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577B1 - Construction joint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j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577B1
KR102473577B1 KR1020200116538A KR20200116538A KR102473577B1 KR 102473577 B1 KR102473577 B1 KR 102473577B1 KR 1020200116538 A KR1020200116538 A KR 1020200116538A KR 20200116538 A KR20200116538 A KR 20200116538A KR 102473577 B1 KR102473577 B1 KR 102473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plate
joint
expansion joi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4325A (en
Inventor
유식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도티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도티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도티씨에스
Priority to KR102020011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577B1/en
Publication of KR2022003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5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04B1/6804Joint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06Methods of making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 E01C23/098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with preformed elements, e.g. joint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7Expansion elements for parts cast in situ

Abstract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을 분할하는 판 형태의 신축줄눈대와, 상기 신축줄눈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줄눈대의 매설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신축줄눈대 상부에 결합하는 제1 하부 플레이트와, 일면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와 결합된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계선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또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2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시공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A plate-shaped expansion joint that divides the floor during concrete pouring, a height adjusting unit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pansion joint and adjusts the buried height of the expansion joint, and a first lower plate coupled to the top of the expansion joint, , a second lower plate coupled to the first lower plate by a coupling member such that one surface faces the one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a first upper plate coupled to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struction joint including two upper plates in which a boundary line in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plate is formed on the first lower plate or the second lower plate.

Description

시공 조인트 {CONSTRUCTION JOINT} Construction joint {CONSTRUCTION JOINT}

본 발명은 시공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온도 변화에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신축작용시 균열을 예방할 수 있는 시공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joi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joint capable of preventing cracks dur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in response to external temperature changes.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의 콘크리트 구조체인 도로나 지하/지상 주차장 바닥을 여러 조각으로 가름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작용 또는 부등침하나 진동에 의한 균열을 저감시키는, 즉 구조체의 신축작용 흡수와 균열 진행을 유도 또는 중단시키게 하는 인위적인 균열 저감구조가 사용되고 있다.By dividing the floor of a road or underground/ground parking lot, which is a concrete structure in civil engineering or building structures, into several pieces, it reduces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or cracks caused by differential settlement or vibration, that is, absorption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tructure and crack propagation. Artificial crack reduction structures that can be induced or stopped are used.

그러한 균열 저감구조는 대략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생 후 또는 양생 전 건식이나 습식공정으로 시공되고 있는데, 전자 건식에서는 양생이 완료된 구조체의 표면에 소정의 컷팅공정을 통해 골형의 신축 줄눈을 구비하여 주입 또는 삽입방식에 의해 탄력적인 소재의 신축 줄눈재가 설치되고, 후자의 습식에서는 구조체의 양생 전에 매몰방식으로 신축 줄눈대가 설치되고 있다.Such a crack reduction structure is constructed in a dry or wet process after curing or before curing the concrete structure. By this, the expansion joint material of elastic material is installed, and in the latter wet type, the expansion joint is installed in a buried manner before curing the structure.

이러한 균열 저감구조에서 습식 신축 줄눈대의 경우를 보면, 구조체의 기저층 상에 상면이 개구되는 채널형의 신축 줄눈대를 격자 상으로 배치한 후, 그 신축 줄눈대의 높이 기준으로 마감층이 타설되어 양생과정에서 구조체가 여러 조각의 분할구조체로 가름되는 것으로 구조체의 균열을 예방하게 된다.In the case of wet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s in this crack reduction structure, after arranging a channel-type expansion joint with an open upper surface on the base layer of the structure in a lattice form, the finishing layer is poured based on the height of the expansion joint to achieve curing process In , the structure is divided into several pieces of divided structure to prevent cracking of the structure.

그런데 이러한 신축 줄눈대를 이용한 균열 저감구조에서 상면이 개구된 신축 줄눈대는 외부 충격에 취약해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하고, 개구된 상면을 통하여 이물질의 유입 또는 우수나 생활오수 등의 폐수 고임 현상이 일어나 악취발생의 주요인 되어 주기적으로 청소시키어야 하는 유지관리에 불편이 따를 뿐 아니라, 신축 줄눈대의 홈이 외부로 노출되어 구조체의 외관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crack reduction structure using such an expansion joint, the expansion joint with an open upper surface is vulnerable to external shock and is structurally unstable, and foreign substances flow in or wastewater such as rainwater or domestic sewage accumulates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resulting in an odor. Not only is it inconvenient for maintenance that needs to be cleaned periodically as it is the main cause of occurrence, but also the grooves of the expansion joints are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lowers the appearance of the structure.

