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957B1 -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 Google Patents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957B1
KR102471957B1 KR1020210014258A KR20210014258A KR102471957B1 KR 102471957 B1 KR102471957 B1 KR 102471957B1 KR 1020210014258 A KR1020210014258 A KR 1020210014258A KR 20210014258 A KR20210014258 A KR 20210014258A KR 102471957 B1 KR102471957 B1 KR 10247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ing ball
protrusion
module
space
bow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071A (ko
Inventor
이기성
김현선
Original Assignee
김현선
이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선, 이기성 filed Critical 김현선
Priority to KR1020210014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9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7Devices for carrying, stacking or transporting bowl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고, 볼링공의 입출고가 편리하며, 볼링공의 물성을 보호하는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를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는, 카트 모듈; 및 카트 모듈에 적층되는 1개 이상의 볼링공케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볼링공케이스 모듈은 직육면체 형상이되, 전면 중앙에 볼링공이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된 보디; 잠금유닛을 구비하고, 보디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보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돌기; 및 보디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측면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측면홈; 보디에 구비되되, 공간을 둘러싸는 발열패드; 보디에 구비되어, 공간에 수납된 볼링공의 이탈을 방지하는 볼링공 고정턱; 보디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면돌기; 보디의 상면에 구비되되, 하면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상면홈;을 포함하고, 카트 모듈은 상면에 구비되되, 하면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상면홈, 일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돌기, 타측면에 구비되되, 측면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측면홈 및 하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캐스터를 포함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MODULE TYPE BOWLING BALL CARRIER}
본 개시(The Disclosure)는 볼링공 캐리어와 관련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8-0047737호에는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의 일례가 게재되어 있다.
전술한 볼링가방은, 신축조절되는 좌우지주의 상단으로 손잡이가 형성되고 좌우지주 하부로 전면이 개방되는 볼링가방케이스가 일체화되며, 볼링가방케이스의 상방으로 볼링가방이 적층되고, 볼링가방케이스의 저부 전면과 후면으로는 받침구와 바퀴가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볼링가방은, 구조가 복잡하고 볼링가방이 적층될수록 볼링공의 입출고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 수납할 수 있는 볼링공의 개수가 한정되고, 온도 조절 장치가 없어 볼링공의 물성에 대한 보호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998-0047737 A (2000. 06. 05 공개)
구조가 간단하고, 볼링공의 입출고가 편리하며, 볼링공의 물성을 보호하는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는, 카트 모듈; 및 카트 모듈에 적층되는 1개 이상의 볼링공케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볼링공케이스 모듈은 직육면체 형상이되, 전면 중앙에 볼링공이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된 보디; 잠금유닛을 구비하고, 보디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보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돌기; 및 보디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측면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측면홈; 보디에 구비되되, 공간을 둘러싸는 발열패드; 보디에 구비되어, 공간에 수납된 볼링공의 이탈을 방지하는 볼링공 고정턱; 보디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면돌기; 보디의 상면에 구비되되, 하면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상면홈;을 포함하고, 카트 모듈은 상면에 구비되되, 하면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상면홈, 일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돌기, 타측면에 구비되되, 측면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측면홈 및 하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캐스터를 포함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는, 보디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되, 보디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실린더; 복수 개의 실린더 각각에 구비되는 고정용 탄성유닛; 베이스의 상면에 복수 개의 실린더에 대응되는 개수가 구비되는 상면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용 탄성유닛은, 실린더의 상단에 구비되되,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커버, 실린더의 하단에 구비되되, 제1 커버와 동일한 제2 커버, 실린더에 구비되되, 상부와 하부의 단면이 관통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고, 중앙부의 단면이 관통홀의 면적보다 넓은 로드, 일측이 제1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이 로드의 중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스프링 및 일측이 제2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이 로드의 중앙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는 카트 모듈 위에 볼링공케이스 모듈이 적층되고, 볼링공케이스 모듈이 적층된 카트 모듈끼리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캐리어의 사용자는,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볼링공 캐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는 손잡이 프레임의 각도가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캐리어의 사용자는, 볼링공 캐리어를 운반할 때, 손잡이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한 뒤, 운반함으로써, 손잡이 프레임에 볼링공의 무게가 직접적으로 실리지 않아 손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는 내부에 발열패드가 구비된다.
