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653B1 - 배관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653B1
KR102471653B1 KR1020200125768A KR20200125768A KR102471653B1 KR 102471653 B1 KR102471653 B1 KR 102471653B1 KR 1020200125768 A KR1020200125768 A KR 1020200125768A KR 20200125768 A KR20200125768 A KR 20200125768A KR 102471653 B1 KR102471653 B1 KR 102471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ing plate
pipe
stress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5008A (ko
Inventor
허철구
허철기
정병기
정일웅
권종정
주동욱
남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광
Publication of KR2022003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마련된 통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단에는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판을 결합 구비하고, 하단에는 배관을 연결하도록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는 행거연결부를 결합 구비하는 연결로드,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연결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슬라이딩판과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설치하며, 하우징 내측에서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조정하는 탄성조절부, 하우징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배관을 지지한 상태에서 배관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측정하여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배관상태 확인부를 포함하는 배관용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pipe}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과 같은 대형 구조물에는 여러 가지 목적의 배관을 사용한다. 특히, 이같은 대형 구조물에 사용되는 배관은 무게나 크기 등이 큰 대구경 배관을 사용한다.
이러한, 배관은 설치되는 구조물 자체에서 발생된 움직임을 전달받거나, 배관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배관에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배관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 경우, 배관은 수평 성분 또는 수직 성분의 변위가 발생함으로 인해 배관의 손상 또는 파손을 유발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배관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배관을 연결 지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 지지장치는, 단순히 배관을 연결 지지할 뿐 실시간으로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없어 배관의 손상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배관용 지지장치에 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0161호(2019.05.10)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실시간으로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배관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마련된 통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단에는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판을 결합 구비하고, 하단에는 배관을 연결하도록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는 행거연결부를 결합 구비하는 연결로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연결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슬라이딩판과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설치하며, 하우징 내측에서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조정하는 탄성조절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배관을 지지한 상태에서 배관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측정하여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배관상태 확인부를 포함하는 배관용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승강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홈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도록 슬라이딩판의 외측 테두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조절연결홈이 형성된 조절연결단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조절연결단과 연결되도록 조절연결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단이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조절로드, 상기 조절연결단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조절로드 외측에 삽입 설치하는 한 쌍의 걸림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상태 확인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상태로 하우징의 바닥부에 결합 설치하며, 피스톤로드는 연결로드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판의 저면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 설치하며, 슬라이딩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른 유압실린더 내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유압 수치를 입력받아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압력 차이를 통해 배관으로부터 가해지는 응력값을 계산한 후, 계산된 응력값을 출력하여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응력계산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계산 출력수단에는 배관의 안정적인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유지하는 안전 응력수치를 설정 저장하며, 상기 배관상태 확인부에는, 응력계산 출력수단과 연결되어, 응력계산 출력수단에서 계산된 응력값이 안전 응력수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비율을 넘을 경우 응력계산 출력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알림을 발생시키는 비상알림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지지장치는, 연결로드에 연결된 배관을 탄성부재로 탄성 지지할 때, 배관상태 확인부가 배관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통해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가 배관의 손상 전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탄성조절부는 탄성부재의 탄성 작동범위를 조절하면서 탄성부재가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성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배관용 지지장치는, 하우징(100), 연결로드(200), 탄성부재(300), 탄성조절부(400), 배관상태 확인부(500)를 구비한 상태로 지지 구조물(10)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배관(20)을 연결 상태로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이후 설명될 연결로드(20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함과 더불어 탄성 조절부(400)를 연결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탄성부재(300)를 내측에 삽입되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상측을 개방 가능한 형태의 통 구조로 형성한 후, 덮개판(101)이 개방된 하우징(100)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102)를 통해 하우징(100)의 상측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게 함으로써, 연결로드(200)와 탄성부재(300)를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 또는 이탈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하우징(100)의 바닥면부 중앙에는 연결로드(20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관통되게 연결 배치할 수 있도록 로드삽입공(100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로드삽입공(100a)이 형성된 부분에는 연결로드(200)를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연결되게 하는 베어링부재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101)의 상면에는 지지 구조물(10)에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11)를 통해 연결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체결공(104a)이 형성된 연결러그(104)를 결합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측면부에 상호 마주보도록 적어도 한 쌍의 승강가이드홈(103)이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가이드홈(103)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즉 연결로드(200)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같이, 승강가이드홈(103)은 연결로드(200)의 슬라이딩판(210)을 하우징(100)에 연결되게 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가이드함과 더불어 슬라이딩판(210)을 탄성 조절부(400)와 연결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판(21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이 하우징(100)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게 한다.