또 신축 출눈대 내에 이물질의 유입 또는 폐수의 고임 현상방지와, 신축작용에 대응하는 완충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있다. 근래에는 이물질 유입 차단과 폐수의 고임 방지를 위한 균열 저감구조 이외 비 연속적인 구조체인 교량에서 이물질이나 유수의 유입방지를 위한 신축이음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된다.In addition, a buffer material is additionally provided to prevent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accumulation of wastewater i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tand, and to correspond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In recent years, expansion joint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running water in bridges, which are non-continuous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crack reduction structure for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wastewater.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구조체에서의 인접 분할구조체들 각기에 "ㄱ"자 형으로 이루어 상면의 내측 단이 상호암수의 결합을 이루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들이 상호 대향 배치되고, 이 수직플레이트들 각기의 상면 하부에서 어느 하나는 수형의 이물질차단 플레이트와 다른 하나는 수형의 이물질차단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암형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이들이 상호 암수의 형합관계를 가지고 신축이음장치의 상면이 상시 폐쇄상태를 유지하면서 구조체 인접 분할구조체들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작용이 흡수되게 하여서 이물질의 유입이나 폐수의 고임 현상이 방지되게 하고 있다.In this expansion joint device, a pair of vertical plates formed in a "L" shape on each of the adjacent division structures in the structure and the inner end of the upper surface forming a mutually male and female coupling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vertical plates In the lower part, one is provided with a male foreign matter blocking plate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female sliding plate in which the male foreign matter blocking plate is accommodated, so that they have a male-femal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joint maintains a closed state at all times. By absorb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adjacent divide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the accumulation of wastewater is prevented.

그런데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주로 교량, 즉 비 연속적인 분할구조체(교량 상판)로 이루는 구조체에 시공되어 그 분할구조체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 또는 유수나 폐수의 유입이 방지되게 하고 있는 것이나, 이는 교량구조체에 적합하며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가 따르고 있는 것이다.However, these expansion joints are mainly constructed on bridges, that is, on structures made up of non-continuous split structures (bridge decks)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runoff or wastewater into gaps between the split structures. It is suitable and structurally complex problems follow.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상기에서의 비 연속적인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같이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의 연속적 구조체인 바닥에서 이물질의 유입이나 폐수의 고임 현상이 방지되게 하는 균열 저감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crack reducing structure that prevent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the accumulation of wastewater on the floor, which is a continuous structure of civil engineering or building structures, such as the non-continuous bridge expansion joint described above.

선행문헌 : 한국등록특허공보 10-1206011Prior literature: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06011

선행문헌은,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줄눈 형성시 줄눈재틀을 설치하여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줄눈재틀의 높이를 기준으로 콘크리트 슬라브를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타설 높이를 별도로 정하지 않고도 시공할 수 있으며, 줄눈재틀을 기준으로 폴리머 포장용 콘크리트를 시공함으로써 포장 두께를 박층 으로 균일하게 포장할 수 있는, 줄눈재틀을 이용하여 줄눈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In the prior literature, the workability of the concrete pavement can be improved by installing and constructing the joint frame when forming the joint of the concrete pavement, and by constructing the concrete slab based on the height of the joint frame, the height of the concrete pavement is not separately determin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pavement road using a joint frame, which can be constructed without a joint frame, and which can uniformly pave the pavement thickness in a thin layer by constructing polymer pavement concrete based on the joint frame, is disclosed.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균열 저감구조를 갖는 시공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joint having an adjustable height and an efficient crack reduction structure.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을 분할하는 판 형태의 신축줄눈대와, 상기 신축줄눈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줄눈대의 매설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신축줄눈대 상부에 결합하는 제1 하부 플레이트와, 일면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와 결합된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계선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또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2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시공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A plate-shaped expansion joint that divides the floor during concrete pouring, a height adjusting unit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pansion joint and adjusts the buried height of the expansion joint, and a first lower plate coupled to the top of the expansion joint, , a second lower plate coupled to the first lower plate by a coupling member such that one surface faces the one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a first upper plate coupled to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struction joint including two upper plates in which a boundary line in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plate is formed on the first lower plate or the second lower plate.

