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567B1 -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567B1
KR102468567B1 KR1020220095550A KR20220095550A KR102468567B1 KR 102468567 B1 KR102468567 B1 KR 102468567B1 KR 1020220095550 A KR1020220095550 A KR 1020220095550A KR 20220095550 A KR20220095550 A KR 20220095550A KR 102468567 B1 KR102468567 B1 KR 102468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hous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at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우
Original Assignee
홍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우 filed Critical 홍석우
Priority to KR1020220095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면(前面)에 복수의 엘이디가 설치된 인쇄 회로 기판의 배면에 인쇄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이 내부에 설치되며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이 구비된 전원 하우징을 설치하고, 인쇄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전원 하우징과 결합되며 복수의 엘이디를 나누어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이 구비된 격자 프레임 구조체를 인쇄 회로 기판의 전면(前面)에 설치하며, 전원 하우징의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의 내부 공간과 격자 프레임 구조체의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방수제로 채움으로써 방수 처리된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등 모듈에서의 완전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빗물의 침수에 의한 신호등 모듈에서의 누전 발생과 결로로 인한 고장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등 모듈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관리자는 고정 패널의 슬라이딩식 분리를 통해 신호등 모듈을 신호등 하우징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하여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 흙, 먼지, 모래, 쓰레기 등의 각종 오염 물질이 신호등 하우징의 상부면에 쌓임에 따라 엘이디의 광을 차단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Floor Mounted Traffic Light Device}
본 발명은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등 모듈에서의 완전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빗물의 침수에 의한 신호등 모듈에서의 누전 발생과 결로로 인한 고장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신호등 모듈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관리자가 고정 패널의 슬라이딩식 분리를 통해 신호등 모듈을 신호등 하우징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하여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단 보도에서의 보행자의 안전을 지원하기 위해 횡단 보도 대기선 인근의 지면에 설치되는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는 우천시 빗물에 잠기는 경우에 신호등의 내부로 빗물이 침투되어 누전에 의한 고장 및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우천시를 대비한 방수 구조가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로 인해 엘이디의 쇼트 현상이나 전체가 소등되는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는 내부의 신호등 모듈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관리자가 이를 효율적으로 정비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는 정비 용이성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결로에 의해 내부에 발생하는 물방을 제거하지 못한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52068호(2018.04.2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등 모듈에서의 완전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빗물의 침수에 의한 신호등 모듈에서의 누전 발생과 결로로 인한 고장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신호등 모듈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관리자가 고정 패널의 슬라이딩식 분리를 통해 신호등 모듈을 신호등 하우징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하여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은, (a) 전면(前面)에 복수의 엘이디가 설치된 인쇄 회로 기판의 배면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이 내부에 설치되며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이 구비된 전원 하우징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원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엘이디를 나누어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이 구비된 격자 프레임 구조체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전면(前面)에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원 하우징의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의 내부 공간과 상기 격자 프레임 구조체의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방수제로 채움으로써 방수 처리된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d) 상기 신호등 모듈을 신호등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e) 상기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을 상기 신호등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패널을 상기 신호등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등 하우징의 상부면은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곡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결합구에 결합되는 결합핀이 구비되며, 상기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에 구비된 결합구에 결합되는 결합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과 상기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은 각 내부 공간에 채워진 방수제를 분리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보관구, 및 상기 전원 공급 모듈로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이 내부에 코일 형태로 보관되는 제2 