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80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vehicle, vehicle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vehicle, vehicl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809B1
KR102474809B1 KR1020170166585A KR20170166585A KR102474809B1 KR 102474809 B1 KR102474809 B1 KR 102474809B1 KR 1020170166585 A KR1020170166585 A KR 1020170166585A KR 20170166585 A KR20170166585 A KR 20170166585A KR 102474809 B1 KR102474809 B1 KR 102474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ve braking
vehicle
mode
setting valu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6808A (en
Inventor
손동진
신동준
박준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809B1/en
Publication of KR2019006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8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8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63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cr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3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 B60W20/14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in conjunction with braking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 중 크립 토크에 기초하여 크립 파워를 연산하는 크립 피워 연산부, 저전압직류변환(Low voltage DC-DC Converter)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 및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회생제동 모드의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과,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nd a vehicle system.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 creep power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creep power based on a creep torque among the collected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a low voltage DC conversion (Low Voltage DC Conversion). voltage DC-DC Converter) When controlling the variable voltage of the system,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mode release setting valu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re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creep power and the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and a mode control unit that controls entry or release of a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a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a mode exit setting value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and motor power of the vehicle.

Figure 112017121606334-pat00001
Figure 112017121606334-pat00001

Description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VEHICLE, VEHICLE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nd vehicle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nd a vehicle system.

일반적인 저전압직류변환(Low voltage DC-DC Converter)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 시의 회생제동 모드는 도로의 경사도와 차량의 속도에 따라 진입 또는 해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평지 코스팅(Coasting) 주행 시에는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지 않으며, 강판 코스팅(Coasting)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에는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한다. Regenerative braking mode at the time of variable voltage control of a general low voltage DC-DC converter system is determined to enter or release depending on the slope of the road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For example, it does not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driving on a flat terrain, and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driving on a steel plate coasting or when braking with brakes.

이러한, LDC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 로직은 모터 파워 임계치와 차속 및 경사도에 따른 보상 Factor 맵으로 제어 로직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크립 토크 맵핑이 바뀌거나 각 차종 마다 크립 토크 맵핑 값에 차이 발생 시 전체적으로 재 맵핑을 해야 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Human Error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Since the control logic of the variable voltage control logic of the LDC system is composed of the motor power threshold and the compensation factor map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inclination, when the creep torque mapping is changed or a difference in the creep torque mapping value for each vehicle type occurs, the entire mapping is performed. , the efficiency may decrease and the possibility of human error may increase.

또한, LDC 시스템은 각종 메인 배터리 충전 제한 상황에서 회생 에너지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평지에서도 LDC 회생제동 모드 진입이 필요하나, 종래의 제어 로직은 메인 또는 보조 배터리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회생제동 모드 진입 및/또는 해제를 판단하기 때문에 평지에서 LDC 회생제동 모드 진입이 어려웠다. In addition, the LDC system needs to enter the LDC regenerative braking mode even on level ground to increase the regenerative energy recovery rate in various main battery charging limit situations, but the conventional control logic does not consider the situation of the main or auxiliary battery and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nd/or Or, it was difficult to enter the LDC regenerative braking mode on level ground because it judged release.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상태 및/또는 LDC 시스템 효율을 고려하여 회생제동 모드 진입 및/또는 해제를 위한 모터 파워 설정값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효율성 증대 및 Human Error 가능성을 축소하여 로직 강건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logic robustness by increasing efficiency and reducing the possibility of human error by variably controlling a motor power set value for entering and/or releasing a regenerative braking mode in consideration of a vehicle state and/or LDC system efficiency.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nd a vehicle system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차량의 크립 파워를 연산하여 연산된 크립 파워를 기준으로 회생제동 모드 진입 및/또는 해제를 위한 모터 파워 설정값을 가변 제어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for variably controlling a motor power set value for entering and/or releasing a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the calculated creep power by calculating the current creep power of the vehicle. , and to provide a vehicle system.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 중 크립 토크에 기초하여 크립 파워를 연산하는 크립 피워 연산부, 저전압직류변환(Low voltage DC-DC Converter)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 및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회생제동 모드의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과,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creep power based on creep torque among the collected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generative braking mod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fault values of the calculated creep power and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when controlling the variable voltage of the creep power calculation unit and the low voltage DC-DC converter system.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a mode exit setting value of the vehicle, and entry or release of a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the mode exit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d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상기 설정부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tting unit sets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to a first setting value based on the calculated creep power and sets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to a second setting value during flatland coasting driving or brake braking. to be characterized

상기 제1 설정값은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에 제1 맵핑 상수를 더한 값이고, 상기 제2 설정값은 상기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t value is a value obtained by adding a first mapping constant to the calculated creep power, and the second set value is a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상기 모드 제어부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가 상기 제1 설정값 미만이면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고,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설정값을 초과하면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e controller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first set value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during flatland coasting driving or brake braking, and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he motor pow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released when A exceeds the second set value.

상기 설정부는, 강판 코스팅 주행 시,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가변 설정값으로 가변 설정하고,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가변 설정값으로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tting unit may variably set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to a first variable setting value and variably set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to a second variable setting value during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상기 제1 가변 설정값은 상기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이고, 상기 제2 가변 설정값은 상기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에 제2 맵핑 상수를 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variable set value is a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and the second variable set value is a value obtained by adding a second mapping constant to the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상기 모드 제어부는, 강판 코스팅 주행 시,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가 상기 제1 가변 설정값 미만이면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고,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가변 설정값을 초과하면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e control unit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first variable set value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during steel coasting driving, and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the motor power is changed to the first variable setting value.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controlled to be released when the variable setting value is exceeded.

