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219B1 -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219B1
KR102311219B1 KR1020210053530A KR20210053530A KR102311219B1 KR 102311219 B1 KR102311219 B1 KR 102311219B1 KR 1020210053530 A KR1020210053530 A KR 1020210053530A KR 20210053530 A KR20210053530 A KR 20210053530A KR 102311219 B1 KR102311219 B1 KR 10231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road
entering
road sec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충헌
김진국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5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Abstract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은, (a)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복수의 지점에서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상기 대상 도로 구간은 지하 도로임; (b) 상기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복수의 지점에서 수집된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상기 교통량은 상기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단위 시간당 통과한 차량 대수로 계산됨; 및 (c)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각각 산출된 각 교통량을 이용하여 상기 지하도로 유형별 교통량 관계식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Underground road network traffic flow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JC 또는 IC 형태로 다양한 도로망을 형성하는 지상 도로망과 달리 현재 지하내에는 도로망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지상도로를 지하화하는 등 지하내 도로망에 대한 이슈가 제기되며, 향후에는 지상 도로망과 유사한 형태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는 지하 도로에 대한 도로망 자체가 존재하지 않아, 지하 도로망에 대한 교통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 도로망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지점에서의 차량 통행을 감지하여 지하 도로 유형별로 교통류를 상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상도로와 지하도로의 접속부에서의 지하도로 내 교통 상황에 따라 교통 수요 조절을 위한 미터링(metering) 수행에 필수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복수의 지점에서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상기 대상 도로 구간은 지하 도로임; (b) 상기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복수의 지점에서 수집된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상기 교통량은 상기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단위 시간당 통과한 차량 대수로 계산됨; 및 (c)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각각 산출된 각 교통량을 이용하여 상기 지하도로 유형별 교통량 관계식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을 포함하며,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 사이에 입체 교차로가 형성된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 각각의 유입부와 유출부,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의 4개의 연결접속부, 각 연결접속부로의 분기 후 지하도로 본선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A로 진입한 교통량, A-C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A로 진입하여 A-C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한 A-B 본선 지점 교통량, C-B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입하여 B-D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한 B-A 본선 지점 교통량, D-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A로 진출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하여 C-B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하는 C-D 본선 지점 교통량, D로 진출하는 교통량, D로 진입하는 교통량, D로 진입하여 D-A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C로 진출하는 차량 파악을 위한 D-C 본선 지점 교통량 및 C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계산된 A로 진입한 교통량, A-C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A로 진입하여 A-C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한 A-B 본선 지점 교통량, C-B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입하여 B-D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한 B-A 본선 지점 교통량, D-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A로 진출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하여 C-B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하는 C-D 본선 지점 교통량, D로 진출하는 교통량, D로 진입하는 교통량, D로 진입하여 D-A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C로 진출하는 차량 파악을 위한 D-C 본선 지점 교통량 및 C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이용하여 입체 교차로 교통량 관계식을 적용하여 A-B 도로 구간의 양방향 운영 용량과 C-D 도로 구간의 양방향 운영 용량을 도출하여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의 양방향 교통류를 각각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A-B 도로 구간에서 C-D 도로 구간으로 분기되는 지하내 분기 유형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의 유입부와 유출부를 각각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A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입한 후 C로 진출한 교통량, A로 진입한 후 C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각각 계산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계산된 A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입한 후 C로 진출한 교통량, A로 진입한 후 C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기초로 지하내 분기 관련 교통량 관계식을 적용하여 A->B 운용 용량과 C->D 운영 용량을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유형이 A-B 도로 구간으로 합류하는 C-D 도로 구간을 포함하는 지하내 합류 유형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의 유입부와 유출부를 각각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B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출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계산된 B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출한 교통량을 이용하여 B->A 도로 구간의 운용 용량, C-D 도로 구간의 운용 용량을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A-B 지상 도로 구간과 평행한 C 지하도로 구조를 가지는 유형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A-B 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C로의 유입부, 유출부, A-B 지상 도로 구간에서 C 도로 