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414B1 -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414B1
KR102468414B1 KR1020220014559A KR20220014559A KR102468414B1 KR 102468414 B1 KR102468414 B1 KR 102468414B1 KR 1020220014559 A KR1020220014559 A KR 1020220014559A KR 20220014559 A KR20220014559 A KR 20220014559A KR 102468414 B1 KR102468414 B1 KR 10246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screw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viscous material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흥
Original Assignee
정대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흥 filed Critical 정대흥
Priority to KR102022001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65D83/0016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the contents being forced out through the screw-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단에 토출구가 구비되고 하단이 개방된 튜브형 바디와; 상기 튜브형 바디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며, 튜브형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노브가 하단에 구비된 스크류 샤프트와; 내주면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어, 스크류 샤프트의 일방향 회전시 상승함으로써 튜브형 바디 내부에 충진된 점성물질을 상기 토출구 쪽으로 가압하는 피스톤과; 중앙부분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튜브형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마개와; 상기 튜브형 바디의 외측면을 포위하여 상기 하부마개와 함께 튜브형 바디를 가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튜브형 바디 내부에 잔류하는 점성물질의 양을 최소화되고 튜브형 바디의 변형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Viscosity discharge tube container}
본 발명은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치약, 연고, 화장품, 식품용 소스 등과 같은 점성물질을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상승하는 피스톤으로 가압하여 토출구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점성을 지닌 내용물을 살펴보면 치약, 연고, 화장품, 헤어젤, 식품용 소스 등과 같은 것들이 있는데, 이러한 내용물은 튜브타입과 같은 용기 내에 저장한 후 용기의 끝부분이나 중간부분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짜내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에는 편리한 이점이 있으나, 튜브타입 용기 내부에 남아 있는 소량의 내용물을 용기 밖으로 토출시키는 것이 어렵고, 사용자가 용기를 강하게 가압하여 정량보다 많은 양의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으며, 튜브 용기가 불규칙하게 변형하여 시각적으로 보기에 좋지 않은 것 등 다양한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2013-000108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스톤으로 점성물질의 내용물을 밀어 올려 배출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배출될 때 정량을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시간이 경과되더라도 튜브 용기가 불규칙하게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는 상단에 토출구가 구비되고 하단이 개방된 튜브형 바디와; 상기 튜브형 바디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며, 튜브형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노브가 하단에 구비된 스크류 샤프트와; 내주면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어, 스크류 샤프트의 일방향 회전시 상승함으로써 튜브형 바디 내부에 충진된 점성물질을 상기 토출구 쪽으로 가압하는 피스톤과; 중앙부분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튜브형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마개와; 상기 튜브형 바디의 외측면을 포위하여 상기 하부마개와 함께 튜브형 바디를 가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피스톤은 내주면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는 경질 재질의 나선결합링과;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관통되고 저면이 상기 나선결합링의 상면에 고정되는 연질 재질의 중앙링과, 상기 중앙링의 외주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확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튜브형 바디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경사진 다수의 절개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점성물질을 토출구 쪽으로 가압하는 연질 재질의 가압링으로 이루어진 점성물질 가압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마개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형 바디를 사이에 두고 하부마개와 고정링이 나선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마개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브의 상면에는 다수의 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 내에는 정량토출 유도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정량토출 유도수단은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되는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용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수용관 끝단을 통해 일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스톱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관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홈을 형성시키는 하부마개의 내벽면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수용관이 삽입홈 내에 나선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는 상단부분의 외경이 토출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스크류 샤프트의 상단부분이 토출구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다수의 브릿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는 그 끝단이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는 피스톤으로 점성물질을 밀어 올려 배출하므로 튜브형 바디 내부에 잔류하는 점성물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마개와 고정링이 튜브형 바디를 사이에 두고 나선결합됨으로써, 하부마개와 고정링의 설치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이렇게 하부마개와 고정링에 의해 하단의 형태가 유지되는 튜브형 바디 내부에서 상승하는 피스톤에 의해 점성물질이 배출되므로 튜브형 바디의 형태가 불규칙하게 변형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노브를 회전시킬 때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끼움홈에 스톱볼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므로, 사용자가 회전노브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점성물질의 토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정량 토출이 유도되므로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점성물질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의 외형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의 정량토출 유도수단을 보인 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의 단면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의 외형을 보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의 정량토출 유도수단을 보인 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의 단면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는 튜브형 바디(10)와, 상기 튜브형 바디(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 샤프트(20)와, 내주면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20)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는 피스톤(40)과, 상기 튜브형 바디(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마개(50)와, 상기 튜브형 바디(10)의 외측면을 포위하는 고정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튜브형 바디(10)는 상단에 토출구(11)가 구비되고 하단은 개방된다. 이러한 튜브형 바디(10)의 내부에는 치약, 연고, 헤어젤, 화장품, 식품용 소스 등과 같은 점성물질(A)이 충진된다.