상기 설정부는 상기 강판 코스팅 주행 종료 시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 및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강판 코스팅 주행 종료 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tting unit resets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to the first setting value and the second setting value when the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ends, and the mode control unit resets the steel plate course in a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When the driving is finished, if the motor power does not exceed the second set value,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is maintained.

상기 모드 제어부는,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시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해제 시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e control unit controls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charging of the high voltage battery is restricted, and to release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the charging restriction of the high voltage battery is lifted.

상기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은, 0[k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is 0 [kW].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차량의 제동 상태 정보,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정보, 저전압 배터리의 SOC 정보, 코스팅 주행 정보, 도로의 경사도, 차속 및 크립 토크(Creep Torque)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llects at least one of the bra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charge limit information of the high voltage battery, SOC information of the low voltage battery, coasting driving information, road gradient, vehicle speed, and creep torque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 중 크립 토크에 기초하여 크립 파워를 연산하는 단계, 저전압직류변환(Low voltage DC-DC Converter)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 및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회생제동 모드의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과,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collec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creep power based on creep torque among the collected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calculating step, when controlling the variable voltage of the low voltage DC-DC converter system,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fault values of the calculated creep power and motor power of the vehicle. Setting an entry set value and a mode release set value, and controlling entry or release of a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the mode entry set value and mode release set valu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steps.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tting may include setting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to a first setting value and setting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to a second setting value based on the calculated creep power during flatland coasting driving or brake brak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doing.

상기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가 상기 제1 설정값 미만이면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설정값을 초과하면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ing of entering or releas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may include controlling entry into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first set value in a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during flatland coasting or braking. and controll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when the motor power exceeds the second set value in a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강판 코스팅 주행 시,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가변 설정값으로 가변 설정하고,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가변 설정값으로 가변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tting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variably setting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to a first variable setting value and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to a second variable setting value during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to be

상기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는, 강판 코스팅 주행 시,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가 상기 제1 가변 설정값 미만이면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가변 설정값을 초과하면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trolling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may include controlling entry into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first variable set value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during steel coasting driving; and controll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when the motor power exceeds the second variable set value in a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은, 상기 강판 코스팅 주행 종료 시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 및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으로 재설정하는 단계, 및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강판 코스팅 주행 종료 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are reset to the first setting value and the second setting value when the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ends. and controll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to be maintained if the motor power does not exceed the second set value when the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ends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

상기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는,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시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해제 시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ontrolling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ncludes controlling entry into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charging of the high voltage battery is limited, and controll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when the charging restriction of the high voltage battery is lifted.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차량 내 브레이크시스템, 배터리 관리 시스템, 주행제어시스템 및 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차량의 크립 파워를 연산하고, 저전압직류변환(Low voltage DC-DC Converter)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 및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회생제동 모드의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을 설정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과,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회생제동 제어 장치, 및 상기 회생제동 제어 장치의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ehicle brake system, a battery management system, a driving control system, and at least one of one or more sensors that collect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collects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alculates creep power of the vehicle, and calculates the creep power when controlling the variable voltage of a low voltage DC-DC converter system.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mode release setting valu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re set based on the creep power and the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entry or release of a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a mode release setting value and motor power of the vehicle, and an interface unit that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상태 및/또는 시스템 효율을 고려하여 회생제동 모드 진입 및/또는 해제를 위한 모터 파워 설정값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Human Error 가능성을 축소하여 로직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ariably controlling the motor power setting value for entering and/or releas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state and/or system efficiency, efficiency is increased and the possibility of human error is reduced to secure logic robustness.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system to which a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referred to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system on which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등 저전압직류변환(LDC) 시스템의 가변전압제어를 통해 회생제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 차량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variable voltage control of a low-voltage direct current (LDC) system such as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nd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 vehicle equipped with a function of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through the system can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차량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의 제어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side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ternal control units of the vehicle,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s of the vehicle by a separate connection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ystem to which a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10), 통신부(20), 저장부(30) 및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10, a communication unit 20, a storage unit 30, and a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인터페이스부(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 등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0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operating state and result of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여기서, 입력수단은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셔틀, 스타일러스 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input means may include a key button, and may include a mouse, a joystick, a jog shuttle, a stylus pen, and the like. Also, the input means may include soft keys implemented on a display.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의한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display and may also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such as a speaker. The display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또한,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touch sensor such as a touch film, a touch sheet, or a touch pad is provided in a display, the display operates as a touch screen, and an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may be integrated.

이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통신부(20)는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 제어유닛 및/또는 차량 내 구현된 시스템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부터 제동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부터 고전압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차량의 주행제어시스템으로부터 코스팅(coasting) 주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코스팅 주행은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또는 브레이크의 조작 없이 차량의 관성에 의해 앞으로 나아가는 주행을 의미한다. 통신모듈은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코스팅 주행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차량 내 센서들로부터 도로의 경사도 정보 및/또는 차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electrical components, control units, and/or systems implemented in the vehicle.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braking state information from the brake system of the vehicle and SOC information of the high voltage battery from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coasting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Here, the coasting driving means driving forward by the inertia of the vehicle without manipulating the accelerator or brake of the vehicl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coasting driving information from a vehicle driving control system. Also,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road gradient information and/or vehicle speed information from sensors in the vehicle.

여기서, 통신모듈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의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module supporting vehicle network communication such a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and Flex-Ray communication.