구간으로 분류 후 지상 본선 지점, 지하 본선 지점, A-B 지상 도로 구간에서 C 도로 구간으로 진출하여 합류한 후 지점 각각을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C 도로 구간으로 분류 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분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C 도로 구간과의 합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B로 진출한 교통량, 지하 본선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계산된 분류 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분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C 도로 구간과의 합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B로 진출한 교통량, 지하 본선 교통량을 이용하여 A->B 도로 운용 용량, C 도로 지하 운영 용량을 각각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A-B 지하 도로 본선과 연결된 C 유입 도로와 D 유출 도로 구조를 가지는 유형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A-B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C 유입 도로 구간의 유출부, C 유입 도로와 합류 후 지점, D 유출 도로로의 유출부, D 유출 도로로 분기 후 지점을 각각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A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입한 교통량과 C로 진입한 교통량이 합류한 후 통과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합류한 후 통과한 교통량에서 D로 진출한 교통량을 제외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각 계산된 A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입한 교통량과 C로 진입한 교통량이 합류한 후 통과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합류한 후 통과한 교통량에서 D로 진출한 교통량을 제외한 교통량을 이용하여 A->B 도로 운영 용량, C 유입 도로 운영 용량, D 유출 도로 운용 용량을 각각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A-B 도로 구간과 B->A 도로에서 분기되어 유출되는 D 유출 도로와 D 유출 도로 구간 분기 후 C 유입 도로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유형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A-B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D 유출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C 유입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B->A 방향에서 D 도로 구간으로 분기된 후 지점, C 유입 도로 구간과 합류 후 지점 각각을 통과한 차량을 각각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A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후 D로 진출한 교통량을 제외한 분기 후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과 분기 후 교통량이 합류 후 통과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각 계산된 A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후 D로 진출한 교통량을 제외한 분기 후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과 분기 후 교통량이 합류 후 통과한 교통량을 이용하여 B-A 도로 운영 용량, D 유출 도로 운영 용량, C 유입 도로 운영 용량을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이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이 평행한 구조로 형성되며,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을 연결하는 연결로가 형성된 유형인 경우, A-B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C-D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B-D 연결로, C-A 연결로, B-D 연결로로 분기 후 지점, C-A 연결로로 분기후 지점 각각을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각각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A로 진출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C-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입 후 B-D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하기 위한 분기 후 교통량, C로 진입 후 C-A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하기 위한 분기 후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각 계산된 A로 진출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C-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입 후 B-D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하기 위한 분기 후 교통량, C로 진입 후 C-A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하기 위한 분기 후 교통량을 이용하여 B->A 운영 용량, C->A 운영 용량, B->D 운영 용량, C->D 운영 용량을 각각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a)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복수의 지점에서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상기 대상 도로 구간은 지하 도로임; (b) 상기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복수의 지점에서 수집된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상기 교통량은 상기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단위 시간당 통과한 차량 대수로 계산됨; 및 (c)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각각 산출된 각 교통량을 이용하여 상기 지하도로 유형별 교통량 관계식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지하 도로망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지점에서의 차량 통행을 감지하여 지하 도로 유형별로 교통류를 상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지상도로와 지하도로의 접속부에서의 지하도로 내 교통 상황에 따라 교통 수요 조절을 위한 미터링(metering) 수행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도로 유형 및 지하도로 유형에 따른 상이한 감지 지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도로 유형 및 지하도로 유형에 따른 상이한 감지 지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110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서 차량 통행에 따른 감지 결과를 수집한다.
지하 도로는 도로망이 존재하지 않아 지하 도로의 도로 유형에 따른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하 도로 유형을 각각 정의하고, 각 지하 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지점에 차량 통행에 따른 감지 결과 수집이 가능하도록 감지기를 설치하며, 각 감지기로부터 수집된 감지 결과를 토대로 각 지점의 교통량을 계산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합류 후 지점, 분기 후 지점, 본선 지점 등등에 대해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유입부는 대상 도로 구간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부분으로 정의하기로 하며, 유출부는 해당 대상 도로 구간에서 차량이 진출하는 부분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연결접속부는 분기, 합류, 교차로 등으로 인해 대상 도로 구간과 연결되는 연결로 부분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합류 후 지점은 대상 도로 구간으로 유입 도로가 연결되어 합류된 이후 지점을 나타내고, 분기 후 지점은 대상 도로 구간에서 차량이 유출 도로 또는 분기되는 도로로 진출함에 따라 대상 도로 구간에서 분기된 이후 지점을 나타낸다.
