아르곤과 질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주입하여 플라즈마로 직경 10~20㎛의 다공성 TiO2 나노입자 박막을 코팅하고 소성시키는 단계;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에 티타늄과 나노다이아몬드 토르마늄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소성시키고 건조하는 단계; 산화철,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혼합분말을 1300℃ 내지 1400℃에서 1시간 열처리 후 급랭시킨 평균입도 0.5㎛의 분말을 30~40㎛ 두께로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에 코팅하고,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산화물 혼합분말로 제조된 세라믹 코팅을 적외선램프에 코팅함으로써, 기존의 원적외선 조사기 제품 대비 원적외선 방사에너지의 방출량을 높은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허니컴구조의 케이스커버를 통해 열효율을 증대시키고, 균일한 열전달을 통해 원적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Description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far infrared coating of far infrared irradiator and lamp}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팅 대상인 적외선램프의 표면을 35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연소시켜 이물질을 소각하는 단계;와 이물질 소각 후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을 전처리하기 위해 샌딩하는 단계;와 샌딩 후 상기 적외선램프를 진공챔버에 넣고40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아르곤과 질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주입하여 플라즈마로 직경 10~20㎛의 다공성 TiO2 나노입자 박막을 코팅하고 소성시키는 단계;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에 티타늄과 나노다이아몬드 토르마늄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소성시키고 건조하는 단계; 산화철,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혼합분말을 1300℃ 내지 1400℃에서 1시간 열처리 후 급랭시킨 평균입도 0.5㎛의 분말을 30~40㎛ 두께로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에 코팅하고, 유리로 구비되는 상기 적외선 램프가 급팽창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램프는, 전자파 흡수기능을 지닐 수 있도록, 구리, 니켈 성분이 함유된 0.03mm 단위의 얇은 전도성 코팅 피막인 전자파(EMI) 차폐 도전성 세라믹 도료에 고방사 원적외선 물질을 혼합하여 세라믹 코팅 도장 방식으로 코팅되는 것을 포함하는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방법을 제공한다.
원적외선은 파장이 25㎛ 이상인 적외선을 말하는데 사람의 몸에 잘 흡수되어 몸이 따뜻해지고 세균도 없애주며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노화방지, 성인병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원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서 열작용이 크고 침투력이 강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 작용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원적외선 조사 난방기, 건강 사우나, 원적외선 조사 치료기, 원적외선 세라믹 오븐, 배전 장치, 식품 가열 장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원적외선을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방에서 극히 알려진 원적외선, 음이온 등의 효능에 대한 건강증진 효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또한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광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시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는 장치와 방법들이 개발 되고 있는 추세다.
또 다른 "공기속의 비타민", "공기 중에 있는 산소 알맹이"라고 표현되는 음이온은, 인간 세포는 세포막으로 둘러쌓여 있고 이 막속에는 나트륨, 칼륨ATP 아제라고 하는 산소가 존재한다. 이 산소가 세포 속의 칼륨이온과 세포표면에 있는 나트륨이온을 서로 교환시켜서 세포에 영양과 산소가 공급 및 흡수되고 이산화탄소와 노페물이 배출된다. 체내 흡수된 음이온은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활력을 증가하며, 피를 맑게 하고, 신경안정과 피로 회복, 식욕 증진에 높은 효과를 준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음이온은 세포 속의 칼륨 이온과 세포 밖의 나트륨 이온을 교환하며, 영양이나 산소를 수송하고, 이산화탄소나 노폐물을 배출하며 체내에 받아들여진 음이온은 세포막에 압력을 가하여 세포의 이온 교환을 돕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혈액의 정화 세포의 활성화로 신진대사가 활발해진 결과로 혈액은 정화된 상태를 유지 및 동맥 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청 콜레스테롤을 억제 그리고 혈액 중의 세균을 잡고 살균하는 매크로살균바이러스를 활성화하여 면역력을 높이는 역할, 피로 회복 음이온이 체내에 들어오면 체액이 약 알칼리화되고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되어 피로 물질을 연소시켜 상쾌한 기분으로 만들어 준다.
이상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물질로서 알려진 황토, 맥반석, 음이온,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현대인들의 성인병을 치료와 예방 등을 할 수 있도록 여러 형태의 치료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개인적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유익물질인 황토, 맥반석, 음이온, 원적외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43661호가 있다.
