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883B1 -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883B1
KR102465883B1 KR1020200014809A KR20200014809A KR102465883B1 KR 102465883 B1 KR102465883 B1 KR 102465883B1 KR 1020200014809 A KR1020200014809 A KR 1020200014809A KR 20200014809 A KR20200014809 A KR 20200014809A KR 102465883 B1 KR102465883 B1 KR 10246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longitudinal direction
flow path
connector
sectio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885A (ko
Inventor
박성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8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일단에 제1유체의 유입을 위한 제1유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상기 제1유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1유체가 토출되는 제1유체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유체 유입구와 상기 제1유체 토출구 사이에 제1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제1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제1유체 유동관; 길이 방향 일단에 상기 제1유체 토출구와 연통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와 연통하여 분사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를 거쳐 상기 분사구에 이르는 제1유체를 무화시켜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제1유체 유동관의 내측에 설치되되, 초음파를 가해 제1유체의 무화를 촉진하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fluid spray apparatus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진압을 위한 유체 분사 과정에서 유체의 분사 입경을 줄이고, 유체의 분사 각도를 넓힘으로써 유체의 전달 범위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거 시설 및 산업 시설 등지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막대한 인적 피해 및 물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다수의 관계인이 화재 예방 및 화재 진압을 위하여 주의를 기울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예방 및 화재 진압을 위한 각종의 소방 시설이 운용되고 있다.
한편, 건축물 내에 마련되는 소방 시설 중의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8935호(2016. 09. 22. 공고)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소방용 스프링클러'가 있다.
소방용 스프링클러는 건축물의 내부, 예컨대 건축물의 천장 및 벽면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재 감지에 따라 소화수(消火水)를 자동으로 분사하므로 화재의 초기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소방용 스프링클러는 소화수의 분사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소방용 스프링클러는 소화수의 분사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클 뿐만 아니라 소화수의 분사 각도가 비교적 좁았던바, 소화수의 전달 범위가 그다지 넓지 않았으므로 화재 진압 범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스프링클러의 설치 간격을 좁힘으로써 일부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강당, 돔 및 공항과 같은 대규모 건축물에서 스프링클러의 설치 간격을 좁히게 되면 스프링클러의 설치 개수가 월등히 증가하게 되므로 비용상의 부담이 상당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화재 진압을 위한 유체 분사 과정에서 유체의 분사 입경을 줄이고, 유체의 분사 각도를 넓힘으로써 유체의 전달 범위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8935호(2016. 09. 2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화재 진압을 위한 유체 분사 과정에서 유체의 분사 입경을 줄이고, 유체의 분사 각도를 넓힘으로써 유체의 전달 범위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일단에 제1유체의 유입을 위한 제1유체 유입구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상기 제1유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1유체가 토출되는 제1유체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유체 유입구와 상기 제1유체 토출구 사이에 제1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제1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제1유체 유동관; 길이 방향 일단에 상기 제1유체 토출구와 연통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와 연통하여 분사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를 거쳐 상기 분사구에 이르는 제1유체를 무화시켜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제1유체 유동관의 내측에 설치되되, 초음파를 가해 제1유체의 무화를 촉진하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는, 제1유체 유동관의 제1유체 유로가 센터 유로 및 선회 유로를 포함하는바, 센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제1유체 중의 일부가 선회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제1유체 유입구 측으로 향함에 따라 제1유체 유입구와 제1유체 유출구 사이에서의 제1유체 유동 정체가 해소되므로 제1유체 유동관에서의 제1유체 유동이 원활해질 수 있어 제1유체의 분사 각도가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는바, 초음파 발생기에 의해 제1유체 유로 내의 제1유체에 초음파가 가해짐에 따라 제1유체가 미립화되므로 제1유체의 분사 입경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는 제2유체 유동관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제2유체 유동관을 통해 제2유체가 유동함에 따라 제1유체와 함께 제2유체가 분사될 수 있으므로 이종 유체의 동시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에서의 유체 유동 및 분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에서의 유체 유동 방향 및 분사 방향 전환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가 제2유체 유동관을 더 포함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에서 초음파 발생기로부터 발생하는 초음파의 주파수에 따른 유체의 평균 입경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A)는, 제1유체 유동관(10); 분사 노즐(20); 및 초음파 발생기(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유체 유동관(10)은 길이 방향 일단에 제1유체의 유입을 위한 제1유체 유입구(1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제1유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제1유체가 토출되는 제1유체 토출구(12)가 형성되며, 제1유체 유입구(11)와 제1유체 토출구(12) 사이에 제1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제1유체 유로(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유체 유동관(10)에 의해 제1유체가 분사 노즐(20) 측으로 유동한다.
