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123B1 -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123B1
KR102471123B1 KR1020210139070A KR20210139070A KR102471123B1 KR 102471123 B1 KR102471123 B1 KR 102471123B1 KR 1020210139070 A KR1020210139070 A KR 1020210139070A KR 20210139070 A KR20210139070 A KR 20210139070A KR 102471123 B1 KR102471123 B1 KR 102471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unit
assembly
modu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정상학
문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엘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엘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엘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13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8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xplosiv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장에서 건축 모듈러 유닛을 조립할 때 기둥, 바닥보, 천장보의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함으로써 모듈러 유닛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며, 모듈 골조의 샵 드로잉을 인식하거나 입력된 모듈 치수를 인식하여 지그가 자동으로 조립이 진행되며, 거리 측정장치를 통해 조립 시 검측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조립 완료 후 최종적으로 골조 사이즈 검측하여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Automatic Adjustment Guide Apparatus for Architectural Modular Unit}
본 발명은 공장에서 건축 모듈러 유닛을 조립할 때 기둥, 바닥보, 천장보의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함으로써 모듈러 유닛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며, 모듈 골조의 샵 드로잉을 인식하거나 입력된 모듈 치수를 인식하여 지그가 자동으로 조립이 진행되며, 거리 측정장치를 통해 조립 시 검측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조립 완료 후 최종적으로 골조 사이즈 검측하여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모듈러 유닛은 적층 및 조립을 통해 건축물을 구성하는 구조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구조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네 개의 강재 기둥과, 상기 각 기둥 상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천장보와, 각 기둥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바닥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건축용 모듈러 유닛에 관련된 주요 기술로는 기둥과, 보의 연결 부위를 간소화, 시스템화하기 위한 연결구나 연결 플레이트에 관한 기술들이 주를 이루고 있을 뿐 아직까지 모듈러 유닛을 제조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가이드 하여 용이하게 제조 및 조립을 위한 기술이 없었다.
즉, 현재까지는 모듈러 제작 공정을 공장 내에서 자체적으로 수작업에 의해 기둥과 천장보, 바닥보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실정이다.
그런데, 모듈러 건축 분야에서는 다수 개의 모듈러를 서로 연결하여 시공되어 모듈러의 기둥과 천장보, 바닥보가 전체 건축물의 구조부재가 되므로 하나의 모듈러 유닛을 잘못 시공할 경우 전체 건축물을 설계에 맞게 시공하지 못하게 되어 구조적인 결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모듈러 유닛을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9112호(2009.11.30.)에서는 건축 모듈러 유닛 조립 가이드 장치를 공개하고 있으며, 고정측지지장치, 이동측지지장치, 기둥가이드핀, 수직조절장치, 천장보조절장치 및 바닥보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모듈러 유닛 간의 접합을 위하여 지그를 이용하여 조립을 하는 경우 조립 데이터를 인식하여 지그 위치의 변경이 용이하지 못하고, 모듈러의 길이, 직각도, 대각치수 등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모듈조립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9112호(2009.11.30.)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으로 모듈 골조의 샵 드로잉을 인식하거나 입력된 모듈 치수를 인식하여 지그가 자동으로 조립이 진행되며, 거리 측정장치를 통해 조립 시 검측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조립 완료 후 최종적으로 골조 사이즈 검측하여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그 변경을 자동화하여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도면 인식 또는 입력된 치수를 자동인식하여 수작업이 줄어들어 오류가 감소하여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4개의 강재 기둥과, 상기 각 기둥 상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천장보와 상기 각 기둥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바닥보로 구성되며,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철골로 된 다수 개의 고정측 지지부재의 하부가 지면에 고정된 채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철골로된 두 개의 고정측 가로부재가 고정측 지지부재들의 양측 끝단 상부에 적재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두 고정측 가로부재의 사이에 철골로 된 고정측 보조가로부재가 고정측 지지부재들의 양측 끝단 상부에 적재되어 설치되어 있고, 철골로 된 고정측 수직부재의 하부가 고정측 가로부재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철골로 된 고정측 보조수직부재가 고정측 보조가로부재의 상부에 적재되어 고정되어 