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386B1 -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386B1
KR102467386B1 KR1020220059022A KR20220059022A KR102467386B1 KR 102467386 B1 KR102467386 B1 KR 102467386B1 KR 1020220059022 A KR1020220059022 A KR 1020220059022A KR 20220059022 A KR20220059022 A KR 20220059022A KR 102467386 B1 KR102467386 B1 KR 102467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flammatory bowel
bowel disease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미원
김신연
최진규
김세웅
박상철
이미정
Original Assignee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61K36/315Isatis, e.g. Dyer's woa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HERBAL EXTRACTS OF ISATIDIS FOLIUM}
본 발명은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장관에 원인미상의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면서 진행하는 임상경과를 보이며,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인 질환이다. 염증성 장질환의 발생 원인이나 병태생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 장내 세균이나 음식물 등의 환경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장 면역계의 지속적이거나 부적절한 활성화는 만성 점막성 염증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호중구, 대식세포, 림프구 및 비만세포의 침윤에 의해 결국 점막 파괴 및 궤양을 초래한다. 침윤되고 활성화된 호중구는 활성산소 종 및 활성질소종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이러한 활성종은 세포독성 물질로서 가교 단백질, 지질 및 핵산을 분 해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고 상피성 기능장애 및 손상을 초래한다.
염증성 장질환의 근본적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약제가 사용되고 있다. 주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의 생성을 차단하는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 계통 약물, 예를 들어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등을 이용하거나, 스테로이드류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고 있다.
설파살라진은 복부허실(fullness), 두통, 발진, 간질환, 백혈구 감소증, 무과립구증, 남성 불임 등과 같은 부작용 또는 역효과를 일으키기 쉽다. 또한, 설파살라진이 장의 환부를 절개한 환자 또는 차도가 있는 환자에게 충분한 재발 억제 효과가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스테로이드류의 면역억제제는 부신피질 스테로이드로서, 단기적인 효과는 인정받고 있지만, 장기적인 예후를 향상시킬 수는 없다. 또한, 유도된 감염성 질환, 2차 부신피질 부전증, 소화성 궤양, 당뇨병, 정신장애, 스테로이드성 신장병 등과 같은 부작용의 측면에서 단지 급성인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아직까지 염증성 장질환에 대해 신뢰할 만한 치료요법이 없어 부작용이 적고 저렴하면서도 치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그 예로 천연물 추출물을 사용한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10-1710730호)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대청엽(Isatidis Folium)은 십자화과(Cruciferae)에 속한 이년생 초본인 숭람(Isatis indigotica Fortune)의 잎으로, 여름과 가을에 채취한다. 전초는 숭람, 뿌리는 판람근이라 하며, 유행성감기, 간염, 급성폐렴, 황달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을 이용한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우수한 효과를갖는 신규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대청엽 추출물이 염증성 장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0730호
본 발명은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01% 내지 9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체중 또는 대장의 길이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비장의 무게 또는 길이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장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어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신규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의 추출물로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여,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염증성 장질환을 갖는 환자들에게 매우 우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체중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대장 길이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음성 대조군 대비 각 그룹의 비장 무게 및 길이를 측정한 비장율(spleen ratio)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질병활성도(DAI)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태양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태양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대청엽은 숭람(Isatis indigotica Fortune)의 잎을 건조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청엽(Isatidis Folium)은 십자화과(Cruciferae)에 속한 이년생 초본인 숭람(Isatis indigotica Fortune)의 잎으로,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고, 전초는 숭람, 뿌리는 판람근이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추출용매로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는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아세트산, 또는 상기 극성 용매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는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상기 비극성 용매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01% 내지 9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추출물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통해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광의적으로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 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프(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투여 또는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투여방법, 목적부위,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인체에 사용시 투여량은 안전성 및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유제품, 발효제품 또는 식품 첨가물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모든 비-인간 동물, 예를들어 비-인간 영장류, 양, 개, 소, 말 등에게 섭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 등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대청엽 추출물의 제조
