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443B1 -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 Google Patents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443B1
KR102474443B1 KR1020200059978A KR20200059978A KR102474443B1 KR 102474443 B1 KR102474443 B1 KR 102474443B1 KR 1020200059978 A KR1020200059978 A KR 1020200059978A KR 20200059978 A KR20200059978 A KR 20200059978A KR 102474443 B1 KR102474443 B1 KR 10247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olf ball
tempo
speed
irradi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051A (ko
Inventor
박용길
Original Assignee
(주)디엠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비에이치 filed Critical (주)디엠비에이치
Priority to KR102020005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43B1/ko
Priority to US17/167,027 priority patent/US11633654B2/en
Priority to CN202180034175.2A priority patent/CN115551607A/zh
Priority to JP2022568577A priority patent/JP2023526917A/ja
Priority to PCT/KR2021/002225 priority patent/WO2021235655A1/ko
Priority to US17/922,378 priority patent/US20230211223A1/en
Publication of KR2021014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051A/ko
Priority to KR1020220163217A priority patent/KR20220163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50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linea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1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using electro-magnetic, magnetic or ultrasonic radiation emitted, reflected or interrupted by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8Balls, ball substitutes, or attachments on bal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1/00Measuring average value of 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36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means, e.g.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1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4911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1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4912Receivers
    • G01S7/4913Circuits for detection, sampling, integration or read-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연습기에 있어서, 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센서설치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센서설치부 중에 하나인 제1센서설치부에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100)와, 나머지 하나인 제2센서설치부에는 상기 조사부(10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조사부(100)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200)에서 수광하여 골프공(1)을 퍼팅하였을 때, 골프공(1)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부(300) 및 골프공(1)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최초 골프공(1)의 위치값과 상기 속도검출부(300)를 통해 측정된 골프공(1)의 이동속도(Vb)와 이동거리(Hb)를 검출하기 위해 연산하는 연산제어부(500) 및 상기 측정된 골프공(1)의 속도(Vb)와 거리(Hb)를 저장하는 저장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Putting exerciser to evaluate the putter's hitting speed and tempo}
본 발명은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팅 시 골프공의 속도, 방향, 이동거리 및 퍼터의 속도와 템포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골프공을 클럽으로 타격하여 지정된 거리에 있는 홀컵에 가장 적은 타수로 넣어 승부를 겨루는 경기이며, 골프의 타격 기술은 그린 밖에서 행해지는 드라이버 및 아이언 샷과 그린 위에서 행해지는 퍼팅으로 나눠진다.
특히, 퍼팅은 골프에 있어서 낮은 스코어를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골프에서 퍼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중요하여 퍼팅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습기구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2048호에는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위한 방법"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광 센서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속도와 방향각을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8400호에는 "원점 보상 기능을 가지는 퍼팅기"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골프공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고 퍼팅 시 골프공의 출발속도와 방향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퍼팅거리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퍼팅 연습기들은 센서를 이용하여 퍼팅 시 골프공의 속도와 방향을 측정하여 골프공의 이동거리 및 방향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퍼팅 시 골프공의 이동거리와 방향을 결정하는 요소들은 퍼터 헤드의 속도, 페이스 각도, 퍼터의 길이, 이동경로, 템포 등 매우 많은 요소들이 적용된다.
