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587B1 -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forming bidirectional channel - Google Patents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forming bidirectional cha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587B1
KR102466587B1 KR1020220041125A KR20220041125A KR102466587B1 KR 102466587 B1 KR102466587 B1 KR 102466587B1 KR 1020220041125 A KR1020220041125 A KR 1020220041125A KR 20220041125 A KR20220041125 A KR 20220041125A KR 102466587 B1 KR102466587 B1 KR 102466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tor
patient
fac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형준
Original Assignee
(주)코레시옹비탈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레시옹비탈레 filed Critical (주)코레시옹비탈레
Priority to KR102022004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5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5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ur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comprising: a mediating unit that mutually mediates non-face-to-face treatment consultation between a patient and a doctor when the patient's treatment application is input from a patient terminal and the doctor's acceptance of treatment is input from a doctor terminal; a signal unit that selectively send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patient terminal and the doctor terminal so that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s performed; and a channel unit that forms a predetermined channel for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n the patient terminal or the doctor terminal when the predetermined signal is sent, thereby allowing patients to receive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from a doctor without visiting a hospital.

Description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forming bidirectional channel}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forming bidirectional channel}

본 발명은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의사와의 비대면 진료 상담이 가능하도록 환자로 하여금 환자 단말기를 통해 진료를 요청하면, 의사는 의사 단말기를 통해 진료를 수락하여 환자 단말기와 의사 단말기를 상호 커넥팅하는 소정의 채널을 형성하여 환자와 의사의 비대면 진료 상담이 진행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More specifically, if the patient requests medical treatment through the patient terminal so that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with the doctor is possible even if the patient does not visit the hospital, the doctor accepts the medical treatment through the doctor terminal and connects the patient terminal and the doctor terminal mutually. This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system that enables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between a patient and a doctor by forming a predetermined connecting channel.

최근 의협신문 기사(2022년 2월 7일자)에 따르면,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코로나19(COVID-19)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방역당국은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비대면 진료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오미크론 맞춤형 방역·의료체계 개편의 일환으로 기존 재택치료 시 일반관리군에 대한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의 1일 1회 모니터링 체계를 환자 자율 관리 체계로 전환하도록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일반 의료기관 비대면 전화처방·진료를 통한 '동네 병·의원 재택치료 환자 치료·관리 체계 전환'을 시작한다고 밝혔다.According to a recent article in the Medical Association Newspaper (February 7, 2022), as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of COVID-19 (COVID-19) surged due to the epidemic of the highly contagious Omicron mutation, the quarantine authorities are planning to expand non-face-to-face treatment for confirmed cases of Corona 19. stated the policy. As part of the reorganization of Omicron's customized quarantine and medical system, the once-a-day monitoring system of home treatment management medical institutions for the general management group was converted into a patient self-management system.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 Headquarters announced that it would start 'transitioning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 for patients treated at home at local hospitals and clinics' through non-face-to-face telephone prescriptions and treatment at general medical institutions.

정부의 이와 같은 방침에 따라 재택치료를 기반으로 한 비대면 진료 플랫폼 서비스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policy, the scope of non-face-to-face treatment platform services based on home treatment is expanding.

또한, 2021년 12월 22일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원격의료산업협의회가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진료 인식조사’ 를 진행했으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약66%가 비대면 진료에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비대면 진료에 긍정적인 이유는 ‘병원방문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 절약이 가능하다’ 는 점이 82.5%로 가장 많았으며, 비대면 진료 전망에 대해서도 대부분 긍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그중 '천천히 도입 후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답변이 57%를 기록했으며 '빠르게 도입 후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이 26.4%를 보였다.In addition, on December 22, 2021, the Korea Startup Forum Remote Medical Industry Council conducted a 'non-face-to-face treatment awareness survey' for 1,000 people, an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about 66% responded positively to non-face-to-face treatment. As for the positive reason for non-face-to-face treatment, 82.5% said that it is possible to save the cost and time required to visit a hospital, and most of them gave a positive stance on the prospect of non-face-to-face treatment. Among them, 57% answered that 'demand will increase after introduction slowly' and 26.4% said 'demand will increase after introduction quickly'.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공개번호 제10-2022-0004259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 example of prior patent literature related to this, there is “a remote medical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Publication No. 10-2022-000425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의사와 환자 간의 원격 영상 진료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 환자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환자 대화를 획득하는 단계;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 대화를 이용한 인공지능 진료를 수행하는 단계; 및 인공지능 진료에 대한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nitiating a remote image medical service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acquiring a patient conversation by recognizing a voice from the patient; Performing artificial intelligence treatment using patient conversation based on medical information big data;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treatment to the patient.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공개번호 제10-2021-0135398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of patent literature, “remote medical consultation system (Publication No. 10-2021-013539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exists.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모바일 기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에서 센서디바이스를 통해서 전송되는 서비스이용자의 개인 생체정보와 라이프로그를 수집 및 개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며 의료기관 단말을 통해 국내 또는 해외 의료기관이 보유하는 의료진과의 원격 화상 진료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a cloud-based telemedicine mobile platform is built and utiliz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mobile devices, and the personal biometric information and life log of the service user transmitted through the sensor device in the telemedicine mobile platform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cloud-based remote medical consultation system that enables collection and individual monitoring and provides remote video medical treatment and consultation services with medical staff owned by domestic or foreign medical institutions through medical institution terminals.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비대면 진료 시스템 (공개번호 제10-2022-0021265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 example of another patent document, “non-face-to-face treatment system (Publication No. 10-2022-002126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exists.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 영상을 기록한 제1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통신부;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음성 데이터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인식부; 제1 영상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사와 환자 간의 진료 대화 또는 진료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과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지 않는 구간을 판별하는 진료영상 분석부;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지 않는 구간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의 제1 영상 데이터보다 낮은 저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제1 영상 데이터의 대응 구간에 편집 합성함으로서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에 대하여 저장 용량이 감소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료영상 편집부; 및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storing first image data recorded in a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image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in a database; a voice recognition unit that extracts voice data from the first image data, recognizes the voice data, and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text data; Based on the first image data and text data, a medical conversation or medical treatment situation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is analyzed,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section including a conversation or situation having an importan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n the first image data and a section having an importan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 medical image analysis unit that determines a section that does not include a conversation or situation; First image data of a section that does not include a conversation or situation having an importan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higher is generated as image data of a lower resolution than the first image data of a section that includes a conversation or situation that has an importan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higher, and stores the image data; a medical image editing unit generating second image data with reduced storage capacity for non-face-to-face treatment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by editing and synthesizing low-resolution image data with a corresponding section of the first image data; and a database storing the first image data, the second image data, the voice data, and the text data.

