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400B1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400B1
KR102473400B1 KR1020160012105A KR20160012105A KR102473400B1 KR 102473400 B1 KR102473400 B1 KR 102473400B1 KR 1020160012105 A KR1020160012105 A KR 1020160012105A KR 20160012105 A KR20160012105 A KR 20160012105A KR 102473400 B1 KR102473400 B1 KR 10247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heet
strip
reflective shee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290A (ko
Inventor
신종영
이의형
김은석
정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400B1/ko
Priority to CN201710060866.5A priority patent/CN107024799B/zh
Priority to US15/416,089 priority patent/US10254585B2/en
Priority to EP17153974.5A priority patent/EP3200018B1/en
Publication of KR2017009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닥면(bottom area)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된 측벽면(sidewall area)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며, 복수의 광원을 실장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전면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스트립 영역(strip area)이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반사율이 적어도 다른 영역의 반사율과 다른 반사시트; 및 상기 반사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광학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시트에 스트립 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반사시트에 스트립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반사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bottom area)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된 측벽면(sidewall area)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며, 복수의 광원을 실장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전면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스트립 영역(strip area)이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반사율이 적어도 다른 영역의 반사율과 다른 반사시트; 및 상기 반사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며 복수의 렌즈홀이 배치된 제1 시트영역과,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된 제2 시트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 영역은, 상기 제2 시트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장변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스트립 영역과, 상기 반사시트의 단변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2스트립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며 복수의 렌즈홀이 배치된 제1 시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 영역은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의 스트립 영역은, 상기 복수의 렌즈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영역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복수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 길이, 폭,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적어도 어느 둘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적어도 다른 둘 사이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지점의 폭과 제2 지점이 폭이 다를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는, 도트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며 복수의 렌즈홀이 배치된 제1 시트영역과,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된 제2 시트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영역과 상기 도트영역은, 상기 제2 시트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트영역은, 상기 복수의 렌즈홀 중 최외각 렌즈홀과 상기 스트립영역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bottom area)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된 측벽면(sidewall area)을 포함하는 프레임; 복수의 광원을 실장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전면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스트립 영역(strip area)이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반사율이 적어도 다른 영역의 반사율과 다른 반사시트; 상기 반사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광학시트; 및 상기 광학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며 복수의 렌즈홀이 배치된 제1 시트영역과,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된 제2 시트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 영역은, 상기 제2 시트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장변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스트립 영역과, 상기 반사시트의 단변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2스트립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며 복수의 렌즈홀이 배치된 제1 시트영역과,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된 제2 시트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시트영역에는, 도트영역과 상기 스트립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반사시트에 스트립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내지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와 주변 구성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10 광원을 포함하는 광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은, 도 26 렌즈에 따른 광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 어셈블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2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방의 백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제 1 장변(LS1)으로부터 제 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즉 제 2 방향(DR2)으로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백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SS1),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S2) 및 제 1, 2 단변(SS1, SS2)에 인접하고 제 1 단변(SS1)과 제 2 단변(SS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장변(LS1)으로부터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백 커버(150)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백 커버(150) 및/또는 그에 인접한 다른 구조물에는 돌출부, 슬라이딩부, 결합부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론트 커버(105),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프레임(130), 백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의 중앙이 비어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상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측에 위치하는 전면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측에 위치하는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는 따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려한 디자인 등의 목적으로, 전면커버는 존재하지 않고 측면커버만 존재하는 경우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in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front substrate) 및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전면 기판에 전달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은, 직하형 또는 엣지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120)인 경우에, 도광부(light guide panel)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프레임(140)의 전면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이 프레임(140)의 전면측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경우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 시트(125, optical sheet)와 광학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광원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25d)가 존재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 상에 결합된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학층(123)은, 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23)의 구체적인 구성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유닛(120) 등의 구성이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디스플페이 장치(1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내부의 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백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130) 및/또는 프론트 커버(105)에 결합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레진(resion)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도 4는, 광학 시트(125) 등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30) 상부에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이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에서 프레임(130)과 결합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에 직접 안착될 수 있다. 즉,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의 외주가 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의 가장자리 상부면은 제1 가이드 패널(117)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와 제1 가이드 패널(117)의 플랜지(117a)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전면(前面) 측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는 제1 가이드 패널(117)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 가이드 패널(1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중 가장자리 영역은 프론트 커버(105)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제1 가이드 패널(117)과 프론트 커버(105)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100), 제2 가이드 패널(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제2 가이드 패널(11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레임(130)에 제2 가이드 패널(113)이 결합되고, 제2 가이드 패널(113)에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이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가이드 패널(113)은, 프레임(130)과 다른 재질일 수 있다. 프레임(130)은, 제1,2 가이드 패널(117, 113)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 장치(100)는, 프론트 커버(105)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5)의 일 끝단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 반사시트(126) 및 확산판(129)을 포함하는 광학층(123)과, 광학층(123)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2)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랩(strap)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122)은 어댑터와 광 어셈블리(124)를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2)에는 광 어셈블리(124)와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22)에는,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직경은 기판(122)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즉, 기판(122)의 제2 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 어셈블리(124)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 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유색 LED는 적색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에 포함된 광원(light source)는, COB(Chip On Board) 타입일 수 있다. COB 타입은, 기판(122)에 광원인 LED 칩을 직접 결합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저항을 낮출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열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즉, 광 어셈블리(124)의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COB 타입은, 좀더 밝은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COB 타입은, 종래보다 얇고 가볍게 구현될 수 있다.