이때, 제1유체 유입구(11)는 사전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된 제1유체가 수용된 제1유체 챔버(14)에 연결됨으로써 제1유체 챔버(14)로부터 공급되는 제1유체가 제1유체 유입구(11)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1유체 토출구(12)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분사 노즐(20)의 연결구(21)에 연결됨으로써 제1유체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제1유체가 연결구(21)를 거쳐 아래에서 설명하는 분사 노즐(20)의 분사구(22)를 통해 분사된다.
그리고 제1유체 유로(13)는, 제1유체 유입구(11)로부터 제1유체 토출구(12)를 향해 곧게 이어지되, 내측에 초음파 발생기(30)가 설치되는 센터 유로(13a); 및 센터 유로(13a)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형성되되,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선회 유로(13b);를 포함함으로써 센터 유로(13a)를 따라 유동하는 제1유체 중의 일부가 선회 유로(13b)를 따라 유동함으로써 센터 유로(13a) 내에서의 제1유체 유동 정체가 해소된다.
여기서, 제1유체 유입구(11)의 단면적은 제1유체의 유입이 시작되는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일단의 단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됨으로써 센터 유로(13a) 내부로의 제1유체 유입이 원활하다.
그리고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일단의 단면적은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중간의 단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됨으로써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중간으로의 제1유체 유동이 원활하다.
그리고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중간의 단면적은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의 단면적에 비해 작거나 같게 형성됨으로써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중간으로부터 길이 방향 다른 일단으로의 제1유체 유동이 원활하다.
그리고 센터 유로(13a)는 제1유체 유입구(11)에 인접하는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제1유체 토출구(12)에 인접하는 길이 방향 다른 일단으로 향하며 점차로 폭이 커짐으로써 센터 유로(13a) 내에서의 제1유체 유동이 원활하다.
한편, 제1유체는 소화수 및 소화가스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소화수 분사 또는 소화가스 분사에 의해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사 노즐(20)은, 길이 방향 일단에 상기 제1유체 토출구(12)와 연통하는 연결구(21)가 형성되고, 연결구(21)와 연통하여 분사구(22)가 형성되며, 연결구(21)를 거쳐 분사구(22)에 이르는 제1유체를 무화(atomization)시켜 분사한다.
이때, 분사구(22)의 단면적은 연결구(21)의 단면적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분사구(22)를 통한 제1유체의 분사가 원활하다.
본 발명의 초음파 발생기(30)는, 제1유체 유동관(10)의 내측, 더욱 구체적으로 센터 유로(13a)의 내측에 설치되되, 초음파를 가해 제1유체를 무화(atomization)를 촉진한다.
이때, 초음파 발생기(30)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초음파 발생기(30)로부터 발생하는 초음파의 주파수는 20kHz를 초과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기(30)로부터 발생하는 20kHz를 초과하는 주파수의 초음파에 의해 제1유체의 무화가 촉진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일 단에 제2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체 유입구(4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제2유체 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된 제2유체가 토출되는 제2유체 토출구(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유체 유입구(41)와 상기 제2유체 토출구(42) 사이에 제2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유체 유로(43)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체 토출구(42)는 상기 연결구(21)와 연통하는 제2유체 유동관(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유체 유동관(40)에 의해 제2유체가 분사 노즐(20) 측으로 유동한다.
이때, 제2유체 유입구(41)는 사전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된 제2유체가 수용된 제2유체 챔버(44)에 연결됨으로써 제2유체 챔버(44)로부터 공급되는 제2유체가 제2유체 유입구(41)로 유입된다.
여기서, 제2유체 유로(43)는 복수로 분기되며, 제2유체 토출구(42)는 복수로 분기된 제2유체 유로(43) 각각의 길이 방향 말단에 형성된다.
한편, 제2유체는 소화수 및 소화가스 중의 하나이되, 제1유체와는 다른 종류임으로써 분사 노즐(20)을 통해 이종의 유체가 동시에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A)를 통한 유체 분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A)는 제1유체로서 소화수, 예컨대 수돗물을 분사할 수 있다.