저장부(30)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30 may store data and/or algorith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일 예로, 저장부(30)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의 후술하는 정보 수집부(120)에 의해 수집된 차량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30)는 회생제동 모드로의 진입 및/또는 해제를 위한 조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0)는 회생제동 모드로의 진입 및/또는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및/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30 stores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20 of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of the vehic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0 may store condition information for entering and/or releas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lso, the storage unit 30 may store commands and/or algorithms for controlling entry into and/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시스템의 저장부(30)에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 내부에 별도의 저장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 , it has been described that data and/or algorithms for the oper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of the vehicle system. A storage device may be implemented.

여기서, 저장부(3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orage unit 30 includes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may be included.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는 차량이 코스팅 주행하는 경우, 저전압직류변환(이하에서는 'LDC'라 칭하도록 한다.)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에 의해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결정한다. When the vehicle is coasting,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o enter or release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by controlling a variable voltage of a low voltage direct current conver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LDC') system.

이때,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상태 및/또는 효율을 고려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위한 모터 파워 설정값을 가변 설정한다. 일 예로,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는 저차속 구간의 모터 파워(크립 파워), 브레이크 제동 상황,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상황, 강판(내리막 경사로) 코스팅 주행 상황 및/또는 평지 코스팅 주행 상황에 따라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는 강판(내리막 경사로) 코스팅 주행 시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모터 파워 설정값을 가변 설정함으로써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apparatus 100 variably sets a motor power setting value for entering or releas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and/or efficiency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motor power (creep power) in a low vehicle speed section, brake braking situation, high-voltage battery charging limit situation, steel plate (downhill slope) coasting driving condition, and/or flatland coasting driving condition. Depending on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Here,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apparatus 100 may control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by variably setting a motor power setting value to enter or release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during coasting driving on a steel plate (downhill slope).

도 1을 참조하여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10), 정보 수집부(120), 크립 파워 연산부(130), 설정부(140) 및 모드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Looking more closely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vehicl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a creep power calculation unit 130, a setting A unit 140 and a mode controller 150 may be included. Here, the control unit 110 may process a signal transmitted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device 100.

먼저, 정보 수집부(120)는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한다. 일 예로, 정보 수집부(120)는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배터리관리시스템 및/또는 주행제어시스템과, 차량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들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집부(120)는 차량의 제동 상태 정보,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정보, 저전압 배터리의 SOC 정보, 코스팅 주행 정보, 도로의 경사도, 차속 및/또는 크립 토크(Creep Torque)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First,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collect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collect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s braking system,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or driving control system, and sensors that measure the state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collects vehicle braking state information, high-voltage battery charge limit information, low-voltage battery SOC information, coasting driving information, road gradient, vehicle speed, and/or creep torque information. can do.

크립 파워 연산부(130)는 정보 수집부(120)에 의해 수집된 크립 토크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차량의 크립 파워를 연산한다. 일 예로, 크립 파워 연산부(130)는 정보 수집부(120)에 의해 수집된 크립 토크와 모터 RPM을 곱한 값으로부터 크립 파워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크립 토크는 차속에 따라 맵핑값으로 적용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저속에서는 +값, 그리고 고속에서는 -값으로 맵핑될 수 있다. 이에, 크립 토크는 코스팅 주행 시 가솔린(또는 디젤) 차량과의 이질감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모터를 사용하여 감속감을 중고속으로, 발진감을 저속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creep power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creep power of the current vehicle based on the creep torqu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 For example, the creep power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the creep power from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reep torque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by the motor RPM. Here, the creep torque is applied as a mapping valu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may be mapped to, for example, a + value at low speed and a - value at high speed. Accordingly, the creep torque may implement a sense of deceleration at a medium speed and a feeling of start at a low speed by using a motor for the purpose of reducing a feeling of dissimilarity with a gasoline (or diesel) vehicle during coasting.

설정부(140)는 저전압직류변환(LDC)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 시 크립 파워 연산부(130)에 의해 연산된 크립 파워와, 정보 수집부(120)에 의해 수집된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및/또는 해제를 위한 모터 파워 설정값을 설정한다.The setting unit 140 performs regenerative braking based on the creep power calculated by the creep power calculation unit 13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when controlling the variable voltage of the LDC system. Set the motor power setpoint for entering and/or releasing the mode.

설정부(140)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크립 파워 연산부(130)에 의해 연산된 크립 파워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 진입을 위한 모터 파워 설정값(이하에서는 '모드 진입 설정값'이라 칭하도록 한다.)을 제1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설정부(140)는 크립 파워 연산부(130)에 의해 연산된 크립 파워 값에 제1 맵핑 상수(α)를 더한 값을 제1 설정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e setting unit 140 sets a motor power setting value for enter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the creep power calculated by the creep power calculation unit 130 when coasting on a flat terrain or when braking with brak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de entry setting value'). ) is set as the first set value. In this case, the setter 140 may define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first mapping constant α to the creep power value calculated by the creep power calculator 130 as the first set value.

또한, 설정부(140)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회생제동 모드 해제를 위한 모터 파워 설정값(이하에서는 '모드 해제 설정값'이라 칭하도록 한다.)을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제2 설정값은 모터 파워 디폴트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모터 파워 디폴트 값은 0[kW]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ting unit 140 sets the motor power set value for releas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de release set value') as a second set value when coasting on a flat terrain or when braking with brakes. do. Here, the second set value may be defined as a default motor power value. For example, the motor power default value may be 0 [kW].

한편, 설정부(140)는 강판(내리막 경사로) 코스팅 주행 시, 기 설정된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위한 모터 파워 설정값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tting unit 140 may variably set a motor power setting value for entering and releas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a preset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mode release setting value during coasting driving on a steel plate (downhill slope).