이러한 기술은 사용이 편리하도록 이동식 포터블 원적외선 발생장치라 하여 이동목적의 캐스터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가열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방사체와 방사수단 및 이 방사수단을 가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수단이 전원을 통해 가열되는 가열기로 이루어진 이동식 포터블 원적외선 발생장치를 제공한바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고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지 못하였으며, 개선된 고안으로 실용신안등록 제20-0226631호에서는 전원으로 가열과 이동이 용이한 이동식 포터블 원적외선 발생장치를 구성하되 망체로 이루어진 외측수용부재를 구비한 케이스수단과, 이 케이스수단의 내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다수개의 방사체가 망 형상의 방사체수용부재에 수용된 방사수단과, 이 방사수단의 내부 중심에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램프가 구비된 가열수단과, 상기 방사체수용부재로 수용되는 방사체와 가열수단의 적외선램프와 부딪혀 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램프보호망이 설치되는 이동식 포터블 원적외선 발생장치를 구성하여 이용한 바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는 적외선램프로 가열되는 황토볼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환자의 치료부위에 집중적으로 조사되지 못하고 원적원선 발생이 극히 미미하여 종합적인 치료효과를 볼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6631호 (2001.03.2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3661호 (2001.08.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89709호(2017.10.18.)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조사기의 램프인 적외선램프에 원적외선 코팅을 하여 원적외선을 고 방사함과 동시에, 전자파 차단 도료가 코팅되어 전자파 차단의 기능을 가지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적외선 조사기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대상물체에 근접시켜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에 의해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허니컴구조의 케이스커버에 의해 열에 의한 내구성 강화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의 전달이 균일하고 원거리까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환자의 치료기로 사용되는 원적외선 조사기 뿐만 아니라, 소, 돼지 등의 축사용 또는 수경재배용 등으로 사용하는 원적외선 조사기의 원적외선 코팅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에 있어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적외선램프가 결합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전단부와 결합되며, 타단부의 내주면에 결합편이 구비되는 램프 하우징; 상기 램프 하우징의 결합편과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결합구가 구비되고, 일면이 관통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원적외선이 관통하는 방열판;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을 바람에 의해 전방으로 전달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방열판의 전면에 구비되되, 전후가 개방되며 내부에 벌집형상의 육각기둥이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다수개 돌출되어 배열되는 허니컴구조를 가지는 케이스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의 회전날개는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날개의 표면에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반원구의 형태로 다수의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하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브라켓, 일단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어 회동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내부에 관통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일단이 고정되어 바닥에 안정되게 세워놓을 수 있도록 바퀴를 구비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힌지공과 상기 본체를 상, 하로 일정각도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 각도조절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있어서, 코팅 대상인 적외선램프의 표면을 35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연소시켜 이물질을 소각하는 단계;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을 전처리하기 위해 샌딩하는 단계; 상기 적외선램프을 진공챔버에 넣고 40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아르곤과 질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주입하여 플라즈마로 직경 10~20㎛의 다공성 TiO2 나노입자 박막을 코팅하고 소성시키는 단계;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에 티타늄과 나노다이아몬드 토르마늄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소성시키고 건조하는 단계; 및 산화철,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혼합분말을 1300℃ 내지 1400℃에서 1시간 열처리 후 급랭시킨 평균입도 0.5㎛의 분말을 30~40㎛ 두께로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에 코팅하고, 유리로 구비되는 상기 적외선 램프가 급팽창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램프는, 전자파 흡수기능을 지닐 수 있도록, 구리, 니켈 성분이 함유된 0.03mm 단위의 얇은 전도성 코팅 피막인 전자파(EMI) 차폐 도전성 세라믹 도료에 고방사 원적외선 물질을 혼합하여 세라믹 코팅 도장 방식으로 코팅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산화물 혼합분말로 제조된 세라믹 코팅을 적외선램프에 코팅함으로써, 복사열이 우수하고, 특히 고온에서 복사율이 감소 되지 않아 기존의 원적외선 조사기 제품 대비 총 방열량을 증대시킨 원적외선 조사기로, 원적외선 방사에너지의 방출량을 높은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공성 층을 형성하여 인접한 타 코팅층과의 결합력 향상을 통해 코팅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니컴구조의 케이스커버를 통해 열효율을 증대시키고, 균일한 열전달을 통해 원적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조사기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와 결합된 원적외선 조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와 결합된 원적외선 조사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와 결합된 원적외선 조사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와 결합된 원적외선 조사기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와 결합된 원적외선 조사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회전날개와 이에 구비된 홈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커버에 구비되는 허니컴구조와 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따른 적외선램프의 배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의해 코팅된 제품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의해 코팅된 제품의 인체유해물질 검출 시험성적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조사기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조사기(1)는 본체(10), 램프하우징(12), 방열판(15), 송풍팬(17), 케이스커버(1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에서 빛과 열을 발산하는 역할을 하는 적외선램프(11)가 마련되어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적외선램프(11)는 일반적인 전구 모양으로 마련되어, 램프 자체로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도록 후술할 코팅방법으로 코팅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할 원적외선이 코팅된 방열판(15)을 가열하여 원적외선이 반사되어 방사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10)는 내열성이고, 반사 효율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세라믹 등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는 일측이 개구된 함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적외선램프(11)가 구비된다.