따라서 골프공의 속도와 방향만을 측정하는 종래의 퍼팅 연습기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퍼팅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는 것이 어려웠으며, 퍼팅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한 힘조절은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감으로 익힐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820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884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273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077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퍼터의 백스윙 초기 시작점과 다운스윙 후 임팩트까지의 시간인 템포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퍼터의 속도와, 퍼팅 시 골프공의 속도와 방향을 측정하고, 측정된 측정값들의 관계를 통하여 사용자의 퍼팅에 관한 정보(템포, 정타여부 등)를 제공함으로써 퍼팅 연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퍼팅연습기에 있어서, 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센서설치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센서설치부 중에 하나인 제1센서설치부에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100) 또는 수광부(200)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인 제2센서설치부에는 수광부(200) 또는 조사부(100)가 구비되어, 상기 조사부(100)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200)에서 수광하여 골프공(1)을 퍼팅하였을 때, 골프공이 지나가는 순간을 확인함으로써 골프공(1)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부(300) 및 골프공(1)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최초 골프공(1)의 위치값과 상기 속도검출부(300)를 통해 측정된 골프공(1)의 이동속도(Vb)와 이동거리(Hb)를 검출하기 위해 연산하는 연산제어부(500) 및 상기 측정된 골프공(1)의 속도(Vb)와 거리(Hb)를 저장하는 저장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조사부(100)는, 골프공(1)의 최초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1조사부(110)와, 상기 골프공(1)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2조사부(120)와, 상기 골프공(1)을 타격하기 위해 골프공(1)의 뒤쪽에서 움직이는 퍼터(2)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3조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200)는, 상기 제1조사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1조사부(11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1수광부(210)와, 상기 제2조사부(12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2조사부(12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수광부(220)와, 상기 제3조사부(13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3조사부(13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3수광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조사부(130)는, 상기 제1조사부(110)와 근접하게 설치된 제31조사부(131)와, 상기 제31조사부(131)에서 일정거리인 Dc 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제32조사부(13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수광부(230)는, 상기 제31조사부(131)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제31수광부(231)와, 상기 제32조사부(132)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제32수광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퍼터(2)가 백스윙을 시작한 후, 상기 제31조사부(131)와 상기 제31수광부(231)를 통해 검출된 시각을 t0라하고, 상기 퍼터(2)가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 전환되어 전진한 후, 다시 상기 제31조사부(131)와 상기 제31수광부(231)를 통해 검출된 시각을 t1이라하면, 상기 템포(T)는 T=t1-t0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퍼터(2)가 다운스윙으로 전환되어 전진한 후, 상기 제32조사부(132)와 상기 제32수광부(232)를 통해 검출된 시각을 t2라 하고, 상기 제31조사부(131)와 제32조사부(132) 사이의 거리는 Dc일 때, 상기 퍼터(2)의 속도(Vp)는 Vp=Dc/(t1-t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퍼터(2)의 백스윙과 다운스윙에 의해 측정된 템포 T와 퍼터의 속도 Vp를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하고, 상기 퍼터(2)를 통해 골프공(1)을 타격한 후, 상기 연산제어부(500)를 통해 골프공(1)의 이동속도(Vb)와 이동거리(Hb)를 연산한 다음 이를 저장부(600)에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퍼터(2)를 i회 (i=1,2,3,...,n-1,n) 퍼팅한 후 각 회수별 측정된 템포 Ti값을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한 후, 상기 연산제어부(500)에서 상기 각 회수별 측정된 템포 Ti에 대한 표준편차(Tsd)와 평균(Tav)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표준편차(Tsd)와 평균(Tav)을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표준편차(Tsd)와 평균(Tav)을 j회 (j=1,2,3,...,m-1,m) 측정하고, 상기 j 회 측정된 표준편차(Tsd)의 평균값을 표준편차 기준값(Tsd_b)이라하고, 상기 j 회 측정된 평균값(Tav)의 평균값을 평균 기준값(Tav_b)이라 할 때,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Tsd_b)은,
Tsd_b=[(Tsd_1+Tsd_2 +Tsd_3+...+Tsd_m-1+ Tsd_m)/m] 이고,
상기 평균 기준값(Tav_b)은.