있고, 철골로 된 고정측 상부연결부재가 두 고정측수직부재의 상부 끝단을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는 고정측 지지장치;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의 맞은편에 설치되며, 고정측 지지장치의 고정측 지지부재와 대칭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LM 레일과, 상기 LM 레일에 설치되어 모듈을 이동 및 고정시키는 LM 가이드와, 상기 LM 가이드와 연결 설치되어 LM 레일에 따라 LM 가이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LM 레일과 나란히 형성된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측 지지장치; 및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와 이동측 지지장치를 제어하는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은, 모듈의 치수를 인식하는 모듈 인식부; 이동식 조립지그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립지그 제어부;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와 이동측 지지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모듈 인식부의 데이터와 상기 측정부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 조립 또는 오류 조립을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 및 상기 비교 판단부의 출력 값을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 인식부는, 모듈 골조의 샵 드로잉을 인식하거나 모듈 조립데이터에 입력된 모듈 치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지그 제어부는, 상기 이동측 지지장치를 고정측 지지장치에 대하여 모듈이 이동되어 조립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이동측 지지장치의 LM 가이드는 상기 모듈이 길이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LM 가이드와 연결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상기 LM 가이드를 이동시키며, 상기 LM 레일을 모듈의 폭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직각도 조절부는, 모듈 조립의 직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 및 이동측 지지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센서부를 통해 모듈의 길이와 직각도 및 대각치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센싱되는 측정값을 확인하여 모듈 인식부에서 입력된 데이터 값과 조립 진행 중 실시간으로 비교하며; 비교 데이터 값이 같은 경우 정상 조립으로 판단하고, 비교 데이터 값이 다른 경우 오류 조립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림부는,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정상 및 오류 조립으로 판단된 값을 소리, 발광, 디스플레이 신호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림부는, 비교 판단부에서 오류 조립 시 오류 조립된 모듈에 대하여, 정상 조립으로 조립 수정하는 길이와 직각도 및 대각치수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는, 자동으로 모듈 골조의 샵드로잉을 인식하거나 입력된 모듈 치수를 인식하여 지그가 자동으로 조립이 진행되며, 조립 시 거리 측정장치를 통해 검측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조립 완료 후 최종적으로 골조 사이즈 검측하여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 변경을 자동화하여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도면 인식 또는 입력된 치수를 자동인식하여 수작업이 줄어들어 오류가 감소하여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용 모듈러 유닛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거리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LM 레일 및 LM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동작상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용 모듈러 유닛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거리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LM 레일 및 LM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4개의 강재 기둥(2)과 상기 각 기둥(2)의 상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천장보(3)와 상기 각 기둥(2)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바닥보(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전제된 건축용 모듈러 유닛(1)을 조립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는 크게 고정측 지지장치(10)와 이동측지지장치(2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측 지지장치(10)는 고정측 지지부재(11), 고정측 가로부재(12), 고정측 보조가로부재(13), 고정측 수직부재(14), 고정측 보조수직부재(15), 고정측 상부연결부재(16), 고정측 트러스트부재(17)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지지장치(10)의 모든 부재들은 도시된 것처럼 H 형강과 같은 철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적으로 잔넬이나 각관 등의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고정측 지지부재(11)는 하부가 지면에 고정된 채 다수 개가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측 지지부재(11)들의 상부에는 고정측 가로부재(12)가 고정측 지지부재(11)의 방향과 교차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고정측 지지부재(11)들의 양측 끝단 상부에 적재되어 설치되어 있다.
고정측 지지부재(11)와 고정측 가로부재(12) 간의 결합은 고력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두 고정측 가로부재(12)의 사이에는 철골로 된 고정측 보조가로부재(13)가 고정측 지지부재(11)들의 양측 끝단 상부에 적재되어 설치되어 있다.
