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432B1 - 신축자재하게 조절 가능한 착용 크기를 갖는 방화 헬멧 - Google Patents

신축자재하게 조절 가능한 착용 크기를 갖는 방화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432B1
KR102474432B1 KR1020220110684A KR20220110684A KR102474432B1 KR 102474432 B1 KR102474432 B1 KR 102474432B1 KR 1020220110684 A KR1020220110684 A KR 1020220110684A KR 20220110684 A KR20220110684 A KR 20220110684A KR 102474432 B1 KR102474432 B1 KR 10247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ring
helmet shell
helmet
handwheel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커스 아메드
Original Assignee
한국드레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드레가(주) filed Critical 한국드레가(주)
Priority to KR102022011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7Ancho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진압현장에서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화 헬멧에 관한 것으로, 아치형 헬멧 쉘, 헬멧 쉘의 내부에 부착되어 헬멧 쉘의 착용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 링, 헬멧 쉘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 요소, 및 베어링 링에 의해 제공되는 착용 크기가 변경되도록 작동 요소의 회전을 베어링 링에 전달하는 전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 크기를 기존보다 더 넓은 범위에 걸쳐 변경하되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간단한 연결 구조로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착용 상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킨 방화 헬멧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축자재하게 조절 가능한 착용 크기를 갖는 방화 헬멧{FIRE―FIGHTING HELMET WITH TELESCOPICALLY ADJUSTABLE HEAD SIZE}
본 발명은 방화 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진압현장에서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착용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신축자재하게 조절 가능한 착용 크기를 갖는 방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이란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사용된다. 헬멧은 작업자가 작업할 때, 비래하는 물건, 낙하하는 물건에 의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또는 하역작업에서 추락했을 때, 머리부위에 상해를 받는 것을 방지하고, 또 머리부위에 감전될 우려가 있는 전기공사 작업에서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게 된다.
이처럼, 다양한 용도 및 구조로 제공되는 헬멧 중에서, 화재진압, 구조, 구급, 및 화재조사 등의 현장에서 소방관이 착용하는 소방 헬멧 또는 방화 헬멧의 경우, 화재로 인한 불꽃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고자 내열성을 가지며, 특히 화재현장 등에서 낙하하거나 비래하는 물건이 부딪히거나 추락하는 때에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8417호의 '안전모'가 있다. 종래의 안전모는 안전모 내부에 머리 고정대가 마련되고, 머리 고정대의 길이 또는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정대가 머리 고정대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모는 길이 조정대가 안전모에 고정 상태로 작동되는 구조가 아닌 머리 고정대와 연결 상태로 안전모와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길이 조정대에 대한 길이 조절 동작 시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이 외에도, 종래의 방화 헬멧은 미국 특허출원 제5,321,416호에 알려져 있다. 베어링 링(전방 세그먼트와 후방 세그먼트을 갖는 머리 밴드)는 사용자의 머리를 에워싼다. 관 및 회전 가능한 축을 갖는 전달 유닛은 작동 요소(노브(knob))의 회전을 베어링 링에 전달한다. 축에 있는 두 소켓 머리 캡 스크류는 관에 있는 2개의 슬롯과 맞물린다.
또한, 방화 헬멧의 착용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기구는 DE 10 2010 052 725 B3, DE 198 82 440 B4, DE 40 22 422 A1, DE 1870098 U, U.S. Pat. No. 5,373,588, U.S. Pat. No. 7,174,575 B1, US 2008/0295229 A1 및 US 2010/0050325 A1 등의 문헌에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선행문헌들은 착용 크기를 적정 범위보다 넓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8417호 (2019.07.04.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착용 크기가 종래 기술의 헬멧 보다 더 넓은 범위에 걸쳐 변경될 수 있는, 방화 헬멧에 의해 제공되는 착용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기구를 갖는 방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간 결합 시 체결나사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가 사용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각 부품을 손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방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헬멧의 착용 크기를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치형 헬멧 쉘, 베어링 링, 작동 요소, 및 전달 유닛을 포함하는 방화 헬멧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아치형 헬멧 쉘은 공간을 에워싼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내부" 및 "외부" 라는 표현은 이 공간에 대한 것이다. 베어링 링은 내부에서 헬멧 쉘에 부착되고 방화 헬멧의 사용자의 머리를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베어링 링의 설정 길이는 방화 헬멧이 제공하는 착용 크기를 설정(결정)한다. 그리고, 작동 요소는 헬멧 쉘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다. 또한, 전달 유닛은 작동 요소의 회전을 베어링 링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헬멧은, 작동 요소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 링의 길이 및 베어링 링이 제공하는 착용 크기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외부에서 헬멧 쉘에 배치되는 작동 요소와 내부에서 헬멧 쉘에 배치되는 베어링 링 사이에는 거리가 있다. 보통, 작동 요소의 회전 및 착용 크기의 길이의 변화로 인해, 헬멧 쉘에 배치되는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된다.
한편, 전달 유닛은 헬멧 쉘측 전달 요소, 및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를 포함한다. 전달 유닛은, 작동 요소에 대해 선형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 요소와 함께 회전되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 및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대해 선형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헬멧 쉘측 전달 요소와 함께 회전되는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를 포함하고,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는 작동 요소에 대한 헬멧 쉘측 전달 요소의 선형 운동 및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대한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의 선형 운동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방화 헬멧은, 헬멧 쉘의 전방측 내측면에 연결되는 전방 유지 링 부분 및 전방 유지 링 부분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헬멧 쉘의 후방측 내측면에 연결되는 후방 유지 링 부분을 갖는 유지 링, 및 전방 유지 링 부분을 베어링 링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요소는, 전방 유지 링 부분의 상부 둘레측에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는 몸체부, 몸체부의 전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베어링 링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부, 및 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베어링 링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방 유지 링 부분은, 연결 요소의 결합부가 끼움되는 결합공, 결합공과 이격되어 상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보강림, 및 보강림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한다.
게다가, 전방 유지 링 부분은, 연결 요소의 결합부가 끼움되는 결합공, 결합공과 이격되어 상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보강림, 및 보강림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한다.
더욱이, 방화 헬멧은, 연결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에 결합되어 유지 링을 베어링 링과 이격 상태로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스페이서는 연결 요소의 지지부에 의해 하면이 지지된다.
이에 더하여, 베어링 링은, 헬멧 쉘의 내부에 연결되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 전방 베어링 링 부분에 연결되는 후방 베어링 링 부분, 및 전방 베어링 링 부분을 후방 베어링 링 부분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크기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크기조절부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의 후단측에 각각 형성되어 후방 베어링 링 부분과 결합되는 위치가 변위되는 각 쌍의 연결돌기를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전술한 전달 유닛의 헬멧 쉘측 전달 요소는 작동 요소에 회전 불가능하게(내토크(torque proof) 방식으로) 연결되어, 그 전달 요소와 작동 요소는 동시에 회전한다.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회전 불가능하게(내토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이들 두 전달 요소는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또한,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베어링 링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또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치형 기어 및 대응하는 치형 요소에 의해 베어링 링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들 두 전달 요소는 공통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2개의 전달 요소는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일부분을 함께 연결한다. 양 전달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로드(rod)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헬멧 쉘측 전달 요소는 작동 요소에 대해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들 2개의 반대 방향은 모두 두 전달 요소의 공통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하다.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대해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이 공통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는, 공통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동 요소에 대한 헬멧 쉘측 전달 요소의 선형 운동에 의해, 또는 공통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대한 베어링 링측 요소의 선형 운동에 의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 헬멧은 베어링 링을 포함하고, 이 베어링 링은 방화 헬멧의 사용자의 머리를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베어링 링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베어링 링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방화 헬멧은 방화 헬멧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착용 크기와 머리 모양에 맞게 스스로 적합하게 될 수 있으며, 이때 이러한 목적을 위한 도구는 필요 없다. 작동 요소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방화 헬멧이 사용자의 머리에 안착되어 있는 동안에 작동 요소가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공된 착용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방화 헬멧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제공된 착용 크기가 작동 요소에 의해 변경되면, 베어링 링과 헬멧 쉘 사이의 거리도 종종 변할 것이다. 전달 유닛이 단일의 강성적인 요소, 예컨대, 강성적인 로드(rod)인 경우에, 착용 크기는 매우 좁은 범위 내에서만 변경될 수 있거나, 전달 유닛은 관절식으로 작동 요소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며 그리고/또는 베어링 링에 관절식으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기계적으로 더 복잡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구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잡힐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달 유닛은 신축자재형 구성을 가지며, 그래서 강성적인 전달 유닛의 단점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달 유닛은 헬멧 쉘측 전달 요소 및 베어링 링 측 전달 요소를 포함한다.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대해 선형으로(병진 운동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운동은, 두 전달 요소의 공통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일어난다. 두 부분으로 된 전달 유닛의 길이는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베어링 링과 작동 요소 사이의 거리도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추가로, 헬멧 쉘측 전달 요소는 작동 요소에 대해 이들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전체적으로, 한편으로,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와 헬멧 쉘측 전달 요소 사이에, 다른 한편으로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와 작동 요소 사이에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방화 헬멧에 의해 제공되는 착용 크기는, 특히 이들 두 가능한 상대 운동에 근거하여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동일한 방화 헬멧이, 비교적 크게 다른 착용 크기 및/또는 머리 모양을 갖는 사용자에게 사용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서로 다른 착용 크기에 대해 상이한 다양한 방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추가로, 사용자는 머리 상에 그리고 방화 헬멧 아래에 있는 추가적인 머리 커버를 갖거나 갖지 않는 동일한 방화 헬멧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방화 헬멧의 3개의 구성품이 서로에 대해 선형으로 변위가능하고 따라서 2개의 상이한 상대 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복이 가능해진다.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기술적인 결함으로 인해 두 상대 운동 중 하나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도,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상대 운동은 여전히 자주 수행될 수 있다. 여전히 가능한 나머지 상대 운동은,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가 결함에도 불구하고 변경될 수 있도록 해준다.