기판(122)의 전면 측에, 반사시트(126)가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기판(122)의 광 어셈블리(124)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에는, 복수의 통공(23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빛을 전면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시트(126)는 확산판(129)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다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반사물질인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이산화 티타늄(TiO2)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기판(122) 상에 증착 및/또는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잉크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열증착법, 증발법 또는 스퍼터링법과 같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증착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에는, 프린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실크 스크린법을 사용한 코팅층 및/또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이 위치할 수 있다. 에어 갭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넓게 퍼질 수 있는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어에 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에는, 서포터(200)가 위치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 및/또는 반사시트(126) 상에 레진이 증착될 수 있다. 레진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확산판(129)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확산판(129)의 전면 측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의 후면은 확산판(129)에 밀착되고, 광학 시트(125)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광학 시트(125)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접착 및/또는 밀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제1 내지 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 시트의 기능을 가지며, 제 2, 3 광학 시트(125b, 125c)는 프리즘 시트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 시트인 제1 광학시트(125a)와 프리즘 시트인 제2 광학 시트(125b)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확산 시트는 확산판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휘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시트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수직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제1 내지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장변 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는 비대칭(asymmetric)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 측의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의 결합부(125d)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130) 상에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랩으로 구성된 기판(122)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기판(122)은 일측 끝이 배선전극(232)과 연결될 수 있다.
배선전극(232)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선전극(232)은 제 2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판(122)의 일측 끝과 연결될 수 있다. 배선전극(232)을 통해, 기판(122)이 어댑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122)상에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직경은 기판(122)의 제2 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어셈블리(124)의 외측영역은, 기판(122)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으로 넘어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203)은, COB 타입일 수 있다. COB 타입일 수 있다. COB타입의 광원(203)은, 발광층(135)과, 제 1,2 전극(147, 149)과, 형광층(13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135)은, 기판(12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층(135)은 블루, 레드, 그린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층(135)은 Firpic, (CF3ppy)2Ir(pic), 9, 10-di(2-naphthyl)anthracene(AND), Perylene, distyrybiphenyl, PVK, OXD-7, UGH-3(Blue)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전극(147, 149)은, 발광층(135) 하부면의 양 측 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2 전극(147, 149)은, 외부의 구동신호를 발광층(135)에 전달할 수 있다.
형광층(137)은, 발광층(135) 및 제 1, 2 전극(147, 149)를 덮을 수 있다. 형광층(137)은, 발광층(135)으로부터 발생된 스펙트럼의 광을 백색광으로 변환하는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층(137)의 상측에서, 발광층(135)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다. 형광층(137)은, 1.4 내지 2.0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OB 타입의 광원(203)은, 기판(122) 상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광 어셈블리(124)의 사이즈가 줄어들 수 있다.
광원(203)이 기판(122) 상에 위치하여 방열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전류로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광원(203)의 개수를 줄일 수 있따.
광원(203)이 기판(122) 상에 실장됨으로 인하여, 와이어 본딩 공정이 필요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의 단순화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203)의 발광은, 제1 발광범위(EA1)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면측인 제2 발광범위(EA2)와 측면측인 제3,4 발광범위(EA3, EA4)를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POB 타입을 포함하는 종래의 광원이 제2 발광범위(EA2)에서 발광하였다는 점과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203)은, COB 타입의 광원일 수 있으며, COB 타입의 광원(203)은 측면을 포함한 폭 넓은 범위로 빛을 방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OB 타입의 광원(203)이 측면 방향인 제2 발광범위(EA2)에 대응된 방향으로 빛이 방출됨으로 인하여, 측면 방향의 빛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는, 광원(203)의 측면방향으로 방출된 빛의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방향의 빛으로 인한 밝기의 불균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와 주변 구성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30) 내측에 형성된 안착부(132)에 반사시트(126)가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에는, 가로결합부(HH) 및/또는 세로결합부(VH)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의 장변 및/또는 단변을 따라 일부 영역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로결합부(HH) 및/또는 세로결합부(VH)는, 프레임(130)에 형성된 가로돌기(130H) 및/또는 세로돌기(130V)에 삽입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 상에는, 가이드패널(GP)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패널(GP)은, 사출된 플라스틱 재질 또는 프래스가공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가이드패널(GP)은, 가로돌기(130H) 및/또는 세로돌기(130V)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 상에 가이드패널(GP)이 결합되면, 반사시트(126)가 프레임(130)과 가이드패널(GP)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가이드패널(GP)이 장변 및 단변을 따라 분리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장변측과 단변측이 결합된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130)에 안착되는 반사시트(126)는, 안착부(132)의 형상에 대응된 입체적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최적의 반사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 전반에 걸쳐 고르게 빛을 반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는, 백라이트유닛(도 5의 12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와 