고정측 보조가로부재(13)는 기둥(2)과 기둥(2)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보(4)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가 고정측 지지부재(11)에 고력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철골로 된 고정측 수직부재(14)가 하부가 고정측 가로부재(12) 일측 상부에 고정된 채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철골로 된 고정측 보조수직부재(15)는 고정측 보조가로부재(13)의 상부에 적재되어 고정되어 있다.
고정측 보조수직부재(15)는 기둥(2)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보(4)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부까지 길게 형성할 필요는 없다.
한편, 두 고정측 수직부재(14)의 사이에는 철골로 된 고정측 상부연결부재(16)가 설치되어 두 고정측수직부재(14) 양 끝단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철골로 된 고정측 트러스부재(17)가 고정측 가로부재(12)의 끝단 상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고정측 수직부재(14)의 상부에 타측이 고정되어 고정측 수직부재(1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선택적으로 제외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정측지지장치(10)의 반대편에는 이동측지지장치(20)가 고정측지지장치(10)와 대칭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측지지장치(10)의 각 구성요소에 대응되도록 이동측지지부재(21), 이동측 가로부재(22), 이동측 보조가로부재(23), 이동측 수직부재(24), 이동측 보조수직부재(25), 이동측 상부연결부재(26), 이동측 트러스부재(27)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동측지지장치(20)는 고정측지지장치(10)와 달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는 고정측지지장치(10)와 상이하며, 이동측 가로부재가 LM 레일 형태로 구성된 LM 레일(22,42)되며, 상기 LM 레일(22,4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LM 가이드(34,37,54,57)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측 지지장치(20)는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10)의 맞은편에 설치되며, 고정측 지지장치(10)의 고정측 지지부재와 대칭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LM 레일(22.42)과, 상기 LM 레일(22,42)에 설치되어 모듈을 이동 및 고정시키는 LM 가이드(34,37,54,57)와, 상기 LM 가이드(34,37,54,57)와 연결 설치되어 LM 레일에 따라 LM 가이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LM 레일과 나란히 형성된 유압실린더(50,60)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실린더(50,60)는 복동형 유압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LM 가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측 지지장치(10)와 이동측 지지장치(20)를 제어하는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200)은 고정측 지지장치(10) 및 이동측 지지장치(20)에 각각에 내장되어 구비되거나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정측 지지장치(10)와 이동측 지지장치(20)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200)의 모듈 인식부(210), 조립지그 제어부(220), 측정부(230), 비교 판단부(240) 및 알림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듈 인식부는(210)는 모듈 골조의 샵 드로잉을 인식하거나 모듈 조립데이터에 입력된 모듈 치수를 인식하여, 조립이 진행되어 완성될 모듈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의 치수를 인식하는 모듈 인식부(210)와, 이동식 조립지그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립지그 제어부(220)와,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와 이동측 지지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값을 측정하는 측정부(230)와 상기 모듈 인식부의 데이터와 상기 측정부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 조립 또는 오류 조립을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240) 및 상기 비교 판단부의 출력 값을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알리는 알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지그 제어부(220)는, 상기 이동측 지지장치(20)를 고정측 지지장치(10)에 대하여 모듈이 이동되어 조립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동측 지지장치(20)의 LM 가이드(34,37,54,57)는 상기 모듈이 길이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유압실린더(50,60)는 상기 LM 가이드(34,37,54,57)와 연결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상기 LM 가이드(34,37,54,57)를 이동시키며, 상기 LM 레일(50,60)을 모듈의 폭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동 레일(8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직각도 조절부(111 내지 116)는, 모듈 조립의 직각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모듈의 직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직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모듈 인식부에서 인식된 데이터 값으로 유압실린더를 제어하여 모듈 직각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LM 레일과 LM 가이드 유압실린더를 통해 지그 변경을 자동화하여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도면 인식 또는 입력된 치수를 자동인식하여 수작업이 줄어들어 오류가 감소하여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거리 측정부(230)는,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10) 및 이동측 지지장치(20)에 구비된 복수개의 센서부(101 내지 108)를 통해 모듈의 길이와 직각도 및 대각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비교 판단부는(240)는, 거리 측정부(230)에서 센싱되는 측정값을 확인하여 모듈 인식부(210)에서 입력된 데이터 값과 조립 진행 중 실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다.