Tav_b=[(Tav_1+Tav_2+Tav_3+...+Tav_m-1+ Tav_m)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현재 다수의 퍼팅연습에 의해 측정된 템포(Ti_now)에 대한 표준편차값을 Tsd_0이라 하고, 평균값을 Tav_0라고 할 때, 상기 현재 측정한 템포(Ti_now)의 표준편차값 Tsd_0이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 Tsd_b보다 작으면 (Tsd_0 < Tsd_b) '템포 향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준편차값 Tsd_0이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 Tsd_b와 동일하면 (Tsd_0 = Tsd_b) '템포 보통'으로 판단하며, 상기 표준편차값 Tsd_0이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 Tsd_b보다 크면 (Tsd_0 > Tsd_b) '템포 나쁨'으로 판단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템포 향상' ( Tsd_0 < Tsd_b ) 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현재 측정한 템포(Ti_now)의 평균값 Tav_0과 상기 평균 기준값(Tav_b)의 차이값의 절대치를 상기 평균 기준값(Tav_b)으로 나눈 값이 0.1 이하인 경우 [ ((|Tav_0 - Tav_b|) / Tav_b) <= 0.1 ] 에는 '템포 매우 향상'으로 판단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퍼터(2)를 i회 (i=1,2,3,...,n-1,n) 퍼팅한 후 각 회수로 측정한 퍼터(2)의 속도값을 Vpi 이라하고, 이때 퍼터(2)로 타격되어 이동하는 골프공(1)의 속도를 Vbi 라고 했을 때, 상기 Vpi (여기서, i=1,2,3,...,n-1,n)에 대해 동일한 속도를 갖는 Vpi를 묶어서 속도별로 나누면, 각각의 속도는 Vp_q(여기서 q=1,2,3,...,k-1,k,k+1,..,u-1,u)이고, 상기 퍼터(2)의 속도가 Vp_k일 때 골프공(1)의 속도 중에 가장 빠른 속도를 Vb_k_max라 하고, 상기 퍼터(2)의 속도가 Vp_q일 때 퍼터(2)의 타격에 의해 이동되는 골프공(1)의 속도 중에 가장 빠른 속도를 Vb_q_max 로 정의하며, 상기 Vp_q와 Vb_q_max는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밑첨자 p (예: Vp) 는 퍼터(putter)를 의미하며, 밑첨자 b (예: Vb) 는 골프골(ball)을 의미한다.
또한, 현재의 퍼터연습에 의해 측정된 현재 퍼터(2)의 속도를 Vpc라하고, 타격을 받은 골프공(1)이 전진하는 속도를 Vbc라고 했을 때, 상기 Vpc와 동일한 속도를 상기 Vp_q에서 찾아내고, 이때, 상기 Vpc=Vp_k인 경우, 속도상수 Vconst=(Vbc)/(Vb_k_max) 이고, 상기 속도상수 Vconst ≥ 1인 경우, '타격위치 매우정확'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속도상수가 0.95<Vconst≤1인 경우, "타격위치 향상"으로 판단하며, 상기 속도상수가 0.9<Vconst≤0.95인 경우, "타격위치 보통"으로 판단하며, 상기 속도상수가 0.85<Vconst≤0.9인 경우, "타격위치 노력"으로 판단하며, 상기 속도상수가 0.8<Vconst≤0.85인 경우 "타격위치 나쁨"으로 판단하며, 상기 속도상수가 Vconst≤0.8인 경우 "타격위치 교정"으로 판단하며, 이때 위 Vconst 구간과 판단 표현용어는 적절히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필요에 사용하는 퍼터가 바뀔 경우 퍼터의 무게나 모양이 달라 퍼터의 속도 및 템포가 달라 골프공의 속도도 차이가 날 것은 당연하다.
이때에는 초기버튼을 눌러 최소시작모드로 다시 데이터가 수집되도록 처리하거나 퍼터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별개로 저정하고 각 퍼터에 따라 그 템포와 속도상수 등 결과치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체형에 맞는 퍼터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퍼팅 거리를 결정하는 핵심요소인 퍼터의 타격속도 및 템포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프공의 속도와 퍼터의 속도를 측정하여 골프공의 타격위치를 예측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퍼팅에 관해 제공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연습을 실행함으로써 적절한 힘조절과 정확한 타점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퍼팅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템포 측정방법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클럽 속도 측정 방법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6은 일반적인 퍼터 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퍼팅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템포 측정방법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클럽 속도 측정 방법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6은 일반적인 퍼터 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팅 연습기(10)는 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센서설치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설치부 중에 하나인 제1센서설치부에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100)와, 나머지 하나인 제2센서설치부에는 상기 조사부(10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조사부(100)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200)에서 수광하여 골프공(1)을 퍼팅하였을 때, 골프공(1)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부(300) 및 골프공(1)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위치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최초 