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802B1 -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802B1
KR102470802B1 KR1020210163282A KR20210163282A KR102470802B1 KR 102470802 B1 KR102470802 B1 KR 102470802B1 KR 1020210163282 A KR1020210163282 A KR 1020210163282A KR 20210163282 A KR20210163282 A KR 20210163282A KR 102470802 B1 KR102470802 B1 KR 10247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rilling
pneumatic hammer
rod
press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훈
최상보
Original Assignee
재영티에스(주)
최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영티에스(주), 최상보 filed Critical 재영티에스(주)
Priority to KR1020210163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20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vertical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4Bits with helical conveying portion, e.g. screw type bits; Augers with leading portion or with detach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aleont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어스앵커용 천공장치는 어스앵커를 위한 천공설비의 기계 본체에 장착되는 로터리 헤드; 상기 로터리 헤드에 길이 연장 가능하게 결합하는 천공용 로드; 상기 천공용 로드의 단부에 결합하며, 공기압에 의한 타격력을 발생시켜 천공 작업을 진행하는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 및 상기 로터리 헤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케이싱 삽입을 위해 상기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케이싱 삽입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스앵커용 천공장치{Drilling apparatus for earth anchor}
본 발명은,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전과 달리 케이싱 삽입을 독립적인 수단을 더 부가함으로써 케이싱 삽입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기초로서 충분한 지지력이 없는 연약지반 위에 도로, 교량, 건물 등이 그대로 건설할 때, 지하구조물 설치를 위해 흙막이 공사를 하는데, 이러면, 토사붕괴를 막기 위해, 여러 가지 공법이 이용되는데, 그중에 하나가 어스앵커 공법이 있다.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은 천공설비(혹은 장비)를 사용하여, 100mm-150mm 정도의 직경으로, 소정의 깊이까지 천공하여, 미리 제작된 케이블을 삽입한 다음, 천공 구멍에 시멘트 밀크와 같은 그라우팅(Grouting) 재료룰 채우고, 뒷면에 앵커를 만들어 외부에서 케이블에 인장력을 가해, 흙막이 벽체를 잡아매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설비 및 그 공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존의 천공설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에 의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천공장치본체(10-1)에 구비되는 가이드부(11)와, 상기 가이드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11)에 구비되는 케이싱(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20)은 연결부에 의해 헤드부(1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헤드부(15)에는 로터리 조인트(14)가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 조인트(14)는 헤드부(15)와 상대 운동하도록 구비된다. 즉, 헤드부(15)가 회전하더라도 로터리 조인트(14)는 정지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로터리 조인트(14) 내부에 베어링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20)은 중공의 케이싱 본체(21)와, 상기 케이싱 본체(21) 외면에 외향 돌출되며 나선을 이루는 스크류(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 본체(21)의 일 측 끝단외측면에는 수나사부(25)가 형성되고, 타 측 끝단 외측면에는 암나사부(29)가 형성된다. 즉, 다수 개의 케이싱(20)이 천공 방향 배열되어 상호 결합하며, 이를 위해
하나의 케이싱(20)의 수나사부(25)가 이웃하는 케이싱(20)의 암나사부(29) 내부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수나사부(25)가 암나사부(29)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암나사부(29)가 형성되는 케이싱(20)의 끝부분은 직경이 증가하는 확관부(27)가 구비된다.
케이싱(20)의 천공 방향 끝단에는 비트(30)가 구비된다. 상기 비트(30)와 케이싱(20)의 천공 방향 끝단에는 케이싱 슈(40)가 구비되어 비트(30)와 케이싱(20)을 연결한다. 상기 비트(30)는 비트 헤드(37)와 비트 연결부(31)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트 연결부(31)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비트키부(33)가 구비된다.
상기 비트키부(33)는 비트 연결부(31)의 외면에 외향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다.
상기 비트 연결부(31)의 내면에는 비트홈(35)이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비트 연결부(31)의 비트키부(33)와 비트홈(35)에 케이싱 슈(40)의 비트키부(도시되지 않음)와 비트홈(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삽입되어 연결된다.