바람직하게, 방화 헬멧은 중간 요소를 포함한다. 이 중간 요소는 작동 요소에 회전 불가능하게(내토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그 중간 요소와 작동 요소는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또한 중간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회전 불가능하게(내토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그 중간 요소와 헬멧 쉘측 전달 요소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한편으로, 작동 요소의 회전이 중간 요소에 전달된다. 다른 한편으로, 작동 요소의 회전은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전달된다. 두 전달 요소와 중간 요소는 함께 바람직하게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를 완전히 연결한다. 중간 요소에 의해,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에 더 큰 거리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작동 요소는 중간 요소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고, 그래서 중간 요소에 대해 움직일 수 없으며, 특히 선형으로 변위 불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작동 요소는, 대조적으로, 중간 요소에 대해 선형으로 변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는 훨씬 더 넓은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방화 헬멧의 4개의 구성품, 즉 작동 요소, 중간 요소 및 2개의 전달 요소가 서로에 대해 선형으로 변위 가능하다. 움직일 수 있는 중간 요소가 작동 요소와 전달 유닛 사이에 있는 구성에 의해,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는 훨씬 더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중간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중간 요소와 헬멧 쉘측 전달 요소는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헬멧 쉘측 전달 요소는 작동 요소에 대해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이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가 중간 요소에 대해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작동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측에서 중간 요소를 둘러싼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용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작동 요소를 회전할 수 있으며 중간 요소를 직접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일 실시 형태에서, 중간 요소는 중공 작동 요소를 완전히 통과한다.
적어도 한 쌍의 두 대응하는 스탑 요소가 중간 요소에 대한 헬멧 쉘 측 전달 요소의 선형 운동을 제한한다. 한 스탑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속하고, 다른 스탑 요소는 중간 요소에 속한다. 이들 두 스탑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로부터 멀어지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의 운동을 제한한다.
중간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중공이고, 헬멧 쉘측 전달 요소는 중간 요소와 맞물린다(그 안으로 결합함). 헬멧 쉘측 전달 요소가 중간 요소 안으로 결합하는 깊이는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헬멧 쉘에 대한 작동 요소의 회전 위치에 달려 있다.
대안적으로, 헬멧 쉘측 전달 피스는 중공이고, 중간 요소가 그 헬멧 쉘측 전달 요소 안으로 결합한다. 중간 요소가 헬멧 쉘측 전달 요소 안으로 결합하는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이 대안에 따른 헬멧 쉘에 대한 작동 요소의 회전 위치에 달려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간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중간 요소와 헬멧 쉘측 전달 요소는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동시에 회전하는 이러한 연결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헬멧 쉘측 전달 요소는 외부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중간 요소는 내부 프로파일을 갖는다. 대안으로, 헬멧 쉘측 전달 요소가 내부 프로파일을 가지며, 중간 요소는 외부 프로파일을 갖는다. 두 실시 형태에서 외부 프로파일은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외부 프로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내부 프로파일의 대응하는 오목부와 맞물리며(결합하며), 또는 내부 프로파일의 돌출부는 외부 프로파일의 대응하는 오목부와 결합한다. 돌출부는 기다란 비드일 수 있고, 오목부는 홈일 수 있다. 비드와 홈은 공통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2개의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갖는 실시 형태는 특히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연결을 구현하고, 헬멧 쉘측 전달 요소가 중간 요소에 대해 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토크는 공통 길이 방향 축선을 따르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와 중간 요소 사이의 전체 겹침 영역에 걸쳐 분산된다. 이 겹침 영역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헬멧 쉘에 대한 작동 요소의 회전 위치에 달려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요소는 헬멧 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러한 회전 가능한 연결은 중간 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중간 요소는 헬멧 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헬멧 쉘에 부착된다. 작동 요소는 중간 요소에 영구적으로, 특히 그 작동 요소와 중간 요소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중간 요소에 의해 연결되는 거리가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와 헬멧 쉘 사이에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는 많은 경우에 방화 헬멧의 사용자가 장갑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작동 요소가 쉽게 잡히고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작동 요소를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작동 요소는 아치형 헬멧 쉘 위로 충분히 멀리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중간 요소는 전체 작동 요소를 통과한다. 이 실시 형태는 많은 경우에 특히 양호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방화 헬멧은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디스크를 포함한다. 이 디스크는 중간 요소를 둘러싼다. 작동 요소는 디스크를 둘러싼다. 디스크는 액체나 입자가 헬멧 쉘의 내부로 들어갈 위험을 줄여 준다. 그 디스크는, 예를 들면, 특정 색상으로 방화 헬멧 또는 이 방화 헬멧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대해 양 반대 방향으로 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한 쌍의 두 대응하는 스탑 요소가 한 방향으로의 이러한 상대 운동을 제한한다. 하나의 스탑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속하고 다른 스탑 요소는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에 속한다. 2개의 대응하는 스탑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로부터 멀어지는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의 운동을 제한한다. 이 실시 형태는 추가적으로 작동 요소의 회전 동안에 전달 요소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줄여 준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헬멧 쉘측 전달 요소는 중공이다.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와 결합한다. 따라서 전달 유닛은 작동 요소로부터 베어링 링까지 적어도 한 번 테이퍼져 있다. 이 구성은, 베어링 링 가까이에서 자주 이용 가능한 공간이 작동 요소에 가까운 곳 보다 더 작다는 사실을 특히 잘 고려한다.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가 내부에서 헬멧 쉘측 전달 요소와 얼마나 깊게 결합하는지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헬멧 쉘에 대한 작동 요소의 회전 위치에 달려 있다.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가 중공이고 헬멧 쉘측 전달 요소가 내부에서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둘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헬멧 쉘측 전달 요소가 중공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의 외부 프로파일은 헬멧 쉘측 전달 요소의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가 중공인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헬멧 쉘측 전달 요소의 외부 프로파일은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의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그리고, 외부 프로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내부 프로파일의 대응하는 오목부와 결합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2개의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갖는 이 실시 형태로, 또한 헬멧 쉘측 전달 요소 및 중간 요소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이점이 또한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요소는 헬멧 쉘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작동 요소 및 2개의 전달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헬멧 쉘에 대해 2개의 전달 요소의 공통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러나, 작동 요소의 회전 축선과 두 전달 요소의 공통 회전 축선 사이에 횡방향 오프셋이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베어링 링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전달 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 요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회전 가능한 전달 요소 또는 회전 가능한 전달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링 상의 치형 요소와 결합하는 치형 기어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달 기구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달 요소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래서 이것들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 요소의 회전은 전달 유닛에 의해 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달 요소에 전달되고, 이 회전으로 인해, 베어링 링에 의해 제공되는 착용 크기가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달 유닛은 작동 요소의 회전을 베어링 링에 전달한다. 이 전달된 회전으로 인해, 베어링 링에 의해 제공하는 착용 크기가 변경된다. 한 실시 형태에서, 베어링 링은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2개의 베어링 링 부분을 포함한다.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는, 예를 들어, 특히 바람직하게는 치형 기어의 형태를 갖는 전술한 회전 가능한 전달 요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링 부분, 바람직하게는 양 베어링 링 부분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베어링 링 부분에 대한 한 베어링 링 부분의 운동은, 베어링 링에 의해 제공되는 착용 크기의 변화를 초래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헬멧의 적어도 베어링 링, 작동 요소 및 두 부분으로 된 전달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3D 프린터에 의해 제조되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으로, 선택적인 중간 요소도 그렇게 제조된다. 방화 헬멧의 다른 구성품은 또한 다른 위치에서 다른 3D 프린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조된다. 한 실시 형태에서 헬멧 쉘은 마찬가지로 3D 프린터에 의해, 그리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다. 구성품들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헬멧으로 조립된다.
본 발명은 방화 헬멧에 관한 것이며, 또한 방금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헬멧의 구성품들을 제조(프린팅)하도록 구성된 3D 프린터를 제공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헬멧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품을 각기 제조하는 복수의 3D 프린터를 갖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면, 그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3D 프린터를 제어한다. 작동된 3D 프린터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헬멧의 방금 열거된 구성품들을 제조한다. 컴퓨터는 상이한 구성품에 대해 복수의 3D 프린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상이한 컴퓨터 프로그램 각각이 컴퓨터를 작동시키고 각각의 작동된 컴퓨터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헬멧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품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에서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기반으로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다양한 신규한 특징적 사항은, 본 개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 그의 작동 이점 및 그의 사용으로 달성되는 목적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예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과 설명부를 참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 헬멧은, 베어링 링의 길이와 그에 따라 제공되는 착용 크기를 작동 요소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즉, 전달 유닛이 작동 요소의 회전을 베어링 링에 전달함에 따라 헬멧에 의해 제공되는 착용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화 헬멧은, 작동 요소의 동작으로 베어링 링의 길이 등이 조절되어 착용 크기가 변경될 경우 헬멧 외부에 마련된 작동 요소와 헬멧 내부에 마련된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가 신축자재형으로 조절됨에 따라 원활한 조절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방화 헬멧은 베어링 링에 의해 제공되는 착용 크기를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착용 상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방화 헬멧은, 스냅식 결합 또는 끼움 방식의 연결 구조로 이루어져 부품 간 결합 시 체결나사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가 사용되는 것을 최소화함에 따라, 각 부품을 도구 사용 없이 손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간단한 연결 구조로 유지보수가 편리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헬멧을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화 헬멧을 뒤쪽에서 비스듬히 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화 헬멧을 수평 방향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작동 유닛과 전달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작동 유닛과 후방 베어링 링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6은 작동 유닛과 후방 베어링 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작동 유닛과 전달 유닛의 치형 기어를 측면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전달 유닛은 작동 유닛의 회전을 2개의 후방 베어링 링에 전달한다.
