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981B1 - 시료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시료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981B1
KR102473981B1 KR1020150040959A KR20150040959A KR102473981B1 KR 102473981 B1 KR102473981 B1 KR 102473981B1 KR 1020150040959 A KR1020150040959 A KR 1020150040959A KR 20150040959 A KR20150040959 A KR 20150040959A KR 102473981 B1 KR102473981 B1 KR 10247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disposed
diameter
opening
te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444A (ko
Inventor
이영균
민정기
이종건
정현주
Original Assignee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981B1/ko
Priority to US14/876,171 priority patent/US10006926B2/en
Priority to EP15886585.7A priority patent/EP3274095A4/en
Priority to PCT/KR2015/010966 priority patent/WO2016153138A1/en
Publication of KR2016011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B01L3/0217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of the plunger pump type
    • B01L3/022Capillary pipettes, i.e. having very small bo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35/0006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whereby the sample substrate is of the bio-disk type, i.e. having the format of an optical di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1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rfacing components, e.g. fluidic, electrical, optical or mechanical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3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adapted for different sizes of tubes, tips o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01L2200/027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for microfluid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1Bottom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64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comprising only one inlet and multiple receiving wells, e.g. for separation, spl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9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entrifugal for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는 시료 운반 장치가 삽입되는 시료 검사 장치로서,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을 구비하는 플랫폼; 상기 상판에 배치되에 상기 시료 운반 장치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도입부; 및 상기 도입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료 검사 장치{Specimen Inspection Apparatus}
실시예들은 시료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료 검사 장치, 예를 들어 파이펫 장치는 분자생물학에서와 같이 비교적 소량(예를 들어 마이크로리터 범위)의 액체가 계량되어야 하는 모든 영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파이펫 장치는 개별 파이펫 유닛, 또는 동시에 또는 따로 작동되는 다수의 개별 파이펫 유닛을 가진 파이펫 로봇 또는 수동 파이펫 장치 또는 파이펫 기계의 형태일 수 있다.
시료 운반 장치의 선단부, 일 예로서 파이펫 팁은 소량의 액체를 계량하기 위한,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 관통 개구를 가지며 대체로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는 세장형 슬리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펫 팁은 그 폭이 넓은 단부(결합 단부)가 파이펫 장치의 주입부 상에서 활주하고, 폭이 넓은 단부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뾰족한 선단부가 파이펫될 매체 안에 잠긴다. 일반적으로, 파이펫 팁은 1회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즉, 파이펫 팁은 한 번 사용된 후 폐기될 수 있다.
정밀한 계량을 보장하기 위해, 파이펫 팁과 같은 소량의 시료를 운반하는 장치는 시료 검사 장치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이는 개별 시료 운반 장치의 안전한 끼움 및 정밀한 위치설정이 수동으로 점검될 수 없는 경우에 더욱 필요하다. 또한, 가능한 한 유지보수가 쉽고 비용 효율이 높은 방식으로 시료 검사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번호 JP 2007-292737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의 선단부를 구비하는 시료 운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시료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는 시료 운반 장치가 삽입되는 시료 검사 장치로서,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을 구비하는 플랫폼; 상기 상판에 배치되에 상기 시료 운반 장치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도입부; 및 상기 도입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부의 직경이 상기 선단부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선단부는 시료가 주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의 폭은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지지면의 폭이 상기 개구부의 직경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는 상기 지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길이가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길고, 상기 돌출부의 폭이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간격이 상기 선단부의 직경 보다 짧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는 상기 지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시료 운반 장치의 선단부의 직경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부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홈부의 길이가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길고, 상기 소정의 간격이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짧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는 상기 하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는 상기 하판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와 하판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길이가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길고 상기 돌출부의 폭이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판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간격이 상기 선단부의 직경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하판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시료 운반 장치의 선단부의 직경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부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판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홈부의 길이가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길고, 상기 소정의 간격이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시료 운반 장치는 파이펫(pipette)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선단부를 구비하는 시료 운반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시료 주입시 발생될 수 있는 선단부의막힘 또는 시료 운반 장치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료 운반 장치의 미삽입에 따른 시료 역류로 인한 시료 검사 장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 및 시료 운반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에서 시료 운반 장치가 주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에서 시료 운반 장치가 주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에서 시료 운반 장치가 주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에서 시료 운반 장치가 주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에서 시료 운반 장치가 주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 및 시료 운반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료 검사 장치(10)는 회전 가능한 디스크 형상의 플랫폼(100)과, 플랫폼(100) 내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나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미세유동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은(100)은 여러 층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판과 판이 서로 맞닿는 면에 챔버나 채널 등에 해당하는 음각 구조물을 만들고 이들을 접합함으로써 플랫폼(100) 내부에 공간과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판과 판의 접합은 접착제나 양면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접착이나 초음파 융착, 레이저 용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플랫폼(100)은 하판(110)과 상판(120)을 포함하는 2-판 구조이거나,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과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정의하기 위한 구획판(미도시)이 마련된 구조일 수도 있다.