프레임(130)의 사이에는, 광원(203)이 실장된 기판(122)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기판(122)은, 복수 개가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12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 등에 연결된 신호라인(121)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신호라인(121)은, 프레임(13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복수의 렌즈홀(23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홀(235)은, 기판(222) 상의 광원(203)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03)에 대응되도록 가로 방향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렌즈홀(235)에는, 렌즈(124b)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24b)가 렌즈홀(235)을 통해 광원(203) 상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는, 복수의 서포터홀(205)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홀(205)에는, 서포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200)는, 반시시트(126) 전면에 위치한 확산판(129) 및/또는 광학 시트(125)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및/또는 광학 시트(125) 사이가 일정한 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는, 복수의 고정핀홀(20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홀(260)에는, 고정핀(202)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202)은, 프레임(130)에 형성된 프레임홀(20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202)은, 반사시트(126)가 프레임(1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 내측 영역에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프레임(130)에 안착된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의 형상에 따라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30)은, 제1 내지 3 프레임영역(130a 내지 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영역(130a)은, 프레임(130)의 바닥면일 수 있다. 제2 프레임영역(130a)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X-Y 평면상에 위치한 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프레임영역(130b)은, 제1 프레임영역(130a)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면일 수 있다. 제2 프레임영역(130b)은, Z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거나 Z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방향일 수 있다. 프레임(130)의 측벽 역할을 하는 제2 프레임영역(130b)에 의하여, 프레임(130)의 내부에 안착부(도 10의 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영역(130c)은, 제2 프레임영역(130b)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된 면일 수 있다. 제3 프레임영역(130c)은, 실질적으로 제1 프레임영역(130a)과 나란할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영역(130b)에 의하여 제1 프레임영역(130a)과 높이는 다르지만, 제1 프레임영역(130a)과 같이 평탄한 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프레임영역(130c)에는, 돌출된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제3 프레임영역(130c)에는, 별도의 공정에 의하여 형성한 돌출물이 결합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0c)의 돌출영역 및/또는 돌출물에는, 반사시트(126)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의 제3 시트영역(130c)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프레임(130c)의 돌출영역 및/또는 돌출물에는, 광학시트(도 5의 125)가 결합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제1,2,3 프레임영역(130a 내지 130c)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고정핀(202)에 의하여 제1 프레임영역(130a)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202)에 의하여 반사시트(126)의 일부가 제1 프레임영역(130a)에 결합되면, 반사시트(126)의 일부는 자연스럽게 프레임(130)에 접촉될 수 있다.
고정핀(202)을 통해 반사시트(126)와 프레임(130)이 결합되면, 반사시트(126)의 형상이 자연스럽게 프레임(1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즉, 자연스럽게 라운드된 제2 시트영역(126b)이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사시트(126)의 챔퍼(chamfer)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어, 작업성 개선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제1 내지 3 시트영역(126a 내지 126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와 프레임(130) 간의 접촉여부 등에 따라, 반사시트(126)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과 접촉하는 접촉영역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시트영역(126a, 126b)은, 고정핀(202)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시트영역(126b)은 고정핀(202)에서 제3 프레임(130c) 영역에 접촉되는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2 시트영역(126a, 126b)은, 프레임(130)의 제1 영역(130a)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시트영역(126b)은, 반사시트(126) 자체의 물성 내지 탄성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프레임(130)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핀(202)에 의하여 제1 시트영역(126b)이 프레임(130)에 결합되면, 제2 시트영역(126b)은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곡면을 형성하며 프레임(130)에서 이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시트영역(126b)과 프레임(130) 간에는 이격공간(130d)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시트영역(126b)에서, 반사시트(126)와 프레임(130)의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는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즉, 비접촉영역 내에서, 반사시트(126)가 2차원 곡선 형태로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시트영역(126b)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프레임(130)에서 이격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제3 시트영역(126c)은, 제3 프레임영역(130c)에 안착될 수 있다. 제3 시트영역(126c)은 제3 프레임영역(130c)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3 시트영역(126c)은 제3 프레임영역(130c) 상에 자연스럽게 올려져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즉, 곡면으로 이룬 제2 시트영역(126c)으로 인한 Z 방향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제3 시트영역(126c)이 제3 프레임영역(130c)에 접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빛(L)은, 렌즈(124b)를 통해서 발산될 수 있다. 즉, 광원(203)에서 발생된 빛은, 렌즈(124b)를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렌즈(124b)를 통해 발산된 빛(L)은, 다양한 경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빛(L) 중 일부는 렌즈(124b)의 측면 방향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측방향 경로의 빛(L) 중 일부는, 제2 시트영역(126b)을 향할 수 있다. 광원(203)에서 발생된 빛 중 적어도 일부는, 렌즈(124b) 내부에서 전반사 되며 제 2 시트영역(126b)을 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시트영역(126b) 중에서도 상측영역으로 향하는 빛(L)이 하측영역으로 향하는 빛(L) 보다 많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반사시트(130)로 전달되는 빛(L)의 양 및/또는 밀도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빛(L)의 양 및/또는 밀도가 불균일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그 차이를 인지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트영역(126b)의 하측영역에 비해 상측영역에 빛(L)이 더 입사되는 경우, 상측영역에서 반사된 빛(L)으로 인하여 해당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밝게 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시트영역(126a)과 제2 시트영역(126b)의 경계에서부터 제2 시트영역(126b)과 제3 시트영역(126c)의 경계까지의 연장선과 X 방향과 나란한 두 직선 사이의 각도를 A라 할 수 있다. 제2 시트영역(126b)은, 각도 A의 직선과의 교점인 P를 기점으로 하여 기울어진 각도가 커질 수 있다. 즉, 교점 P를 지나며 X 방향과의 각도가 급격히 커짐을 의미한다.
