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716B1 -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716B1
KR102470716B1 KR1020160003664A KR20160003664A KR102470716B1 KR 102470716 B1 KR102470716 B1 KR 102470716B1 KR 1020160003664 A KR1020160003664 A KR 1020160003664A KR 20160003664 A KR20160003664 A KR 20160003664A KR 102470716 B1 KR102470716 B1 KR 10247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polarizing plate
vehicle
mirr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759A (ko
Inventor
가츠노리 다카다
다다유키 가메야마
요시츠구 기타무라
게이스케 기무라
히로키 구라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하프 미러와 영상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하프 미러에 의한 반사 이미지의 영향을 저감시켜,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영상의 시인성이 우수한 영상 표시 미러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는, 시인측부터 순서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된 원 편광판과, 하프 미러와, 영상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시와 영상 비표시시에서, 상기 원 편광판의 착탈 상태가 전환되고, 영상 표시시에, 상기 하프 미러와 시인자의 사이에 원 편광판이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IMAGE DISPLAY MIRRO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백 미러에 영상 표시 장치를 조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모니터의 전면 (시인측면) 에 하프 미러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영상 표시 미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영상 표시 미러에서는, 하프 미러에 의한 반사 이미지에 의해 후방의 시인이 가능해지고, 한편,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했을 때에는 그 영상이 하프 미러를 통해서 시인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영상 표시 미러에 있어서는,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광량이 많은 경우 등에는, 반사 이미지가, 모니터에 표시된 화상의 시인성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인용문헌 1 에 있어서는, 시인자 (승무원) 가 후방을 시인할 때와 모니터 화상을 시인할 때에서, 하프 미러의 각도를 상이한 각도로 함으로써, 반사 이미지의 영향을 저감시킨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 의하면, 모니터 화상을 시인할 때, 하프 미러에 의한 반사 이미지가 모니터 화상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는 이미지가 되도록, 구체적으로는, 반사에 의해 천정이 비치도록 하프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여, 반사 이미지의 영향이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하프 미러에 의한 반사 이미지를 모니터 화상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는 이미지로 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예를 들어, 파노라믹 루프, 선 루프 등의 광을 투과하는 천정을 구비하는 차량 또는 오픈카에 적용하는 경우, 인용문헌 1 의 영상 표시 미러에서는, 반사 이미지의 영향을 저감할 수 없다.
일본 특허공보 제527328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하프 미러와 영상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하프 미러에 의한 반사 이미지의 영향을 저감시켜,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영상의 시인성이 우수한 영상 표시 미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는, 시인측부터 순서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된 원 편광판과, 하프 미러와, 영상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시와 영상 비표시시에서, 상기 원 편광판의 착탈 상태가 전환되고, 영상 표시시에, 상기 하프 미러와 시인자의 사이에 원 편광판이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 편광판이 제 1 직선 편광자와 제 1 λ/4 판을 포함하고, 그 제 1 직선 편광자가 그 제 1 λ/4 판보다 시인측에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 편광판이 방현 처리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 편광판이 저반사 처리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 편광판이 방현 처리 및 저반사 처리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는, 배면측으로부터 하프 미러를 투과하는 광이 원 편광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는, 상기 원 편광판의 시인측에 λ/4 판을 추가로 구비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층간 충전에 의해 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차량 주위의 확인 방법이 제공된다. 이 차량 주위의 확인 방법은, 상기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주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시와 영상 비표시시에서, 상기 원 편광판의 착탈 상태를 전환하고, 또한, 영상 표시시에는, 상기 하프 미러와 차량의 운전자의 사이에 원 편광판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는, 시인측부터 순서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된 원 편광판과, 하프 미러와, 영상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에 있어서는, 영상 표시 장치에 영상을 표시했을 때에는, 원 편광판을 통해서 그 영상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하프 미러에 의한 반사 이미지의 영향을 저감시켜,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 영상 표시 장치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 편광판을 개재하지 않고, 반사 이미지를 시인할 수 있고, 하프 미러가 미러로서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영상 표시 미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영상 표시 미러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A.