골프공(1)의 위치값과 상기 속도검출부(300)를 통해 측정된 골프공(1)의 이동속도(Vb)와 이동거리(Hb)를 검출하기 위해 연산하는 연산제어부(500) 및 상기 측정된 골프공(1)의 속도(Vb)와 거리(Hb)를 저장하는 저장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사부(100)는, 골프공(1)의 최초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1조사부(110)와, 상기 골프공(1)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2조사부(120)와, 상기 골프공(1)을 타격하기 위해 골프공(1)의 뒤쪽에서 움직이는 퍼터(2)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3조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광부(200)는, 상기 제1조사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1조사부(11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1수광부(210)와, 상기 제2조사부(12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2조사부(12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수광부(220)와, 상기 제3조사부(13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3조사부(13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3수광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조사부(120) 및 제2수광부(220)는 퍼팅 직후 골프공의 속도와 방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종래기술에 이미 기재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조사부(130)는, 상기 제1조사부(110)와 근접하게 설치된 제31조사부(131)와, 상기 제31조사부(131)에서 일정거리인 Dc 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제32조사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수광부(230)는, 상기 제31조사부(131)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제31수광부(231)와, 상기 제32조사부(132)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제32수광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퍼터(2)가 백스윙을 시작한 후, 상기 제31조사부(131)와 상기 제31수광부(231)를 통해 검출된 시각을 t0라하고, 상기 퍼터(2)가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 전환되어 전진한 후, 다시 상기 제31조사부(131)와 상기 제31수광부(231)를 통해 검출된 시각을 t1이라하면, 상기 템포(T)는 T=t1-t0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퍼터(2)가 다운스윙으로 전환되어 전진한 후, 상기 제32조사부(132)와 상기 제32수광부(232)를 통해 검출된 시각을 t2라 하고, 상기 제31조사부(131)와 제32조사부(132) 사이의 거리는 Dc일 때, 상기 퍼터(2)의 속도(Vp)는 Vp=Dc/(t1-t2)로 정의된다.
상기 템포(T)와 속도(Vp)는 퍼팅 거리(골프공의 이동거리)에 영향을 주는 밀접한 요소이며, 템포는 일관성(consistency) 있게 유지되지만 퍼팅 거리에 따라 속도(Vp)는 변하게 된다.
즉, 퍼팅 거리에 따라서 템포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백스윙의 거리를 늘이거나 줄이면서 퍼터 회전 속도를 조절해야 정확한 힘조절이 가능하며, 원하는 거리만큼 정확하게 골프공을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일관성 있는 퍼팅 템포와 퍼팅 거리에 따른 퍼터의 속도(Vp)를 몸에 익히는 연습은 굉장히 중요하며, 퍼팅 테크닉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사항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템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퍼터(2)의 백스윙과 다운스윙에 의해 측정된 템포 T와 퍼터의 속도 Vp를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하고, 상기 퍼터(2)를 통해 골프공(1)을 타격한 후, 상기 연산제어부(500)를 통해 골프공(1)의 이동속도(Vb)와 이동거리(Hb)를 연산한 다음 이를 저장부(600)에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퍼터(2)를 i회 (i=1,2,3,...,n-1,n) 퍼팅한 후 각 회수별 측정된 템포 Ti값을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한 후, 상기 연산제어부(500)에서 상기 각 회수별 측정된 템포 Ti에 대한 표준편차(Tsd)와 평균(Tav)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표준편차(Tsd)와 평균(Tav)을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템포 Ti에 대한 평균(Tav)은 (T1+T2+..+Tn)/n 로 정의되며, 상기 템포 Ti에 대한 표준편차(Tsd)는
Figure 112020050532416-pat00001
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표준편차(Tsd)와 평균(Tav)을 j회 (j=1,2,3,...,m-1,m) 측정하고, 상기 j 회 측정된 표준편차(Tsd)의 평균값을 표준편차 기준값(Tsd_b)이라하고, 상기 j 회 측정된 평균값(Tav)의 평균값을 평균 기준값(Tav_b)이라 할 때,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Tsd_b)은,
Tsd_b=[(Tsd_1+Tsd_2 +Tsd_3+...+Tsd_m-1+ Tsd_m)/m] 이고,
상기 평균 기준값(Tav_b)은.
Tav_b=[(Tav_1+Tav_2+Tav_3+...+Tav_m-1+ Tav_m) /m] 로 정의되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Tsd_b)과 상기 평균 기준값(Tav_b)은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된다.