공개번호 제10-2022-0004259호Publication No. 10-2022-0004259 공개번호 제10-2021-0135398호Publication No. 10-2021-0135398 공개번호 제10-2022-0021265호Publication No. 10-2022-0021265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환자로 하여금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의사로부터 비대면 진료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First, it allows patients to receive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from a doctor without visiting a hospital.

둘째, 환자의 진료 신청에 따라서 적합한 의사를 매칭하여 의사가 진료를 수락하면 비대면 진료 상담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Second, according to the patient's request for treatment, a suitable doctor is matched so that if the doctor accepts the treatment, non-face-to-face treatment consultation can be conducted.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means for the above problem to be solved.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은 환자 단말기로부터 환자의 진료 신청이 입력되고 의사 단말기로부터 의사의 진료 수락이 입력되면, 상기 환자와 상기 의사의 비대면 진료 상담이 진행되도록 매개하고, 상기 비대면 진료 상담을 상호 중개하는 미디에이팅 유닛(mediating unit); 상기 환자 단말기와 상기 의사 단말기에 소정의 시그널을 선택적으로 발송하여 상기 비대면 진료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그널 유닛(signal unit); 및 상기 시그널 유닛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그널이 발송되면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의사 단말기에 상기 비대면 진료 상담을 위한 소정의 채널이 형성되도록 하는 채널 유닛(channel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non-face-to-face doctor-patient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tient's treatment request is input from the patient terminal and the doctor's acceptance of treatment is input from the doctor terminal, the patient and the doctor are non-face-to-face. a mediating unit for mediating medical consultation to proceed and mutually mediating the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a signal unit for selectively send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patient terminal and the doctor terminal so that the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s performed; and a channel unit configured to establish a predetermined channel for the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consultation in the patient terminal or the doctor terminal when the predetermined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unit.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은,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진료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수집하는 어플라잉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diating unit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from the patient terminal when the medical treatment application is input from the patient termin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llecting appl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은, 상기 환자 단말기로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의사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의사 정보 중 선택된 의사 정보를 수집하고, 선택된 상기 의사 단말기로 상기 어플라잉 정보를 전송하는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diating unit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bi-directional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or more predetermined doctor information to the patient terminal, and provides the one or more predetermined doctor information through the patient terminal.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pplying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configured to collect selected doctor information from among predetermined doctor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applying information to the selected docto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은, 상기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기 어플라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의사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상기 어플라잉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환자 정보 확인부; 및 상기 환자의 상기 어플라잉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의사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진료 수락을 결정하도록 하며, 상기 진료 수락이 입력되는 진료 수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diating unit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bi-directional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applying information of the patient from the apply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so that the doctor can a patient information checking unit configured to check the applying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a treatment accepting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doctor to selectively determine acceptance of treatment based o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input the acceptance of the treatment.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은, 상기 진료 수락부로부터 상기 의사의 상기 진료 수락이 입력되면, 매칭 완료 정보 생성하여 상기 매칭 완료 정보를 상기 시그널 유닛으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매칭 완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diating unit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treatment system through bi-directional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matching completion information when the doctor's acceptance of the treatment is input from the treatment acceptance unit, and the matching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matching completion unit that selectively provides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signal unit.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상기 시그널 유닛은,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매칭 완료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의사 단말기에 소정의 시그널을 선택적으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tching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ediating unit, the signal unit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nds a predetermined message to the patient terminal or the doctor terminal. It can be characterized by selectively sending a signal of.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상기 채널 유닛은,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의사 단말기에 각각 상기 소정의 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소정의 채널의 생성을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채널 생성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hannel unit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predetermined channel when the patient terminal or the doctor terminal receives the predetermined signal, respectivel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hannel creation request unit that selectively requests.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채널은, 상기 소정의 시그널에 대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응답 정보가 반환되면 상기 소정의 채널이 선택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channel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bi-directional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determined response information is returned from the patient terminal or the docto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predetermined signal, the predetermined signal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nels of are selectively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상기 소정의 채널은, 어느 일 단말기를 기준으로 상기 소정의 채널이 생성되며, 타 단말기로 상기 소정의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channel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ted based on one terminal, and other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channel. It can be characterized by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상기 채널 유닛은, 상기 소정의 채널이 생성되면 상기 의사와 상기 환자가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상기 소정의 채널에 상호 커넥팅되어 상기 비대면 진료 상담이 개시되는 채널 커넥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hannel unit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determined channel is created, the doctor and the patient interconnect the predetermined channel at a preset timing.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hannel connecting unit where the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s initiated.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환자의 진료 신청 정보를 의사에게 전달하여 의사로 하여금 진료를 수락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patient's treatment appl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octor so that the doctor can accept the treatment.

둘째, 환자 단말기와 의사 단말기로 소정의 시그널을 동시에 발송하여 소정의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Second, a predetermined signal is simultaneously sent to the patient terminal and the doctor terminal so that a predetermined channel can be formed.

셋째, 환자 단말기와 의사 단말기가 상호 커넥팅되어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소정의 채널에 입장하여 비대면 진료 상담이 가능하게 된다.Third, the patient terminal and the doctor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s possible by entering a predetermined channel at a preset tim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미디에이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어플라잉 정보 획득부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진료 수락부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시그널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시그널 유닛의 하위 개념에 대한 따른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채널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채널 유닛의 블록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ediating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ly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ly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dical treatment acceptance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ignal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ub-concept of a signal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hannel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channel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 want to expla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미디에이팅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어플라잉 정보 획득부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진료 수락부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시그널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시그널 유닛의 하위 개념에 대한 따른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채널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채널 유닛의 블록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ediating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ly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ly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dical treatment acceptance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ignal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ub-concept of a signal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hannel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channel unit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환자 단말기(10)를 통해 진료를 요청하면, 여러 의사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의사가 매칭되며, 매칭된 의사는 의사 단말기(20)를 통해 진료를 수락하여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를 상호 커넥팅하는 소정의 채널을 형성하여 환자와 의사의 비대면 진료 상담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when a patient requests medical treatment through the patient terminal 10, a preset number of doctors Doctors are matched according to criteria, and the matched doctor accepts treatment through the doctor terminal 20 and forms a predetermined channel interconnecting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terminal 20 so that the patient and the doctor do not meet face-to-face. This is to ensure that medical consultations are conducted.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에이팅 유닛(mediating unit, 100), 시그널 유닛(signal unit, 200), 및 채널 유닛(channel unit, 300)을 포함하게 된다.For the technical concept described above,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ncludes a mediating unit (100), a signal unit (signal unit, 200) and a channel unit (channel unit, 300).

