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342B1 -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342B1
KR102473342B1 KR1020220051346A KR20220051346A KR102473342B1 KR 102473342 B1 KR102473342 B1 KR 102473342B1 KR 1020220051346 A KR1020220051346 A KR 1020220051346A KR 20220051346 A KR20220051346 A KR 20220051346A KR 102473342 B1 KR102473342 B1 KR 10247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pass
section
traffic
ratio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충헌
김진국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5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은, (a)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각각 수집하는 단계-상기 감지 결과는 각 구간별 차량 통행에 따른 교통량과 차량 속도임; 및 (b) 상기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교통량 및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진출 후 연계되는 지상부 도로 연속류 또는 단속류 영향에 따른 상기 지하도로 내부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Underground roads traffic flow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심 지하도로에서 발생 가능한 지하도로 본선과 연결램프의 합류시 교통안전을 보정하여 교통류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지상도로에서의 합류 구간(지점) 안전관리는 교통운영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특히, 지하도로 통행 후 출구(지하도록에서 지상도로 진출 구간)는 연속류 또는 단속류 시설과 연계될 수 있는 시설 종류에 따라 매우 상이한 교통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하도로내 도로기하구조에 따른 교통흐름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지하도로내 도로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도로에 연결되는 연결 램프와 지상부의 교통 조건을 고려하여 지하도로 내부의 교통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각각 수집하는 단계-상기 감지 결과는 각 구간별 차량 통행에 따른 교통량과 차량 속도임; 및 (b) 상기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교통량 및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진출 후 연계되는 지상부 도로 연속류 또는 단속류 영향에 따른 상기 지하도로 내부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하도로 내부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지하도로 내부의 도로기하구조 조건을 더 고려하여 분석될 수 있다.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은, 지상도로-지하도로 병렬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분류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합류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합류 후 분류 구조 및 상기 지하도로내 분류 후 합류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a) 단계에서, 지상-지하 접속부,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 분류 또는 합류 구간, 분류 또는 합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 지하-지상 접속부 및 연결 램프 구간 각각의 교통량과 속도를 각 구간의 감지 결과로서 측정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의 교통량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 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기준 비율보다 감소하는 경우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분석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 속도 차이를 계산하고, 속도 차이가 클수록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분석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류 또는 합류 구간과 상기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속도 차이가 음수인 경우,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의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류 또는 합류 구간과 상기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 차이 계산 결과로,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의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시, 상기 지하도로 본선의 제한속도와 연결 램프의 제한 속도 차이를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이 지하도로내 합류 후 분류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하도로로 진입한 교통량 중 합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1 비율)과 제1 연결 램프를 통해 진입한 교통량 비율(제2 비율)을 각각 산정하고, 상기 합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중 제2 연결 램프로 진출한 교통량 비율(제3 비율)과 분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4 비율)을 산정하되,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을 합한 값에서 상기 제3 비율과 상기 제4 비율을 합한 값을 차감한 결과값이 양수이며 커질수록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와 상기 제1 연결 램프로 진입한 교통량이 상기 제2 연결 램프와 상기 분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으로 진출하는 교통량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이 지하도로내 분류 후 합류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를 통과하여 지하도로로 진입한 교통량 중 분류 후 지하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1 비율)을 산정하고, 분류 후 합류부를 지난 합류후 지하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중 제1 연결 램프를 통해 진출한 교통량 비율(제2 비율)과 분류 후 지하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3 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제1 비율에서 상기 제2 비율과 상기 제3 비율을 합산한 결과값을 차감한 결과가 양수이며 클수록 상기 분류 후 지하 본선 구간으로 진입한 교통량이 상기 제1 연결 램프 구간과 상기 합류 후 지하 본선 구간으로 진입한 교통량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교통류는 단위 시간 동안 각 구간을 통행한 차량 대수이며, 상기 차량 속도는 단위 시간 동안 각 구간을 통행한 차량의 평균 속도이다.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이 지상도로-지하도로 병렬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지상-지하 접속부 구간과 지하본선 구간의 교통량 비율과 속도 차이, 지하-지상 접속부 구간과 지하본선 구간의 교통량 비율과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a)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상기 감지 결과는 각 구간별 차량 통행에 따른 교통량과 차량 속도임; 및 (b) 상기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교통량 및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진출 후 연계되는 지상부 도로 연속류 또는 단속류 영향에 따른 상기 지하도로 내부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지하도로내 도로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도로에 연결되는 연결 램프와 지상부의 교통 조건을 고려하여 지하도로 내부의 교통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구조에 따른 교통류 분석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구조에 따른 교통류 분석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110에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분석 대상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각각 수집한다. 여기서, 감지 결과는 차량 통행에 따른 교통량과 차량 속도일 수 있다. 여기서, 교통량은 단위 시간 동안 각 구간을 통행한 차량 대수이며, 차량 속도는 해당 단위 시간 동안 각 구간을 통행한 차량들의 평균 속도일 수 있다.
