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896B1 -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896B1
KR102471896B1 KR1020207011555A KR20207011555A KR102471896B1 KR 102471896 B1 KR102471896 B1 KR 102471896B1 KR 1020207011555 A KR1020207011555 A KR 1020207011555A KR 20207011555 A KR20207011555 A KR 20207011555A KR 102471896 B1 KR102471896 B1 KR 102471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network node
terminal
radio frequency
measurement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674A (ko
Inventor
닝 양
지엔화 료
지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무선 통신 영역에 관련된 것으로서,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 시스템 및 단말을 개시한다. 이로써, 멀티 무선 주파수 체인의 시나리오에서, 측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전제하에, 단말의 처리량 성능을 최대한 확보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되고, 단말은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2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하며, 단말은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단말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의 측정을 수행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Description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 및 단말
본 출원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의 측정 구성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중, 일반적인 상황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단말의 송수신 무선 주파수 체인이 모두 하나의 세트라고 가정하면, 즉 단말이 어떠한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또는 어떠한 주파수 포인트(예를 들어 1.9GHz)에서 데이터 수신을 진행할 경우, 다른 하나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WCDMA) 또는 다른 하나의 주파수 포인트(예를 들어 2.6GHz)에서 데이터 수신을 진행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네트워크는 단말에 대해 대응되는 측정 갭(Measurement GAP)을 구성해야 하고, 이때의 단말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또는 주파수 포인트를 갖고 있기에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없음으로, 단말은 무선 주파수 체인(Radio Frequency Chain, RF Chain)을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로 리튜닝(retuning)하여 측정을 진행하며, 측정 갭이 끝날 경우에 다시 기존의 주파수 포인트로 리튜닝되어 다운 체인 데이터의 수신을 계속 진행한다.
이상의 방법은, 무선 주파수 체인 리튠(RF Chain retune)을 진행할 경우, 기존 체인의 다운 체인 데이터 송신에 대해 중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처리량에 비교적 큰 영향을 준다.
미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 무선 주파수 체인의 도입 지원은 이미 점차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LTE 이중 연결 상황에 있어서, 단말은 2 개의 체인에서 데이터의 수신 및 송신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고려한다. 그러나 미래 뉴 라디오(New Radio, NR)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LTE-NR 다중 연결 시나리오 및 NR-NR 다중 연결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여전히 2 개의 체인에서 데이터의 수신 및 송신을 동시에 진행한다. 주로 LTE-NR 또는 NR-NR 시나리오에서, 2 개의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가 차이가 큼으로써, 무선 주파수 체인의 공유를 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LTE는 2.6GHz에서 동작되고, NR은 4.8GHz 심지어 더 높은 28GHz, 38GHz 등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된다.
멀티 무선 주파수 체인의 시나리오에서, 측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전제하에서 어떻게 최대한 단말의 처리량 성능을 확보할지는 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본 출원은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 시스템 및 단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둠으로써, 멀티 무선 주파수 체인의 시나리오에서, 측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전제하에서 최대한 단말의 처리량 성능을 확보하고자 한다.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을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측정 구성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생성하여,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측정 대상에서 획득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측정 대상에서 획득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서브 단계;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서브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측정 대상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이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위치한 무선 네트워크는 LTE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위치한 무선 네트워크는 NR 네트워크이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위치한 무선 네트워크는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위치한 무선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이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위치한 무선 네트워크는 모두 NR 네트워크이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측정 대상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 범위 밖에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측정 대상 정보는, 측정 갭 및 측정 갭과 측정 대상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는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의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측정 구성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생성하는 단계 전,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측정 요청을 수락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락하지 않기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요청을 거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며; 수락하기로 판단할 경우,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전,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이, 측정 대상에 대해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측정을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고; 측정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해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후,
상기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은 또한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을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측정 대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측정 구성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생성하여,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측정 대상에서 획득된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생성된 것이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공한다.
