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413B1 -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 Google Patents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413B1
KR102474413B1 KR1020220084361A KR20220084361A KR102474413B1 KR 102474413 B1 KR102474413 B1 KR 102474413B1 KR 1020220084361 A KR1020220084361 A KR 1020220084361A KR 20220084361 A KR20220084361 A KR 20220084361A KR 102474413 B1 KR102474413 B1 KR 10247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ir
chimney
burner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이민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동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동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8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의 가스 출구 주위로 1차 공기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블레이드부를 마련하고, 상기 가스 출구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와 상기 1차 공기의 혼합물에 2차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분출되어 상기 혼합물의 소화가스와 상기 1차 공기 간의 혼합율을 증대시키는 혼합촉진수단을 연소로의 바닥 부근에 마련하고, 그리고 상기 연소로에 연소되어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배기가스에 3차공기가 시계방향으로 분출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신속하게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게 하는 배출촉진수단을 연소로의 중간에 마련한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low NOx type surplus gas combustor that burns digestive gas}
본 발명은 하수종말처리장의 소화조에서 발생되는 소화가스를 포집하여 보일러나 발전기 등의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고 남은 잉여가스를 연소시키도록 한 잉여가스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너의 화염에 외기를 불어넣어 화염에 존재하는 소화가스와 공기와의 혼합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배기가스에 상기 배기가스의 흐름방향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신속하게 연소로를 빠져나가게 하여 저녹스형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의 소화조에서 발생되는 소화가스는 탈황기를 거쳐 황화수소를 제거한 후, 이를 별도의 가스홀더(가스탱크)에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처, 예를 들어 보일러나 발전기등의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게 된다.
한편,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남은 잉여가스(잔류 소화가스)는 대기로 방출할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존재하게 됨으로서, 연소기를 통해 잉여가스를 소각처리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상기 잉여가스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연소기로는 노외연소식과 노내연소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전자의 노외연소식은 노외부(연돌상부)에서 잉여가스를 연소하는 방식으로서, 설치비가 적게 들며 구조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연소과정에서 불꽃이 연소상부로 지나치게 많이 노출됨으로서 미관상 좋지 못하여 안정성을 고려한 민원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노내연소식은 노내에서 잉여가스를 연소하는 방식으로서, 노외연소식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반면, 노내에서 연소가 이루어짐으로서, 불꽃이 외부로 적게 노출됨으로서 민원발생의 소지가 적고, 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노내연소식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불꽃의 외부 노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는 없으며,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불꽃의 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일예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등록특허 제8311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는, 내, 외벽 이중구조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잉여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공간이 형성되는 연소로; 상기 연소로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잉여가스를 점화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와 가스공급관으로 연결되며, 가스배출관에서 배출된 잉여가스를 상기 가스공급관을 통해 상기 버너로 강제 공급시키는 가스송풍기; 상기 연소로의 외벽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에어냉각덕트; 상기 에어냉각덕트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냉각덕트를 통해 상기 연소로의 내, 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에어를 강제 공급시켜 상기 연소로의 내벽을 냉각시키는 에어송풍기; 및 상기 에어냉각덕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버너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냉각덕트로 공급되는 에어의 일부를 상기 버너로 공급하는 에어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는, 연소로를 내, 외벽 이중구조로 제작한 상태에서 그 공간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연소로 상부로 배출시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켜 외관의 미려함은 물론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용효과를 가지며, 내, 외벽 사이 공간으로 주입되는 공기를 통해 냉각효과를 구현하게 됨으로서 연소로를 구성하는 내벽이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는, 녹스인 질소산화물의 생성이 다량 발생한다는 것이 문제이다.
연소시에 발생하는 녹스의 생성은, FUEL NOx, THERMAL NOx, 및 PROMPT NOx에 원인이 있다.
FUEL NOx는, 연료에 존재하는 질소성분이 연소과정에서 산화되어 생성되는 녹스이며, 소화가스에는 질소성분이 미량 존재하여 소화가스연소기에서는 해당되지 않는다.
THERMAL NOx는, 연소용 공기중의 질소가 화염온도 1300℃를 초과하는 고온에서 유리된 후 산화되어 생성되는 녹스이다.
PROMPT NOx는, 연료가 연소용 공기와 완전 혼합되기 전 고농도 상태로 1000℃ 이상의 고온 영역에 노출되었을때 급격히 생성되는 NOx이며, 반응초기에 화염면 근처에 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므로 Prompt NOx라고 칭한다.