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영상 표시 미러의 개략 단면도이다.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100) 는, 시인측부터 순서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된 원 편광판 (110) 과, 하프 미러 (120) 와, 영상 표시 장치 (130) 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하프 미러 (120) 와 영상 표시 장치 (130) 는, 이들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는, 예를 들어, 차량의 백 미러 (룸 미러) 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프 미러 (120) 는, 광 반사 기능과 광 투과 기능을 구비한다.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100) 는, 하프 미러 (120) 의 광 반사 기능에 의해, 차량의 승무원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 에 의한 차량의 주위 (예를 들어, 후방) 의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또,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100) 에 있어서는, 하프 미러 (120) 의 광 투과 기능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 (130) 에 표시된 영상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영상 표시 장치 (130) 는, 예를 들어, 차량의 주위 (예를 들어, 후방) 를 찍는 외부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차량 내에 장애물 (예를 들어, 동승자, 화물 등) 이 있어, 하프 미러의 반사 이미지에서는 차량의 주위를 충분히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등에도, 영상 표시 장치에 외부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여, 차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는, 임의의 적절한 기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 편광판은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란, 시인자인 차량의 승무원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 이, 원 편광판을 통해서 하프 미러를 확인하는 상태 (이하, 착 (着) 상태라고도 한다) 와, 원 편광판을 개재하지 않고 하프 미러를 확인하는 상태 (이하, 탈 (脫) 상태라고도 한다) 가 전환 가능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원 편광판이 물리적으로 하프 미러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차량의 운전자가 원 편광판을 통해서 하프 미러를 확인하는 상태는, 원 편광판의 착 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시와 영상 비표시시에서, 상기 원 편광판의 착탈 상태가 전환되고, 또한, 영상 표시시에는, 상기 하프 미러와 시인자의 사이에 원 편광판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 편광판을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함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에 영상을 표시할 때에는, 원 편광판을 통해서 그 영상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하프 미러에 의한 반사 이미지의 영향을 저감시켜,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 영상 표시 장치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 편광판을 개재하지 않고, 반사 이미지를 시인할 수 있고, 하프 미러가 미러로서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a) 는, 하프 미러 (120) 에 의한 반사 이미지가 시인에 제공되는 상태, 즉, 원 편광판의 탈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 (130) 에는 영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고, 배면으로부터 입사하여 하프 미러를 투과하는 광은 실질적으로 제로이다. 그 때문에, 차량의 승무원은, 하프 미러에 의한 반사 이미지를 시인할 수 있다. 도 2(b) 는, 화상 표시 장치 (130) 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 즉, 원 편광판 (110) 의 착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i) 원 편광판 (110) 의 시인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이, 원 편광판 (110) 을 투과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원 편광이 되고, (ii) 그 원 편광이 하프 미러에 반사하여, 입사시와는 역방향의 원 편광이 되고, (iii) 그 역방향의 원 편광은 원 편광판 (110) 에 흡수되기 때문에, 하프 미러에 의한 반사 이미지가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하프 미러를 투과한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의 광은, 원 편광판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은 시인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에 의하면, 하프 미러에 의한 반사 이미지의 영향을 저감시켜, 영상 표시 장치 (130) 에 표시된 영상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원 편광판을 착탈하기 위한 기구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기구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를 하우징 내에 넣고, 그 하우징 내에서 원 편광판이 수동 또는 전동으로 착탈하도록 하는 기구여도 되고, 하프 미러의 시인측에 원 편광판을 걸도록 하여 착 상태로 하도록 하는 기구여도 되고, 원 편광판을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의 측면으로 빠져나가게 하여 탈 상태로 하는 기구여도 된다.