플랫폼의 하판(110)의 두께(T3)와 플랫폼의 상판(120)의 두께(T2)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3a 참조) 일 예로서, 플랫폼의 하판(110)의 두께(T3)는 1 mm 내지 10 mm일 수 있으며, 플랫폼의 상판(120)의 두께(T2)는 0.5 mm 내지 3 mm까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플랫폼의 하판(110)의 두께(T3)와 플랫폼의 상판(120)의 두께(T2)에 따라 플랫폼의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 거리(T1)가 결정될 수 있으며,
플랫폼(100)의 중심(C)에 반경방향으로 가까운 쪽을 안쪽이라 하고,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먼 쪽을 바깥쪽이라 한다. 플랫폼(100)의 가장 안쪽에 도입부(140)가 마련되며, 도입부(140)에는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주입부(130)는 후술하게 될 시료 운반 장치(20)의 선단부(23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이다. 일 예로서 주입부(130)는 원뿔대 형상의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료 운반 장치(20)는 주입부(130)에 삽입되어 시료 검사 장치(10)로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운반 부재로서, 축 대칭의 원통형상인 시료 수용부(210), 시료 수용부(210)의 일 단부에 배치된 선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료 운반 장치(20)는 시료 수용부(210)로부터 선단부(230)까지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선단부(230)에는 시료가 주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개구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입부(140)는 주입부(130)와 플랫폼(100)의 하판(11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통로이다. 시료는, 주입부(130)에 삽입된 선단부(230)의 개구부(231)를 통해 도입부(140)로 유입될 수 있으며, 도입부(140)와 검사부(150)를 연결하는 채널부(125)를 이용하여 검사부(150)에 수용될 수 있다. 검사부(150)는 검사하기에 적합한 정량의 시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로서, 예를 들어, 도입부(140)로부터 검사부(150)로 시료를 이송시키기 위해 플랫폼(10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이용될 수 있으므로, 검사부(150)는 도입부(140)보다 바깥쪽에 위치될 수 있다.
시료 운반 장치(20)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시료 운반 장치(20)가 파이펫(pipette)인 경우, 개구부(231)의 직경(D1)은 0.5mm 내지 1.5mm일 수 있으며, 선단부(230)의 직경(D2)은 2.0 mm 내지 5mm까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주입부(130)의 크기와 모양은 시료 운반 장치(20)의 선단부(230)의 크기와 모양과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결정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주입부(130)의 크기를 결정할 경우, 시료 주입시 주입부(130)와 시료 운반 장치(20)의 끼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시료 운반 장치(20)의 미삽입에 따른 시료 역류로 인한 시료 검사 장치(10)의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크기의 주입부(130)를 구비한 시료 검사 장치(10)에 다양한 크기의 선단부(230)를 구비하는 시료 운반 장치(20)가 사용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부(130)의 직경(D3; 도 3a 참조)을 선단부(230)의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선단부(230)의 위치에 따라 개구부(231)의 막힘 현상이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주입부(130)의 직경(D3)을 선단부(230)의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개구부(231)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입부(140)에는 시료 운반 장치(2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료 운반 장치(20)를 지지하여 개구부(231)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부에 대해 서술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에서 시료 운반 장치가 주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30)의 직경(D3)이 선단부(230)의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입부(140)에서 지지되는 시료 운반 장치(20)의 선단부(230)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주입부(130)의 직경(D3)이 선단부(230)의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개구부(231)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입부(140)에는 시료 운반 장치(2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복수의 단차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의 단차부(160)는 주입부(130)와 플랫폼의 하판(11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이다. 