상기 케이싱 슈(40)와 케이싱(20)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케이싱(20)의 천공 방향 [0009] 끝단에 형성된 수나사부(25)가 케이싱 슈(40) 내부와 나사결합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천공설비를 이용하여 지반을 강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비트(30)와 케이싱 슈(40)가 설치된 케이싱(20)을 헤드부(15)에 나사 결합에 의해 연결한다. 즉, 상기 케이싱(20)의 암나사부(29)와 헤드부(15)를 접한 후 헤드부(15)를 나사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호 결합한다.
이후, 상기 케이싱(20)을 나사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케이싱(20)을 전진하여 천공한다. 상기 케이싱(20)은 가이드부(11)에 설치된 헤드부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진한다. 상기 헤드부구동수단은 가이드부(11)에 설치된 이동 수단(예를 들어 체인 등)에 의해 전후진하며 안정적인 전후진을 위해 상기 케이싱(20)은 가이드 지지부(11-1)를 통과한다.
케이싱(20)이 일정 깊이 전진하며 나사 결합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천공한다. 그런 다음에 별도의 케이싱(20)을 천공 방향 후단에 결합한다. 이를 위해 헤드부(15)를 역회전하여 케이싱(20)과 분리한 후 후진한다.
후진된 헤드부(15)에 별도의 케이싱(20)을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한 후 전진한다. 상기 별도의 케이싱(20)은 나사 방향으로 회면서 기존의 케이싱(20)에 나사 결합한다. 이후 동일하게 상기 케이싱(20)은 나사 결합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하여 천공한다. 이는 상기 케이싱(20) 상호 간에 나사 결합하고 있으므로 반대 방향을 회전하면 케이싱(20)이 상호 분리되기 때문이다.
상기 케이싱(20)이 일정 깊이 전진하여 천공한 후 헤드부(15)에 구비되는 로터리 조인트(14)를 통해 시멘트 밀크를 투입한다. 상기 시멘트 밀크는 케이싱(20)을 통과한 후 비트(30)를 통해 분출하여 천공된 부분에 투입되고 양생되어 지반을 강화한다. 이후, 분리봉(도시되지 않음)을 케이싱(20) 내부에 투입하여 비트(30)를 분리하고 앵커체를 케이싱(20) 내부에 투입한다. 이후, 상술된 바와 같이 시멘트 밀크를 투입하면서 케이싱(20)을 인발하고 앵커체의 주입 호스를 통해 특정 물질을 투입하여 치수파카를 확장한다. 최종적으로 투입된 밀크 시멘트를 양생하여 지반 보강을 종료한다.
한편, 도 5는 도 1과 같은 설비에 적용 가능한 종래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어스앵커용 천공장치(1)는 예컨대 도 1과 같은 설비의 기계 본체(미도시)에 장착된 로터리 헤드(2)에 공기압 함마(4)를 체결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공기압 함마(4)는 공기압을 이용해서 타격력을 발생시킨다. 천공 작업 시 천공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공기압 함마(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천공용 로드(2)를 연장해서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암반층 이전까지 전석층이나 모래 자갈층까지 천공한 후에, 흙막이판을 고정하기 위한 연선을 삽입하기 전까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싱(5)을 삽입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전적으로 로터리 헤드(2)의 회전력만으로 케이싱(5)을 삽입해 왔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공 작업이 곤란할 경우, 설계변경으로 천공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일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설계 위치를 준수하기 위해 재작업으로 케이싱(5)보다 더 큰 구경으로 선(先) 천공 작업을 진행해야 하고, 다시 케이싱(5)을 삽입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두 배 이상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3282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2854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10282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7-00055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달리 케이싱 삽입을 독립적인 수단을 더 부가함으로써 케이싱 삽입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어스앵커용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어스앵커를 위한 천공설비의 기계 본체에 장착되는 로터리 헤드; 상기 로터리 헤드에 길이 연장 가능하게 결합하는 천공용 로드; 상기 천공용 로드의 단부에 결합하며, 공기압에 의한 타격력을 발생시켜 천공 작업을 진행하는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 및 상기 로터리 헤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케이싱 삽입을 위해 상기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케이싱 삽입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케이싱 삽입 구동부는, 상기 케이싱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압되는 케이싱 가압부재; 및 상기 케이싱 가압부재와 연결되고 공기압에 의한 타격력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싱 가압부재를 가압하되 일측에서 상기 천공용 로드와 연결되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삽입 구동부는 상기 로터리 헤드와 상기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를 연결하는 연결용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가압부재는, 상기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가 일측에서 접하되 내면이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접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접면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접면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싱에서 자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면 플레이트에 상기 천공용 로드가 통과하는 로드 통과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단부 영역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 조건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 또는 상기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 또는 상기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로의 공기 공급이 선택되게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케이싱 삽입을 독립적인 수단을 더 부가함으로써 케이싱 삽입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일반적인 천공설비의 구조와 작용 설명을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종래 다른 구조의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의 단계별 사용상태도들이다.