비교 데이터 값이 같은 경우 정상 조립으로 판단하고, 비교 데이터 값이 다른 경우 오류 조립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알림부(250)는, 비교 판단부(240)에서 정상 및 오류 조립으로 판단된 값을 소리, 발광, 디스플레이 신호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비교 판단부에서 오류 조립 시 오류 조립된 모듈에 대하여, 정상 조립으로 조립 수정하는 길이와 직각도 및 대각치수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자동으로 모듈 골조의 샵드로잉을 인식하거나 입력된 모듈 치수를 인식하여 지그가 자동으로 조립이 진행되며, 조립 시 거리 측정장치를 통해 검측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조립 완료 후 최종적으로 골조 사이즈 검측하여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오류 시 보정되어 조립되는 값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용 모듈러 유닛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모듈러 유닛(1)의 기둥(2) 저부에 LM 가이드(34,54)가 위치하도록 네 군데 모서리에 기둥(2)을 설치한다.
이때, 직각도 조절장치(111 내지 116)를 이용하여 직각도 조절장치(111 내지 116)의 돌출 부분이 기둥(2)의 표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한다.
직각도 조절장치(116)는 직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부(116a)와 제어를 위해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116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기둥(2)이 직립된 상태에서 흔들리게 될 경우 기둥(2) 사이에 설치되는 바닥보(4) 및 천장보(3)의 위치를 정확히 세팅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직각도 조절장치(111 내지 116)를 이용하여 기둥(2)의 위치를 세팅한 다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둥(2)의 저부에 바닥보(4)를 연결 설치한다.
이때, LM레일(50,60)의 간격을 이용하여 단방향 바닥보(4)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하도록 한다.
단방향 바닥보(4)를 설치한 다음에 장방향의 바닥보(4)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하부 바닥보(4)를 설치한 다음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천장보(3)를 설치한다.
천장보(3)를 설치할 때 이동측 지지장치 및 고정측 지지장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직각도 조절장치(115,116,125,126)를 이용하여 단방향의 천장보(3) 일측에 밀착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 단방향의 천장보(3)를 고정한 다음 장방향의 천장보(3)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조립을 실시하게 되면 일련의 모듈러 유닛(1) 조립 작업이 마무리된다.
이때, LM 가이드는 모듈 인식부(210)에서 인식된 모듈의 치수 값으로 제어되어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는 내측방향으로 접철되는 지지대(92)를 설치하여 조립지그 장치를 통해 조립을 수행할 때 모듈이 LM 레일을 따라 이동 시 쓰러지거나 조립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측정부는 고정식 지지장치(10)와 이동식 지지장치(20)에 각각 복수의 센서(101 내지 108)가 구비하며, 조립 지그 제어부를 통해 고정식 지지장치(10)와 이동식 지지장치(20)에 구비된 LM레일의 LM 가이드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여, 조립 지그의 X, Y축의 조립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지그의 Z축 제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LM 레일의 높이 조절부(222)를 통해 LM 레일의 높이를 조절하여 Z축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식 지지장치(10)와 이동식 지지장치(20)에 각각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통한 직각도 조절부(111 내지 126)를 구비하여 이를 조립지그 제어부(220)에서 실린더의 제어하여 직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200)은 모듈 인식부(210)에서 모듈 골조의 샵 드로잉을 인식하거나 입력된 모듈 치수를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토대로 모듈이 조립되도록 조립지그를 제어하는 조립지그 제어부(220)와 조립 시 또는 조립 완료 시 모듈의 길이, 직각도, 대각치수 등을 확인하는 센싱부(230)와 모듈 인식부(210)에서 인식된 모듈 치수와 센싱부(230)에서 측정된 모듈 조립값을 비교 판단부(240)에서 비교하고, 비교 후 동일한 경우 정상 조립 신호 또는 오류 조립 신호를 소리, 발광, 디스플레이 신호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환하여 알림부(250)에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LM레일(22)과 LM 가이드(34,37)를 나타낸다.