본 출원은 또한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을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이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의 전부 또는 부분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생성됨 - ;
상기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된 측정 대상에서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은 또한 단말,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구성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생성하여,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대상에서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은 또한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구성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측정 대상에서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은 또한 단말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부 또는 일부 생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된 측정 대상에서,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및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또한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을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가 N 개의 다른 네트워크 기기에 측정 대상 정보를 각각 송신하는 단계;
N 개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구성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생성하여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모두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가 생성됨 -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에 의해 N 개의 상기 측정 대상에서 각각 획득된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에 의해 N 개의 상기 측정 대상에서 각각 획득된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은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통합한 후,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은 또한 단말,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N 개(N은 자연수임)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N 개의 다른 네트워크 기기에 N 개의 측정 대상 정보를 각각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N 개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구성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각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모두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단말은 상기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 상기 N 개의 측정 대상에서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여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얻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 실시 형태와 기존 기술을 비교하면, 멀티 무선 주파수 능력을 갖는, 특히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은, 측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전제하에서, 마찬가지로 최대한 단말의 처리량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대량의 기술적 특징을 서술하여, 각 기술 방안에 분포하였다. 본 출원의 모든 가능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즉 기술 방안)을 나열하면, 명세서가 너무 길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전술된 발명 내용에서 개시된 각 기술적 특징, 아래 각 실시 형태 및 예에서 개시된 각 기술적 특징 및 첨부 도면에서 개시된 각 기술적 특징은, 자유로운 상호 조합이 가능함으로써, 기술적으로 불가능하지 않는 한, 다양한 새로운 기술 방안(이러한 기술 방안은 모두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된 것으로 간주됨)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한 예에서 특징 A+B+C가 개시되고, 다른 한 예에서 특징 A+B+D+E가 개시되며, 특징 C 및 D는 동일한 작용을 하는 동일한 기술 수단이며, 기술상 하나만 선택하여 사용하고, 동시에 사용하지 않으며, 특징 E는 기술상 특징 C와 결합이 가능하다면, A+B+C+D의 방안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기에 이미 설명된 것으로 간주하지 않고, A+B+C+E의 방안은 이미 설명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도 1은 본 출원 중 LTE-NR 다중 연결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 제1 실시 형태 중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의 흐름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 제1 실시 형태의 한 예의 흐름 예시도이다.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독자로 하여금 본 출원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적 세부 사항을 제기한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기술적 세부 사항 및 아래의 각 실시 형태에 기반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없이도, 본 출원에서 청구된 기술 방안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는 부분적인 개념에 대한 설명이다.
LTE: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NR: 5세대 이동 통신(5G)의 무선 액세스 부분, New Radio의 약칭이다.
MN: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
SN: 세컨드 노드(Second Node, SN)
Measurement GAP: 측정 갭
GSM: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WCDMA: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단말: UE(사용자 기기)로 지칭될 수 있고, 무선 단말, 모바일 단말, 모바일 스테이션 등일 수 있다.
아래에 본 출원의 부분적인 혁신 포인트를 요약 설명한다.
멀티 무선 주파수 능력을 갖는 단말은, 동시에 복수 개의 무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와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을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되고, 동시에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2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에 의해 커버되는 주파수 포인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 등 측정 대상에 대해 측정해야 한다면,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반송하는, 측정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측정 요청을 수락할지 여부를 판단하되, 수락하기로 판단할 경우,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하고,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직접 단말에 송신하거나, 제1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으로부터 단말로 전달한다. 단말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에서 무선 주파수 측정을 완료한 후,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직접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거나, 제2 무선 주파수 체인 및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한다.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은, 전체 측정 과정에서 측정 갭이 설정되지 않아,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에서의 처리량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측정 구성 정보는,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생성된 것이고(제1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대상만 제공하고,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하지 않음),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에 의해 수행된 것이기에, 측정 대상은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에 의해 완전히 커버될 수 있음으로써, 동시에 측정의 정밀도가 확보될 수 있다. 본 기술 방안의 바람직한 응용 시나리오는 LTE-NR 다중 연결 시나리오이다. LTE와 NR 주파수 대역의 제한으로 인해 LTE 또는 NR의 어떠한 체인의 무선 주파수 체인(RF Chain)을 사용하여, 다른 하나의 체인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한 측의 네트워크가 다른 한 측의 신호 품질을 알아야 할 때, 전술된 기술 방안을 통해 2 개의 네트워크 사이의 조정이 구현될 수 있고, 다른 한 측의 네트워크의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측정이 진행됨으로써,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사이의 측정 문제가 해결된다. 하나의 응용 시나리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고, 여기서 UE는LTE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노드(MN)에 2.6GHz의 무선 주파수 체인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NR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노드(SN)에 28GHz의 무선 주파수 체인으로 연결되며, SN이 MN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알아야 한다면, 또는 MN이 SN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알아야 한다면, 전술된 기술 방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비록 2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의 시나리오를 언급하였지만,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의 시나리오로 얼마든지 확장 가능하다.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는, N 개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 중의 측정 대상에 대해 측정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 N 개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반송하는 측정 요청 정보를 각각 송신할 수 있고, 즉 N 개의 측정 요청 정보가 N 개의 네트워크 노드로 각각 송신된다. N 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하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단말에 송신하며, 단말은 N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에서,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에 대해 각각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하며,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최초로 측정 요청 정보를 보낸 네트워크 노드로 보고된다. 선택적으로,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는 통합된 후, 어떠한 무선 주파수 체인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측으로 일괄로 보고된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에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 형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 제1 실시 형태는,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상기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의 흐름 예시도이다. 상기 멀티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단말은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2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무선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이고, 제2 무선 네트워크는 NR 네트워크이다. 선택적으로, 제1 무선 네트워크는 NR 네트워크이고, 제2 무선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이다. 선택적으로,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네트워크는 모두 NR 네트워크이다. 선택적으로,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네트워크는 2 개의 독립적인 네트워크이다. 선택적으로,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네트워크는 동일한 네트워크이다.