상기 신축줄눈대 및 높이 조절부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높이 조절홈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홈에 끼워지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신축줄눈대와 높이 조절부가 고정될 수 있다. Height adjustment grooves for mutual coupling are formed in the expansion joints and height adjustment units, and the expansion joints and height adjustment units may be fixed by fastening means fit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s.

상기 높이 조절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홈일 수 있다.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may be one groov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대향하는 일면과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may include upper surface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pposing surfaces.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 및 제2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각각 용접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plate and the second upper plate may be welded to upper surfaces of the first lower plate and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lower plate, respectively.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대향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터드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may further include stud bolts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상기 시공 조인트는, 상기 신축줄눈대의 좌우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다우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은, 상기 시공 조인트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다우웰 및 상기 시공 조인트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다우웰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struction joint may further include a plate dowwell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expansion joint, wherein the plate dowwell includes a first plate dowwell formed in an upper region based on a center of a height of the construction joint and the A second plate dowwell formed in a lower reg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construction joint may be included.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제2 상부 플레이트의 경계선은 곡선일 수 있다. A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upper plate and the second upper plate may be curved.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균열 저감구조를 갖는 시공 조인트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nstruction joint having an adjustable height and an efficient crack reduc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다른 시공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struct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struction jo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and (b)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struct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struction joi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100)는, 신축 줄눈대(110), 높이 조절부(120), 하부 플레이트(131, 132) 및 상부 플레이트(141,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100)는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을 분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시공 조인트(100)는 콘크리트 타설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공 조인트(100)는 타설된 콘크리트 바닥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시공 조인트의 상부와 콘크리트 바닥면은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construction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expansion joint 110, a height adjusting unit 120, lower plates 131 and 132, and upper plates 141 and 142. . The construction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serve to divide the floor during concrete pouring. In this embodiment, the construction joint 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rea A and the second area B where concrete is poured. The construction joint 100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poured concrete floor. That is, the top of the construction join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plane.

신축 줄눈대(110)는, 콘크리트 타설시 영역을 분할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신축 줄눈대(110)는 콘크리트 바닥의 마감층을 여러 구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신축 줄눈대(110)는 타설된 콘크리트 바닥을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신축 줄눈대(110)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xpansion joint joint 1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at divides an area during concrete pouring. The expansion join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divide the finishing layer of the concrete floor into several compartments. In this embodiment, the expansion joint 110 can divide the poured concrete floor into a first area (A) and a second area (B). The expansion joint 1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높이 조절부(120)는 상기 신축 줄눈대(110)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 줄눈대의 매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120)와 신축 줄눈대는 별도의 결합수단(19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120)는 상기 신축 줄눈대(110)와 접하는 일면과 상기일면과 수직으로 절곡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면을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 안정성과 취급상 안전을 위해 바닥면과 수직으로 절곡된 면을 추가하여 ㄷ자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수단(190)은 볼트와 너트, 혹은 리벳 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부(120)에서 상기 신축 줄눈대(110)와 접하는 일면 및 신축 줄눈대(110)에 각각 높이 조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홈은 독립된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일정 높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홈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홈일 수 있으며, 이 때 높이조절을 위해서 원하는 높이만큼 상기 높이조절부(120)를 이동시킨 후 상기 높이 조절 홈에 결합수단(190)을 결합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120)와 신축 줄눈대(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조절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시공 조인트(100)의 시공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pansion joint 110 and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expansion joint.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and the elastic joints may be connected by a separate coupling means 190.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joint 110 and a surface that is bent perpendicularly to the one surface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For structural stability and safety in handling, it may be implemented in a U-shape by adding a surface bent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The connecting means 190 may be bolts and nuts, or rivets. In this embodiment, height adjustment grooves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elastic joint 110 in contact with the elastic joint 110 in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respectively.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dependent grooves to adjust a predetermined height.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may be a groove formed vertically and long. In this case, after mov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120 by a desired height for height adjustment, coupling means 190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to adjust the height. It is possible to fix the part 120 and the elastic joint 110. As suc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is formed so that the construction height of the construction joint 100 can be freely changed.