LM 가이드(34)는 엔드플레이트(34a), 엔드씰(34b), 구리스니플(34c), 볼 플레이트(34d), 이너씰(34e), 사이드씰(34f)을 포함할 수 있다.
X, Y축 가변방법을 기존에는 바퀴, 레일 실린더로 진행하였다면, LM레일 LM가이드를 적용하여 자동화설비 및 정밀도가 우수한 조립을 진행할 수 있다.
LM 레일(22)과 LM 가이드(34,37)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모듈 인식부(210)에서 모듈러 조립 데이터를 인식하여, LM 레일과 LM 가이드를 통해 조립지그 제어부(220)에서 모듈러를 자동으로 이동 제어하여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는, 자동으로 모듈 골조의 샵드로잉을 인식하거나 입력된 모듈 치수를 인식하여 지그가 자동으로 조립이 진행되며, 조립 시 거리 측정장치를 통해 검측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며, 조립 완료 후 최종적으로 골조 사이즈 검측하여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 변경을 자동화하여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도면 인식 또는 입력된 치수를 자동인식하여 수작업이 줄어들어 오류가 감소하여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자동 거리 측정장치가 설치된 모듈 조립지그를 통해 길이, 직각도, 대각치수 등을 확인하여 모듈 골조의 샵드로잉과 입력된 모듈 치수에 맞게 조립이 진행되었는지 실시간으로 검측이 진행되며, 자동화된 지그 변경을 통하여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도면 인식 또는 입력된 치수를 자동인식하여 수작업이 줄어들어 오류가 감소하여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하지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모듈러 유닛 2: 기둥
3: 천장보 4: 바닥보
10: 고정측 지지장치 20: 이동측 지지장치
22,42: LM 레일 34,37,54,57: LM 가이드
50, 60: 유압실린더 80: 가이드 레일
81: 보조 실린더 100: 센서부
101 내지 108: 센서 111 내지 126: 유압실린더
200: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 210: 모듈 인식부
220: 조립지그 제어부 230: 거리 측정부
240: 비교 판단부 250: 알림부

Claims (8)

  1.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4개의 강재 기둥과, 상기 각 기둥 상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천장보와 상기 각 기둥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바닥보로 구성되며,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철골로 된 다수 개의 고정측 지지부재의 하부가 지면에 고정된 채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철골로된 두 개의 고정측 가로부재가 고정측 지지부재들의 양측 끝단 상부에 적재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두 고정측 가로부재의 사이에 철골로 된 고정측 보조가로부재가 고정측 지지부재들의 양측 끝단 상부에 적재되어 설치되어 있고, 철골로 된 고정측 수직부재의 하부가 고정측 가로부재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철골로 된 고정측 보조수직부재가 고정측 보조가로부재의 상부에 적재되어 고정되어 있고, 철골로 된 고정측 상부연결부재가 두 고정측수직부재의 상부 끝단을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는 고정측 지지장치;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의 맞은편에 설치되며, 고정측 지지장치의 고정측 지지부재와 대칭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LM 레일과, 상기 LM 레일에 설치되어 모듈을 이동 및 고정시키는 LM 가이드와, 상기 LM 가이드와 연결 설치되어 LM 레일에 따라 LM 가이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LM 레일과 나란히 형성된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측 지지장치; 및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와 이동측 지지장치를 제어하는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지그 제어 시스템은, 모듈의 치수를 인식하는 모듈 인식부;
    이동식 조립지그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립지그 제어부;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와 이동측 지지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센서를 통해 센싱값을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상기 모듈 인식부의 데이터와 상기 거리 측정부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 조립 또는 오류 조립을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 및
    상기 비교 판단부의 출력 값을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 인식부는,