먼저 이들 구성요소에서 언급하는 유닛(unit)의 의미는 특정한 제품, 부품, 혹은 기타 유형물의 단위체를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유닛을 형용하는 기술적 사상이 구현되는 기술적 사상의 개념적 단위를 의미하게 된다. First, the meaning of the unit mentioned in these components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product, part, or other tangible unit, but to a conceptual unit of a technical idea in which the technical idea that describes these units is implemented.

따라서, 이들 유닛은 특정한 제품, 부품, 혹은 기타 유형물 그 자체가 아니라 제품, 부품 혹은 기타 유형물 상에서 구현되는 기술적 기능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these units should be understood as concepts of technical functions implemented on products, parts, or other tangible objects, not specific products, parts, or other tangible objects themselves.

또한, 이들 유닛은 인터넷 상의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 단말기(10) 또는 의사 단말기(20)와 상호 연결되며 정보와 시그널 상호 교환하여, 정보 또는 시그널을 송수신하여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를 상호 중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술적 사상의 개념적 단위로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se units are interconnected with the patient terminal 10 or the doctor terminal 20 through a network as a server or cloud server on the Internet and mutually exchange information and signal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or signals to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terminal 20 as a conceptual unit of technical ideas that plays a role of intermediary.

이들 유닛과 환자 단말기(10) 또는 의사 단말기(20)로부터 측정, 입력, 생성된 자료나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처리되어 2차 가공할 수 있으며, 가공된 2차 데이터는 정보로서 정의할 수 있으며, 예컨대, 후술하게 될 어플라잉 정보, 소정의 의사 정보, 매칭 완료 정보, 소정의 시그널 정보, 소정의 채널 정보 등 역시 이러한 개념적 단위로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ata or data measured, input, or generated from these units and the patient terminal 10 or doctor terminal 20 can be processed and secondary process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processed secondary data can be defined as information, For example, applying information, predetermined intention information, matching completion information,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and predetermined channel inform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lso preferably recognized as such conceptual units.

아울러, 도1에서는 미디에이팅 유닛(100)과 채널 유닛(300)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각각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기능적인 구분하여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실제로 미디에이팅 유닛(100)과 채널 유닛(300)은 동일한 물리적인 공간 또는 서버 내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FIG. 1, the mediating unit 100 and the channel unit 300 seem to exist in separate physically separated spaces, but this was written to aid understanding by separating them functionally, and in reality, the mediating unit 100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channel unit 300 and the channel unit 300 are performed within the same physical space or server.

미디에이팅 유닛(100)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단말기(10)로부터 환자의 진료 신청이 입력되고 의사 단말기(20)로부터 의사의 진료 수락이 입력되면 환자와 의사의 비대면 진료 상담이 진행되도록 매개하고, 비대면 진료 상담을 상호 중개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mediating unit 100, as shown in FIG. 1, when the patient's application for treatment is input from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s acceptance of treatment is input from the doctor terminal 20, the patient and the doctor are non-face-to-face. It is a configuration that mediates medical consultation to proceed and mutually mediates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미디에이팅 유닛(100)은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를 매개로 하여 환자와 의사를 상호 연결시켜, 비대면 진료 상담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ediating unit 100 plays a role of enabling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by interconnecting a patient and a doctor via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terminal 20 .

여기서 말하는 환자 단말기(10) 또는 의사 단말기(20)는 모바일 단말기 혹은 스마트폰에 도면부호 10과 20으로 가리키도록 하였으나, 환자 단말기(10) 또는 의사 단말기(20)는 환자 또는 의사가 소지하는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랩톱 PC, 데스크톱 PC, 태블릿PC, 스마트 워치 등의 형태의 단말기로서 정의할 수 있다. The patient terminal 10 or the doctor terminal 20 referred to herein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10 and 20 in the mobile terminal or smart phone, but the patient terminal 10 or the doctor terminal 20 is a terminal owned by the patient or doctor. For example, it can be defined as a terminal in the form of a smart phone, laptop PC, desktop PC, tablet PC, smart watch, and the like.

예컨대, 환자 또는 의사는 자신의 모바일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application) 혹은 PC에 설치된 프로그램 혹은 이들 스마트폰이나 PC에서 접속하는 웹 페이지 상에서 구현되는 기술적 기능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음성 또는 화상 연결을 통해 비대면 진료 상담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 patient or doctor is interconnec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ir mobile smart phone, a program installed on a PC, or a technical function implemented on a web page accessed from these smart phones or PCs, through voice or video connection. You will be able to conduct 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s.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미디에이팅 유닛(10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라잉 정보 획득부(110),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120), 환자 정보 확인부(130), 진료 수락부(140), 및 매칭 완료부(150)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mediating unit 100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apply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the applying It include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20, a pati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30, a medical treatment acceptance unit 140, and a matching completion unit 150.

먼저, 어플라잉 정보 획득부(11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단말기(10)로부터 진료 신청이 입력되면, 환자 단말기(10)로부터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First, in the case of the apply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as shown in FIG. 4, when a medical treatment request is input from the patient terminal 10, it is configured to collect applying information of the patient from the patient terminal 10.

어플라잉 정보 획득부(110)는 환자로부터 진료 신청이 입력될 때 전산적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생성할 수 있다.The apply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may collect and generate information computationally when a medical treatment application is input from a patient.

여기서 말하는 어플라잉 정보는 환자의 진료를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환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환자등록번호, 진료카드번호, 건강보험증 번호, 유전자 정보, 증상 정보, 건강상태 정보, 신체적 특징 정보, 병력 정보, 가족력 정보, 체력 정보, 유전 정보 또는 복용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information referred to here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atient's treatment, and the patient's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contact information, patient registration number, medical card number, health insurance card number, genetic information, symptom information,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medical history It may be defined a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family history information, physical strength information, genetic information, or medication information.