교점 P를 지나며 제2 시트영역(126b)의 각도가 커짐으로 인하여, 렌즈(도 11의 124b)로부터 발산된 빛(L)의 단위 면적당 밀도는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밟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빛이 불균일하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반사시트(126)에서 빛이 균일하게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빛의 불균일을 못 느끼거나 덜 느낄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는, 휘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에는 스트립 영역(ST)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스트립 영역(ST)은, 반사시트(126)의 제2 시트영역(126b)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시트영역(126b)은, 프레임(130)과 이격된 부분일 수 있다. 즉, 프레임(130)과 접촉된 제1 시트영역(126a)에서 이격된 제2 시트영역(126b)에 스트립 영역(ST)이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트립 영역(ST)은, 렌즈홀(235)에 결합된 광원에서 방출된 빛이 균일하게 전면(前面)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광원의 빛 중 일부는 반사시트(126)를 향하며, 반사시트(126)는 빛을 전면 방향으로 반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의 특정 영역에 빛이 집중되면, 전면으로 반사된 빛도 해당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밝게 될 수 있다. 즉, 전면에서 관측할 때 빛의 휘도가 불균일하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트립 영역(ST)은, 반사시트(126)로 입사되는 빛의 밝기가 불균일한 경우에도, 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반사된 빛의 휘도가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의 특정 영역에 빛이 많이 입사되면, 해당 영역에 스트립 영역(ST)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트립 영역(ST)은, 빛의 반사율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반사된 빛의 휘도가 균일해질 수 있다.
스트립 영역(ST)은, 선(line)의 형태일 수 있다. 스트립 영역(ST)은, 일정 정도 이상의 폭 또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립 영역(ST)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립 영역(ST)은, 연속적인 선의 집합일 수 있다. 스트립 영역(ST)을 구성하는 선의 집합은,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다른 하나와 속성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의 두께, 선의 길이, 선의 색상, 선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트립 영역(ST)은, 제1 스트립 영역(ST1)과 제2 스트립 영역(S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립 영역(ST1)은, 반사시트(126)의 장변 측에 위치하고 있는 스트립 영역(ST)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렌즈홀(235)과 반사시트(126)의 장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스트렙 영역(ST)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스트립 영역(ST1)은, 제2 시트영역(126b)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가로밴딩라인(HBL)을 중심으로 내측에는 렌즈홀(235)이 위치하고, 외측에는 제1 스트립 영역(ST1)이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2 스트립 영역(ST2)은, 반사시트(126)의 단변 측에 위치하고 있는 스트립 영역(ST)일 수 있다. 제2 스트렙 영역(ST2)은, 제2 시트영역(126b)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세로밴딩라인(VBL)을 중심으로 내측에는 렌즈홀(235)이 위치하고, 외측에는 제2 스트립 영역(ST2)이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19는, 제1 스트립 영역(ST1)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립 영역(ST1)은, 복수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내지 5라인(ST11 내지 ST15)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제1 스트립 영역(ST1)을 구성하는 라인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렌즈홀(235)에는, 광원이 결합될 수 있다. 광원에서는 빛이 방출될 수 있다. 광원의 빛 중 일부는 제1 스트립 영역(ST1)을 형하는 광경로(LD)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은, 광경로(LD)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내지 5라인(ST11 내지 ST15)는 반사시트(126)의 장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은, 주위의 영역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은 볼록하거나 오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은 색상이 있을 수 있다.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로 인하여,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은 주위와 다른 반사율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요철 및/또는 색상을 가지고 있음으로 인하여,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으로 입사된 빛의 반사율이 주위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의 반사율이 주위보다 낮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내지 5라인(ST11 내지 ST15)은, 광원에서 방출된 빛이 집중되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5라인(ST11 내지 ST15)이 없다면, 해당 영역으로 입사된 빛의 반사로 인하여 휘도의 불균일이 발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의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는, 광이 집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반사율이 균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다른 하나와 속성이 다를 수 있다. 예르 들어, 제1 라인(ST11)은 제5 라인(ST15) 보다 요철의 정도가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인(ST11)은 제5 라인(ST15) 보다 옅은 색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라인(ST11)에서의 반사율과 제5 라인(S15)에서의 반사율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1 라인(ST11)에서의 반사율이 제5 라인(ST15)에서의 반사율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반사시트(126)의 3차원적인 형태와 관련있을 수 있다. 즉, 프레임(130)에 결합되며 자연스럽게 쳐진 형태의 반사시트(126)의 외측으로 갈수록 프레임(130)의 바닥면에 대한 각도가 커질 수 있다. 각도가 커지면 해당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의 양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영역에 대응된 제5 라인(ST15)의 반사율을 낮춤으로서 전체적인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립 영역(ST1)을 구성하는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다른 하나와 폭이 다를 수 잇다. 