보관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관구의 외부 측면에는 상기 전원 케이블을 끼움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보관구의 바닥면은 상기 제1 보관구의 바닥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등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신호등 모듈이 경사 설치되도록 상기 신호등 하우징 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신호등 모듈의 일단이 거치되는 지지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등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세로폭은 상기 신호등 모듈의 세로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등 하우징의 내부의 상하 측면의 좌우 단부에는 상기 고정 패널의 단부의 슬라이딩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단과 하단의 좌우 단부에는 상기 신호등 모듈의 상기 신호등 하우징의 내부에의 설치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구가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패널의 하단은 경사 설치된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평행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패널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 패널을 상기 신호등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결합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패널에는 상기 전원 케이블이 외부로 연장 설치되도록 하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구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 패널을 파지하는 손잡이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등 모듈에서의 완전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빗물의 침수에 의한 신호등 모듈에서의 누전 발생과 결로로 인한 고장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등 모듈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관리자는 고정 패널의 슬라이딩식 분리를 통해 신호등 모듈을 신호등 하우징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하여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 흙, 먼지, 모래, 쓰레기 등의 각종 오염 물질이 신호등 하우징의 상부면에 쌓임에 따라 엘이디의 광을 차단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의 신호등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신호등 모듈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서의 신호등 모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의 신호등 하우징 내부에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내부에 신호등 모듈이 설치된 신호등 하우징의 좌우 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는 거치대(300)의 상부에 거치되는 신호등 하우징(100), 및 신호등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200)을 포함한다.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신호등 모듈(200)이 신호등 하우징(100)의 상부면(즉,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신호등 모듈(200)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엘이디가 경사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게 됨으로써 보행자의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신호등 하우징(100)의 상부면에는 신호등 하우징(100)의 시공시 설치 방향 정보(예를 들면, ↑차도방향↑)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시공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신호등 하우징(100)의 상부면에는 보행자가 신호등 하우징(100)을 밟고 지나가는 경우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구(1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거치대(300)의 상부에는 신호등 하우징(100)이 거치되며, 이와 같은 거치대(300)는 신호등 하우징(100)의 상부면만 지면에 노출되도록 지중에 매립 설치되게 된다.
도 3은 도 1에서의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신호등 모듈(200)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서의 신호등 모듈(200)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20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전면(前面)에 복수의 엘이디가 설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210)의 배면에 전원 하우징(230)을 결합 설치한다.
이와 같은 전원 하우징(230)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인쇄 회로 기판(210)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233)이 천정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 공간인 제1 보관구(231)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원 공급 모듈(233)이 제1 보관구(231)의 천정면에 설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2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2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전원 공급 모듈(233)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1 보관구(231)의 내부 공간은 인쇄 회로 기판(2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방출되는 방열 공간으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전원 하우징(230)에는 전원 공급 모듈(233)로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234)이 코일 형태로 내부에 보관되는 하부 및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형 공간인 제2 보관구(232)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1 보관구(231)의 외측면에는 전원 케이블(234)을 끼움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부분 개방형 고리 구조의 고정구(235)가 구비됨으로써, 전원 케이블(234)이 반복적으로 이동되어 전원 케이블(234)과 전원 공급 모듈(233)의 연결 부위에서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전원 하우징(230)에는 복수개의 격자형 공간을 형성하는 격자형 프레임인 제1 고정 프레임(237)이 제1 보관구(231) 및 제2 보관구(232)에 연결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제1 고정 프레임(237)은 제1 고정 프레임(237)이 형성하는 복수의 격자 공간에 각각 채워지는 에폭시 등의 방수제(270)를 각 격자 공간 별로 