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562B1 -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562B1
KR102465562B1 KR1020220087276A KR20220087276A KR102465562B1 KR 102465562 B1 KR102465562 B1 KR 102465562B1 KR 1020220087276 A KR1020220087276 A KR 1020220087276A KR 20220087276 A KR20220087276 A KR 20220087276A KR 102465562 B1 KR102465562 B1 KR 10246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condenser
outdoor
fa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택
Original Assignee
오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택 filed Critical 오성택
Priority to KR102022008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의 비산이 응축기측으로 집중될 수 있게 하고, 응축수를 냉각시켜 보다 저온의 응축수 비산이 이루어지게 하며, 응축수의 비산량을 증대시켜 저온의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고, 응축수의 냉각과 함께 방열에 의해 겨울철에는 온풍에 의한 난방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격판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증발기와 응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격판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실내기팬 및 실외기팬이 각각 증발기 및 응축기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팬은 각각의 프로펠러 외측을 일체로 형성하는 슬링거링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 각각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응축수받이, 및 실외측 응축수받이와; 상기 실내측 응축수받이와 실외측 응축수받이의 사이를 연결하는 응축수 실외기 공급관과; 상기 실외측 응축수받이 내부의 응축수를 일측에서 냉각시킴과 동시에 타측으로 방열작용하고, 냉각된 응축수를 분쇄 및 미세 입자화하여 비산시키는 응축기 냉각부와; 상기 응축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된 응축수를 압축기에서 응축기 측으로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시켜 예냉하는 응축기 예냉부와; 상기 응축기 냉각부를 통해 방열된 열로 가열된 공기를 본체 케이스의 외부로 온풍으로 배출시키는 온풍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Package airconditioner with cool and heating function}
본 발명은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팬의 슬링거링 회전에 의한 응축수의 비산이 응축기측으로 집중될 수 있게 하고, 응축수를 냉각시켜 보다 저온의 응축수 비산이 이루어지게 하며, 응축수의 비산량을 증대시켜 저온의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고, 응축수의 냉각과 함께 방열에 의해 겨울철에는 온풍에 의한 난방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 이하, 에어컨이라 함)는 내부에 냉동사이클장치가 장착되어 냉동사이클장치를 구성하는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냉기 및 열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쾌적한 상태 로 유지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에어컨(air-conditioner)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별도로 분리되는 분리형 룸 에어컨 및 용량이 대형인 패지키 에어컨과,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창문형 에어컨으로 구분되어 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39768호(2004.05.12.공개)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장치"는 일반적인 일체형 에어컨의 일 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0) 내부를 격판(101)에 의하여 실내기측(110)과 실외기측(120)으로 단열 및 분할 구획된다.
상기 실외기측(120)은 기상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21)와, 그 압축기(121)에서 토출 된 기상의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122)와, 격판(101)에 설치되는 모터(123)에 의하여 응축기(122)를 냉각시키는 실외기팬(1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측(110)은 상기 응축기(122)에서 응축된 액상의 냉매를 모세관(미도시)을 거처 팽창된 냉매를 기화시켜 주위의 열을 흡수하도록 하는 증발기(111)와, 그 증발기(111)에 실내의 공기를 불어주도록 상기 모터에 연동되는 실내기팬(112)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팬(123)은 공기가 뒤에서 앞으로 축선을 따라 이동하는 축류팬이 사용되며, 상기 축류팬은 상기 증발기(111)에서 발생되어 유입된 바닥면의 응축수(130)와 접한 후 원심력에 의하여 비산시키기 위한 프로펠러(124a)들의 외주면을 잇는 슬링거링(124b)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창문형 에어컨의 압축기(121)가 냉매가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122)에서 실외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 냉매액이 모세관을 통해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액이 증발기(111)에서 실내기와 열교환하도록 가동한다.