이때, 설정부(140)는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가변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변 설정값은 모터 파워 디폴트 값, 예를 들어, 0[kW]로 정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ting unit 140 may set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s the first variable setting value. Here, the first variable set value may be defined as a default motor power value, for example, 0 [kW].

또한, 설정부(140)는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가변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변 설정값은 모터 파워 디폴트 값, 예를 들어, 0[kW]에 제2 맵핑 상수(β)를 더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Also, the setting unit 140 may set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as the second variable setting value. Here, the second variable set value may be defined as a value obtained by adding a second mapping constant β to a default motor power value, for example, 0 [kW].

여기서, 설정부(140)는 강판(내리막 경사로) 코스팅 주행 종료 시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Here, the setting unit 140 may reset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to the first setting value and the second setting value when the steel plate (downhill slope) coasting operation ends.

모드 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모드 진입 설정값, 모드 해제 설정값 및 차량의 모터 파워 등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한다.The mode controller 150 controls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a mode entry setting value, a mode exit setting value, and motor pow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모드 제어부(150)는 차량의 각 주행 상황별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각 주행 상황의 우선순위에 따라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The mode controller 150 may assign a priority to each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control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each driving situation.

각 주행 상황별 우선순위는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For the priority of each driving situation, refer to the embodiment of FIG. 2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각 주행 상황별 우선순위는 저차속 구간 진입 상황, 브레이크 제동 상황,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상황, 회생제동(regen) 효율 제어 모드 진입 상황, 강판 코스팅 주행 상황, 평지 코스팅 주행 상황 순으로 부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riority for each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is a low vehicle speed section entry situation, a brake braking situation, a high voltage battery charging limit situation, a regenerative braking (regen) efficiency control mode entry situation, and a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situation. , it may be given in order of flatland coasting driving situation.

이에, 모드 제어부(150)는 저차속 구간 진입 상황, 브레이크 제동 상황,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상황, 회생제동(regen) 효율 제어 모드 진입 상황, 강판 코스팅 주행 상황 및/또는 평지 코스팅 주행 상황 발생 시 우선순위가 높은 주행 상황을 기준으로 차량의 회생제동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de controller 150 generates a low vehicle speed section entry situation, a brake braking situation, a high voltage battery charging restriction situation, a regenerative braking (regen) efficiency control mode entry situation, a steel coasting driving situation, and/or a flat terrain coasting driving situation. The vehicle's regenerative braking mode can be controlled based on driving conditions with high priority.

먼저, 저차속 구간 진입 상황은 우선순위가 '1'로 가장 높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저차속 구간 진입 상황이 발생하면 다른 주행 상황에 우선하여 회생제동 모드를 해제한다.First, in the situation of entering a low vehicle speed section, the priority is '1', which is the highest. Accordingly, the mode control unit 150 release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n preference to other driving situations when a low vehicle speed section entry situation occurs.

브레이크 제동 상황은 우선순위가 '2'이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저차속 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제동 상황이 발생하면,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The brake braking situation has a priority of '2'. Therefore, the mode control unit 150 controls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a brake braking situation occurs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has not entered a low vehicle speed section.

또한, 모드 제어부(150)는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제한 상황 발생 시 회생 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회생제동(regen) 효율 제어 모드 진입 상황이 발생하면 회생 제동 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모드 제어부(150)는 강판 코스팅 주행 상황이 발생하면 회생 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평지 코스팅 주행 상황이 발생하면 회생 제동 모드를 해제한다. In addition, the mode control unit 150 controls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a charging limitation situation of the high voltage battery occurs, and release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a situation of entering the regenerative efficiency control mode occurs. In addition, the mode controller 150 controls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a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situation occurs, and release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a flatland coasting driving situation occurs.

한편, 모드 제어부(150)는 각 주행 상황별로 모터 파워와 기 설정된 모드 진입 설정값 및/또는 모드 해제 설정값을 비교하여 회생 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mode controller 150 may control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by comparing motor power with a preset mode entry setting value and/or mode release setting value for each driving situation.

모드 제어부(150)가 각 차량의 주행 상황별로 회생 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For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de controller 150 controls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for each driving situation of each vehicle, refer to FIGS. 3 to 5 .

도 3은 강판 코스팅 주행 상황이 발생한 경우의 회생 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ontrolling entry or release of a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a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situation occurs.

도 3을 참조하면, 초기 L 구간은 저차속 구간으로서 저차속 구간은 모터 파워가 0 보다 큰 구간이므로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initial L section is a low vehicle speed section, and since the low vehicle speed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motor power is greater than 0,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not entered. Accordingly, the mod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t11 내지 t12 구간은 평지 코스팅 주행 구간으로서, 도면부호 311은 모터 파워, 도면부호 321은 모드 진입 설정값, 도면부호 331은 모드 해제 설정값을 나타낸다. T11 내지 t12 구간은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모터 파워 > 모드 진입 설정값(=제1 설정값)'이 된다. 여기서, 제1 설정값은 모터 파워값에 제1 맵핑 상수값(α, α<0)을 더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Sections t11 to t12 are flatland coasting driving sections, where reference numeral 311 denotes motor power, reference numeral 321 indicates a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reference numeral 331 indicates a mode release setting value. The period from T11 to t12 becomes 'motor power > mode entry set value (= first set value)'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Here, the first set value may be defined as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first mapping constant value (α, α<0) to the motor power value. Accordingly, the mod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T12 내지 t13 구간은 강판 코스팅 주행 구간으로서, 이 구간에서 설정부(140)는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가변 설정값(=default)으로 가변 설정하고,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가변 설정값(=default+β)으로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변 설정값은 디폴트 값인 0[kW], 제2 가변 설정값은 도면부호 335와 같이, 디폴트 값에 제2 맵핑 상수값(β, β>0)을 더한 β [kW]가 된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T12 내지 t13 구간에서 '모터 파워 < 가변된 모드 진입 설정값(=제1 가변 설정값)'이 되는 시점에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ections T12 to t13 are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sections, and in this section, the setting unit 140 variably sets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to the first variable setting value (=default), and sets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to the second variable setting value (= default + β) can be set variably. Here, the first variable set value is the default value 0 [kW], and the second variable set value is β [kW] obtained by adding the second mapping constant value (β, β > 0) to the default value,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335. . Therefore, the mode control unit 150 controls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t the time when 'motor power < the variable mode entry setting value (= the first variable setting value)' in the period from T12 to t13.