상기 신축 줄눈대(110)의 상부에는 제1 하부 플레이트(13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신축줄눈대(110)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거나 용접을 통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축 줄눈대(110)와 제1 하부 플레이트(1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축 줄눈대(110)의 상부에 굴절부 및 평탄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가 신축 줄눈대(110)의 상부에 거치된 형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는 신축 줄눈대(110)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면을 갖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 first lower plate 131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xpansion joint 110. The coupling of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expansion joint 110 may be firmly coupled using bolts and nuts or by welding. The expansion joint 110 and the first lower plate 131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embodiment, by forming a bent part and a flat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expansion joint 110, the first lower plate 131 can be joined by welding in a form mounted on the top of the expansion joint 110 . The first lower plate 131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bent to have a first surfac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110 and a second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제2 하부 플레이트(132)는 일면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제1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부재(180)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이고,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132)는 신축 줄눈대(110)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면을 갖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시공 조인트(100)가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수축할 때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접하고 있는 서로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를 결합하는 결합부재(180)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에 양방향으로 소정의 인장력이 가해지면 파단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The second lower plate 13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ower plate by a coupling member 180 such that one surface faces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131 .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ower plate 132 may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lower plate 131 . The second lower plate 132 may be implemented in a bent form to have a first sur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110 and a second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When the concrete structure to which the construction joint 100 is constructed contracts according to a change in external temperature,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may move integrally with the concrete structures of different reg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this end, the coupling member 180 coupling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applies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to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in both directions. Materials that can break when applied may be used.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에는 각각 스터드 볼트(151, 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151, 152)는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151, 152)는 각각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100)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시 상기 스터드 볼트(151, 152)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신축 줄눈대에 의해 분할되는 제1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는 제1 스터드 볼트(151)가 매립되고 제2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는 제2 스터드 볼트(152)가 매립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스터드 볼트가 매립됨으로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는 각각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있다. Stud bolts 151 and 152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 The stud bolts 151 and 152 may be formed to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are coupled. The stud bolts 151 and 15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 respectively. When the construction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concrete structure, the stud bolts 151 and 152 may b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That is, the first stud bolts 151 may b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divided by the expansion joints, and the second stud bolts 152 may b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second region. As the stud bolts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in different areas,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with the concrete structures in different areas can be increased.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 형태에서, 각 하부 플레이트의 제2 면에 상부 플레이트(141, 142)가 결합될 수 있다.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ar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the upper plates 141 and 14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of each lower plate.

제1 상부 플레이트(141)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132)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결합은 용접 이외에도 암수 형태의 결합부를 적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동일한 두께를 갖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경계선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또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시공시에는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서로 접하는 형태로 구현되나, 외부 온도변화에 따라 콘크리트가 수축하면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가 서로 이격되고,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도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plate 14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ower plate 131 ,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lower plate 132 .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may be coupled by welding. In addition to weld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may be coupled by applying a male and female coupling part.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may have the same thickness and different areas.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are formed such that en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boundary line contacting each other may be formed on the first lower plate or the second lower plate. During construction,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are implemen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when the concrete shrinks according to the change in external temperature,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coupled to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respectively, may also be spaced apart.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14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100)의 최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시공 조인트(100)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시공되었을 때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are formed on the top of the construction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when the construction joint 100 is constructed in a concrete structure,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urface as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분할된 콘크리트 영역이 수축하게 되면 각 콘크리트 영역에 접해있는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에는 양 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고,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를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재(180)는 파단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면이 서로 접해있던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는 접해있던 면이 이격되어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생긴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 사이의 이격공간에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상부 플레이트(14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42)로 각각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를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가 이격되면, 각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도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 사이에 생긴 이격 공간이 하부에 생긴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 사이의 이격공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가 접하는 경계선은 제1 하부 플레이트(131) 상부 혹은 제2 하부 플레이트(132) 상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divided concrete areas contract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change,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both directions in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concrete area, and the first lower plate 131 The coupling member 180 coupling the second lower plate 132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may be broken. In this case,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the first surfaces of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gap may occur between them. In order to preven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are used to preven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respectively. It may be formed to cover the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 When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are spaced apart,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coupled to each lower plate may also be spaced apart. Therefore, the separation space created between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does not overlap with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lower plate 1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132 formed at the bottom. formation is preferred. Accordingly, the boundary line where the first upper plate 1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come into contact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lower plate 131 or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lower plate 132 .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100)는 신축 줄눈대(110)의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다우웰(161, 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다우웰(161, 162)는 신축 줄눈대(110)의 양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의 판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M자 형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161, 162)은 상기 시공 조인트(100)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시공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시공 조인트(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 응력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는 조인트(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는 좌우로 벌어진 콘크리트 바닥의 하중 차이에 의해 전단력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전단응력을 플레이트 다우웰이 받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plate dowels 161 and 162 formed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110 . The plate dowels 161 and 162 extend in both directions of the expansion joint 110 and may have a plat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ate shape of the plate dowwell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triangular, rectangular, and M-shaped. The plate dowels 161 and 162 may serve to transfer a load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to the construction joint 100 when the construction joint 100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joint (upper plate and lower plate) widene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shrinkage stress of the concrete structure generates shear force due to the load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oncrete floors, and the plate dowwell can play a role in receiving this shear stress.