각각의 지점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대상 도로 구간은 지하 도로 유형에 따라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과 유입 도로 구간, 유출 도로 구간, 연결로 중 일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도로는 양방향으로 진입/진출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B 도로 구간은 A로 진입하여 B로 진출하는 A->B 방향과 B로 진입하여 A로 진출하는 B->A 방향으로 차량이 운행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 도로 유형에 따른 차량 통행에 따른 감지 결과를 수집하기 위해 감지기가 설치되는 각각의 지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 케이스(지하 차도 입체 교차로 형성)
제1 케이스는 지하도로내에서 입체 교차로가 형성된 구조이며, 이와 같은 경우 A-B 도로와 C-D 도로는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하도로내에서 입체 교차로를 형성하는 경우, 입체 교차로를 통해 다른 도로 구간으로 유출되거나 다른 도로 구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1 케이스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에 각각 감지기가 설치되며, 입체 교차로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접속부에도 각각 감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입체 교차로를 통해 빠져나간 차량을 제외한 해당 도로 구간을 통과하여 유출되는 차량을 파악하기 위해 연결접속부로 분기된 이후 지점(예를 들어,
Figure 112021048340400-pat00001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02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03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04
)에 감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입체 교차로를 통해 유입되는 차량을 파악하기 위해 연결접속부와 연결된 이후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05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06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07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08
)에 감지기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2) 제2 케이스(지하내에서 분기)
제2 케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도로에서 다른 지하도로로 단순 분기되는 형태이다. 즉, A-B 도로 구간에서 C-D 도로 구간으로 단순 분기되는 형태로, A-B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에 각각 감지기가 설치된다. 또한, C-D 도로 구간으로의 분기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09
)과 유출부에 각각 감지기가 설치된다. 또한, A-B 도로 구간으로 유입된 후 C-D 도로 구간으로 유출된 차량을 제외하고 A-B 도로 구간으로 유출된 차량을 감지하기 위해 C-D 도로 구간으로 분기된 이후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10
)에도 감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3) 제3 케이스(지하내에서 합류)
제3 케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내에서 다른 연결로나 지하도로에 의해 합류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A-B 도로 구간으로 유입되어 유출되는 차량 이외에도 연결로인 C-D 도로 구간으로 유입되는 차량에 대한 감지를 위해 감지기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A-B 도로의 유입부와 유출부에 감지기가 각각 설치되며, C-D 도로 구간의 유입부와 유출부에도 감지기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의 연결로 이후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11
)에도 감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4) 제4 케이스(지상도로와 평행한 형태의 지하도로)
제4 케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도로와 평행한 형태로 지하도로가 형성된 구조이다. 편의상 A-B 도로 구간이 지상 도로 구간인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 도로 구간에서 분류전 지점, 분류 이후 본선 통과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지상 본선 지점, 지하도로 합류후 지점에 각각 감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유입 지점, 지하 본선 지점, 지하도로 유출 지점 각각에 감지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5) 제5 케이스(지하도로와 연결된 3개의 서로 다른 유입 유출도로가 형성된 구조)
제5 케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도로 구간(A-B 도로 구간)으로 유입 도로 구간과 유출되는 다른 유출 도로 구간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경우, A-B 도로 구간에서 유입부(
Figure 112021048340400-pat00012
)와 유출부(
Figure 112021048340400-pat00013
)에 각각 감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A-B 도로 구간으로 유입되는 유입 도로 구간으로 유입되는 유입부(
Figure 112021048340400-pat00014
), 유출부(
Figure 112021048340400-pat00015
)에 각각 감지기가 설치되며, 유입 도로 구간을 통해 A-B 도로 구간으로 유입된 차량을 파악하기 위해 합류 후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16
)에도 감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A-B 도로 구간에서 다른 도로로 유출되는 유출 도로 구간으로 유입되는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17
)과 유출부(
Figure 112021048340400-pat00018
)에 각각 감지기가 설치되며, 유출 도로 구간으로 유출된 이후 A-B 도로 구간을 통과한 차량을 파악하기 위해 분류 후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19
)에 각각 감지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6) 제6 케이스(지하도로와 연결된 서로 다른 유입 유출 도로)
제6 케이스는 제5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지하도로 구간에 연결된 서로 다른 유입 유출 도로가 형성되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제5 케이스는 A-B 도로 구간으로 유입 도로 구간이 연결된 이후 소정 구간 이후에 유출 도로 구간이 연결되는 형태인 반면, 제6 케이스는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A-B 도로 구간에서 유출 도로 구간이 연결된 이후 소정 구간 이후 유입 도로 구간이 연결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각 도로 구간의 유입부와 유출부에 각각 검지기가 설치되며, A-B 도로에서 유출 도로 구간으로 분류된 이후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20
)와 A-B 도로 구간으로 유입되는 합류 후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21
)에도 각각 감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7) 제7 케이스(연결로를 통한 서로 다른 평행한 지하도로)
제7 케이스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이 형성되며,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은 연결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제7 케이스의 경우, 평행한 각 지하 도로의 유입부와 유출부에 감지기가 각각 설치되며, 평행한 두 지하 도로의 연결접속부와 분기 후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22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23
)에 각각 검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망 유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지하도로망 유형에 따라 상이한 감지기 설치지점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단계 115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복수의 지점에서의 수집된 차량 통과에 따른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대상 도로 구간의 각 유입부, 유출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연결접합부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 도로 유형에 따라 대상 도로 구간에서 교통량이 산출되는 지점(위치)가 상이하다. 하기에서는 지하 도로 유형별 대상 도로 구간의 각 지점에서 산출되는 교통량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 케이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제1 케이스인 경우, A-B 도로 구간, C-D 도로 구간의 각각의 유입부(