단계 115에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도로 각 구간별 감지 결과(즉, 교통량과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진출 후 연계되는 도로 연속류 또는 단속류 영향에 따른 지하도로 내부의 교통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한다.
여기서, 지하도로 내부의 교통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함에 있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도로 내부의 도로기하구조 조건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지하도로 내부의 도로기하구조 조건은 지상도로-지하도로 병렬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분류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합류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합류 후 분류 구조 및 상기 지하도로내 분류 후 합류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지하도로 내부의 도로기하구조 조건에 따른 진출 후 연계되는 도로 연속류 또는 단속류 영향에 따른 지하도로 내부의 교통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 케이스: 지하내 분류되며 지상도로로 진출 후 연속류/단속류 구간
도 2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제1 케이스에 대한 지하도로 기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상에서 지하도로로 접속되는 지점을 지상-지하 접속부(A지점)라 칭하기로 한다.
A 지점을 통해 지하도로로 진입한 후 연결 램프에 의해 분류되기 전 구간을 지하 본선(분류전)이라 칭하기로 하며, 연결 램프와 연결되어 차량이 분류되는 구간을 분류부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연결 램프에 의해 분류된 이후 지하도로 구간을 지하본선(분류 후) 구간이라 칭하기로 하며 지하본선(분류 후) 구간을 통과하여 지상도로로 진입하기 위한 지점을 지하-지상 접속부(B 지점)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연결 램프 구간을 지나 전방 도로 지점은 C 지점이라 칭하기로 한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 지점을 통과하여 지하도로로 진입한 교통량 중 연결 램프로 진출하는 교통량 비율(편의상 램프진출 비율이라 칭하기로 함)과 지하도로(분류후)구간을 통해 B 지점으로 가는 교통량 비율(편의상 직진 비율이라 칭하기로 함)을 각각 계산한다.
예를 들어, 램프진출 비율은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되며, 직진 비율은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2044750705-pat00001
Figure 112022044750705-pat00002
상술한 바와 같이, 램프진출 비율과 직진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지하본선으로 진입한 전체 교통량 중 어떠한 비율로 중간에 연결 램프를 통해 지상도로로 진출하고 진출 없이 끝까지 통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도로와 연계된 지상도로의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지하도로내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램프를 통해 진출하지 않고 지하도로를 통해 끝까지 통행하는 비율이 높으며, 지하도로와 연계된 지상도로의 교통 상황이 나쁜 경우,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교통 혼잡(Spill-back)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B 지점과 지하본선(분류후) 구간의 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지하본선(분류 후) 구간과 B 지점 사이의 혼잡 발생 및 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지점과 지하본선(분류후) 구간의 교통량 비율을 통해 B 구간에서의 처리 교통량 비율은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2044750705-pat00003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된 B 구간에서의 처리 교통량 비율이 100%인 경우(즉, B 구간의 처리 교통량과 지하본선(분류후) 구간 처리 교통량이 동일한 경우)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교통 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처리 교통량 비율 100%를 기준으로 감소하고 있는 경우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본선(분류후) 구간과 B 지점의 속도 차이를 계산하여 속도 차이가 클수록 하류부 전방에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 구간과 지하본선(분류전) 구간의 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지하 내 분류가 지하본선(분류전) 구간과 A 구간에 미치는 교통 영향을 추정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구간과 지하본선(분류전) 구간의 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100%이면(즉, A 구간과 지하본선(분류전) 구간의 교통량이 동일하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교통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비율 100%를 기준으로 감소하고 있다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 구간과 지하본선(분류전) 구간의 속도차이를 계산하여 속도차이가 클수록 교통흐름 전방에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연결 램프 제한 속도(예를 들어, 60km/h)와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한다. 이를 통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연결 램프의 제한 속도와 실제통행 속도 차이가 클수록(실제 통행속도가 제한속도보다 낮을수록)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제2 케이스: 지하 내 합류되며 지상도로 진출 후 연속류/단속류 구간
이에 대한 지하도로의 기하구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케이스와 달리, 제2 케이스는 지하도로 내에서 연결램프에 의해 합류되며, 이후 지상도로로 진출되는 구조이다.