또한, 현재 다수의 퍼팅연습에 의해 측정된 템포(Ti_now)에 대한 표준편차값을 Tsd_0이라 하고, 평균값을 Tav_0라고 할 때, 상기 현재 측정한 템포(Ti_now)의 표준편차값 Tsd_0이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 Tsd_b보다 작으면 (Tsd_0 < Tsd_b) '템포 향상'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표준편차값 Tsd_0이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 Tsd_b와 동일하면 (Tsd_0 = Tsd_b) '템포 보통'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표준편차값 Tsd_0이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 Tsd_b보다 크면 (Tsd_0 > Tsd_b) '템포 나쁨'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템포 향상' ( Tsd_0 < Tsd_b ) 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현재 측정한 템포(Ti_now)의 평균값 Tav_0과 상기 평균 기준값(Tav_b)의 차이값의 절대치를 상기 평균 기준값(Tav_b)으로 나눈 값이 0.1 이하인 경우 ( | Tav_0 - Tav_b | / Tav_b <= 0.1 ) 에는 '템포 매우 향상'으로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퍼터(2)를 i회 (i=1,2,3,...,n-1,n) 퍼팅한 후 각 회수별 측정된 템포 Ti값에 대한 표준편차(Tsd)와 평균(Tav)을 연산한다.
그리고 상기 표준편차(Tsd)와 평균(Tav)을 j회 (j=1,2,3,...,m-1,m) 측정하여 상기 j 회 측정된 표준편차 기준값(Tsd_b)과 평균 기준값(Tav_b)을 연산한다.
그리고 현재 다수의 퍼팅연습에 의해 측정된 템포(Ti_now)에 대한 표준편차값을 Tsd_0과 평균값을 Tav_0 연산하며, 상기 표준편차값 Tsd_0와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 Tsd_b을 비교한다.
즉, 현재 퍼팅 연습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와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퍼팅 템포의 일관성을 측정하고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사용자에게 퍼터의 타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퍼터(2)를 i회 (i=1,2,3,...,n-1,n) 퍼팅한 후 각 회수로 측정한 퍼터(2)의 속도값을 Vpi 이라하고, 이때 퍼터(2)로 타격되어 이동하는 골프공(1)의 속도를 Vbi 라고 했을 때, 상기 Vpi (여기서, i=1,2,3,...,n-1,n)에 대해 동일한 속도를 갖는 Vpi를 묶어서 속도별로 나누면, 각각의 속도는 Vp_q(여기서 q=1,2,3,...,k-1,k,k+1,..,u-1,u)이고, 상기 퍼터(2)의 속도가 Vp_k일 때, 골프공(1)의 속도 중에 가장 빠른 속도를 Vb_k_max라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퍼터(2)를 i회 (i=1,2,3,...,n-1,n) 퍼팅한 후 각 회수로 측정한 퍼터(2)의 속도값은 Vpi 이고, 골프공(1)의 속도는 Vbi이다.
그리고 상기 Vpi (여기서, i=1,2,3,...,n-1,n)에 대해 동일한 속도를 갖는 Vpi를 묶어서 상기 골프공의 속도 Vbi 별로 나눈다.
즉, 상기 퍼터(2)를 100회 퍼팅하고 100회 각각에 해당되는 퍼터(2)의 속도값 및 골프공(1)의 속도값이 측정되며, 이때, 상기 퍼터(2)의 속도값 중 동일한 속도값끼리 그룹을 이룬 후, 다시 그 그룹 내에서 골프공의 속도값 별로 나눌 수 있다.
즉, 퍼터(2)의 속도값이 동일하지만 그에 대응되는 골프공(1)의 속도값이 다를 수 있다. 이는 퍼터 헤드의 중심부(A5)가 spot point로서 퍼터의 중심부(A5)에 골프공이 타격이 될 경우, 골프공의 속도가 가장 빠르며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골프공의 속도는 감소하며, 골프공의 이동거리도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퍼터(2)의 속도가 Vp_q일 때, 퍼터(2)의 타격에 의해 이동되는 골프공(1)의 속도 중에 가장 빠른 속도를 Vb_q_max 로 정의하며, 상기 Vp_q와 Vb_q_max는(여기서, q=1,2,3,...,k-1,k,k+1,..,u-1,u)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된다.