또한, 상기 모터(123)가 회전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는 실내기팬(112)에 의하여 증발기(111) 외표면에 접하여 열교환하는 실내기가 노점온도까지 냉각되어 공기중의 수중기가 응축된 응축수(130)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응축수(130)가 케이스 바닥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실외기측 바닥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실외기측(120) 바닥면으로 흘러든 응축수(130)가 상기 모터(123)에 의하여 연동하는 실외기팬(124)의 프로펠러(124a) 외주면을 잇도록 형성된 슬링거링(124b)에 접하여 튀겨진 후, 실외기팬(124)에 의하여 토출하는 공기에 의해 응축기(122) 외표면에 비산되어 냉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체형 에어컨은 실외기팬의 회전에 의한 슬링거링의 비산으로만 응축기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원심력에 의해 응축수가 실외기팬의 중심측으로 집중되지 못하고 실외기팬의 외측으로 손실되는 양이 많아 응축기에 대한 냉각 및 응축효율이 떨어짐으로써 에어컨의 전체적인 효율성 및 성능 저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겨울철 난방을 위해서는 별도의 난방장치를 구입 및 설치함에 따른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 및 불편성과 경제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39768호(2004.05.12.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실외기팬의 슬링거링 회전에 의한 응축수의 비산이 응축기측으로 집중될 수 있게 하고, 응축수를 냉각시켜 보다 저온의 응축수 비산이 이루어지게 하며, 응축수의 비산량을 증대시켜 저온의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고, 응축수의 냉각과 함께 방열에 의해 겨울철에는 온풍에 의한 난방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의 한 형태는, 격판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증발기와 응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 격판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실내기팬 및 실외기팬이 각각 증발기 및 응축기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팬은 각각의 프로펠러 외측을 일체로 형성하는 슬링거링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 각각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응축수받이, 및 실외측 응축수받이와; 상기 실내측 응축수받이와 실외측 응축수받이의 사이를 연결하는 응축수 실외기 공급관과; 상기 실외측 응축수받이 내부의 응축수를 일측에서 냉각시킴과 동시에 타측으로 방열작용하고, 냉각된 응축수를 분쇄 및 미세 입자화하여 비산시키는 응축기 냉각부와; 상기 응축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된 응축수를 압축기에서 응축기 측으로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시켜 예냉하는 응축기 예냉부와; 상기 응축기 냉각부를 통해 방열된 열로 가열된 공기를 본체 케이스의 외부로 온풍으로 배출시키는 온풍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외기팬의 슬링거링 회전에 의한 응축수의 비산이 응축기측으로 집중될 수 있게 하고, 응축수를 냉각시켜 보다 저온의 응축수 비산이 이루어지게 하며, 응축수의 비산량을 증대시켜 저온의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고, 응축수의 냉각과 함께 방열에 의해 겨울철에는 온풍에 의한 난방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컨의 전체적인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별도의 난방장치가 불필요해 별도로 구입 및 설치함에 따른 경제성 및 편의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인 일체형 에어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평단면도.
도 2는 측단면도.