일 예로서, 제2 단차부(162)는 플랫폼의 하판(110)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단차부(162)에 구비된 제2 지지면(162a)은 주입부(1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차부(161)는 제2 지지면(162a)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단차부(161)에 구비된 제1 지지면(161a) 또한, 주입부(1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차부(161)의 제1 단차 높이(h1)와 제2 단차부(162)의 제2 단차 높이(h2)는 플랫폼의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 거리(T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지지면(161a)의 폭(b1)과 제2 지지면의 폭(b2)은 개구부(231) 직경(D1) 보다 작게, 예를 들어, 제1 지지면(161a)의 폭(b1)과 제2 지지면의 폭(b2)은 개구부(231) 직경(D1)의 절반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입부(130)로 삽입되는 선단부(230)의 위치에 관계 없이 시료 수용부(210)에 수용된 시료는 개구부(231)를 통해 도입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지지면(161a)과 마주보도록 시료 운반 장치(20)가 주입부(130)에 삽입되는 경우, 선단부(230)의 일부 및 선단부(230) 및 개구부(231)의 일부가 제1 지지면(16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선단부(230) 및 개구부(231)의 나머지 부분은 제1 지지면(161a)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채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선단부(230)에 배치된 개구부(231)의 나머지 부분 또한 제1 지지면(161a)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채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수용부(210)에 수용된 시료는 외부에 노출된 개구부(231)를 통해 도입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구비한 시료 운반 장치(20)가 시료 검사 장치(10)에 이용될 수 있도록, 시료 검사 장치(10)에 마련된 주입부(130)의 직경(D3)은 선단부(230)의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단부(230)의 배치는 선단부(230)가 주입부(130)로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축을 따라 제2 지지면(162a)과 마주보도록 시료 운반 장치(20)가 주입부(130)에 삽입되는 경우, 선단부(230)의 일부 및 선단부(230)에 배치된 개구부(231)의 일부가 제2 지지면(162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선단부(230)의 나머지 부분은 제2 지지면(162a)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채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선단부(230)에 배치된 개구부(231)의 나머지 부분 또한 제2 지지면(162a)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채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수용부(210)에 수용된 시료는 외부에 노출된 개구부(231)를 통해 도입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입부(140)에 복수의 단차부(160)가 배치됨에 따라 주입부(130)로 삽입되는 선단부(230)의 위치에 관계 없이 시료 수용부(210)에 수용된 시료는 개구부(231)를 통해 도입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주입시 발생될 수 있는 선단부(230)의 막힘 없이 시료 검사 장치(10)에는 다양한 크기의 선단부(230)를 구비하는 시료 운반 장치(2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에서 시료 운반 장치가 주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에서 시료 운반 장치가 주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부(160)에 구비된 지지면(161a, 162a)의 폭(b1, b2) 은 개구부(231)의 직경(D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시료 운반 장치(20)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개구부(231)의 직경(D1)이 보다 미세하게 형성된 시료 운반 장치(2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때, 개구부(231)의 직경(D1) 보다 작은 폭(b1, b2)을 구비하는 지지면(161a, 162a)을 포함하는 단차부(160)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단차부(160)의 지지면(161a, 162a) 상부에 돌출부(170) 형상의 지지부재를 마련하는 경우, 선단부(230)의 일부가 돌출부(170)에 의해 지지되어 개구부(231)가 막히지 않은 채 지지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돌출부(170)는 단차부(160)에 구비된 지지면(161a) 상부에 배치되어 선단부(23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돌출부(171)는 제1 단차부(161)에 구비된 제1 지지면(161a)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172)는 제2 단차부(162)에 구비된 제2 지지면(162a)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돌출부(171, 172)의 길이(L1, L2)는 선단부(230)에 구비된 개구부(231)의 직경(D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폭(C1, C2)은 선단부(230)에 구비된 개구부(231)의 직경(D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면(161a)의 단면적 보다 선단부(230)의 단면적이 작은 시료 운반 장치(20) 또한, 주입부(130)로 삽입되는 선단부(230)가 돌출부(170)에 의해 지지되어 시료 수용부(210)에 수용된 시료를 도입부(14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지지면(161a)과 마주보도록 시료 운반 장치(20)가 주입부(130)에 삽입되는 경우, 선단부(230)의 일부 및 선단부(230)에 배치된 개구부(231)의 일부는 제1 돌출부(17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선단부(230)의 나머지 부분은 제1 돌출부(171)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채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선단부(230)에 배치된 개구부(231)의 나머지 부분 또한 제1 돌출부(171)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채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수용부(210)에 수용된 시료는 외부에 노출된 개구부(231)를 통해 도입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면(161a)에 배치되는 돌출부(170)를 하나만 형성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161a)에는 복수의 제1 돌출부(171a, 17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복수의 제1 돌출부(171a, 171b)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돌출부(171a, 171b)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C3)은 선단부(230)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70)가 형성되는 위치를 단차부(160)에 구비된 지지면(161a)으로 한정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플랫폼(100)의 하판(110)과 상판(120)의 두께(T1, T2)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단차부(160) 및 돌출부(170)를 형성하기 위한 플랫폼(100)의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 거리가(T3)가 협소할 수 있다. 