상기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측정 구성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이 측정 대상에 대해 측정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측정할 수 없을 경우, 단계 203으로 진입하고, 측정할 수 있을 경우, 단계 202로 진입한다. 본 출원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측정 대상은 주파수 포인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 측정량 정보, 측정 구성 정보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정 대상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 범위밖에 있고,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 있다. 선택적으로, 측정 대상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 있을 수도 있지만,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의 처리량을 확보해야 하는 등 원인으로 인해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측정하지 않는다.
단계 202에 있어서,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측정 대상에 대해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한다. 그 후 이 과정은 종료된다.
단계 203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 요청 정보는 측정 대상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 단계 204로 진입하여,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측정 요청을 수락할지 여부를 판단하며, 수락하지 않기로 판단할 경우 단계 205로 진입하고, 수락하기로 판단할 경우 단계 206으로 진입한다.
단계 205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요청을 거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 그 후, 이 과정은 종료된다.
단계 206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한다.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 갭 정보 및 측정 갭과 측정 대상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단계 207로 진입하여, 단말은,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구성 정보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고,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다음 단계 208로 진입하여, 단말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얻는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는,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의 정보 및/또는 대응되는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단계 209로 진입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한다.
전술된 기술 방안은, 멀티 무선 주파수 능력을 갖는, 특히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로 하여금, 측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전제하에서, 마찬가지로 최대한 단말의 처리량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단계 201 및 단계 202는 선택 가능하다. 다시 말해,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이 측정 대상에 대해,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측정 대상에 대해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단계 203내지 단계 209의 단계를 사용할 수 있고, 제2 무선 체인을 통해 측정 대상에 대해,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한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04 및 단계 205도 선택 가능하다. 다시 말해,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측정 요청을 수락할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지 않아도 되고, 측정 요청을 거절하는 옵션을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기술 방안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에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시나리오에 있어서, 측정 개시측(MN)이, 단말(UE)이 측정 수행측(SN)의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도록 구성할 경우, 절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측정 개시측은 MN(상기 기술 방안에서의 제1 네트워크 노드와 같음)이고, 측정 수행측은 2 개 있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측에서의 측정 수행측은 SN(상기 기술 방안에서의 제2 네트워크 노드와 같음)이고, 단말(UE)은 다른 하나의 측정 수행측이다. 이때 청구되는 측정 주파수 포인트는, 측정 수행측이 원래 측정하려는 주파수 포인트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물론, 네트워크측의 측정 개시측 및 측정 수행측은 호환될 수 있고, 즉 측정 개시측은 SN일 수 있으며, 측정 수행측은 MN일 수 있고, 처리 형태는 유사하다.
단계 301에 있어서, 측정 개시측 네트워크 노드(MN)(예를 들어 LTE (2.6GHz))는, 단말이 대응되는 체인(LTE 네트워크의 2.6GHz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측정 수행측 네트워크 노드(SN)를 측정할 수 없다고 결정한 경우, 측정 개시측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수행측 네트워크와 조정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측정 개시측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측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n)를 통해, 측정 수행측에 대응되는 측정 대상, 예를 들어 주파수 포인트 등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다음 단계 302로 진입하여, 측정 수행측은 관련 측정 요청을 수락 또는 거부할 수 있다. 측정 수행측이 측정 요청을 수락할 경우, 대응되는Measurement GAP을 구성하고, 측정 개시측이 측정 요청을 거부할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n)를 통해 응답을 제공한다.
