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606B1 - A herbal air freshener for a dog aromatherapy - Google Patents

A herbal air freshener for a dog aromatherap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606B1
KR102466606B1 KR1020200153475A KR20200153475A KR102466606B1 KR 102466606 B1 KR102466606 B1 KR 102466606B1 KR 1020200153475 A KR1020200153475 A KR 1020200153475A KR 20200153475 A KR20200153475 A KR 20200153475A KR 102466606 B1 KR102466606 B1 KR 102466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herbal
hydrosol
weight
do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7622A (en
Inventor
신동원
소주영
김현정
이혜진
장소현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606B1/en
Publication of KR2022006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6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6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견을 위한 한방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약재로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천연 한약재와 에센셜오일을 조향하여 그로부터 발산되는 향이므로, 합성 방향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제 향에 대한 반려견의 거부감이 없을 뿐 아니라 상온 및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고 집안의 악취 제거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bal fragrance for companion dogs.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herbal fragrances for dogs, including sancho, nutmeg, and zillaja as herbal medicin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nce the oriental fragrance for do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ent emitted by steering natural herbal medicine and essential oil, it can solve the problems of synthetic fragrances. In addition, there is no rejection of the companion dog for the fragrance of the air freshener, and it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mold in a room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has an effect of removing odors in the house.

Description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A herbal air freshener for a dog aromatherapy}A herbal air freshener for a dog aromatherapy}

본 발명은 반려견을 위한 한방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약재로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bal fragrance for companion dogs.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herbal fragrances for dogs, including sancho, nutmeg, and zillaja as herbal medicin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핵가족을 구성함과 더불어 혼자 사는 사람들의 비율이 늘어나면서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구 수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관련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Today, with many people forming nuclear families and the proportion of people living alone increasing,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companion animals is increasing. As a result, the companion animal market is growing rapidly.

반려동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동물은 반려견으로서, 그 개체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반려견과 관련하여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방향제는 대체로 인공향이 강해 반려견들이 좋아하지 않거나 반려견에게 치명적인 향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여러 화학성분에 의해 기관지나 피부에 악영향을 유발하기도 한다.Companion dogs account for the largest share among companion animals, and their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ir fresheners currently on the market for companion dogs are generally artificially scented and contain fragrances that are not liked by dogs or are fatal to dogs. On the other hand, various chemical components may cause adverse effects on the bronchus or skin.

사전적인 의미로 방향제는 좋은 향을 가지고 있는 약제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방, 사무실 등의 실내, 공중 화장실, 자동차 내부 등의 생활공간에서 악취나 혐오스러운 냄새를 제거하거나 대체한다. 그리고 향기를 통해 청정감이나 안정감 등을 얻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삶의 질을 중요하게 여기면서 스트레스 해소나 치료 효과를 위한 용도로 범위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In a dictionary sense, air freshener refers to drugs having a good scent, and removes or replaces odors or disgusting odors in living spaces such as indoors such as rooms and offices, public toilets, and interiors of cars. And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sense of cleanliness or stability through fragrance. In recent years, quality of life is considered important, and the range of use for stress relief or therapeutic effect has been expanded.

기존의 합성 방향제의 경우 초기에는 향의 발산력이 우수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기가 감소하여 제품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고, 합성 방향제의 성분 중 하나인 화학 합성향 오일의 경우 장기간 사용할 경우 투통을 유발하거나 신경과민, 환각, 마취, 근육 경색, 무기력, 뇌신경 경색 등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합성 방향제의 일부 제품의 성분 중 하나인 메탄올의 경우 인체 내에서 독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로 산화되는데 인체에는 포름알데히드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가 없어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신경을 손상시키거나 눈의 실명, 이명, 소화 장애, 감각 상실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성분 중 하나인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의 경우 두통이나 어지러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체내에도 축적될 수 있다.In the case of existing synthetic fragrances, the fragrance is excellent at the beginning, but the fragrance decreases over time, resulting in a short product lifespan. There are concerns about side effects such as nervousness, hallucinations, anesthesia, muscle infarction, lethargy, and cranial nerve infarction. In the case of methanol, one of the components of some synthetic fragrance products, it is oxidized to formaldehyde, a toxic substance in the human body. Since the human body does not have an enzyme that can decompose formaldehyde, it affects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damages the nerves. It can cause eye blindness, tinnitus, digestive problems and loss of sensation. In addition, isopropanol, one of the other ingredients, can cause headaches or dizziness and can also accumulate in the body.

아울러, 오일성분이 함유된 방향제에 쓰이는 합성 계면활성제 중 LAS(linear alkylbenze sulphonate), AEO(fatty alcohol-polyoxyethylene ether), 베타인(Betaine)의 경우 피부 자극성 평가에서 높은 자극성을 가지며, 안자극성 평가의 경우에도 인체에 유해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LAS, AEO, Betaine 이외의 합성 계면활성제 역시 두피나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체내에 흡착되어 축적될 경우 간, 혈액에 잔류하여 암을 유발하거나 아토피 등의 피부염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한다.In addition, LAS (linear alkylbenze sulphonate), AEO (fatty alcohol-polyoxyethylene ether), and betaine among the synthetic surfactants used in fragrances containing oil components have high irritation in skin irritation evaluation, and are It has also been reported to be harmful to humans. In addition, synthetic surfactants other than LAS, AEO, and Betaine can also stimulate the scalp or skin, and when adsorbed and accumulated in the body, they remain in the liver and blood, causing cancer, dermatitis such as atopy, or allergy.

한편, 반려견은 사람보다 후각이 약 1만배 더 예민하며, 반려견과 함께 사는 사람은 반려견에게 맞춰진 방향제를 필요로 하는데, 시중에 판매 중인 방향제는 대부분 화학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합성 방향제가 아닌 한약재를 이용하여 방향제로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175656호는 익지인 20~35중량%, 진피 20~35중량%, 팔각향 10~15중량%, 계피 10~15중량%, 정향 10~15중량%, 박하 5~8중량%, 당귀 5~8중량%, 용뇌 2~3중량%, 및 천궁 3~5중량%을 함유한 한방 방향제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dogs have a sense of smell that is about 10,000 times more sensitive than humans, and people who live with dogs need air fresheners tailored to dogs. Most of the air fresheners on the market are made of chemicals. According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epare fragrances using herbal medicines rather than synthetic fragrances. As an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5656 contains 20 to 35% by weight of raw rice, 20 to 35% by weight of dermis, 10 to 15% by weight of octagonal incense, 10 to 15% by weight of cinnamon, 10 to 15% by weight of cloves, Disclosed is a herbal fragrance composition containing 5 to 8% by weight of mint, 5 to 8% by weight of Angelica guinea pig, 2 to 3% by weight of Yongnoe, and 3 to 5% by weight of Cnidium.

천연 자원인 한약재는 다른 천연물에 비해 GMP 인증으로 유통과 제조관리 등이 비교적 철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안전성뿐만 아니라 한약재의 약리 성분 등에 대해 비교적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한약재를 추출한 천연물과 에센셜 오일을 활용하여 반려견과 반려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방향제를 고안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Herbal medicines, which are natural resourc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clear about the pharmacological components of herbal medicines as well as safety in that distribution and manufacturing management are relatively thorough with GMP certification compared to other natural products. Therefore, attempts are being made to devise air fresheners that dogs and owners can enjoy together by using natural products and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herbal medicines.