도 2와 달리 도 3에서는 연결 램프에 의해 합류되는 것으로, 지하본선(합류전), 지하본선(합류후)로 구간을 지칭하는 용어가 달라질 수 있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 지점을 통과하여 지하도로로 진입한 교통량 중 지하본선(합류 후) 구간을 통해 B 지점으로 향하는 교통량 비율(제2 직전 비율)과 연결 램프를 통해 진출하는 교통량 비율(램프진입 비율)을 각각 산정한다.
예를 들어, 제2 직진 비율과 램프 진입 비율은 수학식 4 및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2044750705-pat00004
Figure 112022044750705-pat00005
이를 통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도로와 연계된 지상도로의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지하도로내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구간과 지하본선(합류 전) 구간 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연결 램프를 통한 합류가 A구간과 지하본선(합류 전) 구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 분석한다. 예를 들어, A구간과 지하본선(합류 전) 구간 교통량 비율을 '지하본선(합류전) 구간 교통량/A 구간 교통량 x 100'으로 계산할 때, 해당 비율이 100%(즉, A구간과 지하본선(합류 전) 구간 교통량이 동일하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교통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해당 비율 100%를 기준으로 감소하는 경우,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구간과 지하본선(합류 전) 구간의 속도 차이와 연결 램프 합류부와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하여 교통류를 분석할 수 있다. 즉, A구간과 지하본선(합류 전) 구간의 속도 차이가 클수록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본선 제한 속도는 80km/h이고, 연결 램프 제한 속도는 60km/h 이므로, 합류부 차량 속도-연결 램프 차량 속도는 20km/h가 정상이다. 그러나 만일 연결 램프 합류부와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 차이가 음수값을 가지는 경우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구간과 지하본선(합류 전) 구간의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B 구간과 지하본선(합류 후) 구간의 처리 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B 구간 처리 교통량 비율을 'B 구간 교통량/ 지하본선(합류후) 구간 교통량 x 100'으로 계산하여 100%인 경우,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교통 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100%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B 구간과 지하본선(합류 후) 구간 차량 속도 차이를 계산하여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제3 케이스: 지하내 합류-분류 후 지상도로 진출 후 연속류/단속류 구간
제3 케이스의 지하도로 기하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2 케이스의 경우, 지하도로 내에서 제1 연결 램프를 통해 지하도로 본선에서 합류되며, 이후 지하도로 본선에서 제2 연결 램프가 연결되어 차량이 지하도로로 분류된 후 지상도로로 진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구간(지점)은 지상-지하도로 접속부를 지칭하며, 제1 연결 램프로 합류되기 이전 지하도로 구간을 지하본선(합류전) 구간이라 칭하며,제1 연결 램프를 통해 합류되는 합류부, 합류된 이후 지하도로 구간을 지하본선(합류 후)라 칭하기로 한다. 이어, 제2 연결 램프에 의해 분류되는 구간을 분류부라 칭하며, 분류된 이후 지하도로 구간을 지하본선(분류 후) 구간이라 칭하고, 지하도로에서 지상도로로 연결되는 구간을 지하-지상 접속부(B 구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3 케이스에 대한 교통류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 지점을 통과하여 지하도로로 진입한 교통량 중 지하본선(합류후)구간을 통해 B로 향하는 교통량 비율(편의상 제3 직진 비율이라 칭하기로 함)과 제1 연결 램프를 통해 진입한 교통량 비율(제2 램프 진입 비율이라 칭하기로 함)을 각각 산정한다.