T13 이후 구간은 강판 코스팅 주행이 해제되고 평지 코스팅 주행 구간으로서, 모드 제어부(150)는 평지 코스팅 상황 시 모터 파워값과 모드 진입 설정값 및/또는 모드 해제 설정값을 비교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T13 이후 구간에서 '모터 파워 < 모드 해제 설정값'이 유지되기 때문에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ection after T13 is a flat coasting section where the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is canceled, and the mode controller 150 compares the motor power value with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or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in the flatland coasting situation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ntry or release of Therefore, since 'motor power < mode release set value' is maintained in the period after T13, the mod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o mainta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도 4는 고전압배터리 충전 제한 진입 상황이 발생한 경우의 회생 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ontrolling entry or release of a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a high voltage battery charging limit entry situation occurs.

도 4를 참조하면, 초기 L 구간은 저차속 구간으로서 저차속 구간은 모터 파워가 0 보다 큰 구간이므로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initial L section is a low vehicle speed section, and since the low vehicle speed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motor power is greater than 0,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not entered. Accordingly, the mod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T21 내지 t22 구간은 평지 코스팅 주행 구간으로서, 도면부호 411은 모터 파워, 도면부호 421은 모드 진입 설정값, 도면부호 431은 모드 해제 설정값을 나타낸다. T21 내지 t22 구간은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모터 파워 > 모드 진입 설정값(=제1 설정값)'이 된다. 여기서, 제1 설정값은 모터 파워값에 제1 맵핑 상수값(α, α<0)을 더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Sections T21 to t22 are flatland coasting driving sections. Reference numeral 411 indicates motor power, reference numeral 421 indicates a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reference numeral 431 indicates a mode release setting value. The period from T21 to t22 becomes 'motor power > mode entry set value (= first set value)'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Here, the first set value may be defined as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first mapping constant value (α, α<0) to the motor power value. Accordingly, the mod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T22 내지 t23 구간은 고전압배터리 충전 제한 진입 구간으로서,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진입 시에는 모터 파워에 상관없이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고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해제 시에는 회생제동 모드를 해제해야 한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T22 내지 t23 구간 동안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이 해제되는 t23 이후 구간에서는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Sections T22 to t23 are high-voltage battery charging limit entry sections. When the high-voltage battery enters the charging limit,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entered regardless of motor power, and when the high-voltage battery charging limit is released,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must be released. Therefore, the mode control unit 150 controls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during the period from T22 to t23, and controls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in the period after t23 in which the charging restriction of the high voltage battery is released.

도 5는 브레이크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의 회생 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ontrolling entry or release of a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a brake braking situation occurs.

도 5를 참조하면, 초기 L 구간은 저차속 구간으로서 저차속 구간은 모터 파워가 0 보다 큰 구간이므로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initial L section is a low vehicle speed section, and since the motor power is greater than 0 in the low vehicle speed sectio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not entered. Accordingly, the mod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T31 내지 t32 구간은 평지 코스팅 주행 구간으로서, 도면부호 511은 모터 파워, 도면부호 521은 모드 진입 설정값, 도면부호 531은 모드 해제 설정값을 나타낸다. T31 내지 t32 구간은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모터 파워 > 모드 진입 설정값(=제1 설정값)'이 된다. 여기서, 제1 설정값은 모터 파워값에 제1 맵핑 상수값(α, α<0)을 더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Sections T31 to t32 are flatland coasting driving sections. Reference numeral 511 indicates motor power, reference numeral 521 indicates a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reference numeral 531 indicates a mode release setting value. Sections T31 to t32 become 'motor power > mode entry set value (= first set value)'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Here, the first set value may be defined as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first mapping constant value (α, α<0) to the motor power value. Accordingly, the mod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to be maintained.

T32 내지 t33 구간은 브레이크 제동 구간으로서, 모드 제어부(150)는 브레이크 제동 상황 시 모터 파워값과 모드 진입 설정값 및/또는 모드 해제 설정값을 비교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레이크를 제동하게 되면 모터 파워값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T32 내지 t33 구간에서 '모터 파워 < 모드 진입 설정값(=제1 설정값)'이 되는 시점에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ections T32 to t33 are brake braking sections, and the mode control unit 150 compares the motor power value with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or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in a brake braking situation to control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 In this case, when the brake is applied, the motor power value is reduced. Therefore, the mode control unit 150 controls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t the time when 'motor power < mode entry set value (= first set value)' in the period from T32 to t33.

T33 이후 구간은 가속 구간으로서, 모터 파워는 가속 시에 '모터 파워 > 0'인 상태가 된다. The section after T33 is an acceleration section, and the motor power becomes 'motor power > 0' during acceleration.

따라서, 모드 제어부(150)는 T33 이후 구간에서 '모터 파워 > 모드 해제 설정값(=제2 설정값)'이 되는 시점에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2 설정값은 디폴트 값인 0[kW]가 된다.Therefore, the mod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at the time when 'motor power > mode release set value (= second set value)' in the section after T33. Here, the second set value becomes the default value of 0 [kW].