또한, 현재의 퍼터연습에 의해 측정된 현재 퍼터(2)의 속도를 Vpc라하고, 타격을 받은 골프공(1)이 전진하는 속도를 Vbc라고 했을 때, 상기 Vpc와 동일한 속도를 상기 Vp_q에서 찾아내고, (여기서, q=1,2,3,...,k-1,k,k+1,..,u-1,u) 이때, 상기 Vpc=Vp_k인 경우, 속도상수 Vconst=(Vbc)/(Vb_k_max) 이고, 상기 속도상수 Vconst ≥ 1인 경우, '타격위치 매우정확'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속도상수가 0.95<Vconst≤1인 경우, "타격위치 향상"으로 판단하며, 상기 속도상수가 0.9<Vconst≤0.95인 경우, "타격위치 보통"으로 판단하며, 상기 속도상수가 0.85<Vconst≤0.9인 경우, "타격위치 노력"으로 판단하며, 상기 속도상수가 0.8<Vconst≤0.85인 경우 "타격위치 나쁨"으로 판단하며, 상기 속도상수가 Vconst≤0.8인 경우 "타격위치 교정"으로 판단한다.
위 Vconst 구간과 판단 표현용어는 적절히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퍼팅 연습기(10)는 광 센서를 활용하여 퍼터(2)의 백스윙의 초기 시작점과 다운스윙 이후 다시 초기 시작점을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인 템포를 측정하여 퍼팅 시 템포의 일관성(consistency)에 대한 데이터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연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 센서를 활용하여 상기 퍼터(2)의 속도와 볼의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퍼터(2)의 속도와 골프공의 속도의 관계를 통하여 퍼터(2)의 특성이나 중심점(A5)에 타격여부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퍼팅 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퍼팅거리와 퍼팅방향 만을 제공하는 종래의 장치에 상기 제3조사부(130) 및 제3수광부(230)를 추가함으로써, 퍼팅거리를 결정하는 핵심요소인 템포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관된 템포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연습방법을 제공하여 퍼팅실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골프공(1)과 퍼터(2)의 속도 관계를 통해 사용하는 퍼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골프공(1)의 타격위치를 예측함으로써 정확한 타점[퍼터의 중심점(A5)]에 타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골프공 2 : 퍼터
10 : 퍼팅 연습기 100 : 조사부
110 : 제1조사부 120 : 제2조사부
130 : 제3조사부 131 : 제31조사부
132 : 제32조사부 200 : 수광부
210 : 제1수광부 220 : 제2수광부
230 : 제3수광부 231 : 제31수광부
232 : 제32수광부 300 : 속도검출부
400 : 위치측정부 500 : 연산제어부
600 : 저장부

Claims (7)

  1. 퍼팅연습기에 있어서,
    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센서설치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센서설치부 중에 하나인 제1센서설치부에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100) 또는 수광부(200)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인 제2센서설치부에는 수광부(200) 또는 조사부(100)가 구비되어,
    상기 조사부(100)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200)에서 수광하여 골프공(1)을 퍼팅하였을 때, 골프공이 지나가는 순간을 확인함으로써 골프공(1)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부(300) 및 골프공(1)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최초 골프공(1)의 위치값과 상기 속도검출부(300)를 통해 측정된 골프공(1)의 이동속도(Vb)와 이동거리(Hb)를 검출하기 위해 연산하는 연산제어부(500) 및 상기 측정된 골프공(1)의 속도(Vb)와 거리(Hb)를 저장하는 저장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골프공(1)의 최초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1조사부(110)와,
    상기 골프공(1)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2조사부(120)와,
    상기 골프공(1)을 타격하기 위해 골프공(1)의 뒤쪽에서 움직이는 퍼터(2)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3조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광부(200)는,
    상기 제1조사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1조사부(11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1수광부(210)와,
    상기 제2조사부(12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2조사부(12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수광부(220)와,
    상기 제3조사부(13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3조사부(13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3수광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조사부(130)는,
    상기 제1조사부(110)와 근접하게 설치된 제31조사부(131)가 배치되고,
    상기 제3수광부(230)는,
    상기 제31조사부(131)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제31수광부(231)가 배치되되
