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438B1 - 단조품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조품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438B1
KR102471438B1 KR1020220104368A KR20220104368A KR102471438B1 KR 102471438 B1 KR102471438 B1 KR 102471438B1 KR 1020220104368 A KR1020220104368 A KR 1020220104368A KR 20220104368 A KR20220104368 A KR 20220104368A KR 102471438 B1 KR102471438 B1 KR 10247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ged product
outlet
transfer pipe
discharge
separat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몽기
손상채
이선옥
Original Assignee
한몽기
손상채
이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몽기, 손상채, 이선옥 filed Critical 한몽기
Priority to KR102022010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4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관의 하부에 경로 변환부가 설치되어 이송관으로 이송되는 단조품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프레스 공정 또는 배출 가이드 측으로 공급하며, 배출 가이드에 설치된 개폐 조절부가 단조품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제1 분리 배출구 또는 제2 분리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단조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조품 이송 시스템{Forging material transfer system}
본 발명은 단조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관의 하부에 경로 변환부가 설치되어 이송관으로 이송되는 단조품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프레스 공정 또는 배출 가이드 측으로 공급하며, 배출 가이드에 설치된 개폐 조절부가 단조품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제1 분리 배출구 또는 제2 분리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단조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성가공은 소재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성형하는 기술분야로, 자동차, 선박, 항공기산업의 기초 핵심부품을 대량생산 할 수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범위가 매우 넓은 중요한 생산 기반산업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소성가공 산업은 제품 품질의 고급화가 가능하고, 다른 제조공정으로 대체 곤란한 고기능, 고품질 부품의 생산방식에 최적의 공정으로써, 최근에는 기존 공정의 고도화 및 복합화 가공기술, 신기술분야와의 융합에 따른 제품의 고기능화, 고부가가치화의 추세에 따라 기술개발 및 실용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소성가공 중에서도 특히 단조가공은 제조공법과 제조설비에 따라 열간 단조, 온간 단조, 냉간 단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열간단조는 1000~1200℃의 고온에 소재를 가열해 변형 저항을 적게 하여 작은 힘으로 큰 변형을 주어 조형을 쉽게 할 수 있고, 생산속도가 빠르므로 생산성이 좋으며, 복잡한 형상의 제품 성형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843435호(2018.03.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관의 하부에 경로 변환부가 설치되어 이송관으로 이송되는 단조품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프레스 공정 또는 배출 가이드 측으로 공급하는 단조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조품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제1 분리 배출구 또는 제2 분리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므로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단조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단조품 이송 시스템은, 1000~1250℃의 가열로에서 가열된 단조품이 이송되는 이송관(100); 상기 이송관(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단조품의 배출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경로 변환부(200); 상기 경로 변환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조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100)은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단조품이 전방에 위치한 프레스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100)의 상부에는 단조품의 이송 과정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이송 확인공(110)이 구비되며, 상기 이송관(100)의 하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단조품이 배출 가이드(300) 측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공(120)이 구비된다.
상기 경로 변환부(200)는, 상기 이송관(100)의 배출공(120) 일측에 축핀(2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10); 상기 축핀(211) 일측의 이송관(100) 하부에 축(223)을 기준으로 몸체(2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로드(222)의 단부는 도어(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작동실린더(220); 상기 도어(210)의 내측면에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단조품이 상기 이송관(100)의 내에서 불규칙한 경로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편(230)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로와 인접한 이송관(100)의 선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열로에서 가열된 단조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40); 상기 작동실린더(220)와 온도센서(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도센서(240)로부터 측정된 온도 수치를 수신하여 기준치 이상의 온도일 경우 도어(210)를 폐쇄하여 단조품이 프레스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기준치 이하일 경우 도어(210)를 개방하여 단조품이 배출 가이드(300) 측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가이드(300)는, 상기 이송관(100)에서 낙하하는 단조품이 배출되는 메인 배출구(310); 상기 메인 배출구(310)의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 분리 배출구(320); 상기 메인 배출구(310)의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 분리 배출구(33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가이드(300)에 장착되어 단조품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 조절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조절부(400)는,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가 만나는 꼭지점에 장착되는 회전안내축(410); 상기 회전안내축(4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판(420);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외측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개폐판(420)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430); 상기 수용홈(430)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420)의 회전시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충시키는 고무재질의 패킹(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조품이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배출 타격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타격부(500)는,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실린더(510); 상기 실린더(510) 전방의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편(520); 상기 지지편(520)에 결합축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530); 상기 회전부재(530)의 일측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실린더(510)의 