상기 연결로드(200)는 하우징(10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직선형의 축 부재이다. 이러한, 연결로드(200)의 상단에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슬라이딩판(210)을 결합 구비한다. 여기서, 슬라이딩판(210)은 하우징(100)의 내측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을 연결로드(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판(210)의 외측면 테두리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조절연결단(211)을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조절연결단(211)은 하우징(100)의 승강가이드홈(103)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삽입 배치되는 바, 슬라이딩판(210)이 하우징(100)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탄성조절부(400)를 슬라이딩판(210)에 연결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조절연결단(211)에는 탄성조절부(400)의 조절로드(410)를 삽입상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조절연결홈(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200)의 하단에는 배관(20)을 연결하도록 하우징(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행거연결부(220)를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행거연결부(220)에는 한 쌍의 반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행거판으로 구성된 행거(30)를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31)로 체결할 수 있도록 행거연결공(220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연결로드(20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이다. 즉 탄성부재(300)는 연결로드(200)에 연결된 배관(20)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연결로드(200)의 외측에 삽입 설치한다. 이때, 탄성부재(300)의 하단은 하우징(100)의 바닥면 내측에 안착 배치되고, 탄성부재(300)의 상단은 슬라이딩판(210)의 저면에 연결되도록 배치된 바, 탄성부재(300)는 슬라이딩판(210)을 탄성지지하면서 연결로드(200)가 하우징(10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탄성부재(300)는 코일 스프링으로 선택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탄성조절부(4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정도를 조정하는 부분이다. 즉, 탄성조절부(400)는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이동범위를 조절하여 탄성부재(300)의 탄성 작동범위를 제어하는 바, 연결로드(200)에 연결 지지된 배관(20)이 상하방향으로 변동 가능한 범위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탄성조절부(400)는 연결로드(200)의 슬라이딩판(2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에 설치한다. 그리고, 탄성조절부(400)는 조절로드(410), 걸림스토퍼(420)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로드(410)는 연결로드(200)의 슬라이딩판(210)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상태로 지지하는 직선형의 축 형상 부재이다. 이러한, 조절로드(410)는 슬라이딩판(210)의 조절연결단(211)과 연결되도록 조절연결홈(212)에 삽입되게 설치하며, 조절로드(410)의 상단은 하우징(100)의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판(101)에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게 결합한다. 그리고, 조절로드(410)의 외측면에는 걸림스토퍼(420)를 나사상태로 결합되게 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스토퍼(420)는 조절로드(410)에 상호 이격상태로 연결 배치되어, 연결로드(200)의 슬라이딩판(210)이 조절로드(41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되게 하는 부재이다. 즉, 걸림스토퍼(420)는 조절로드(410)에 삽입 설치하며, 슬라이딩판(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걸림스토퍼(420)는 슬라이딩판(210)을 조절로드(410) 상에서 상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걸림되게 하고, 슬라이딩판(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걸림스토퍼(420)는 슬라이딩판(210)을 조절로드(410) 상에서 하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걸림되게 한다. 이러한, 걸림스토퍼(420)는 조절로드(410) 상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내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너트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걸림스토퍼(420)의 일측에는 걸림스토퍼(420)의 조절로드(410) 상에서 일정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스토퍼(420)의 내외측을 관통하게 고정핀(도면미도시)을 나사 체결되게 구비할 수도 있다. 즉, 고정핀을 회전시켜 고정핀의 일단이 조절로드(410)의 외측면을 가압되게 배치되도록 할 경우, 걸림스토퍼(420)는 조절로드(410) 상에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판(210)이 조절로드(410) 상에서 상하측으로 안정적인 고정된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탄성조절부(400)의 걸림스토퍼(420) 일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판(210)에 마주보는 면부에는 슬라딩판(210)과의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부재(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부재는 연성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링 형태로 형성되거나, 코일 스프링을 선택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관상태 확인부(500)는 배관(20)을 지지한 상태에서 배관(20)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측정하여 배관(20)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즉, 배관상태 확인부(500)는 배관(20)의 하중을 탄성부재(300)를 통해 탄성 지지한 상태에서 탄성부재(300)의 상태를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배관상태 확인부(500)는 하우징(100)에 연결 설치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20)으로부터 받은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슬라이딩판(100)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배관상태 확인부(500)는 유압실린더(510), 압력센서(520), 응력계산 출력수단(530)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실린더(510)는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피스톤로드(511)의 길이가 조절되는 실린더이다. 