분리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210)의 배면에 전원 하우징(230)을 설치한 작업자는 도 5에서와 같이 복수의 엘이디가 설치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210)의 전면(前面)에 격자 프레임 구조체(25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격자 프레임 구조체(250)에는 인쇄 회로 기판(210)의 전면(前面)에 설치된 복수의 엘이디를 각 엘이디가 배치된 영역별로 나누어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격자형 프레임인 제2 고정 프레임(257)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고정 프레임(257)은 제2 고정 프레임(257)이 형성하는 복수의 격자 공간에 각각 채워지는 에폭시 등의 방수제(270)를 각 격자 공간 별로 분리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격자 프레임 구조체(250)는 인쇄 회로 기판(210)을 사이에 두고 전원 하우징(230)과 상호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제1 고정 프레임(237)에는 인쇄 회로 기판(210)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제2 고정 프레임(257)에 구비된 결합구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결합핀이 인쇄 회로 기판(210)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고정 프레임(257)에도 인쇄 회로 기판(210)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제1 고정 프레임(237)에 구비된 결합구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결합핀이 인쇄 회로 기판(210)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2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격자 프레임 구조체(250)와 전원 하우징(230)이 결합 설치된 상태에서 제조자는 도 6에서와 같이 전원 하우징(230)의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237)의 내부 격자 공간에 에폭시 등의 방수제(270)를 채운 후 건조시키며,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격자 프레임 구조체(250)의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257)의 내부 격자 공간에 에폭시 등의 방수제(270)를 채운 후 건조시킴으로써 방수 처리가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200)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237)과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257)은 각 내부 격자 공간에 채워진 에폭시 등의 방수제(270)가 충분히 건조되기 전까지 방수제(270)의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방수제(270)가 충분한 두께로 인쇄 회로 기판(210)의 표면에 피복될 수 있도록 하여 방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200)의 완전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가 빗물에 침수되는 경우에도 신호등 모듈(200)의 누전과 결로에 의한 고장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200)의 신호등 하우징(100) 내부에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200)의 신호등 하우징(100) 내부에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자는 도 3에서와 같이 방수 처리가 완료된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200)을 제조한 다음 도 7에서의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200)을 도 8에서와 같이 설치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의 상부 측면에는 신호등 모듈(200)의 상단이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거치됨으로써 도 8에서와 같이 신호등 모듈(200)이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경사를 이루며 설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구(1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신호등 모듈(200)의 세로폭의 길이(L)와 신호등 모듈(200)과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즉, 지면)이 형성하는 경사 각도(θ)와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세로폭의 길이(D)는 하기 수학식 1에서의 관계가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Figure 112022080356820-pat00001
이러한 경우에 작업자는 신호등 모듈(200)을 상기 경사 각도(θ)를 형성한 상태에서만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경사 각도(θ)를 형성하고 있는 신호등 모듈(200)은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신호등 모듈(200)이 신호등 하우징(100) 내부에서 흔들림으로써 신호등 모듈(20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제조자는 신호등 모듈(200)을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 9에서와 같이 한 쌍의 고정 패널(400)을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삽입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상하 측면의 좌우 단부에는 고정 패널(400)의 결합 단부의 슬라이딩 이동 및 결합을 가이드하는 바 형태의 가이드구(170)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이드구(170)가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상하 측면의 좌우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신호등 모듈(200)의 신호등 하우징(100) 내부로의 설치 과정에서 신호등 모듈(200)이 가이드구(170)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210)의 상단과 하단의 좌우 단부에는 신호등 모듈(200)의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에의 설치 과정에서 가이드구(170)가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결합홈(미도시)이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조자는 고정 패널(400)의 손잡이부(410)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 패널(400)의 양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바 형태의 결합대(430)를 가이드구(170)에 의해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상하 측면의 좌우 단부에 형성되는 그루브형 결합 공간에 레일 결합 방식으로 결합한 다음 고정 패널(400)을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 패널(400)의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고정 패널(400)의 하단부는 신호등 모듈(200)과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즉, 지면)이 형성하는 경사 각도(θ)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고정 패널(400)의 하단부의 경사면이 신호등 모듈(200)의 