Figure 112021048340400-pat00024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25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26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27
), 유출부(
Figure 112021048340400-pat00028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29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30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31
, 각각의 연결로(즉, A-C 연결로, C-B 연결로, B-D 연결로, D-A 연결로 각각의 연결접속부(
Figure 112021048340400-pat00032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33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34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35
), 각각의 연결로로 분기된 이후 본선 지점(
Figure 112021048340400-pat00036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37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38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39
) 각각에 설치된 감지기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 당 통과한 차량 대수를 산출하여 A로 진입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D로 진입한 교통량, A-C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C-B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D-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A로 진입하여 A-C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한 교통량, C로 진입하여 C-B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하여 B-D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한 교통량, D로 진입하여 D-A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C로 진출한 교통량, A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출한 교통량, C로 진출한 교통량 및 D로 진출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2) 제2 케이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제2 케이스인 경우,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의 각각의 유입부와 유출부, 그리고, A-B 도로 구간에서 C-D 도로 구간으로 분기 이후 지점 각각에 설치된 감지기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차량 대수를 계산하여 A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입한 후 C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3) 제3 케이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제3 케이스인 경우, A-B 도로 구간과 A-B 도로 구간으로 합류하는 C-D 도로 구간 각각의 유입부, 유출부 및 연결접속부 각각에 설치된 감지기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차량 대수를 계산하여 B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하여 B-A 합류전 교통량, B와 C의 합류 교통량을 각각 산출한다.
(4) 제4 케이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A-B 도로 구간에서 분류전 지점, 분류 이후 본선 통과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지상 본선 지점, 지하도로 합류후 지점에 각각 감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하도로 유입 지점, 지하 본선 지점, 지하도로 유출 지점 각각에 설치된 감지기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차량 대수를 계산하여 A-B 도로 구간에서 분류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분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지하도로에서의 합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지하도로 C로 진입한 교통량, 지하도로 본선 교통량, 지하도로에서 지상도로 B로 진출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5) 제5 케이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A-B 도로 구간에서 A로의 유입부, A-B 도로로 합류하는 C 도로 구간에서 C로의 유입부, C에서의 유출부, 합류 후 지점, D 도로 구간으로의 분기에 따라 D로 유입부, D로의 유출부, D 도로 구간으로의 분기 후 지점, B로의 유출부 각각에 설치된 감지기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차량 대수를 산출하여 A로 진입한 교통량, B로 진출한 교통량, A로 진입한 교통량과 C로 진입한 교통량이 합류 후 통과한 교통량, 합류 후 D로 진출한 교통량을 제외한 분기 후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후 A-B 도로 구간으로 합류하기 직전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A-B 도로에서 D로 합류한 직후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6) 제6 케이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A-B 도로 구간에서 B->A 방향으로의 차량 이동에 대해 B로의 유입부, B로 진입한 후 D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한 분기 후 지점, 분기 후 지점을 통과한 차량과 C 도로 구간을 통과하여 합류되는 합류 후 지점, D로의 유입부, D로 유출부, C로의 유입부, C로의 유출부 각각에 설치된 감지기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차량 대수를 계산하여 B로 진입한 교통량, B로 진입하여 D로 진입한 교통량, B로 진입하여 D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한 분기후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후 B-A 도로 구간으로 합류하기 직전 교통량, 분기 후 교통량과 C에서 진입한 교통량이 합류후 통과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7) 제7 케이스
모니터링 장치(100)는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 각각의 유입부, 유출부와 연결접속부, 연결접속부로의 분기 후 지점 각각에 설치된 감지기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 당 차량 대수를 계산하여 B로 진입한 교통량, B로 진입하여 C-D 도로 구간과 연결되는 연결접속부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중 C-D 도로 구간으로의 연결되는 연결접속부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한 교통량, A로 진출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후 A-B 도로 구간과 연결되는 연결접속부를 통과한 교통량, C로 진입한 후 A-B 도로 구간과 연결되는 연결접속부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하는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100)는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 도로 유형에 따라 서로 상이한 지점을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대상 도로 구간의 각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각각의 교통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120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산출된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교통량을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 도로 유형에 따른 교통량 관계식에 적용하여 대상 도로 구간의 운용 용량을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한다.