예를 들어, 제2 램프 진입 비율은 수학식 6과 같이 계산되며, 제3 직진 비율은 수학식 7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2044750705-pat00006
Figure 112022044750705-pat00007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 지점과 지하본선(합류전) 구간의 처리 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제1 연결 램프에 의한 합류가 A 지점과 지하본선(합류전) 구간에 미치는 교통 영향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A 지점과 지하본선(합류전) 구간의 처리 교통량 비율(지하본선(합류전) 구간 교통량/A 구간 교통량 x 100)이 100%인 경우(즉, A 지점과 지하본선(합류전) 구간의 교통량이 동일하면 교통 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하며 100%를 기준으로 감소하는 경우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 지점과 지하본선(합류전) 구간의 속도차이를 계산하여 속도 차이가 클수록 교통 흐름 전방에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본선(합류후) 구간과 제1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차이를 계산하여 해당 속도 차이가 음수값을 가지면 A 지점과 지하본선(합류전) 구간의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 있다. 지하본선 제한속도가 예를 들어, 80km/h이고, 제1 연결 램프 제한 속도가 20km/h인 경우, A 지점과 지하본선(합류전) 구간의 속도차이가 20km/h 미만인 경우 이는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제1 연결 램프 제한 속도와 제1 연결 램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할 수도 있다.
이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본선(합류 후)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중 제2 연결 램프로 진입한 교통량 비율과 지하본선(분류 후)구간을 통해 B 구간으로 진출하는 교통량 비율을 각각 산정한다. 이는 수학식 8 및 수학식 9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2044750705-pat00008
Figure 112022044750705-pat00009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제2 램프 진입 비율과 제3 직진 비율을 합한 결과값에서 제4 직전 비율과 제2 램프 진출 비율을 합한 결과값을 차감한 결과값이 양수로 클수록 A 구간과 제1 연결 램프로 진입한 교통량이 제2 연결 램프와 지하본선(합류 후) 구간으로 진출하는 교통량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제2 연결 램프 제한 속도(예를 들어, 60km/h)와 제2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본선(분류 후) 구간과 B 구간의 교통량 비율(지하도로 진출부 상황을 고려한 처리 비율이라 칭하기로 함)을 계산하여 B 구간의 교통 조건(연속류 또는 단속류)에 따른 지하본선(분류 후) 구간과 B 구간 사이의 혼잡(Spill-back) 발생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지하도로 진출부 상황을 고려한 처리 비율은 'B 구간 교통량/지하본선(분류 후) 구간 교통량 x 100'과 같이 계산되되,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100%이면(즉, 지하본선(분류 후) 구간 교통량과 B 구간 교통량이 동일하면) 교통 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하고, 100% 기준에서 비율이 줄어들수록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본선(분류 후) 구간과 B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하여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여부를 분석할 수도 있다.
제4 케이스: 지하내 분류후 합류된 후 지상도로로 진출후 연속류/단속류 구간
제4 케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4 케이스는 제3 케이스와 달리, 제1 연결 램프에 의해 차량이 분류된 이후 제2 연결 램프에 의해 합류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제4 케이스에 대한 교통류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구간(지점)은 지상-지하도로 접속부를 지칭하며, 제1 연결 램프로 분류되기 이전 지하도로 구간을 지하본선(분류전) 구간이라 칭하며,제1 연결 램프를 통해 분류되는 분류부, 분류된 이후 지하도로 구간을 지하본선(분류 후)라 칭하기로 한다. 이어, 제2 연결 램프에 의해 합류되는 구간을 합류부라 칭하며, 합류된 이후 지하도로 구간을 지하본선(합류 후) 구간이라 칭하고, 지하도로에서 지상도로로 연결되는 구간을 지하-지상 접속부(B 구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 지점을 통과하여 지하도로로 진입한 교통량 중 지하본선(분류 후) 구간을 통해 B로 향하는 교통량 비율(제5 직진 비율이라 칭하기로 함)과 제1 연결 램프로 진출한 교통량 비율(제3 램프 진출 비율이라 칭하기로 함)을 각각 산정한다.