하프 미러와 영상 표시 장치는 (혹은, 하프 미러 또는 영상 표시 장치와 기타 부재는), 접해 있어도 되고, 접해 있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하프 미러와 영상 표시 장치의 (혹은, 하프 미러 또는 영상 표시 장치와 기타 부재의) 사이에는 투명 수지가 충전되어, 양 부재가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밀착시킴으로써, 광의 이용 효율이 우수하고, 또한, 영상 표시의 시인성이 우수한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를 얻을 수 있다. 층간 충전에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로는,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B. 원 편광판
상기 원 편광판으로는, 제 1 직선 편광자 (흡수형 편광자) 와 제 1 λ/4 판의 적층체가 사용될 수 있다. λ/4 판은, 직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λ/4 판의 지상축을 ±45° 정도가 되도록 적층한 경우에,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λ/4 판의 파장 590 ㎚ 에 있어서의 정면 위상차 R0 은, 90 ㎚ ∼ 190 ㎚ 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 ∼ 18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 170 ㎚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정면 위상차 R0 은, 23 ℃ 하에 있어서,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즉, 지상축 방향) 의 굴절률을 nx 로 하고,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 (즉, 진상축 방향) 의 굴절률을 ny 로 하고, 위상차 필름의 두께를 d (㎚) 로 했을 때, R0 = (nx - ny) × d 에 의해 구해진다. λ/4 판은, nx > ny 의 관계를 갖는 한, 임의의 적절한 굴절률 타원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λ/4 판의 굴절률 타원체는, nx > nz > ny 또는 nx > ny ≥ nz 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직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제 1 λ/4 판의 지상축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0° ∼ +50° 또는 -40° ∼ -5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3° ∼ +47° 또는 -43° ∼ -47°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또는 -45°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 편광판은, 제 1 직선 편광자가 제 1 λ/4 판보다 시인측이 되도록 하여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원 편광판이 착 상태일 때, 제 1 직선 편광자, 제 1 λ/4 판 및 하프 미러는, 시인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직선 편광자는, 입사광을 직선 편광으로 한다. 또, 그 제 1 직선 편광자는, 반사광을 흡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프 미러에서 반사하여 역방향의 원 편광이 되고, 또한, 제 1 λ/4 판을 투과한 광이 제 1 직선 편광자에 흡수된다.
상기 원 편광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18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 160 ㎛ 이다.
상기 제 1 λ/4 판을 구성하는 재료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표예로는, 고분자 필름의 연신 필름이다. 당해 고분자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을 연신하여 제 1 λ/4 판이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의 연신 배율 및 연신 온도를 조정하여, 제 1 λ/4 판의 정면 위상차 및 두께 방향의 위상차를 제어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제 1 λ/4 판에 소망되는 정면 위상차, 두께 방향의 위상차, 제 1 λ/4 판에 소망되는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의 두께, 연신 온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 배 ∼ 2.5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배 ∼ 2.45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배 ∼ 2.4 배이다.
연신 온도는, 제 1 λ/4 판에 소망되는 정면 위상차, 두께 방향의 위상차, 제 1 λ/4 판에 소망되는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의 두께, 연신 배율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 ∼ 2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 ∼ 2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 240 ℃ 이다.
연신 방법은 상기와 같은 광학 특성 및 두께가 얻어지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된다. 구체예로는, 자유단 연신 및 고정단 연신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유단 1 축 연신이 이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유단종 1 축 연신이 이용된다.
상기 제 1 λ/4 판의 전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상기 제 1 직선 편광자의 파장 589 ㎚ 의 투과율 (단체 투과율이라고도 한다) 은, 바람직하게는 41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2 % 이상이다. 또한, 단체 투과율의 이론적인 상한은 50 % 이다. 또,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5 % ∼ 10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 ∼ 100 % 이다.
상기 제 1 직선 편광자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편광자가, 편광 이색비가 높아, 특히 바람직하다. 제 1 직선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 ∼ 80 ㎛ 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배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연신은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연신하고 나서 염색해도 된다. 연신, 염색 이외에도, 예를 들어, 팽윤, 가교, 조정, 수세, 건조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제조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 편광판으로서, 방현 처리가 실시된 원 편광판 (방현 원 편광판) 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직선 편광자측의 표면에 방현 처리가 실시된다. 방현 처리로는, 예를 들어,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입자계의 방현 처리,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 형상을 전사하는 전사계의 방현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방현 처리층은, 예를 들어, 바인더 수지와 입자를 혼합하여 도공, 건조,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 편광판으로서, 저반사 처리가 실시된 원 편광판 (저반사 처리 원 편광판) 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직선 편광자측의 표면에 저반사 처리가 실시된다. 저반사 처리로는,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층, 다층 금속 증착층, 광 간섭층 등의 층을 형성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 편광판으로서, 상기 방현 처리 및 상기 저반사 처리가 실시된 원 편광판 (방현 저반사 원 편광판) 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원 편광판을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원 편광판 표면으로의 비침이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방현 처리가 실시된 원 편광판 (방현 원 편광판) 에, 저반사 처리가 실시된 원 편광판, 즉, 원 편광판 (바람직하게는 제 1 직선 편광자) 으로부터, 방현 처리층과 저반사 처리층을 이 순서로 갖는 방현 저반사 원 편광판이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 편광판으로서, 위상차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원 편광판이 사용된다. 도 3 은, 이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영상 표시 미러의 개략 단면도이다. 영상 표시 미러 (200) 에 사용되는 원 편광판 (110') 은, 위상차층으로서 λ/2 판 (112) 을 추가로 구비하고, 시인측으로부터 하프 미러측을 향하여, 제 1 직선 편광자 (111) 와, λ/2 판 (112) 과, 제 1 λ/4 판 (113) 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λ/2 판은, 바람직하게는, nx > ny ≥ nz 의 굴절률 타원체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 편광판은, 우수한 반사 방지 효과 및 방현 효과를 발현한다. 이와 같은 원 편광판을 사용하면, 본원 발명의 효과를 광대역화 (즉, 장파장 또는 단파장측에서의 효과 담보) 시킬 수 있다.