상기 적외선램프(11)는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10)의 개구된 부분으로 적외선의 열과 빛이 방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 내측벽에는 적외선의 반사를 위한 반사판(미도시)이 내부 둘레를 따라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적외선램프(11)에는 원적외선 물질이 코팅되고, 코팅된 원적외선 물질이 고온에 의해 방사되어 사용자에게 조사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적외선램프(11)의 커버는 유리로 구비 될 수 있으며, 상기 원적외선 물질이 코팅될 때, 쉽게 깨지거나 파손이 되지 않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표면은 별도의 화학처리가 되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적외선램프(11)는 전자파(EMI) 차폐 도전성 세라믹 도료에 고방사 원적외선 물질을 혼입하여 세라믹 코팅 도장 방식으로 코팅되어 전자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비 될 수 있다.
상기의 세라믹 코팅 도장 방식으로 코팅된 상기 적외선램프(11)은 전자파를 현저하게 줄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적외선램프(11)의 내외부는 전자파(EMI) 차폐 도전성 도료가 디핑(Dipping) 혹은 스프레이(Spray) 방식으로 코팅되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EMI 차폐는 전도체를 이용해 유해 전자파를 차단해 기계장비와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코팅되는 것을 말한다.
일예로, 구리, 니켈 성분이 함유된 0.03mm 단위의 얇은 전도성 코팅 피막을 디핑 혹은 스프레이 방식으로 코팅하여 전자파를 흡수 및 감쇠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10)의 형상은 원적외선이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집중되어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램프(11)의 열과 빛이 후술할 방열판(15)을 통과하면서 그 복사열로 인한 공진공명 작용 즉, 1분에 2000번씩 세포를 흔들어 보통의 열기보다 대략 80배나 깊은 몸속 40~60mm로 스며들고 인체는 이러한 파동에 영향을 받아 신진대사를 촉진함으로서 건강에 기여됨과 함께 원적외선의 다량 방사로 인하여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집중된 조사로 그 치료 효과를 크게 증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적외선램프(11)가 고정될 수 있도록 소켓(미도시)이 마련되어 결합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송풍팬(17)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17)은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전방으로 전달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송풍팬(17)은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방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대류시켜 열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동시에 원거리까지 열을 전달하여 열 효율 및 능률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송풍팬(17)은 상기 적외선램프(11)의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적외선램프(11)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송풍팬(17)의 바람에 의해 전방으로 신속히 보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송풍팬(17)이 구비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상기 적외선램프(11)의 좌,우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송풍팬(17)이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송풍팬(17)의 풍량을 증대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후면은 다수개의 통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공에 의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상기 송풍팬(17)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10) 후방에서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적외선램프(11)를 수용하는 램프하우징(12)이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결합되어 마련된다.
상기 램프하우징(12)은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발산하는 빛과 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감소시키고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외선램프(11)의 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하우징은(12)은 단열 기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어 외부로 열이 방출되거나 외부면이 가열되어 사용자가 화상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램프하우징(12)의 후단은 상기 본체(10)와 끼움 결합 또는 회전 결합에 의해 체결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램프하우징(12)의 전단 내주면에는 결합편(13)이 구비되어 마련된다.
상기 결합편(13)은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가 구비되어 후술할 방열판(15)에 마련되는 결합구(14)와 체결되어 상기 방열판(15)을 상기 램프하우징(12)에 고정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방열판(15)은 상기 램프하우징(12)의 상기 결합편(13)과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결합구(14)가 구비되고, 일면이 관통된 다수개의 구멍(16)이 형성된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편(13)은 상기 램프하우징(12)에 마련된 상기 결합구(13)와 대응되어 나사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15)에서는 일면이 관통된 다수개의 구멍(16)을 통해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발산하는 빛과 열이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전달된다.