도 3은 실외기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실외기팬 관련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실외기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응축기 예냉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펠티어 소자 관련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의 온풍 작동 상태를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격판(101)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 본체 케이스(100)의 내부에 각각 증발기(111)와 응축기(122)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111)의 사이에 격판(101)에 설치된 모터(123)에 의해 회전하는 실내기팬(112) 및 실외기팬(124)이 각각 증발기(111) 및 응축기(122)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11)와 응축기(122)의 하부측에 각각 실내측 응축수받이(1)와 실외측 응축수받이(2)가 설치되고, 실내측 응축수받이(1) 및 실외측 응축수받이(2)는 본체 케이스(100)의 바닥판(102) 상에 고정된다. 이때 실내기팬(112)은 각각의 프로펠러(124a)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슬링거링(124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링거링(124b)의 하부는 실외측 응축수받이(2)의 응축수(130)에 일부가 잠겨 실내기팬(112)의 회전시 응축수(130)를 비산시키게 되며, 비산된 응축수(130)는 실내기팬(112)의 송풍력에 의해 응축기(122)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응축기(122)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통상, 응축기(122)의 표면은 고온(예; 75∼90℃)을 유지하는 것으로, 비산되는 저온의 응축수가 응축기(122)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응축기(122)의 표면온도를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되는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응축기(122)에 흐르는 냉매는 응축기(122)의 표면에 대한 열교환작용으로부터 냉각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열 흡수를 통해 온도 상승이 이루어진 고온의 응축수는 실내기팬(112)의 회전력에 의해 수증기 형태로 외부로 배출 처리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응축기(122)에 대한 냉각 집중을 위해 실외측 응축수받이(2)의 밑면에 펠티어소자(31)가 설치되고, 실외측 응축수받이(2)의 내측에 진동자(32)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실내기팬(112)과 함께 응축기 냉각부(3)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펠티어소자(31)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 1 접촉금속판을 통하여 N형 반도체소자로 전달되고, 연결금속판과 P형 반도체소자를 통하여 제 2 접촉금속판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접촉금속판에서는 방열현상이 발생하고, 연결금속판에서 흡열현상이 발생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원리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흡열작용을 하는 펠티어소자(31)의 일측면을 실외측 응축수받이(2)의 밑면에 설치하여 실외측 응축수받이(2) 내부의 응축수를 냉각하도록 구성되고, 진동자(32)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진동자(32)가 급속하게 떨리면서 상기 진동자(32)의 표면에 초음파를 발생하고, 그 초음파에 의해 응축수가 분쇄되어 미세한 물방울 입자로 변하며, 이렇게 상변화된 응축수는 실외기팬(124)에 의해 응축기(122)로 비산된다. 이때, 비산된 물방울 입자는 상기 응축기(122) 내부의 냉매로부터 고온의 열을 빼앗아 자신은 수증기로 변하면서 냉매를 응축시키고, 응축기(122)를 통과한 수증기는 실외로 토출된다. 따라서 응축기 배출호스없이 응축수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외기팬(124)에 의한 비산과 함께 응축기(122)에 냉각 집중이 이루어져 응축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실외기팬 관련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실외기팬의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외기팬(124)의 일측에 팬가이드(33)가 설치된다. 통상 팬가이드는 실외기팬(124)의 형태를 따라 곡면으로 형성된 금속판을 실외기팬(124)의 케이스 전면에 용접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은 팬가이드(33)를 사출물로 형성하여 볼트에 의한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와 함께 팬가이드(33)의 내측을 따라 상승한 응축수의 비산이 실외기팬(124)의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팬가이드(33)는 실외기팬(124)의 형태를 따라 실외기팬(124)의 상부까지 연장 형성된 내측곡면부(33b)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로 된 가이드몸체(33a)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몸체(33a)는 볼트의 체결에 의해 실외기팬(124)의 케이스(미도시됨) 전면부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내측곡면부(33b)의 상단부에 급격히 실외기팬(124) 측으로 각이 틀어진 내각부(33c)를 갖고, 측면부에 공간부(36)가 형성되며, 공간부(36)의 안쪽 내측곡면부(33b)에는 공기 유동을 감안하여 복수개의 통기공(33d)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실외기팬(124)의 회전에 의해서 응축수는 팬가이드(33)의 내측곡면부(33b)를 따라 실외기팬(124)의 상부측으로 이동하고, 실외기팬(124)의 상측으로 이동한 응축수는 내측곡면부(33b)의 상단부에 형성된 내각부(33c)에 의해 실외기팬(124)의 안쪽으로 급격히 각을 틀어 비산됨으로써 응축수의 비산량 증대에 따른 응축기의 응축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용접없이 볼트 체결에 의한 단순 조립 작업으로 제조에 따른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이때 실외기팬(124)에 대한 공기 유동은 가이드몸체(33a)의 내측곡면부(33b)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통기공(33d)에 의해 큰 저항을 받지 않는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34는, 비산망으로 슬링거링(124b)에 망을 씌워 고정함에 따라 실외기팬(124)의 회전시 슬링거링(124b)에 보다 많은 응축수가 부착된 상태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슬링거링(124b)에 의한 비산량을 증대시켰다.