그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 캐리어는 내부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볼링공의 물성을 보호하고, 이로 인해, 볼링공의 성능을 고스란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의 불링공케이스 모듈은 위아래로 돌출되는 고정용 탄성유닛이 구비된다.
그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의 사용자는, 볼링공케이스 모듈을 적층 시, 위아래 구분없이 자신의 편의에 맞게 볼링공케이스 모듈을 적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케이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링공케이스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를 A-A' 단면을 기준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이하 '볼링공 캐리어(10)'라 함]의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면, 볼링공 캐리어(10)는 정육면체 형상의 볼링공케이스 모듈(100)과, 카트 모듈(200)을 포함하며, 카트 모듈(200)의 상방으로 볼링공케이스 모듈(100, 100', …)이 적층되면서 구성된다.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적층될 수 있다.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의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면,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은 보디(110), 도어(120), 측면돌기(130) 및 측면홈(140)을 포함한다.
보디(110)는 볼링공(B)이 수납될 수 있게 소정 부피를 가지고, 직육면체 형상이다. 보디(110)의 전면 중앙에는 볼링공(B)이 수납되는 공간(111)이 마련된다.
도어(120)는 보디(110)의 전면에 결합되어 공간(111)을 개폐한다. 도어(120)는 경첩을 이용해서 개폐될 수 있다.
도어(120)의 일측에는 잠금유닛(121)이 구비될 수 있다.
측면돌기(130)는 보디(110)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사각기둥,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측면홈(140)은 보디(110)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측면돌기(13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면돌기(130)와 측면홈(140)은 결속력을 위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디(110)의 후면에는 측면홈(140)과 동일하게 형성된 후면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은 발열패드(150), 볼링공 고정턱(160), 하면돌기(170) 및 상면홈(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패드(150)는 보디(110)에 구비되되, 공간(111)을 둘러싼다. 발열패드(150)는 공간(111)에 볼링공(B)이 수납되었을 때, 볼링공(B)을 둘러싼다. 발열패드(150)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볼링공(B)의 물성을 보호하는 기능과 볼링공(B)이 흡수한 오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볼링공 고정턱(160)은 보디(110)에 구비된다. 볼링공 고정턱(160)은 공간(111)에 수납된 볼링공(B)을 안전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하면돌기(170)는 보디(110)의 하면에 구비되되, 사각기둥,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면돌기(170)는 보디(110)의 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면홈(180)은 보디(110)의 상면에 구비되되, 하면돌기(170)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상면홈(180)은 하면돌기(17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면돌기(17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진다.
보디(110)의 전면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고무패킹은 보디(110)와 도어(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도어(120)를 보디(110)의 전면에 밀착시켜주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해준다.
보디(110)의 양측면과 후면에는 탈부착이 되는 복수 개의 타공판이 구비될 수 있다. 타공판에는 컵홀더, 핸드폰 거치대, 신발 보관함 등 다양한 파츠를 부착할 수 있다.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은 들고 다닐 수 있게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카트 모듈(200)의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 카트 모듈(200)은 베이스(210), 손잡이 프레임(220), 상면홈(230), 측면돌기(240) 및 측면홈(250)을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이 적층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되, 상면이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210)의 하면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캐스터(211)가 구비된다.
손잡이 프레임(220)은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기 형상일 수 있으며, 베이스(210)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다. 손잡이 프레임(220)은 각도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면홈(230)은 베이스(210)의 상면에 구비되되, 하면돌기(17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면홈(230)의 개수는 하면돌기(17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진다.
