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486B1 -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486B1
KR102472486B1 KR1020220094393A KR20220094393A KR102472486B1 KR 102472486 B1 KR102472486 B1 KR 102472486B1 KR 1020220094393 A KR1020220094393 A KR 1020220094393A KR 20220094393 A KR20220094393 A KR 20220094393A KR 102472486 B1 KR102472486 B1 KR 10247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witchboard
mounting
ho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락
Original Assignee
(유)다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다온시스 filed Critical (유)다온시스
Priority to KR102022009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486B1/ko
Priority to KR1020220112365A priority patent/KR102495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05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using electro- or magnetostrictive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은, 수배전반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어 지면의 진동이 감쇄된 채, 수배전반에 전달되도록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에 있어서, 수배전반 및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는 면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면진장치는,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 연결부, 지면에 접촉되어 상부측에 안착된 수배전반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연결부 및 상기 상부 연결부와 상기 하부 연결부를 매개하는 매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개부는, 미끄럼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연결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과 상기 상부 연결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비동시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A distributing board with isolation}
본 발명은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의 진동이 감쇄된 채, 수배전반에 전달되도록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소비전력량이 높은 전력소비장비가 구비되거나 소비전력량은 낮지만 전력소비장비를 많이 보유하는 빌딩이나 공장에서는 변전소로부터 22,900V의 고압전력을 공급받아 220V 또는 380V의 상용전력으로 변압하여 사용하고 있다.
빌딩이나 공장에 마련된 전력설비에는 고압전력을 상용전력으로 변압하기 위해 고압전력을 공급받아 변압하여 상용전력으로 배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배전반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수배전반은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등일 수 있다.
수배전반은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 함체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인입구와 자동구간개폐기와 피뢰기와 파워퓨즈와 변압변류기와 적산전력계와 변압기와 주차단기 및 부하차단기 등의 각종 수배전부속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배전반은 전력소비장비의 작동과 소방안전설비의 비상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상용전력을 상시 공급해야 한다. 기후 및 환경 변화에 의해 크고 작은 지진의 발생 빈도수가 늘어남에 따라 지진 시 수배전부속모듈을 보호하여 상용전력 공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수배전반에 방진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수배전반용 방진 장치는 대부분 수배전반 본체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상판과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판의 사이에 방진고무나 탄성부재가 설치된 구조로서, 바닥을 통해 수배전반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고자 한 것이다. 이 때, 진동은 지진에 의한 진동 뿐만 아니라, 일상진동(차단기 개폐진동, 모터 및 펌프진동, 밸브진동, 교통진동, 변압기 진동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방진고무나 탄성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나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제대로 흡수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수배전반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과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 모두를 흡수 및 상쇄시켜 지진으로부터 수배전반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전력 수급과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수배전반용 면진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278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예상치 못한 외력(지진 등)이 수배전반에 인가된 경우, 진동을 흡수하고, 상쇄시켜 외력에 의한 수배전반의 전도 또는 수배전반의 손상/파손을 최소화하여, 수배전반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전력 수급과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은, 수배전반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어 지면의 진동이 감쇄된 채, 수배전반에 전달되도록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에 있어서, 수배전반 및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는 면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면진장치는,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 연결부, 지면에 접촉되어 상부측에 안착된 수배전반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연결부 및 상기 상부 연결부와 상기 하부 연결부를 매개하는 매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개부는, 미끄럼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연결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과 상기 상부 연결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비동시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매개부는,상기 상부 연결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상부 장착부, 상기 하부 연결부의 상면에 연결되는 하부 장착부, 상기 상부 장착부의 상기 하부 장착부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부 및 상기 하부 장착부의 상기 상부 장착부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접촉되는 하부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는, 각각의 테두리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기본위치에서, 각각의 테두리가 어긋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호 미끄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매개부는,상기 상부 장착부 또는 상기 하부 장착부에 연결된 채,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의 미끄럼 접촉 시, 위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부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의 상기 기본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의 임계점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위치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밴드부는,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는 길이밴드편 및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의 폭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는 