이하에서는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 도로 유형에 따른 교통량 관계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 케이스
대상 도로 구간이 지하내 입체 교차로를 형성하는 경우, 대상 도로 구간은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을 포함하며, A-B 도로와 C-D 도로 사이에 연결로가 각각 형성된다.
(1-1) A->B 방향으로의 교통류 모니터링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A->B 방향으로의 교통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하기 수학식과 같이
Figure 112021048340400-pat00040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41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42
을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043
는 A->B 구간의 운영용량(차량 대수/단위 시간)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44
은 C로 진입하여 B로 진출하기 위한 C-B 연결로의 용량(차량 대수/단위 시간)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45
는 A로 진입하여 C로 진출하기 위한 A-C 연결로의 용량(차량 대수/단위 시간)을 나타낸다. 이를 수학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046
여기서,
Figure 112021048340400-pat00047
은 A로 진입한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48
은 B로 진출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49
은 B와 C로 진입하여 D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50
는 A로 진입한 교통량 중 연결접속부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한 교통량을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21048340400-pat00051
는 C로 진입하여 B로 진출하기 위해 C-B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52
는 A로 진입하여 C로 진출하기 위해 A-C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을 나타낸다. 상술한 관계식에서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53
"는 더하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Figure 112021048340400-pat00054
은 결과적으로
Figure 112021048340400-pat00055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56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57
+
Figure 112021048340400-pat00058
과 같이 합계된 교통량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하기의 다른 관계식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잇다.
(1-2) B->A 방향으로의 교통류 모니터링
B-A 방향으로의 교통류 모니터링을 위한 교통량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059
여기서,
Figure 112021048340400-pat00060
는 B->A 구간의 운영 용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61
는 A로 진출한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62
는 B로 진입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63
는 B와 D로 진입하여 A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64
는 B로 진입한 교통량 중 연결접속부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65
는 B로 진입하여 D로 진출하기 위해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66
는 D로 진입하여 A로 진출하기 위해 D-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을 나타낸다. 각각의 교통량, 운용 용량은 단위 시간당 통과한 차량 대수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교통량 및 운용 용량의 단위는 차량 대수/단위 시간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3) C->D 방향으로의 교통류 모니터링
C->D 방향으로의 교통류 모니터링을 위한 교통량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067
여기서,
Figure 112021048340400-pat00068
은 C->D 구간의 운영 용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69
은 C로 진입한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70
은 D로 진출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71
은 B와 C로 진입하여 D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72
는 C로 진입한 교통량 중 연결접속부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73
는 C로 진입하여 B로 진출하기 위해 C-B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74
은 C로 진입하여 B로 진출하기 위한 C-B 연결로의 용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75
은 B로 진입하여 D로 진출하기 위한 B-D 연결로의 용량을 나타낸다.