측면돌기(240)는 베이스(210)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사각기둥,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측면홈(250)은 베이스(210)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측면돌기(24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면돌기(240)와 측면홈(250)은 결속력을 위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의 전면에는 측면돌기(24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후면에는 추가로 측면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볼링공 캐리어(10)의 사시도인 도 4를 참조하면, 볼링공 캐리어(10)는 복수 개의 볼링공케이스 모듈(100)과 복수 개의 카트 모듈(200)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확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말하자면, 카트 모듈(200)의 상면홈(230)에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의 하면돌기(17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뒤, 볼링공케이스(100)의 상면홈(180)에 다른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의 하면돌기(170')를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카트 모듈(200)에 볼링공케이스 모듈(100, 100')을 차례대로 적층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카트 모듈(200)에 볼링공케이스 모듈(100, 100')을 적층시킨 뒤, 카트 모듈(200)의 측면돌기(240)를 이웃하는 카트 모듈(200')의 측면홈(250')에 삽입하여 고정시켜 카트 모듈(200)을 전면 혹은 측면 등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의 측면홈(140'')에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의 측면돌기(130')가 수용되면서 더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이 정육면체 형상이고, 바디(100)의 후면에 측면홈(140)과 동일한 후면홈이 형성되므로,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의 도어(120)가 열리는 방향을 다양하게 바꾸어 볼링공 캐리어(1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결합 방법을 끼움결합으로 하였지만, 다양한 방법 구성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이하 '볼링공 캐리어(2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볼링공 캐리어(2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정육면체 형상의 볼링공케이스 모듈(300)과 카트 모듈(400)을 포함하며, 카트 모듈(400)의 상방으로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이 적층되면서 구성된다.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적층될 수 있다.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의 분해도인 도 6을 참조하면,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은 보디(310), 도어(320), 측면돌기(330) 및 측면홈(340)을 포함한다.
보디(310)는 볼링공이(B)이 수납될 수 있게 소정 부피를 가지고, 직육면체 형상이다. 보디(310)의 전면 중앙에는 볼링공(B)이 수납되는 공간(311)이 마련된다.
도어(320)는 보디(310)의 전면에 결합되어 공간(311)을 개폐한다. 도어(320)는 경첩을 이용해서 개폐될 수 있다.
도어(320)의 일측에는 잠금유닛(321)이 구비될 수 있다.
측면돌기(330)는 보디(310)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사각기둥,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측면홈(340)은 보디(310)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측면돌기(33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면돌기(330)와 측면홈(340)은 결속력을 위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디(310)의 후면에는 측면홈(340)과 동일하게 형성된 후면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볼링공케이스 모듈(100)은 발열패드(350), 볼링공 고정턱(360), 실린더(370)와 고정용 탄성유닛(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패드(350)는 보디(310)에 구비되되, 공간(311)을 둘러싼다. 발열패드(350)는 볼링공(B)이 수납되었을 때, 볼링공(B)을 둘러싼다. 발열패드(350)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볼링공(B)의 물성을 보호하는 기능과 볼링공(B)이 흡수한 오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볼링공 고정턱(360)은 보디(310)에 구비된다. 볼링공 고정턱(360)은 공간(311)에 수납된 볼링공(B)을 안전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실린더(370)는 복수 개가 구비되되, 보디(3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실린더(370)는 보디(31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고정용 탄성유닛(380)은 복수 개의 실린더(370) 각각에 구비되되, 제1 커버(381), 제2 커버(382), 로드(383), 제1 스프링(384) 및 제2 스프링(385)을 포함한다.
제1 커버(381)는 중심에 관통홀(381a)이 형성된 원판 형상일 수 있으며, 실린더(37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381)는 제1 커버(381)와 동일하게 중심에 관통홀(382a)이 형성된 원판 형상이며, 실린더(370)의 하단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로드(383)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실린더(370)에 구비된다. 로드(383)의 상부와 하부의 단면은 각각 관통홀(381a, 382a)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고, 중앙부의 단면은 관통홀(381a, 382a)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다.
제1 스프링(384)은 실린더(370)에 구비되되, 일측은 제1 커버(381)에 결합되고 타측은 로드(383)의 중앙부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2 스프링(385)은 실린더(370)에 구비되되, 일측은 제2 커버(382)에 결합되고 타측은 로드(383)의 중앙부의 타측에 결합된다.
보디(310)의 전면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고무패킹은 보디(310)와 도어(320)의 사이에 위치하여 도어(320)를 보디(310)의 전면에 밀착시켜주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해준다.
보디(310)의 양측면과 후면에는 탈부착이 되는 복수 개의 타공판이 구비될 수 있다. 타공판에는 컵홀더, 핸드폰 거치대, 신발 보관함 등 다양한 파츠를 부착할 수 있다.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은 들고 다닐 수 있게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카트 모듈(400)의 사시도인 도 7을 참조하면, 카트 모듈(400)은 베이스(410), 손잡이 프레임(420), 상면돌기(430), 측면돌기(440) 및 측면홈(450)을 포함한다.