λ/2 판의 파장 590 ㎚ 에 있어서의 정면 위상차 R0 은, 바람직하게는 190 ㎚ ∼ 36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 ㎚ ∼ 330 ㎚ 이다.
상기 λ/2 판의 지상축과 제 1 직선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λ/2 판의 지상축과 제 1 직선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π/4 의 배수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즉, 0°±5°, 90°±5°, 180°±5° 및 270°±5° 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λ/2 판의 지상축과 제 1 λ/4 판의 지상축의 관계는, λ/2 판을 통과한 후의 편광 방향과 제 1 λ/4 판이 이루는 각도가 적절해지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해서, 상기 λ/2 판의 지상축이 시계 방향측 (0° ∼ +180°) 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λ/4 판의 지상축의 축 각도는, λ/2 판을 통과한 후의 편광 방향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 ∼ +5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3° ∼ +47°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다. 또, 제 1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해서, 상기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방향측 (-180° ∼ 0°) 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λ/4 판의 지상축의 축 각도는, λ/2 판을 통과한 후의 편광 방향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 ∼ -5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3° ∼ -47°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다. 여기서, +x° 란, 기준이 되는 방향 (예를 들어, λ/2 판을 통과한 후의 편광 방향) 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x° 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x° 란, 기준이 되는 방향 (예를 들어, λ/2 판을 통과한 후의 편광 방향) 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x° 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λ/2 판은, 바람직하게는, λ/4 판과 동일하게, 고분자 필름의 연신 필름이다.
C. 하프 미러
상기 하프 미러로는, 입사광의 일부를 투과하고, 또한 일부를 반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기재와 그 투명 기재 상에 형성된 금속 박막을 구비하는 하프 미러, 투명 기재와 그 투명 기재 상에 형성된 유전체 다층막을 구비하는 하프 미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원 편광판을 배치하는 것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얻는 관점에서, 하프 미러는 편광 기능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수지 등의 투명 수지 재료;유리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 ∼ 5000 ㎛ 이다. 상기 투명 기재는, 위상차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박막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광 반사율이 높은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주석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박막은, 예를 들어, 도금, 증착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금속 박막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nm ∼ 80 ㎚ 이고, 바람직하게는 3 nm ∼ 50 ㎚ 이다.
상기 유전체 다층막은, 미러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소정 두께의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가 적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 재료와 저굴절률 재료가 번갈아 적층되어 있고, 저굴절 재료로부터 고굴절 재료에 입사할 때에 발생하는 광의 간섭을 이용하여, 하프 미러로서의 기능이 발현한다. 유전체 다층막을 포함하는 하프 미러는, 광의 흡수가 적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고굴절 재료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2.0 보다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보다 높고 3.0 이하이다. 고굴절 재료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ZnS-SiO2, TiO2, ZrO2, Ta2O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저굴절 재료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2 ∼ 2.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 1.9 이다. 저굴절 재료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SiO2, Al2O3, Mg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프 미러의 가시광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20 % ∼ 8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7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 60 % 이다. 또, 상기 하프 미러의 가시광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20 % ∼ 8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7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 60 % 이다. 가시광 반사율, 가시광 투과율 및 이들의 비 (후술) 는, 금속 박막 또는 유전체 다층막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하프 미러의 가시광 반사율과 가시광 투과율의 비 (반사율:투과율) 는, 바람직하게는 2:8 ∼ 8:2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 7:3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6 ∼ 6:4 이다. 가시광 반사율과 가시광 투과율의 비는, 영상 표시 장치의 휘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D. 영상 표시 장치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는, 임의의 적절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액정 표시 장치를 대표예로서 설명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셀 (131) 과, 그 액정 셀 (131) 의 시인측에 배치된 제 1 편광판 (132) 과, 그 액정 셀 (131) 의 배면측에 배치된 제 2 편광판 (133) 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영상 표시 장치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다른 부재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 등) 를 구비할 수 있다.