예를 들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수학식 10 및 수학식 11을 이용하여 제3 램프 진출 비율과 제5 직진 비율을 각각 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2044750705-pat00010
Figure 112022044750705-pat00011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램프제한속도(예를 들어, 60km/h)와 제1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램프 진출 비율과 제5 직진 비율을 이용하여 연결 램프를 통해 진출하는 비율과 연결 램프로 진출하지 않고 지하도로 본선으로 진출하는 비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도로와 연계된 지상도로의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지하도로내 지정체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 구간과 지하본선(분류전) 구간의 처리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분류가 A 구간과 지하본선(분류전) 구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본선(분류전) 구간 교통량/ A 구간 교통량 x 100'이 기준값(100%)이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교통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기준값(100%)를 기준으로 감소하는 경우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 있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A 구간과 지하본선(분류전)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한 후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를 판단하되, 속도차이가 클수록 교통흐름 전방에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본선(합류후)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중 제2 연결 램프(8구간)으로 진입한 교통량 비율(제3 램프 진입 비율이라 칭함)과 직진 비율(제6 직진 비율)을 각각 산정한다.
예를 들어, 수학식 12 및 수학식 13을 이용하여 제6 직진 비율과 제3 램프 진입 비율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2044750705-pat00012
Figure 112022044750705-pat00013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제5 직진 비율에서 제6 직진 비율과 제3 램프 진입 비율을 합한 값을 차감하여 양수값을 가지며 클수록 지하본선(분류 후) 구간으로 진입한 교통량이 제1 연결 램프 구간과 지하본선(합류후) 구간으로 진입하는 비율보다 높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제1 연결 램프 구간과 지하본선(합류후)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하여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본선(합류후) 구간과 B 구간의 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B 구간에서의 교통 조건(연속류 또는 단속류)에 따른 지하본선(합류후) 구간과 B 구간 사이의 혼잡 발생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B 구간의 교통량/지하본선(합류후) 구간 교통량 x 100'을 계산하여 기준값(100%) 이면 교통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하며, 기준값을 기준으로 줄어들수록 위험 상황(즉, 진출부에서 문제 발생)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본선(합류후) 구간과 B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하여 지하본선(합류후) 구간과 B 구간 사이의 혼잡 발생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제5 케이스: 지상-지하 병렬 구조 후 지상도로 진출 후 연속류/단속류 구간
도 6에는 제5 케이스에 대한 도로기하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교통류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 A 지점은 지상 본선(분류전)이며, 해당 A 지점을 통과하여 지하도로로 연결되는 구간을 지상-지하 접속부라 칭하며, 지하 본선 구간에서 지상도로로 진출하는 구간을 지하-지상 접속부라 칭하며 지하-지상 접속부를 통과한 지상도로 구간을 지상본선(분류후)라 칭하기로 한다.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상-지하 접속부 구간과 지하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을 산정한 후 기준값(100%)이면, 교통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하며 기준값을 기준으로 작을수록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상-지하 접속부 구간과 지하 본선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하여 속도차이가 클수록 교통흐름 전방에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 본선 구간과 지하-지상 접속부 구간의 교통량 비율과 속도 차이를 각각 계산한 후 교통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지상 접속부 교통량/지하본선 교통량 x 100'을 계산하여 기준값(100%)에서 감소하는 경우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지하 본선 구간과 지하-지상 접속부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하여 속도 차이가 클수록 교통흐름 전방에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지하도로 도로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6의 지하도로 기하구조는 일 예일 뿐이며, 이외에도 다른 형태의 기하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각 구간의 교통량과 속도를 이용하여 연계되는 연결 램프의 교통 조건(연속류), 지상 교통조건(연속류 또는 단속류)를 고려하여 지하도로 내부 교통 지정체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는 통신부(710), 메모리(720) 및 프로세서(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7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예를 들어, 감지기)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집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7에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도로의 기하구조에 따른 감지 결과를 수집하기 위한 각각의 구간들에는 감지기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신부(710)는 해당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각 구간에 위치된 각 감지기로부터 감지 결과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7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 기하구조와 상류부 교통 상황(연속류 또는 단속류)에 따른 지하도로 내부 교통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7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710), 메모리(72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730)는 메모리(72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되, 해당 실행된 명령어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따른 지하도로 기하구조와 상류부 교통 상황(연속류 또는 단속류)에 따른 지하도로 내부 교통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각각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
710: 통신부
720: 메모리
730: 프로세서

Claims (21)

  1. (a)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각각 수집하는 단계-상기 감지 결과는 각 구간별 차량 통행에 따른 교통량과 차량 속도임; 및
    (b) 상기 지하도로 내부의 도로기하구조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교통량 및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진출 후 연계되는 지상부 도로 연속류 또는 단속류 영향에 따른 상기 지하도로 내부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은 지상도로-지하도로 병렬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분류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합류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합류 후 분류 구조 및 상기 지하도로내 분류 후 합류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이되,