측정 수행측이 측정 요청을 수락하고, 대응되는 측정 파라미터, 예를 들어 Measurement GAP을 구성한 경우 단말에, 대응되는 측정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한다. 송신은 측정 수행측을 통해 송신할 수 있고(예를 들어 단계 304에 도시된 바와 같음), 측정 개시측을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단계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음). 여기서, 측정 구성을 진행할 경우, 대응되는 Measurement GAP 및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예를 들어, 측정 주파수 포인트, 주파수 대역(band)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구성해야 함으로써, 상기 Measurement GAP은 어떤 주파수 포인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에 대해 구성된 것인지를 단말에 알려준다. 여기서, 주파수 대역 그룹은, 상기 무선 주파수 체인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의 조합이다.
단계 305에 있어서, 단말은 측정 수행측의 무선 주파수 체인(예를 들어 NR 네트워크의 28GHz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측정을 진행한다.
단말은 측정 완료한 후, 직접 측정 개시측에 측정 보고(예를 들어 단계 306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진행할 수 있고, 측정 수행측을 통해 측정 보고를 진행하고, 측정 개시측에 전달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단계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음). 여기서, 보고할 때,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의 정보를 반송해야 한다.
본 출원 제2 실시 형태는,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가 네트워크측에서의 구현 방안이고, 관련 세부 사항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에, 제1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멀티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단말은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2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상기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측정 대상 정보를 수신한다.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한다.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여, 단말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구성 정보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고,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단말로부터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단말로부터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하고, 다음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한다.
본 출원 제3 실시 형태는,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가 단말측에서의 구현 방안이고, 관련 세부 사항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에, 제1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멀티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단말은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2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상기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생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다.
단말은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한다.
본 출원 제4 실시 형태는,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시스템은, 단말,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되고,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단말로부터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단말로부터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하고, 다음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한다.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은,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실시 형태는, 본 실시 형태와 대응되는 방법 실시 형태이고,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서로 협력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언급된 관련 기술 세부 사항은, 본 실시 형태에서도 여전히 유효하지만, 중복이 되지 않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서 언급된 관련 기술 세부 사항은, 제1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 제5 실시 형태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4 실시 형태가 네트워크측에서의 구현 방안이고, 관련 세부 사항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에, 제4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단말에 연결되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단말에 연결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고, 단말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에 송신하고, 단말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 제6 실시 형태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4 실시 형태가 단말측에서의 구현 방안이고, 관련 세부 사항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에, 제4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단말은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2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상기 단말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생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및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 제7 실시 형태는,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방안(2 개의 무선 네트워크)을 더 많은 무선 네트워크로 확장하는 기술 방안이다. 가장 큰 차이점은 무선 네트워크의 수량이 상이함에 있고, 다른 방면의 관련 세부 사항(예를 들어 측정 대상, 측정 구성 정보와 같은 예가, 측정 요청을 수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등)은 모두 제1 실시 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멀티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단말은 N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각각 N 개의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 중의 N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되고, N은 자연수이다.
상기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N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요청 정보를 각각 송신하고, 각 측정 요청 정보는 각각 하나의 측정 대상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모두 N 개의 측정 대상 정보가, N 개의 네트워크 노드로 일대일 송신된다.
N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수신된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하고, 여기서 모두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가 생성된다.
단말은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N 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구성 정보를 모두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고,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가 단말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N 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N 개의 네트워크 노드와 단말 사이의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각각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N 개의 네트워크 노드 중 일부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생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고,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가 단말로 송신되며; N 개의 네트워크 노드 중 다른 일부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네트워크 노드와 단말 사이의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생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직접 단말에 송신한다.
단말은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 N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얻는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N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통합한 후,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각각 N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N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고, N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각각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가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단말과 N 개의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N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을 선택하고, 이러한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N 개의 네트워크 노드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에 보고하고,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수신한 각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노드로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가 전달된다.
본 출원 제8 실시 형태는,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시스템은, 단말,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 및 N 개의 무선 네트워크 중의 N 개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제1 무선 네트워크 중의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된다. 단말은, N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각각 N 개의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 중의 N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되고, N은 자연수이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N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각각 송신하고,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N개의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수신된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측정 구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모두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가 생성된다.