도 8은 신축자재형(telescopic) 작동 유닛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작동 유닛을 내측에서 비스듬히 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작동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작동 유닛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로, 홈형 디스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2는 핸드휠을 뒤쪽에서 비스듬히 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핸드휠 관을 앞쪽에서 비스듬히 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핸드휠 관을 뒤쪽에서 비스듬히 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작동 유닛을 측면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전방 유지 링 부분 및 전방 베어링 링 부분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7은 헬멧 쉘과 후방 유지 링 부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 쉘의 내측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8은 안내 요소 및 베어링 지지부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헬멧 쉘과 전방 유지 링 부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 쉘의 내측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소방관, 경찰, 구조 대원 및 기타 구조팀의 대원들이 기계적, 열적 및 화학적 영향으로부터 머리를 보다 잘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방화 헬멧은, 다른 많은 방화 헬멧과 마찬가지로,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헬멧 쉘, 베어링(지지) 구조, 및 내부 라이닝을 포함하고, 내부 라이닝은 그 방화 헬멧을 머리에 착용하고 있는 사람의 머리와 접촉하며, 직물(textile) 요소를 포함한다. 이하 이 사람을 "사용자" 라고 할 것이다.
아래에서 사용될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정상" 및 "바닥" 이라는 표현은, 방화 헬멧이 사용자의 머리에 안착되어 있고 또한 사용자가 앞쪽을 보고 있을 때 통상적인 방향에 관한 것이다. 앞쪽으로 곧게 보는 사용자의 보는 방향(BR)이 일부 도면에 나타나 있다. 내부 라이닝은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다.
베어링 구조는 내부 라이닝을 헬멧 쉘에 연결하고, 베어링 링의 일련의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며, 베어링 링은 사용자의 머리 주위로 완전히 안내된다. 베어링 링은 가요성 재료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머리 형상과 머리 크기에 어느 정도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이 원형 베어링 링 쉘은 한편으로는 방화 헬멧이 사용 중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큰 틈새 없이 머리와 접촉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베어링 링과 헬멧 쉘 사이에 거리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베어링 링 쉘은 머리를 누르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베어링 링은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적합하게 될 수 있어야 한다. 재료의 가요성만으로는 이러한 적합화에 충분하지 않다.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는 베어링 링의 실제 길이인, 베어링 링의 "착용 크기"가 이하에서 또한 언급될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방화 헬멧은, 많은 종래 기술의 방화 헬멧 처럼, 핸드휠을 갖는 작동 유닛을 포함하고, 이 작동 유닛으로 착용 크기가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핸드휠이 회전되면, 베어링 링의 전체 길이가 변하게 된다. 이 회전은 헬멧 쉘 내부의 베어링 링에 전달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이 일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핸드휠은 특허 청구 범위에 따라 작동 요소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과제는, 사용자가 핸드휠의 회전에 의해 착용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핸드휠은 베어링 링과 기계적 접촉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그러나, 핸드휠과 베어링 링 쉘 사이의 거리는, 넓은 범위에서 착용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넓은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 내지 3은 방화 헬멧(100)을 3개의 사시도로 나타낸다. 이러한 방화 헬멧(100)은, 아치형 헬멧 쉘(7) - 이는 바람직하게는 단단한 재료로 제조되는데, 즉 사용자의 머리 모양에 적합하게 될 수 없음 -; 충격 흡수 쉘(6) - 이는 내부에서 헬멧 쉘(7)과 접촉하며 소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며, 그래서 충격 흡수 쉘(6)은 운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음 -; 전방 유지 링 부분(2) - 이는 내측면에서 충격 흡수 쉘(6)과 접촉하며 헬멧 쉘(7)에 연결됨 -; 후방 유지 링 부분(29) - 이는 마찬가지로 충격 흡수 쉘(6)과 접촉하며 헬멧 쉘(7)에 연결됨 -; 피봇 가능한 바이저(visor)(4) - 이는 헬멧 쉘(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바이저(4)는 아래로 피봇되면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게 됨 -; 사용자의 이마와 접촉하는 편자(horseshoe)형 전방 베어링 링 부분(5);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거리를 두는 좌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및 우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9r);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을 전방 유지 링 부분(2)에 연결하는 중간 요소(28); 머리의 뒷부분을 위한 베어링 지지부(8)의 형태로 되어 있는 중심 후방 베어링 링 부분 - 머리의 뒷부분을 위한 베어링 지지부(8)는 사용자의 머리의 뒷부분과 연결되고 주변에서 헬멧 쉘(7)에 연결됨 -; 머리의 뒷부분의 베어링 지지부(8)에 연결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안내 요소(3); 마찬가지로 아래에서 설명될 전달 유닛(10, 11, 12, 15); 및 방화 헬멧(100)의 착용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 유닛(1)을 포함하고, 작동 유닛(1)은 핸드휠(14)을 포함하며, 이 핸드휠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고 후방부에서 헬멧 쉘(7)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헬멧 쉘(7) 위에서 외측으로 돌출한다.
헬멧 쉘(7)은 외부 충격이나 화재 진압 시 고온의 불길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해야 하므로 충격에 강하면서도 고내열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는데, 예컨대 헬멧 쉘(7)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은 2개의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에 각각의 스냅-인 연결부(31l, 31r)에 의해 연결된다. 중심 후방 베어링 링 부분(머리의 뒷부분을 위한 베어링 지지부)은 2개의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에 연결된다. 전방 베어링 링 부분(5),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 및 머리의 뒷부분을 위한 베어링 지지부(8)는 함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베어링 링을 형성하며, 이는 사용자의 머리를 완전히 둘러싸고, 그 머리와 부분적으로 접촉한다. 이 베어링 링(5, 8, 9l, 9r)은 방화 헬멧(100)의 착용 크기를 규정(결정/설정)한다.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l"는 좌측 요소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r"는 우측 요소를 나타낸다.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은 바람직하게는 직물 외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직물 외피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5)과 방화 헬멧(100)의 사용자의 이마 사이에 위치한다. 직물 외피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을 완충하고 땀을 흡수한다. 직물 외피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으로부터 제거되어 방화 헬멧(100)의 나머지 부분과 별도로 세정될 수 있거나, 베어링 링 부분(5)은 직물 외피와 함께 제거되고 세정될 수 있다. 머리의 뒷부분을 위한 베어링 지지부(8)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또한 직물 외피 또는 적어도 쿠션을 갖는다.
전방 유지 링 부분(2)과 후방 유지 링 부분(29)은 헬멧 쉘(7)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원형 유지 링을 함께 형성한다. 베어링 링(5, 8, 9l, 9r)에 의해 제공되는 착용 크기가 변하면, 유지 링(2, 29)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베어링 링(5, 8, 9l, 9r)과 유지 링(2, 29) 사이의 거리는 착용 크기가 변하는 경우 변하게 된다.
착용 크기를 늘리기 위해, 좌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은 중심 후방 베어링 링 부분(8)에 대해 좌측으로 수평으로 그리고 선형으로 변위될 수 있고 우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9r)은 중심 후방 베어링 링 부분(8)에 대해 우측으로 수평으로 그리고 선형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전방 베어링 링 부분(5)과 2개의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 사이의 2개의 스냅-인 연결부(31l, 31r)는 이 변위 동안에 같이 움직이게 된다. 착용 크기를 줄이기 위해 2개의 후방 베어링 링 부분 (9l, 9r)은 대응적으로 우측과 좌측으로 변위될 수 있다. 안내 요소(3)는 이러한 선형 변위 동안 2개의 가동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을 안내한다.
작동 유닛(1)의 핸드휠(14)은 복수의 돌출부(44)를 갖는 둥근 그립 요소(45)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장갑을 사용하더라도 돌출부(44)에 의해 핸드휠(14)을 더 잘 잡을 수 있다. 핸드휠(14)은 2개의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폐쇄 유닛(미도시됨), 예컨대 캡이 핸드휠(14)에 부착될 수 있고 다시 제거될 수 있다.
도 4는 우측에서 헬멧 쉘(7)의 일부분, 작동 유닛(1) 및 전달 유닛(10, 11, 12, 15)을 단면도로 나타낸다. 단면 영역은 직각으로 배치되며 방화 헬멧(100)의 중간에 위치한다. 작동 유닛(1)과 전달 유닛(10, 11, 12, 15)의 공통 회전 축선(DA)은 도면에서 도 4의 우측 부분에 위치되며, 도 4의 좌측 부분에서 도와 직각으로 있다.
도 5 및 도 6은 작동 유닛(1), 후방 유지 링 부분(29) 및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을 나타낸다. 도 5는 이들 구성에 대한 후면도로서 보는 사람으로부터 이격된 보는 방향(BR)을 나타내고, 도 6은 구성에 대한 정면도로서 보는 사람을 향해 사선으로 보는 방향(BR)을 나타낸다. 전방 베어링 링 부분(5) 및 머리의 뒷부분을 위한 베어링 지지부(8)는 도 6에서 생략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작동 유닛(1)의 회전에 의해 2개의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이 어떻게 서로의 쪽으로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기적으로 변위되는지를 도시한다. 구동 치형 기어(10)가 작동 유닛(1)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래서 그 치형 기어와 작동 유닛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치형 기어(10)와 작동 유닛(1) 사이의 거리는 가변적이다. 작동 유닛(1)의 회전에 의해 구동 치형 기어(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된다. 구동 치형 기어(10)는 더 큰 피동 치형 기어(12)와 맞물려 결합한다. 더 큰 피동 치형 기어(12)는 더 작은 구동 치형 기어(11)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도 4의 좌측 부분 참조). 더 작은 피동 치형 기어(11)는 좌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의 치형 세그먼트(13l) 및 우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9r)의 치형 세그먼트(13r) 모두와 맞물려 결합한다. 따라서 치형 기어(10, 11, 12)는 전달 기어를 함께 제공한다. 안내 유닛(3)은 치형 세그먼트(13l, 13r)가 항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전달 기어(10, 11, 12)와 작동 유닛(1)을 측면에서 본 사시도로 나타낸다. 공통 회전 축선(DA)은 도 7의 도면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링(5, 8, 9l, 9r)의 착용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기구는, 관(151)과 핀(152)을 포함하는 신축자재형(telescopic) 바아(15); 핀(152)의 전방 단부에 있는 디스크(33) - 이 디스크(33)는 핀(152)을 위한 관통 구멍을 가지며 구동 치형 기어(10)에 영구적으로 연결됨 -; 및 핀(152)에 있는 대응하는 스크류 구멍(25) 안으로 중심에서 나사 결합되고 디스크(33)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치형 기어(10)와 디스크(33)를 관(151)에 유지시키는 스크류(16)를 포함한다.