도 10은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동작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의 단계별 사용상태도들이고, 도 10은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100)는 종전과 달리 케이싱(180) 삽입을 독립적인 수단을 더 부가함으로써 케이싱(180) 삽입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100)는 로터리 헤드(110), 천공용 로드(120),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 및 케이싱 삽입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헤드(110)는 어스앵커(Earth Anchor)를 위한 천공설비의 기계 본체에 장착되는 장치를 가리킨다. 여기서, 천공설비는 도 1을 비롯해서 여러 형태의 설비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천공용 로드(120)는 로터리 헤드(110)와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에 연결되되 로터리 헤드(110) 측의 동력을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천공용 로드(120)는 로터리 헤드(110)에 길이 연장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천공 깊이가 깊어질수록 천공용 로드(120)는 늘어나는 형태가 된다.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는 천공용 로드(120)의 단부에 결합하며, 공기압에 의한 타격력을 발생시켜 천공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케이싱 삽입 구동부(140)는 로터리 헤드(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케이싱(180) 삽입을 위해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이러한 케이싱 삽입 구동부(140)는 케이싱 가압부재(150)와, 케이싱 가압부재(150)와 연결되고 공기압에 의한 타격력을 발생시켜 케이싱 가압부재(150)를 가압하되 일측에서 천공용 로드(120)와 연결되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와, 로터리 헤드(110)와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를 연결하는 연결용 로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가압부재(150)는 케이싱(180)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압되는 구조물이다.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에 공기압이 형성될 때, 케이싱 가압부재(150)로 타격운동을 전달함으로써, 케이싱 가압부재(150)에 의해 케이싱(180)이 삽입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효율적이면서도 빠른 케이싱(180) 삽입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 가압부재(150)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가 일측에서 접하되 내면이 케이싱(180)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접면 플레이트(151)와, 접면 플레이트(151)의 단부에서 절곡되고 접면 플레이트(151)가 케이싱(180)에서 자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면 플레이트(151)에 천공용 로드(120)가 통과하는 로드 통과구(1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천공용 로드(120)의 연결 작업이 원활해질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180)의 단부 영역에 통공(181)이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싱(180)을 삽입할 때, 형성되는 압력이나 토사 등의 배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100)는 장치의 컨트롤을 위해 입력부(195), 압축공기 공급부(196) 및 컨트롤러(190)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195)는 작업 조건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입력부(195)는 리모콘 등이 될 수 있으며, 지반을 천공하는 작업인지 케이싱(180)을 가압하는 작업인지를 선택한다.
압축공기 공급부(196)는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 또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이다.
