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465B1 -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465B1
KR102472465B1 KR1020150108905A KR20150108905A KR102472465B1 KR 102472465 B1 KR102472465 B1 KR 102472465B1 KR 1020150108905 A KR1020150108905 A KR 1020150108905A KR 20150108905 A KR20150108905 A KR 20150108905A KR 102472465 B1 KR102472465 B1 KR 10247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value
striking rod
mobility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892A (ko
Inventor
홍승철
김명수
백형권
Original Assignee
아크로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로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크로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4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8Non-rotating tool holders, e.g. vibrating, oscillating, nut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 A61C3/164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acting by percu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립된 임플란트에 타격을 가하여 진동을 유발시키기는 타격봉과, 타격봉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타격봉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타격봉이 임플란트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과 동시에 타격봉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읽어 들이는 감지센서와, 상기 타격봉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타격봉의 기울기 값을 측정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읽어 들인 상기 타격봉과 임플란트의 접촉여부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기울기센서로부터 입력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측정한 기울기 값으로 보정하고, 상기 보정한 진동정보 값을 상기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요도를 포함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의 동요도 측정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OSCILLATION MEASUR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FOR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 후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견고하게 식립 되었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임플란트의 흔들림 정도(동요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를 시술 받은 사람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짧은 시간에 정확하게 식립된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동요도 측정기는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가 일정한 강도 이상으로 견고하게 식립 되었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임플란트에 타격을 가하여 반발력과 반발속도 등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현재까지 시중에 보급된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는 타격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타격한 후 임플란트의 반발력과 반발속도, 접촉시간 등을 측정하여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파악한다.
또한 이러한 동요도 측정기는 정확한 동요도 측정을 위해 식립된 임플란트에 소정의 타격 대상물을 설치하고, 이를 타격장치로 타격하여 타격 대상물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거나, 별도의 타격 대상물을 설치하지는 않으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올바를 측정 자세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자세로 반복적으로 측정을 시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나 그 제어 방법 들은 식립된 임플란트에 별도의 타격 대상물을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있거나, 타격봉을 임플란트의 측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서 타격할 수 있도록 올바른 자세를 확보하기 위하여 측정 장치를 임플란트 식립자의 구강 안쪽으로 무리하게 집어넣거나, 다양한 자세로 측정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임플란트 식립자에게 불편을 야기하고, 더 나아가 임프란트에 충격을 가하는 측정 동작을 반복함으로 인해 식립된 임플란트의 결합 강도에 문제를 야기하는 수가 있었다.
특히 측정기의 기울임 정도나, 타격봉과 임플란트 구조물간의 거리, 타격 위치 등에 의한 측정 오차로 인해 측정치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가 있었다.
JP 1992279157 A JP 1993285162 A JP 2008048992 A KR 1020140119558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측정 자세나 측정기와 측정 대상 임플란트와의 거리 등, 외부 요소로 인한 측정값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측정자에게 측정기의 정상 동작 범위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측정 후 결과치에 대한 편차 분석을 통해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측정 과정이나 측정 결과를 출력수단으로 출력함으로써 측정자로 하여금 측정의 편리함과 정확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동요도 측정 시 올바른 측정자세 확보를 위해 임플란트 식립자의 구강 안쪽으로 측정기를 무리하게 반복적으로 접근시키는 과정에 임플란트 식립자에게 불편을 야기하는 것을 최소화 하고, 나아가 식립된 임플란트의 고정력에 악영향을 줄이면서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식립된 임플란트에 타격을 가하여 진동을 유발시키기는 타격봉과; 상기 타격봉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타격봉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타격봉이 타격 대상 임플란트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타격봉에 타격력을 가하였을 때 상기 타격봉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읽어 들이는 감지센서와; 상기 타격봉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타격봉의 기울기 값을 측정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읽어 들인 상기 