또한, 어플라잉 정보는 외부 서버(의료 기관 서버, 병원 서버,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 등)에 저장된 정보를 불러오거나, 환자 단말기(10) 내부에 내장된 각종 센서를 통해 획득되어 저장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여 어플라잉 정보를 획득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retrieves information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medical institution server, hospital server,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erver, etc.) or selectively obtains and store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various sensors built into the patient terminal 10. It is desirable that the appli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collecting.

예컨대, 환자 단말기(10) 중 환자가 착용한 스마트 워치(애플워치, 갤럭시 워치)에 저장된 과거 또는 현재의 환자의 심박수, 심전도, 산소 포화도, 혈압, 또는 호흡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어플라잉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어플라잉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기기를 도입한 것으로 자세한 기작은 생략하고자 한다.For example, applying at least one information of past or present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oxygen saturation, blood pressure, or respiratory rate data stored in a smart watch (Apple Watch, Galaxy Watch) worn by the patient among the patient terminal 10 information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technology for collecting applying information is to introduce a device that has already been commercialized, and detailed mechanisms will be omitted.

또한, 외부 서버(의료 기관 서버, 병원 서버,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 등)으로부터 환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환자등록번호, 진료카드번호, 건강보험증 번호, 유전자 정보, 증상 정보, 건강상태 정보, 신체적 특징 정보, 병력 정보, 가족력 정보, 체력 정보, 유전 정보 또는 복용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어플라잉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ient's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contact information, patient registration number, medical card number, health insurance card number, genetic information, symptom information, health status information, At least one of phys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medical history information, family history information, physical strength information, genetic information, or medi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as application information.

아울러, 미디에이팅 유닛(100)은 환자와 의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환자의 진료 신청과 증상에 따른 적합한 의사를 매칭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diating unit 100 matches the patient's request for treatment with a suitable doctor according to symptoms in order to interconnect the patient and the doctor.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진료카드번호, 건강보험증 번호, 유전자 정보, 증상 정보, 건강상태 정보, 신체적 특징 정보, 병력 정보, 가족력 정보, 체력 정보, 유전 정보 또는 복용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불특정 다수의 의사 중 해당 기준에 부합되는 의사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불특정 다수의 의사 정보는 외부 서버 예컨대, 병원 서버, 불특정 다수의 의사 정보가 저장된 공공 또는 민간 서버로부터, 비대면 진료 상담이 가능한 의사의 정보 리스트를 사전에 수집할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of medical card number, health insurance card number, genetic information, symptom information, health status information, physic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medical history information, family history information, physical strength information, genetic information, or med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tient's appl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riterion, it is possible to match a doctor who meets the corresponding criterion among an unspecified plurality of doctors.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unspecified doctors may be collected in advance from an external server, for example, a hospital server, or a public or private server in which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unspecified doctors is stored, and a list of doctors capable of providing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예컨대, 환자의 증상 정보가 당뇨일 경우, 소정의 매칭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불특정 다수의 의사 중 진료 분야가 당뇨병이 포함되는 의사 정보만을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atient's symptom information is diabetes, a predetermined matching simulation may be performed to calculate only doctor information whose medical field includes diabetes among a plurality of unspecified doctors.

또 다른 예로서, 소정의 매칭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불특정 다수의 의사 중 진료 과목이 내분비내과, 신장 내과, 또는 소아청소년과 속한 의사 정보를 소정의 의사 정보로서 산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predetermined matching simulation may be performed to calculate doctor information belonging to an endocrinology department, nephrology department, or pediatric department among an unspecified plurality of doctors, as predetermined doctor information.

여기에서 소정의 매칭 시뮬레이션은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의사를 매칭시키고자 한다.Here, the predetermined matching simulation tries to match a doctor suitable for the patient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based on the applying information of the patient.

예컨대, 소정의 매칭 시뮬레이션을 통해 환자의 증상 정보가 당뇨일 경우, 진료분야에 당뇨병이 포함된 의사 정보를 산출할 때, 의사가 위치한 지역, 환자가 위치 지역 정보를 반영하여, 진료분야가 당뇨병인 의사 중에서도 환자로부터 의사까지의 이동 거리, 해당 이동 동선에서의 시간대별로 교통 혼잡도 정보에 따라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환자-의사 사이의 이동 거리가 근접한 순서대로 매칭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차후 대면 진료가 진행되더라도 의사와 환자의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patient's symptom information is diabetes through a predetermined matching simulation, when calculating the doctor information including diabetes in the medical field, the region where the doctor is located and the patient's location information are reflected, so that the medical field is diabetes mellitus. Among doctors, the expected travel tim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ravel distance from the patient to the doctor and the traffic congestion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in the travel line, and the travel distance between the patient and the doctor is matched in order of proximity. Through this, even if face-to-face treatment is carried out in the future, it will facilitate the accessibility of doctors and patients.

또한, 소정의 매칭 시뮬레이션이 진행되는 동안, 특정 질병의 환자가 평소에 선호하는 의사의 성별, 학력, 세부 전공, 경력 정보를 반복적으로 획득하여 특정 질병 환자의 의사 선호도 정보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특정 질병과 동일 유사한 질병의 환자에게 의사 선호도 정보에 따라 최적화된 의사를 추천하여, 의사와 환자가 상호 매칭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ile a predetermined matching simulation is in progress, the gender, education, detailed major, and career information of the doctor usually preferred by the patient with a specific disease are repeatedly obtained to selectively generate doctor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patient with a specific disease, and It recommends an optimized doctor according to doctor preference information to pati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disease, so that doctors and patients are matched.

소정의 매칭 시뮬레이션은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전산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며, 이는 이미 상용화된 기술로서 자세한 기작은 생략하고자 한다.A predetermined matching simulation is performed computationally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as this is a technology that has already been commercialized, a detailed mechanism will be omitted.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12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단말기(10)로 소정의 의사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 단말기(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의사 정보 중 선택된 의사 정보를 수집하고, 선택된 의사 단말기(20)로 어플라잉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apply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20, as shown in FIG. 5, predetermined doctor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atient terminal 10, and selected doctor information among one or more predetermined docto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patient terminal 10. This is a configuration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applying information to the selected doctor terminal 20 .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120)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매칭 시뮬레이션을 통해 매칭된 소정의 의사 정보 중 환자로 하여금 의사를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된 의사에게 진료를 요청하여 어플라잉 정보는 전송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pply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20 allows the patient to select a doctor among predetermined doctor information matched through a predetermined matching simulation, requests treatment to the selected doctor, and transmits the applying information do.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의사 정보는 소정의 매칭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된 의사 정보로서 정의할 수 있다. 미디에이팅 유닛(100)은 환자 단말기(10)로 소정의 의사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로 하여금 의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determined pseudo information here may be defined as pseudo information calculated through a predetermined matching simulation. The mediating unit 100 provides predetermined doctor information to the patient terminal 10 so that the patient can select a doctor.