(1-4) D->C 방향으로의 교통류 모니터링
D->C 방향으로의 교통류 모니터링을 위한 교통량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076
여기서,
Figure 112021048340400-pat00077
은 D->C 구간의 운영 용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78
은 D로 진입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79
는 C로 진출한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80
는 A와 D로 진입하여 C로 진출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81
는 D로 진입한 교통량 중 연결접속부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C로 진출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82
는 D로 진입하여 A로 진출하기 위해 D-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을 나타낸다. (2) 제2 케이스
대상 도로 구간은 A-B 도로 구간과 해당 A-B 도로 구간에서 단순 분기되는 C-D 도로 구간을 가지며, 이와 같은 경우 교통량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083
(3) 제3 케이스
대상 도로 구간은 A-B 도로 구간과 해당 A-B 도로 구간으로 유입되는 유입 도로 구간(C-D 도로)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경우 교통량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084
(4) 제4 케이스
대상 도로 구간은 지상 도로 구간인 A-B 도로 구간과 평행한 지하 도로(C 도로 구간)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경우, 교통량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085
여기서,
Figure 112021048340400-pat00086
은 A→B 구간의 운영용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87
은 C구간의 운영용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88
은 A→B 구간 중 분류 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89
은 A→B 구간 중 합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90
는 C로 진입한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91
은 A→B 구간 중 분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92
은 B로 진출한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093
은 A→B 구간 중 지하도로 본선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94
은 C구간의 운영용량을 나타낸다.
(5) 제5 케이스
대상 도로 구간은 A-B 도로 구간과 유입 도로(C), 유출 도로(D)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교통량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095
Figure 112021048340400-pat00096
여기서,
Figure 112021048340400-pat00097
는 A로 진입한 교통량과 C로 진입한 교통량이 합류 후 통과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098
Figure 112021048340400-pat00099
에서 D로 진출한 교통량을 제외한 교통량을 나타낸다.
(6) 제6 케이스
대상 도로 구간은 B-A 도로 구간과 유출 도로 구간(D)와 유입 도로 구간(C)를 포함하며, 교통량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100
Figure 112021048340400-pat00101
여기서,
Figure 112021048340400-pat00102
는 B로 진입한 교통량이 D로 진출한 후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103
Figure 112021048340400-pat00104
과 C에서 진입한 교통량이 합류 후 통과한 교통량을 나타낸다.
(7) 제7 케이스
대상 도로 구간은 평행한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과 B-D 연결로, C-A 연결로를 가지는 형태이며, 교통량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1048340400-pat00105
Figure 112021048340400-pat00106
여기서,
Figure 112021048340400-pat00107
는 B로 진입한 교통량 중 연결접속부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하기 위한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108
는 C로 진입한 교통량 중 연결접속부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하기 위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109
은 B로 진입하여 D로 진출하기 위해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을 나타내며,
Figure 112021048340400-pat00110
은 C로 진입하여 A로 진출하기 위해 C-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111
은 B로 진입하여 D로 진출하기 위해 B-D 연결로의 용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48340400-pat00112
은 C로 진입하여 A로 진출하기 위해 C-A 연결로의 용량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00)는 통신부(910), 메모리(920) 및 프로세서(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9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다수의 감지기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메모리(920)는 지하 도로 유형에 따른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어등을 저장한다.
프로세서(930)는 모니터링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910), 메모리(92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930)는 메모리(92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30)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 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지점에서의 차량 통과에 따른 교통량을 각각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하 도로 유형에 따른 교통량 관계식에 적용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모니터링 장치
9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Claims (17)

  1. (a)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복수의 지점에서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상기 대상 도로 구간은 지하 도로임;
    (b) 상기 지하도로 유형에 따라 상이한 복수의 지점에서 수집된 차량 통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상기 교통량은 상기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단위 시간당 통과한 차량 대수로 계산됨; 및