아울러, 최근 반려동물 용품에 관련된 박람회에서 선보여진 방향제 제품은 대부분 독성을 최소화한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반려견이 거부감을 보이지 않는 향을 가진 방향제들이 대다수 주를 이루었다.In addition, most of the air freshener products introduced at the fair related to companion animal products are mostly composed of natural ingredients with minimal toxicity, and most of the air fresheners have fragrances that dogs do not object to.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반려동물 관련 용품 시장의 흐름에 따라 방향성 한약재를 활용하여 반려견과 반려인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방향제를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한약재를 추출한 천연물과 에센셜 오일을 활용하여 반려견과 반려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방향제를 고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Under this backgrou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fragrance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dogs and companions by using aromatic herbal medicine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companion animal-related product market.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evising a fragrance that the companion can enjoy togeth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자연 상태의 한약재를 조성물로 하여 향이 은은하고 오랫동안 신선한 향의 상태를 유지하며, 살균, 악취 제거 기능이 있는 한방 방향제를 기초로 하되, 기존 합성 방향제가 인체에 미치는 여러 가지 부작용, 미미한 발향 효과 및 향의 지속시간이 짧은 문제점 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특히, 수냉 냉각 순환식 추출기를 통해 추출한 한약재 추출물인 하이드로졸과 에센셜 오일, 예컨대 유칼립투스 오일, 네롤리 오일 등의 결합을 위해 합성 계면활성제 대신 주정을 사용해서 반려견의 악취 제거와 방의 공기 정화를 도와 반려견이 후각적으로 부담스러워하지 않으면서 방에 향기가 잘 퍼져 반려견과 반려인이 모두 만족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를 개발하였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ors use herbal medicines in their natural state as a composition to maintain a fresh fragrance for a long time and have a mild fragrance, and based on an oriental fragrance with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functions, but various side effects of existing synthetic fragrances on the human body, It was intended to compensate for problems such as a slight scent diffusion effect and a short duration of scent. In particular, alcohol is used instead of synthetic surfactants to combine hydrosol, a herbal medicine extract extracted through a water-cooled circulation type extractor, with essential oils, such as eucalyptus oil and neroli oil, to help remove odors from dogs and purify the air in the room. We have developed an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that is not burdensome in terms of smell and that the scent spreads well in the room, and both dogs and owners can use it with satisfaction.

KRKR 10-117565610-1175656 BB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로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rbal fragrance for dogs, including Chinese pepper, nutmeg, and Zillaja as herbal medicin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약재로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rbal fragrance for companion dogs containing sancho, nutmeg and zillaja as herbal medicines.

또한, 본 발명은 a) 한약재로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 각각의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한 산초 하이드로졸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두구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 및 질려자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 첨가하여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한약재 베이스에 천연 계면활성제로서 보드카 또는 주정을 동일 비율로 첨가하여 방향제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조한 방향제 베이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칼립투스 오일 및 네롤리 오일을 블랜딩(blending)한 에센셜 오일을 0.5 내지 1.5 중량부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obtaining a hydrosol of Sancho, Nutmeg and Zillaeja each as a herbal medicine; b) preparing a hydrosol-type herbal medicine base by adding 0.1 to 3 parts by weight of nutmeg hydrosol and 0.1 to 3 parts by weight of Zillaja hydrosol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Sancho hydrosol obtained above; c) preparing a fragrance base by adding vodka or alcohol as a natural surfactant to the herbal medicine base in the same ratio; and d) adding 0.5 to 1.5 parts by weight of an essential oil blended with eucalyptus oil and neroli oi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fragrance base.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한약재 추출물인 하이드로졸과 에센셜 오일에서 발산되는 향이므로, 합성 방향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냄새(향), 상쾌지수, 향기 지속력이 우수하다. 또한, 반려견에게서 나는 악취나 진드기 또는 세균 제거도 가능하며, 상온에서 장시간 경과하여도 곰팡이가 생기거나 변질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Since the herbal fragrance for do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grance emitted from hydrosol and essential oil, which are herbal medicine extracts, it can solve the problems of synthetic fragrances and has excellent odor (fragrance), freshness index, and fragrance durabi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odors, mites, or germs from dogs, and it can be used safely because it does not cause mold or deterioration even after a long time at room temperatur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상온 및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 늘 같은 향을 유지하며 장시간 사용할 수 있어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In addition, the oriental fragrance for do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occurrence of mold even at room temperature and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so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hile maintaining the same scent at any time regardless of the season, providing an optimal environment. It has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냄새(향) 정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향기 지속력 정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상쾌지수(사람) 정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향의 확산 정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반려견 호불호 여부 정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반려견 악취 제거에 도움 정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구매의사 정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슈퍼박테리아(Super bacteria) 표준균주에 대한 MIC(최소저해농도)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항균 효과 비교를 위한 대조군으로 사용한 암피실린 및 옥사실린의 슈퍼박테리아 표준균주에 대한 MIC(최소저해농도)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 sensory test for the degree of smell (fragrance) of an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 sensory test for the degree of fragrance persistence of an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 sensory test for the freshness index (human) degree of an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 sensory test on the degree of diffusion of the fragrance of an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 sensory test for the degree of liking or disliking of an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a sensory test for the degree of help of the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moving the dog's odor.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 sensory test for the degree of purchase intention of an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the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results for the standard super bacteria strain of the oriental fragrance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the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results of ampicillin and oxacillin, which were used as control groups for comparison of antibacterial effects of oriental fragrances for do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uperbacterial standard strains.

본 발명은 반려견을 위한 한방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반려견에게 유독하지 않은 한약재를 추출한 증류액, 즉,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 하이드로졸과 주정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bal fragrance for companion dogs. In detail, it relates to a distillate extracted from herbal medicines that are not toxic to dogs, that is, a herbal fragrance for dogs including Chinese pepper, nutmeg, and Chinese pepper hydrosol, alcohol and essential oi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한약재로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를 제공한다.As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rbal fragrance for dogs, including sancho, nutmeg and zillajaja as herbal medicines.

상기 용어 "산초"는 운향과의 초피나무 또는 동속 식물의 과피로서 씨를 최대한 제거하여 만든 약재를 말한다. 이는 뱃속을 따뜻하게 하여 한기를 없애 주고, 제습지통(除濕止痛)의 효능이 있으며, 해충을 없애 주고, 가려움증 및 설사를 멈추게하며, 어패류로 인해 생긴 중독 증상을 치료하는 등의 효능이 있다.The term "sancho" refers to a medicinal material made by removing seeds as much as possible as the rind of a cortaceae plant or the rind of a plant of the same genus. It warms the stomach to get rid of cold, has the effect of dehumidifying pain, eliminates pests, stops itching and diarrhea, and treats poisoning symptoms caused by fish and shellfish.