환자 정보 확인부(130)의 경우,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120)로부터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수신하여 의사로 하여금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pati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30,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20 receive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allows the doctor to check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환자 정보 확인부(130)는 의사 단말기(20)에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가 자동 팝업 되도록 하여, 의사로 하여금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The pati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30 automatically pops up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on the doctor terminal 20 so that the doctor can view it.

또한, 환자 정보 확인부(130)를 통해 의사는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열람한 후, 환자의 증상에 따른 진료 상담을 준비 또는 이전 진료 기록 체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30, the doctor can rea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prepare for medical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symptoms, or check previous medical records.

아울러, 환자 정보 확인부(130)는 미리 결정된 코드를 입력한 의사만이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결정된 코드는 의사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 코드로서, 의사 단말기(20)을 통해 사전에 의사가 미리 지정한 숫자 또는 문자로 이루어진 코드로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의사 단말기(20)의 내부에 지정된 비밀번호, 지문 인식, 얼굴 인식, 생체 인식 정보 등을 의사 본인 인증을 거치면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ti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30 allows only the doctor who inputs a predetermined code to read the patient's applying information. The predetermined code referred to herein is an authentication code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a doctor, and may be defined as a code made up of numbers or letters designated by a doctor in advance through the doctor terminal 20 .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view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through authentication of the doctor himself through password, fingerprint recognition, face recognition, biometric information, etc. designated inside the doctor terminal 20 .

환자 정보 확인부(130)를 통해 의사는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확인한 후, 진료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30, the doctor may check the patient's applying information and then decide whether to accept the treatment.

진료 수락부(140)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토대로 의사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진료 수락을 결정하도록 하며 진료 수락이 입력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medical treatment acceptance unit 140, as shown in FIG. 6, i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octor selectively determines the medical treatment acceptance based on the applying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the medical treatment acceptance is input.

진료 수락부(140)는 의사가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최종적으로 검토한 후, 의사 단말기(20)를 통해 진료 수락을 입력하도록 한다.The treatment acceptance unit 140 allows the doctor to finally review the patient's applying information and then input treatment acceptance through the doctor terminal 20 .

또한, 진료 수락부(140)에서 의사가 환자의 진료를 거절 또는 연기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의사가 대면 진료, 응급 환자, 또는 응급 수술이 갑자기 생길 경우 진료 거절 또는 진료 연기를 요청할 수 있으며, 미디에이팅 유닛(100)은 진료 거절 또는 진료 연기 정보를 환자 단말기(10)로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octor may refuse or postpone the patient's treatment in the treatment acceptance unit 140 . For example, when a face-to-face medical treatment, an emergency patient, or an emergency surgery suddenly occurs, a doctor may request treatment refusal or treatment postponement, and the mediating unit 100 transmits the treatment rejection or treatment postponement information to the patient terminal 10. do.

미디에이팅 유닛(100)은 의사의 진료 수락이 입력되면 매칭 완료부(150)의 구성을 통하여 후속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mediating unit 100 performs subsequent functions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matching completion unit 150 when the doctor's acceptance of treatment is input.

매칭 완료부(150)의 경우, 진료 수락부(140)로부터 의사의 진료 수락이 입력되면 매칭 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매칭 완료 정보를 시그널 유닛(200)으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matching completion unit 150, when the doctor's acceptance of treatment is input from the treatment acceptance unit 140, match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match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provided to the signal unit 200.

매칭 완료 정보에는 진료를 요청한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 진료 시간 정보, 환자 단말기(10) 정보, 의사 정보, 의사 단말기(20) 정보 등이 포함된 정보로서 정의할 수 있다.Matching completion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information including applying information of a patient requesting treatment, treatment time information, patient terminal 10 information, doctor information, doctor terminal 20 information, and the like.

시그널 유닛(20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에 소정의 시그널을 선택적으로 발송하여 비대면 진료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7, the signal unit 200 selectively send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terminal 20 so that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s performed.

시그널 유닛(200)은 미디에이팅 유닛(100)으로부터 수신된 매칭 완료 정보에 따라서 환자 단말기(10) 또는 의사 단말기(20)에 소정의 시그널을 선택적으로 발송하는 구성이다.The signal unit 200 is a component that selectively send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patient terminal 10 or the doctor terminal 20 according to matching comple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diating unit 100 .

소정의 시그널은 환자 단말기(10) 또는 의사 단말기(20)에 제공되는 신호로서, 의사와 환자의 진료가 성사되었음을 알리는 전달 수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ignal is a signal provided to the patient terminal 10 or the doctor terminal 20 and may be defined as a transmission means notifying that the doctor and the patient have completed medical treatment.

예컨대, 환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진료 컨펌 정보가 의사 단말기(20)로 제공되고, 의사로 하여금 진료 수락이 입력되면, 의사와 환자가 매칭되었다는 신호를 의사 단말기(20)와 환자 단말기(10)에 각각 푸시 알림을 보내어, 비대면 진료 상담의 준비 및 시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reatment confirm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patient terminal 10 is provided to the doctor terminal 20 and the doctor accepts the treatment, a signal that the doctor and patient are matched is sent to the doctor terminal 20 and the patient terminal 10. ), respectively, to prepare and start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즉, 시그널 유닛(200)은 소정의 시그널을 발송하여 환자와 의사 간의 비대면 진료 상담을 시작할 수 있도록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에 푸시 알람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signal unit 20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push alarm to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terminal 20 so that a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can be started between the patient and the doctor by sending a predetermined signal.

또한, 시그널 유닛(200)으로부터 소정의 시그널이 발송되어,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가 소정의 시그널을 수신 받으면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로 하여금 소정의 채널 형성을 위하여 스탠바이 상태가 되도록 하며, 스탠바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sent from the signal unit 200 and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terminal 20 receive the predetermined signal,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terminal 20 form a predetermined channel. For this purpose, it is desirable to be in a standby state, and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시그널 유닛(200)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 정렬부(210), 시그널 필터 생성부(220), 시그널 인입부(230), 및 시그널 전송부(240)을 포함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signal unit 200 includes a signal alignment unit 210, a signal filter generation unit 220, a signal input unit 230,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240.