타격봉과 임플란트의 접촉여부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기울기센서로부터 입력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측정한 기울기 값으로 보정하고, 상기 보정한 진동정보 값을 상기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측정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타격봉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울기센서는 상기 타격봉과 동일 축선 상에 설치하거나 상기 타격봉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상기 타격봉이 상기 임플란트의 측면으로 부터 대략 직각이 되는 수평 방향에서 타격한 진동정보 값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1회 측정 시 상기 타격봉이 타격 동작을 미리 정해진 횟수로 반복 구동하여 측정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도록 하고, 상기 반복 측정 동작 중에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기울기센서의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측정 동작의 측정된 동요도 값은 무효 처리하고, 그 외에 정상적으로 측정된 동요도 값들 만을 평균하여 상기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측정결과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부져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 방법 측면에서 과제의 해결 수단은, 타격봉을 임플란트에 접촉한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식립된 임플란트에 타격을 가하여 임플란트에 진동을 유발시키기는 진동 유발단계와; 상기 타격봉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타격봉이 타격 대상 임플란트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진동 유발단계에서 발생된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읽어 들이는 진동정보 검출단계와; 상기 타격봉과 동일 축선 또는 평행하게 설치된 기울기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타격봉의 기울기 값을 측정하는 자세정보 측정단계와; 상기 진동정보 검출단계에서 읽어 들인 상기 타격봉과 임플란트의 접촉여부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자세 측정단계로부터 입력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진동정보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상기 자세정보 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자세정보 값으로 보정하는 진동정보 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진동정보 값을 상기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진동정보 보정단계는 상기 자세정보 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자세정보 값을 이용하여 상기 타격봉이 임플란트의 측면으로부터 대략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에서 타격한 진동정보 값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유발단계와, 상기 진동 검출단계와, 자세정보 측정단계와, 진동정보 보정단계를 일정한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로 반복하여 시행하고, 상기 반복 동작 중에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기울기센서의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구간에서 측정된 동요도 값은 무효처리하며, 그 외에 정상적인 동작에 의해 측정한 동요도 값들을 평균 값으로 연산하여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단계를 반복 시행하여 얻은 임플란트 동요도 값 중에서 최대 측정 값과 최소 측정 값은 제외하고 나머지 동요도 값들 만을 평균 값으로 연산하여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격봉과 임플란트의 미접촉 신호와 상기 타격봉의 기울기 값이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는 부져음이거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측정자가 타격봉을 임플란트 식립자의 구강 안쪽으로 진입시켜 식립된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할 때 올바른 자세와 정확한 타격 지점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해주고, 최소한의 측정 횟수로 정확한 측정결과를 제공해 준다.
또한 임플란트 식립자에게는 측정 횟수와 시간을 최소화 함으로써 타격봉을 임플란트 식립자의 구강 안쪽으로 진입시킬 때 불편함을 최소화 하며, 측정 과정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결합력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의 제어부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작동 순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의 제어부 구성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작동 순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는 본체(10), 타격봉(20), 구동부(30), 감지센서(40), 기울기센서(50), 제어부(60), 출력부(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타격봉(20), 구동부(30), 감지센서(40), 기울기센서(50), 제어부(60), 출력부(70)를 내장하되, 타격봉(20)은 상기 본체(10)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내장되고, 출력부(70)은 상기 본체(10)의 상부 면에 설치되어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디스플레이거나 청각을 통해 들을 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부져인 것 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타격봉(20)은 임플란트(80) 식립한 사람의 구강 안 쪽으로 진입하여 식립된 임플란트(80)에 타격을 가하여 진동을 유발시키도록 상기 본체(10)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외부로 돌출된 형상이다.
구동부(30)는 상기 타격봉(20)이 임플란트(80)에 충격을 가하도록 진퇴운동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감지센서(40)는 상기 타격봉(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타격봉(20)이 타격 대상 임플란트(80)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30)가 상기 타격봉(20)에 타격력을 제공하였을 때 상기 타격봉(20)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임플란트(80)의 진동정보 값을 읽어 들이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40)는 상기 타격봉(20)으로부터 전달되는 임플란트(8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상기 타격봉(20)과 일체로 형성되었다.
기울기센서(50)는 상기 타격봉(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타격봉(20)이 수평방향으로 얼마나 기울어 졌는지를 측정하도록 설치 되었다.