상기 토출구(11)는 경질의 재질로 만들어지면서 휨이나 절곡이 자유로운 튜브형 바디(10)에 일체화된다. 이러한 토출구(11)를 통해 튜브형 바디(10)의 내부에 충진된 점성물질(A)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토출구(11)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캡(8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20)는 원기둥 형태의 봉 형상으로서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튜브형 바디(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러한 튜브형 바디(10)의 하단에는 회전노브(3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노브(30)는 튜브형 바디(10)의 하단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상면 중앙부분이 스크류 샤프트(20)의 하단에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노브(30)를 회전시키면 스크류 샤프트(20)도 튜브형 바디(10) 내부에서 함께 회전한다.
한편, 상기 스크류 샤프트(20)는 상단부분의 외경이 토출구(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스크류 샤프트(20)의 상단부분은 토출구(11)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점성물질(A)의 내부에는 일정한 빈 공간이 형성되어 점성물질(A)은 튜브와 유사한 형태로 배출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봤을 때, 배출된 점성물질(A)의 양은 많아 보이나 실제로는 그 양이 보이는 것보다 적다. 이러한 시각적 효과에 의해 사용자들은 점성물질(A)의 사용량에 대해 좀 더 주의를 기울일 수 있어서 점성물질(A)을 정량만 사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 샤프트(20)의 상단부분 외주면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다수의 브릿지(21)를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브릿지(21)는 그 끝단이 토출구(11)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스크류 샤프트(20)가 항상 토출구(11)의 내부 중앙에 위치한다면 브릿지(21)를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나, 만약 스크류 샤프트(20)가 한쪽으로 자꾸 기울어져 스크류 샤프트(20)의 상단이 토출구(11)의 내주면에 접촉된다면 점성물질(A)의 배출시에 점성물질(A)이 튜브 형태로 배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얇은 브릿지(21)를 스크류 샤프트(20)의 상단부분에 형성시킴으로써 스크류 샤프트(20)가 항상 토출구(11)의 내부 중앙에 위치할 수 한다.
상기 피스톤(40)은 스크류 샤프트(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크류 샤프트(20)를 따라 위쪽을 향해 상승하는 직선운동을 하여 튜브형 바디(10) 내부에 충진된 점성물질(A)을 토출구(11) 쪽으로 가압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피스톤(40)은 나선결합링(41)과, 상기 나선결합링(41)의 상면에 구비된 점성물질 가압부(42)로 구성된다.
상기 나선결합링(41)은 경질 재질로 제작되어 탄성이 없고 일정한 강도와 경도를 갖는다. 이러한 나선결합링(41)은 스크류 샤프트(20)에 중앙부분이 관통되면서 그 내주면이 스크류 샤프트(20)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된다.
상기 점성물질 가압부(42)는 연성 재질로 제작되어 일정한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중앙링(42a)과, 상기 중앙링(42a)의 외주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확장되어 형성된 가압링(4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링(42a)은 스크류 샤프트(20)에 중앙 부분이 관통되고, 저면이 나선결합링(41)의 상면에 고정된다. 부연하면 2중사출의 방법에 의해 제작됨으로써 경질 재질의 나선결합링(41)의 상면에 연질 재질의 중앙링(42a)의 저면이 일체화된다.
상기 가압링(42b)은 외주면이 튜브형 바디(1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스크류 샤프트(20)의 일방향 회전시 위쪽으로 상승하여 점성물질(A)을 토출구(11) 쪽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링(42b)에는 경사진 다수의 절개라인(42c)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 샤프트(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절개라인(42c)이 살짝 벌어지려고 하면서 가압링(42b)의 외주면이 튜브형 바디(10)의 내측면에 조금 더 강하게 밀착되어 가압링(42b)은 회전을 하지는 못하지만, 스크류 샤프트(20)에서 계속 제공되고 있는 회전력이 가압링(42b)을 수직 상승시키는 동력원으로 변환 작용하여 가압링(42b)은 스크류 샤프트(20)를 따라 위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반면에 스크류 샤프트(2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는 절개라인(42c)이 더 밀착되려고 하면서 튜브형 바디(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던 가압링(42b)의 밀착력이 살짝 약해지게 되고, 이에 의해 가압링(42b)은 상승하지 못하고 스크류 샤프트(20)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스크류 샤프트(20)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시에 경사진 절개라인(42c)이 더 벌어지려고 하거나 밀착되려고 하는 현상 때문에, 피스톤(40)은 스크류 샤프트(20)의 타방향 회전시에는 상승을 하지 못하고, 스크류 샤프트(20)의 일방향 회전시에만 상승을 하면서 점성물질(A)을 토출구(11) 쪽으로 밀게 된다.