세척 및 건조된 대청엽(Isatidis Folium)에 10배의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5 μm 여과지로 감압 여과한 후 50 ~ 65 ℃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 상태의 생약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 체중 변화 평가
6주령의 C57BL/6N 수컷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일간 예비사육한 후 8마리씩 무작위로 총 4그룹으로 나누어, 하기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멸균수에 희석한 2.5% 덱스트란 황산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은 총 8일간 음수 투여하였고,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인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 또는 본 발명의 대청엽 추출물을 DSS 투여일 2일 전부터 총 10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군(NC) 멸균 물 경구 투여
음성 대조군 2.5% DSS 투여
양성 대조군 2.5% DSS 투여 +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을 100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
실험군 2.5% DSS 투여 + 대청엽 추출물을 300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
체중 감소 현상은 염증성 장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으로(Scientific Reports volume 10, Article number: 3829 (2020)), 상기 마우스에 대하여 1일 1회 동일한 시간(오전 10시)에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각 그룹의 몸무게의 변화율은 그룹당 8마리 마우스의 몸무게를 합산한 후 8로 나누어 구하였고, 2.5% DSS 음수 투여 시작 직전의 평균 몸무게를 100%로 정하고 매일 각 그룹의 평균 몸무게를 구하여 몸무게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2.5% DSS를 음수 투여한 음성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집단 별 맨-휘트니 검정(Mann-Whitney test)을 실시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체중 변화율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104.89±1.09 %로 나타난 반면, 음성 대조군은 84.50±2.78 %로 정상군과 비교하여 체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ASA를 투여한 양성 대조군은 88.62±1.52 %로 나타난 반면, 대청엽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91.37±1.02 %로 체중의 감소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하게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청엽 추출물은 마우스의 체중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대장 길이 평가
대장의 단소화와 조직적 변화는 충분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장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염증 정도의 형태학적 매개 변수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청엽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대장 길이를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마우스를 각 투여 마지막 날 희생시킨 후 대장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 길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대장 길이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7.89±0.10 cm인 반면, 음성 대조군은 5.81±0.21 cm로 정상군과 비교하여 대장의 길이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 대조군은 6.05±0.16 cm로 나타난 반면, 대청엽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6.73±0.13 cm으로 대장 길이의 감소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수준으로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청엽 추출물은 마우스의 대장 길이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비장 염증 수준 평가
염증성 장질환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병증으로는 비장염(splenitis)이 있으며, 이와 같이 비장에 염증이 생기면 그 특성상 비장의 크기가 비대해지고(Nutrients 2019, 11(11), 2776), 실제로 DSS처리후 유도된 IBD 모델에서 비장이 비대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iol. Pharm. Bull. 43, 450-457 (2020)). 따라서, 본 발명의 대청엽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비장 염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마우스를 각 투여 마지막날 희생시킨 후 음성 대조군 대비 각 그룹의 비장 무게 및 길이를 측정하여 비장율(spleen ratio)로 나타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비장 무게 및 길이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하여 음성 대조군의 비장 무게 및 길이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양성 대조군 및 실험군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의 무게 및 길이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 대조군 대비 양성 대조군은 60.6 % 감소하였고, 대청엽 추출물 투여한 실험군은 69.5 % 감소하였으며, 대청엽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양성 대조군보다 우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청엽 추출물은 마우스에서 염증성 장질환에 따른 비장 염증으로 인해 비장이 비대해지는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질병활성도(DAI)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투여 방법으로 처리된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의 염증성 장질환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체중 변화, 변의 굳기, 변이나 항문에서 육안적으로 관찰되는 혈변의 유무를 하기 표 2의 질병활성도(Disease Activity Index, DAI) 등급에 따라 투여 기간 동안 매일 확인하여 질병활성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질병활성도 수치 (Disease Activity Index score)
체중감소 점수 변의 형태 점수 혈변 점수
<1% 0 딱딱하고 단단함 0 없음 0
1-5% 1 단단하나 끈적함 1 숨겨짐 1
5-10% 2 부드러우나 형태 유지 2 눈에 보이는 2
10-15% 3 부드러우면서 형태 손실 3 직장 출혈 3