또한 상기 기울기센서(50)의 설치 방향은, 상기 타격봉(20)이 타격 대상 임플란트(80)의 측면과 대략 90도 각도에서 타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직하므로 상기 타격봉(20)이 수평이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타격봉(20)과 동일 축선 상이나 평행하게 설치하였다.
제어부(60)는 상기 감지센서(40)에서 읽어 들인 상기 타격봉(20)과 임플란트(80)의 접촉여부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기울기센서(50)로부터 입력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임플란트(80)의 진동정보 값을 상기 기울기센서(50)에서 측정한 기울기 값으로 보정하고, 상기 보정한 진동정보 값을 상기 임플란트(80)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도록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기울기센서(50)에서 측정한 기울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임플란트(80)의 진동정보 값을 상기 타격봉(20)이 수평 방향에서 타격한 진동정보 값으로 보정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동요도 측정 시 상기 타격봉(20)이 타격 동작을 미리 정해진 횟수 만큼 반복 구동하여 측정 동작을 반복 하도록 제어하고, 반복 측정 동작 중에서 상기 감지센서(40)의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기울기센서(50)의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반복 동작에서 측정된 동요도 값은 무효처리하고, 그 외에 정상적으로 측정된 동요도 값들 만을 평균하여 상기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도록 형성되었다.
출력부(70)는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동요도 값과, 상기 타격봉(20)과 임플란트(80)의 미접촉 신호와, 상기 기울기센서(50)의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나 부져 음 등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출력부(70)는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정보를 디스플레이나 부져(미도시)를 통해 시각 정보나 음성 정보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자가 타격봉(20)의 구동 개시 신호나, 측정기의 세팅이나 동작 제어를 위하여 필요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90)를 구비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은, 진동 유발단계(100)와, 진동정보 검출단계(200)와, 자세정보 측정단계(300)와 진동정보 보정단계(400)와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입력부(90)의 작동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전원이 켜지고 측정기가 준비상태가 되고 출력부(70)인 LCD에는 측정 준비상태를 알리는 표시가 출력된다.
상기 진동 유발단계(100)는 타격봉(20)을 타격 대상 임플란트(80)에 접촉한 상태에서 입력부(90)의 작동 스위치를 다시 한번 누르면 구동부(30)가 구동되어 타격봉(20)이 약 400ms 간격으로 16회 가량 타격 대상 임플란트(80)를 타격하여 임플란트(80)에 진동을 유발시킨다.
다음으로 진동정보 검출단계(200)는 타격봉(20)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40)를 통해 상기 타격봉(20)이 타격 대상 임플란트(80)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진동 유발단계(100)에서 발생된 진동정보 값을 읽어 들여 제어부(60)에 제공한다.
자세정보 측정단계(300)는 상기 진동정보 검출단계(200)와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타격봉(20)과 동일 축선 또는 평행하게 설치된 기울기센서(40)가 상기 타격봉(20)의 기울기 값을 읽어 들여 제어부(60)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진동정보 보정단계(400)는 상기 진동정보 검출단계(200)에서 읽어 들인 상기 타격봉(20)과 임플란트(80)의 접촉여부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자세정보 측정단계(300)로부터 입력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진동정보 검출단계(200)에서 검출한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상기 자세 측정단계(300)에서 측정한 자세정보 값으로 보정한다
다음으로 출력단계(500)는 상기 진동정보 보정단계(400)에서 생성된 진동정보 값을 출력부(70)를 통해 측정 대상 임플란트(80)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한다.
한편, 진동정보 보정단계(400)에서는 상기 타격봉(20)의 방향이 수평이 아닌 경우에는, 타격봉(20)의 수평 방향의 기울기 값을 상기 검출단계(200)에서 검출한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에 대입하여 타격봉(20)이 타격 대상 임플란트(80)에 대해 수평 방향에서 타격하여 얻은 진동정보 값으로 보정한다.