폭밴드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길이밴드편과 상기 폭밴드편은, 상호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길이밴드편은, 상기 상부 장착부에 장착된 채,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연결하며, 상기 폭밴드편은, 상기 하부 장착부에 장착된 채,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상부 장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길이밴드편의 양끝단이 삽입된 채, 고정되는 상부 밴드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길이밴드편은, 양끝단의 크기가 상기 상부 밴드장착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장착부에 종속되며, 상기 하부 장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폭밴드편의 양끝단이 삽입된 채, 고정되는 하부 밴드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폭밴드편은, 양끝단의 크기가 상기 하부 밴드장착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장착부에 종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길이밴드편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매개하며, 상기 상부 장착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길이형성부 및 상기 길이형성부의 종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길이형성부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 채, 상기 상부 장착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상부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폭밴드편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매개하며, 상기 하부 장착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폭형성부 및 상기 폭형성부의 종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폭형성부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 채, 상기 하부 장착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하부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상부 걸림부의 인장 강도의 크기는, 상기 길이형성부의 인장 강도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하부 걸림부의 인장 강도의 크기는, 상기 폭형성부의 인장 강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는, 상기 상부 밴드장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상부 밴드관통홀 및 상기 하부 밴드장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상부 밴드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는, 상기 상부 밴드장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하부 밴드관통홀 및 상기 하부 밴드장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밴드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길이밴드편은, 상기 제1 상부 밴드관통홀과 제1 하부 밴드관통홀을 경유한 채, 상기 상부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폭밴드편은, 상기 제2 하부 밴드관통홀과 상기 제2 상부 밴드관통홀을 경유한 채, 상기 하부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은, 상기 제1 상부 밴드관통홀과 상기 제2 상부 밴드관통홀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를 관통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하부 밴드관통홀과 상기 제2 하부 밴드관통홀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관통되어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제1 상부 밴드관통홀과 상기 제2 상부 밴드관통홀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의 테두리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밴드관통홀과 상기 제2 하부 밴드관통홀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의 테두리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은, 상기 상부 장착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완충부 및 상기 하부 장착부와 상기 하부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완충부 및 상기 하부 완충부는, 수직 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한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상부 완충부는, 상기 상부 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부는 저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상부 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완충부는, 상기 상부 함입부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 인가 시, 상기 상부 연결부와 연동되고, 상기 하부 완충부는, 상기 하부 장착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는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하부 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완충부는, 상기 하부 함입부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 인가 시, 상기 하부 연결부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은, 상기 상부 장착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자석부 및 상기 하부 장착부와 상기 하부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자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자석부와 상기 하부 자석부는, 같은 극으로 형성되어 상호 척력이 작용하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는, 미끄럼 접촉 시, 상기 척력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은,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는 전자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 전자석편 및 지면에 안착된 채,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전자석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은,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되, 바닥면의 진동 세기를 감지하는 진동감지부 및 상기 진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에 따라서,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이 구동되어 상호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상기 진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이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은,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 모서리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부 및 상기 근접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값에 따라서,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이 구동되어 상호 인력이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수배전반 본체의 전도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은,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 모서리와 지면을 매개하되,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과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텐션이 변화되는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는,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 모서리와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 한계를 규정하여, 수배전반 본체의 전도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기 수배전반 본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함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외함부의 