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편(540); 상기 회전부재(53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면을 타격하는 타격부재(550)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재(550)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면을 타격시 소음을 방지하도록 CP(Chloroprene Rubber)재질의 소음방지부재(56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관의 하부에 경로 변환부가 설치되어 이송관으로 이송되는 단조품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프레스 공정 또는 배출 가이드 측으로 공급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 가이드에 설치된 개폐조절부가 단조품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제1 분리 배출구 또는 제2 분리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므로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조품 이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조품 이송 시스템의 이송관과 경로 변환부를 확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경로 변환부가 작동하여 배출공을 개방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경로 변환부의 도어에 가이드편이 형성된 상태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 조절부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배출 타격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조품 이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 단조품 이송 시스템은, 1000~1250℃의 고온에서 가열로에서 가열된 단조품이 이송되는 이송관(100); 상기 이송관(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단조품의 배출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경로 변환부(200); 상기 경로 변환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조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30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로는 강을 1000~1250℃의 고온에서 가열하게 되며, 상기 이송관(100)은 가열로와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기 가열로에서 가열된 단조품이 이송되는 관체이다.
상기 이송관(100)은 가열로 측은 높게 위치되고, 프레스 공정 측은 낮게 위치되어 상기 단조품이 프레스 공정 측으로 쉽게 이송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100)의 상부에는 단조품이 가열로에서 프레스 공정 측으로 이송될 때 한 눈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이송 확인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100)의 하부에는 단조품이 배출 가이드(300) 측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공(120)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로 변환부(200)는 이송관(100)을 따라 이송되는 단조품의 배출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경로 변환부(200)는 상기 배출공(120)을 개폐하는 도어(210)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210)는 상기 배출공(120) 일측에 축핀(2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축핀(211)과 가열로 사이의 이송관(100) 하부에는 작동실린더(220)가 설치되며, 상기 작동실린더(220)는 축(223)을 중심으로 몸체(2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221)에서 인출되는 로드(222)의 단부는 도어(2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도어(210)의 내측면에는 단조품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편(230)이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편(230)은 이송관(100) 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단조품이 불규칙하게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열로와 인접한 이송관(100)의 선단부에는 가열로에서 가열된 단조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40)가 장착된다.
상기 작동실린더(220)와 온도센서(240)는 제어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250)는 온도센서(240)로부터 측정된 온도 수치를 수신하게 되며, 상기 단조품이 기준치 이상의 온도일 경우 작동실린더(220)를 제어하여 배출공(120)을 폐쇄하게 되며, 상기 단조품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작동실린더(220)를 제어하여 배출공(120)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가이드(300)는 상기 경로 변환부(200)로부터 배출되는 단조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메인 배출구(310), 제1 분리 배출구(320) 및 제2 분리 배출구(33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배출구(310)는 상기 이송관(100)의 배출공(120)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조품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제1,2 분리 배출구(320)(330)는 메인 배출구(310)로부터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즉, 메인 배출구(310)의 하부 일측은 제1 분리 배출구(320)가 형성되고, 메인 배출구(310)의 하부 타측은 제2 분리 배출구(3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 가이드(300)에 장착되어 단조품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제1,2 분리 배출구(320)(33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 조절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조절부(400)는 회전안내축(410), 개폐판(420), 수용홈(430), 패킹(4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안내축(410)은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내측이 만나는 꼭지점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420)은 회전안내축(4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게 된다.
상기 수용홈(430)은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외측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개폐판(420)의 단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개폐판(42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패킹(440)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수용홈(430)에 장착되며, 상기 개폐판(420)의 회전시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조품이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배출 타격부(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출 타격부(500)는,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면에 실린더(510)가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510) 전방의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에는 지지편(520)이 고정된다.
상기 지지편(520)에는 회전부재(530)가 결합축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재(530)의 일측 단부에 가압편(540)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530)의 타측 단부에는 반달형상의 타격부재(550)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51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타격부재(550)를 주기적으로 회전시켜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면을 타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재(550)의 곡면부에는 CP(Chloroprene Rubber)재질의 소음방지부재(560)가 장착되며,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면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이송관
200: 경로 변환부
300: 배출 가이드
400: 개폐 조절부
500: 배출 타격부