    상기 (a) 단계에서, 지상-지하 접속부,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 분류 또는 합류 구간, 분류 또는 합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 지하-지상 접속부 및 연결 램프 구간 각각의 교통량과 속도를 각 구간의 감지 결과로서 측정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 속도 차이를 계산하고, 속도 차이가 클수록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의 교통량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 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기준 비율보다 감소하는 경우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류 또는 합류 구간과 상기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속도 차이가 음수인 경우,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의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또는 합류 구간과 상기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 차이 계산 결과로,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의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시, 상기 지하도로 본선의 제한속도와 연결 램프의 제한 속도 차이를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이 지하도로내 합류 후 분류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하도로로 진입한 교통량 중 합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1 비율)과 제1 연결 램프를 통해 진입한 교통량 비율(제2 비율)을 각각 산정하고, 상기 합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중 제2 연결 램프로 진출한 교통량 비율(제3 비율)과 분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4 비율)을 산정하되,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을 합한 값에서 상기 제3 비율과 상기 제4 비율을 합한 값을 차감한 결과값이 양수이며 커질수록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와 상기 제1 연결 램프로 진입한 교통량이 상기 제2 연결 램프와 상기 분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으로 진출하는 교통량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이 지하도로내 분류 후 합류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를 통과하여 지하도로로 진입한 교통량 중 분류 후 지하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1 비율)을 산정하고, 분류 후 합류부를 지난 합류후 지하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중 제1 연결 램프를 통해 진출한 교통량 비율(제2 비율)과 분류 후 지하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3 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제1 비율에서 상기 제2 비율과 상기 제3 비율을 합산한 결과값을 차감한 결과가 양수이며 클수록 상기 분류 후 지하 본선 구간으로 진입한 교통량이 상기 제1 연결 램프 구간과 상기 합류 후 지하 본선 구간으로 진입한 교통량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류는 단위 시간 동안 각 구간을 통행한 차량 대수이며,
    상기 차량 속도는 단위 시간 동안 각 구간을 통행한 차량의 평균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이 지상도로-지하도로 병렬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지상-지하 접속부 구간과 지하본선 구간의 교통량 비율과 속도 차이, 지하-지상 접속부 구간과 지하본선 구간의 교통량 비율과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12. 제1 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a)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상기 감지 결과는 각 구간별 차량 통행에 따른 교통량과 차량 속도임; 및
    (b) 상기 지하도로 내부의 도로기하구조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지하도로의 각 구간별 교통량 및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진출 후 연계되는 지상부 도로 연속류 또는 단속류 영향에 따른 상기 지하도로 내부 지정체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은 지상도로-지하도로 병렬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분류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합류 구조, 상기 지하도로내 합류 후 분류 구조 및 상기 지하도로내 분류 후 합류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이되,
    상기 (a) 단계에서, 지상-지하 접속부,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 분류 또는 합류 구간, 분류 또는 합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 지하-지상 접속부 및 연결 램프 구간 각각의 교통량과 속도를 각 구간의 감지 결과로서 측정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 속도 차이를 계산하고, 속도 차이가 클수록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의 교통량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 교통량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기준 비율보다 감소하는 경우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
  17. 삭제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류 또는 합류 구간과 상기 연결 램프 구간의 속도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속도 차이가 음수인 경우,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과 상기 분류 또는 합류 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의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이 지하도로내 합류 후 분류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하도로로 진입한 교통량 중 합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1 비율)과 제1 연결 램프를 통해 진입한 교통량 비율(제2 비율)을 각각 산정하고, 상기 합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중 제2 연결 램프로 진출한 교통량 비율(제3 비율)과 분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4 비율)을 산정하되,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을 합한 값에서 상기 제3 비율과 상기 제4 비율을 합한 값을 차감한 결과값이 양수이며 커질수록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와 상기 제1 연결 램프로 진입한 교통량이 상기 제2 연결 램프와 상기 분류 후 지하도로 본선 구간으로 진출하는 교통량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이 지하도로내 분류 후 합류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지상-지하 접속부를 통과하여 지하도로로 진입한 교통량 중 분류 후 지하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1 비율)을 산정하고, 분류 후 합류부를 지난 합류후 지하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중 제1 연결 램프를 통해 진출한 교통량 비율(제2 비율)과 분류 후 지하 본선 구간을 통과한 교통량 비율(제3 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제1 비율에서 상기 제2 비율과 상기 제3 비율을 합산한 결과값을 차감한 결과가 양수이며 클수록 상기 분류 후 지하 본선 구간으로 진입한 교통량이 상기 제1 연결 램프 구간과 상기 합류 후 지하 본선 구간으로 진입한 교통량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기하구조 조건이 지상도로-지하도로 병렬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지상-지하 접속부 구간과 지하본선 구간의 교통량 비율과 속도 차이, 지하-지상 접속부 구간과 지하본선 구간의 교통량 비율과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교통 지정체 발생 가능성 증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장치.