단말은,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N 개의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 N 개의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N 개의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제7 실시 형태는, 본 실시 형태와 대응되는 방법 실시 형태이고, 본 실시 형태는 제7 실시 형태와 서로 협력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에서 언급된 관련 기술 세부 사항은, 본 실시 형태에서도 여전히 유효하지만, 중복이 되지 않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서 언급된 관련 기술 세부 사항도 제7 실시 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각 방법 실시 형태는, 모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등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등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명령어 코드는 모두 임의의 타입인 컴퓨터 방문 가능한 메모리 (예를 들어 영구적이거나 수정 가능한, 휘발성이거나 비휘발성인, 솔리드 스테이트이거나 비 솔리드 스테이트인, 고정적이거나 변경 가능한 매체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능한 어레이 로직(Programmable Array Logic, PAL),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마그네틱 디스크, 광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등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각 기기 실시 형태에서 언급된 각 유닛은 모두 논리적 유닛이고, 물리적으로 하나의 논리적 유닛은 하나의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물리적 유닛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물리적 유닛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논리적 유닛 자체의 물리적 구현 형태는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니고, 이러한 논리적 유닛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의 조합이 바로 본 출원에서 언급된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건이다. 이 밖에, 본 출원의 혁신적인 부분을 강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상기 각 기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출원에서 언급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과 밀접하게 관련되지 않은 유닛을 도입하지 않았지만, 이는 상기 기기 실시 형태에 다른 유닛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하는 바는 아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특허의 출원 문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등과 같은 관계 용어는, 다만 하나의 실체 또는 조작을 다른 하나의 실체 또는 조작과 구분하기 위한 것일뿐, 반드시 이러한 실체 또는 조작 사이에 임의의 이러한 실제적인 관계거나 순서가 존재하도록 청구하거나 암시하지는 않는다. 또한 용어 "포함" 또는 그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뜻함으로써, 한 시리즈 요소의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를 포함하게 하고, 또한 명확하게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고,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의 고유 요소를 더 포함한다. 더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문구 "하나의 무엇을 포함"에 의해 제한된 요소는, 상기 요소가 포함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특허의 출원 문서에 있어서, 어떠한 요소에 따라 어떠한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언급될 경우, 적어도 상기 요소에 따라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뜻하고, 여기서, 다만 상기 요소에 따라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 상황 및 상기 요소 및 다른 요소에 따라,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 상황을 포함한다. 복수 개, 여러 번, 다양한 등은, 2 개, 2 번, 2 가지 및 2 개 이상, 2 번 이상, 2 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뜻한다.
본 출원에서 언급된 모든 문헌은, 본 출원에 참조되도록 인용되어, 마치 각 문서가 개별적으로 참조되도록 인용되는 것과 같다. 이 밖에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상기 명세 내용을 열독한 후,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에 대해 여러 가지 변경 또는 수정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등가 형태는 똑같이 본 출원에서 청구된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21)

  1. 측정 구성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측정 대상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측정 구성 정보의 일부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세컨드 노드이며,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 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대상에서 무선 주파수 측정을 실행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에 의해 보고된, 상기 측정 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대상에서 획득한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단말은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가짐 -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에 의해 보고된, 상기 측정 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측정 대상에서 획득한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것이며; 또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것이며, 또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체인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 범위 밖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 갭 및 측정 갭과 측정 대상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이 측정 대상에 대해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이 측정 대상에 대해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측정 대상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이 측정 대상에 대해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을 사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해 무선 주파수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8. 측정 구성 방법으로서,
    단말은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측정 구성 정보의 일부는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단말은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가짐 - ;
    상기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된 측정 대상에서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무선 주파수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성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된 측정 대상에서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무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의 일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측정 대상 정보에 따라 생성한 것이고, 상기 측정 대상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것이며; 또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체인을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것이며, 또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측정 대상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 갭 및 측정 갭과 측정 대상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구성 방법.