일예로, 상기 방열판(15)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쉽게 파손 및 변형이 되지 않도록 광물소재, 더욱 바람직하게는 운모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스커버(19)는 상기 방열판(15)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 후방이 개방되어 내부가 관통되는 벌집형상의 육각기둥이 다수개 배열되는 허니컴구조(19a)로 이루어져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커버에 구비되는 허니컴구조와 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15)의 전면에는 전,후가 개방되며 내부에 벌집형상의 육각기둥이 다수개 배열되는 허니컴구조(19a)를 가지는 케이스커버(19)가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케이스 커버(19)는 상기 램프하우징(12)의 전면부와 끼움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19)는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를 상기 송풍팬(17)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전면으로 공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발생된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 된다.
상기 허니컴구조(19a)로 형성된 상기 케이스커버(19)는 벌집의 형상과 같은 육각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가장 튼튼한 구조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케이스커버(19)는 고온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지속적으로 열을 받는 부위이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해야 하고,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아 방출할 수 있어야 하며, 국부적인 팽창이 일어나지 않도록 쉽게 변형이 되지 않는 구조 및 재질로 구비 되어야 한다.
일예로,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커버(19)는 상기 허니컴구조(19a)의 다수개의 육각기둥이 전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송풍팬(17)에 의해 배출될 때, 상기 케이스커버(19) 단부에서 공기 배출이 정체하고, 멀리까지 전달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전면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상기 허니컴구조(19a)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허니컴구조(19a)의 내부에서 집중되어, 이후 원거리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허니컴구조(19a)는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19)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복수개의 육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가 외부 충격에 의해 넘어지거나 충격을 받을 경우 상기 허니컴구조(19a)의 상호 연결 관계에 의해 쉽게 파손이 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상기 적외선램프(11)를 보호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상기 허니컴구조(19a)의 내부에 공기의 와류를 발생시키는 유도흐름판(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공기의 흐름이 상기 허니컴구조(19a) 내부에서 고속으로 유도하여 더 원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효율을 높일 수 있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케이스커버(19) 전면부의 좌,우측 끝단에는 좌우방향으로 풍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이드판(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상기 송풍팬(17)으로부터 방출되는 바람을 중앙 또는 좌,우측을 향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와 결합된 원적외선 조사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와 결합된 원적외선 조사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와 결합된 원적외선 조사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와 결합된 원적외선 조사기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와 결합된 원적외선 조사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는 지지체(2)에 의해 바닥에 안정적으로 세워놓을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다리(24)가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지지다리(24)에는 구름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25)가 하나씩 마련되어 있는 받침부재(20)와, 상기 받침부재(20)의 심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받침고정관(21)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둥부재(30)와, 상기 기둥부재(30)의 내부로 상,하 방향으로 삽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40)와, 상기 높이조절부재(40)의 상단에 삽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수평지지부재(50)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50)의 선단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브라켓(61)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61)은, 상기 수평지지부재(5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힌지공(63)과 상기 본체(10)를 상, 하로 일정각도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된 각도조절공(65)이 형성되어 마련된다.