즉, 유압실린더(510)의 피스톤로드(511)는 연결로드(200)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판(210)의 저면에 연결된 바, 피스톤로드(511)는 슬라이딩판(210)의 상하이동에 따라 대응되게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유압실린더(510)는 슬라이딩판(210)의 하부와 하우징(100)의 바닥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유입실린더(510)의 바디 부분은 하우징(100)의 바닥부에 결합되게 한다. 이때, 유압실린더(510)는 공압실린더를 선택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유압실린더(510)의 피스톤로드(511)는 연결로드(200)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판(210)을 연결 지지하도록 설치된 바, 배관(20)의 하중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520)는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피스톤로드(511)가 대응되게 이동함에 따라 유입실린더(510) 내의 유압상태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압력센서(520)는 유압실린더(510)의 유압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510) 내측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압력센서(520)는 유압실린더(510)의 바디 내측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응력계산 출력수단(530)은 압력센서(520)로부터 측정되는 유압 수치를 입력받아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른 유압실린더(510)의 압력 차이를 통해 배관(20)으로부터 가해지는 응력값을 계산한 후, 계산된 응력값을 출력하여 배관(20)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응력계산 출력수단(530)은 압력센서(520)와 케이블과 같은 유선 또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과 같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압력센서(520)로부터 측정되는 유압 수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응력계산 출력수단(530)은 압력센서(520)로부터 측정되는 유압 수치를 입력받은 후,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른 유압실린더(510)의 압력 차이를 통해 배관(20)으로부터 가해지는 응력값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이 마련된 컴퓨터서버(531)와, 컴퓨터서버(531)로부터 계산된 응력값을 디스플레이 상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5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계산 출력수단(530)의 컴퓨터서버(531)에는 배관(20)의 안정적인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유지하는 안전 응력수치를 설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컴퓨터서버(531)에 저장된 안전 응력수치는 탄성부재(300)의 탄성 한계치를 기준으로 80% 미만의 수치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상태 확인부(500)에는, 응력계산 출력수단(530)의 컴퓨터서버(531)와 연결되어, 응력계산 출력수단(530)의 컴퓨터서버(531)에서 계산된 응력값이 안전 응력수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비율을 넘을 경우, 즉 탄성부재(300)의 탄성 한계치를 기준으로 계산된 응력값이 80% 이상인 경우에는 응력계산 출력수단(530)의 컴퓨터서버(53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등이나 경고음 또는 출력장치(532) 상으로 경고메시지와 같은 알림을 발생시키는 비상알림수단(5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지지장치는, 상기 연결로드(200)에 연결된 배관(20)을 탄성부재(300)로 탄성 지지할 때, 배관상태 확인부(500)가 배관(20)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통해 배관(20)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가 배관(20)의 손상 전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탄성조절부(400)는 탄성부재(300)의 탄성 작동범위를 조절하면서 탄성부재(300)가 배관(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성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 연결로드
210: 슬라이딩판 220: 행거연결부
300: 탄성부재 400: 탄성조절부
410: 조절로드 420: 걸림스토퍼
500: 배관상태 확인부 510: 유압실린더
520: 압력센서 530: 응력계산 출력수단
540: 비상알림수단

Claims (4)

  1. 내부공간이 마련된 통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단에는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판을 결합 구비하고, 하단에는 배관을 연결하도록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는 행거연결부를 결합 구비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연결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딩판과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설치하며, 하우징 내측에서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조정하는 탄성조절부;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배관을 지지한 상태에서 배관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측정하여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배관상태 확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단을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조절로드, 조절로드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조절로드 외측에 삽입 설치하는 한 쌍의 걸림스토퍼를 포함하고, 걸림스토퍼의 일측에는 걸림스토퍼의 조절로드 상에서 일정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스토퍼의 내외측을 관통하게 고정핀을 나사 체결되게 구비하며, 걸림스토퍼의 슬라이딩판에 마주보는 면부에는 슬라이딩판과의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부재를 결합 구비하고,