베이스(410)는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이 적층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되, 상면이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410)의 하면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캐스터(411)가 구비된다.
손잡이 프레임(420)은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기 형상일 수 있으며, 베이스(410)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다. 손잡이 프레임(420)은 각도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면돌기(430)는 베이스(410)의 상면에 구비되되, 관통홀(381a, 38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면돌기(430)의 개수는 실린더(37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진다.
측면돌기(440)는 베이스(410)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사각기둥,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측면홈(450)은 베이스(410)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측면돌기(44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면돌기(440)와 측면홈(450)은 결속력을 위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410)의 전면에는 측면돌기(44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후면에는 측면홈(45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A-A' 단면을 기준으로 나타낸 단면도인 도 8을 참조하면, 카트 모듈(400)에 볼링공케이스 모듈(300, 300')이 순서대로 적층된다. 이때, 베이스(410)의 상면돌기(430)가 제2 커버(382)의 관통홀(382a)에 삽입되고, 로드(383)는 상면돌기(430)에 의해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어서, 돌출된 로드(383)가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의 위에 안착되는 또 다른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의 제2 커버(382')의 관통홀(382a')에 삽입되고, 로드(383')는 로드(383)에 의해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링공케이스 모듈(300, 300', …)을 계속 적층할 수 있다.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20)의 사시도인 도 9를 참조하면, 볼링공 캐리어(20)는 복수 개의 볼링공케이스 모듈(300)과 복수 개의 카트 모듈(400)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확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볼링공 캐리어(20)는 도 5와 도 8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카트 모듈(400)에 볼링공케이스 모듈(300, 300')을 순서대로 적층시켜준다. 이어서, 볼링공케이스 모듈(300, 300')이 적층된 카트 모듈(400)을 이웃하는 카트 모듈(400')에 결합시켜준다.
또한,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은 가압하면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용 탄성유닛(380)에 의해 상면, 하면 구분없이 도어(320)가 열리는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카트 모듈(400)에 적층할 수 있다.
전술한 볼링공 캐리어(10, 20)는 카트 모듈(200, 400) 위에 볼링공케이스 모듈(100, 300)이 적층되고, 볼링공케이스 모듈(100, 300)이 적층된 카트 모듈(200, 400)끼리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에 따라, 전술한 볼링공 캐리어(10, 20)의 사용자는,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볼링공 캐리어(10, 2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볼링공 캐리어(10, 20)는 손잡이 프레임(220, 420)의 각도가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볼링공 캐리어(10, 20)의 사용자는, 볼링공 캐리어(10, 20)를 운반할 때, 손잡이 프레임(220, 420)의 각도를 조절한 뒤, 운반함으로써, 손잡이 프레임(220, 420)에 볼링공(B)의 무게가 직접적으로 실리지 않아 손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또한, 볼링공 캐리어(10, 20)는 내부에 발열패드(150, 350)가 구비된다.
그에 따라, 볼링공 캐리어(10, 20)는 내부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볼링공(B)의 물성을 보호하고, 이로 인해, 볼링공(B)의 성능을 고스란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볼링공 캐리어(20)의 불링공케이스 모듈(300)은 위아래로 돌출되는 고정용 탄성유닛(380)이 구비된다.