상기 지지체(2)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침부재(20) 상면에 형성된 상기 받침고정관(21)과 상기 받침고정관(21)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기둥부재(30)의 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1고정볼트(22)가 나사 조립되는 제 1나사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둥부재(30)의 상단에는 그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높이조절부재(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 2고정볼트(32)가 나사 조립되는 제 2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 상기 기둥부재(30)의 일측에는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의 이동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부재(50)의 후단에 형성된 지지고정관(51)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40)의 상단에 상기 수평지지부재(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 3고정볼트(52)가 나사 조립되는 제 3나사공(5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브라켓(61)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부재(5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힌지핀(6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공(63) 및 상기 힌지공(63)을 기준하여 동심원상의 반경을 갖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 각도조절공(65)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공(65)을 통해 양쪽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각도조절볼트(66)는 상기 본체(10) 자체를 전방을 향해 상,하 180도 각도범위 내에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각도조절공(65)과 상기 각도조절볼트(66)에는 별도의 도구 없이 나사 조임 및 나사 풀림을 가능하게 하는 나비너트(67)가 양쪽에 하나씩 구비되어 나사조립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각도조절볼트(66)와 상기 나비너트(67)와의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회전날개와 이에 구비된 홈부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17)의 회전날개(18)의 표면에는 금속층이 코팅되어 상기 적외선램프(11)로부터 복사되는 열을 반사 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날개(18)의 표면에서는 난류를 발생시켜 공기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부(1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홈부(18a)는 바람에 의한 마찰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도 7의 (b)의 도면과 같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반원구의 형태로 상기 회전날개(18)의 표면에 다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개의 홈부(18a)는 상기 본체(10)내부의 공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고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홈부(18a)의 반원구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구비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18)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발생된 열을 전방으로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전, 후방향으로 경사지되, 경사각도는 제한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회전날개(18)는 상기 적외선램프(11)의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내열성 및 반사효율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따른 적외선램프의 배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100)에 있어서,
코팅 대상인 적외선램프(11)의 표면을 400℃ 이상의 온도에서 연소시켜 이물질을 소각하는 단계(S110), 이물질 소각 후 상기 적외선램프(11)의 표면을 전처리하기 위해 샌딩하는 단계(S120), 샌딩 후 상기 적외선램프(11)를 진공챔버에 넣고 450℃의 온도에서 아르곤과 질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주입하여 플라즈마로 직경 10~20㎛의 다공성 TiO2 나노입자 박막을 코팅하고 소성시키는 단계인 다공성 TiO2 코팅 단계(S130)와, 상기 적외선램프(11)의 표면에 티타늄과 나노다이아몬드 토르마늄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소성시키고 건조하는 단계인 NDT층 형성단계(S140)와 산화철,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혼합분말을 1400℃에서 1시간 열처리 후 급랭시킨 평균입도 0.5㎛의 분말을 30~40㎛ 두께로 상기 적외선램프(11)의 표면에 코팅하고, 20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열처리하는 단계인 세라믹층 형성단계(S150)로 구성된다.
각 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코팅 대상인 상기 적외선램프(11)의 표면을 35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연소시켜 이물질을 소각하는 단계(S110)를 거친다.
이는, 이물질로 인한 상기 적외선램프(11) 표면이 불균질하게 코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400℃의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코팅 대상 표면이 균질한 성질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350℃ 미만의 온도에서는 이물질의 완전한 소각이 어려워 코팅 대상인 상기 적외선 램프(11)의 표면이 불균질 해지게 되며, 4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상기 적외선 램프가 심하게 가열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400℃의 온도에서 상기 적외선 램프(11)의 표면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적외선램프(11) 표면의 이물질을 소각 후 코팅 대상 표면을 전처리 하기 위해 샌딩 단계(S120)을 거친다.
이때, 상기 샌딩 단계(S120)에서 사용되는 모래는 알루미늄표면에 샌딩하는 모래에 비해 매쉬가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외선램프(11)의 표면 두께는 일정한 두께로 구비되어 상기 모래에 의해 상기 적외선램프(11)의 표면이 깨지거나 파손이 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샌딩 단계(S120)를 통하여 상기 적외선램프(11) 표면은 거칠기가 확보되고, 다음 공정의 코팅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코팅대상인 상기 적외선램프(11)를 진공챔버에 넣고 40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아르곤과 질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주입하여 플라즈마로 직경 10~20㎛의 다공성 TiO2 나노입자 박막을 코팅하고 소성시키는 단계(S130)를 거친다.
이때, 플라즈마 발생용 혼합가스로는 산소가 더 첨가될 수 있다.
한편, 플라즈마는 이온이라 불리는 전기를 띤 입자들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물질의 기체상태를 말하는 것이며, 다공성 TiO2층(130)을 상기 적외선램프(11)의 표면에 코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공성 TiO2층(130)은 TiO2 내부의 산소 공공(vacancy)으로 인해 다공성(phosporous) 구조를 가짐으로써 후술할 NDT층(140) 및 적외선램프(11)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일예로, 상기의 과정으로 형성된 다공성 구조는 인접한 타 코팅층과의 결합력 향상을 통해 코팅층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 되는 것이다.
400℃ 이하의 온도에서는 상기 다공성 TiO2 나노입자 박막 코팅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며, 4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혼합가스의 주입이 고온으로 주입되어 불균질하게 코팅될 수 있으므로, 400℃의 온도에서 아르곤과 질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주입하여 플라즈마로 직경 10~20㎛의 다공성 TiO2 나노입자 박막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NDT층 형성단계(S140)를 거친다.