이 때, 단차부(160)의 지지면(161a. 162)이 아닌, 하판(110)의 바닥부(111)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170)를 배치한다면, 상대적으로 협소한 플랫폼(100)의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 거리(T3)에도 불구하고, 도입부(140)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170)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하판(110)의 바닥부(111)에는 제3 돌출부(173) 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3 돌출부(173)의 길이(L4)는 개구부(231)의 직경(D1) 보다 길고 돌출부(174)의 폭(C4)은 선단부(230)에 구비된 개구부(231)의 직경(D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100)의 하판(110)과 단차부(160) 사이에는 하판(110)의 바닥부(11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측면부(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돌출부(173)는 주입부(130)의 중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시료 운반 장치(20)의 선단부(230)를 주입부(130)에 삽입하는 경우, 선단부(230)는 측면부(115)를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단부(230)의 일부는 중심부에 배치된 제3 돌출부(17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입부(130)에 선단부(230)가 삽입되는 위치에 관계 없이 선단부(230)의 일부를 제3 돌출부(173)에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플랫폼(100)의 상판(120)과 하판(110) 사이 거리(T3)가 협소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시료 운반 장치(20)를 시료 검사 장치(10)에 장착 시킬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에서 시료 운반 장치가 주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시료 검사 장치에서 시료 운반 장치가 주입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검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플랫폼(100)의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 거리(T3)가 협소한 시료 검사 장치(10)에는 단차면(160)의 지지면(161a, 162a) 상부에 상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170)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플랫폼(100)의 하판(110)과 상판(120) 두께(T1, T2)가 두꺼운 경우 플랫폼(100)의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 거리(T3)가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돌출부(170)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100)의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 거리(T3)가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시료 검사 장치(10)에 구비된 단차면(160)의 지지면(161a, 162a)에는 홈부(18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단부(230)의 일부가 홈부(180)에 의해 지지되어 개구부(231)가 막히지 않은 채 지지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복수의 홈부(180)는 단차부(160)에 구비된 지지면(161a)에 배치되어 선단부(23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홈부(181)는 제1 단차부(161)에 구비된 제1 지지면(161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홈부(182)는 제2 단차부(162)에 구비된 제2 지지면(162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홈부(181, 182)의 폭(C5)은 선단부(230)의 폭, 일 예로서 선단부(230)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부(231) 직경(D1)을 구비한 시료 운반 장치(20) 또한, 선단부(230)가 홈부(180)에 의해 지지되어 시료 수용부(210)에 수용된 시료를 도입부(14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면(161a)과 마주보도록 시료 운반 장치(20)가 주입부(130)에 삽입되는 경우, 선단부(230)의 일부만이 제1 지지면(16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개구부(231)는 제1 홈부(181)에 의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료 수용부(210)에 수용된 시료는 외부에 노출된 개구부(231)를 통해 도입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면(161a)에 배치되는 홈부(180)를 하나만 형성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면(161a)에는 복수의 제1 홈부(181a, 18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면(162a)에는 복수의 제2 홈부(182a, 18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1 홈부(181a, 181b) 및 복수의 제2 홈부(182a, 182b)는 소정의 간격(C6)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홈부(181a, 181b) 및 복수의 제2 홈부(182a, 182b)은 소정의 폭(L6)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홈부(181a, 181b) 및 복수의 제2 홈부(182a, 182b)의 폭(L6)은 개구부(231)의 