예를 들어, 제1 라인(ST11)은 제1 폭(W1)이고 제5 라인(ST15)는 제2 폭(W2)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폭(W1)는 제2 폭(W2)보다 클 수 있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라인(ST11)의 제1 폭(W1)는, 제 5 라인(ST15)의 제2 폭(W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의 폭은, 해당 영역에 입사되는 광의 양과 필요한 반사율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의 폭은,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너비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의 폭(W)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폭(W)의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립 영역(ST1)은 폭(W)과 높이(H)를 가지는 하나의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제1 스트립 영역(ST1) 내부는 외부와 다른 색으로 도색될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립 영역(ST1)은 마름모형태로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홀(235)에 가까운 변이 제1 폭(W1)이고 렌즈홀에서 먼 변이 제2 폭(W2)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트립 영역(ST1) 내부의 구성이 렌즈홀(235)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홀(235)과 가까운 영역은 옅은 색상이나 렌즈홀(235)에서 멀어질수록 색상이 짙어지는 형태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 중적어도 어느 하나와 적어도 다른 하나 사이의 간격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라인(ST11, ST12) 사이는 제1 간격(S1)이고, 제2,3 라인(ST12, ST13) 사이는 제2 간격(S2)이고, 제3,4 라인(ST13, ST14) 사이는 제3 간격(S3)이고, 제4,5 라인(ST14, ST15) 사이는 제4 간격(S4)일 수 있다. 제1 내지4 간격(S1 내지 S4)는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다른 하나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S1)이 가장 크고, 제2 간격(S2)에서 제4 간격(S4)으로 접근할수록 간격이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사율의 조절이 필요한 부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4 간격(S1 내지 S4)은 역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S1)이가 가장 작고, 제4 간격(S4)이 가장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 중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다른 하나와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인(ST11)은 제1 높이(H1)이며 점차 증가하여 제5 라인(ST15)는 제5 높이(H5)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5 라인(ST11 내지 ST15)의 높이는 역순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제1 라인(ST11)에 보다 많은 빛이 집중되는 경우일 수 있다.
도 20 내지 도22는, 제2 스트립 영역(ST2)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트립 영역(ST2)는 광경로(LD)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스트립 영역(ST2)는 반사시트(126)의 단변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스트립 영역(ST2)의 방향은 제1 스트립 영역(ST1)의 방향과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스트립 영역(ST2)의 방향은 제2 스트립 영역(ST2)은 제1 스트립 영역(ST1)과 직각으로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제2 스트립 영역(ST2)은, 제1 내지 7 라인(ST21 내지 ST27)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스트립 영역(ST2)이 제1 내지 7 라인(ST21 내지 ST27)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제2 스트립 영역(ST2)을 구성하는 라인의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지 7라인(ST21 내지 ST27)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속성이 적어도 다른 하나의 속성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인(ST21)의 길이가 제2 라인(ST22)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인(ST21)의 폭이 제2 라인(ST22)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인(ST21)의 색상이 제2 라인(ST22)과 다를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트립 영역(ST2)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영역은 유사한 속성을 가지는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은 제1 내지 3 영역(A1 내지 A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영역(A1)은 제1,2 라인(ST21, ST22)을 포함하고, 제2 영역(A2)은 제3,4,5 라인(ST23, ST24, ST25)를 포함하고, 제3 영역(A3)은 제6,7 라인(ST26, ST27)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한다. 다만, 각 영역에 포함된 라인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영역(A1)은, 제1,2 라인(ST21, ST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라인(ST21, ST22)은 제1 폭(W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2 라인(ST21, ST22)의 제1 폭(W1)은, 제3 영역(A3)을 구성하는 제6, 7 라인(ST26, ST27)의 제2 폭(W2)과 다를 수 있다. 제1,2 라인(ST21, ST22) 사이는 제1 간격(S1)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 라인(ST21, ST22) 사이의 제1 간격(S1)은, 제3 영역(A3)을 구성하는 제6,7 라인(ST26, ST27)의 제2 간격(S2)과 다를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제3,4,5 라인(ST23, ST24, ST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4,5 라인(ST23, ST24, ST25)는, 폭이 변화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라인(ST23)의 중앙영역의 폭과 제3 라인(ST23) 양측 말단영역의 폭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제1 영역(A1)의 제1 라인(ST21)과 다를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트립 영역(ST2)는, 제 8 내지 10 라인(ST28 내지 ST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내지 10라인(ST28 내지 ST30)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라인으로는 조절하기 힘든 미세한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제8 내지 10 라인(ST28 내지 ST30)은, 다른 라인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지 5 라인(ST22 내지 ST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8 내지 10 라인(ST28 내지 ST30)은, 다른 라인과 속성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8 내지 10 라인(ST28 내지 ST30)의 폭은 인접한 다른 라인의 폭보다 얇을 수 있다. 제8 내지 10라인(ST28 내지 ST30)의 길이는 인접한 다른 라인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8 내지 10 라인(ST28 내지 ST30)은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 상의 스트립 영역(ST)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시트(126)에는 렌즈홀(235)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의 제1 시트영역(126a)에 렌즈홀(235)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트립 영역(ST)은, 반사시트(126)의 제2 시트영역(126b)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시트영역(126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시트영역(126a)에 대하여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입사각이 커질 수 있어, 해당 영역에서 반사된 빛의 휘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클 수 있다. 