좌우 단부로부터 고정 패널(400)의 하단부의 폭만큼 돌출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210)의 단부의 배면에 밀착되어 누름으로써 신호등 모듈(20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9에서와 같이 결합대(430)의 하부와 고정 패널(400)의 몸체 사이에는 슬릿형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고정 패널(400)의 하부의 폭을 신호등 하우징(100)의 세로폭의 길이(D)보다 약 2~3% 정도 크게 형성함으로써 고정 패널(400)이 신호등 하우징(10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대(430)의 하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눌려짐으로써 슬릿형 이격 공간이 점차 좁아지며 고정 패널(400)이 신호등 하우징(100)에 결합되며, 이와 같이 결합된 고정 패널(400)의 결합대(430)의 하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 패널(400)의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결합대(430)의 하단부가 이와 같은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고정 패널(400)을 탄성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고정 패널(400)이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좌우측 단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전원 케이블(234)이 신호등 하우징(100)의 좌우 측면을 통해 인접한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로 연장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 패널(400)에는 타원형 홀 등의 개방구(450)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9에서와 같이 개방구(450)의 상부가 부분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개방부의 상부 개방 단부에 손잡이부(410)가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 패널(400)의 설계 효율성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핵심 부품인 신호등 모듈(200)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관리자는 도 10에서의 좌우 한 쌍의 고정 패널(400)의 손잡이부(410)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 패널(400)을 신호등 하우징(100)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한 다음 신호등 모듈(200)을 신호등 하우징(100)으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신호등 모듈(200)을 손쉽게 분리 및 정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10에서와 같이 제2 보관구(232)의 상부면(천정면)이 제1 보관구(231)의 상부면(천정면)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지면에의 설치 과정에서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제2 보관부에 우선적으로 가해짐으로써 제1 보관구(231) 내부의 전원 공급 모듈(233)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제2 보관구(232)의 내부 공간을 더 높게 형성함으로써 코일 형태로 보관되는 전원 케이블(234)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당김으로써 신장되거나 이후 코일 형태로 복원되는 경우에 전원 케이블(234)이 제2 보관구(232)의 내부 공간에 걸림으로써 전원 케이블(234)에 불필요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7에서와 같이 거치대(300)의 바닥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신호등 하우징(100)의 하단에는 신호등 하우징(100)의 하단을 거치대(300)의 바닥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시키는 이격홈(105)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시공 상의 필요에 따른 신호등 하우징(100)의 거치대(30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내부에 신호등 모듈(200)이 설치된 신호등 하우징(100)의 좌우 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신호등 하우징(100)의 좌우 측면의 하단 중앙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인접 설치되는 다른 신호등 모듈(2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234)이 통과하는 공간인 케이블용 홈(130)이 구비됨으로써, 전원 케이블(234)이 거치대(300)의 내부에서 안정적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호등 하우징(100)의 좌우 측면에는 인접 설치된 다른 신호등 하우징(10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공간인 방열홈(14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술한 케이블용 홈(130)이 도 11에서와 같이 방열홈(140)의 바닥면의 단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품 설계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11에서와 같이, 신호등 하우징(100)의 좌우 측면에는 인접 설치된 다른 신호등 하우징(100)과의 결합면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턱(150)이 신호등 하우징(100)의 좌우 측면의 내측으로 함입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와 같은 차단턱(150)은 도 11에서와 같이 방열홈(140)의 내측면(195)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품 설계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11에서와 같이 방열홈(140)의 바닥면은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의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제품 설계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방열홈(140)의 바닥면과 방열홈(140)의 내측면인 차단턱(150)의 연결 부위에는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측면의 강성을 보강하는 웨지 형태의 보강구(160)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11에서와 같이 신호등 하우징(100)의 상부면은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곡면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 흙, 먼지, 모래, 쓰레기 등의 각종 오염 물질이 신호등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쌓임에 따라 엘이디의 광을 차단하는 문제가 해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미끄럼 방지구, 105: 이격홈,
110: 미끄럼 방지구, 120: 지지구,
130: 케이블용 홈, 140: 방열홈,
150: 차단턱, 160: 보강구,
170: 가이드구, 200: 신호등 모듈,
210: 인쇄 회로 기판, 230: 전원 하우징,
231: 제1 보관구, 232: 제2 보관구,
233: 전원 공급 모듈, 234: 전원 케이블,
235: 고정구, 237: 제1 고정 프레임,
250: 격자 프레임 구조체, 257: 제2 고정 프레임,
270: 방수제, 300: 거치대,
400: 고정 패널, 410: 손잡이부,
430: 결합대, 450: 개방구.