    퍼터의 백스윙 초기 시작점과 다운스윙 후 임팩트까지의 시간을 템포로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템포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퍼터(2)가 백스윙을 시작한 후, 상기 제31조사부(131)와 상기 제31수광부(231)를 통해 검출된 시각을 t0라하고,
    상기 퍼터(2)가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 전환되어 전진한 후, 다시 상기 제31조사부(131)와 상기 제31수광부(231)를 통해 검출된 시각을 t1이라하면,
    상기 템포(T)는 T=t1-t0로 정의하여 측정하며
    상기 퍼터(2)를 i회 (i=1, 2, 3,..., n-1, n) 퍼팅한 후 연산제어부(500)에서 상기 각 회수별 측정된 템포 Ti에 대한 표준편차(Tsd)와 평균(Tav)을 연산하고,
    상기 표준편차(Tsd)와 평균(Tav)을 j회 (j=1, 2, 3,..., m-1, m) 측정한 후, 상기 j 회 측정된 표준편차(Tsd)의 평균값을 표준편차 기준값(Tsd_b)이라하고, 상기 j 회 측정된 평균값(Tav)의 평균값을 평균 기준값(Tav_b)이라 한 다음,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과 상기 평균기준값을 통해 현재의 템포 상태를 판단하되
    현재 다수의 퍼팅연습에 의해 측정된 템포(Ti_now)에 대한 표준편차값을 Tsd_0 이라하고, 평균값을 Tav_0 라고 할 때 현재 측정한 템포(Ti_now)의 표준편차값 Tsd_0과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 Tsd_b의 차이를 산출하여 현재의 탬포상태를 판단하며
    이때 상기 현재 측정한 템포(Ti_now)의 표준편차값 Tsd_0이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 Tsd_b보다 작으면 (Tsd_0 < Tsd_b) '템포 향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현재 측정한 템포(Ti_now)의 표준편차값 Tsd_0이 상기 표준편차 기준값 Tsd_b보다 크면 (Tsd_0 > Tsd_b) '템포 나쁨'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사부(110)에는 상기 제31조사부(131)에서 일정거리인 Dc 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제32조사부(132)가 배치되며,
    상기 제3수광부(230)는,
    상기 제32조사부(132)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제32수광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퍼터(2)가 다운스윙으로 전환되어 전진한 후, 상기 제32조사부(132)와 상기 제32수광부(232)를 통해 검출된 시각을 t2라 하고, 상기 제31조사부(131)와 제32조사부(132) 사이의 거리는 Dc일 때,
    상기 퍼터(2)의 속도(Vp)는 Vp=Dc/(t1-t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6. 삭제
  7. 삭제
KR1020200059978A 2020-05-19 2020-05-19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KR10247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978A KR102474443B1 (ko) 2020-05-19 2020-05-19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US17/167,027 US11633654B2 (en) 2020-05-19 2021-02-03 Putting exerciser for evaluating hitting speed and tempo of putter
CN202180034175.2A CN115551607A (zh) 2020-05-19 2021-02-23 用于评价推杆的击打速度和节奏的推杆练习器
JP2022568577A JP2023526917A (ja) 2020-05-19 2021-02-23 パターの打撃速度及びテンポを評価するパッティング練習器
PCT/KR2021/002225 WO2021235655A1 (ko) 2020-05-19 2021-02-23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US17/922,378 US20230211223A1 (en) 2020-05-19 2021-02-23 Putting practice apparatus for evaluating striking speed and tempo of putter
KR1020220163217A KR20220163338A (ko) 2020-05-19 2022-11-29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978A KR102474443B1 (ko) 2020-05-19 2020-05-19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217A Division KR20220163338A (ko) 2020-05-19 2022-11-29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51A KR20210143051A (ko) 2021-11-26
KR102474443B1 true KR102474443B1 (ko) 2022-12-06

Family

ID=786093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978A KR102474443B1 (ko) 2020-05-19 2020-05-19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KR1020220163217A KR20220163338A (ko) 2020-05-19 2022-11-29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217A KR20220163338A (ko) 2020-05-19 2022-11-29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633654B2 (ko)
JP (1) JP2023526917A (ko)
KR (2) KR102474443B1 (ko)
CN (1) CN115551607A (ko)
WO (1) WO2021235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490A (ko) *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골프존 골프공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675B1 (ko) * 2007-07-20 2008-12-05 임병근 퍼팅 연습기