핸드휠(14)과 신축자재형 바아(15)를 갖는 작동 유닛(1)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공통 회전 축선(DA)을 중심으로 헬멧 쉘(7)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관(151)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헬멧 쉘측 전달 요소로서 작용하고, 핀(152)은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로서 작용한다. 양 전달 요소(151, 152)는 공통 회전 축선(DA)을 따라 연장된다.
전달 유닛(10, 11, 12, 15)은 후방 유지 링 부분(29)에 지지된다(도 4 참조). 디스크를 갖는 스크류(16)가 내부에서 핀(152)과 결합한다. 핀(152)은 관(151) 안으로 부분적으로 밀리게 된다. 관(151)은 핸드휠(14)과 결합하거나 핸드휠(14) 위로 돌출된다. 전달 요소(15)는 도 7에 두 번 나타나 있는데, 즉 한번은 작동 유닛(1) 및 치형 기어(10, 11, 12)와 함께 나타나 있고(좌측), 그리고 한번은 따로 나타나 있다(우측). 회전 축선(DA)은 양 도면에서 동일하다.
작동 유닛(1)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돌출부(44)를 갖는 그립 요소(45)를 포함하는 핸드휠(14); 핸드휠 관(18)의 형태로 되어 있는 중간 요소 - 한 실시 형태에서 핸드휠 관은 내부에서 핸드휠(14)과 결합하며 심지어 그 핸드휠(14)을 통과함 -; 홈형 디스크(19); 핸드휠 관(18)을 폐쇄하는 외향 아치형 디스크(34); 식별 판(26); 시일링 링(47); 및 서클립(circlip)(48)을 포함한다.
도 8은 작동 유닛(1)과 신축자재형 바아(15)를 통과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신축자재형 유닛(18, 151, 152)의 최대 길이를 설정하고, 따라서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과 핸드휠(14) 사이의 최대 가능한 거리를 설정하는 스탑 요소들이 도면에 나타나 있다. 스탑 요소들은, 내부에서 핸드휠(18)에 있는 스탑 요소(221, 222,...), 외부에서 관(151)에 있는 스탑 요소(171, 172,...), 내부에서 관(151)에 있는 스탑 요소(241, 242,...), 및 외부에서 핀(152)에 있는 스탑 요소(231, 232,...)를 포함한다.
최대 거리는, 어느 길이가 최대인가에 따라, 핸드휠 관(18)의 길이, 관(151)의 길이 및 핀(152)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추가로, 도 8에는 핸드휠 관(18)과 접촉하는 헬멧 쉘(7)의 프로파일(파선으로 그려져 있음), 홈형 디스크(19), O-링(21), 스크류 구멍(25), 및 식별 판(26)과 같은 구성품들이 나타나 있다.
방화 헬멧(100)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에 의해, 베어링 링(5, 8, 9l, 9r)이 방화 헬멧(100)의 사용자를 위해 제공할 수 있는 가능한 착용 크기의 범위는, 작동 요소와 베어링 링 사이에 있는 다른 가능한 전달 유닛에서 보다 더 넓다. 방화 헬멧(100)을 착용 크기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방화 헬멧(100)의 일부분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준비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방화 헬멧(100)의 필요한 다양한 구성품의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방화 헬멧(100)의 교체 부품의 수를 감소시킨다.
후방 베어링 링 부분(8, 9l, 9r)과 헬멧 쉘(7) 사이에는 불가피하게 거리가 생긴다. 이에 의해 형성된 중간 공간 안으로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착용 크기의 조절 동안에 이러한 모발이 끼여 잡힐 위험이 전달 유닛의 다른 가능한 실시 형태의 경우에서 보다 낮다.
본 발명은 탄성 요소의 사용으로 착용 크기를 조절할 필요를 없애준다. 이러한 탄성 요소는 머리카락이 잡히게 할 수 있다. 탄성 요소는 또한 다른 부분 보다 더 빨리 마모될 수 있다.
도 9, 도 10, 도 11 및 15는 작동 유닛(1)을 4개의 다른 보는 방향, 즉 전방에서 비스듬히(도 9, 핸드휠(14)은 핸드휠 관(18) 뒤에 있음), 측면에서(도 10), 그리고 뒤에서 곧게(도 11, 핸드휠(14)은 핸드휠 관(18)의 앞에 있음) 본 작동 유닛(1)을 상이한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작동 유닛(1)을 측면에서 본 것을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2는 후방에서 비스듬한 보는 방향에서 핸드휠(14)을 본 것을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13은 전방에서 비스듬한 보는 방향에서 핸드휠 관(18)을 본 것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 핸드휠 관을 나타낸다.
핸드휠(14), 핸드휠 관(18), 관(151) 및 핀(152)은 동축으로 배치되는데, 즉 동일한 중심 축선을 가지며, 이 중심 축선은 회전 축선(DA)과 동일하며, 그것들은 이 공통 중심 축선(DA)을 중심으로 헬멧 쉘(7)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관(151)은 이 공통 중심 축선(DA)에 평행하게 두 개의 반대 방향으로 핀(152)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핸드휠 관(18)은 도 7에서 생략되어 있다.
핸드휠(14)은 헬멧 쉘(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핸드휠 관(18)에 의해 간접적으로 부착되며, 핸드휠 관은 헬멧 쉘(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1 및 도 2 참조요). 핸드휠 관(18)은 관(151)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래서 이들 관은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연결은 핸드휠 관(18)의 내부 프로파일과 관(151)의 대응하는 외부 프로파일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7, 8 및 9 참조).
핸드휠 관(18)은,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원형 돌출부, 및 그 길이 방향 축선을 둘러싸는 복수의 원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핸드휠 관(18)은 헬멧 쉘(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13 및 도 14 참조요). 원형 비드(20)가 헬멧 쉘(7)과 접촉하며 핸드휠 관(18)을 둘러싼다(도 2 및 15 참조). 한 실시 형태에서, 이 비드(20)는, 써클립(48)과 함께, 헬멧 쉘(7)에서 핸드휠 관(18)을 유지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핸드휠 관(18)은 써클립(48)에 의해서만 헬멧 쉘 (7)에 유지된다.
식별 판(26)은 핸드휠(14)의 홈에 위치되며 마찬가지로 핸드휠 관(18)을 둘러싼다(도 2 및 15 참조). 식별 판(26)은 색상 코드를 가질 수 있다. 핸드휠(14), 핸드휠 관(18) 및 아치형 디스크(34)도 각각 색상 코드를 가질 수 있으며, 그래서 최대 4개의 색상 코드의 조합이 가능하다.
핸드휠 관(18)은 자신의 중심 축선(DA)을 중심으로 헬멧 쉘(7)에 대해 회전할 수 있지만, 자신의 중심 축선(DA)에 평행하게 또는 다른 방향으로 선형으로 변위될 수 없으며, 특히 병진 운동으로 변위될 수 없다. 도 9에서의 보는 방향은 헬멧 쉘(7)로부터 외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인데. 즉, 핸드휠(14)은 도 9에 나타나 있지 않은 헬멧 쉘(7) 뒤에 위치된다.
핸드휠(14)의 내부 프로파일에 있는 돌출부는 핸드휠 관(18)의 외부 프로파일에 있는 대응하는 오목부와 맞물린다. 결과적으로, 핸드휠 관(18)은 핸드휠(14)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이것들은 동시에 회전하는데, 즉 핸드휠(14)의 회전은 감지 가능한 슬립(slip) 없이 핸드휠 관(18)에 전달되고 그 핸드휠 관(18)의 회전을 일으킨다.
핸드휠(14)의 회전은 홈형 디스크(19)에 추가로 전달된다. 디스크(19)의 홈은 비드(20)에 있는 돌출부(27) 위에서 핸드휠(14)의 회전 동안에 움직이고, 들을 수 있는 덜거덕거리거나 딸깍 하는 소리("음향 피드백")를 발생시킨다. O-링(21)은 핸드휠 관(18)의 홈, 특히 핸드휠(14)과 홈형 디스크(19) 사이에 삽입된다(도 15 참조). O-링(21)은 공통 중심 축선(DA)에 평행한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다시 팽창하여 반동을 가져오고, 또한 홈형 디스크(19)가 핸드휠 관(18)에 대해 그리고 핸드휠 관(18)의 중심 축선(DA)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며, 그래서 디스크(19)의 홈이 돌출부(27) 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관(헬멧 쉘측 전달 요소)(151)은 내부에서 핸드휠 관(18)에 의해 안내된다. 관(151)의 외부 프로파일은 핸드휠 관(18)의 내부 프로파일과 결합하며, 외부 프로파일과 내부 프로파일은 각각 이 실시 형태에서 스위스 십자가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크로스 끼워맞춤(cross fit)을 제공한다. 이들 두 프로파일(서로 맞물려 서로에 대응함)로 인해, 관(151)은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핸드휠 관(18)에 회전 불가능 하게 연결 되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핸드휠(14)의 회전은 어떤 감지 가능한 슬립도 없이 핸드휠 관(18)에 전달되고 이 관으로부터 관(151)에 전달되며 관(151)의 회전을 일으킨다. 핸드휠 관(18)은 도 7에서 생략되어 있다.