내측 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설치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함부와 상기 설치판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외함부의 진동이 감쇄된 채, 상기 설치판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본체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에 인가된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지면과 연결된 하부 연결부는 지면과 즉각적으로 연동되나, 매개부를 매개로 연결된 상부 연결부는 상기 하부 연결부의 위치 이동에 연동되되, 상기 매개부에 의해 완충된 상태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하부 연결부의 급격한 위치 이동과 급격한 위치 변화에 따른 충격이 수배전반 본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면진장치는, 인가된 외력(지진 등) 인가가 멈춘 경우, 기 설정된 위치로 복귀되어, 수배전반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진장치는,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 사이에 완충부를 두어, 지진 발생시 수배전반에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수배전반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진장치는,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 사이에 자석에 의한 척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면접촉에 따른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배전반 본체와 지면 사이에 전자석부를 두어, 지진 발생 시에는 면진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하고, 지진 종료 시에는 기 설정된 위치로의 수배전반 복귀에 사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수배전반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진장치는, 장/단주기 지진 모두에 적용가능 하며, 장주기 지진에도 공진 발생이 없을 수 있다. (고유 주파수 0.25Hz)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상부 장착부 및 하부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본체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상부 장착부 및 하부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1)은, 수배전반(1)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의 진동이 감쇄된 채, 수배전반에 전달되도록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은, 수배전반 본체(10) 및 상기 수배전반 본체(10)의 저면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는 면진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면진장치(20)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원형 또는 각과 원호를 포함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면진장치(20)는, 상부 연결부(21), 하부 연결부(23) 및 매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결부(21)는, 상기 수배전반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부(23)는, 지면에 접촉되어 상부측에 안착된 수배전반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25)는, 상기 상부 연결부(21)와 상기 하부 연결부(23) 사이에 배치된 채, 양자를 매개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25)는, 미끄럼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연결부(23)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과 상기 상부 연결부(21)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비동시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개부(25)는, 미끄럼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연결부(23)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즉각적으로 상기 상부 연결부(21)의 위치 이동에 반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면에 인가된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하부 연결부(23)는 지면과 즉각적으로 연동되나, 상기 매개부(25)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상부 연결부(21)는 상기 하부 연결부(23)의 위치 이동에 연동되되, 상기 매개부(25)에 의해 완충된 상태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하부 연결부(23)의 급격한 위치 이동과 급격한 위치 변화에 따른 충격이 수배전반 본체(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상부 연결부(21)는 상기 하부 연결부(23)의 위치 이동 거리보다 작은 거리를 위치 이동하며, 상기 하부 연결부(23)의 위치 변화 속도보다 느린 위치 변화 속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20)의 매개부(25)는, 상부 장착부(251), 하부 장착부(252), 상부 슬라이딩부(253), 하부 슬라이딩부(254) 및 밴드부(2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장착부(251)는, 상기 상부 연결부(21)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장착부(252)는, 상기 하부 연결부(23)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는, 상기 상부 장착부(251)의 상기 하부 장착부(252)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는, 상기 하부 장착부(252)의 상기 상부 장착부(251)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슬라이딩부는, 각각의 테두리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기본위치(도 4의 왼쪽 상단 도면 참조)에서, 각각의 테두리가 어긋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위치(도 4의 오른쪽, 아래쪽 도면 참조)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호 미끄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밴드부(255)는, 상기 상부 장착부(251) 또는 상기 하부 장착부(252)에 연결된 채,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의 미끄럼 접촉 시, 위치 이동 한계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밴드부(255)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의 상기 기본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의 임계점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위치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255)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는 길이밴드편(255a) 및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의 폭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는 폭밴드편(25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밴드편(255a)과 상기 폭밴드편(255b)은, 상호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길이밴드편(255a)은, 상기 상부 장착부(251)에 장착된 채,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폭밴드편(255b)은, 상기 하부 장착부(252)에 장착된 채,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장착부(25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길이밴드편(255a)의 양끝단이 삽입된 채, 고정되는 상부 밴드장착홀(25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길이밴드편(255a)은, 양끝단의 크기가 상기 상부 밴드장착홀(25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장착부(251)에 종속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장착부(25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폭밴드편(255b)의 양끝단이 삽입된 채, 고정되는 하부 밴드장착홀(252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폭밴드편(255b)은, 양끝단의 크기가 상기 하부 밴드장착홀(252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장착부(252)에 종속될 수 있다.