즉, 녹스생성의 3대요소는, 화염온도(화염온도가 높을수록 생성량 증대), 공기비(공기비 10.보다 조금 클 경우 최대임), 및 체류시간(체류시간이 길수록 생성량 증대)이다.
이러한 녹스생성의 3대요소에 비추어 볼 때, 상기 개시된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는, 소화가스가 공기분위기 속에 분사되기 때문에, 소화가스와 공기 간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연소시에 과잉의 공기가 투입된다는 문제점과 그리고 잉여가스가 연소되어 생성된 배기가스가 온도와 압력차에 의해서만 연소로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연소로에서 배출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버너의 가스 출구 주위로 1차 공기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블레이드부를 마련하고, 상기 가스 출구에서 분사되는 소화가스와 상기 1차 공기의 혼합물에 2차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분출되어 상기 혼합물의 소화가스와 상기 1차 공기 간의 혼합율을 증대시키는 혼합촉진수단을 연소로의 바닥 부근에 마련하고, 그리고 상기 연소로에 연소되어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배기가스에 3차공기가 시계방향으로 분출되어 상기 배기가스가 신속하게 상기 연소로에서 배출되게 하는 배출촉진수단을 연소로의 중간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종래보다도 감소된 녹스를 생성시키면서 소화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취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서 취한 확대 단면도, 및
도 4는 도 1의 버너에 구비된 노즐부를 위에서 본 확대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10); 및 상기 버너(10)의 노즐부(11)보다 낮은 상기 버너(10)의 부위에 바닥(20a)이 외접되어 중력방향으로 길다랗게 뻗은 연돌(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버너(10)는, 상기 노즐부(11)와 유통하며 도시되지 않은 소화가스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연돌(20) 내로 소화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공급관(12); 및 상기 노즐부(11)와 유통하며 도시되지 않은 공기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연돌(20) 내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공기공급관(1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소화가스에는 메탄가스, 탄산 가스, 수소가스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공급관(12)의 토출측에 유통하게 접속된 가스노즐구(11a): 상기 공기공급관(13)의 토출측에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노즐구(11a)에 외접된 공기노즐구(11b); 및 상기 가스노즐구(11a)와 상기 공기노즐구(11b) 사이에 상기 가스노즐구(11a)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원심력형 송풍기의 한 유형인 후향날개형(축차의 날개는 평평하며,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 뻗어서 시계방향으로의 공기의 제1나선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복수개의 베인(11c)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11c)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제1나선 선회류는, 상기 가스노즐구(11a)에서 미립화되어 분사되는 소화가스 주위를 감싸서 커튼층을 형성하여, 상기 미립화된 소화가스가 상기 커튼층 밖으로 도망가지 못하게 하면서 공기와 소화가스의 1차적인 혼합물이 형성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연돌(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돌(20)의 외부에 유통하게 상기 연돌(20)의 상단에 장착된 덕트 삿갓(21); 상기 연돌(20)의 하부 외주면에 방사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연돌(20)의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연돌(20)에 외접된 재킷(22); 및 상기 도시되지 않은 공기공급원에 흡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되게 그리고 상기 재킷(22)에 토출측이 유통하게 접속되게 상기 재킷(22)의 하반부에 형성된 공기공급입구(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재킷(22)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연돌(20)의 하반부 내부 온도를 낮추어서 저온분위기에서 소화가스에 연소되게 한다.
또한, 상기 연돌(20)은, 상기 공기의 제1나선 선회류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흐름을 가지는 상기 1차적인 혼합물에, 상기 공기의 제1나선 선회류보다 약한 힘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공기의 제2나선 선회류를 분출시켜, 상기 1차적인 혼합물의 공기와 소화가스를 교반하여 혼합율을 증대시키는 혼합촉진수단을 상기 연돌(20)의 바닥 부근에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버너(10) 부근에서 연소되어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배기가스에, 시계방향으로서 공기의 제3나선 선회류를 분출시켜, 상기 배기가스가 신속하게 상기 연돌(20)에서 배출되게 하는 배출촉진수단을 연소로의 중간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혼합촉진수단은, 상기 연돌(20)의 내부공간과 상기 재킷(22)의 내부공간이 유통하도록, 그리고 반시계방향으로의 공기의 나선 선회류를 형성시키도록, 상기 연돌(20)의 바닥보다 높고 상기 노즐부(11) 보다 낮은 상기 연돌(20)의 부위에 상기 연돌(2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후향날개형으로 뻗어서 형성된 복수개의 하부유통구(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배출촉진수단은, 상기 연돌(20)의 내부공간과 상기 재킷(22)의 내부공간이 유통하도록, 그리고 시계방향으로의 공기의 나선 선회류를 형성시키도록, 상기 재킷(22)의 상부와 마주하는 상기 연돌(20)의 부위에 상기 연돌(2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후향날개형으로 뻗어서 형성된 복수개의 상부유통구(2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기공급입구(23)에서 나오는 공기의 유량이 100이라고 하면, 상기 복수개의 하부유통구(24)에서 나오는 공기의 유량은 10~15%이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상부유통구(25)에서 나오는 공기의 유량은 85~90%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관(12)을 통하여 상기 연돌(20) 내로 소화가스가 분출되는 상태에서 상기 공기공급관(13)을 통하여 상기 연돌(20) 내로 공기가 분출되면, 상기 복수개의 베인(11c)에 의해 시계방향 흐름을 가지는 상기 공기의 제1나선 선회류에 의해 상기 분출된 소화가스가 상기 연돌(20)의 둘레방향으로 포위되면서 미립화되면서, 공기와 소화가스의 1차적인 혼합물이 형성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버너(10)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점화수단에 의해 상기 1차적인 혼합물이 점화되어 연소되기 시작한다.