KR1020220051346A 2022-04-26 2022-04-26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346A KR102473342B1 (ko) 2022-04-26 2022-04-26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346A KR102473342B1 (ko) 2022-04-26 2022-04-26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342B1 true KR102473342B1 (ko) 2022-12-05

Family

ID=8439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346A KR102473342B1 (ko) 2022-04-26 2022-04-26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3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7696A (ja) * 2013-01-16 2014-07-28 Sumitomo Electric System Solutions Co Ltd 交通情報推定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交通情報推定方法
KR101846909B1 (ko) * 2016-09-02 2018-04-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1219B1 (ko) * 2021-04-26 2021-10-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7696A (ja) * 2013-01-16 2014-07-28 Sumitomo Electric System Solutions Co Ltd 交通情報推定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交通情報推定方法
KR101846909B1 (ko) * 2016-09-02 2018-04-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1219B1 (ko) * 2021-04-26 2021-10-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상현외 3. VISSIM을 활용한 도심 지하도로 연결로 위험도 산정을 위한 기초연구:분·합류부 기준 특성 비교. 한국ITS학회논문지. 2021년 10월, pp.59-74.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and et al. Traffic density estimation under heterogeneous traffic conditions using data fusion
CN112419709B (zh) 一种基于路段异质性的快速路事故风险实时预测方法
Sil et al. Operating speed prediction model as a tool for consistency based geometric design of four-lane divided highways
JP5338392B2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García et al. New consistency index based on inertial operating speed
CN114863675B (zh) 基于路警数据融合的重点车辆位置推测与异常报警方法
KR102568047B1 (ko)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311219B1 (ko)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3342B1 (ko)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Aoyama et al. Estimating saturation flow rat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in Japan
CN104952250B (zh) 基于交通场面雷达的交通事件条件下的交通组织方法
Oikonomou et al. From conflicts to crashes: Simulating macroscopic connected and automated driving vehicle safety
KR101436422B1 (ko) 터널 구간특성을 고려한 가변속도 제어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11915880A (zh) 一种高速公路异常事件事发点有效通行能力估计方法
Jain et al. Developing level-of-service criteria for two-lane rural roads with grades under mixed traffic conditions
KR102460841B1 (ko) 지상-지하 도로 교통 수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11402585A (zh) 偶发性拥堵路径的探测方法
CN115204755B (zh) 服务区入区率测算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itzpatrick et al. Guidelines for spacing between freeway ramps
Khan et al. MODIFICATION IN HCM DELAY MODEL FOR ROUNDABOUT FOR MIXED TRAFFIC CONDITIONS-A PILOT STUDY.
Brunauer et al. Deriving driver-centric travel information by mining delay patterns from single GPS trajectories
Ali et al. Risk assessment of horizontal curves using reliability analysis based on Google traffic data
CN117451073A (zh) 一种基于高精地图的匝道路径规划方法、系统及汽车
Raju et al. A simulation study for improving the traffic flow efficiency of an intersection coupled with BRT
Nguyen et al. Safety spaces for overtaking movements in motorcycle traffic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