상기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100)는 메모리와 각 동작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제어부(110), 정보 수집부(120), 크립 파워 연산부(130), 설정부(140) 및 모드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로서 구현될 수 있다.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00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hardware device including a memory and a processor that processes each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microprocessor or a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It can be driven in the form included in other hardware devices such a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the creep power calculation unit 130, the setting unit 140, and the mode control unit 15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can be implemented a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flow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S700 과정에 대한 세부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flow for a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9 are diagrams showing detailed operation flows for process S700 of FIG. 6 .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S100). 'S100' 과정에서 수집된 차량 정보는 저전압직류변환 (LDC) 시스템의 주행모드, 연료 인젝션 상태, 크립 토크 및/또는 엑셀레이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ollects vehicle information (S100).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S100' process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driving mode, fuel injection status, creep torque, and/or accelerator status of the low voltage direct current (LDC) system.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S100' 과정에서 수집된 차량 정보로부터 차량의 저전압직류변환 (LDC) 시스템의 주행모드가 회생제동 모드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LDC 시스템의 주행모드가 회생제동 모드가 아닌 경우(S200),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차량의 연료 인젝션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연료 인젝션 오프(Off) 상태이면(S300),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차량의 크립 토크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의 크립 파워, 즉, 모터 파워를 연산한다(S400).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S400' 과정에서 연산된 크립 파워가 0[kw] 이상인 저차속 구간이면(S500), 관련 동작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엑셀레이터가 오프(Off)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엑셀레이터가 오프(Off) 상태이면(S600),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를 제어한다(S700).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hecks whether the driving mode of the low voltage direct current (LDC) system of the vehicle i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S100' process. If the driving mode of the LDC system is not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S200),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hecks the fuel injection state of the vehicle. At this time, if the fuel injection is off (S300),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alculates the creep power of the current vehicle, that is, the motor power, based on the creep torque of the vehicle (S400).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ends the related operation when the creep power calculated in step 'S400' is 0 [kw] or more (S500), and checks whether the accelerator is off. At this time, if the accelerator is off (S600),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ontrol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LDC system (S700).

'S700' 과정에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모터 파워와 모드진입 설정값 및/또는 모드 해제 설정값과의 관계, 보조 배터리 SOC 상태, 도로 경사도,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제한 상황, 브레이크 제동 상황 등에 따라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거나, 회생제동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S700',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deter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or power and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or the mode exit setting value, the auxiliary battery SOC state, the road slope, the charging limit situation of the high voltage battery, the brake braking situation, etc. Accordingly,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LDC system may be entered o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may be released.

이에,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S700' 과정에 대한 세부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9 , the detailed operation flow for the 'S700' process is as follows.

먼저, 도 7은 도로 경사도에 따른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 제어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로 경사도에 따른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 제어는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조 배터리의 SOC가 회생제동 효율 제어 진입을 위한 SOC 설정값(γ) 이하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First, FIG. 7 illustrates a regenerative braking mode control operation of an LDC system according to a road gradient.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control of the LDC system according to the road gradient may be performed when the SOC of the auxiliary battery is less than the SOC set value γ for entering the regenerative braking efficiency control in a state where the high voltage battery does not enter the charging limi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회생제동 모드 진입 및 해제를 위한 설정값, 즉,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을 설정한다(S711). 여기서, 모드 진입 설정값은 도 6의 'S400' 과정에서 연산된 크립 파워에 제1 맵핑 상수값(α, α<0)을 더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드 해제 설정값은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 즉, 0[kw]로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sets a setting value for entering and releas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hat is, a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a mode release setting value (S711). Here,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may be set to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first mapping constant value (α, α<0) to the creep power calculated in step 'S400' of FIG. 6 . In addition,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may be set to the default value of motor power, that is, 0 [kw].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고전압배터리 충전 제한 진입 상태가 아니고(S712), 보조 배터리의 SOC가 회생제동 효율 제어 진입을 위한 SOC 설정값(γ) 이하인 경우(S713), 도로 경사로가 내리막 경사로인지를 판단한다.When the vehicle's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is not in the high-voltage battery charging limit entry state (S712) and the SOC of the auxiliary battery is less than the SOC set value (γ) for regenerative braking efficiency control entry (S713), it determines whether the road ramp is a downhill slope. judge

만일, 차량이 내리막 경사로에 진입(강판 코스팅 주행)한 것으로 판단되면(S714),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S711' 과정에서 설정된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을 가변 설정한다(S715). 일 예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설정값에서 제1 가변 설정값으로 가변한다. 여기서, 제1 가변 설정값은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 즉, 0[kw]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설정값에서 제2 가변 설정값으로 가변한다. 여기서, 제2 가변 설정값은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 즉, 0[kw]에 제2 맵핑 상수값(β, β>0)을 더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a downhill slope (steel coasting driving) (S714), the vehicle's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variably sets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mode release setting value set in step 'S711' (S715). ). For example,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hanges the mode entry set value from a first set value to a first variable set value. Here, the first variable set value may be set to a default value of motor power, that is, 0 [kw]. Also,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hanges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from the second setting value to the second variable setting value. Here, the second variable setting value may be set to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second mapping constant value (β, β>0) to the default value of motor power, that is, 0 [kw].

이때, 차량의 모터 파워가 제1 가변 설정값 미만이 되면(S716),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717).At this time, when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first variable set value (S716),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controls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LDC system (S717).