관(151)은 핸드휠 관(18)에 대해, 따라서 핸드휠(14)에 대해 양방향으로 공통 중심 축선(DA)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관(151)의 일단부에 있는 복수의 스탑 요소(171, 172)가 전달 기어(10, 11, 12)를 향한 관(151)의 가능한 움직임을 제한한다(도 8 참조). 한 실시 형태에서, 관(151)은 외부에서 핸드휠(14) 위로 돌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핸드휠(14)은 관(151)을 덮는다.
핀(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152)은 관(151)의 내부에 위치된다. 핀(152)의 외부 프로파일은 관(151)의 내부 프로파일과 결합한다. 그 결과, 핀(152)은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관(151)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한다. 관(151)의 회전은 감지 가능한 슬립 없이 핀(152)의 회전을 일으킨다. 핀(152)의 외부 프로파일에 있는 돌출부와 관(151)의 내부 프로파일에 있는 대응하는 돌출부는 핀(152)이 관(151)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크류(16)는 구동 치형 기어(10)에 있는 오목부를 통과하고, 핀(152)의 내측 단부 및 구동 치형 기어(10)의 내측 단부에 치형 기어(10) 및 디스크(33)를 유지시킨다. 이로써 구동 치형 기어(10)가 핀(152)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구동 치형 기어(10)는 구동 치형 기어(11, 12)를 통해 2개의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에 연결된다. 한 실시 형태에서, 구동 치형 기어(10)는 중심 축선(DA)에 평행한 양 방향으로 핀(152)에 대해 선형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 형태에서 치형 기어(10)는 스크류(16)에 의해 핀(152)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핀(152)은 중심 축선(DA)에 평행하게 관(151)에 대해 선형으로 움직일 수 있다. 관(151)은 중심 축선(DA)에 평행하게 핸드휠 관(18)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핸드휠 관(18) 및 따라서 핸드휠(14)은 헬멧 쉘(7)에 부착된다. 따라서 헬멧 쉘(7)과 2개의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 사이의 거리는 다단식 신축자재형 유닛(18, 151, 152)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핸드휠(14)의 구성품을 나타낸다. 핸드휠(14)은 복수의 외향 돌출부(44)를 포함하는 둥근 그립 요소(45), 내부에서 돌출부(44)를 갖는 그립 요소(45 )에 있는 2개의 대향 돌출부(37),핸드휠(14)의 보강 요소로서 작용하는 4개의 내향 돌출부(36), 및 원형 링 형태의 스탑 요소(40)를 포함한다(도 15 참조).
도 11, 도 13 및 도 14는 핸드휠 관(18)의 구성품을 나타낸다. 핸드휠 관(18)은 핸드휠(15)의 외부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내부 프로파일을 갖는 관 요소(30), 관 요소(30)의 외부 프로파일 상에 있는 2개의 대향 돌출부(38), 핸드휠 관(18)의 보강 요소로서 작용하는 4개의 외향 돌출부(35), 외부에서 관 요소(30)의 후방 단부에 있는 원형 디스크 형태의 스탑 요소(39)(도 15 참조), 및 외부에 대해 관 요소(30)를 폐쇄하는 외향 아치형 디스크(34)를 포함한다.
외부에서 핸드휠 관(18)에 있는 2개의 돌출부(38)는 핸드휠(14)의 돌출부(37)에 있는 2개의 대응하는 오목부와 맞물린다(도 11 내지 도 14 참조). 핸드휠(14)의 회전은 요소(37, 38)에 의해 핸드휠 관(18)에 전달된다. 따라서 핸드휠(14)은 핸드휠 관(18)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래서 핸드휠과 핸드휠 관은 동시에 회전한다.
핸드휠 관(18)은 헬멧 쉘(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핸드휠 관(18)은 헬멧 쉘(7)에 대해 자체 회전 축선(D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다른 운동은 수행할 수 없고, 또한 자체 회전 축선(DA)에 평행한 선형 운동을 수행할 수 없다. 써클립(48)이 또한 무엇 보다도 이에 기여한다.
핸드휠(14)은 바람직하게는 헬멧 쉘(7)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핸드휠(14)은 오히려 핸드휠 관(18)에 의해 유지된다. 핸드휠(14)은 공통 중심 축선(DA)에 평행한 양 방향으로 핸드휠 관(18)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2개의 스탑 요소(39, 40)는 헬멧 쉘(7)로부터 멀어지는 핸드휠(14)의 선형 운동을 제한한다. 핸드휠(14)의 스탑 요소(40)는 특히 내부로부터 핸드휠 관(18)의 스탑 요소(39)에 맞닿는다(도 15 참조). 원형 비드(20)는 헬멧 쉘(7)을 향한 핸드휠(14)의 선형 운동을 제한한다(도 2 참조).
식별 링(26)은 대응하는 비드 안으로 클램핑되며, 그 비드는 디스크(34)와 핸드휠 관(18)의 관 요소(30) 사이에 위치된다(도 15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화 헬멧은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착용 크기를 동시에 변경할 수 있으므로 기존보다 더 넓은 범위에 걸쳐 착용 크기가 변경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방화 헬멧은 작동 유닛에 의한 회전 운동을 통해 베어링 링의 길이 등이 조절되면서 착용 크기가 변경될 경우, 헬멧 외부에 마련된 작동 요소와 헬멧 내부에 마련된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가 신축자재형으로 조절됨에 따라 작동 요소의 원활한 조절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방화 헬멧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전방 유지 링 부분 및 전방 베어링 링 부분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7은 헬멧 쉘과 후방 유지 링 부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 쉘의 내측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8은 안내 요소 및 베어링 지지부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헬멧 쉘과 전방 유지 링 부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 쉘의 내측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 헬멧은,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구성들의 특징들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 헬멧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 헬멧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방화 헬멧(100)은 연결 요소(281)에 의해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을 전방 유지 링 부분(2)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요소(281)는 전술한 실시예의 중간 요소(28)를 대체하여 구성되거나, 중간 요소(28)에 연결됨에 따라 중간 요소(28)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방 유지 링 부분(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중간 요소(28)를 생략하고 연결 요소(281)가 전방 유지 링 부분(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연결 요소(281)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전방 베어링 링 부분(5)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방 유지 링 부분(2)에 결합되어 양자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요소(281)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의 상측에서 일체로 돌출되는 판상 부재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단부 측이 자유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요소(281)에는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된다. 즉, 연결 요소(281)는 단면상 역 V자 형태로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연결 요소(281)는 전방 유지 링 부분(2)과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스냅-인 결합돌기(282)를 포함한다. 스냅-인 결합돌기(282)는 보스 형태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단부측에 플랜지 형상의 헤드가 마련된다. 이때, 전방 유지 링 부분(2)에는 연결 요소(281)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 요소(281)의 결합돌기(282)가 스냅-인 결합 가능하도록 구멍 형태의 스냅-인 결합공(2a)이 마련될 수 있다. 스냅-인 결합공(2a)은 한 쌍의 서로 다른 크기의 구멍이 중첩 상태로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큰 구멍 부분을 통해 결합돌기(282)가 삽입되게 하고, 결합돌기(282)의 위치가 변위되어 작은 구멍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결합돌기(282)와 결합공(2a)의 결속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에, 연결 요소(281)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을 전방 유지 링 부분(2)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연결 요소(281)는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됨에 따라, 스냅 결합 방식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며, 방화 헬멧(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사용자의 머리에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킨다. 즉, 연결 요소(281)는 텐션 요소로 작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 요소(281)의 자유단부에는 결합돌기(282)와 이격되어 전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지지턱(283)이 마련된다.
하부 지지턱(283)은 연결 요소(281)가 전방 유지 링 부분(2)에 결합되면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하부가 안착 상태로 배치시키므로, 전방 유지 링 부분(2)을 지지한다.
또한, 하부 지지턱(283)은 결합돌기(282)의 체결 시 스트로크를 제한함에 따라 과도한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돌기(282)의 파손을 예방한다. 즉, 하부 지지턱(283)은 결합돌기(282)의 스냅-인 결합 과정에서 상측 방향의 힘이 전달될 때 연결 요소(281)의 이동을 제한하여 결합돌기(282)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므로 외력에 의한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 요소(281)는 방화 헬멧(100)의 안정적인 체결 구조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며, 충격 흡수 기능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와 다르게,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연결 요소(281)는 중간 요소(28)에 연결되어 전방 유지 링 부분(2)과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연결 요소(281)는 중간 요소(28)에 연결됨에 따라 중간 요소(28)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방 유지 링 부분(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중간 요소(28)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가 일반적인 평균 크기보다 작을 경우, 헬멧의 착용 크기를 더욱 작은 범위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중간 요소(28)는 전방 유지 링 부분(2)과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28)는 블럭 형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28)는 중공인 박스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경량화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스페이서(28)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에 마련되는 연결 요소(281) 및 전방 유지 링 부분(2)과 양 구성에 대해 스냅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전방 유지 링 부분(2)과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의 사이 간격을 이격된 상태로 연결한다. 스페이서(28)는 머리 둘레가 작은 사용자의 머리가 베어링 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여 흔들림을 방지한다.
여기서, 스페이서(28)는 헬멧 쉘(7)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추가 바이저(32) 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간격을 증대시킨다. 즉, 스페이서(28)는 사용자의 머리가 헬멧 쉘(7)의 전방 측으로 위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헬멧의 착용 크기는 작동 유닛(1)에 의해 2개의 후방 베어링 링(9l, 9r)의 위치가 변위되면서 베어링 링의 길이가 신장 또는 단축됨에 따라 그 크기가 변경되는데, 이때 전방 베어링 링(5)은 그 길이가 유지되기 때문에 착용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경우 후방 베어링 링(9l, 9r)이 전방 베어링 링(5)을 향해 전방측으로 이동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28)는, 머리 크기가 작은 사용자가 착용 크기를 줄여 착용할 경우 헬멧의 착용 크기 조절 시 후방측을 조절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머리가 전방측으로 배치될 수 밖에 없으므로, 전방측으로부터 이격 상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머리 위치가 헬멧 쉘(7)의 전방 측으로 과도하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헬멧 착용 상태를 유도한다.