    상기 배관상태 확인부는,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상태로 하우징의 바닥부에 결합 설치하며, 피스톤로드는 연결로드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판의 저면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 유압실린더에 설치하며, 슬라이딩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른 유압실린더 내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유압 수치를 입력받아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압력 차이를 통해 배관으로부터 가해지는 응력값을 계산한 후, 계산된 응력값을 출력하여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응력계산 출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응력계산 출력수단은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유압 수치를 입력받은 후,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압력 차이를 통해 배관으로부터 가해지는 응력값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이 마련된 컴퓨터서버와, 컴퓨터서버로부터 계산된 응력값을 디스플레이 상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응력계산 출력수단의 컴퓨터서버에는 배관의 안정적인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유지하는 안전 응력수치를 설정 저장하며, 배관상태 확인부에는, 응력계산 출력수단과 연결되어, 응력계산 출력수단에서 계산된 응력값이 안전 응력수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비율을 넘을 경우 응력계산 출력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알림을 발생시키는 비상알림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서버에 저장된 안전 응력수치는 탄성부재의 탄성 한계치를 기준으로 80% 미만의 수치를 기준으로 하고, 탄성부재의 탄성 한계치를 기준으로 계산된 응력값이 80% 이상인 경우에 비상알림수단에서 알림을 발생시키는 배관용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승강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홈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도록 슬라이딩판의 외측 테두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조절연결홈이 형성된 조절연결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로드는 조절연결단과 연결되도록 조절연결홈에 삽입되는 배관용 지지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00125768A 2020-09-11 2020-09-28 배관용 지지장치 KR102471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6904 2020-09-11
KR1020200116904 2020-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008A KR20220035008A (ko) 2022-03-21
KR102471653B1 true KR102471653B1 (ko) 2022-11-30

Family

ID=8093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768A KR102471653B1 (ko) 2020-09-11 2020-09-28 배관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971B1 (ko) 2023-10-26 2024-02-13 (주)티엠케이플랜트 배관용 지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539Y1 (ko) * 2000-04-12 2000-09-15 주식회사영진브이엔씨 방진 스프링마운트
KR101227772B1 (ko) * 2011-07-11 2013-01-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KR101690972B1 (ko) * 2016-09-27 2016-12-29 주식회사 상준 스프링 행거 내의 스프링 작동여부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79B1 (ko) * 2015-01-30 2017-03-23 에스티 이앤지(주)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539Y1 (ko) * 2000-04-12 2000-09-15 주식회사영진브이엔씨 방진 스프링마운트
KR101227772B1 (ko) * 2011-07-11 2013-01-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KR101690972B1 (ko) * 2016-09-27 2016-12-29 주식회사 상준 스프링 행거 내의 스프링 작동여부 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971B1 (ko) 2023-10-26 2024-02-13 (주)티엠케이플랜트 배관용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008A (ko) 202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277B1 (ko) 진동 흡수 댐퍼
KR102471653B1 (ko) 배관용 지지장치
US10823652B2 (en) Triaxial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ock mechanics load test platform
CN108061122B (zh) 反应堆一回路及可用于反应堆主设备的减震支承装置
KR101632432B1 (ko) V홈 마찰 댐퍼
CN108091405B (zh) 反应堆一回路及反应堆主设备滚动支承装置
KR101345996B1 (ko) 배관 충격 완충장치
EP3121142A1 (en) A limiting mechanism for an elevator compensation rope tensioning pulley, an elevator compensation apparatus, and an elevator system
EP2093454B1 (en) Vibration energy absorber
CN109243629B (zh) 用于反应堆容器及柔性长管的模块化分层组合支承装置
KR101780055B1 (ko) 쐐기를 이용한 진동 저감장치, 부유 궤도 장치 및 부유 궤도 시공방법
CN110835886A (zh) 桥墩减震装置
JP52283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15379B1 (ko) 하중 감지기능이 장착된 스프링 행거
KR102239136B1 (ko) 배관용 지지장치
KR101510403B1 (ko) 배관 지지용 완충장치
KR102520175B1 (ko) 배관용 지지장치
KR101549668B1 (ko) 변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시스템
KR101803898B1 (ko) 부유 궤도 장치, 부유 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쐐기를 이용한 진동 저감장치
CN104964098A (zh) 双向缓冲管道支吊架
JP2007120756A (ja) 振動低減装置
CN109720953B (zh) 电梯及其曳引绳张力检测装置
CN109036596B (zh) 用于反应堆容器及柔性长管的分层组合支承装置
CN108953763B (zh) 用于反应堆柔性长管的支承装置
US6126137A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