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홈부(181a, 181b) 및 복수의 제2 홈부(182a, 182b)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C6)은 개구부(231)의 폭, 일 예로서 개구부(231)의 직경(D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180)가 형성되는 위치를 단차부(160)에 구비된 지지면(161a, 162a)으로 한정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단차부(160)를 형성하기에 플랫폼(100)의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 거리(T3)가 협소한 경우 하판(110)의 바닥부에 하나 이상의 제4 홈부(184)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10)의 바닥부(111)에는 복수의 제1 홈부(184a, 184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복수의 제4 홈부(184a, 184b)는 소정의 폭(L7)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C7)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4 홈부(184a, 184b)의 소정의 폭(L7) 및 제4 홈부(184a, 184b)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C7)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231)의 직경(D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0 : 시료 검사 장치 20 : 시료 운반 장치
100 : 플랫폼 110 : 하판
120 : 상판 130 : 주입부
140 : 도입부 160 : 단차부
170 : 돌출부 180 : 홈부
210 : 시료 수용부 230 : 선단부
231 : 개구부

Claims (18)

  1. 시료 운반 장치가 삽입되는 시료 검사 장치로서,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을 구비하는 플랫폼;
    상기 상판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 운반 장치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도입부;
    상기 도입부에 배치되며,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지지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차부; 및
    상기 지지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는 시료가 주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의 길이가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길고, 상기 돌출부의 폭이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짧은,
    시료 검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의 직경이 상기 선단부의 직경 보다 큰,
    시료 검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폭은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작은,
    시료 검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폭이 상기 개구부의 직경의 절반 이하인,
    시료 검사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간격이 상기 선단부의 직경 보다 짧은,
    시료 검사 장치.
  8. 시료 운반 장치가 삽입되는 시료 검사 장치로서,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을 구비하는 플랫폼;
    상기 상판에 배치되어 상기 시료 운반 장치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도입부;
    상기 도입부에 배치되며,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지지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차부; 및
    상기 지지면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는 시료가 주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홈부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홈부의 길이가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길고, 상기 소정의 간격이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짧은,
    시료 검사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시료 운반 장치의 선단부의 직경 보다 짧은,
    시료 검사 장치.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시료 검사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와 하판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는,
    시료 검사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시료가 주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의 길이가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길고 상기 돌출부의 폭이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짧은,
    시료 검사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판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간격이 상기 선단부의 직경 보다 짧은,
    시료 검사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더 포함하는,
    시료 검사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시료 운반 장치의 선단부의 직경 보다 짧은,
    시료 검사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부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판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선단부는 시료가 주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의 길이가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길고, 상기 소정의 간격이 상기 선단부에 구비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 보다 짧은,
    시료 검사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운반 장치는 파이펫(pipette)인,
    시료 검사 장치.