아울러, 헬멧의 베어링 링(5, 8, 9l, 9r)에 의해 제공되는 착용 크기가 변하더라도, 헬멧 쉘(7)에 고정된 유지 링(2, 29)의 길이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특정 크기 이하로 변경하는 것이 제한되지만, 본 발명의 헬멧의 스페이서(28)는 베어링 링과 유지 링의 사이 간격을 이격 배치하므로 이러한 제한 요소를 해소할 수 있어 더 넓은 범위의 착용 크기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사용자의 머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스페이서(28)를 제거하고 사용하여 착용 크기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냅-인 연결부(31l, 31r) 각각에는 크기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스냅-인 연결부(31l, 31r)는 적어도 한 쌍의 연결돌기들(311l, 312l, 311r, 312r)을 포함한다.
좌측 스냅-인 연결부(31l)의 좌측 제1 및 제2 연결돌기(311l, 312l)는 좌측 스냅-인 연결부(31l)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의 연결구멍(91l)에 스냅식으로 각각 결속될 수 있다. 좌측 제1 및 제2 연결돌기(311l, 312l)는 결합 위치에 따라 베어링 링의 크기를 변경시킨다.
우측 스냅-인 연결부(31r)의 우측 제1 및 제2 연결돌기(311r, 312r)는 우측 스냅-인 연결부(31r)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우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9r)의 연결구멍(미도시됨)에 스냅식으로 각각 결속될 수 있다. 우측 제1 및 제2 연결돌기(311r, 312r)는 결합 위치에 따라 베어링 링의 크기를 변경시킨다.
이렇게, 크기조절부(311l, 312l, 311r, 312r)에 의하면, 결합 위치 변경에 따라 헬멧의 착용 크기를 선택적으로 줄이도록 작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작동 유닛(1)에 의한 변위 작동과 함께 사용되어 착용 크기를 더욱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결국, 스페이서(28)는, 크기조절부와 함께 작용함에 따라 머리 크기가 아주 작은 사용자도 충분히 착용 가능한 착용 크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흔들림 없이 헬멧 착용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화 헬멧(100)은 착용 크기를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을 다시 참고하면, 전방 유지 링 부분(2)은 보강림(2b), 보강리브(2c), 및 경량공(2d)을 포함하며, 보강돌부(2e)를 더 포함한다.
보강림(2b)은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상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림(2b)은 스냅-인 결합공(2a)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보강림(2b)은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림(2b)은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전방측 표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림(2b)은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리브(2c)는 보강림(2b)의 하부와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전면에 걸쳐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리브(2c)는 외팔보 형태의 보강림(2b)을 지지하면서도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두께를 향상시켜 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리브(2c)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강림(2b)의 하부측 둘레를 따라 적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리브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경량공(2d)은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전면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경량공(2d)은 복수의 보강리브(2c)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조에 따라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량공(2d)은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살빼기 구조를 제공하여 헬멧 경량화에 유리하다. 한편, 전방 유지 링 부분(2)은 경량공(2d)을 통해 방화 헬멧(100)의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돌부(2e)는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경사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돌부(2e)는 경량공(2d)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보강돌부(2e)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공(2a)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거나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전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보강돌부(2e)는 전방 유지 링 부분(2)이 적정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은 헬멧 쉘과 후방 유지 링 부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 쉘의 내측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이미지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다른 구성들을 생략하였다. 도 3 및 도 6과 함께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후방 유지 링 부분(29)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291)를 더 포함한다. 관통부(291)는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전방측으로 배치되는 2개의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과, 작동 유닛(1)의 원활한 결합을 위한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즉, 관통부(291)는 헬멧 쉘(7)의 외부로 돌출되는 핸드휠(14) 및 이를 연결하는 신축자재형 바아(15)의 배치를 위해 마련된다. 이에, 방화 헬멧(100)은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삼각형 모양의 관통부(291)가, 작동 유닛(1)의 핸드휠(14) 및 신축자재형 바아(15)가 연결되는 헬멧 쉘(7)의 휠결합공(71)과 관통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후방 유지 링 부분(29)을 헬멧 쉘(7)에 고정시킬 때, 결합공(7a)에 설치된 작동 유닛(1)에 대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므로 조립 시 구조적인 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유지 링 부분(29)은 양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착돌기(292)를 더 포함한다. 또한, 헬멧 쉘(7)에는 끼움돌부(72)가 마련된다. 안착돌기(292)는 끼움돌부(72)에 끼움되어 후방 유지 링 부분(29)을 헬멧 쉘(7)에 연결한다. 즉, 방화 헬멧(100)은 이들 구성이 상호 결합됨에 따라 후방 유지 링 부분(29)을 헬멧 쉘(7)에 끼움 상태로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결합 과정이 도 17(a) 내지 도 17(c)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후방 유지 링 부분(29)은 헬멧 쉘(7)에 별도의 스크류(미도시됨)를 통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헬멧 쉘(7)에는 스크류가 결합될 수 있도록 스크류 결합부(73a)가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후방 유지 링 부분(29)은 스크류 결합부(73a)에 안착 상태로 끼움되어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 안착돌부(29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류 체결을 위해 각각의 스크류 구멍(73b, 293b)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결합부(73a)는 휠결합공(71) 및 끼움돌부(7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쉘 측 스크류 구멍(73b)은 스크류 결합부(73a)에 나사산 형태의 구멍으로 형성되고, 후방 유지 링 부분 측 스크류 구멍(293b)은 스크류 안착돌부(293a)에 관통되게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이처럼, 후방 유지 링 부분(29)은 안착돌기(292) 및 스크류 안착돌부(293a)에 의해 헬멧 쉘(7)에 가고정 상태로 끼움 또는 안착되며, 최종적으로 스크류(미도시됨)에 의해 후방 유지 링 부분 측 스크류 구멍(293b)을 통과하여 쉘 측 스크류 구멍(73b)에 체결됨에 따라 헬멧 쉘(7)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후방 유지 링 부분(29)은 도 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291)의 둘레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 돌출부(294)를 더 포함한다.
보강 돌출부(294)는 구멍 형상인 관통부(291)의 적어도 양측 둘레 구간 또는 전체 둘레 부분을 따라 후방측으로 소정 길이 및 두께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보강 돌출부(294)는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표면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 판상형 부재로 마련되어 관통부(291)의 둘레에서 절곡되어 직교하는 상태로 연장 형성되거나, 폭 방향 두께를 갖는 보스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표면 두께와 유사하거나 더 큰 두께를 갖는 날개형 부재가 돌출된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돌출부(294)의 깊이(또는 두께방향 길이)는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두께보다 최소한 2배 이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배 내지 4배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표면 두께가 대략 0.5 mm 내지 2.0mm로 형성될 경우, 보강 돌출부(294)의 깊이는 대략 1.5mm 내지 7.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표면 두께가 약 1.5mm 정도이고, 보강 돌출부(294)의 깊이는 약 5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보강 돌출부(294)는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관통부(291)로 인한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취약 부분을 보완한다.
더욱이, 보강 돌출부(294)는 동일한 깊이와 길이로 형성되지 않고 헬멧의 형상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보강 돌출부(294)는 스크류 안착돌부(293a)와 인접한 부분이나, 관통부(291)에 의해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특정 부분과 인접한 경우와 같이 강성을 더욱 확실하게 보강하고자 할 경우 다른 부위에 비해 더 깊은 깊이로 형성되어 더 큰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방화 헬멧(100)의 안내 요소 및 베어링 지지부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는 안내 요소(3)와 베어링 지지부(8)가 헬멧 쉘(7)로부터 분리되어 상호 분리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베어링 지지부(8)는 도 3에 도시된 측면과 반대 측면이 도시된다.
도 18을 참고하면, 방화 헬멧(100)의 안내 요소(3)는 커버(300)를 더 포함하며, 커버(300)에 의해 내부 구성들을 보호하도록 한다. 이러한 안내 요소(3)는 실질적으로 커버(300)를 통해 베어링 지지부(8)와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 지지부(8)는 각 쌍의 제1 결합돌기(81l, 81r) 및 제2 결합돌기(82l, 82r)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300)는 각 돌기들이 끼움 결합되는 각 쌍의 제1 결합공(301l, 301r) 및 제2 결합공(302l, 302r)를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베어링 지지부(8)의 좌측 제1 결합돌기(81l) 및 우측 제1 결합돌기(81r)는 좌우로 상호 이격되어 베어링 지지부(8)에 돌출되게 마련된다. 예컨대, 좌측 제1 결합돌기(81l)와 우측 제1 결합돌기(81r)는 각각 원형의 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300)의 각 구멍에 스냅-인 결합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베어링 지지부(8)를 커버(300)에 연결한다. 이때,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1l, 81r)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이한 결속력을 제공하여 충격 등의 외력 발생 시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한다.
이와 대응하여, 커버(300)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결합공(301l, 301r)은 관통형상의 구멍으로 마련되어 제1 결합돌기(81l, 81r)가 일부 삽입된 상태가 되게 하므로 베어링 지지부(8) 및 안내 요소(3)를 밀착 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제1 결합공(301l, 301r)은 각 돌기가 스냅-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멍의 둘레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미도시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결합공(301l, 301r)의 각 돌출턱은 제1 결합돌기(81l, 81r)의 이동(화살표 방향)을 안내하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미도시됨)를 포함하며, 가이드에 의해 제1 결합돌기(81l, 81r)의 삽입을 용이하게 안내한다. 가이드는 원활한 안내를 위해 진입 부분이 방사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베어링 지지부(8)의 좌측 제2 결합돌기(82l) 및 우측 제2 결합돌기(82r)는 베어링 지지부(8)에 좌우로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2 결합돌기(82l, 82r)는 제1 결합돌기(81l, 81r)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이격 간격이 제1 결합돌기보다 더욱 협소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2 결합돌기(82l, 82r)는 보스 형상의 돌출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각 형태의 후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돌기(82l, 82r)는 각각 스냅-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베어링 지지부(8)의 제2 결합공(302l, 302r)에 삽입 상태로 베어링 지지부(8)에 끼움될 수 있다.