즉, 수돗물이 수용된 제1유체 챔버(14)를 제1유체 유입구(11)에 연결함으로써 제1유체 유동관(10)을 따라 수돗물이 유동하게 되므로 분사 노즐(20)을 통해 수돗물이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돗물을 화재 발생처에 분사함으로써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A)는 제1유체로서 소화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소화가스가 수용된 제1유체 챔버(14)를 제1유체 유입구(11)에 연결함으로써 제1유체 유동관(10)을 따라 소화가스가 유동하게 되므로 분사 노즐(20)을 통해 소화가스가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소화가스를 화재 발생처에 분사함으로써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유체 유동관(10)에서의 제1유체 유동이 정체되면 분사 노즐(20)을 통한 제1유체의 분사가 미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1유체 유동관(10)의 제1유체 유로(13)는, 제1유체 유입구(11)로부터 제1유체 토출구(12)를 향해 곧게 이어지게 형성되는 센터 유로(13a); 및 센터 유로(13a)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형성되되,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선회 유로(13b);를 포함하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유로(13a)를 따라 유동하는 제1유체 중의 일부가 선회 유로(13b)를 따라 유동함으로써 센터 유로(13a) 내에서의 제1유체 유동 정체가 해소되므로 분사 노즐(20)을 통한 제1유체의 분사가 원활, 더욱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체의 유동 방향 전환이 빨라질 뿐만 아니라 유동 폭이 넓어짐에 따라 제1유체의 분사 각도가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유체의 분사 각도가 넓어짐에 의해 제1유체의 전달 범위가 확장되므로 소화수 분사 또는 소화가스 분사에 의한 화재 진압이 원활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센터 유로(13a)의 내측에는 초음파 발생기(30)가 설치되는바, 센터 유로(13a) 내에서 유동하는 제1유체에 초음파 발생기(30)로부터 발생하는 초음파가 가해짐에 따라 제1유체의 무화가 촉진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체가 미립화되므로 제1유체의 분사 입경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유체의 분사 입경이 줄어듬에 의해 제1유체의 전달 범위가 확장되므로 소화수 또는 소화가스 분사에 의한 화재 진압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A)는 이종 유체의 동시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일 단에 제2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체 유입구(4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제2유체 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된 제2유체가 토출되는 제2유체 토출구(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유체 유입구(41)와 상기 제2유체 토출구(42) 사이에 제2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유체 유로(43)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체 토출구(42)는 상기 연결구(21)와 연통하는 제2유체 유동관(4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제2유체 유동관(40)에 의해 제2유체가 분사 노즐(20) 측으로 유동하여 분사되므로 제1유체와 제2유체의 동시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종 유체를 동시에 분사, 예컨대 제1유체로서 소화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제2유체로서 소화가스를 분사함으로써 화재 진압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이때, 제1유체 유동관(10)에 연결되는 제1유체 챔버(14) 및 제2유체 유동관(40)에 연결되는 제2유체 챔버(44) 중 어느 하나의 개방을 제한하게 되면 분사 노즐(20)을 통해서는 한 종류의 유체만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A)는 건축물, 더욱 구체적으로 강당, 돔 및 공항 등의 대규모 건축물의 천장 및 벽면에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 개 전체가 동일 종류의 제1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예컨대, 강당에 화재 발생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A) 복수 개 전체가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A)는 건축물, 더욱 구체적으로 강당, 돔 및 공항 등의 대규모 건축물의 천장 및 벽면에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 개 중의 일부와 다른 일부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예컨대, 강당에 화재 발생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A) 복수 개 중의 일부가 소화수를 분사하고, 복수 개 중의 다른 일부가 소화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제1유체 유동관 11 : 제1유체 유입구
12 : 제1유체 토출구 13 : 제1유체 유로
13a : 센터 유로 13b : 선회 유로
14 : 제1유체 챔버 20 : 분사 노즐
21 : 연결구 22 : 분사구
30 : 초음파 발생기 40 : 제2유체 유동관
41 : 제2유체 유입구 42 : 제2유체 토출구
43 : 제2유체 유로 44 : 제2유체 챔버
A : 유체 분사 장치

Claims (7)

  1. 길이 방향 일단에 제1유체의 유입을 위한 제1유체 유입구(1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상기 제1유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제1유체가 토출되는 제1유체 토출구(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유체 유입구(11)와 상기 제1유체 토출구(12) 사이에 제1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제1유체 유로(13)가 형성되는 제1유체 유동관(10);
    길이 방향 일단에 상기 제1유체 토출구(12)와 연통하는 연결구(2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1)와 연통하여 분사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21)를 거쳐 상기 분사구(22)에 이르는 제1유체를 무화시켜 분사하는 분사 노즐(20); 및