    (c)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연결접속부, 분기 후 지점, 합류 후 지점 및 본선 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각각 산출된 각 교통량을 이용하여 상기 지하도로 유형별 교통량 관계식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A-B 도로 구간에서 C-D 도로 구간으로 분기되는 지하내 분기 유형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의 유입부와 유출부를 각각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A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입한 후 C로 진출한 교통량, A로 진입한 후 C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각각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을 포함하며,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 사이에 입체 교차로가 형성된 구조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 각각의 유입부와 유출부,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의 4개의 연결접속부, 각 연결접속부로의 분기 후 지하도로 본선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A로 진입한 교통량, A-C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A로 진입하여 A-C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한 A-B 본선 지점 교통량, C-B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입하여 B-D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한 B-A 본선 지점 교통량, D-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A로 진출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하여 C-B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하는 C-D 본선 지점 교통량, D로 진출하는 교통량, D로 진입하는 교통량, D로 진입하여 D-A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C로 진출하는 차량 파악을 위한 D-C 본선 지점 교통량 및 C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계산된 A로 진입한 교통량, A-C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A로 진입하여 A-C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한 A-B 본선 지점 교통량, C-B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입하여 B-D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한 B-A 본선 지점 교통량, D-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A로 진출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하여 C-B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하는 C-D 본선 지점 교통량, D로 진출하는 교통량, D로 진입하는 교통량, D로 진입하여 D-A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C로 진출하는 차량 파악을 위한 D-C 본선 지점 교통량 및 C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이용하여 입체 교차로 교통량 관계식을 적용하여 A-B 도로 구간의 양방향 운영 용량과 C-D 도로 구간의 양방향 운영 용량을 도출하여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의 양방향 교통류를 각각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계산된 A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입한 후 C로 진출한 교통량, A로 진입한 후 C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B로 진출하는 교통량을 기초로 지하내 분기 관련 교통량 관계식을 적용하여 A->B 운용 용량과 C->D 운영 용량을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유형이 A-B 도로 구간으로 합류하는 C-D 도로 구간을 포함하는 지하내 합류 유형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의 유입부와 유출부를 각각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B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출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계산된 B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출한 교통량을 이용하여 B->A 도로 구간의 운용 용량, C-D 도로 구간의 운용 용량을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A-B 지상 도로 구간과 평행한 C 지하도로 구조를 가지는 유형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A-B 지상 도로 구간의 유입부, C로의 유입부, 유출부, A-B 지상 도로 구간에서 C 도로 구간으로 분류 후 지상 본선 지점, 지하 본선 지점, A-B 지상 도로 구간에서 C 도로 구간으로 진출하여 합류한 후 지점 각각을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C 도로 구간으로 분류 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분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C 도로 구간과의 합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B로 진출한 교통량, 지하 본선 교통량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계산된 분류 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분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C 도로 구간과의 합류 후 지상도로 본선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B로 진출한 교통량, 지하 본선 교통량을 이용하여 A->B 도로 운용 용량, C 도로 지하 운영 용량을 각각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A-B 지하 도로 본선과 연결된 C 유입 도로와 D 유출 도로 구조를 가지는 유형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A-B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C 유입 도로 구간의 유출부, C 유입 도로와 합류 후 지점, D 유출 도로로의 유출부, D 유출 도로로 분기 후 지점을 각각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A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입한 교통량과 C로 진입한 교통량이 합류한 후 통과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합류한 후 통과한 교통량에서 D로 진출한 교통량을 제외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각 계산된 A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A로 진입한 교통량과 C로 진입한 교통량이 합류한 후 통과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합류한 후 통과한 교통량에서 D로 진출한 교통량을 제외한 교통량을 이용하여 A->B 도로 운영 용량, C 유입 도로 운영 용량, D 유출 도로 운용 용량을 각각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의 지하도로 유형이 A-B 도로 구간과 B->A 도로에서 분기되어 유출되는 D 유출 도로와 D 유출 도로 구간 분기 후 C 유입 도로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유형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A-B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D 유출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C 유입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B->A 방향에서 D 도로 구간으로 분기된 후 지점, C 유입 도로 구간과 합류 후 지점 각각을 통과한 차량을 각각 감지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A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후 D로 진출한 교통량을 제외한 분기 후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과 분기 후 교통량이 합류 후 통과한 교통량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각 계산된 A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후 D로 진출한 교통량을 제외한 