컨트롤러(190)는 입력부(195)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 또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로의 공기 공급이 선택되게 압축공기 공급부(196)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즉 지반을 천공하는 작업일 때는 컨트롤러(190)에 의해 압축공기 공급부(196)를 통한 압축공기가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로만 공급되게 하고, 케이싱(180)을 가압하는 작업일 때는 컨트롤러(190)에 의해 압축공기 공급부(196)를 통한 압축공기가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로만 공급되게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95)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 또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로의 공기 공급이 선택되게 압축공기 공급부(196)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입력부(195)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 또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로의 공기 공급이 선택되게 압축공기 공급부(196)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케이싱(180) 삽입을 독립적인 수단을 더 부가함으로써 케이싱(180) 삽입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좀 더 부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종래와 달리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를 포함하는 케이싱 삽입 구동부(140)를 독립적으로 더 적용함으로써, 케이싱(180)에 효과적으로 타격을 주어 전석층이나 모래 자갈층의 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불필요한 선(先) 천공 작업으로 인해 지반 교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200) 역시, 로터리 헤드(110), 천공용 로드(120),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 및 케이싱 삽입 구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삽입 구동부(240)는 케이싱 가압부재(250)와, 케이싱 가압부재(250)와 연결되고 공기압에 의한 타격력을 발생시켜 케이싱 가압부재(250)를 가압하되 일측에서 천공용 로드(120)와 연결되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와, 로터리 헤드(110)와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를 연결하는 연결용 로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 가압부재(250)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160)가 일측에서 접하되 내면이 케이싱(180)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접면 플레이트(251)와, 접면 플레이트(251)의 단부에서 절곡되고 접면 플레이트(251)가 케이싱(180)에서 자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252)와, 접면 플레이트(251)에 형성되되 천공용 로드(120)가 통과하는 로드 통과구(2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접면 플레이트(251)의 내면에는 케이싱(180)이 상단부 영역이 자리배치되면서 끼워맞춤 결합하는 자리배치용 끼워맞춤 결합부(25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자리배치용 끼워맞춤 결합부(254)가 형성되면 이곳에 케이싱(180)이 상단부 영역이 자리배치되면서 끼워맞춤 결합한 상태에서 케이싱 가압부재(250)에 타격이 형성되면서 케이싱(180)을 삽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그 작업효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달리 케이싱(180) 삽입을 독립적인 수단을 더 부가함으로써 케이싱(180) 삽입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천공장치(300) 역시, 로터리 헤드(310), 천공용 로드(120),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130) 및 케이싱 삽입 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 삽입 구동부(340)는 케이싱 가압부재(150)와, 케이싱 가압부재(150)와 연결되고 공기압에 의한 타격력을 발생시켜 케이싱 가압부재(150)를 가압하되 일측에서 천공용 로드(120)와 연결되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360)와, 로터리 헤드(310)와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360)를 연결하는 연결용 로드(3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360)와 연결용 로드(370)가 전술한 실시예들처럼 천공용 로드(120)에 동축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천공용 로드(120)와 병렬로 연결된다. 즉 여러 개의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360)와 연결용 로드(370)가 로터리 헤드(310)에 직결하는 형태를 취한다.
이럴 경우, 로터리 헤드(310)의 구조가 달라져야 할 것인데,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실시예의 효과, 즉 종전과 달리 케이싱(180) 삽입을 독립적인 수단을 더 부가함으로써 케이싱(180) 삽입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110 : 로터리 헤드
120 : 천공용 로드 130 :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
140 : 케이싱 삽입 구동부 150 : 케이싱 가압부재
151 : 접면 플레이트 152 : 스커트
153 : 로드 통과구 160 :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
170 : 연결용 로드 180 : 케이싱
181 : 통공 190 : 컨트롤러
195 : 입력부 196 : 압축공기 공급부

Claims (5)

  1. 어스앵커를 위한 천공설비의 기계 본체에 장착되는 로터리 헤드;
    상기 로터리 헤드에 길이 연장 가능하게 결합하는 천공용 로드;
    상기 천공용 로드의 단부에 결합하며, 공기압에 의한 타격력을 발생시켜 천공 작업을 진행하는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 및
    상기 로터리 헤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케이싱 삽입을 위해 상기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케이싱 삽입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삽입 구동부는,