상기 용어 "육두구"는 육두구과의 잘 익은 씨로서 씨껍질을 제거한 약재를 말한다. 이는 방향성 건위제역할을 하기도 하고, 구풍, 건위, 항암, 항염증, 간세포보호, 항고지혈증작용의 역할을 한다.The term "nutmeg" refers to a well-ripe seed of the nutmeg family and a medicinal material from which the seed husk is removed. It also acts as an aromatic stomach acid, and acts as a carminative, geonwi, anti-cancer, anti-inflammatory, hepatocellular protection, and antihyperlipidemia.

상기 용어 "질려자"는 남가새과의 남가새의 과실을 말하며, 이뇨, 소염, 정혈약으로 두통, 안과질환 등에 이용되고, 외용약으로도 사용하며 혈압강하, 이뇨, 구충, 백반증개선, 간세포보호작용, 진정, 항진균, 항과민성의 작용을 한다.The term "getting sick" refers to the fruit of Namgasae of the Namgasae family, and is used as a diuretic, anti-inflammatory, and blood-purifying medicine for headaches and eye diseases, and is also used as an external medicine, lowering blood pressure, diuretic, anthelmintic, improving vitiligo, protecting liver cells, and soothing. , antifungal, anti-hypersensitivity action.

상기 한약재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산초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두구 0.1 내지 3 중량부, 및 질려자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초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두구 0.5 내지 2 중량부, 및 질려자 0.5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초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두구 0.5 중량부, 및 질려자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The herbal medicine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include 0.1 to 3 parts by weight of nutmeg and 0.1 to 3 parts by weight of Chinese pepper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Chinese pepper. Preferably, it may be included in 0.5 to 2 parts by weight of nutmeg and 0.5 to 2 parts by weight of pepper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Japanese pepper. More preferably, it may be included in 0.5 parts by weight of nutmeg and 0.5 parts by weight of peppercorns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Japanese pepper.

상기 한약재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수냉 냉각 순환식 추출기를 이용하여 하이드로졸(hydrosol) 형태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The herbal medicine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extracted in the form of a hydrosol using a water-cooled cooling circulation type extractor.

상기 용어 "하이드로졸(hydrosol)"은 물을 분산매(分散媒)로 하는 콜로이드 용액을 의미한다. 하이드로졸은 플로럴워터로도 칭해지며, 에센셜 오일을 추출할 때 나오는 식물의 수용성 성분이다. 하이드로졸은 자극이 없고 몸에 순하게 작용해 어린 동물에게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동물의 피부와 유사한 약산성으로 피부의 pH 균형을 맞춰주고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는 피부 환경을 만들어 준다.The term "hydrosol" means a colloidal solution using water as a dispersion medium. Hydrosol, also referred to as floral water, is a water-soluble component of plants that comes out when essential oils are extracted. Hydrosol is non-irritating and acts mildly on the body, so it can be safely used even for young animals. It is weakly acidic, similar to the skin of most animals, and balances the pH of the skin and creates a skin environment in which bacteria do not proliferate.

상기 하이드로졸은 수냉 냉각 순환식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되며, 이의 제조 과정은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아로마 증류 과정과 같다. 대부분의 하이드로졸은 물이나 수증기 증류를 통해 만들어진다.The hydrosol is extracted using a water-cooled cooling circulation type extractor,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is the same as the aroma distillation process for extracting essential oil. Most hydrosols are made by water or steam distillation.

상기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천연 계면활성제 및 에센셜 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herbal fragrance for dogs may further include a natural surfactant and essential oil.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는 인공 합성 계면활성제를 제외한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와 에센셜 오일을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natural surfactant refers to a surfactant other than an artificially synthesized surfactant, and is used to uniformly mix a hydrosol type herbal medicine base and essential oil.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보드카 또는 주정일 수 있으며, 상기 보드카 또는 주정은 알코올 도수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atural surfacta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vodka or alcohol, and the vodka or alcoho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cohol content is 40%.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와 동일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The natural surfactan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mixed with the herbal medicine base in hydrosol form in the same rati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어 "한약재 베이스"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제조를 위한 기본 한약재 원료로서, 산초 하이드로졸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두구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 및 질려자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를 첨가한 원료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herbal herb base" is a basic herbal material for preparing a herbal fragrance for dogs, and includes 0.1 to 3 parts by weight of nutmeg hydrosol and 0.1 to 3 parts by weight of ginseng hydrosol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Japanese pepper hydrosol. raw material added.

또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유칼립투스 오일 및 네롤리 오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ssential oil may be composed of eucalyptus oil and neroli oil.

상기 에센셜 오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와 천연 계면활성제가 동일 비율로 혼합된 방향제 베이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The essential oil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5 to 1.5 parts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fragrance base in which a hydrosol type herbal medicine base and a natural surfactant are mixed in equal proportion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어 "방향제 베이스"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제조를 위한 기본 방향제 원료로서, 상기 한약재 베이스 및 천연 계면활성제가 동일 비율로 혼합된 원료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ragrance base" is a basic fragrance raw material for preparing a herbal fragrance for dogs, and is a raw material in which the herbal medicine base and a natural surfactant are mixed in the same rati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 하이드로졸을 2: 1: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를 제조하고, 상기 한약재 베이스 및 천연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는 보드카(알코올 도수 40%)를 1: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방향제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한약재 베이스 및 천연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방향제 베이스 100 mL에 유칼립투스 오일 0.6 mL 및 네롤리 오일 0.6 mL을 블랜딩(blending)하여 제조한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를 최종 제조하였다(실시예 1 내지 5).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ncho, nutmeg, and ginseng hydrosol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2: 1: 1 to prepare a hydrosol-type herbal medicine base, and vodka (which serves as the herbal medicine base and natural surfactant) 40% alcohol) was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1 to prepare a fragrance base. Herbal fragrance for dogs was finally prepared by adding essential oil prepared by blending 0.6 mL of eucalyptus oil and 0.6 mL of neroli oil to 100 mL of the fragrance base mixed with herbal medicine base and natural surfactant (Examples 1 to 5 ).

본 발명의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항균 효과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제는 한약재로서 산초, 육두구, 질려자를 포함하고, 천연 계면활성제인 보드카 또는 주정, 반려견이 선호하는 향기인 유칼립투스 오일 및 네롤리 오일을 이용한 방향제로서, 반려견의 거부감 없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한 인체무해성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iental fragrance for dog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antibacterial effect. Specifically, the fragrance is a fragrance using Chinese herbal medicines such as sancho, nutmeg, and ginseng, and natural surfactants such as vodka or alcohol, and eucalyptus oil and neroli oil, which are scents preferred by dogs, and can be safely used without a dog's relucta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harmless herbal fragrance for dogs.