이후, 차량의 모터 파워가 제2 가변 설정값을 초과하면(S718),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S719). 만일, 차량의 모터 파워가 제2 가변 설정값 이하인 상태가 지속되면,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exceeds the second variable set value (S718),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may release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LDC system (S719). If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continues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variable set value,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may control the LDC system to mainta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한편, 'S716' 과정에서, 모터 파워가 제1 가변 설정값 이상인 상태가 지속되면,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n step 'S716', if the state in which the motor pow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variable set value continues,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may control the LDC system to maintain the release stat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도 8은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상황에 따른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 제어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8 illustrates a regenerative braking mode control operation of an LDC system according to a charging limit situation of a high voltage battery.

도 7의 'S712' 과정에서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진입 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도 8의 'A' 이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When the charging limit of the high voltage battery is entered in step 'S712' of FIG. 7 ,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performs an operation after 'A' of FIG. 8 .

이에,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진입 시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를 활성화한다(S721).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activate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LDC system when the high voltage battery enters the charging limit (S721).

이후,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코스팅 주행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코스팅 주행상황인 경우(S722),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723). 이때, 차량의 회생 제동 제어 장치는 코스팅 주행이 종료될 때까지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코스팅 주행이 종료되면(S724),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한다(S725).Thereafter,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a coasting driving situation, and if it is a coasting driving situation (S722), controls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LDC system (S723). At this time,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maintains the state of enter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LDC system until the coasting operation ends, and control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LDC system to be released when the coasting operation ends (S724). Do (S725).

도 9는 브레이크 제동 상황에 따른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 제어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9 illustrates a regenerative braking mode control operation of the LDC system according to brake braking situations.

도 7의 'S714' 과정에서 도로의 경사로가 내리막 경사로가 아닌 경우,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도 9의 'B' 이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In step 'S714' of FIG. 7 , when the slope of the road is not a downhill slope,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performs operations after 'B' of FIG. 9 .

이에,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지 코스팅 주행 중 브레이크 제동으로 인해 차량의 모터 파워가 제1 설정값 미만이 되면(S731),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732). 이때, 차량의 회생 제동 제어 장치는 브레이크 제동이 종료되고 가속이 시작될 때까지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when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becomes less than the first set value due to brake braking while driving on a flat terrain (S731),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LDC Control to enter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system (S732). At this time,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maintain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of the LDC system until the brake braking is completed and acceleration is started.

이후, 가속으로 인해 차량의 모터 파워가 제2 설정값을 초과하면(S733),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LDC 시스템의 회생제동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S734).Thereafter, when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exceeds the second set value due to acceleration (S733),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may release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LDC system (S734).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system on which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a computing system 1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00, a memory 1300, a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400, a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500, and a storage connected through a bus 1200. 1600, and a network interface 1700.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processes commands stored in the memory 1300 and/or the storage 1600 . The memory 1300 and the storage 16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1300 may include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directly implemented as hardw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0, a soft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A software module resides in a storage medium (i.e., memory 1300 and/or storage 1600) such as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You may.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100, and the processor 1100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l with the processor 1100.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 ASIC may reside within a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user termin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인터페이스부 20: 통신부
30: 저장부 100: 회생제동 제어 장치
110: 제어부 120: 정보 수집부
130: 크립 파워 연산부 140: 설정부
150: 모드 제어부
10: interface unit 20: communication unit
30: storage unit 100: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110: control unit 120: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creep power calculation unit 140: setting unit
150: mode control