D-1. 액정 셀
액정 셀 (131) 은, 1 쌍의 기판과, 당해 기판 사이에 협지된 표시 매체로서의 액정층을 갖는다. 일반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일방의 기판에,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있고, 타방의 기판에, 액정의 전기 광학 특성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와, 이 스위칭 소자에 게이트 신호를 주는 주사선 및 소스 신호를 주는 신호선과, 화소 전극 및 대향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의 간격 (셀 갭) 은, 스페이서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액정층과 접하는 측에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배향막 등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액정층은,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호모지니어스 배열로 배향시킨 액정 분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액정층 (결과적으로, 액정 셀) 은, 대표적으로는, nx > ny = nz 의 3 차원 굴절률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ny = nz 란, ny 와 nz 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ny 와 nz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3 차원 굴절률을 나타내는 액정층을 사용하는 구동 모드의 대표예로는, 인플레인 스위칭 (IPS) 모드, 프린지 필드 스위칭 (FFS) 모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IPS 모드는, V 자형 전극 또는 지그재그 전극 등을 채용한, 슈퍼·인플레인 스위칭 (S-IPS) 모드나, 어드밴스드·슈퍼·인플레인 스위칭 (AS-IPS) 모드를 포함한다. 또, 상기의 FFS 모드는, V 자형 전극 또는 지그재그 전극 등을 채용한, 어드밴스드·프린지 필드 스위칭 (A-FFS) 모드나, 울트라·프린지 필드 스위칭 (U-FFS) 모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액정층은,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호메오트로픽 배열로 배향시킨 액정 분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액정층 (결과적으로, 액정 셀) 은, 대표적으로는, nz > nx = ny 의 3 차원 굴절률을 나타낸다.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호메오트로픽 배열로 배향시킨 액정 분자를 사용하는 구동 모드로는, 예를 들어, 버티칼·얼라이먼트 (VA) 모드를 들 수 있다. VA 모드는, 멀티 도메인 VA (MVA) 모드를 포함한다.
D-2. 제 1 편광판, 제 2 편광판
제 1 편광판 및 제 2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편광자와, 편광자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된 보호층을 갖는다.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흡수형 편광자이다.
상기 제 1 편광판 및 제 2 편광판이 구비하는 편광자로는, 상기 B 항에서 설명한 직선 편광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메트)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르보르넨계, 폴리올레핀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 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예를 들어,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측사슬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사슬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그리고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
상기 제 2 편광판과 제 3 편광판은, 각각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실질적으로 직교 또는 평행이 되도록 하여 영상을 시인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E. 기타 부재
E-1. 제 2 직선 편광자, 제 2 λ/4 판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는, 배면측으로부터 하프 미러를 투과하는 광이 원 편광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 편광판은, 제 1 직선 편광자를 시인측으로 하여 배치되고, 또한, 하프 미러를 투과하는 원 편광이 그 원 편광판을 투과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원 편광판을 착 상태로 했을 때, 하프 미러를 투과한 상기 원 편광이 제 1 λ/4 판에 입사하여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고, 그 직선 편광이 상기 제 1 직선 편광자를 투과하기 때문에,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한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하프 미러와 영상 표시 장치의 사이에, 시인측부터 순서로 제 2 λ/4 판과 제 2 직선 편광자를 추가로 배치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직선 편광을 출사하지 않는 영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유기 EL 표시 장치) 를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 하프 미러와 영상 표시 장치의 사이에, 제 2 λ/4 판을 배치하고, 또한, 직선 편광자는 배치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직선 편광을 출사하는 영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를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제 2 직선 편광자 및 제 2 λ/4 판으로는, 상기 B 항에서 설명한 직선 편광자 및 λ/4 판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프 미러와 제 2 λ/4 판의 사이에는, A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 수지가 충전되어, 양 부재가 밀착되어 있다.