아울러, 커버(300)에 구비된 한 쌍의 제2 결합공(302l, 302r)은 제2 결합돌기(82l, 82r)와 대응하도록 관통 형상의 사각형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 지지부(8)의 화살표 방향에 따른 일 방향 이동 시 후크가 걸림되게 한다. 이처럼, 제2 결합공(302l, 302r)은 제2 결합돌기(82l, 82r)가 일부 삽입된 상태가 되게 하므로 베어링 지지부(8) 및 안내 요소(3)를 밀착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베어링 지지부(8)에는 직물 외피 또는 쿠션으로 이루어진 외피부재(미도시됨)가 씌워질 수 있는데, 베어링 지지부(8)는 외피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클립(83a, 83b)을 더 포함한다.
클립(83a, 83b)은 베어링 지지부(8)에 결합돌기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부재로 마련되며, 외피부재에 형성된 커버 고정용 구멍에 각각 끼움됨에 따라 외피부재를 베어링 지지부(8)에 고정한다. 이러한 클립(83a, 83b)은 소정의 탄성이 부여되어, 베어링 지지부(8)의 표면에 관통 형성된 공간(미도시됨)을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안내 요소(3)의 커버(300)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삽입홈(303a, 303b)이 마련될 수 있다. 클립삽입홈(303a, 303b)는 베어링 지지부(8)의 클립(83a, 83b)과 대응하여 상부와 하부 위치에 한 쌍의 홈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클립삽입홈(303a, 303b)은 홈형상 공간에 클립(83a, 83b)이 내입되게 하여 클립(83a, 83b)에 의해 고정된 외피부재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 클립삽입홈(303a, 303b)은 클립(83a, 83b)이 일부 삽입된 상태로 안내 요소(3)와 베어링 지지부(8) 간 결합을 유도함에 따라, 안내 요소(3) 및 베어링 지지부(8)를 밀착 상태로 유지시키며, 밀착 상태에서 커버(300)에 의한 고정력을 외피부재에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 헬멧(100)은 안내 요소(3) 및 베어링 지지부(8)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밀착 상태로 유지하여 제품의 조립 간극을 줄여 대형화를 방지하고, 끼움 구조로 인한 각 부품의 이탈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화 헬멧(100)은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는 발명의 방화 헬멧(100)의 헬멧 쉘(7)과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 쉘(7)의 내측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7이 헬멧 쉘(7)의 내측 후방부를 도시한 도면이라면, 도 19는 헬멧 쉘(7)의 내측 좌측 또는 우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연하자면, 도 1에서, 각각의 스냅-인 연결부(31l, 31r)가 위치하는 부분의 헬멧 쉘(7)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핸들(미도시됨)이 부착되는 핸들연결부(미도시됨)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를 설치 가능하게 제공하는데, 도 19는 이러한 핸들연결부의 위치에 해당하는 헬멧 쉘(7)의 내측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방화 헬멧(100)의 전방 유지 링 부분(2)과 헬멧 쉘(7)이 연결되기 전(도 19의 (a) 참고)과 후(도 19의 (b) 참고)를 도시하고 있는데, 헬멧 쉘(7)에는 도 17의 끼움돌부(72)와 유사한 형태의 제2 끼움돌부(74)가 마련되고, 전방 유지 링 부분(2)에는 돌출 날개부(2f)가 형성되고 돌출 날개부(2f)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막대형상의 돌출바아(2g)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헬멧 쉘(7)과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결합 시 돌출바아(2g)는 제2 끼움돌부(74)와 접촉상태로 안착되어 전방 유지 링 부분(2)이 제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 끼움돌부(74)에는 한 쌍의 돌출바아(2g)의 돌기 사이에 끼움되는 소정 길이의 끼움돌기(미도시됨)가 형성되어 안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 헬멧(100)은, 이들 제2 끼움돌부(74) 및 돌출바아(2g)에 의해, 실제의 다른 체결 요소에 의한 고정 전에 헬멧 쉘(7)과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가고정 상태를 제공하고, 고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헬멧에 의하면, 헬멧 쉘(7)의 내부에 결합 또는 상호간 장착되는 구성들을 직접적인 나사 체결을 통해 연결하기 보다는 돌기 및 홈 또는 홀더 형태의 끼움 고정식 또는 스냅식 결합되는 착탈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손으로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간단한 연결 구조로 인해 사용 중 유지보수에 유리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원리의 적용을 예시하기 위해 상세하게 나타나 있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르게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착용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작동 유닛; 이 작동 유닛은 핸드휠(14), 핸드휠 관(18), 홈형 디스크 (19), 디스크(34, 26) 및 0-링(21)을 포함함.
2 - 헬멧 쉘(7)에 부착되는 중앙 배치 전방 유지 링 부분; 이 부분은 충격 흡수 쉘(6)과 접촉함.
2a - 전방 유지 링 부분의 전방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냅-인 결합공; 이 부분은 연결 요소(28)의 결합돌기(282)과 결합됨.
2b - 스냅-인 결합공(2a)과 이격되게 위치되어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는 보강림.
2c - 보강림(2b)을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보강리브.
2d - 보강리브(2d)의 주위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경량공.
2e - 경량공(2d)의 하측에 이격되어 돌출되는 보강돌부.
2f -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 날개부.
2g - 돌출 날개부(2f)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막대형상 돌출바아.
3 - 헬멧 쉘(7)에 부착되는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을 위한 안내 요소.
4 - 피봇 가능한 바이저(visor).
5 - 관절식으로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9r)에 연결되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
6 - 내부에서 헬멧 쉘(7)에 위치되고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 흡수 쉘,
7 - 유지 링(2)과 핸드휠(14)을 지니는 아치형 헬멧 쉘.
8 - 베어링 링 부분(9l, 9r) 사이에 배치되는, 머리의 뒷부분을 위한 베어링 지지부 형태의 중심 후방 베어링 링 부분.
81l, 81r - 베어링 지지부(8)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커버(300)에 결합되게 하는 좌측 및 우측 제1 결합돌기.
82l, 81r - 베어링 지지부(8)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커버(300)에 결합되게 하는 좌측 및 우측 제2 결합돌기.
83a, 83b - 외피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
9l - 관절식으로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에 연결되는 좌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
9r - 관절식으로 전방 베어링 링 부분(5)에 연결되는 우측 후방 베어링 링.
10 - 신축자재형 바아(15)를 통해 핸드휠(14)에 연결되는 구동 치형기어.
11 - 구동 치형 기어(10)와 맞물리는 더 작은 피동 치형 기어.
12 - 2개의 치형 세그먼트(13l, 13r)와 맞물리는 더 작은 피동 치형 기어(11)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더 큰 피동 치형 기어.
13 - 더 큰 피동 치형 기어(12)와 맞물리는, 좌측 후방 베어링 링(9l)의 치형 세그먼트.
13r - 더 큰 피동 치형 기어(12)와 맞물리는, 우측 후방 베어링 링(9r)의 치형 세그먼트.
14 - 작동 유닛(1)의 핸드휠; 이 핸드휠은 내부에서 핸드휠 관(18)을 수용하고, 돌출부(44) 및 스탑 요소(40)를 갖는 그립 요소(45)를 포함함.
15 - 핸드휠(14)을 구동 치형 기어(10)에 연결하는 신축자재형 바아.
151 - 내부에서 핸드휠 관(18)에 의해 안내되고 핸드휠(14) 위로 돌출할 수 있는, 바아(15)의 관; 이 관은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핀(152)에 회전 불가능하게(내비틀림(torsion proof) 방식으로) 연결되며 그래서 그 관과 핀은 동시에 회전하며, 그 관은 헬멧 쉘측 전달 요소로서 작용함.
152 - 내부에서 관(151)에 의해 안내되는, 바아(15)의 핀; 이 핀은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관(151)에 회전 불가능하게(내비틀림 방식으로) 연결되며 그래서 그 핀과 관은 동시에 회전하며, 그 핀은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로서 작용함.
16 - 구동 치형 기어(10)가 핀(152)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디스크(33)를 통과하는 스크류.
171, 172, ... - 외부에서 관(151)의 외측 단부에 있는 스탑 요소; 이 스탑 요소는 구동 치형 기어(10)를 향하는 관(151)의 선형 운동을 제한함.
18 - 내부에서 핸드휠(14), 홈형 디스크(19) 및 헬멧 쉘(7)에 의해 안내되는 핸드휠 관; 이 관은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관(151)에 회전 불가능하게(내비틀림 방식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며 써클립(48)에 의해 유지됨.
19 - 핸드휠(14)에 회전 불가능하게(내비틀림 방식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홈형 디스크.
20 - 헬멧 쉘(7)에 있는 원형 비드; 이 원형 비드는 핸드휠 관(18) 을 둘러싸고, 핸드휠(14)이 회전되고 있을 때 "음향 피드백"을 위한 돌출부(27)를 가짐.
21 - 홈형 디스크(19)와 헬멧 쉘(7) 사이의 0-링.
221, 222, ... - 내부에서 핸드휠 관(18)에 있는 스탑 요소; 이 스탑 요소는 스탑 요소(171, 172,...)에 대응함.
231, 232, ... - 외부에서 핀(152)에 있는 스탑 요소; 이 스탑 요소는 스탑 요소(241, 242)에 대응함.
241, 242, ... - 내부에서 관(151)에 있는 스탑 요소; 이 스탑 요소는 스탑 요소(231, 232)에 대응함.
25 - 핀(152)의 내측 단부에 있는 스크류 구멍
26 - 핸드휠 관(18)을 둘러싸고 핸드휠(14)에 의해 둘러싸이는 식별 판.
27 - 비드(20)에 있는 돌출부; 이 돌출부는 홈형 디스크(19)에 있는 홈에 대응함.