본 발명의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향이 좋고 향기 지속력이 우수하여 거주 공간에서의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반려견 및 반려견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도 거부감이 없이 상쾌감을 부여하고, 방부 효과 뿐만 아니라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The oriental air freshener for companion do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ood fragrance and excellent fragrance durability, and thus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 living space. In addition, it gives a refreshing feeling to dogs and people who live with them without feeling repulsive, and has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s as well as antiseptic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향의 확산 정도가 최대 4 m 정도 떨어진 거리까지 이루어지므로, 통상의 거실에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거실 또는 방으로부터 1 m 내지 4 m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riental air freshener for companion do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sufficiently in a normal living room because the degree of diffusion of fragrance is made up to a distance of about 4 m. Therefore, the oriental fragrance for do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preferably used in a state located within 1 m to 4 m from the living room or room.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한약재로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 각각의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한 산초 하이드로졸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두구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 및 질려자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 첨가하여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한약재 베이스에 천연 계면활성제로서 보드카 또는 주정을 동일 비율로 첨가하여 방향제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조한 방향제 베이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칼립투스 오일 및 네롤리 오일을 블랜딩(blending)한 에센셜 오일을 0.5 내지 1.5 중량부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s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obtaining a hydrosol of sancho, nutmeg and zillaeja each as a herbal medicine; b) preparing a hydrosol-type herbal medicine base by adding 0.1 to 3 parts by weight of nutmeg hydrosol and 0.1 to 3 parts by weight of Zillaja hydrosol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Sancho hydrosol obtained above; c) preparing a fragrance base by adding vodka or alcohol as a natural surfactant to the herbal medicine base in the same ratio; and d) adding 0.5 to 1.5 parts by weight of essential oil blended with eucalyptus oil and neroli oi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fragrance base. .

상기 단계 a)는 한약재로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 각각의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로, 상기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 각각의 하이드로졸은 수냉 냉각 순환식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The step a) is a step of obtaining hydrosols of Chinese pepper, nutmeg, and Chinese pepper as herbal medicines, and each hydrosol of Japanese pepper, nutmeg, and Chinese pepper can be extracted using a water-cooled cooling circulation type extractor.

상기 단계 b)는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한약재 베이스는 단계 a)에서 수득한 산초 하이드로졸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두구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 및 질려자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Step b) is a step of preparing a hydrosol-type herbal medicine base, wherein the herbal medicine base contains 0.1 to 3 parts by weight of nutmeg hydrosol and 0.1 to 3 parts by weight of nutmeg hydrosol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Sancho hydrosol obtained in step a).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3 parts by weight.

바람직하게, 한약재 베이스는 산초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두구 0.5 내지 2 중량부, 및 질려자 0.5 내지 2 중량부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초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두구 0.5 중량부, 및 질려자 0.5 중량부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erbal medicine base may be prepared by adding 0.5 to 2 parts by weight of nutmeg and 0.5 to 2 parts by weight of Chinese pepper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Chinese pepper, more preferably 0.5 parts by weight of nutmeg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Japanese pepper, and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0.5 parts by weight of ginseng.

상기 단계 c)는 방향제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방향제 베이스는 단계 b)에서 제조한 한약재 베이스에 천연 계면활성제를 동일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Step c) is a step of preparing a fragrance base, which may be prepared by adding a natural surfactant to the herbal medicine base prepared in step b) in the same ratio.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는 보드카 또는 주정일 수 있으며, 상기 보드카 또는 주정은 알코올 도수가 4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natural surfactant may be vodka or alcohol, and the vodka or alcohol may have an alcohol content of 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단계 d)는 단계 c)에서 제조한 방향제 베이스에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는 단계로, 상기 에센셜 오일은 방향제 베이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Step d) is a step of adding essential oil to the fragrance base prepared in step c), and 0.5 to 1.5 parts by weight of the essential oil may be add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fragrance base.

상기 에센셜 오일은 유칼립투스 오일 및 네롤리 오일을 블랜딩(blending)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The essential oil may be prepared by blending eucalyptus oil and neroli oil.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화학물질이 아닌 천연물로만 구성된 것으로, 유해화학물질을 최대한 배제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iental fragrance for dog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is composed of only natural materials, not chemical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excluding harmful chemicals as much as possible.

또한, 상기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항균 효과가 뛰어나 별도의 방부제 없이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반려견의 악취를 제거할 뿐 아니라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하여 반려견과 반려인의 주거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In addition, the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has an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so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a separate preservative, and it not only removes the dog's odor, but also purifies the indoor ai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for dogs and companions. has

한편, 상기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한약재, 구체적으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의 하이드로졸을 방향제의 원료로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방향제 특성을 지님과 동시에, 사람보다 후각이 약 1만배 예민한 반려견과 함께 사는 집에서도 반려견이 향에 대한 거부감 없이 사용 가능한 안전한 방향제의 특성을 지닌다.On the other hand, the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uses herbal medicines, specifically Chinese pepper, nutmeg, and hydrosol of japonica as the raw material of the fragrance, and has fragrance propertie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afe air freshener that can be used by dogs without objection to the scent.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according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 하이드로졸 베이스 관능검사Example 1: Hydrosol-based sensory test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제조를 위해, 본 베이스 제조에 사용한 한약재들은 동부생약 국산한약재 종합판매장(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여순로 1679 동부생약영농조합)에서 구입하였다. 구입 후 개봉 즉시 하이드로졸로 추출하였다. 또한, 본 베이스 제조에 사용된 에센셜 오일은 허브애향(http://허브애향.com/)에서 구입하였으며, 정유 성분의 손실을 막기 위해 사용 즉시 밀봉하였다. 한편, 샘플 제작에 필요한 디퓨져 용기와 섬유스틱은 별님캔들(http://www.star-candle.com/)에서 구입하였으며, 섬유스틱은 절반으로 잘라 사용하였다.For the manufacture of herbal air fresheners for dogs, the herbal medicine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is base were purchased from the Dongbu Herbal Medicines Domestic Herbal Medicine General Store (Dbubu Herbal Medicine Farming Association, 1679 Yeosun-ro, Haeryong-myeon, Suncheon-si, Jeollanam-do). After purchase, it was extracted with hydrosol immediately after opening. In addition, the essential oil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is base was purchased from Herb Aehyang (http://herb aehyang.com/), and was sealed immediately after use to prevent loss of essential oil components. On the other hand, the diffuser container and fiber sticks necessary for sample production were purchased from Star Candle (http://www.star-candle.com/), and the fiber sticks were cut in half and used.

본 제조과정을 위해 초기 추출한 130여 가지의 약재의 시향 테스트를 한 후, 여러 가지 추출물을 한의학 이론에 따라 조합하였다. 이 중 7가지의 베이스를 만들어 2회에 걸쳐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For this manufacturing process, after testing the taste of 130 or so initially extracted medicinal materials, various extracts were combin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oriental medicine. Of these, seven bases were made and blind tests were conducted twice.

1차 조사는 하기 표 1과 같이 7가지로 조합된 베이스를 각각의 비율로 조향하여 마이크로 튜브에 넣었다. 이후, 이들 각각의 하이드로졸 조합으로부터 30 ㎝ 정도 떨어진 공간에서 후각을 통한 향의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향의 선호도 측정은 일반인 총 16명을 대상으로 5평의 폐쇄된 공간에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으며, 6번 베이스(육두구:질려자:산초 = 1:1:1)가 선호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In the first irradiation, as shown in Table 1 below, 7 types of bases were steered at each ratio and placed in a microtube. Thereafter, the preference of fragrance through the sense of smell was measured in a space about 30 cm away from each of these hydrosol combinations. At this time, the fragrance preference measurement was performed in a closed space of 5 pyeong for a total of 16 peopl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nd it was confirmed that base No. 6 (Nutmeg: Jilleoja: Sancho = 1: 1: 1) was highly preferred.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산초 추출물이 함유된 6번 베이스의 선호도가 높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산초를 기본으로 한 베이스(산초, 질려자, 육두구)를 만들었다.As a result of a blind test, it was confirmed that base No. 6 containing Sancho extract was highly preferred, so Sancho-based bases (Sancho, Zillaja, Nutmeg) were made.