상기 길이밴드편(255a)은 길이형성부(256) 및 상부 걸림부(25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길이형성부(256)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를 매개하며, 상기 상부 장착부(25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림부(257)는, 상기 길이형성부(256)의 종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길이형성부(256)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 채, 상기 상부 장착부(251)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림부(257)는, 상기 상부 밴드장착홀(25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길이형성부(256)의 양측단은 상기 상부 걸림부(257)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에 종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걸림부(257)의 인장 강도의 크기는, 상기 길이형성부(256)의 인장 강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폭밴드편(255b)은 폭형성부(258) 및 하부 걸림부(25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폭형성부(258)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를 매개하며, 상기 하부 장착부(252)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림부(259)는, 상기 폭형성부(258)의 종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폭형성부(258)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 채, 상기 하부 장착부(252)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림부(259)는, 상기 하부 밴드장착홀(252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폭형성부(258)의 양측단은 상기 하부 걸림부(259)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에 종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걸림부(259)의 인장 강도의 크기는, 상기 폭형성부(258)의 인장 강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는, 상기 상부 밴드장착홀(25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상부 밴드관통홀(253a) 및 상기 하부 밴드장착홀(252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상부 밴드관통홀(253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는, 상기 상부 밴드장착홀(25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하부 밴드관통홀(254a) 및 상기 하부 밴드장착홀(252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밴드관통홀(254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길이밴드편(255a)은, 상기 제1 상부 밴드관통홀(253a)과 제1 하부 밴드관통홀(254a)을 경유한 채, 상기 상부 장착부(25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폭밴드편(255b)은, 상기 제2 하부 밴드관통홀(254b)과 상기 제2 상부 밴드관통홀(253b)을 경유한 채, 상기 하부 장착부(25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밴드관통홀(253a)과 상기 제2 상부 밴드관통홀(253b)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를 관통되어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밴드관통홀(254a)과 상기 제2 하부 밴드관통홀(254b)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를 관통되어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밴드관통홀(253a)과 상기 제1 하부 밴드관통홀(254a)은, 상기 길이형성부(256)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길이형성부(256)의 신축 시, 맞닿은 플레이트부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상부 밴드관통홀(253b)과 상기 제2 하부 밴드관통홀(254b)은, 상기 폭형성부(258)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폭형성부(258)의 신축 시, 맞닿은 플레이트부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서 상기 제1 상부 밴드관통홀(253a')과 상기 제2 상부 밴드관통홀(253b')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의 테두리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밴드관통홀(254a')과 상기 제2 하부 밴드관통홀(254b')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의 테두리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12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면진장치(20)에 상부 완충부(31) 및 하부 완충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완충부(31)는, 상기 상부 장착부(1251)와 상기 상부 연결부(1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완충부(32)는, 상기 하부 장착부(1252)와 상기 하부 연결부(12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완충부(31)와 상기 하부 완충부(32)는, 수직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하는 고무 재질이나, 완충스프링 또는 와이어로프 완충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완충부(31) 및 상기 하부 완충부(32)는, 수직 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한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220)는,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면진장치(20)에 상부 완충부(31') 및 하부 완충부(32')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부 완충부(31')는, 상기 상부 장착부(22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연결부(221)는 저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상부 함입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완충부(31')는, 상기 상부 함입부(211)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 인가 시, 상기 상부 연결부(121)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완충부(31)의 높이는 상기 상부 함입부(211)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연결부(221)와 상기 상부 장착부(2251) 사이의 미세한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완충부(31')가 완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완충부(32')는, 상기 하부 장착부(225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부(223)는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하부 함입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완충부(32')는, 상기 하부 함입부(231)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 인가 시, 상기 하부 연결부(223)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완충부(32')의 높이는 상기 하부 함입부(231)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연결부(223)와 상기 하부 장착부(2252) 사이의 미세한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완충부(32')가 완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20)를 구비한 수배전반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수배전반에 전자석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부(50)는, 상기 수배전반 본체(10)의 저면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부(50)는, 상기 수배전반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 전자석편(51) 및 지면에 안착된 채, 상기 상부 전자석편(51)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전자석편(5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면진장치(20)를 구비한 수배전반은 진동감지부(60) 및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부(60)는, 수배전반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되되, 바닥면의 진동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진동감지부(60)에 의해 감지된 값에 따라서, 상기 상부 전자석편(51)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52)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진동감지부(60)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상부 전자석편(51)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이 구동되어 상호 인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진동감지부(60)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상부 전자석편(51)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이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70)는, 지진 발생 시(진동감지부(60)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에는 면진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하고, 지진 종료 시(진동감지부(60)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기 설정된 위치로의 수배전반 복귀에 