28 - 전방 유지 링(2)과 전방 베어링 링 부분(5) 사이에 있는 강성적인 중간 요소.
281 - 전방 유지 링(2)과 전방 베어링 링 부분(5) 사이에 있는 연결 요소.
282 - 연결 요소(281)에 돌출 형성되어 전방 유지 링 부분(2)의 결합공(2a)에 결합되는 스냅-인 결합돌기.
283 - 연결 요소(281)의 자유단부 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지지턱.
29 - 내부에서 헬멧 쉘(7)에 부착되는 중심 배치 후방 유지 링 부분.
291 - 후방 유지 링 부분(29)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
292 - 후방 유지 링 부분(29)의 양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착돌기(292).
293a - 후방 유지 링 부분(29)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헬멧 쉘(7)의 스크류 결합부(73a)에 안착되는 스크류 안착돌부.
293b - 스크류 안착돌부(293a)에 형성되는 스크류 구멍.
294 - 관통부(29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보강 돌출부.
30 - 핸드휠 관(18)의 관 요소; 이 관 요소는 내부 프로필을 제공함.
300 - 안내 요소(3)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커버.
301l, 301r - 좌측 및 우측 제1 결합돌기(81l, 81r)가 끼움되는 좌측 및 우측 제1 결합공.
302l, 302r - 좌측 및 우측 제2 결합돌기(82l, 82r)가 끼움되는 좌측 및 우측 제2 결합공.
303a, 303b - 클립(83a, 83b)이 삽입되는 클립삽입홈.
31l - 전방 베어링 링 부분(5)과 좌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9l) 사이의 스냅-인 연결부.
31r - 전방 베어링 링 부분(5)과 우측 후방 베어링 링 부분(9r) 사이의 스냅-인 연결부.
32 - 전방 유지 링 부분(2)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추가 바이저
33 - 핀(152)의 전방 단부에 있는 디스크; 이 디스크는 스크류(16)에 의해 구동 치형 기어(10)에 영구적으로 연결됨.
34 - 핸드휠 관(18)을 폐쇄하는 아치형 디스크; 이 디스크는 관 요소(30)와 함께 식별 판(26)을 유지함.
35 - 외부에서 핸드휠 관(18)에 있는 제1 돌출부; 이 돌출부는 보강 요소로서 작용하고 홈형 디스크(19)에 인접함.
36 - 내부에서 핸드휠(14)에 있는 제1 돌출부; 이 돌출부는 보강 요소로서 작용함.
37 - 내부에서 핸드휠(14)에 있는 제2 돌출부; 이 돌출부는 돌출부(38)를 수용하고, 동시에 회전하도록 핸드휠 관(18)에 대한 회전 불가능한(내비틀림) 연결을 형성함.
38 - 외부에서 핸드휠 관(18)에 있는 제2 돌출부; 이 돌출부는 돌출부(37)와 맞물리고, 동시에 회전하도록 핸드휠(14)에 대한 회전 불가능한(내비틀림) 연결을 형성함.
39 - 외부에서 핸드휠 관(18)에 있는 스탑 요소.
40 - 핸드휠(14)에 있는 원형 링; 이 원형 링은 스탑 요소(39)에 맞닿는 스탑 요소로서 작용함.
44 - 둥근 그립 요소(45)에 있는 외향 돌출부.
45 - 핸드휠(14)의 둥근 그립 요소; 이 그립 요소는 돌출부(44)를 포함함.
47 - 핸드휠 관(18)의 주위에 배치되는 시일링 링
48 - 핸드휠 관(18)의 주위에 배치되는 서클립.
71 - 헬멧 쉘(7)에 관통되게 마련되어 핸드휠(14)이 결합되는 휠결합공.
72 - 헬멧 쉘(7)의 내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끼움돌부.
73a - 헬멧 쉘(7)의 내측에 휠결합공(71) 및 끼움돌부(72)의 사이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스크류 결합부.
73b - 스크류 결합부(73a)에 형성되는 스크류 구멍.
74 - 헬멧 쉘(7)의 내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2 끼움돌부.
100 - 헬멧 쉘(7), 충격 흡수 쉘(6), 전방 유지 링 부분(2), 후방 유지 링 부분(29), 베어링 링 부분(5, 8, 9l, 9r)을 갖는 베어링 링, 및 작동 유닛(1)을 포함하는 방화 헬멧
BR - 앞으로 곧게 보는 방화 헬멧(100)의 사용자의 보는 방향.

Claims (8)

  1. 아치형 헬멧 쉘;
    상기 헬멧 쉘의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헬멧 쉘의 착용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 링;
    상기 헬멧 쉘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 요소; 및
    상기 베어링 링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착용 크기가 변경되도록 상기 작동 요소의 회전을 상기 베어링 링에 전달하는 전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작동 요소에 대해 선형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 요소와 함께 회전되는 헬멧 쉘측 전달 요소; 및
    상기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대해 선형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헬멧 쉘측 전달 요소와 함께 회전되는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요소와 상기 베어링 링 사이의 거리는 상기 작동 요소에 대한 상기 헬멧 쉘측 전달 요소의 선형 운동 및 상기 헬멧 쉘측 전달 요소에 대한 상기 베어링 링측 전달 요소의 선형 운동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헬멧 쉘의 전방측 내측면에 연결되는 전방 유지 링 부분 및 상기 전방 유지 링 부분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헬멧 쉘의 후방측 내측면에 연결되는 후방 유지 링 부분을 갖는 유지 링; 및
    상기 전방 유지 링 부분을 상기 베어링 링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전방 유지 링 부분의 상부 둘레측에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베어링 링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베어링 링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방화 헬멧.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유지 링 부분은,
    상기 연결 요소의 상기 결합부가 끼움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과 이격되어 상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보강림; 및
    상기 보강림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방화 헬멧.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와 상기 베어링 링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유지 링을 상기 베어링 링과 이격 상태로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방화 헬멧.
  7. 아치형 헬멧 쉘;
    상기 헬멧 쉘의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헬멧 쉘의 착용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 링;
    상기 헬멧 쉘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 요소; 및
    상기 베어링 링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착용 크기가 변경되도록 상기 작동 요소의 회전을 상기 베어링 링에 전달하는 전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링은,
    상기 헬멧 쉘의 내부에 연결되는 전방 베어링 링 부분;
    상기 전방 베어링 링 부분에 연결되는 후방 베어링 링 부분; 및
    상기 전방 베어링 링 부분을 상기 후방 베어링 링 부분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크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전방 베어링 링 부분의 후단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후방 베어링 링 부분과 결합되는 위치가 변위되는 각 쌍의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방화 헬멧.
  8. 삭제
KR1020220110684A 2022-09-01 2022-09-01 신축자재하게 조절 가능한 착용 크기를 갖는 방화 헬멧 KR10247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684A KR102474432B1 (ko) 2022-09-01 2022-09-01 신축자재하게 조절 가능한 착용 크기를 갖는 방화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684A KR102474432B1 (ko) 2022-09-01 2022-09-01 신축자재하게 조절 가능한 착용 크기를 갖는 방화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432B1 true KR102474432B1 (ko) 2022-12-06

Family

ID=8440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684A KR102474432B1 (ko) 2022-09-01 2022-09-01 신축자재하게 조절 가능한 착용 크기를 갖는 방화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4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337B1 (ko) * 2013-05-06 2014-11-18 김청균 스마트 안전모듈
KR101605186B1 (ko) * 2014-12-16 2016-03-21 주식회사 동명 헤드밴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20170062699A (ko) * 2015-11-30 2017-06-08 김희철 통기성 모자
KR20190078417A (ko) 2017-12-26 2019-07-04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337B1 (ko) * 2013-05-06 2014-11-18 김청균 스마트 안전모듈
KR101605186B1 (ko) * 2014-12-16 2016-03-21 주식회사 동명 헤드밴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20170062699A (ko) * 2015-11-30 2017-06-08 김희철 통기성 모자
KR20190078417A (ko) 2017-12-26 2019-07-04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76890A1 (en) Safety helmet with telescopically adjustable head size
US6677919B2 (en) Head mounting mechanism and head-mounted apparatus using it
DK2542107T3 (en) Screwdriver for hanging a helmet
JP2021008703A (ja) ヘッドバン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溶接用ヘルメット
CN101426388B (zh) 具有可调式面甲的头部悬挂系统和头盔及其调整方法
US20190339736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EP1484990B1 (en) Cold-weather helmet with spring loaded sunshield
EP2524609B1 (en) Latching mechanism for retention of face shield lens
JP6927677B2 (ja) バイザー用昇降機構付き保護ヘルメット
JP2018024963A (ja) ヘッドバン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溶接用ヘルメット
JP6943670B2 (ja) 取り外し可能なパッド付きヘルメット
KR20150131548A (ko) 기능성 쿠션 케이스 일체형 헤드 밴드
CN102551956A (zh) 头带
JP2009074230A (ja) 追加内側バイザ付き安全ヘルメット
KR101372886B1 (ko) 안전모 착탈용 보안경
KR102474432B1 (ko) 신축자재하게 조절 가능한 착용 크기를 갖는 방화 헬멧
US20210337909A1 (en) Safety helmet with an intermediate piece for chang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arrangements with such a safety helmet and two alternative intermediate pieces
US20210337911A1 (en) Safety helmet with mechanical coding for plug connections between the inner lining and the bearing structure
WO2017130857A1 (ja) 取付具、表示システム、及び、取付システム
CN205144860U (zh) 头带结构及其焊接面罩
KR20170061639A (ko)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JP2003049316A (ja) 顔面保護板付ヘルメット
US11992079B2 (en) Safety helmet with a sheathed bearing element, process for removing the sheathing from the safety helme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uch a safety helmet
KR102279908B1 (ko) 안전모용 머리밴드 조절 장치
KR20090111239A (ko) 상하좌우 이동가능한 헤드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