육두구, 질려자, 산초의 하이드로졸 베이스 추출을 위하여 한약재를 수냉 냉각 순환식 추출기를 이용하여 육두구, 질려자, 산초를 각각 추출하였다. 추출 정보는 하기 표 2와 같다.In order to extract the hydrosol base of nutmeg, Chinese pepper, and Chinese pepper, herbal medicines were extracted using a water-cooled cooling circulation type extractor, respectively. Extraction information is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1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1

원료Raw material 원산지origin 무게(㎏)weight (kg) 용매menstruum 용매 사용량(mL)Solvent usage (mL) 수집시간collection time 획득량(cc)Acquisition (cc) 육두구nutmeg 인도네시아Indonesia 1.21.2 증류수Distilled water 10,50010,500 2시간 30분2 hours 30 minutes 3,9003,900 질려자let's get tired 중국China 1.21.2 증류수Distilled water 10,50010,500 2시간 30분2 hours 30 minutes 3,8003,800 산초Sancho 중국China 2.42.4 증류수Distilled water 19,50019,500 2시간 30분2 hours 30 minutes 5,1005,100

상기 방법을 통하여 추출된 산초, 육두구, 질려자의 하이드로졸 비율을 달리하여 마이크로 튜브에 담았다. 이후, 2차 조사로 이들 각각의 하이드로졸 조합으로부터 30 ㎝ 정도 떨어진 공간에서 후각을 통한 향의 선호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향의 선호도 측정은 일반인 총 16명을 대상으로 5평의 폐쇄된 공간에서 수행하되, 시향 후 좋아하는 향에 2개씩 체크할 것을 요청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The hydrosol ratio of sancho, nutmeg, and zillaja extracted through the above method was varied and contained in a micro tube. Thereafter, as a secondary investigation, the preference for fragrance through the sense of smell was measured in a space about 30 cm away from each of these hydrosol combination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At this time, the fragrance preference measurement was performed in a closed space of 5 pyeong for a total of 16 people, and after tasting, they were asked to check two of their favorite fragrances. The measured results were converted to a scale of 100,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2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2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3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3

한편,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약재 하이드로졸을 7가지 방법으로 조합하여 시향하였을 시, 5번 하이드로졸 베이스(당귀:득량만 장미 분홍색: 진피:육계 = 1:1:1:1)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반려견과 생활하며 사용할 수 있는 한방 방향제의 특성상 반려견의 피부 접촉시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육계'는 제외하기로 하였다.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in Table 1 above, when herbal medicine hydrosols are combined and tested in 7 ways, No. 5 hydrosol base (Angelica: Deukryangman rose pink: dermis: broiler = 1:1:1:1)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herbal air fresheners that can be used while living with dogs, 'broiled chicken', which can cause skin irritation when in contact with a dog's skin, was excluded.

이에 따라 '육계'가 사용된 하이드로졸 베이스를 제외한 것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6번 하이드로졸을 방향제의 베이스로 사용하였다. Accordingly, hydrosol No. 6, which is the most preferred hydrosol base except for the hydrosol base in which 'broiler' was used, was used as the base of the fragrance.

또한, 상기 표 3와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산초:육두구:질려자 = 2:1:1의 비율로 이루어진 ④번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산초:육두구:질려자 = 1:1:1, 산초:육두구:질려자 = 1:2:2의 비율이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Tables 3 and 4 above, No. ④, consisting of a ratio of pepper: nutmeg: jjilleoja = 2: 1: 1,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llowed by pepper: nutmeg: jjilleo Ja = 1:1:1, Sancho:Nutmeg:Zillaeja = 1:2:2 showed high preference.

실시예 2: 에센셜 오일 선호도 조사 및 선별Example 2: Investigation and Selection of Essential Oil Preference

상기 실시예 1의 결과 표 4에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된 ④번 하이드로졸 베이스에 대하여 에센셜 오일과 조향했을 시에 따른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④번 하이드로졸 베이스에 반려견이 좋아하는 에센셜 오일을 종류별로 조향하였으며, 조향된 샘플로부터 30 ㎝ 떨어진 곳에서 후각을 통한 향의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향의 선호도 측정은 일반인 총 20명을 대상으로 10평의 폐쇄된 공간에서 수행하였다. 이에 따른 선호도의 정도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부터 10까지의 점수로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된 결과를 환산하였다. 환산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As a result of Example 1, the preference for the hydrosol base ④, which was found to be highly preferred in Table 4, was investigated when it was steered with essential oil. Specifically, the dog's favorite essential oil was steered into the hydrosol base ④, and the preference of the scent through the sense of smell was measured at a distance of 30 cm from the steered sample.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of preference for fragrance was performed in a closed space of 10 pyeong for a total of 20 people. As shown in Table 5, the degree of preference was measured as a score from 1 to 10, and the measured result was converted. The convers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단, 에센셜 오일은 표 5에 하기와 같이 축약하여 기재하였다. 여기에서, PA는 패츌리이고, TH는 시더우드이며, RC는 로만 캐모마일이고, NE는 네롤리이다. 또한, ZE는 제라늄이고, MJ는 마조람이며, LA는 라벤더이고, OR은 스윗 오렌지이며, EU는 유칼립투스이다.However, the essential oils were abbreviated as follows in Table 5. Here, PA is patchouli, TH is cedarwood, RC is Roman chamomile, and NE is neroli. Also, ZE is geranium, MJ is marjoram, LA is lavender, OR is sweet orange, and EU is eucalyptus.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4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4

선발된 하이드로졸 베이스와 에센셜오일의 조향 선호도 결과(%)Steering preference result of selected hydrosol base and essential oil (%) 오일oil PAPA THTH RCRC NENE ZEZE MJMJ LALA OROR EUEU 선호도preference 2828 8.58.5 38.538.5 65.565.5 4646 5555 5858 5555 61.561.5

에션셜 오일의 조향 선호도 측정 결과, ④번 하이드로졸 베이스(산초:육두구:질려자 = 2: 1: 1)를 바탕으로 에센셜 오일을 조향한 것 중에서 네롤리(NE)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유칼립투스(EU)로 조향된 방향제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preference for essential oil steering, Neroli (N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among the essential oils based on the hydrosol base ④ (Pancho: Nutmeg: Jilleoja = 2: 1: 1), and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fragrance steered with eucalyptus (EU)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실시예 3: 에센셜 오일 함유량에 따른 방향제 선호도 조사 및 선별Example 3: Investigation and Selection of Fragrance Preference According to Essential Oil Content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결과에 따라 채택된 ④번 하이드로졸 베이스(산초:육두구:질려자 = 2: 1: 1)를 기반으로 네롤리(NE) 에센셜 오일과 유칼립투스(EU) 에센셜 오일로 구성된 방향제를 비롯하여 마조람(MJ), 라벤더(LA), 스윗 오렌지(OR), 페츌리(PA) 에센셜 오일로 조향한 방향제들의 오일 함유량에 따른 선호도 조사를 하여 어느 정도의 함유량이 적당한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Fragrance consisting of neroli (NE) essential oil and eucalyptus (EU) essential oil based on ④ hydrosol base (Pancho: Nutmeg: Jilleoja = 2: 1: 1) adop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ples 1 and 2 above In addition to marjoram (MJ), lavender (LA), sweet orange (OR), and patchouli (PA) essential oils, th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oil content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was appropriate.