상기 NDT층(140)은 티타늄과 NDT(나노 다이아몬드 토르마늄)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소성 및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혼합물 도포는 티타늄 분말과 나노다이아몬드 토르마늄 분말을 바인더와 함께 혼합한 후 스프레이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혼합물 도포방식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티타늄 코팅은 유해물질 배출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티타늄 금속은 질량 대 강도의 비가 가장 큰 금속으로 고성능 합금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램프(11)에 상기 NDT층(140)이 코팅되어 상기 적외선램프(11) 강도를 더욱 강화시켜 주며, 쉽게 부식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나노다이아몬드 토르마늄(NDT)은 일반적인 토르마늄에 비해 원적외선 방출량과 음이온 발생량이 높은 장점이 있다.
토르마늄은 천연광물 토르말린과 맥반석, 화산암, 게르마늄을 가공하여 만든 신소재로 혈액순환 촉진, 근육통 완화, 피로회복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이후, 세라믹 혼합분말을 코팅한 후 열처리하는 세라믹층 형성단계(S150)를 거친다.
상기 세라믹층(150)은 세라믹 혼합분말을 코팅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세라믹층(150)은 흔히 사용되는 원적외선 물질인 트로말린, 맥반석, 게르마늄과 비교하여, 방사에너지량이 약 20배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출하여, 병약한 노인이나 환자들을 위한 의료용이나 건강 증진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원적외선이 방사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산화철,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혼합분말을 1300℃ 내지 1400℃에서 1시간 열처리 후 급랭시킨 평균입도 0.5㎛인 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적외선램프(11)의 표면에 하도처리하게 된다.
상기 분말에 실리콘계 바인더 물질 40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1300℃ 미만의 온도에서는 산화철,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상기 혼합분말이 제대로 코팅되지 않으며, 14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고온의 혼합분말이 코팅됨에 따라 화학적 성질이 변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1400℃ 의 온도에서 산화철,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상기 혼합분말을 1시간 열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00℃의 온도로 상기 적외선램프(11)를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고온에서 천천히 식는 과정에서 유리로 구비되는 상기 적외선 램프가(11) 급팽창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의해 코팅된 제품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의해 코팅된 제품의 인체유해물질 검출 시험성적서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시험성적서는 산화규소(SiO2) 23g, 산화철(Fe2O3) 73g, 산화마그네슘(MgO) 2g, 산화알루미늄(Al2O3) 3g의 조성으로 산화금속분말을 혼합한 후 14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후 급랭시킨 분말을 유성 볼밀에서 24시간 동안 분말을 파쇄하여 평균 입도가 약 0.5㎛인 분말을 제조하고, 실리콘계 바인더 물질 40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된 코팅제 조성물을 코팅한 경우이다.
350℃의 고온에서 흑체 대비 복사율을 FT-IR 분광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종래의 물질 대비 약 3.4 ~ 15배 높은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의해 코팅된 제품의 인체유해물질 검출 시험성적서이다.
도 12의 시험성적서도 도 11과 동일한 코팅제로 코팅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체 유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테프론 코팅이나 유기화학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고, 납, 카드뮴, 크롬, 수은 등 중금속이 불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가 적용되는 사례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는 바닥에 지지되는 상기 받침부재(20)의 상기 지지다리(24)에는 상기 바퀴(2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를 바닥으로 구름이동 시키는 방법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적외선램프(11)의 가열로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생성함과 함께 음이온 발생기에 의한 음이온을 함께 제공하여 환자의 각종 질병의 치료와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둥부재(30) 상단에 나사 조립되어 있는 상기 제 2고정볼트(32)를 나사 풀림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재(40)를 상기 기둥부재(30) 상방으로 적당한 높이까지 인출한 후 상기 제 2고정볼트(32)를 나사 조임하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부재(40)는 인출된 상태로 상기 기둥부재(3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재(50)의 선단에 부착된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열선의 방사 방향이 환자의 치료 부위를 향하도록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각도조절공(65)을 관통하는 상기 각도조절볼트(66)에 나사조립 되어 있는 상기 나비너트(67)를 나사 풀림하게 되면 상기 본체(10)는 상기 힌지핀(64)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각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가 환자의 치료 부위 향하도록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조절 후에는 상기 나비너트(67)를 나사 조임하게 되면 상기 본체(10)는 각도조절 후 위치에서 고정되어 상기 적외선램프(11)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열선의 방사를 한 곳으로 집중시켜 열 손실을 최대한으로 방지하면서 치료 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 자체를 이동 시키거나 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40)를 상,하로 높이 조절하는 작업공정 그리고 상기 본체(10) 자체를 각도 조절하는 작업공정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환자의 치료 대상 부위에 원적외선이 조사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는 축산물 사육장 내부에 배치되어 사육장 내부에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축산물 사육장에 배치되는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는 사육환경을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발생장치를 활용하여 질병의 감염 원인이 되는 미세먼지 및 악취, 곰팡이, 세균 등을 제거하여 가축 질병의 발생 원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기존의 항생제에 의존하는 일 없이 축산물의 자연 치유력을 증대시킴으로서, 무항생, 무농약 축산물의 생산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식물을 재배하는 농장에서는 온, 습도 조절할 수 있는 장비와 함께 상기 원적외선 조사기(1)가 마련될 수 있다.