분기 후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과 분기 후 교통량이 합류 후 통과한 교통량을 이용하여 B-A 도로 운영 용량, D 유출 도로 운영 용량, C 유입 도로 운영 용량을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도로 구간이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이 평행한 구조로 형성되며, A-B 도로 구간과 C-D 도로 구간을 연결하는 연결로가 형성된 유형인 경우, A-B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C-D 도로 구간의 유입부, 유출부, B-D 연결로, C-A 연결로, B-D 연결로로 분기 후 지점, C-A 연결로로 분기후 지점 각각을 통과한 차량을 감지한 각각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A로 진출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C-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입 후 B-D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하기 위한 분기 후 교통량, C로 진입 후 C-A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하기 위한 분기 후 교통량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각 계산된 A로 진출한 교통량, D로 진출한 교통량, B로 진입한 교통량, C로 진입한 교통량, B-D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C-A 연결로를 통과한 교통량, B로 진입 후 B-D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A로 진출하기 위한 분기 후 교통량, C로 진입 후 C-A 연결로로 진출한 차량을 제외하고 D로 진출하기 위한 분기 후 교통량을 이용하여 B->A 운영 용량, C->A 운영 용량, B->D 운영 용량, C->D 운영 용량을 각각 도출하여 교통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도로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16. 삭제
  17. 삭제
KR1020210053530A 2021-04-26 2021-04-26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2311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30A KR102311219B1 (ko) 2021-04-26 2021-04-26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30A KR102311219B1 (ko) 2021-04-26 2021-04-26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219B1 true KR102311219B1 (ko) 2021-10-13

Family

ID=7815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530A KR102311219B1 (ko) 2021-04-26 2021-04-26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2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841B1 (ko) * 2022-05-16 2022-10-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상-지하 도로 교통 수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3342B1 (ko) * 2022-04-26 2022-12-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738A (ko) * 1997-03-18 1998-11-05 이장휘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교차로 시스템
KR100337673B1 (ko) * 1999-05-04 2002-05-22 신부용 2현시신호제어다이아몬드입체교차로
KR20100134840A (ko) * 2009-06-16 2010-12-24 주식회사 우일 교차로 교통정보 실시간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200036472A (ko) * 2018-09-28 2020-04-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교차로의 신호 미터링 운영 방법
KR20210031975A (ko) * 2018-07-26 2021-03-23 에스. 엠. 에스. 스마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스 게엠베하 교차로에서 교통 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738A (ko) * 1997-03-18 1998-11-05 이장휘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교차로 시스템
KR100337673B1 (ko) * 1999-05-04 2002-05-22 신부용 2현시신호제어다이아몬드입체교차로
KR20100134840A (ko) * 2009-06-16 2010-12-24 주식회사 우일 교차로 교통정보 실시간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210031975A (ko) * 2018-07-26 2021-03-23 에스. 엠. 에스. 스마트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스 게엠베하 교차로에서 교통 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KR20200036472A (ko) * 2018-09-28 2020-04-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교차로의 신호 미터링 운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342B1 (ko) * 2022-04-26 2022-12-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102460841B1 (ko) * 2022-05-16 2022-10-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상-지하 도로 교통 수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219B1 (ko) 지하도로네트워크 교통류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Chen et al. Assessing right-turning vehicle-pedestrian conflicts at intersections using an integrated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CN106327870B (zh) 交通大数据采集中交通流分布估计及摄像头布点优化方法
CN106023593B (zh) 一种交通拥堵检测方法和装置
CN111409630A (zh) 一种车辆避障方法、系统及装置
CN107300916A (zh) 用于监控和调节自主车辆的融合系统的性能的方法和设备
CN105976062A (zh) 信号灯时长数据的挖掘方法、出行服务实现方法和装置
JP2002117481A (ja) 有効障害要因を有する交通網における交通状態の判定方法
CN105336166A (zh) 基于车载蓝牙的交通特征参数提取方法
KR102428277B1 (ko) 3d bim-gis 기반 건설장비·안전 관제 시스템 및 활용 방법
CN109166312B (zh) 行车轨迹基于路网数据的自动化违规检测系统及方法
WO2012111138A1 (ja) 歩行者移動情報検出装置
CN110174116A (zh) 生成导航播报内容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4574979A (zh) 机动车行经人行横道不依法让行行为的拍照系统及方法
WO2022179321A1 (zh) 一种道路检测设备布设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460841B1 (ko) 지상-지하 도로 교통 수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11951544A (zh) 一种监测点位的确定方法及装置
CN112923941A (zh) 路线规划方法、数据挖掘方法、相应的装置及电子设备
JP2007011596A (ja) 経路旅行時間推定予測装置および方法
CN103726739A (zh) 一种电动折叠门的保护方法、保护系统及电动折叠门
US201202536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Tian et al. Parallax error in video-image systems
KR102473342B1 (ko) 지하도로 교통류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Verma et al. Unsupervised annotated city traffic map generation
KR102296025B1 (ko) 거리 레이저 파형 및 차량번호인식 결과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