구체적으로, 표 4의 ④번 하이드로졸을 베이스로 천연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는 40%의 보드카를 1:1 비율로 넣어 베이스를 만들었다. 이후, 네롤리, 유칼립투스, 마조람, 라벤더, 스윗 오렌지, 페츌리 에센셜 오일을 각각 0.3 mL을 넣은 시료 A와 0.6 mL을 넣은 시료 B로 나누어 관능검사를 진행하여 어느 정도의 함유량이 가장 선호도가 높은지를 확인하였다.Specifically, a base was made by adding 40% vodka, which serves as a natural surfactant, in a 1: 1 ratio to the hydrosol ④ in Table 4 as a base. Then, the sensory test was conducted by dividing sample A containing 0.3 mL of neroli, eucalyptus, marjoram, lavender, sweet orange, and patchouli essential oils into sample B containing 0.6 mL, respectively, to determine which content was most preferred. did

그 결과,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 함유량에 따른 방향제 선호도는 0.3 mL인 시료 A에서는 3번(LA)과 5번(MJ)이 가장 높았지만, 관능검사에 참여한 인원의 대부분이 시료 A는 향이 약하다는 평이 많았다. 이에 반해, 시료 B는 7번(EU)과 10번(NE)이 가장 선호도가 높았고 향의 세기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7 below, the fragranc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oil content was the highest in Sample A with 0.3 mL, No. 3 (LA) and No. 5 (MJ), but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Sample A Many reviews said the scent was weak. On the other hand, in Sample B, No. 7 (EU) and No. 10 (NE) were the most prefer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ngth of the fragrance was the most appropriate.

또한, 하기 표 8에 나타낸 시향 인원의 평처럼 시료 A는 호불호가 뚜렷하지 않고 그 결과가 비슷하게 나왔으나, 시료 B는 향의 호불호 또한 극명하게 나타났다. 시료 B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은 유칼립투스(7번, EU)와 네롤리(10번, N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8 below, the likes and dislikes of sample A were not clear and the results were similar, but the likes and dislikes of sample B were also evid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preferred in sample B were eucalyptus (No. 7, EU) and neroli (No. 10, NE).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5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5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6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6

실시예 4: 에센셜 오일을 블렌딩하여 조향했을 시의 선호도 조사 및 선별Example 4: Investigation and selection of preference when essential oils are blended and steered

상기 실시예 3의 표 8의 결과를 토대로 에센셜 오일은 0.6 mL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선호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에센셜 오일을 블랜딩하여 조향했을 시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Based on the results of Table 8 of Example 3, it was confirmed that adding 0.6 mL of essential oil was the most preferr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investigated the preference when blending and steering essential oils.

구체적으로, 유칼립투스(EU), 네롤리(NE), 마조람(MJ), 스윗 오렌지(OR), 페츌리(PA), 라벤더(LA) 에센셜 오일을 0.6 mL로 맞추어 1:1로 배합한 베이스에 두 가지의 에센셜 오일을 각각 0.6 mL씩 조향하였다. 이후, 하기 표 9의 제조한 15개의 방향제, 즉 조향된 샘플로부터 30 ㎝ 떨어진 곳에서 후각을 통한 향의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향의 선호도 측정은 일반인 총 20명을 대상으로 10평의 폐쇄된 공간에서 수행하였다. Specifically, eucalyptus (EU), neroli (NE), marjoram (MJ), sweet orange (OR), patchouli (PA), and lavender (LA) essential oils were adjusted to 0.6 mL and mixed in a 1:1 ratio. Eggplant essential oil was steered at 0.6 mL each. Thereafter, the preference of the fragrance through the sense of smell was measured at a distance of 30 cm from the 15 fragrances prepared in Table 9, that is, the steered sample.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of preference for fragrance was performed in a closed space of 10 pyeong for a total of 20 people.

그 결과, 하기 표 9의 방향제 중 3번(EU+NE), 5번(MJ+OR), 7번(LA+MJ), 9번(NE+OR) 처방으로 이루어진 방향제가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방향제들은 미미한 반응을 보였다. As a result, among the fragrances in Table 9 below, the fragrance consisting of prescription No. 3 (EU + NE), No. 5 (MJ + OR), No. 7 (LA + MJ), and No. 9 (NE + OR) was the most preferred. and the rest of the fragrances showed a slight reaction.

3번 방향제는 유칼립투스(EU)와 네롤리(NE)를 블랜딩 하였고, 5번 방향제는 마조람(MJ)과 스윗 오렌지(OR)를 블랜딩 하였으며, 7번 방향제는 라벤더(LA)와 마조람(MJ)을 블랜딩 하였고, 9번 방향제는 네롤리(NE)와 스윗 오렌지(OR)를 블랜딩 하였다. Fragrance No. 3 is a blend of Eucalyptus (EU) and Neroli (NE), Fragrance No. 5 is a blend of Marjoram (MJ) and Sweet Orange (OR), and Fragrance No. 7 is a blend of Lavender (LA) and Marjoram (MJ). and fragrance No. 9 was blended with neroli (NE) and sweet orange (OR).

한편, 측정된 결과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btained by converting the measured results to a scale of 100 are shown in Table 10 below.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7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7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8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8

실시예 5: 에센셜 오일 블랜딩 조합에 따른 방향제의 선호도 조사와 선별Example 5: Preference investigation and selection of fragrances according to essential oil blending combinations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중에서 가장 향이 좋은 방향제 3번(EU+NE), 5번(MJ+OR), 7번(LA+MJ), 9번(NE+OR)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하기 위해 일반인 32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향이 섞이지 않기 위해 10평 정도의 방을 4개 준비한 뒤 각각의 방에 들어가 향을 맡아보고 그 중 가장 선호하는 향 한 가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Preference for fragrances No. 3 (EU + NE), No. 5 (MJ + OR), No. 7 (LA + MJ), and No. 9 (NE + OR) among the herbal air fresheners for dogs prepared in Example 4 above. For the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a sensory test was conducted on 32 ordinary people. In order not to mix the scents, after preparing four rooms of about 10 pyeong, I went into each room and smelled the scent, and I was asked to choose the one I prefer the mos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below.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9
Figure 112020122955392-pat00009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표 11에서는 유칼립투스(EU)와 네롤리(NE)를 블랜딩한 3번 방향제가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네롤리(NE)와 스윗 오렌지(OR)를 블랜딩한 방향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in Table 11, fragrance No. 3 blended with eucalyptus (EU) and neroli (NE) was the most preferred, followed by blending neroli (NE) and sweet orange (O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ference for one fragrance was high.