한편 보다 정확한 동요도 측정을 위하여 입력부(90)의 작동 스위치(미도시)가 1회 동작하면 상기 진동 유발단계(100)와, 진동 검출단계(200)와, 자세정보 측정단계(300)와, 진동정보 보정단계(400)를 약 400ms 간격으로 16회 가량 반복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동요도 측정값의 평균 값을 출력한다.
한편,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는 과정에 상기 감지센서(40)가 타격봉(20)과 임플란트(80)가 접촉되지 않았음을 검출 하거나, 상기 기울기센서(50)의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단계에서 측정된 동요도 값은 무효처리하고 정상적으로 측정한 동요도 값들 만을 평균 값으로 연산하여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한다.
또한 더욱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각 단계를 반복 시행하여 얻은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값 중에서 최대 측정 값과 최소 측정 값은 제외한 나머지 측정 값들을 평균 값으로 연산하여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측정 과정에 상기 감지센서(40)에 의해 타격봉(20)과 임플란트(80)가 미접촉으로 감지 되거나, 상기 기울기센서(50)에 의해 타격봉(20)의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나 부져음을 출력하여 측정자로 하여금 올바른 측정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의 동요도 측정이 종료되면 측정된 동요도 수치를 확인 한 후 측정기의 입력부(90) 스위치를 다시 한번 눌러 전원 스위치를 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 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10 : 본체 20 : 타격봉
30 : 구동부 40 : 감지센서
50 : 기울기센서 60 : 제어부
70 : 출력부 80 : 임플란트
90 : 입력부 100 : 진동 유발단계
200 : 진동정보 검출 단계 300 : 자세정보 측정단계
400 : 진동정보 보정단계 500 : 출력단계

Claims (11)

  1. 식립된 임플란트에 타격을 가하여 진동을 유발시키기는 타격봉;
    상기 타격봉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타격봉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타격봉이 타격 대상 임플란트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타격봉에 타격력을 가하였을 때 상기 타격봉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읽어 들이는 감지센서;
    상기 타격봉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타격봉의 기울기 값을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상기 감지센서에서 읽어 들인 상기 타격봉과 임플란트의 접촉여부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기울기센서로부터 입력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측정한 기울기 값으로 보정하고, 상기 보정한 진동정보 값을 상기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요도를 포함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상기 타격봉이 상기 임플란트를 수평 방향에서 타격한 진동정보 값으로 보정하며, 상기 타격봉이 타격 동작을 일정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로 반복 구동하여 측정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고, 상기 반복 측정 동작 중에서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기울기센서의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반복 측정 동작에서 측정된 동요도 값은 무효처리하고 정상적으로 측정된 동요도 값들 만을 평균하여 상기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타격봉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센서는 상기 타격봉과 동일 축선 상에 설치하거나 상기 타격봉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와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부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7. 타격봉을 임플란트에 접촉한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식립된 임플란트에 타격을 가하여 임플란트에 진동을 유발시키기는 진동 유발단계;
    상기 타격봉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타격봉이 타격 대상 임플란트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진동 유발단계에서 발생된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읽어 들이는 진동정보 검출단계;
    상기 타격봉과 동일 축선 또는 평행하게 설치된 기울기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타격봉의 기울기 값을 측정하는 자세정보 측정단계;
    상기 진동정보 검출단계에서 읽어 들인 상기 타격봉과 임플란트의 접촉여부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자세정보 측정단계로부터 입력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진동정보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임플란트의 진동정보 값을 상기 자세정보 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자세정보 값으로 보정하는 진동정보 보정단계;
    상기 보정된 진동정보 값을 상기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정보 보정단계에서는 상기 타격봉이 상기 임플란트를 수평 방향에서 타격한 진동정보 값으로 보정하고, 상기 진동 유발단계, 상기 진동정보 검출단계, 자세정보 측정단계, 진동정보 보정단계를 일정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로 반복하여 시행하고, 상기 반복 동작 중에서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미접촉 신호이거나 상기 기울기센서의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해당 측정 동작의 동요도 값은 무효 처리를 하고 정상적인 동작에 의해 측정된 동요도 값들 만을 평균 값으로 연산하여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를 반복 시행하여 얻은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값 중에서 최대 측정 값과 최소 측정 값은 제외한 나머지 동요도 측정 값들 만을 평균 값으로 연산하여 임플란트의 동요도 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봉과 임플란트의 미접촉 신호와 상기 타격봉의 기울기 값이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는 부져음이거나 디스플레이 상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방법.