KR101599408B1 (ko) * 2014-02-04 2016-03-03 이승희 골프퍼팅 연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036A (ko) * 1994-09-02 1996-04-20 아이꼬 마에다 골프채의 스윙분석장치
JP2001264016A (ja) * 2000-03-15 2001-09-26 Sumitomo Rubber Ind Ltd ボールの運動測定装置
US20020022530A1 (en) * 2000-08-21 2002-02-21 Yoon Duck J. Golf trainer apparatus
US6540620B1 (en) 2000-09-14 2003-04-01 Joseph Consiglio Golf putter training device incorporating processor and counter mechanism
US6821211B2 (en) * 2001-09-14 2004-11-23 Golftech Sport swing analysis system
AU2005201321B2 (en) * 2004-03-26 2007-08-09 Sri Sports Limited Golf swing-diagnosing system
KR20060006581A (ko) * 2004-07-16 2006-01-19 김만철 골프채의 스윙속도 측정장치
KR20050042106A (ko) 2005-04-06 2005-05-04 김성진 휴대용 골프클럽 헤드 스피드 측정기
US20070224583A1 (en) * 2006-03-23 2007-09-27 Humphrey Robert J Compact Comprehensive Golf Swing Practice Aid and Method of Use
KR100671751B1 (ko) * 2006-06-19 2007-01-22 윤태혁 퍼팅 연습기
KR20100133087A (ko) 2009-06-11 2010-12-21 주식회사 씽크윈텍 퍼팅 연습 장치
US8052540B2 (en) * 2009-12-22 2011-11-08 James Cheng-Wah Loh Putting trainer
KR101282048B1 (ko) 2011-06-17 2013-07-04 (주)디엠비에이치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388400B1 (ko) 2012-05-25 2014-05-19 (주)디엠비에이치 원점 보상 기능을 가지는 퍼팅기
KR20150065431A (ko) * 2013-12-05 2015-06-15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골프 스윙 분석 장치
KR101627349B1 (ko) 2014-08-29 2016-06-07 (주)레인미디어랩 퍼팅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707766B1 (ko) 2016-01-29 2017-02-17 송영철 골프 퍼터용 퍼팅연습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675B1 (ko) * 2007-07-20 2008-12-05 임병근 퍼팅 연습기
KR101599408B1 (ko) * 2014-02-04 2016-03-03 이승희 골프퍼팅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655A1 (ko) 2021-11-25
JP2023526917A (ja) 2023-06-26
CN115551607A (zh) 2022-12-30
US20210362025A1 (en) 2021-11-25
US20230211223A1 (en) 2023-07-06
US11633654B2 (en) 2023-04-25
KR20210143051A (ko) 2021-11-26
KR20220163338A (ko)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495B2 (en) Waggle weight and other preparatory period equipment measurements
US6966843B2 (en) Golf club fitting system and method
US116128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mpact characteristics of sports ball striking element
US4059270A (en) Method for custom fitting golf clubs
US9604117B2 (en) Golf stroke training device
KR20140090087A (ko)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91827B1 (ko) 탁구 라켓의 스윙 정확도 및 교체 판별 장치
KR100921613B1 (ko)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한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220163338A (ko) 퍼터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평가하는 퍼팅 연습기
US20070249428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KR100489418B1 (ko) 퍼팅교정 및 연습장치
KR20200103395A (ko) 골프공 위치 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408196B1 (ko) 탁구용 스윙 분석 시스템
KR20150029094A (ko) 골프 스윙 분석 장치
KR102367966B1 (ko) 스윙 각도 안내 레이저 조사형 골프 퍼터
JPH115710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運動測定方法及び装置
KR101831825B1 (ko) 탁구 스윙 임팩트 판별장치
KR100429149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452594B1 (ko) 스윙 정보를 표시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KR102661107B1 (ko) 발의 정위치를 판단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US20230153610A1 (en) Using machine trained networks to analyze golf swings
KR102520867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361166B1 (ko) 엑스 펙터 개선을 위한 피드백 장치 및 방법
KR101002819B1 (ko) 실내 골프 연습장용 타격 교정장치
KR20120091943A (ko) 비접촉식 클럽 감지를 이용한 골프 스윙 리듬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