도 6은 본 발명의 응축기 예냉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펠티어소자(31)에 의해 저온으로 더 냉각된 응축수를 이용해 응축기의 응축 효율 보다 상승시키기 위해 압축기(121)에서 응축기(122) 측으로 흐르는 냉매를 열교환을 통해 미리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기 예냉부(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응축기 예냉부(4)는 압축기(121)와 응축기(122) 사이의 냉매공급관(126) 외측에 구비되어 냉매공급관(126) 내부의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을 이루는 냉매열교환부재(42)와, 실외측 응축수받이(2)와 냉매열교환부재(42)의 사이를 연결하는 응축수 공급관(43)과, 상기 냉매열교환부재(42)와 실외측 응축수받이(2)의 사이에 연결되는 응축수 회수관(44)과, 상기 응축수 공급관(43) 상에 설치되는 응축수 공급펌프(45)로 구성된다. 이때 냉매열교환부재(42)는 냉매공급관(126)의 외측에 코일 형태로 감싸는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접촉에 의해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응축수 실외기 공급관(41)을 통해 실내측 응축수받이(1)의 응축수(130)가 실외측 응축수받이(2)에 보내지고, 실외측 응축수받이(2)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는 응축수 공급펌프(45)에 의해 응축수 공급관(43)을 통해 냉매열교환부재(42)로 보내져 압축기(121)에서 응축기(122) 측으로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이루어 흡열함으로써 예냉작용이 이루어지고, 냉매와 열교환을 이룬 응축수는 응축수 회수관(44)을 통해 실외측 응축수받이(2)로 다시 회수되어 펠티어소자(31)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냉.온풍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서, 여름철 냉풍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 응축수받이(2)에 부착되어 흡열작용을 하는 면의 반대쪽 펠티어소자(31)의 타측면에 단열재(35)가 부착되어 방열을 차단하고, 겨울철 온풍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 응축수받이(2)와 펠티어소자(31)의 흡열면 사이에 단열재(35)가 부착되어 실외측 응축수받이(2)에 대한 냉각작용을 차단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겨울철에 에어컨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풍에 의한 난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펠티어소자(31)에 의해 히트싱크(51)로부터 방열이 이루어지고, 방열에 의해 가온된 공기는 온풍공급로(52) 상에 설치된 급기팬(53)에 의해 급기구(52a)를 통해 온풍을 배출시킴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미설명 부호 54는 급기가이드로서 히트싱크(51)의 방열에 의해 가온된 공기보다 보다 원활하게 급기구(52a) 측으로 유도 및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은 실외기팬의 슬링거링 회전에 의한 응축수의 비산이 응축기측으로 집중될 수 있게 하고, 응축수를 냉각시켜 보다 저온의 응축수 비산이 이루어지게 하며, 응축수의 비산량을 증대시켜 저온의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고, 응축수의 냉각과 함께 방열에 의해 겨울철에는 온풍에 의한 난방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컨의 전체적인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별도의 난방장치가 불필요해 별도로 구입 및 설치함에 따른 경제성 및 편의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에어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실내측 응축수받이 2: 실외측 응축수받이
3: 응축기 냉각부
31: 펠티어소자 32: 진동자
33: 팬가이드 33a: 가이드몸체
33b: 내측곡면부 33c: 내각부
33d: 통기공 34: 비산망
35: 단열재
4: 응축기 예냉부
41: 응축수 실외기 공급관 42: 냉매열교환부재
43: 응축수 공급관 44: 응축수 회수관
45: 응축수 공급펌프
5: 온풍공급부
51: 히트싱크 52: 온풍공급로
52a: 급기구 53: 급기팬
54: 급기가이드

Claims (5)

  1. 격판(101)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 본체 케이스(100)의 내부에 각각 증발기(111)와 응축기(122)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111)와 응축기(122)의 사이에 격판(101)에 설치된 모터(123)에 의해 회전하는 실내기팬(112) 및 실외기팬(124)이 각각 증발기(111) 및 응축기(122)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팬(112)은 각각의 프로펠러(124a) 외측을 일체로 형성하는 슬링거링(124b)을 포함하는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11) 및 응축기(122) 각각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응축수받이(1), 및 실외측 응축수받이(2)와;