KR1020150108905A 2015-07-31 2015-07-31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72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905A KR102472465B1 (ko) 2015-07-31 2015-07-31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905A KR102472465B1 (ko) 2015-07-31 2015-07-31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892A KR20170014892A (ko) 2017-02-08
KR102472465B1 true KR102472465B1 (ko) 2022-11-30

Family

ID=5815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905A KR102472465B1 (ko) 2015-07-31 2015-07-31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116B1 (ko) 2016-11-02 2022-04-22 (주) 디엠에스 치과용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제어방법
KR102433511B1 (ko) 2021-02-10 2022-08-18 아크로웰 주식회사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31359B1 (ko) * 2021-03-23 2023-05-12 주식회사 덴티스 동요도 측정도구
KR102556472B1 (ko) * 2021-06-15 2023-07-18 주식회사 덴티스 동요도 측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783B1 (ko) * 2000-07-14 2002-10-25 조인호 임플랜트의 안정성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110259076A1 (en) 2006-08-17 2011-10-27 Caritas Health Group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percutaneous implant integrit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5530A1 (de) * 1982-04-26 1983-10-2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Perkussionsinstrument
JP2799438B2 (ja) 1991-03-07 1998-09-17 藤栄電気株式会社 歯牙動揺度測定装置
JPH05285162A (ja) 1992-04-09 1993-11-02 Osada Chuo Kenkyusho:Kk 歯牙動揺度測定装置及びハンマーユニット
US5518008A (en) * 1994-08-25 1996-05-21 Spectral Sciences Research Corporation Structural analyzer, in particular for medical implants
JP2008048992A (ja) 2006-08-25 2008-03-06 Advance Co Ltd 動揺度測定方法及び同方法を用いた装置。
KR20110075170A (ko) * 2009-12-28 2011-07-06 권승수 치아 균열 및 동요도 탐지기
KR20130012844A (ko) * 2011-07-26 2013-02-0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도플러 각도 자동 보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초음파 시스템
KR20140119558A (ko) 2013-04-01 2014-10-10 (주) 시원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783B1 (ko) * 2000-07-14 2002-10-25 조인호 임플랜트의 안정성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110259076A1 (en) 2006-08-17 2011-10-27 Caritas Health Group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percutaneous implant integr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892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2465B1 (ko)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393037B2 (en) Electric toothbrush
TW201501753A (zh) 運動解析裝置
KR200417280Y1 (ko) 스윙자세 교정 장치
EP3740166B1 (en) Surgical impaction apparatus
KR101870184B1 (ko) 스윙 측정 방법 및 스윙 측정 장치
JP2009279126A (ja) スイング評価装置
JP2014534878A (ja) 人のバイオインピーダンスデータ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1717162B2 (en) Rebound tonometer having tilt correction
KR200456597Y1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신장측정장치
US20170354844A1 (en) Detection apparatus, detection system, motion analysis system, recording medium, and analysis method
KR101189116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JP3810389B2 (ja) 人体関連圧力測定装置
KR101919447B1 (ko) 교합력 측정장치
KR200418096Y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에이밍기능이 구비된 퍼팅 진단장치
US20180243627A1 (en)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KR100780676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골프연습장치와 이를 이용한자세교정방법
US11224787B2 (en) Swing measurement device, swing measurement method, and swing measurement program
JP2005147995A (ja) 反発式ポータブル硬度計
KR101553015B1 (ko) 골프 스윙 연습 및 교정 시스템
KR102433511B1 (ko) 임플란트의 동요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18803B1 (ko) 골프 스윙 연습 기기
KR101918400B1 (ko) 공작기계 가공용 공구의 주파수 응답 함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JPH11290496A (ja) ゴルフクラブのスイング測定装置
KR20170114083A (ko) 골프 어드레스 방향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