사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수배전반을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센서부 대신 근접센서부(80)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부(80)는, 수배전반 본체(10)의 저면 모서리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이격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근접센서부(80)에 의해 감지된 값에 따라서, 상기 상부 전자석편(51)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52)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근접센서부(80)에 의해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상부 전자석편(51)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52)이 구동되어 상호 인력이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수배전반 본체(10)의 전도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42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면진장치(20)에 상부 자석부(41) 및 하부 자석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자석부(41)는, 상기 상부 장착부(4251)와 상기 상부 연결부(4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자석부(42)는, 상기 하부 장착부(4252)와 상기 하부 연결부(42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자석부(41)와 상기 하부 자석부(42)는, 같은 극으로 형성되어 상호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253)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254)는, 미끄럼 접촉 시, 상기 척력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의 본체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의 상기 수배전반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함부(11)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외함부(11)의 내측 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설치판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배전반은 본체 완충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완충부(90)는, 상기 외함부(11)와 상기 설치판부(13)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외함부(11)의 진동이 감쇄된 채, 상기 설치판부(13)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완충부(90)는, 복수의 완충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완충 스프링은 일측은 상기 외함부(11)의 내측 후면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설치판부(13)에 체결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코일 스프링에 형성되어, 상기 외함부(11)의 위치 이동에 따른 충격을 코일 스프링이 완충한 채, 상기 설치판부(13)에 전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10: 수배전반 본체 20: 면진장치
21: 상부 연결부 23: 하부 연결부
25: 매개부 251: 상부 장착부
252: 하부 장착부 253: 상부 슬라이딩부
254: 하부 슬라이딩부 255: 밴드부
31: 상부 완충부 32: 하부 완충부
41: 상부 자석부 42: 하부 자석부
50: 전자석부 51: 상부 전자석편
52: 하부 전자석편 60: 진동감지부
70: 제어부 80: 근접센서부
90: 본체 완충부

Claims (18)

  1. 수배전반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의 진동이 감쇄된 채, 수배전반에 전달되도록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에 있어서,
    수배전반 본체; 및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는 면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면진장치는,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 연결부;
    지면에 접촉되어 상부측에 안착된 수배전반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연결부; 및
    상기 상부 연결부와 상기 하부 연결부를 매개하는 매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개부는,
    미끄럼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연결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과 상기 상부 연결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비동시적으로 연동되고,
    상기 매개부는,
    상기 상부 연결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상부 장착부,
    상기 하부 연결부의 상면에 연결되는 하부 장착부,
    상기 상부 장착부의 상기 하부 장착부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부 및
    상기 하부 장착부의 상기 상부 장착부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접촉되는 하부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는, 각각의 테두리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기본위치에서, 각각의 테두리가 어긋나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호 미끄럼 접촉하고,
    상기 매개부는,
    상기 상부 장착부 또는 상기 하부 장착부에 연결된 채,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의 미끄럼 접촉 시, 위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부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의 상기 기본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의 임계점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는 길이밴드편 및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의 폭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는 폭밴드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길이밴드편과 상기 폭밴드편은, 상호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밴드편은,
    상기 상부 장착부에 장착된 채,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연결하며,
    상기 폭밴드편은,
    상기 하부 장착부에 장착된 채,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길이밴드편의 양끝단이 삽입된 채, 고정되는 상부 밴드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길이밴드편은,
    양끝단의 크기가 상기 상부 밴드장착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장착부에 종속되며,
    상기 하부 장착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폭밴드편의 양끝단이 삽입된 채, 고정되는 하부 밴드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폭밴드편은,
    양끝단의 크기가 상기 하부 밴드장착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장착부에 종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밴드편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매개하며, 상기 상부 장착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길이형성부 및 상기 길이형성부의 종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길이형성부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 채, 상기 상부 장착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상부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폭밴드편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매개하며, 상기 하부 장착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폭형성부 및 상기 폭형성부의 종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폭형성부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 채, 상기 하부 장착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하부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림부의 인장 강도의 크기는, 상기 길이형성부의 인장 강도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하부 걸림부의 인장 강도의 크기는, 상기 폭형성부의 인장 강도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는,
    상기 상부 밴드장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상부 밴드관통홀 및 상기 하부 밴드장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상부 밴드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는,
    상기 상부 밴드장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하부 밴드관통홀 및 상기 하부 밴드장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밴드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길이밴드편은,
    상기 제1 상부 밴드관통홀과 제1 하부 밴드관통홀을 경유한 채, 상기 상부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폭밴드편은,
    상기 제2 하부 밴드관통홀과 상기 제2 상부 밴드관통홀을 경유한 채, 상기 하부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밴드관통홀과 상기 제2 상부 밴드관통홀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를 관통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하부 밴드관통홀과 상기 제2 하부 밴드관통홀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를 관통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밴드관통홀과 상기 제2 상부 밴드관통홀은,