먼저, 시그널 정렬부(210)의 경우, 소정의 시그널을 1과 0의 바이너리 시퀀스(binary sequence)의 형태로 일렬로 정렬하도록 한다.First, in the case of the signal alignment unit 210, predetermined signals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form of a binary sequence of 1 and 0.

시그널 정렬부(210)에서 바이너리 시퀀스 형태의 소정의 시그널은 복제되어, 제1소정의 시그널 정보(#1)와 제2소정의 시그널 정보(#2)로서 두 개의 소정의 시그널이 존재하게 된다.In the signal arranging unit 210, a predetermined signal in the form of a binary sequence is duplicated, so that two predetermined signals exist as first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1) and second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2).

시그널 필터 생성부(220)는 제1소정의 시그널 정보(#1)와 제2소정의 시그널 정보(#2)가 입력되면 소정의 규칙으로 필터링하는 변환하는 구성이다.The signal filter generating unit 220 is a component that filters and transforms signa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when first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1) and second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2) are input.

시그널 필터 생성부(220)의 소정의 규칙에는 and 조건, or 조건 등의 규칙이 존재하며, 소정의 규칙을 통해서 제1소정의 시그널 정보(#1)와 제2소정의 시그널 정보(#2)를 필터링하여 변환할 수 있게 된다.Predefined rules of the signal filter generation unit 220 include rules such as and conditions and or conditions, and through the predefined rules, first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1) and second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2) can be converted by filtering.

시그널 인입부(230)의 경우, 시그널 정렬부(210)에서 정렬된 제1소정의 시그널 정보(#1)는 머리(head)부터 binary by binary 로 시그널 필터 생성부(220)에 인입되도록 한다. 제2소정의 시그널 정보(#2)는 꼬리(tail)부터 binary by binary 로 시그널 필터 생성부(220)에 인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case of the signal input unit 230, the first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1) aligned in the signal alignment unit 210 is input into the signal filter generator 220 binary by binary from the head. The second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2) performs a function of inputting the signal filter generation unit 220 in a binary-by-binary fashion from the tail.

시그널 전송부(240)의 경우, 시그널 필터 생성부(220)로부터 필터링 되어 변환된 소정의 시그널을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40, a predetermined signal filtered and converted by the signal filter generation unit 220 is transmitted to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terminal 20.

이때, 시그널 전송부(240)는 송신단이 되고,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는 수신단이 되며, 시그널 필터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소정의 규칙에 대한 정보는 송신단과 수신단만이 공유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40 becomes a transmitting end,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terminal 20 become receiving ends, and the information on the predetermined rule generated by the signal filter generator 220 is transmitted only to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let's share this

예컨대, 수신단이 되는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가 소정의 규칙에 대한 정보를 모를 경우, 변환된 소정의 시그널 정보는 본래의 소정의 시그널로서 복원할 수 없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terminal 20 serving as receiving ends do not know information about the predetermined rule, the converted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cannot be restored as an original predetermined signal.

즉, 송신단과 수신단은 소정의 규칙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송신단과 수신단이 합의 하에 미리 획득하여야 하며, 소정의 규칙은 송신단과 수신단만이 공유하여, 매칭되지 않은 환자와 의사가 연결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와 의사의 소정의 정보가 외부로부터 유출되거나 해킹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must obtain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rule in advance under the agreement of the send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and the predetermined rule is shared only by the send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so that the unmatched patient and doctor are connected in advance. I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predetermined information of the doctor from being leaked or hacked from the outside.

아울러, 의사 단말기(20)와 환자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소정의 시그널에 의사와 환자가 응답 정보를 반환하여, 의사와 환자의 응답에 따라서 소정의 채널이 형성되어, 비대면 진료 상담이 실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octor and the patient return response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signal provided to the doctor terminal 20 and the patient terminal 10, and a predetermined channel is formed according to the doctor and patient's response, so that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s executed. Let it be.

채널 유닛(300)의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 유닛(200)으로부터 소정의 시그널이 발송되면 환자 단말기(10) 또는 의사 단말기(20)에 비대면 진료 상담을 위한 소정의 채널이 형성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channel unit 300, as shown in FIG. 9,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sent from the signal unit 200, a predetermined channel for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s provided to the patient terminal 10 or the doctor terminal 20. composition that is formed.

채널 유닛(300)은 환자 단말기(10) 또는 의사 단말기(20)를 통해 소정의 채널이 생성되도록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hannel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requesting a predetermined channel to be created through the patient terminal 10 or the doctor terminal 20 .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채널은 의사와 환자가 비대면 진료 상담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신에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비대면 진료 상담을 위한 통신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개념적인 단위를 의미하게 된다.The predetermined channel referred to herein may be defined as a communication using a specific frequency band for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That is, it means a conceptual unit of space in which communication for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takes place.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채널 유닛(300)의 경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생성 요청부(310), 및 채널 커넥팅부(320)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hannel unit 300 of the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channel creation request unit 310 and the channel connecting unit ( 320) will be included.

채널 생성 요청부(310)는 환자 단말기(10) 또는 상기 의사 단말기(20)에 소정의 시그널이 수신되면, 소정의 채널의 생성을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구성이다.The channel creation request unit 310 is a component that selectively requests creation of a predetermined channel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atient terminal 10 or the doctor terminal 20 .

이때, 소정의 시그널을 수신 받은 환자 단말기(10) 또는 의사 단말기(20)로부터 소정의 응답 정보가 반환되면 소정의 채널이 생성되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predetermined response information is returned from the patient terminal 10 or doctor terminal 20 that has received the predetermined signal, a predetermined channel is created.

또한, 어느 일 단말기를 기준으로 소정의 채널을 생성되고, 타 단말기로 소정의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동시에 소정의 채널에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channel is created based on one terminal, and information on the predetermined channel is provided to other terminals so that they can simultaneously enter the predetermined channel.

예컨대, 소정의 시그널이 발송되면 의사 단말기(20)가 주체가 되어 소정의 채널을 생성하면, 생성된 소정의 채널 정보를 환자 단말기(10)로 제공하고, 의사와 환자는 각각 의사 단말기(20)와 환자 단말기(10)를 통해 소정의 채널에 입장하여 비대면 진료 상담이 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환자 단말기(10)가 채널 생성의 주체가 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sent, the doctor terminal 20 becomes a subject and creates a predetermined channel, and the generated predetermined channel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and the patient are connected to the doctor terminal 20, respectively. and the patient terminal 10 to enter a predetermined channel so that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can be started. Similarly, the patient terminal 10 may be a subject of channel generation.