Claims (6)

1000~1250℃의 가열로에서 가열된 단조품이 이송되는 이송관(100);
상기 이송관(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단조품의 배출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경로 변환부(200);
상기 경로 변환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조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300)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변환부(200)는,
상기 이송관(100)의 배출공(120) 일측에 축핀(2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210);
상기 축핀(211) 일측의 이송관(100) 하부에 축(223)을 기준으로 몸체(2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로드(222)의 단부는 도어(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작동실린더(220);
상기 도어(210)의 내측면에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열로에서 배출되는 단조품이 상기 이송관(100)의 내에서 불규칙한 경로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편(230)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로와 인접한 이송관(100)의 선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열로에서 가열된 단조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40);
상기 작동실린더(220)와 온도센서(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도센서(240)로부터 측정된 온도 수치를 수신하여 기준치 이상의 온도일 경우 도어(210)를 폐쇄하여 단조품이 프레스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기준치 이하일 경우 도어(210)를 개방하여 단조품이 배출 가이드(300) 측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 시스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100)은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단조품이 전방에 위치한 프레스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100)의 상부에는 단조품의 이송 과정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이송 확인공(110)이 구비되며, 상기 이송관(100)의 하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단조품이 배출 가이드(300) 측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공(1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 시스템.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가이드(300)는,
상기 이송관(100)에서 낙하하는 단조품이 배출되는 메인 배출구(310);
상기 메인 배출구(310)의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 분리 배출구(320);
상기 메인 배출구(310)의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 분리 배출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 시스템.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가이드(300)에 장착되어 단조품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 조절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조절부(400)는,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가 만나는 꼭지점에 장착되는 회전안내축(410);
상기 회전안내축(4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판(420);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외측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개폐판(420)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430);
상기 수용홈(430)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420)의 회전시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충시키는 고무재질의 패킹(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 시스템.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조품이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배출 타격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타격부(500)는,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실린더(510);
상기 실린더(510) 전방의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편(520);
상기 지지편(520)에 결합축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530);
상기 회전부재(530)의 일측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실린더(510)의 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편(540);
상기 회전부재(53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면을 타격하는 타격부재(550)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재(550)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분리 배출구(320)와 제2 분리 배출구(330)의 하부면을 타격시 소음을 방지하도록 CP(Chloroprene Rubber)재질의 소음방지부재(5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 이송 시스템.


KR1020220104368A 2022-08-19 2022-08-19 단조품 이송 시스템 KR10247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368A KR102471438B1 (ko) 2022-08-19 2022-08-19 단조품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368A KR102471438B1 (ko) 2022-08-19 2022-08-19 단조품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438B1 true KR102471438B1 (ko) 2022-11-28

Family

ID=8423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368A KR102471438B1 (ko) 2022-08-19 2022-08-19 단조품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4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424A (ja) * 2002-03-07 2003-09-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穀物荷役用振り分け装置
KR20100012713U (ko) * 2009-06-15 2010-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단조용 중간제품 이송장치
KR101843435B1 (ko) 2016-10-21 2018-03-29 신영윤 단조품 자동 정렬 및 이송장치
KR102026102B1 (ko) * 2018-06-04 2019-09-27 박종갑 단조소재 이송을 위한 교축 자동화 장치
KR20200061633A (ko) * 2018-11-26 2020-06-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부 막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424A (ja) * 2002-03-07 2003-09-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穀物荷役用振り分け装置
KR20100012713U (ko) * 2009-06-15 2010-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단조용 중간제품 이송장치
KR101843435B1 (ko) 2016-10-21 2018-03-29 신영윤 단조품 자동 정렬 및 이송장치
KR102026102B1 (ko) * 2018-06-04 2019-09-27 박종갑 단조소재 이송을 위한 교축 자동화 장치
KR20200061633A (ko) * 2018-11-26 2020-06-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부 막힘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438B1 (ko) 단조품 이송 시스템
CN116408407B (zh) 一种等温锻造压机全封闭智能制造生产线及生产方法
CN105479102A (zh) 球磨机钢球制造设备和制造方法
KR102038820B1 (ko) 다각연결슈트
KR102015280B1 (ko) 팔렛다이징 연동 다단 슈트
CN202272919U (zh) 无台阶销轴类零件对辊式自动感应淬火机床
US20020006771A1 (en) Edging unit applicable to machines for working the edges of plates particularly of glass plates
CN103386457B (zh) 普通中频锻造加热炉进行无氧化技术改造工艺
US8257076B2 (en) Multi-rod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molds
CN205471618U (zh) 一种传送装置外置的烘干生产线
CN212093750U (zh) 带钢无头轧制刮头刮尾装置
CN203373389U (zh) 一种多层箱式加热炉
CN208696202U (zh) 一种锻压推板式接料机
KR20080050667A (ko)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CN209367190U (zh) 一种识别链片正反面的自动排片机用链片传送机构
CN211330335U (zh) 风冷入口温控分选装置
KR20100012713U (ko) 단조용 중간제품 이송장치
CN205887935U (zh) 一种自动温镦成型机
CN206925029U (zh) 一种基于气动式的矿石分选设备
CN214120606U (zh) 耐磨的烘干机
CN211544908U (zh) 锻件转移用旋转机构
CN204830743U (zh) 一种用于干混砂浆生产线的骨料烘干滚筒
CN205436630U (zh) 一种在线热轧板热风干燥装置
CN217433595U (zh) 一种缸盖螺栓垫片组合机
CN216914335U (zh) 一种生产耐火球的单铰龙送料双出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