Claims (4)

  1. (a) 전면(前面)에 복수의 엘이디가 설치된 인쇄 회로 기판(210)의 배면에 상기 인쇄 회로 기판(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233)이 내부에 설치되며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237)이 구비된 전원 하우징(230)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인쇄 회로 기판(210)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2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원 하우징(230)과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엘이디를 나누어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257)이 구비된 격자 프레임 구조체(250)를 상기 인쇄 회로 기판(210)의 전면(前面)에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원 하우징(230)의 격자형 제1 고정 프레임(237)의 내부 공간과 상기 격자 프레임 구조체(250)의 격자형 제2 고정 프레임(257)의 내부 공간을 방수제(270)로 채움으로써 방수 처리된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200)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하우징(230)은, 상기 전원 공급 모듈(233)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2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보관구(231), 및 상기 전원 공급 모듈(233)로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234)이 보관되는 제2 보관구(232)를 포함하는 것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신호등 모듈(200)을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e) 상기 바닥 설치형 신호등 모듈(200)을 상기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패널(400)을 상기 신호등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하우징(100)의 상부면은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곡면 처리되는 것인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20095550A 2022-08-01 2022-08-01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68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550A KR102468567B1 (ko) 2022-08-01 2022-08-01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550A KR102468567B1 (ko) 2022-08-01 2022-08-01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567B1 true KR102468567B1 (ko) 2022-11-17

Family

ID=8423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550A KR102468567B1 (ko) 2022-08-01 2022-08-01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5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625B1 (ko) * 2023-03-22 2023-11-20 주식회사 로드폴 바닥형 보행신호등용 보호장치
KR102630265B1 (ko) * 2023-09-26 2024-01-29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양방향에서 식별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KR102644555B1 (ko) 2023-02-28 2024-03-08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지능형 바닥 보행자 신호등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068B1 (ko) 2017-11-29 2018-04-27 주식회사 바른신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KR102061027B1 (ko) * 2019-08-05 2020-02-17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2133975B1 (ko) * 2020-01-08 2020-07-16 주식회사 엠아이솔루션 Led를 이용한 지면 매립 신호등
KR102304484B1 (ko) * 2021-05-10 2021-09-17 박진관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인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KR102334275B1 (ko) * 2021-08-30 2021-12-01 홍석우 바닥 설치형 보행 신호등
KR102334281B1 (ko) * 2021-08-12 2021-12-02 주식회사 자연기업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342538B1 (ko) * 2021-09-01 2021-12-23 박장우 발광 인지율을 개선한 바닥신호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068B1 (ko) 2017-11-29 2018-04-27 주식회사 바른신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KR102061027B1 (ko) * 2019-08-05 2020-02-17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2133975B1 (ko) * 2020-01-08 2020-07-16 주식회사 엠아이솔루션 Led를 이용한 지면 매립 신호등
KR102304484B1 (ko) * 2021-05-10 2021-09-17 박진관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인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KR102334281B1 (ko) * 2021-08-12 2021-12-02 주식회사 자연기업 엘이디 바닥 신호등
KR102334275B1 (ko) * 2021-08-30 2021-12-01 홍석우 바닥 설치형 보행 신호등
KR102342538B1 (ko) * 2021-09-01 2021-12-23 박장우 발광 인지율을 개선한 바닥신호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555B1 (ko) 2023-02-28 2024-03-08 주식회사 한길에이치씨 지능형 바닥 보행자 신호등 시스템
KR102603625B1 (ko) * 2023-03-22 2023-11-20 주식회사 로드폴 바닥형 보행신호등용 보호장치
KR102630265B1 (ko) * 2023-09-26 2024-01-29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양방향에서 식별이 가능한 바닥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567B1 (ko)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34275B1 (ko) 바닥 설치형 보행 신호등
US20150085487A1 (en)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CN103874883A (zh) 光学半导体照明设备
KR200448343Y1 (ko)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AU2006210717B2 (en) Solar tile assemblies
KR102388268B1 (ko) Led 터널 등기구
KR101451622B1 (ko) 바(Bar)형 지중 매입등
KR102468566B1 (ko) 바닥 설치형 신호등 장치
KR100669922B1 (ko)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용 덮개
KR100997618B1 (ko) 엘이디 발광 경계석
KR101608824B1 (ko) 원터치 led모듈 탈장착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101033874B1 (ko) 방열성능을 개선한 led 가로등 기구
EP2723149B1 (en) Mounting plate to which apparatus is mounted, apparatus, and system
JP2018204260A (ja) 融雪装置
KR200387209Y1 (ko) 방우형 작업등
CN203115751U (zh) 照明器具
JPH06245394A (ja) 屋外用充電器
CN211424289U (zh) 车辆照明装置及具有该装置的汽车
KR100356391B1 (ko) 블록램프
JP2003184245A (ja) 太陽電池瓦雪止め構造および太陽電池瓦用雪止め具
KR100995319B1 (ko) 통신맨홀의 케이블 고정장치
CN114729733A (zh) 槽形灯壳体
JP3658106B2 (ja) 太陽電池付屋根瓦
KR102582308B1 (ko) 하중 분산과 흡수로 내하중 및 내구력을 증대시켜 방수 및 방진 기능이 향상된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