환자와 의사는 의사 단말기(20)와 환자 단말기(10)를 통해 소정의 채널을 생성하고 동시에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The patient and the doctor can create a predetermined channel through the doctor terminal 20 and the patient terminal 10 and enter at the same time.

소정의 시그널이 발송된 후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응답 정보가 반환되면 소정의 채널을 생성하게 되므로, 의사와 환자가 비대면 진료 상담이 준비된 상태에서 즉시 소정의 채널을 생성하게 되어, 소정의 채널을 점유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When response information is returned from each terminal after a predetermined signal is sent, a predetermined channel is created, so a predetermined channel is immediately cr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doctor and patient are ready for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and the predetermined channel is occupied.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time it takes.

예컨대, 의사와 환자가 매칭된 상태에서 곧 바로 의사 단말기(20)에서 소정의 채널을 형성하여 환자 단말기(10)를 향해 소정의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경우, 환자 단말기(10)에 연결 준비가 안되어 있거나, 다른 연결이 되어 있으면 즉시 비대면 진료 상담을 진행할 수 없게 되며, 의사는 환자 단말기(10)가 연결될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이 생겨, 의사의 다음 진료 상담이 딜레이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For example, when a doctor terminal 20 forms a predetermined channel in a state in which a doctor and a patient are matched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channel to the patient terminal 10, preparation for connection to the patient terminal 10 is provided. If there is no or other connection,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cannot be performed immediately, and the doctor has a problem in that the next medical consultation of the doctor is delayed due to the waiting time until the patient terminal 10 is connected.

따라서, 의사 단말기(20)와 환자 단말기(10)로부터 소정의 시그널에 대한 응답 반환 후 소정의 채널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위와 같은 기존의 선행문헌들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Accordingly, a predetermined channel can be created after returning a response to a predetermined signal from the doctor's terminal 20 and the patient terminal 10, thereby having a func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literature.

채널 커넥팅부(320)의 경우, 소정의 채널이 생성되면 의사와 환자가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소정의 채널에 상호 커넥팅 되어 비대면 진료 상담이 개시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channel connecting unit 320, when a predetermined channel is created, a doctor and a patient are mutually 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channel at a preset timing, and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s initiated.

채널 커넥팅부(320) 소정의 채널이 생성되면 의사와 환자가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소정의 채널에 입장하여 비대면 진료 상담이 진행되도록 한다.When a predetermined channel is created in the channel connecting unit 320, the doctor and the patient enter the predetermined channel at a preset timing so that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s conducted.

여기서 말하는 미리 설정된 타이밍은 소정의 채널이 생성된 후 5초 이내의 시간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t timing referred to here is preferably defined as a time within 5 seconds after a predetermined channel is created.

또한, 소정의 채널이 생성되어 소정의 채널이 입장하는 동안 각각의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 각각에 송수신되거나 요청되는 통신, 문자, 전화, 알림, 어플 등을 선택적 제한 또는 차단하여 비대면 진료 상담이 지연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while a predetermined channel is created and entered, communication, text, phone call, notification, application, etc. transmitted/received to or requested from each patient terminal 10 and doctor terminal 20 are selectively restricted or blocked. Prevent delays in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s in advance.

예컨대, 소정의 시그널이 발송되고 소정의 채널이 형성되는 동안 환자 단말기(10)와 의사 단말기(20) 각각에 내장된 차단 모드 또는 방해 금지 모드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상호 커넥팅 되는데 방해되는 요소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ile a predetermined signal is sent and a predetermined channel is formed, the cut-off mode or do-not-disturb mode function built into each of the patient terminal 10 and the doctor terminal 20 is automatically executed to prevent elements that interfere with interconnection.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block in advance.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parentheses used in the claims are not written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components, and descriptions in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components. It should be.

100: 미디에이팅 유닛
110: 어플라잉 정보 획득부
120: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
130: 환자 정보 확인부
140: 진료 수락부
150: 매칭 완료부
200: 시그널 유닛
300: 채널 유닛
300: 채널 유닛
310: 채널 생성 요청부
320: 채널 커넥팅부
100: mediating unit
110: apply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0: apply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pati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40: treatment acceptance unit
150: matching completion unit
200: signal unit
300: channel unit
300: channel unit
310: channel creation request unit
320: channel connecting unit

Claims (10)