Claims (19)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 중 크립 토크에 기초하여 크립 파워를 연산하는 크립 피워 연산부;
저전압직류변환(Low voltage DC-DC Converter)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 및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회생제동 모드의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과,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creep power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creep power based on creep torque among the collected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n controlling the variable voltage of the low voltage DC-DC converter system,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alculated creep power and the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and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mode release setting value; and
The mode control unit controls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the mode exit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vehicle's driving situation and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setting unit,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is set to a first setting value and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is set to a second setting value based on the calculated creep power during flatland coasting driving or brake braking.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값은,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에 제1 맵핑 상수를 더한 값이고,
상기 제2 설정값은,
상기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t value is,
A value obtained by adding a first mapping constant to the calculated creep power;
The second set value is,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가 상기 제1 설정값 미만이면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고,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설정값을 초과하면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e controller,
When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first set value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during flatland coasting driving or brake braking, the vehicle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nd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the motor power reaches the second set value. A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when the value is exceed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강판 코스팅 주행 시,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가변 설정값으로 가변 설정하고,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가변 설정값으로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tting unit,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is variably set to a first variable setting value and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is variably set to a second variable setting value during steel coasting driv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설정값은,
상기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이고,
상기 제2 가변 설정값은,
상기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에 제2 맵핑 상수를 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variable set value is,
is the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The second variable set value is,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second mapping constant to the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강판 코스팅 주행 시,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가 상기 제1 가변 설정값 미만이면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고,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가변 설정값을 초과하면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mode controller,
During steel coasting driving, if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first variable set value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the vehicle enters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nd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the motor power exceeds the second variable set value. A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so that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is released when it exceed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강판 코스팅 주행 종료 시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 및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강판 코스팅 주행 종료 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etting unit,
Reset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to the first setting value and the second setting value at the end of the steel plate coasting run,
The mode controller,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control is maintained so that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is maintained when the motor power does not exceed the second set value when the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end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시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해제 시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e controller,
A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o enter a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charging of the high-voltage battery is limited, and to release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the charging restric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is lif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은,
0[k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is,
A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0 [k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차량의 제동 상태 정보,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정보, 저전압 배터리의 SOC 정보, 코스팅 주행 정보, 도로의 경사도, 차속 및 크립 토크(Creep Torque)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llecting at least one of the bra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charging limit information of the high voltage battery, the SOC information of the low voltage battery, the coasting driving information, the slope of the road, the vehicle speed and creep torque information. Vehicl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 중 크립 토크에 기초하여 크립 파워를 연산하는 단계;
저전압직류변환(Low voltage DC-DC Converter)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 및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회생제동 모드의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과,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Collec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calculating creep power based on creep torque among the collected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n controlling the variable voltage of the low voltage DC-DC converter system,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alculated creep power and the default value of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and setting a mode release setting value; and
Controlling entry or release of a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a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a mode exit setting value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and motor power of the vehicle
including,
In the setting step,
Setting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s a first setting value and setting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as a second setting value based on the calculated creep power during flatland coasting driving or brake braking A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a vehicle.
삭제delet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가 상기 제1 설정값 미만이면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설정값을 초과하면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controlling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Controlling to enter a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motor power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first set value in a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during flatland coasting or braking; and
and controll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when the motor power exceeds the second set value in a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강판 코스팅 주행 시,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가변 설정값으로 가변 설정하고,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가변 설정값으로 가변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etting step,
The regenerative braking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variably setting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to a first variable setting value and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to a second variable setting value when driving on a steel plate coasting. control method.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는,
강판 코스팅 주행 시, 회생제동 모드 해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가 상기 제1 가변 설정값 미만이면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가변 설정값을 초과하면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of controlling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Controlling to enter a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motor power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first variable set value in a regenerative braking mode release state during steel coasting driving; and
and controll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when the motor power exceeds the second variable set value in a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강판 코스팅 주행 종료 시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 및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상기 제1 설정값 및 상기 제2 설정값으로 재설정하는 단계; 및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에서 상기 강판 코스팅 주행 종료 시, 상기 모터 파워가 상기 제2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회생제동 모드 진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resetting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to the first setting value and the second setting value when the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ends; and
Regenerative braking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so that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is maintained when the motor power does not exceed the second set value when the steel plate coasting driving ends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entry state. control metho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는,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시 회생제동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충전 제한 해제 시 회생제동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controlling entry or releas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Controlling to enter a regenerative braking mode when charging of the high voltage battery is limited; and
and controlling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to be released when the charging restriction of the high voltage battery is released.
차량 내 브레이크시스템, 배터리 관리 시스템, 주행제어시스템 및 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차량의 크립 파워를 연산하고, 저전압직류변환(Low voltage DC-DC Converter) 시스템의 가변전압 제어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 및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의 디폴트 값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회생제동 모드의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을 설정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모드 진입 설정값 및 모드 해제 설정값과, 상기 차량의 모터 파워에 기초하여 회생제동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회생제동 제어 장치; 및
상기 회생제동 제어 장치의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생제동 제어 장치는,
평지 코스팅 주행 시 또는 브레이크 제동 시, 상기 연산된 크립 파워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진입 설정값을 제1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 해제 설정값을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at least one of an in-vehicle brake system, a battery management system, a driving control system, and one or more sensors collec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creep power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by collec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alculated creep power and the motor power of the vehicle are used when controlling the variable voltage of the low voltage DC-DC converter system. By setting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and mode release setting value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fault value of a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entry or release of a regenerative braking mode based on motor power; and
An interface unit output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entry setting value is set to a first setting value and the mode release setting value is set to a second setting value based on the calculated creep power during flatland coasting driving or brake braking. system.
KR1020170166585A 2017-12-06 2017-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vehicle, vehicle system KR1024748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85A KR102474809B1 (en) 2017-12-06 2017-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vehicle, vehicl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85A KR102474809B1 (en) 2017-12-06 2017-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vehicle, vehicl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808A KR20190066808A (en) 2019-06-14
KR102474809B1 true KR102474809B1 (en) 2022-12-06

Family

ID=6684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585A KR102474809B1 (en) 2017-12-06 2017-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vehicle, vehicl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80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665B1 (en) * 2015-04-09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voltage of Low voltage DC-DC Converter at regen mode of hybri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721B1 (en) * 2015-07-07 2017-09-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vehicle including driving motor
KR101755498B1 (en) * 2015-11-30 2017-07-2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Regenerative brak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the same
KR101856316B1 (en) * 2016-04-12 201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665B1 (en) * 2015-04-09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voltage of Low voltage DC-DC Converter at regen mode of hybri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808A (en)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47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ybrid vehicle
JP5510116B2 (en) Hybrid vehicle regenerative control device
JP7114944B2 (en) Fuel cell system installed in a vehicle
JP5733112B2 (e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14019433A5 (en)
JP6558280B2 (en) Control system
CN108382247B (en) Control method of electric automobile and electric automobile
JP2009044862A (en) Power supply controller and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vehicle
JP5194751B2 (en) FUEL CELL DEVICE, START-UP DETERMINING DEVICE, AND START-UP DETERMINING METHOD
JP2020065379A (en) Brake control device of vehicle
CN108790853B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and system with device
US201801622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ldc
CN115447558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power of range extender, medium and vehicle
CN116442793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energy feedback limitation of electric automobile
KR1024748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vehicle, vehicle system
JP2017081319A (e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JP2010130807A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driving motor
WO2023005646A1 (en) Vehicle range extend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medium, and extended-range vehicle
CN105564257B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having an electrical energy accumulator
JP7183614B2 (en) Drive control device for vehicle drive system
JP6526476B2 (en) Vehicle charging system
JP6504100B2 (en) Battery discharge control device
US10053082B2 (en) Control method of hybrid vehicle
CN111186429A (en) Hybrid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14035064A (en) Battery charge state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