농장 등 수경재배를 위해 조사되는 원적외선은 식물에 직접 조사됨으로써 식물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며, 인체에 유익하고 신선한 수경식물의 재배를 도와주게 되며, 직접 수요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원적외선 조사기
2: 지지체
10: 본체
11: 적외선램프
12: 램프하우징
13: 결합편
14: 결합구
15: 방열판
16: 구멍
17: 송풍팬
18: 회전날개
18a: 홈부
19: 케이스커버
19a: 허니컴구조
20: 받침부재
21: 받침고정관
22: 제 1고정볼트
23: 제 1나사공
24: 지지다리
25: 바퀴
30: 기둥부재
32: 제 2고정볼트
40: 높이조절부재
50: 수평지지부재
51: 지지고정관
52: 제 3고정볼트
53: 제 3나사공
61: 브라켓
63: 힌지공
64: 힌지핀
65: 각도조절공
66: 각도조절볼트
67: 나비너트
100: 원적외선 코팅 제조방법
130: 다공성 TiO2
140: NDT층
150: 세라믹층

Claims (5)

  1.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에 있어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적외선램프가 결합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전단부와 결합되며, 타단부의 내주면에 결합편이 구비되는 램프 하우징;
    상기 램프 하우징의 결합편과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결합구가 구비되고, 일면이 관통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원적외선이 관통하는 방열판;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을 바람에 의해 전방으로 전달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방열판의 전면에 구비되되, 전후가 개방되며 내부에 벌집형상의 육각기둥이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다수개 돌출되어 배열되는 허니컴구조를 가지는 케이스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의 회전날개는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날개의 표면에는 반원구의 형태로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하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브라켓,
    일단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어 회동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내부에 관통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일단이 고정되어 바닥에 안정되게 세워놓을 수 있도록 바퀴를 구비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힌지공과,
    상기 본체를 상, 하로 일정각도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 각도조절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4.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에 있어서,
    코팅 대상인 적외선램프의 표면을 35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연소시켜 이물질을 소각하는 단계;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을 전처리하기 위해 샌딩하는 단계;
    상기 적외선램프을 진공챔버에 넣고 40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아르곤과 질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주입하여 플라즈마로 직경 10~20㎛의 다공성 TiO2 나노입자 박막을 코팅하고 소성시키는 단계;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에 티타늄과 나노다이아몬드 토르마늄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소성시키고 건조하는 단계; 및
    산화철,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혼합분말을 1300℃ 내지 1400℃에서 1시간 열처리 후 급랭시킨 평균입도 0.5㎛의 분말을 30~40㎛ 두께로 상기 적외선램프의 표면에 코팅하고, 유리로 구비되는 상기 적외선 램프가 급팽창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램프는, 전자파 흡수기능을 지닐 수 있도록, 구리, 니켈 성분이 함유된 0.03mm 단위의 얇은 전도성 코팅 피막인 전자파(EMI) 차폐 도전성 세라믹 도료에 고방사 원적외선 물질을 혼합하여 세라믹 코팅 도장 방식으로 코팅되는 것을 포함하는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세라믹 코팅 방법.