    상기 제1유체 유동관(10)의 내측에 설치되되, 초음파를 가해 제1유체의 무화를 촉진하는 초음파 발생기(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체 유로(13)는, 상기 제1유체 유입구(11)로부터 상기 제1유체 토출구(12)를 향해 곧게 이어지되, 내측에 상기 초음파 발생기(30)가 설치되는 센터 유로(13a); 상기 센터 유로(13a)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형성되되,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선회 유로(13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체 유입구(11)의 단면적은 제1유체의 유입이 시작되는 상기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일단의 단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일단의 단면적은 상기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중간의 단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중간의 단면적은 상기 센터 유로(13a)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의 단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센터 유로(13a)는 상기 제1유체 유입구(11)에 인접하는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유체 토출구(12)에 인접하는 길이 방향 다른 일단으로 향하며 점차로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유체 유입구(11)는 사전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된 제1유체가 수용된 제1유체 챔버(14)와 연결되고, 상기 제1유체 토출구(12)는 상기 분사 노즐(20)의 상기 연결구(21)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구(22)의 단면적은 상기 연결구(21)의 단면적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초음파 발생기(30)는 상기 센터 유로(13a)의 내측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가해 제1유체의 무화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 일 단에 제2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체 유입구(4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상기 제2유체 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된 제2유체가 토출되는 제2유체 토출구(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유체 유입구(41)와 상기 제2유체 토출구(42) 사이에 제2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유체 유로(43)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체 토출구(42)는 상기 연결구(21)와 연통하는 제2유체 유동관(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
KR1020200014809A 2020-02-07 2020-02-07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 KR10246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809A KR102465883B1 (ko) 2020-02-07 2020-02-07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809A KR102465883B1 (ko) 2020-02-07 2020-02-07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85A KR20210100885A (ko) 2021-08-18
KR102465883B1 true KR102465883B1 (ko) 2022-11-10

Family

ID=7746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809A KR102465883B1 (ko) 2020-02-07 2020-02-07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8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2434A (ja) * 2001-09-19 2005-01-27 シー.アディガ カイヤーニ 超微細な大きさの液滴を持つ水蒸気を利用する消火
KR200382701Y1 (ko) * 2005-01-28 2005-04-22 이원일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762B1 (ko) * 2000-03-29 2002-02-07 이을우 물안개분사 소화용 노즐
JP6656735B2 (ja) * 2014-12-25 2020-03-04 日本ビニロン株式会社 ウォッシャーノズル
KR101658935B1 (ko) 2016-05-30 2016-09-22 현대공영(주)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2434A (ja) * 2001-09-19 2005-01-27 シー.アディガ カイヤーニ 超微細な大きさの液滴を持つ水蒸気を利用する消火
KR200382701Y1 (ko) * 2005-01-28 2005-04-22 이원일 내부혼합형 2유체 분무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85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1447B2 (ja) 媒体を噴霧する方法及び噴霧ノズル
US4801090A (en) Discharge pipe and discharge apparatus using the same
RU2370294C2 (ru) Головка, производящая водяной туман
CN101357255B (zh) 渐开线弧形喷口消防灭火喷洒头
NZ593346A (en) Fire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oam
EP1501638A4 (en) ASSEMBLY OF VAPORIZATION AND AIR ATOMIZATION ASSEMBLY IN INNER MIXTURE
KR20070103795A (ko)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US10675642B2 (en) Low pressure watermist nozzle manifold
KR102466642B1 (ko) 충돌형 미세분무 소방 관창
RU2456042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KR102465883B1 (ko) 소방용 유체 분사 장치
RU2297865C1 (ru) Ороситель
KR100820724B1 (ko) 복합식 소화시스템
CN103100170A (zh) 水雾喷头
KR101881533B1 (ko)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KR101353445B1 (ko)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KR101899380B1 (ko)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KR20210116013A (ko) 유체 진동 분사를 이용한 소화기
WO2005102536A1 (en) Liquid atomizer
RU2648188C1 (ru) Мелкодисперс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RU2576228C1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вихревым аппаратом формирования газожидкостной смеси
RU2273527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US11691041B1 (en) Compressed air foam mixing device
WO2002000302A3 (en) Upright fire protection nozzle
CN219149107U (zh) 一种扩散式直喷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