KR1020150040959A 2015-03-24 2015-03-24 시료 검사 장치 KR10247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59A KR102473981B1 (ko) 2015-03-24 2015-03-24 시료 검사 장치
US14/876,171 US10006926B2 (en) 2015-03-24 2015-10-06 Specimen inspection apparatus
EP15886585.7A EP3274095A4 (en) 2015-03-24 2015-10-16 Specimen inspection apparatus
PCT/KR2015/010966 WO2016153138A1 (en) 2015-03-24 2015-10-16 Specimen insp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59A KR102473981B1 (ko) 2015-03-24 2015-03-24 시료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44A KR20160114444A (ko) 2016-10-05
KR102473981B1 true KR102473981B1 (ko) 2022-12-05

Family

ID=5697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959A KR102473981B1 (ko) 2015-03-24 2015-03-24 시료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06926B2 (ko)
EP (1) EP3274095A4 (ko)
KR (1) KR102473981B1 (ko)
WO (1) WO201615313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6059A1 (en) 2002-01-31 2005-08-11 Pal Andrew A. Bio-safe dispenser and optical analysis disc assembly
JP2008076274A (ja) 2006-09-22 2008-04-03 Fujifilm Corp 液体吸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4348B2 (en) 2002-07-26 2007-05-08 Applera Corporation Microfluidic size-exclus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8277753B2 (en) 2002-08-23 2012-10-02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icrofluidic transfer pin
DE10313201A1 (de) 2003-03-21 2004-10-07 Steag Microparts Gmbh Mikrostrukturierte Trennvorrichtung und mikrofluidisches Verfahren zum Abtrennen von flüssigen Bestandteilen aus einer Flüssigkeit, die Partikel enthält
KR101390717B1 (ko) * 2008-09-02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유동장치 및 미세유동장치에의 시료주입방법
WO2011120024A1 (en) * 2010-03-25 2011-09-29 Quantalife, Inc. Droplet generation for droplet-based assays
KR20100102781A (ko) * 2009-03-12 2010-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심력 기반 미세유동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0116856A1 (ja) 2009-03-30 2010-10-14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マイクロチップ
TW201207392A (en) * 2010-08-02 2012-02-16 Univ Nat Taiwan Disk-based fluid sample separation device
WO2012137506A1 (ja) * 2011-04-08 2012-10-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診断キット及び診断方法
JPWO2012160923A1 (ja) 2011-05-23 2014-07-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反応進行装置、交換製品及び交換製品の製造方法
WO2014078100A1 (en) 2012-11-02 2014-05-22 Advanced Liquid Logic, Inc. Mechanisms for and methods of loading a droplet actuator with filler fluid
KR102103950B1 (ko) * 2013-06-19 2020-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체 분석 카트리지
KR20160018200A (ko) 2014-08-08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유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6059A1 (en) 2002-01-31 2005-08-11 Pal Andrew A. Bio-safe dispenser and optical analysis disc assembly
JP2008076274A (ja) 2006-09-22 2008-04-03 Fujifilm Corp 液体吸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44A (ko) 2016-10-05
WO2016153138A1 (en) 2016-09-29
US10006926B2 (en) 2018-06-26
EP3274095A4 (en) 2018-02-21
EP3274095A1 (en) 2018-01-31
US20160282372A1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0286B2 (ja) スペーサによって分離された個別液体体積の配列を供給するためのマイクロ流体プローブ・ヘッド
US10926258B2 (en) Microfluidic probe head for processing a sequence of liquid volumes separated by spacers
US9457504B2 (en) Column filter retainer connector with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biocompatible fluid passageway
CN108431603B (zh) 流体限位器筒式组件及其使用方法
US20190022640A1 (en) Vertical microfluidic probe head with large scale surface processing apertures
JP6780338B2 (ja) ピペットチップとそのピペットチップに装着されるノズルとの連結構造
JP6636686B2 (ja) 流体取扱装置の取扱方法
US20160318014A1 (en) Thin walled pipette tip
EP3261762B1 (en) A sample receptacle, sampl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EP1752759A1 (en) Photometric in plane detection using a rotatable disc
KR102473981B1 (ko) 시료 검사 장치
EP2788823B1 (en) Capillary flow control system for fluid indicator
EP3358334A1 (en) Pipette tip and liquid injection method
US20160288504A1 (en) Fluid ejection device for depositing a discrete quantity of fluid onto a surface
US20220105506A1 (en) Fluid-handling system and cartridge
US20210370302A1 (en) Fluid handling method, fluid handling device used in same, and fluid handling system
JP5549361B2 (ja) マイクロ流路デバイス
KR20160112282A (ko) 흡입 노즐
KR101622367B1 (ko) 균등 분배 주입 모듈
JP2024051731A (ja) マイクロ流路デバイス
US20230201820A1 (en) Container and liquid handling device
US20210016285A1 (en) Method Of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A Volume Of Fluid
US5687769A (en) Configurable port assembly
KR20170112414A (ko) 자석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118779A (ja) 流体の吐出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