  5. 삭제
KR1020200012349A 2020-02-03 2020-02-03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 KR102105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49A KR102105450B1 (ko) 2020-02-03 2020-02-03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49A KR102105450B1 (ko) 2020-02-03 2020-02-03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450B1 true KR102105450B1 (ko) 2020-04-29

Family

ID=7046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49A KR102105450B1 (ko) 2020-02-03 2020-02-03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4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881B1 (ko) * 2021-07-09 2022-12-07 자현당 주식회사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KR20230061764A (ko) * 2021-10-29 2023-05-09 김낭래 3중 적외선 치료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843U (ko) * 1989-11-16 1991-07-19
KR200221168Y1 (ko) * 2000-10-06 2001-04-16 김창건 병원용 적외선 치료기
KR200226631Y1 (ko) 2000-12-27 2001-06-15 임만택 이동식 포터블 원적외선 발생장치
KR200243661Y1 (ko) 2001-05-16 2001-10-15 송미령 원적외선 심층 복합 온열 치료기
KR20090002763U (ko) * 2007-09-14 2009-03-18 윤근진 적외선 치료 장치
KR20140000466A (ko) * 2012-06-22 2014-01-03 이경태 원적외선발산 가능한 적외선 조사기
KR101540960B1 (ko) * 2013-11-11 2015-07-31 주식회사 카멜 엘이디 좌광기
KR101789709B1 (ko) 2017-05-16 2017-10-25 오희정 가열 조리기구의 원적외선 고방출 세라믹 코팅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843U (ko) * 1989-11-16 1991-07-19
KR200221168Y1 (ko) * 2000-10-06 2001-04-16 김창건 병원용 적외선 치료기
KR200226631Y1 (ko) 2000-12-27 2001-06-15 임만택 이동식 포터블 원적외선 발생장치
KR200243661Y1 (ko) 2001-05-16 2001-10-15 송미령 원적외선 심층 복합 온열 치료기
KR20090002763U (ko) * 2007-09-14 2009-03-18 윤근진 적외선 치료 장치
KR20140000466A (ko) * 2012-06-22 2014-01-03 이경태 원적외선발산 가능한 적외선 조사기
KR101540960B1 (ko) * 2013-11-11 2015-07-31 주식회사 카멜 엘이디 좌광기
KR101789709B1 (ko) 2017-05-16 2017-10-25 오희정 가열 조리기구의 원적외선 고방출 세라믹 코팅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1843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881B1 (ko) * 2021-07-09 2022-12-07 자현당 주식회사 원적외선 방사용 스탠드
KR20230061764A (ko) * 2021-10-29 2023-05-09 김낭래 3중 적외선 치료기
KR102583011B1 (ko) 2021-10-29 2023-09-25 김낭래 3중 적외선 조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450B1 (ko) 원적외선을 고방사하는 원적외선 조사기 및 조사기의 적외선 램프의 원적외선 코팅 방법
KR101228218B1 (ko) 라디에이터 장치
TW201032791A (en) Electric moxibustion device
KR101516356B1 (ko) 심부체온 상승용 적외선램프모듈
KR101875359B1 (ko) 농업용 열풍기
CN105726304A (zh) 体外热能反射式温针灸器
US9091480B2 (en) Rotary furnace for radiative heat treatment of solids
Kelleher et al. Hot Topic Water-filtered infrared-A radiation: a novel technique for localized hyperthermia in combination with bacteriochlorophyll-based photodynamic therapy
CN106110511A (zh) 一种电子光热保健治疗仪
CN203663257U (zh) 光热和光动力治疗装置
CN201643434U (zh) 立体包围圈光疗机
CN103638606A (zh) 光热和光动力治疗装置
CN202136695U (zh) 一种新型红外线负氧离子发生装置
CN2794544Y (zh) 纳米硅碳复合纤维电热体疗仪
JP5147101B2 (ja) 遠赤外線放射用複合セラミックス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調理器具用部材並びに炊飯器
Wang et al.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1-Mediated Au@ SiO2@ Au Core–Shell Nanoparticles: Targeting Prostate Cancer to Enhance Photothermal Therapy and Fluorescence Imaging
KR20100039317A (ko) 적외선 tdp온열치료기
KR101099554B1 (ko) 원적외선 전기 히터
Lin Advances of cancer synergic photo-therapy: kinetics and efficacy
CN201020012Y (zh) 灸具
KR20160133169A (ko) 양자광선 치료기 및 이를 포함한 의료용 치료대
CN216258752U (zh) 一种微波治疗仪理疗辐射器物理限高装置
JP3146098U (ja) 温熱治療器
KR200312853Y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난방기
CN108903565A (zh) 一种太赫兹佛教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