본 실시형태에서 플레이트 다우웰은 2열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시공 조인트(100)의 전체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다우웰(161)과 시공 조인트(100) 전체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다우웰(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은 신축 줄눈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플레이트 다우웰(161) 및 제2 플레이트 다우웰(162)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late dowels can be formed in a two-row structure. That is, the first plate dowel 161 formed in the upper reg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total height of the construction joint 100 and the second plate dow well 161 formed in the lower reg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total height of the construction joint 100 Well 162 may be included. The plate dowels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110. In this case, the first plate dowwell 161 and the second plate dowwell 162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struction join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는, 신축 줄눈대(210), 높이 조절부(220), 하부 플레이트(231, 232) 및 상부 플레이트(241, 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는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을 분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시공 조인트(200)는 타설된 콘크리트 바닥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시공 조인트의 상부와 콘크리트 바닥면은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struction joi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expansion joint 210, a height adjusting unit 220, lower plates 231 and 232, and upper plates 241 and 242. can The construction joi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serve to divide the floor during concrete pouring. The construction joint 200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poured concrete floor. That is, the top of the construction join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plane.

신축 줄눈대(210)는, 콘크리트 타설시 영역을 분할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신축 줄눈대(210)는 콘크리트 바닥의 마감층을 여러 구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신축 줄눈대(210)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xpansion joint joint 2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dividing an area during concrete pouring. The expansion join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divide the finishing layer of the concrete floor into several compartments. The expansion joint 2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높이 조절부(220)는 상기 신축 줄눈대(210)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 줄눈대의 매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220)와 신축 줄눈대는 별도의 결합수단(29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220)는 상기 신축 줄눈대(210)와 접하는 일면과 상기일면과 수직으로 절곡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면을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 안정성과 취급상 안전을 위해 바닥면과 수직으로 절곡된 면을 추가하여 ㄷ자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수단(290)은 볼트와 너트, 혹은 리벳 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부(220)에서 상기 신축 줄눈대(210)와 접하는 일면 및 신축 줄눈대(210)에 각각 높이 조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홈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홈일 수 있으며, 이 때 높이조절을 위해서 원하는 높이만큼 상기 높이조절부(220)를 이동시킨 후 상기 높이 조절 홈에 결합수단(290)을 결합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220)와 신축 줄눈대(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조절부(2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시공 조인트(200)의 시공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The height adjusting unit 2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pansion joint 210 and can adjust the buried height of the expansion joint. The height adjusting unit 220 and the elastic joints may be connected by a separate coupling means 290.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adjusting unit 22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joint 210 and a surface that is bent perpendicularly to the one surface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For structural stability and safety in handling, it may be implemented in a U-shape by adding a surface bent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The coupling means 290 may be bolts and nuts, or rivets. In this embodiment, height adjustment grooves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elastic joint 210 in contact with the elastic joint 210 in the height adjusting unit 220,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may be a groove formed vertically and long. At this time, after mov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220 by a desired height for height adjustment, coupling means 290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The height adjusting unit 220 and the elastic joint 210 may be fixed. As suc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adjusting unit 220 is formed so that the construction height of the construction joint 200 can be freely changed.