15-20% 4 액체로서 형태가 없음 4 -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질병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음성 대조군에서 질병활성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청엽 추출물 투여한 실험군에서 질병활성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 대비 보다 우수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청엽 추출물은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의 염증성 장질환의 질병활성도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0.01% 내지 9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60% 내지 8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7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또는 대장의 길이의 감소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장의 무게 또는 길이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20220059022A 2021-05-14 2022-05-13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67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2846 2021-05-14
KR1020210062846 2021-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386B1 true KR102467386B1 (ko) 2022-11-16

Family

ID=8402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022A KR102467386B1 (ko) 2021-05-14 2022-05-13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414689A1 (ko)
EP (1) EP4338746A1 (ko)
JP (1) JP2024518209A (ko)
KR (1) KR102467386B1 (ko)
CN (1) CN116744955A (ko)
CA (1) CA3200117A1 (ko)
WO (1) WO202224025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730B1 (ko) 2011-07-29 2017-02-2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6385B2 (en) * 2009-03-03 2015-11-17 Viva Pharmaceutical Inc. Plant extract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CN103893457B (zh) * 2014-03-31 2018-04-17 王红 一种治疗溃疡性结肠炎中药
KR101951010B1 (ko) * 2015-03-27 2019-02-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청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730B1 (ko) 2011-07-29 2017-02-2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1년 4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8209A (ja) 2024-05-01
US20230414689A1 (en) 2023-12-28
CN116744955A (zh) 2023-09-12
CA3200117A1 (en) 2022-11-17
EP4338746A1 (en) 2024-03-20
WO2022240257A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ian et al. Astagalus polysaccharide attenuates murine colitis through inhibiton of the NLRP3 inflammasome
CN111265529B (zh) 蛋白酪氨酸磷酸酶shp2抑制剂在制备治疗银屑病药物中的应用
Xiao et al. Indigo naturalis suppresses colonic oxidative stress and Th1/Th17 responses of DSS-induced colitis in mice
Li et al. Sanguinarine ameliorates DSS induced ulcerative colitis by inhibiting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and modulating intestinal microbiota in C57BL/6 mice
Li et al. Paeoniflorin protects against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colitis in mice through inhibition of inflammation and eosinophil infiltration
Lee et al. Edible algae (Ecklonia cava) bioprocessed with mycelia of shiitake (Lentinula edodes) mushrooms in liquid culture and its isolated fractions protect mice against allergic asthma
Lan et al. FTZ polysaccharides ameliorate kidney injury in diabetic mice by regulating gut-kidney axis
Du et al. Gastroprotective effect of eupatilin, a polymethoxyflavone from Artemisia argyi H. Lév. & Vaniot, in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via NF-κB signaling pathway
KR101291343B1 (ko) 후코이단 및 생약성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피부염 증상 개선용 크림
KR102467386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Baghaei et al. Efficacy of Setarud (IMOD®), a novel drug with potent anti-toxic stress potential in rat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comparison with dexamethasone and infliximab
Wang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pharmacological, toxicity,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of phillygenin: Current landscape and future perspectives
Li et al. Baicalin ameliorates DSS-Induced colitis by protecting goblet cells through activating NLRP6 inflammasomes
Wang et al. Pharmacological effect of caulophyllum robustum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and regulation of nitric oxide, NF-κB,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vivo and in vitro
Wang et al. Cichoric acid from extracted Echinacea purpurea induces the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from yaks
RU2651750C2 (ru) Применение экстракта albizzia chinensis для получ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лечения язвы желудка
KR20190135434A (ko) 세신, 길경 및 계지 중 2종 이상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8028B1 (ko) 청대, 닥나무, 및 가래나무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2915198B (zh) 一种含有溶菌酶的治疗牛皮癣的软膏
KR20230099646A (ko) 대청엽 및 가래나무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252129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63709A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812396A (zh) 一种用于治疗溃疡性结肠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90052088A (ko) 화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치료용 조성물
CN110664888A (zh) 一种消炎抗菌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