실시예 6: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방향 실험Example 6: Orientation test of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결과를 기반으로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즉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를 2:1:1의 비율로 혼합한 하이드로졸 베이스에 천연 계면활성제를 동일 비율로 혼합하고, 유칼립투스 및 네롤리 에센셜 오일을 블랜딩한 한방 방향제(표 11의 3번 처방)를 최적의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로 최종 결정하였다.Based on the results of Examples 1 to 5, natural surfactants were mixed in the same ratio with a hydrosol base in which herbal fragrances for dogs, that is, Sancho, Nutmeg and Zillaja were mixed in a ratio of 2: 1: 1, and eucalyptus and neroli were mixed. The herbal fragrance blended with essential oils (prescription No. 3 in Table 11) was finally determined as the optimal herbal fragrance for dogs.

최종 결정된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에 대해 20대부터 60대 사이 연령의 집 안에서 반려견과 함께 살고 있는 견주(犬主) 총 53명을 대상으로 15일 동안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A sensory test was conducted for 15 days on a total of 53 dog owners living with their dogs in the house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for the finalized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구체적으로, 상기 표 11의 3번 처방에 따른 방향제를 50 mL 만든 다음 반려견의 악취가 나는 곳 옆 1 m 떨어진 거리에 위치시킨 후, 냄새(향), 상쾌지수, 향기 지속력 및 숙면에의 도움 여부를 조사하였다. 향의 확산정도는 견주가 서 있는 위치에서 직선 거리로 1 m 간격으로 떨어졌을 때의 향을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숫자로 표시하여 하기 표 12 내지 표 18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Specifically, after making 50 mL of the air freshener according to prescription No. 3 in Table 11, place it at a distance of 1 m next to the place where the dog stinks, smell (fragrance), freshness index, fragrance persistence, and whether it helps sleep was investigated. The degree of diffusion of the scen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scent could be recognized when the dog owner fell at 1 m intervals in a straight line from the standing position. The results were expressed in numbers and summarized in Tables 12 to 18 below.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0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0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1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1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2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2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3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3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4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4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5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5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6
Figure 112020122955392-pat00016

구체적으로, 냄새(향)의 기호도는 '쉽게 느낄 수 있는 향'의 항목이 가장 큰 호응(60%)을 받았다(표 12 및 도 1). 또한, 향기 지속력은 '보통 미미함' ~ '보통 좋음'의 항목이 긍정적인 반응(74%)을 보였다(표 13 및 도 2).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smell (incense), the item of 'easily felt scent' received the greatest response (60%) (Table 12 and FIG. 1). In addition, the fragrance durability showed a positive response (74%) in the items of 'normally slight' to 'normally good' (Table 13 and FIG. 2).

상쾌지수는 '약간 상쾌함' ~ '매우 상쾌함'의 항목의 호응이 높은 득표율(83%)을 보였다(표 14 및 도 3). 또한, 향 세기의 확산 정도는 '1 m ~ 3 m'의 항목이 높은 득표율(77%)을 보였다(표 15 및 도 4).The refreshment index showed a high vote rate (83%) in response to the items of 'slightly refreshing' to 'very refreshing' (Table 14 and FIG. 3). In addition, the degree of diffusion of the scent intensity showed a high vote rate (77%) for the items '1 m ~ 3 m' (Table 15 and FIG. 4).

한편, 반려견의 호불호 여부는 '보통'이 총 득표율의 약 반절의 반응(54%)을 보였다(표 16 및 도 5). 또한, 반려견 악취 제거에 도움 여부로는 '보통' ~ '매우 잘됨'의 항목이 가장 긍정적인 반응(79%)을 보였다(표 17 및 도 6).On the other hand, as for the likes and dislikes of companion dogs, 'average' showed about half of the total vote (54%) (Table 16 and FIG. 5). In addition, in terms of whether or not it helps to remove the dog's odor, the items of 'normal' to 'very good' showed the most positive responses (79%) (Table 17 and FIG. 6).

추가로, 구매의사를 조사한 결과 '약간 있음' ~ '반드시 구매'의 항목이 긍정적인 반응(71%)을 보여 제품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18 및 도 7).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as the items of 'somewhat' to 'must buy' showed positive responses (71%) (Table 18 and FIG. 7).

실시예 7: 반려견용 방향제의 항균검사Example 7: Antibacterial test of air freshener for dogs

천연 한약재가 가진 방어기재를 내포하고 있는 하이드로졸의 항균 효과가 실질적으로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에 있어서도 작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항균작용 여부를 조사하였다.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hydrosol containing the defense mechanism of natural herbal medicine actually works in the herbal fragrance for dog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herbal fragrance for dogs was investigated.

구체적으로, 표 11의 3번 처방 시료를 항균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동일 시료인 시료 A 및 B를 각각 마이크로 튜브에 나누어 최소저해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하였다. 본 항균검사에 사용된 슈퍼박테리아(Super bacteria)는 표준균주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70℃에 있는 균주를 취해 고체배지에 도말한 후 배양기에 넣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20~30분간 활성화시켜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액체배지를 100 ㎕ 첨가를 한 후 시료 및 슈퍼박테리아 표준균주를 첨가하였다. 이때, 시료(표 11의 3번 처방 시료) 단위는 최소 10 ㎕로 설정하여 10 ㎕에서 100 ㎕까지 넣었으며, 균주는 탁도 0.5 g을 맞추어 10 ㎕씩 첨가하였다. 36.5℃로 맞춘 배양기에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시약 10 ㎕를 첨가하여 시료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동안 배지의 교체는 없었으며, 총 3회 반복 실험하였다.Specific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antibacterial test results for prescription sample No. 3 in Table 11, samples A and B, which are identical samples, were divided into micro tubes, respectively,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were measured. Super bacteria used in this antibacterial test were tested on standard strains. After taking the strain at -70 ℃ and smearing it on a solid medium, it was put into an incubator and cultured for 24 hours. After 24 hours, it was activated and used for 20 to 30 minutes. After adding 100 μl of liquid medium to a 96-well plate, samples and superbacteria standard strains were added. At this time, the sample (prescription sample No. 3 in Table 11) was set at a minimum of 10 μl and put in from 10 μl to 100 μl, and the strain was added in 10 μl increments according to the turbidity of 0.5 g. After culturing for 24 hours in an incubator set at 36.5° C., 10 μl of MTT reagent was added to confirm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sample. There was no replacement of the medium during the experiment, and the experi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in total.

그 결과, 표 11의 3번 시료에 따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시료 A 및 B는 10 ㎕에서 슈퍼박테리아(Super bacteria) 표준균주를 사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그 효과는 2일부터 보이며 지속력은 약 7일 정도로 뛰어난 항균 효과를 보였다. 한편, 대조군 암피실린(Ampicillin; 31.25 ㎕/㎖) 및 옥사실린(Oxacillin; 500 ㎕/㎖)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시료 A 및 B에서 더 뛰어난 항균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도 9).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herbal fragrance samples A and B for dogs according to sample No. 3 in Table 11 killed the standard super bacteria strain at 10 μl (FIG. 8). The effect was visible from the 2nd day, and the durability was about 7 days, showing an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Ampicillin (31.25 μl/ml) and Oxacillin (500 μl/ml), it was confirmed that Samples A and B showed superior antibacterial effects (FIG. 9).