상기 신축 줄눈대(210)의 상부에는 제1 하부 플레이트(23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신축줄눈대(210)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거나 용접을 통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축 줄눈대(210)와 제1 하부 플레이트(2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축 줄눈대(210)의 상부에 굴절부 및 평탄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가 신축 줄눈대(210)의 상부에 거치된 형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는 신축 줄눈대(210)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면을 갖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 first lower plate 231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xpansion joint 210. The coupling of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expansion joint 210 may be firmly coupled using bolts and nuts or by welding. The expansion joint 210 and the first lower plate 231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embodiment, by forming a bent part and a flat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expansion joint 210, the first lower plate 231 can be joined by welding in a form mounted on the top of the expansion joint 210 . The first lower plate 231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bent to have a first surfac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210 and a second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제2 하부 플레이트(232)는 일면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의 제1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부재(280)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232)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이고,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232)는 신축 줄눈대(210)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면을 갖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시공 조인트(200)가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수축할 때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접하고 있는 서로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를 결합하는 결합부재(280)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에 양방향으로 소정의 인장력이 가해지면 파단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The second lower plate 23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ower plate by a coupling member 280 such that one surface faces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231 .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ower plate 232 may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lower plate 231 . The second lower plate 23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bent to have a first sur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210 and a second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When the concrete structure to which the construction joint 200 is constructed contracts according to a change in external temperature,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may move integrally with the concrete structures of different reg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this end, the coupling member 280 coupling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applies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to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in both directions. Materials that can break when applied may be used.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232)에는 각각 스터드 볼트(251, 2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251, 252)는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251, 252)는 각각 제1 하부 플레이트(2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2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시 상기 스터드 볼트(251, 252)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신축 줄눈대에 의해 분할되는 제1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는 제1 스터드 볼트(251)가 매립되고 제2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는 제2 스터드 볼트(252)가 매립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스터드 볼트가 매립됨으로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는 각각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있다. Stud bolts 251 and 252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 The stud bolts 251 and 252 may be formed to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are coupled. The stud bolts 251 and 25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 respectively. When the construction joi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concrete structure, the stud bolts 251 and 252 may b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That is, the first stud bolts 251 may b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divided by the expansion joints, and the second stud bolts 252 may b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second region. As the stud bolts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in different areas,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can increase their bonding strength with the concrete structures in different areas.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 형태에서, 각 하부 플레이트의 제2 면에 상부 플레이트(241, 242)가 결합될 수 있다.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ar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the upper plates 241 and 24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of each lower plate.

제1 상부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상부 플레이트(242)는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232)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결합은 용접 이외에도 암수 형태의 결합부를 적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는 동일한 두께를 갖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는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경계선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또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가 접하는 형태는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시공시에는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는 서로 접하는 형태로 구현되나, 외부 온도변화에 따라 콘크리트가 수축하면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가 서로 이격되고,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도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plate 24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ower plate 231 ,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lower plate 232 .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may be coupled by welding. In addition to weld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may be coupled by applying a male and female coupling part.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may have the same thickness and different areas.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are formed such that en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boundary line contacting each other may be formed on the first lower plate or the second lower plat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may be formed to form a curved shap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are implemented in a form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when the concrete shrinks according to the change in external temperature,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coupled to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respectively, may also be spaced apart.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24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의 최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시공 조인트(200)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시공되었을 때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are formed on top of the construction joi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when the construction joint 200 is constructed in a concrete structure,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14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urface as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분할된 콘크리트 영역이 수축하게 되면 각 콘크리트 영역에 접해있는 제1 하부 플레이트(2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232)에는 양 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고,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를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재(280)는 파단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면이 서로 접해있던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는 접해있던 면이 이격되어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생긴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 사이의 이격공간에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상부 플레이트(24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242)로 각각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를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가 이격되면, 각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도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 사이에 생긴 이격 공간이 하부에 생긴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 사이의 이격공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가 접하는 경계선은 제1 하부 플레이트(231) 상부 혹은 제2 하부 플레이트(232) 상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divided concrete areas contract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change,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both directions in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concrete area, and the first lower plate 231 The coupling member 280 coupling the second lower plate 232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may be broken. In this case,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the first surfaces of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gap may occur between them. In order to prevent water o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are used to preven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It may be formed to cover the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 When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are spaced apart,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coupled to each lower plate may also be spaced apart. Therefore, the separation space created between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does not overlap with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lower plate 231 and the second lower plate 232 formed at the bottom. formation is preferred. Accordingly, the boundary line where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come into contact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lower plate 231 or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lower plate 232 .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 사이의 접선은 곡선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의 접선을 곡선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 변화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 사이에 발생한 이격공간은 무거운 지게차나 화물차의 하중에 의한 파손을 줄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angent line between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may be implemented in a curved shape. As such, by implementing the tangent line between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in a curved shape, the occurrence between the first upper plate 2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242 occur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changes. The separation space can reduce damage caused by the load of a heavy forklift or truck.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는 신축 줄눈대(210)의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다우웰(261, 2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다우웰(261, 262)는 신축 줄눈대(210)의 양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의 판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M자 형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261, 262)은 상기 시공 조인트(200)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시공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시공 조인트(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 응력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는 조인트(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는 좌우로 벌어진 콘크리트 바닥의 하중 차이에 의해 전단력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전단응력을 플레이트 다우웰이 받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joi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plate dowels 261 and 262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210 . The plate dowels 261 and 262 extend in both directions of the expansion joint 210 and may have a plat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ate shape of the plate dowwell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triangular, rectangular, and M-shaped. The plate dowels 261 and 262 may serve to transfer a load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to the construction joint 200 when the construction joint 200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joint (upper plate and lower plate) widene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shrinkage stress of the concrete structure generates shear force due to the load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oncrete floors, and the plate dowwell can play a role in receiving this shear stress.