환자 단말기로부터 환자의 진료 신청이 입력되고 의사 단말기로부터 의사의 진료 수락이 입력되면, 상기 환자와 상기 의사의 비대면 진료 상담이 진행되도록 매개하고, 상기 비대면 진료 상담을 상호 중개하는 미디에이팅 유닛(mediating unit);
상기 환자 단말기와 상기 의사 단말기에 소정의 시그널을 선택적으로 발송하여 상기 비대면 진료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그널 유닛(signal unit); 및
상기 시그널 유닛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그널이 발송되면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의사 단말기에 상기 비대면 진료 상담을 위한 소정의 채널이 형성되도록 하는 채널 유닛(channel unit)을 포함하되,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은,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진료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의 어플라잉 정보를 수집하는 어플라잉 정보 획득부;
상기 환자 단말기로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의사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의사 정보 중 선택된 의사 정보를 수집하고, 선택된 상기 의사 단말기로 상기 어플라잉 정보를 전송하는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
상기 어플라잉 정보 전송부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기 어플라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의사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상기 어플라잉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환자 정보 확인부;
상기 환자의 상기 어플라잉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의사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진료 수락을 결정하도록 하며, 상기 진료 수락이 입력되는 진료 수락부; 및
상기 진료 수락부로부터 상기 의사의 상기 진료 수락이 입력되면, 매칭 완료 정보 생성하여 상기 매칭 완료 정보를 상기 시그널 유닛으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매칭 완료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 유닛은,
상기 미디에이팅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매칭 완료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의사 단말기에 소정의 시그널을 선택적으로 발송하며,
상기 소정의 시그널을 바이너리 시퀀스의 형태로 일렬로 정렬하고 복제하여 제1소정의 시그널 정보와 제2소정의 시그널 정보를 생성하는 시그널 정렬부;
상기 제1소정의 시그널 정보와 상기 제2소정의 시그널 정보를 소정의 규칙으로 필터링하여 변환시키는 시그널 필터 생성부;
상기 제1소정의 시그널 정보는 머리(head)부터, 상기 제2소정의 시그널 정보는 꼬리(tail)부터 상기 시그널 필터 생성부로 인입시키는 시그널 인입부; 및
상기 시그널 필터 생성부로부터 필터링되어 변환된 소정의 시그널을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의사 단말기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시그널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유닛은,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의사 단말기에 각각 상기 소정의 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소정의 채널의 생성을 선택적으로 요청하는 채널 생성 요청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채널은,
상기 소정의 시그널에 대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응답 정보가 반환되면 상기 소정의 채널이 선택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A mediating unit that mediates non-face-to-face treatment counseling between the patient and the doctor and mutually mediates the non-face-to-face treatment counseling when the patient's treatment application is input from the patient terminal and the doctor's acceptance of treatment is input from the doctor terminal (mediating unit);
a signal unit for selectively send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patient terminal and the doctor terminal so that the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is performed; and
A channel unit configured to form a predetermined channel for the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consultation in the patient terminal or the doctor terminal when the predetermined signal is sent from the signal unit,
The mediating unit,
an applying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collects applying information of the patient from the patient terminal when the medical treatment request is input from the patient terminal;
Applying information transmission that provides one or more predetermined doctor information to the patient terminal, collects selected doctor information among the one or more predetermined doctor information through the patient terminal, and transmits the applying information to the selected doctor terminal wealth;
a patient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that receives the applying information of the patient from the apply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and allows the doctor to check the applying information of the patient;
a treatment accepting unit for allowing the doctor to selectively determine acceptance of treatment based o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inputting the acceptance of treatment; and
a matching completion unit generating matching completion information and selectively providing the match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signal unit when the doctor's acceptance of the treatment is input from the treatment acceptance unit;
The signal unit,
selectively send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patient terminal or the doctor terminal according to the matching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ediating unit;
a signal sorting unit for generating first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and second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by arranging and copying the predetermined signals in a row in the form of a binary sequence;
a signal filter generator for filtering and converting the first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a signal inlet unit for introducing the first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from a head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signal information from a tail into the signal filter generation unit;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ignal filtered and converted by the signal filter generation unit to the patient terminal or the doctor terminal;
The channel unit,
and a channel creation requesting unit selectively requesting generation of the predetermined channel when the predetermined signal is received by the patient terminal or the doctor terminal, respectively;
The predetermined cha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channel is selectively generated when predetermined response information is returned from the patient terminal or the docto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predetermined signal, doctor-patient non-face-to-face treatment through interactive channel establishment and interconnection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채널은,
어느 일 단말기를 기준으로 상기 소정의 채널이 생성되며, 타 단말기로 상기 소정의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channel,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interactive channel opening and inter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channel is created based on one terminal and information on the predetermined channel is provided to anoth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유닛은,
상기 소정의 채널이 생성되면 상기 의사와 상기 환자가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상기 소정의 채널에 상호 커넥팅되어 상기 비대면 진료 상담이 개시되는 채널 커넥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nnel unit,
When the predetermined channel is created, the doctor and the patient are inter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channel at a preset tim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hannel connecting unit in which the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starts, A doctor-patient non-face-to-face medical treatment system through
KR1020220041125A 2022-04-01 2022-04-01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forming bidirectional channel KR1024665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125A KR102466587B1 (en) 2022-04-01 2022-04-01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forming bidirectional cha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125A KR102466587B1 (en) 2022-04-01 2022-04-01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forming bidirectional chan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587B1 true KR102466587B1 (en) 2022-11-14

Family

ID=8404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125A KR102466587B1 (en) 2022-04-01 2022-04-01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forming bidirectional cha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58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398A (en) 2020-05-05 2021-11-15 이동섭 Remote medical examination system
KR20220004259A (en) 2020-07-03 2022-01-11 주식회사 아이앤지솔루션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edical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JP2022018178A (en) * 2020-07-15 2022-01-27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ノート Matching system between doctor and user
KR20220021265A (en) 2020-08-13 2022-02-22 하이케어넷 주식회사 Telemedicine system
JP2022033384A (en) * 2020-08-17 2022-03-02 株式会社E-Bondホールディングス Online medical examination system, online reservation method for the same, patient side terminal program, doctor side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398A (en) 2020-05-05 2021-11-15 이동섭 Remote medical examination system
KR20220004259A (en) 2020-07-03 2022-01-11 주식회사 아이앤지솔루션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edical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JP2022018178A (en) * 2020-07-15 2022-01-27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ノート Matching system between doctor and user
KR20220021265A (en) 2020-08-13 2022-02-22 하이케어넷 주식회사 Telemedicine system
JP2022033384A (en) * 2020-08-17 2022-03-02 株式会社E-Bondホールディングス Online medical examination system, online reservation method for the same, patient side terminal program, doctor side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2-018178호(2022.01.27.)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2-033384호(2022.03.02.)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0239B2 (en) Computer-assisted patient navigation and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WO2020037454A1 (en) Smart auxiliary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8326649B2 (en) System for providing expert care to outpatients from a remote location
US9005119B2 (en) Computerized medical diagnostic and treatment advice system including network access
AU753087B2 (en) Computerized medical diagnostic and treatment advice system including network access
US10354051B2 (en) Computer assisted patient navigation and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802153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providing subscriber medical information to medical units
CN105844175A (en) Diagnosis and treatment medical record storing and call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cloud service side
CN111476940B (en) Triage referral method and system based on self-service inquiry terminal
KR102479692B1 (en) Big data and cloud system based AI(artificial intelligence) emergency medical care decision-making and emergency patient transfer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9185534A (en)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ggregation system
KR20010096000A (en) System and method for possessing medical information in common
KR20170022007A (e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ement health information
KR102429182B1 (en)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by selectively matching doctors based on symptom information of patients
KR102466587B1 (en)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forming bidirectional channel
JP2019207522A (en) Data structure for prescription audit processing terminal
KR102451457B1 (en) Payment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selectively matching doctors and patients
KR102110388B1 (en) Method for operating connected personal health record service based on regional block chain
JP7128984B2 (en)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KR100474797B1 (en) A cyber hospital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29183B1 (en)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selectively accepting of treatment by the doctor
KR102429181B1 (en) System of non-faced-to-face treatment through selectively forming channel
CN113113101A (en)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or discharged patient
WO20231811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KR102144540B1 (en) Method for operating connected personal health record service based on block chain for emerg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