그에 따라, 볼링공 캐리어(20)의 사용자는,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을 적층 시, 위아래 구분없이 자신의 편의에 맞게 볼링공케이스 모듈(300)을 적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본원적인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0...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100... 볼링공케이스 모듈
110... 보디
111... 공간
120... 도어
121... 잠금유닛
130... 측면돌기
140... 측면홈
150... 발열패드
160... 볼링공 고정턱
170... 하면돌기
180... 상면홈
200... 카트 모듈
210... 베이스
211... 캐스터
220... 손잡이 프레임
230... 상면홈
240... 측면돌기
250... 측면홈
20...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300... 볼링공케이스 모듈
310... 보디
311... 공간
320... 도어
321... 잠금유닛
330... 측면돌기
340... 측면홈
350... 발열패드
360... 볼링공 고정턱
370... 실린더
380... 고정용 탄성유닛
381... 제1 커버
381a... 관통홀
382... 제2 커버
382a... 관통홀
383... 로드
384... 제1 스프링
385... 제2 스프링
400... 카트 모듈
410... 베이스
411... 캐스터
420... 손잡이 프레임
430... 상면돌기
440... 측면돌기
450... 측면홈
B... 볼링공

Claims (5)

  1. 직육면체 형상이되, 전면 중앙에 볼링공이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된 보디;
    잠금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보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돌기;
    상기 보디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측면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측면홈;
    상기 보디에 구비되되,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발열패드;
    상기 보디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에 수납된 볼링공의 이탈을 방지하는 볼링공 고정턱;
    상기 보디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보디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실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실린더 각각에 구비되는 고정용 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탄성유닛 각각은,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구비되되,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커버,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커버와 동일한 제2 커버,
    상기 실린더에 구비되되, 상부와 하부의 단면이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고, 중앙부의 단면이 상기 관통홀의 면적보다 넓은 로드,
    일측이 상기 제1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로드의 중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스프링 및
    일측이 상기 제2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로드의 중앙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면체 형상의 볼링공케이스 모듈.
  2. 하면에 복수 개의 캐스터가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트 모듈; 및
    상기 카트 모듈에 적층되고 1개 이상이 구비되는 청구항 제1항의 볼링공케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상기 복수 개의 실린더에 대응되는 개수가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상면돌기,
    일측면에 구비되는 측면돌기 및
    타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측면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측면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14258A 2021-02-01 2021-02-01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KR10247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58A KR102471957B1 (ko) 2021-02-01 2021-02-01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58A KR102471957B1 (ko) 2021-02-01 2021-02-01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071A KR20220111071A (ko) 2022-08-09
KR102471957B1 true KR102471957B1 (ko) 2022-11-29

Family

ID=8284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258A KR102471957B1 (ko) 2021-02-01 2021-02-01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117B1 (ko) * 2023-04-18 2023-06-13 박종만 자기부상을 이용한 부하 저감용 가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0953A1 (en) * 2005-08-30 2008-03-13 Baghdadi Ghassan Modular assembly
KR101606146B1 (ko) * 2015-02-24 2016-03-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 및 분리가능한 박스구조를 가진 수하물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036B1 (ko) 1996-12-16 1999-05-01 구광시 다사조 복합 방사 팩장치
KR200231847Y1 (ko) * 1998-11-06 2001-08-07 윤명구 볼링공 가방_
KR101269575B1 (ko) * 2011-11-24 2013-06-05 배성환 볼링공 오일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0953A1 (en) * 2005-08-30 2008-03-13 Baghdadi Ghassan Modular assembly
KR101606146B1 (ko) * 2015-02-24 2016-03-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 및 분리가능한 박스구조를 가진 수하물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071A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902B1 (ko) 접이식 상자
CA1049604A (en) Vaulting box
US9326587B2 (en) Spring loaded holster for electronic device
US5775497A (en) Portable cradle for a personal computer
US4602715A (en) Shipping container for electronic components
KR102471957B1 (ko) 모듈형 볼링공 캐리어
US20190318663A1 (en) Portable and collapsible sand table
US7540378B2 (en) Case with selectively adjustable storage portion
US20100270201A1 (en) Portable storage case with integral stabilizing platform for use with a firearm support
GB2340484A (en) Containers
US5549199A (en) Compact disc storage case
US20020113386A1 (en) Bag body for bowling bags
EP3720312B1 (en) Carryable case comprising a corner bumper
US7216763B2 (en) Impact protection system for carrying case
JP2006506178A (ja) 携帯型電子機器用携行用ケース
KR20080042480A (ko) 반도체 패키지 이송박스
KR102344404B1 (ko) 말렛퍼터가 수용되는 캐디백
JP4182312B2 (ja) ディスクケースの収納ホルダー
KR102580132B1 (ko) 수용공간 조합이 가능한 블록 타입 공구 가방
KR200391069Y1 (ko) 휴대용 가방
JP3224075U (ja) モバイル機器用保護カバー
US11949445B2 (en) Protective case having card storag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9884502U (zh) 一种多层可叠加化妆盒
JP4325898B2 (ja) 遊技盤保持台
CN220097035U (zh) 冷链物流运输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