제2 시트영역(126b)의 제1,2 스트립 영역(ST1, ST2)은, 해당 영역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휘도가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시트(126)에는 스트립 영역(ST)과 도트영역(DT)이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립 영역(ST)은 반사시트(126)의 장변 및/또는 단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스트립 영역(ST)이 반사시트(126)의 경계에 인접하여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스트립 영역(ST)이 도트영역(DT)보다 렌즈홀(235)로부터 멀리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도트영역(DT)은, 렌즈홀(235)과 스트립 영역(ST)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에서 입사된 빛의 반사율은, 도트영역(DT)과 스트립 영역(ST)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영역(DT)에서의 반사율이 스트립 영역(ST)에서의 반사율이 더 클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스트립 영역(ST)에서의 반사율이 작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시트(126)의 형상으로 인하여 반사시트(126)의 변(side)에 가까운 영역은 제1 시트영역(126a)에 대해 직각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영역에는 다른 부분보다 많은 빛이 입사될 수 있다. 해당 영역에 형성된 스트립 영역(ST)은, 해당 영역의 반사율을 낮춰 전체적인 휘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 영역(ST)은, 렌즈홀(235)과 도트영역(DT)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트립 영역(ST)은, 렌즈홀(235)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스트립 영역(ST)은, 각각의 렌즈홀(235)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스트립 영역(ST)은, 렌즈홀(235)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렌즈홀(235)에 결합된 광원에 가까운 위치에 스트립 영역(ST)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근접한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6은, 도 1 광원을 포함하는 광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셈블리(124)는, 기판(122)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광원(203)과, 광원(203)의 일측에 위치하는 렌즈(3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203)은, 빛을 방출하는 다양한 소스(sourc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03)은, 전술한 바와 같은, COB 타입의 LED일 수 있다.
렌즈(300)는, 광원(20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20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렌즈(300)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03)이 렌즈(300) 내부의 홈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광원(203)에서 실질적으로 빛이 방출되는 영역이, 렌즈(300)의 하측에 삽입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렌즈(300)에 다리구조가 존재하는 경우에, 광원(203)의 상측 일부가 렌즈(3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렌즈(300)는, 광원(203)에서 방출된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굴절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굴절형 내지는 반사형 렌즈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렌즈(300)의 일부 영역에서의 반사 및/또는 일부 영역에서의 굴절을 통해 광원(203)의 빛은, 전방위로 고르게 퍼져나갈 수 있다.
렌즈(300)에 삽입된 광원(203)은, 렌즈(300)에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300)와 광원(203)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렌즈(300)는, 각 광원(203)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3 렌즈(300a 내지 300c)가, 제1 내지 3 광원(203a 내지 203c)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렌즈(300)는, 광원(203)에서 방출된 빛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광원(203)의 빛이 특정 지점에 집중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광원(203)의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300)는, 광원(230)의 빛의 경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300)는, 광원(230)의 측면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300)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렌즈(300)는, 제1 면(S1)과, 제1 면(S1)에 대향된 제2 면(S2)과, 제1면(S1)과 제2 면(S2)을 연결하는 제3 면(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S1)은, 렌즈(300)의 상측 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300)는 제1 면(S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면(S1) 상의 함몰된 형태는, 렌즈(300)의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는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S1) 상에 제1 요부(concave portion, A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면(S1)의 최상위 영역을 탑서피스(Top Surface, TS)로 볼 수 있다. 제1 면(S1)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광원(203)의 상측으로 방출된 빛은, 제1 면(S1)을 통해 상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제2 면(S2)은, 렌즈(300)의 하측 면일 수 있다. 즉, 제2 면(S2)은, 상측면인 제1 면(S1)에 대향된 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300)의 제2 면(S2)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면(S2) 상에 제2 요부(A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면(S2) 상의 제2 요부(A2)의 반경은 R2 일 수 있다. 제2 요부(A2)의 반경 R2는, 렌즈(300)에 결합되는 광원(203) 반경의 1.5~4배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제2 면(S2)의 최하위 영역을 바텀서피스(Bottom Surface, BS)로 볼 수 있다. 제2 면(S2)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광원(203)은, 제2 면(S2)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203)의 일부 영역은 제2 면(S2)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면(S2)의 반경은, R2+R3 일 수 있다. 제1 면의 반경 R1은, 제2 면의(S2)의 반경 R2+R3의 1~3배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즉, 탑서피스(TS)의 폭이 바텀서피스(BS)의 폭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면(S2)의 반경 R2+R3는, 제2 요부(A2)의 반경 R2 보다 2~4배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제3 면(S3)은, 제1 면(S1)과 제2 면(S2)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즉, 렌즈(300)의 상측면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측면일 수 있다. 제1 면(S1)과 제2 면(S2)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며, 제3 면(S3)이 제1,2 면(S1, S2)을 연결하는 외면을 형성하므로, 렌즈(300)는 높이 H의 원기둥 형태의 아웃라인(outline)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다만, 원기둥 형태에서 제1 내지 3면(S1 내지 S3)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도 29는, 도 27 렌즈에 따른 광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렌즈(300)는, 빛의 경로(LP)를 제어하여, 광학 시트(125)로 균일한 빛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300)는, 측면으로 발산되는 광경로(LP)를 변경할 수 있다.