Claims (11)

산초 하이드로졸 1중량부와 육두구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 및 질려자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진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 보드카 또는 주정의 천연 계면활성제, 및 유칼립투스 오일 및 네롤리 오일로 이루어진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Herbal herbal base in the form of a hydrosol consisting of 1 part by weight of Japanese pepper hydrosol, 0.1 to 3 parts by weight of nutmeg hydrosol, and 0.1 to 3 parts by weight of japonica hydrosol, a natural surfactant of vodka or alcohol, and an essential oil consisting of eucalyptus oil and neroli oil. Herbal air freshener for dogs made of oi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수냉 냉각 순환식 추출기를 이용하여 하이드로졸(hydrosol) 형태로 추출된 것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rbal medicine is extracted in the form of a hydrosol (hydrosol) using a water-cooled cooling circulation type extractor, herbal fragrance for dog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카 또는 주정의 알코올 도수는 40%인 것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The oriental fragr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cohol content of the vodka or alcohol is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는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와 동일 비율로 혼합되는 것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The herbal fragrance for dog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atural surfactant is mixed with the hydrosol type herbal medicine base in the same ratio.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와 천연 계면활성제가 동일 비율로 혼합된 방향제 베이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부 첨가되는 것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The herbal fragrance for dog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ssential oil is added in an amount of 0.5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fragrance base in which a hydrosol type herbal medicine base and a natural surfactant are mixed in equal pro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는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인,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
The herbal fragrance for dog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rbal fragrance for dogs has antibacterial activity.
a) 한약재로서 산초, 육두구 및 질려자 각각의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한 산초 하이드로졸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육두구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 및 질려자 하이드로졸 0.1 내지 3 중량부 첨가하여 하이드로졸 형태의 한약재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한약재 베이스에 천연 계면활성제로서 보드카 또는 주정을 동일 비율로 첨가하여 방향제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조한 방향제 베이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칼립투스 오일 및 네롤리 오일을 블랜딩(blending)한 에센셜 오일을 0.5 내지 1.5 중량부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한방 방향제의 제조방법.
a) obtaining hydrosols of sancho, nutmeg and zillaja as herbal medicines;
b) preparing a hydrosol-type herbal medicine base by adding 0.1 to 3 parts by weight of nutmeg hydrosol and 0.1 to 3 parts by weight of Zillaja hydrosol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Sancho hydrosol obtained above;
c) preparing a fragrance base by adding vodka or alcohol as a natural surfactant to the herbal medicine base in the same ratio; and
d) adding 0.5 to 1.5 parts by weight of essential oil blended with eucalyptus oil and neroli oi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fragrance base.
KR1020200153475A 2020-11-17 2020-11-17 A herbal air freshener for a dog aromatherapy KR1024666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475A KR102466606B1 (en) 2020-11-17 2020-11-17 A herbal air freshener for a dog aromathera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475A KR102466606B1 (en) 2020-11-17 2020-11-17 A herbal air freshener for a dog aromatherap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622A KR20220067622A (en) 2022-05-25
KR102466606B1 true KR102466606B1 (en) 2022-11-15

Family

ID=8180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475A KR102466606B1 (en) 2020-11-17 2020-11-17 A herbal air freshener for a dog aromatherap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60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273Y1 (en) 2005-05-12 2005-08-01 박정모 Steam circulation equipment for herb remedy extraction device
CN111557885A (en) * 2020-06-01 2020-08-21 青岛爱博生物科技有限公司 Sterilization deodorant for pe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581B1 (en) * 1992-03-13 1995-11-13 주식회사태평양 Aromatic for using humidifier
KR101175656B1 (en) 2005-12-07 2012-08-21 (주)경동한방솔루션제약 composition for korean herbal aromatic
KR20080021283A (en) * 2006-09-04 2008-03-07 (주) 피러스 The method of making the phytoncide spray in essential oil or hydrosol by extraction in cone of korean pine
KR101727112B1 (en) * 2014-07-29 2017-04-1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eed additive using oriental herbal medicine residues and methyl sulfonyl methane
KR20160128117A (en) * 2015-04-28 2016-11-07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Diffuser formulation containing natural essential oils and hydrosols of Artemisia
JP7057733B2 (en) * 2018-07-31 2022-04-20 株式会社キーエンス Safety switch with lock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273Y1 (en) 2005-05-12 2005-08-01 박정모 Steam circulation equipment for herb remedy extraction device
CN111557885A (en) * 2020-06-01 2020-08-21 青岛爱博生物科技有限公司 Sterilization deodorant for p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622A (en)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ster Echinacea: nature's immune enhancer
Prusinowska et al.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ects of lavender L). A review
CN106336729A (en) Printing ink
Akharaiyi et al. Antibacterial effect of Terminalia catappa on some selected pathogenic bacteria
Anywar et al. Medicinal plants used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alaria in Cegere Sub-County, Northern Uganda
CN104186576A (en) Rhamnus crenata natural plant mosquito-repellent incense capable of calming mind and nerves and preparation method of rhamnus crenata natural plant mosquito-repellent incense
CN105030016A (en) Chinaberry bark carpet with air purifying function
CN110151828A (en) A kind of delay agent extending male's the same branch of a family time
KR102466606B1 (en) A herbal air freshener for a dog aromatherapy
KR20140042008A (en) A mosquito repellent composition containing citronella oil
McLain Chronic Health Effects Assessment of Spike Lavender Oil
CN110302408A (en) A kind of air freshe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7549203A (en) A kind of Mosquito-repellent incense made of Chinese-medicinal herbs
Vasey Natural antibiotics and antivirals: 18 infection-fighting herbs and essential oils
Goswami et al. Ethnomedicinal wisdom of the Tripura tribe of Comilla district, Bangladesh: a combination of medicinal plant knowledge and folk beliefs.
CN111838211A (en) Mite and odor removing plant extract combined liquid, method and application
CN104921565A (en) Healthcare type carpesium abrolanoides linne carpet
CN104957952A (en) Rhamnus crenata carpet with health care and mosquito repelling effects
Issazadeh et al.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Myrtus communis extract and nystatin on clinical isolated and standard strains of Candida albicans
Taylor Medicinal plants of Nepal: ethnomedicine, pharmacology, and phytochemistry
Amutya et al. Utilization of Aur-Aur Grass as A Natural Hand Sanitizer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Covid-19 Virus
KR102346276B1 (en) Chewing gum having deodoriz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integuiaga et al. Passiflora caerulea L.
CN104970670B (en) A kind of clearing away heart-fire and invigorating brain artemisia annua anion function type carpet
Mohammad et al. Growth inhibi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using products of some probiotic microorganisms and secondary metabolites of Commiphora myrrha extracts estimated by GC-MS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