E-2. 제 3 λ/4 판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3 λ/4 판이 원 편광판의 시인측에 배치된다. 제 3 λ/4 판을 배치하면, 편광 선글라스의 사용자에 대한 시인성이 우수한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3 λ/4 판은, 원 편광판에 접해 있어도 되고, 접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제 3 λ/4 판과 원 편광판은 점착제층을 통해서 첩합 (貼合) 되어 있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제 3 λ/4 판은,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 3 λ/4 판으로는, 상기 B 항에서 설명한 λ/4 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 편광판이 구비하는 제 1 직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제 3 λ/4 판의 지상축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0° ∼ +50° 또는 -40° ∼ -5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3° ∼ +47° 또는 -43° ∼ -47°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또는 -45°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λ/4 판 (혹은, 제 2 λ/4 판과 제 2 직선 편광자) 과, 제 3 λ/4 판이 병용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인측부터 순서로, 제 3 λ/4 판과, 원 편광판 (제 1 직선 편광자-제 1 λ/4 판) 과, 하프 미러와, 제 2 λ/4 판 (혹은, 제 2 λ/4 판-제 2 직선 편광자) 과, 영상 표시 장치가 배치된다.
100 :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110 : 원 편광판
120 : 하프 미러
130 : 영상 표시 장치
131 : 액정 셀
132 : 제 1 편광판
133 : 제 2 편광판

Claims (11)

  1. 시인측부터 순서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된 원 편광판과, 하프 미러와, 영상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시와 영상 비표시시에서, 상기 원 편광판의 착탈 상태가 전환되고,
    영상 표시시에, 상기 하프 미러와 시인자의 사이에 원 편광판이 배치되는,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 편광판이 제 1 직선 편광자와 제 1 λ/4 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직선 편광자가 상기 제 1 λ/4 판보다 시인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 편광판이 제 1 직선 편광자와, λ/2 판과, 제 1 λ/4 판을 시인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 편광판이 방현 처리되어 있는,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 편광판이 저반사 처리되어 있는,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 편광판이 방현 처리 및 저반사 처리되어 있는,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면측으로부터 하프 미러를 투과하는 광이 원 편광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 편광판의 시인측에 λ/4 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층간 충전에 의해 밀착되어 있는,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주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시와 영상 비표시시에서, 상기 원 편광판의 착탈 상태를 전환하고, 또한, 영상 표시시에는, 상기 하프 미러와 차량의 운전자의 사이에 원 편광판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주위의 확인 방법.
  11. 삭제
KR1020160003664A 2015-01-14 2016-01-12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KR102470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5099 2015-01-14
JP2015005099 2015-01-14
JP2015237058A JP6677494B2 (ja) 2015-01-14 2015-12-04 車両用映像表示ミラー
JPJP-P-2015-237058 2015-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759A KR20160087759A (ko) 2016-07-22
KR102470716B1 true KR102470716B1 (ko) 2022-11-24

Family

ID=5651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664A KR102470716B1 (ko) 2015-01-14 2016-01-12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77494B2 (ko)
KR (1) KR1024707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8198B2 (ja) * 2017-12-07 2020-06-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785A (ja) * 2002-11-28 2004-06-24 Nitto Denko Corp 粘着型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6011043A (ja) * 2004-06-25 2006-01-12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6259694A (ja) * 2005-03-18 2006-09-28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反射防止偏光板とそれを用いた装置
JP2009506928A (ja) * 2005-09-05 2009-02-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切換可能なコレステリックフィルタを有するミラ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851Y2 (ja) * 1993-04-07 1999-06-21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防眩インナーミラー
JP2001244068A (ja) * 2000-02-28 2001-09-07 Nitto Denko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2216843B (zh) * 2008-07-10 2014-08-27 金泰克斯公司 具有各向异性聚合物叠层体的后视镜组件
MX350252B (es) 2011-12-09 2017-08-31 Nissan Motor Espejo con pantalla de video y sistema de espejo con pantalla de vide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785A (ja) * 2002-11-28 2004-06-24 Nitto Denko Corp 粘着型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6011043A (ja) * 2004-06-25 2006-01-12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6259694A (ja) * 2005-03-18 2006-09-28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反射防止偏光板とそれを用いた装置
JP2009506928A (ja) * 2005-09-05 2009-02-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切換可能なコレステリックフィルタを有するミラ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35667A (ja) 2016-07-28
JP6677494B2 (ja) 2020-04-08
KR20160087759A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74658B (zh) 车辆用影像显示镜
KR102418069B1 (ko)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KR102345079B1 (ko) 영상 표시 장치가 장착된 미러를 구비하는 차량
KR102301750B1 (ko)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KR102311830B1 (ko)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KR102418070B1 (ko)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KR102470716B1 (ko)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