    상기 상부 슬라이딩부의 테두리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밴드관통홀과 상기 제2 하부 밴드관통홀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부의 테두리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착부와 상기 상부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완충부; 및
    상기 하부 장착부와 상기 하부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완충부 및 상기 하부 완충부는,
    수직 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한 진동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완충부는,
    상기 상부 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부는 저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상부 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완충부는, 상기 상부 함입부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 인가 시, 상기 상부 연결부와 연동되고,
    상기 하부 완충부는,
    상기 하부 장착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는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하부 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완충부는, 상기 하부 함입부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 인가 시, 상기 하부 연결부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는 전자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 전자석편 및
    지면에 안착된 채,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전자석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16. 제15항에 있어서,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되, 바닥면의 진동 세기를 감지하는 진동감지부; 및
    상기 진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에 따라서,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이 구동되어 상호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상기 진동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이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17. 제15항에 있어서,
    수배전반 본체의 저면 모서리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부; 및
    상기 근접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값에 따라서,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값이 기 설정된 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상부 전자석편과 상기 하부 전자석편이 구동되어 상호 인력이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수배전반 본체의 전도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본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함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외함부의 내측 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설치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함부와 상기 설치판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외함부의 진동이 감쇄된 채, 상기 설치판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본체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KR1020220094393A 2022-07-29 2022-07-29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47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393A KR102472486B1 (ko) 2022-07-29 2022-07-29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0220112365A KR102495866B1 (ko) 2022-07-29 2022-09-05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393A KR102472486B1 (ko) 2022-07-29 2022-07-29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365A Division KR102495866B1 (ko) 2022-07-29 2022-09-05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486B1 true KR102472486B1 (ko) 2022-12-01

Family

ID=844407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393A KR102472486B1 (ko) 2022-07-29 2022-07-29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0220112365A KR102495866B1 (ko) 2022-07-29 2022-09-05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365A KR102495866B1 (ko) 2022-07-29 2022-09-05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2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758B1 (ko) 2023-04-20 2023-09-22 김선중 배전반
KR102619215B1 (ko) 2023-05-09 2023-12-29 김선중 배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79B1 (ko) 2012-10-24 2014-08-0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방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582313B1 (ko) * 2015-08-26 2016-01-05 (주)유성계전 내진 수배전반
KR101888094B1 (ko) * 2018-02-09 2018-08-14 손성민 수배전반 내진용 면진 장치
KR20210127294A (ko) * 2020-04-13 2021-10-22 정희선 내진 설계용 배전반 내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458B1 (ko) * 2018-02-21 2018-09-20 (주)신호엔지니어링 수배전반용 마그넷 면진장치
KR101875560B1 (ko) * 2018-05-24 2018-07-06 (주)신호엔지니어링 수배전반용 마그넷 면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79B1 (ko) 2012-10-24 2014-08-0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방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582313B1 (ko) * 2015-08-26 2016-01-05 (주)유성계전 내진 수배전반
KR101888094B1 (ko) * 2018-02-09 2018-08-14 손성민 수배전반 내진용 면진 장치
KR20210127294A (ko) * 2020-04-13 2021-10-22 정희선 내진 설계용 배전반 내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758B1 (ko) 2023-04-20 2023-09-22 김선중 배전반
KR102619215B1 (ko) 2023-05-09 2023-12-29 김선중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866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866B1 (ko)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702349B1 (ko) 평상시 사용성이 개선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20150121405A (ko) 수변전 및 배전설비용 내진장치
KR101530347B1 (ko)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KR101889304B1 (ko) 지능형 면진 배전반
KR101505629B1 (ko)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기기 설치용 가대
KR101765535B1 (ko) 내진을 위한 케이블 인입선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20140030878A (ko) 내진보강장치
KR101704468B1 (ko) 수직보강부재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2155297B1 (ko) 분배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의 스마트 내진장치
KR101419308B1 (ko) 3차원 지진격리장치를 갖춘 이중마루 모듈
KR101860922B1 (ko) 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765489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내진장치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20180053826A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740966B1 (ko) 3차원 유동 내진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102309867B1 (ko) 내진 완충 장치와 코일 스프링을 겸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2105205B1 (ko) 배전반
KR102106523B1 (ko)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742301B1 (ko) 면진 및 내진장치가 구비되는 배전반
KR102077294B1 (ko) 전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장치용 면진 장치
KR101739101B1 (ko) 내진 기능의 케이블 지지 장치를 갖춘 배전반
KR102325402B1 (ko) 수변전반용 면진장치
KR101640439B1 (ko) 상시 하중 보호기능을 갖는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705585B1 (ko) 상시 진동방진구와 감쇠 스톱퍼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74205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