    모듈 골조의 샵 드로잉을 인식하거나 모듈 조립데이터에 입력된 모듈 치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지그 제어부는,
    상기 이동측 지지장치를 고정측 지지장치에 대하여 모듈이 이동되어 조립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이동측 지지장치의 LM 가이드는 상기 모듈이 길이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LM 가이드와 연결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상기 LM 가이드를 이동시키며, 상기 LM 레일을 모듈의 폭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직각도 조절부는, 모듈 조립의 직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고정측 지지장치 및 이동측 지지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센서부를 통해 모듈의 길이와 직각도 및 대각치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센싱되는 측정값을 확인하여 모듈 인식부에서 입력된 데이터 값과 조립 진행 중 실시간으로 비교하며;
    비교 데이터 값이 같은 경우 정상 조립으로 판단하고, 비교 데이터 값이 다른 경우 오류 조립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정상 및 오류 조립으로 판단된 값을 소리, 발광, 디스플레이 신호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비교 판단부에서 오류 조립 시 오류 조립된 모듈에 대하여, 정상 조립으로 조립 수정하는 길이와 직각도 및 대각치수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KR1020210139070A 2021-10-19 2021-10-19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KR102471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070A KR102471123B1 (ko) 2021-10-19 2021-10-19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070A KR102471123B1 (ko) 2021-10-19 2021-10-19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123B1 true KR102471123B1 (ko) 2022-11-28

Family

ID=8423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070A KR102471123B1 (ko) 2021-10-19 2021-10-19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1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150A (ja) * 1999-04-05 2000-10-17 Sekisui Chem Co Ltd 建物ユニットの組立装置
KR100929112B1 (ko) 2009-07-24 2009-11-30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 모듈러 유닛 조립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150A (ja) * 1999-04-05 2000-10-17 Sekisui Chem Co Ltd 建物ユニットの組立装置
KR100929112B1 (ko) 2009-07-24 2009-11-30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 모듈러 유닛 조립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68530B (zh) 电梯井道测量、定位及电梯安装方法和设备
US5361495A (en) Roof truss fabrication method
CN105651210A (zh) 一种框架式机架平面度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2324156B (zh) 一种环梁节点组合拼装方法
CN107867409A (zh) 用于制造飞行器的履带式机器人装配件的移动控制
CN111172885B (zh) 钢箱梁对接检测组件及对接方法
KR102471123B1 (ko) 건축용 모듈러 유닛 제작을 위한 자동조절 가이드 장치
CN113374282A (zh) 采用假定坐标系控制预埋螺栓的方法
KR101835002B1 (ko) 홀 변위 측정 장치
CN106494966A (zh) 一种电梯导轨自动校准装置及校准方法
KR102154559B1 (ko) 로봇 용접 자동화 시스템 및 자동화 방법
JPH10297724A (ja) 立体自動倉庫のラックの製作治具
JP2011148624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停止目標座標決定方法
CN107963533B (zh) 模块化电梯井道设计方法
CN215572719U (zh) 一种竖向预制构件的检测装置
JPH07111346B2 (ja) 構築物の変位検出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ターゲットプレート
CN210684486U (zh) 索塔区梁段支架
JPH08142034A (ja) ショートラインマッチキャスティング用型枠自動制御システム
KR102607240B1 (ko) 항만크레인 설치장치 및 항만크레인 설치방법
CN116104012B (zh) 一种空间曲线钢梁的拼装方法
JP2909808B2 (ja) 橋梁箱桁など長尺構造物の自動計測装置
KR102597338B1 (ko) 프린팅 장치 및 프린팅 방법
JPH03103512A (ja) 連結構造物の製作方法および長大橋主塔ブロックの製作方法
JP2645419B2 (ja) 自動溶接装置
KR102606506B1 (ko) 자착식 시트방수재 현장 부착강도 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