상기 하부마개(50)는 튜브형 바디(10)의 내부에 충진된 점성물질(A)이 튜브형 바디(10)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부분이 스크류 샤프트(20)에 관통된 상태로 튜브형 바디(10)의 내부 하단에 삽입된다.
이러한 하부마개(50)에는 저면에서 시작하여 위쪽을 향해 일정깊이로 삽입홈(5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1) 내부에는 회전노브(30)와 상호 작용하여 점성물질(A)의 정량 토출을 도와주는 정량토출 유도수단(70)이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하부마개(50)에는 삽입홈(51)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51)에는 정량토출 유도수단(70)이 설치되며, 회전노브(30)의 상면에는 다수의 끼움홈(31)이 일정간격으로 원형을 이루면 형성되는데, 이 끼움홈(31)에는 정량토출 유도수단(70)의 일 구성품인 스톱볼(73)이 삽입된다.
상기 정량토출 유도수단(70)은 삽입홈(51) 내에 삽입되는 수용관(71)과, 상기 수용관(71)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72)과, 상기 수용관(71) 내부에 삽입되고 스프링(72)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수용관(71) 끝단을 통해 일부분이 돌출되어 끼움홈(31)에 삽입되는 스톱볼(73)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관(71)은 파이프 형태로서 내경이 스톱볼(73)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지만 일측 끝단의 내경만큼은 스톱볼(73)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수용관(71)의 일측 끝단을 통해 스톱볼(73)의 일부분이 돌출되기는 하지만 스톱볼(73) 전체가 외부로 이탈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수용관(71)은 외주면을 평평한 형태로 구성하여 삽입홈(51) 내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외주면에 나선을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삽입홈(51)을 형성시키는 하부마개(50)의 내벽면에도 나선을 형성시켜 수용관(71)이 삽입홈(51) 내에 나선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72)은 수용관(71) 내에서 스톱볼(73)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스톱볼(73)이 수용관(71)의 일측 끝단쪽으로 강하게 밀리도록 한다.
상기 스톱볼(73)은 수용관(71)의 일측 끝단을 통해 일부 곡면이 돌출되는데, 이 돌출된 스톱볼(73)의 일부분은 회전노브(30)에 형성된 끼움홈(31)에 삽입된다.
좀 더 부연하면, 수용관(71)의 일측 끝단을 통해 돌출된 스톱볼(73)의 일부분이 회전노브(30)의 끼움홈(31)에 삽입되어 있다가, 회전노브(30)를 회전시키면 스톱볼(73)은 스프링(72)을 누르면서 끼움홈(31) 밖으로 이탈되고(이때는 스톱볼이 하부마개의 상면에 점접촉되어 있음), 이 상태에서 계속 회전노브(30)가 회전되면 스톱볼(73)은 그 옆의 끼움홈(31)에 삽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들은 회전노브(30)의 회전각도를 인지하고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점성물질(A)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점성물질(A)의 정량토출을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지나치게 많은 양의 점성물질을 사용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링(60)은 튜브형 바디(10)의 외측면을 포위하여 하부마개(50)와의 사이에 튜브형 바디(10)를 위치시킴으로써 하부마개(50)와 함께 튜브형 바디(10)를 가압한다.