본 실시형태에서 플레이트 다우웰은 2열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시공 조인트(200)의 전체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다우웰(261)과 시공 조인트(200) 전체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다우웰(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은 신축 줄눈대(2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플레이트 다우웰(261) 및 제2 플레이트 다우웰(262)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late dowels can be formed in a two-row structure. That is, the first plate dowel 261 formed in the upper reg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total height of the construction joint 200 and the second plate dow well 261 formed in the lower reg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total height of the construction joint 200 well 262 . The plate dowels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210. In this case, the first plate dowels 261 and the second plate dowwells 262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a) and (b)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struct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조인트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시공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이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작용을 일으키기 이전의 모습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의 상부면인 제1 상부 플레이트(34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34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Figure 3 (a) is a state before the construction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concrete structure causes a contraction ac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The first upper plate 341 and the second upper plate 342, which are the upper surfaces of the construction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urface as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도 3의 (b)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온도 변화에 의한 신축작용이 신축 줄눈대의 우측에서 일어날 때의 도면이다. 도 3의 (b)의 경우는 신축 줄눈대310) 우측에 위치한 콘크리트 영역(B)이 수축하므로 상기 콘크리트 영역과 접하고 있는 제2 하부 플레이트(332) 및 제2 상부 플레이트(34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제2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있던 결합부재(380)는 파단될 수 있다. Figure 3 (b) is a view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due to temperature change occurs on the right side of the expansion joint. In the case of (b) of FIG. 3, since the concrete area (B)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expansion joint 310 is contracted, the second lower plate 332 and the second upper plate 342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area move to the right. will do 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380 coupling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may be broke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각 부분의 결합구조, 결합수단, 스터드 볼트 및 플레이트 다우웰의 형태 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changed.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coupling structure, coupling means, stud bolt and plate dowwell of each par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These modified implement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신축줄눈대 120 : 높이조절부
131, 132 : 하부 플레이트 141, 142 : 상부 플레이트
151 ,152 : 스터드 볼트 161, 162 : 플레이트 다우웰
110: expansion joint 120: height adjustment unit
131, 132: lower plate 141, 142: upper plate
151, 152: stud bolts 161, 162: plate dowel