    상기 케이싱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압되는 케이싱 가압부재; 및
    상기 케이싱 가압부재와 연결되고 공기압에 의한 타격력을 발생시켜 상기 케이싱 가압부재를 가압하되 일측에서 상기 천공용 로드와 연결되는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삽입 구동부는 상기 로터리 헤드와 상기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를 연결하는 연결용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가압부재는,
    상기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가 일측에서 접하되 내면이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접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접면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접면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싱에서 자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면 플레이트에 상기 천공용 로드가 통과하는 로드 통과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단부 영역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작업 조건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 또는 상기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지반 천공용 공기압 함마 또는 상기 케이싱 가압용 공기압 함마로의 공기 공급이 선택되게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KR1020210163282A 2021-11-24 2021-11-24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KR10247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282A KR102470802B1 (ko) 2021-11-24 2021-11-24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282A KR102470802B1 (ko) 2021-11-24 2021-11-24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802B1 true KR102470802B1 (ko) 2022-11-28

Family

ID=8423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282A KR102470802B1 (ko) 2021-11-24 2021-11-24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8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820A (ko) 1995-12-07 1997-07-22 이능희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피부상처 치료제의 제조방법
KR20000028546A (ko) 1998-10-13 2000-05-25 다니구찌 이찌로오;기타오카 다카시 프로세서및메모리제어방법
KR100609335B1 (ko) * 2005-05-31 2006-08-08 삼성물산 주식회사 지중에의 보강재 시공방법
KR20070000519U (ko) 2007-03-20 2007-05-04 주식회사 하이텔네트웍스 옥내 광케이블 배선용 가이드
KR100877661B1 (ko) * 2007-04-02 2009-01-09 (주)서림건설 공압타격장치가 구비된 천공기
KR20160102824A (ko) 2015-02-23 2016-08-31 박범준 화면 분할을 통한 다중 접속이 가능한 전자 칠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820A (ko) 1995-12-07 1997-07-22 이능희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피부상처 치료제의 제조방법
KR20000028546A (ko) 1998-10-13 2000-05-25 다니구찌 이찌로오;기타오카 다카시 프로세서및메모리제어방법
KR100609335B1 (ko) * 2005-05-31 2006-08-08 삼성물산 주식회사 지중에의 보강재 시공방법
KR20070000519U (ko) 2007-03-20 2007-05-04 주식회사 하이텔네트웍스 옥내 광케이블 배선용 가이드
KR100877661B1 (ko) * 2007-04-02 2009-01-09 (주)서림건설 공압타격장치가 구비된 천공기
KR20160102824A (ko) 2015-02-23 2016-08-31 박범준 화면 분할을 통한 다중 접속이 가능한 전자 칠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7480B2 (en) Extensible reaming self-anchoring anchor rod and supporting method thereof
US10975696B2 (en) Grouting anchor bolt and grouting anchor cable for supporting of large deformation and constant resistance and quantitative roadway supporting method
KR100919821B1 (ko) 자천공 앙카로드를 이용한 지반 보강장치
CA2994061C (en) Supporting method of an extensible reaming self-anchoring anchor rod
KR100934274B1 (ko) 지압식 소일 네일 및 이 시공방법
JP2007528459A (ja) ワンパス穿孔装置
JP2007211412A (ja) アンカー構築工法
US11913338B2 (en) Support method of preset internal cable for in-situ tunnel expansion project
KR100720685B1 (ko) 네일링 장치
US4718791A (en) High capacity tieback installation method
KR102470802B1 (ko) 어스앵커용 천공장치
JP2007032169A (ja) パイプアンカーの埋設方法
JP2008248488A (ja) 斜面安定化工法及び斜面施工装置
KR101000569B1 (ko) 도로 및 단지의 사면보강 네일링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공법
JP2009235865A (ja) 支保部材およびその支保部材の定着方法
RU6340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грунтоцементных тел
CN103470181A (zh) 凿岩装置推进力单向延迟响应方法及实现该方法的装置
JP2003184499A (ja) 地山補強用大径ロックボルトアンカー
KR20020068981A (ko) 강관마이크로파일 및 그라우팅 시공방법
JP4884276B2 (ja) 回転圧入杭の施工方法および斜面施工装置
KR100721605B1 (ko) 쏘일네일의 전면 지압판의 구조
KR101018890B1 (ko) 앙카 기능이 추가된 정착제와 네일체를 천공과 동시에 삽입하는 소일네일 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840145B2 (ja) 連続直状孔の穿孔方法
KR200292844Y1 (ko) 나선형 중공파이프를 이용한 마이크로 파일
CN110593260A (zh) 自钻式预应力锚固头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