측면으로 발산되는 빛은, 제2 요부(A2)에서 1차로 확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요부(A2)의 제3 영역(A2R)의 형상으로 인하여, 광경로(LP)가 발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요부(A2) 측면에서 확산된 광경로(LP)는, 제3 면(S3)의 곡선 면(S32)를 거치며 다시 발산될 수 있다.
제2 요부(A2) 등을 통과한 광경로(LP)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요부(A1)에서 굴절 및/또는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광경로(LP)가 특정 지점에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광학 시트(125) 상에 균일하게 빛이 분포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의 렌즈(300)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면(S3)의 곡선 면(S33)은, 렌즈(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면(S3)의 외측 면과 접하는 가상의 제4 원(C4)에 대응된 곡선 면(S32)을 형성할 수 있다. 곡선 면(S33)은, 제2 면(S2)에서 EA1 만큼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렌즈(300)에 복수 개의 광원(203)이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요부(A2) 내에 제1,2 광원(203a, 203b)가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원(203)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일 수 있다. 광원(203)은, 고출력의 성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2 광원(203a, 203b)을 하나의 렌즈(300)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요홈(A2)은,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요홈(A2)의 폭(A2W)이 높이(A2H) 보다 큰 형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요홈(A2)을 타원 형상으로 구성하며 확보된 공간에, 복수의 광원(203a, 203b)을 위치시킬 수 있다.
제2 요홈(A2) 내부에 복수의 광원(230)이 위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요홈(A2)의 형상 및/또는 제3 면(S3)의 곡선 면(S32)이 주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즉, 제1,2 광원(203a, 203b)에서 다량의 측면광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측면광 제어가 필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제2 요홈(A2) 측면의 곡선화된 제3 영역(A2R) 및/또는 제3 면(S3) 하측의 곡선 면(S32)을 통하여, 측면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요부(A2)의 제3 영역(A2R)은, 외측으로 돌출된 곡선 면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요부(A2)의 외측에서 제3 영역(A2R)에 접하는 제5 원(C5)에 대응된 곡선 면의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2 요부(A2)의 길이는 EA2 만큼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33 내지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렌즈(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면(S3)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선에서 S3D 각도 만큼 내측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면(S3)은, 직선 면(S31)과 곡선 면(S32)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 면(S32)은, 제2 면(S2)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요부(A2)에는, 제3 영역(A2R)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요부(A2)의 하측에 형성되어 바텀서피스(BS)까지 연장되는 영역에 곡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영역(A2R)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이 확산 될 수 있다. 특히, 광원의 측면에서 발산되는 빛의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300)의 제3 면(S3)과 바텀서피스(BS)가 접하는 부위에 일정한 곡선 면(S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요부(A2)에는, 제3 영역(A2R1, A2R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요부(A2)와 바텀서피스(BS)가 접하는 영역의 일부에 곡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믈 의미한다. 제3 영역(A2R1, A2R2)는, 제3a 영역(A2R1)과 제3b 영역(A2R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바텀서피스(BS)와 접하는 영역에 복수의 곡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300)의 제3 면(S3)과 바텀서피스(BS)가 접하는 영역에 곡선 면(S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요부(A2)에는, 곡선 면인 제3 영역(A2R)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 어셈블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어셈블리(124)가 프레임(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전술한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300)를 중심으로 한 명암의 발생 내지는 핫스팟(hot spot)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어셈블리(124)는 프레임(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알파벳은 각각 광 어셈블리(124)를 표현한다. 즉, 광 어셈블리(124)가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광 어셈블리(124)는, A 형태의 광 어셈블리(12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형태의 렌즈(300)를 포함하고 있는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어셈블리(124)는, A 형태와 B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가지 형태의 렌즈(300)를 포함하고 있는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광 어셈블리(124) 어레이(arrary)의 최외곽에는 B 형태의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되고 그 내측에는 A 형태의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될 수 있다.