Claims (9)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을 세로로 분할하는 판 형태이며 상부영역에 평탄부가 형성된 신축줄눈대;
상기 신축줄눈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줄눈대의 매설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신축줄눈대 상부의 평탄부에 거치되며, 상기 신축줄눈대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면을 갖도록 절곡된 형태의 제1 하부 플레이트;
상기 신축줄눈대 상부의 평탄부에 거치되며, 상기 신축줄눈대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면을 갖도록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제1면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제1면과 접하여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제1면 및 제2 하부 플레이트의 제1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와 제2 하부플레이트를 결합하며, 소정의 인장력에 의해 파단 가능한 결합부재;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의 제2면에 결합된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의 제2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계선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또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2 상부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시공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신축줄눈대의 좌우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다우웰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은, 상기 시공 조인트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다우웰, 및 상기 시공 조인트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다우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다우웰과 제2 플레이트 다우웰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조인트.
An expansion joint in the form of a plate that divides the floor vertically during concrete pouring and has a flat part formed in the upper area;
A height control uni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pansion joint and adjusting the buried height of the expansion joint;
The first lower plate is mounted on the flat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expansion joint and is bent to have a first surfac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and a second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
It is mounted on the flat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expansion joint, and has a shape bent to have a first surfac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xpansion joint and a second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a second lower plat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lower plate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a coupl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lower plate to couple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and is breakable by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a first upper plate coupled to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and
A second upper plate coupled to a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lower plate and having a boundary line contacting the first upper plate formed on the first lower plate or the second lower plate
In the construction joint comprising a,
Further comprising a plate dowel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expansion joint,
The plate dowwell includes a first plate dowwell formed in an upper region based on the middle of the construction joint height, and a second plate dowwell formed in a lower region based on the middle of the construction joint height, The construction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late dowwell and the second plate dowwell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줄눈대 및 높이 조절부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높이 조절홈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홈에 끼워지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신축줄눈대와 높이 조절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According to claim 1,
Height adjustment grooves for mutual coupling are formed in the expansion joint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A construction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ansion joint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are fixed by a fastening means fit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According to claim 2,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is a construction joint, characterized in that one groov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제2면 및 제2 하부 플레이트의 제2면에 각각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According to claim 1,
The construction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upper plate and the second upper plate are weld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lower plat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대향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터드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wer plate,
A construction j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tud bolts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제2 상부 플레이트의 경계선은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According to claim 1,
The construction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undary line of the first upper plate and the second upper plate is a curve.
KR1020200116538A 2020-09-11 2020-09-11 Construction joint KR1024735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38A KR102473577B1 (en) 2020-09-11 2020-09-11 Construction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38A KR102473577B1 (en) 2020-09-11 2020-09-11 Construction j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25A KR20220034325A (en) 2022-03-18
KR102473577B1 true KR102473577B1 (en) 2022-12-05

Family

ID=8093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538A KR102473577B1 (en) 2020-09-11 2020-09-11 Construction j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5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8902B (en) * 2022-07-12 2023-09-08 福建九鼎建设集团有限公司 Concrete expansion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43B2 (en) * 1992-06-12 1996-01-31 元之助 新井 Road joint expansion device
KR102033364B1 (en) * 2017-10-25 2019-10-17 서문건설 주식회사 crack reducing device of concret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25A (en)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16574A (en) Road expansion joint
RU2407847C2 (en) Method for arrangement of road surfaces from concrete boards
US3363522A (en) Expansion joint
US20060140721A1 (en) Plate concrete dowel system
KR101533984B1 (en) A waterproof and preventing dust intrusion type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ng method of expansion joint
JP2007138467A (en) Load bearing type expansion device of elevated roa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3358568A (en) Elastomer seal strips for moving joints
KR102473577B1 (en) Construction joint
US20130101350A1 (en) Precast concrete slabs and related systems, methods of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US3862810A (en) Multidirectional elastomeric expansion joint
KR100862276B1 (en) Expansion joint device construction work method
KR101280988B1 (en) Slide and elasticity type expansion joint devic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3273473A (en) Road expansion joint
EP0168205B1 (en) Screed rails
KR100884780B1 (en) A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842997B1 (en) Pavement Structure and Method of Car Load using Blocks
KR102042090B1 (en) Abutment integrated with H-pile in integral abutment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555364B1 (en) Bearing system for bridg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reof
RU2243316C1 (en) Cast-in-place two-layered reinforced concrete panel
KR101207914B1 (en) Temporary bridge equipped with connecting apparatus of moment
JP3172036U (en) Seal structure of bridge cover
KR101088689B1 (en) Prefabricated extension sidewalk for slope
JP2017125394A (en) Precast concrete structure joint structure and precast concrete member
JP2010261178A (en) Universal joint type expansion joint, expansion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universal joint type expansion joint, and method of constructing expansion device
JP2023182214A (en) roa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