이 때에, 시계방향으로 흐름을 가지는 상기 1차적인 혼합물에, 상기 복수개의 하부유통구(24)를 통하여 반시계방향 흐름을 가지는 상기 제2나선 선회류를 분출시키면, 상기 1차적인 혼합물의 공기와 소화가스 간의 교반이 활성되어 혼합율이 촉진되어, 연소에 필요한 이론공기량 보다 많은 과잉의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관(12) 및 상기 복수개의 하부유통구(24)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점화수단에 의해 상기 버너(10) 부근에서 연소되어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배기가스는, 상기 복수개의 상부유통구(25)를 통하여 시계방향 흐름을 가지는 상기 제3나선 선회류, 즉 부스팅 선회류에 의해 등떠밀리면서 상승기류를 가지게 되어, 신속하게 상기 연돌(20)에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100)에 의하면, 종래보다 소화가스의 연소 시에 과잉의 공기가 투입되지 않으면서도, 배기가스가 온도와 압력차 뿐만 아니라 부스팅 선회류에 의해 연소로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저녹스를 생성하면서 잉여의 소화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다.
10: 버너, 11: 노즐부, 11a: 가스노즐구, 11b: 공기노즐구, 11c: 베인, 12: 가스공급관, 13: 공기공급관, 20: 연돌, 20a: 바닥, 21: 덕트 삿갓, 22: 재킷, 23: 공기공급입구, 24: 하부유통구, 25: 상부유통구, 100: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Claims (5)

  1. 버너(10); 및 상기 버너(10)의 노즐부(11)보다 낮은 상기 버너(10)의 부위에 바닥(20a)이 외접되어 중력방향으로 길다랗게 뻗은 연돌(20)을 포함한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버너(10)는,
    상기 노즐부(11)와 유통하며, 소화가스공급원에 접속된 가스공급관(12); 및
    상기 노즐부(11)와 유통하며, 공기공급원에 접속된 공기공급관(13)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11)는,
    상기 가스공급관(12)의 토출측에 유통하게 접속되어 상기 연돌(20) 내로 소화가스를 분출시키는 가스노즐구(11a):
    상기 공기공급관(13)의 토출측에 유통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노즐구(11a)에 외접되어 상기 연돌(20) 내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공기노즐구(11b); 및
    상기 가스노즐구(11a)와 상기 공기노즐구(11b) 사이에 상기 가스노즐구(11a)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후향날개형으로 뻗어서 시계방향으로의 공기의 제1나선 선회류를 형성시키어, 소화가스와 공기가 1차적인 혼합물로서 혼합되게 하는 복수개의 베인(11c)을 포함하며,
    상기 연돌(20)은,
    상기 공기의 제1나선 선회류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흐름을 가지는 상기 1차적인 혼합물에, 반시계방향으로 공기의 제2나선 선회류를 분출시켜, 상기 1차적인 혼합물의 공기와 소화가스를 교반하여 혼합율을 증대시키는 혼합촉진수단을 상기 연돌(20)의 바닥 부근에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버너(10) 부근에서 연소되어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배기가스에, 시계방향으로서 공기의 제3나선 선회류를 분출시켜, 상기 배기가스가 신속하게 상기 연돌(20)에서 배출되게 하는 배출촉진수단을 연소로의 중간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20)은,
    상기 연돌(20)의 외부에 유통하게 상기 연돌(20)의 상단에 장착된 덕트 삿갓(21);
    상기 연돌(20)의 하부 외주면에 방사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연돌(20)의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연돌(20)에 외접된 재킷(22); 및
    상기 공기공급원에 흡입측이 유통하게 접속되게 그리고 상기 재킷(22)에 토출측이 유통하게 접속되게 상기 재킷(22)의 하반부에 형성된 공기공급입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촉진수단은, 상기 연돌(20)의 내부공간과 상기 재킷(22)의 내부공간이 유통하도록, 그리고 반시계방향으로의 공기의 나선 선회류를 형성시키도록, 상기 연돌(20)의 바닥보다 높고 상기 노즐부(11) 보다 낮은 상기 연돌(20)의 부위에 상기 연돌(2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후향날개형으로 뻗어서 형성된 복수개의 하부유통구(24)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배출촉진수단은, 상기 연돌(20)의 내부공간과 상기 재킷(22)의 내부공간이 유통하도록, 그리고 시계방향으로의 공기의 나선 선회류를 형성시키도록 상기 재킷(22)의 상부와 마주하는 상기 연돌(20)의 부위에 상기 연돌(2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후향날개형으로 뻗어서 형성된 복수개의 상부유통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입구(23)에서 나오는 공기의 유량이 100이라고 하면, 상기 복수개의 하부유통구(24)에서 나오는 공기의 유량은 10~15%이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상부유통구(25)에서 나오는 공기의 유량은 85~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KR1020220084361A 2022-07-08 2022-07-08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KR10247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61A KR102474413B1 (ko) 2022-07-08 2022-07-08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61A KR102474413B1 (ko) 2022-07-08 2022-07-08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413B1 true KR102474413B1 (ko) 2022-12-06