내측과 달리, 광 어셈블리(124) 어레이의 최외곽에는 더 이상 외측에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의 균일한 분포를 위해서 최외곽에 배치디는 광 어셈블리(124)는 내측과 다른 형태의 렌즈(30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어셈블리(124)는, 적어도 두 가지 형태가 교번적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 형태의 렌즈(300)를 포함하고 있는 광 어셈블리(124)가 가로 또는 세로로 한 줄 배치되고, B 형태의 렌즈(300)를 포함하고 있는 광 어셈블리(124)가 가로 또는 세로로 한 줄 배치되는 형태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또는 구성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본 발명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임을 고려할 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바닥면(bottom area)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된 측벽면(sidewall area)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며, 복수의 광원을 실장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전면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스트립 영역(strip area)이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반사율이 적어도 다른 영역의 반사율과 다른 반사시트; 및
    상기 반사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광학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며 복수의 렌즈홀이 배치되는 제1 시트영역과,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스트립 영역이 배치되는 제2 시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 영역은 제1 시트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색상이 짙어지는 백라이트유닛.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장변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스트립 영역과,
    상기 반사시트의 단변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2스트립 영역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영역은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의 스트립 영역은, 상기 복수의 렌즈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백라이트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영역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은 상기 제1 시트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색상이 짙어지는 백라이트유닛.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적어도 어느 둘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적어도 다른 둘 사이의 간격과 다른 백라이트유닛.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지점의 폭과 제2 지점이 폭이 다른 백라이트유닛.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제2 시트영역에 형성되는 도트영역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영역은,
    상기 복수의 렌즈홀 중 최외각 렌즈홀과 상기 스트립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백라이트유닛.
  12. 바닥면(bottom area)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된 측벽면(sidewall area)을 포함하는 프레임;
    복수의 광원을 실장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전면에 위치하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스트립 영역(strip area)이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반사율이 적어도 다른 영역의 반사율과 다른 반사시트;
    상기 반사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광학시트; 및
    상기 광학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며 복수의 렌즈홀이 배치되는 제1 시트영역과,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스트립 영역이 배치되는 제2 시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 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장변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스트립 영역과, 상기 반사시트의 단변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2스트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립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보다 상기 제1 시트영역에서 멀리 배치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보다 상기 제1 시트영역에서 멀리 배치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변화되는 폭을 가지는 라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영역에는,
    도트영역과 상기 스트립영역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12105A 2016-02-01 2016-02-0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105A KR102473400B1 (ko) 2016-02-01 2016-02-0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01710060866.5A CN107024799B (zh) 2016-02-01 2017-01-25 背光单元和包括背光单元的显示装置
US15/416,089 US10254585B2 (en) 2016-02-01 2017-01-26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7153974.5A EP3200018B1 (en) 2016-02-01 2017-01-31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105A KR102473400B1 (ko) 2016-02-01 2016-02-0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90A KR20170091290A (ko) 2017-08-09
KR102473400B1 true KR102473400B1 (ko) 2022-12-06

Family

ID=5794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105A KR102473400B1 (ko) 2016-02-01 2016-02-0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54585B2 (ko)
EP (1) EP3200018B1 (ko)
KR (1) KR102473400B1 (ko)
CN (1) CN1070247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53A1 (en) * 2016-01-21 2017-07-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463819B1 (ko) * 2017-11-30 2022-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7225598B2 (ja) * 2018-08-08 2023-02-21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210084995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8139A (ja) * 2007-03-02 2008-09-18 Takehisa Saito 反射板、反射板体、及び面発光装置
KR101282029B1 (ko) * 2013-01-31 201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080B1 (ko) * 2005-01-24 201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판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070081361A1 (en) * 2005-10-12 2007-04-12 Donald Clary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s
KR101252849B1 (ko) * 2006-06-01 2013-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
CN102449376A (zh) * 2009-06-15 2012-05-09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机
KR101047628B1 (ko) * 2010-06-03 201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JP2013143217A (ja) 2012-01-10 2013-07-22 Sharp Corp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202782019U (zh) * 2012-02-28 2013-03-13 刘迎春 多色镀膜片
KR101664422B1 (ko) * 2013-01-23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조명 장치
KR102066138B1 (ko) * 2013-11-26 2020-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 시트와 이의 제조 방법
CN103818131B (zh) * 2014-02-11 2016-08-17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在反射片上印刷油墨网点的方法
US20160004123A1 (en) 2014-07-02 2016-01-0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60091760A1 (en) * 2014-09-25 2016-03-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WO2016068592A1 (en) 2014-10-31 2016-05-06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8139A (ja) * 2007-03-02 2008-09-18 Takehisa Saito 反射板、反射板体、及び面発光装置
KR101282029B1 (ko) * 2013-01-31 201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90A (ko) 2017-08-09
CN107024799A (zh) 2017-08-08
US20170219881A1 (en) 2017-08-03
CN107024799B (zh) 2021-06-25
EP3200018A1 (en) 2017-08-02
EP3200018B1 (en) 2020-01-29
US10254585B2 (en)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80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79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611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015914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KR2017009133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015912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KR10247340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768484B2 (en) Display device
KR10234051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629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733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0494B1 (ko) 광학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5258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023709A1 (en) Optical lens, backlight unit including optical len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lens
KR1024260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58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813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2614963B1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570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