  15. 단말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가지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8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측정 구성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 네트워크 노드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측정 구성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네트워크 노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207011555A 2017-10-17 2017-10-17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 및 단말 KR102471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6603 WO2019075648A1 (zh) 2017-10-17 2017-10-17 多射频接收能力终端的测量配置方法、系统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674A KR20200068674A (ko) 2020-06-15
KR102471896B1 true KR102471896B1 (ko) 2022-11-28

Family

ID=6617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555A KR102471896B1 (ko) 2017-10-17 2017-10-17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00236568A1 (ko)
EP (1) EP3687212B1 (ko)
JP (1) JP7084477B2 (ko)
KR (1) KR102471896B1 (ko)
CN (2) CN111510937B (ko)
AU (1) AU2017436303A1 (ko)
CA (1) CA3079268C (ko)
MX (1) MX2020003775A (ko)
RU (1) RU2750697C1 (ko)
SG (1) SG11202003490TA (ko)
TW (1) TWI799455B (ko)
WO (1) WO2019075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0961B (zh) * 2017-04-28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信息处理方法、终端及接入网节点
CN112929049A (zh) * 2021-01-27 2021-06-08 三维通信股份有限公司 射频信号的传输方法及装置
CN114666888B (zh) * 2022-03-10 2024-04-05 西安广和通无线软件有限公司 一种nsa网络注册方法及相关装置
CN117768913A (zh) * 2022-09-26 2024-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9102B2 (en) * 2011-04-04 2015-08-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 for using positioning gap indication for enhancing positioning performance
CN102958091A (zh) * 2011-08-22 2013-03-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异频测量参数的配置方法及装置
CN103037399B (zh) * 2011-09-30 2017-10-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异频测量配置方法及装置
CN104115520B (zh) * 2013-01-18 2018-10-30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方法、小区测量方法、装置及通信节点
EP2879425B1 (en) * 2013-11-28 2016-01-06 NTT Docomo, Inc. Macro-cell assisted small cell discovery and resource activation
CN105228198B (zh) * 2014-06-27 2019-10-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小区测量处理方法、装置、终端及基站
EP3193525B1 (en) * 2014-09-12 2021-02-24 Nec Corporation Wireless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terminal measurement
US10681576B2 (en) * 2015-04-13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gap enhancements
EP3363230B1 (en) * 2015-11-04 2020-0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figuration of measurement restrictions
CN108432169B (zh) * 2016-01-13 2021-04-1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调节nb-iot的测量过程的方法和节点
CN106165488A (zh) * 2016-06-30 2016-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Rrc连接建立方法及设备
US10841845B2 (en) * 2016-09-30 2020-1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and measurement reporting in a wireless network
WO2019066712A1 (en) * 2017-09-28 2019-04-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MEASUREMENT REPORT IN SCENARIOS WITH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4951*
3GPP R2-1705267*
3GPP R2-1711299*
3GPP TSG-RAN WG2 Meeting #98, R2-1704841, 2017.05.06.
3GPP TSG-RAN WG2 Meeting #98, R2-1704951, 2017.05.05.
3GPP TSG-RAN WG2 Meeting #98, R2-1705267, 2017.05.06.
3GPP TSG-RAN WG2 Meeting #99, R2-1708793, 2017.08.12.
3GPP TSG-RAN WG2 Meeting #99bis, R2-1711299, 2017.09.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84477B2 (ja) 2022-06-14
US20200236568A1 (en) 2020-07-23
CA3079268C (en) 2024-02-20
MX2020003775A (es) 2020-07-29
CN111510937B (zh) 2023-01-13
RU2750697C1 (ru) 2021-07-01
CA3079268A1 (en) 2019-04-25
CN111510937A (zh) 2020-08-07
WO2019075648A1 (zh) 2019-04-25
EP3687212A1 (en) 2020-07-29
KR20200068674A (ko) 2020-06-15
TW201919416A (zh) 2019-05-16
TWI799455B (zh) 2023-04-21
EP3687212A4 (en) 2020-10-07
SG11202003490TA (en) 2020-05-28
CN111052785A (zh) 2020-04-21
AU2017436303A1 (en) 2020-05-07
EP3687212B1 (en) 2023-05-10
JP2021503201A (ja)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896B1 (ko) 멀티 무선 주파수 수신 능력을 갖는 단말의 측정 구성 방법 및 단말
JP7228634B2 (ja) ビーム測定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CN110999376B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测量方法和测量装置,存储介质
RU2498531C2 (ru) Способ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радиосвязи
US10033502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antenna configuration information
CN109068330B (zh) 伪基站识别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0741679A (zh) 辅小区组配置方法及相关产品
US11202219B2 (en) Two-level mobility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CN113873581A (zh) 小区选择的方法和装置
KR20210005694A (ko) 측정 제어 방법, ue,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N112601251B (zh) 无线资源管理测量的方法和设备
CN109691175B (zh) 测量同步信号块的方法和设备
WO2018149362A1 (zh) 移动网络控制终端进行wlan测量的方法及装置、系统
US20180332526A1 (en) Optimizing MuLTEfire Network Discovery
CN111543075B (zh) 一种频段选择方法及装置
EP2860892B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identifying a mobile device in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