고정링(60)을 강하게 압입하여 하부마개(50)와 함께 튜브형 바디(10)를 가압함으로써 하부마개(50)와 고정링(60)이 튜브형 바디(10)의 특정영역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하부마개(50)의 외주면과 고정링(60)의 외주면에 나선을 형성시켜 튜브형 바디(10)를 사이에 두고 하부마개(50)와 고정링(60)이 나선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하부마개(50)와 고정링(60)이 튜브형 바디(10)의 내외부에서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10: 튜브형 바디 11: 토출구
20: 스크류 샤프트 21: 브릿지
30: 회전노브 31: 끼움홈
40: 피스톤 41: 나선결합링
42: 점성물질 가압부 42a: 중앙링
42b: 가압링 42c: 절개라인
50: 하부마개 51: 삽입홈
60: 고정링 70: 정량토출 유도수단
71: 수용관 72: 스프링
73: 스톱볼 80: 캡
A: 점성물질

Claims (7)

  1. 상단에 토출구(11)가 구비되고 하단이 개방된 튜브형 바디(10)와; 상기 튜브형 바디(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며, 튜브형 바디(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노브(30)가 하단에 구비된 스크류 샤프트(20)와; 내주면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20)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어, 스크류 샤프트(20)의 일방향 회전시 상승함으로써 튜브형 바디(10) 내부에 충진된 점성물질(A)을 상기 토출구(11) 쪽으로 가압하는 피스톤(40)과; 중앙부분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20)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튜브형 바디(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마개(50)와; 상기 튜브형 바디(10)의 외측면을 포위하여 상기 하부마개(50)와 함께 튜브형 바디(10)를 가압하는 고정링(60);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40)은 내주면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20)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는 경질 재질의 나선결합링(41)과;
    상기 스크류 샤프트(20)에 관통되고 저면이 상기 나선결합링(41)의 상면에 고정되는 연질 재질의 중앙링(42a)과, 상기 중앙링(42a)의 외주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확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튜브형 바디(1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경사진 다수의 절개라인(42c)이 형성되며 상기 점성물질(A)을 토출구(11) 쪽으로 가압하는 연질 재질의 가압링(42b)으로 이루어진 점성물질 가압부(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마개(50)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링(60)의 내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형 바디(10)를 사이에 두고 하부마개(50)와 고정링(60)이 나선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마개(50)에는 삽입홈(5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브(30)의 상면에는 다수의 끼움홈(3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1) 내에는 정량토출 유도수단(70)이 설치되되;
    상기 정량토출 유도수단(70)은 상기 삽입홈(51) 내에 삽입되는 수용관(71)과, 상기 수용관(71)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72)과, 상기 수용관(71)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72)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수용관(71) 끝단을 통해 일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31)에 삽입되는 스톱볼(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71)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홈(51)을 형성시키는 하부마개(50)의 내벽면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수용관(71)이 삽입홈(51) 내에 나선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0)는 상단부분의 외경이 토출구(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스크류 샤프트(20)의 상단부분이 토출구(11)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0)의 외주면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다수의 브릿지(2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21)는 그 끝단이 상기 토출구(11)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KR1020220014559A 2022-02-04 2022-02-04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KR10246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559A KR102468414B1 (ko) 2022-02-04 2022-02-04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559A KR102468414B1 (ko) 2022-02-04 2022-02-04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414B1 true KR102468414B1 (ko) 2022-11-16

Family

ID=8423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559A KR102468414B1 (ko) 2022-02-04 2022-02-04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4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83U (ko) * 1998-04-01 1998-08-17 김형태 치약튜브
KR20130001089U (ko) 2011-08-08 2013-02-18 김승윤 치약 튜브
KR20160047617A (ko) * 2014-10-22 2016-05-03 (주)아모레퍼시픽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료용 튜브용기
KR200486662Y1 (ko) * 2017-02-20 2018-06-21 (주)홍익바이오텍 내용물이 굳지 않는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83U (ko) * 1998-04-01 1998-08-17 김형태 치약튜브
KR20130001089U (ko) 2011-08-08 2013-02-18 김승윤 치약 튜브
KR20160047617A (ko) * 2014-10-22 2016-05-03 (주)아모레퍼시픽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료용 튜브용기
KR200486662Y1 (ko) * 2017-02-20 2018-06-21 (주)홍익바이오텍 내용물이 굳지 않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9247B (fi) Handspruta.
US5330081A (en) Measuring dosage dispenser
KR100981647B1 (ko) 공기 펌프식 주름관을 포함하는 용기
KR10147897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US3458090A (en) Fluid dispenser with adjustable stroke pump piston
WO2020068696A1 (en) Dual dispensing cosmetic container
KR102468414B1 (ko) 점성물질 토출 튜브용기
KR20100008832U (ko) 화장품 도포장치
JP3306594B2 (ja) 流動体の定量取出しポット
US10196196B2 (en) Watertight liquid dispenser with syringe-like functions
WO2006033559A1 (en) Container for liquid type cosmetic
KR101337069B1 (ko)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KR101399651B1 (ko)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US6695175B2 (en) Piston operated fluid dispensing device
WO2012026627A1 (ko) 화장품 도포장치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200050543A (ko) 화장품 용기
US5918776A (en) Metered dispensing cap system
KR101646641B1 (ko)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료용 튜브용기
KR101062262B1 (ko) 피스톤이 적용된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134295B1 (ko) 화장품 용기
KR101932094B1 (ko) 이종 내용물 화장품 용기
CN211459158U (zh) 一种用于存储精华液的瓶体
US20240033762A1 (en) Dosing device with dosing cap
CN215961175U (zh) 一种液体定量供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