Family

ID=8440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361A KR102474413B1 (ko) 2022-07-08 2022-07-08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4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388A (en) * 1977-02-10 1978-09-26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Burner nozzle
JPH0727317A (ja) * 1993-07-09 1995-01-27 Toshio Yoshida 廃プラスチック等の燃焼方法とこれに用いる装置
KR101889227B1 (ko) * 2017-09-28 2018-08-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소기
KR102359252B1 (ko) * 2021-04-20 2022-02-08 주식회사 하크 저질소산화물 잉여가스 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388A (en) * 1977-02-10 1978-09-26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Burner nozzle
JPH0727317A (ja) * 1993-07-09 1995-01-27 Toshio Yoshida 廃プラスチック等の燃焼方法とこれに用いる装置
KR101889227B1 (ko) * 2017-09-28 2018-08-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소기
KR102359252B1 (ko) * 2021-04-20 2022-02-08 주식회사 하크 저질소산화물 잉여가스 연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8886B1 (en) Method of burning a premixed gas and a combustor for practicing the method
RU2442929C1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оксидов азота в котле, работающем на распыленном угле, в котором используются горелки типа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EP2578942A2 (en) Apparatus for head end direct air injection with enhanced mixing capabaliites
US4240784A (en) Three-stage liquid fuel burner
US6484509B2 (en) Combustion chamber/venturi cooling for a low NOx emission combustor
US20080227040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Unsupported Lean Fuel Gas Combustion, Using a Burner and Related Burner
CN101765742B (zh) 用于运行预混合式燃烧器的方法
JPH1047679A (ja) ガス燃料の希薄直接噴射を有する予混合乾式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H04227416A (ja) NOx発生量を低減したプレバーナー付きガスタービン触媒燃焼器
KR101770595B1 (ko)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EP2500656A2 (en) Gas turbine combustor having a fuel nozzle for flame anchoring
WO2011146551A1 (en) Premix for non-gaseous fuel delivery
JP4916311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を安定させるパイロット燃焼装置
US5571006A (en) Regenerative burner, burner system and method of burning
CN101520178A (zh) 高强力混合低污染排放酸性气体燃烧器
KR102474413B1 (ko) 소화가스를 연소하는 저녹스형 잉여가스 연소기
JPS6325418A (ja) 化学量論的量を下回る燃焼のための前燃焼室を備えた燃焼室装置
CA2468646C (en) Combustion chamber/venturi cooling for a low nox emission combustor
CN201909313U (zh) 高强力混合低污染排放酸性气体燃烧器
CN106468449B (zh) 带有用于稀释的冷却气体的连续燃烧布置
US4162890A (en) Combustion apparatus
RU2753202C1 (ru) Малоэмиссионная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с двумя зонами кинетического горения
CN107314399A (zh) 一种燃气轮机的预混装置及燃烧室
JP2005226970A (ja) 火格子式廃棄物焼却炉及びその操業方法
RU2753203C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топлива в малоэмиссионной камере сгор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