    상기 실내측 응축수받이(1)와 실외측 응축수받이(2)의 사이를 연결하는 응축수 실외기 공급관(41)과;
    상기 실외측 응축수받이(2) 내부의 응축수를 일측에서 냉각시킴과 동시에 타측으로 방열작용하고, 냉각된 응축수를 분쇄 및 미세 입자화하여 비산시키는 응축기 냉각부(3)와;
    상기 응축기 냉각부(3)에 의해 냉각된 응축수를 압축기(121)에서 응축기(122) 측으로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시켜 예냉하는 응축기 예냉부(4)와;
    상기 응축기 냉각부(3)를 통해 방열된 열로 가열된 공기를 본체 케이스(100)의 외부로 온풍으로 배출시키는 온풍공급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냉각부(3)는 전원의 인가로 실외측 응축수받이(2)의 밑면에 일측면이 부착되어 흡열작용을 하고 타측면을 방열작용을 하는 펠티어소자(31)와;
    상기 실외측 응축수받이(2)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초음파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32)와;
    상기 실외기팬(124)의 전면 일측에 볼트 체결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링거링(124b)의 회전에 의해 실외기팬(124)의 상부측까지 응축수가 이동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실외기팬(124)의 상부측에 실외기팬(124)의 중심측으로 응축수가 비산될 수 있게 유도 및 안내하는 팬가이드(33)와;
    상기 실외기팬(124)의 슬링거링(124b) 외부에 씌워져 고정되는 비산망(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가이드(33)는 실외기팬(124)의 형태를 따라 실외기팬(124)의 상부까지 연장 형성된 내측곡면부(33b)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로 된 가이드몸체(33a)와;
    상기 가이드몸체(33a)의 내측곡면부(33b)의 상단부에 급격히 실외기팬(124) 측으로 각이 틀어진 내각부(33c), 및 측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36)와;
    상기 공간부(36)의 안쪽 내측곡면부(33b)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통기공(33d);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예냉부(4)는 압축기(121)와 응축기(122) 사이의 냉매공급관(126) 외측에 구비되어 냉매공급관(126) 내부의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을 이루는 냉매열교환부재(42)와;
    상기 실외측 응축수받이(2)와 냉매열교환부재(42)의 사이를 연결하는 응축수 공급관(43)과;
    상기 냉매열교환부재(42)와 실외측 응축수받이(2)의 사이에 연결되는 응축수 회수관(44)과;
    상기 응축수 공급관(43) 상에 설치되는 응축수 공급펌프(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공급부(5)는 펠티어소자(31)의 방열면에 설치되는 히트싱크(51)와;
    상기 히트싱크(51)를 포함하고, 급기구(52a)가 증발기(11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온풍공급로(52)와;
    상기 온풍공급로(52) 상에 설치되는 급기팬(53)과;
    상기 히트싱크(51)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히트싱크(51)와 열교환을 이룬 온기를 상기 급기구(52a) 측으로 안내 및 유도하는 급기가이드(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KR1020220087276A 2022-07-15 2022-07-15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KR102465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276A KR102465562B1 (ko) 2022-07-15 2022-07-15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276A KR102465562B1 (ko) 2022-07-15 2022-07-15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562B1 true KR102465562B1 (ko) 2022-11-11

Family

ID=8404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276A KR102465562B1 (ko) 2022-07-15 2022-07-15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5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009U (ko)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공기조화기의 실외열교환기 응축장치
JP2002372259A (ja) * 2001-06-14 2002-12-26 Mitsubishi Heavy Ind Ltd 一体型空気調和機のドレン処理装置およびそのドレン処理装置を備えた一体型空気調和機
KR20040039768A (ko) 2002-11-04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 장치
KR20050039032A (ko) * 2003-10-23 2005-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비산 장치
KR20060065033A (ko) * 2004-12-09 2006-06-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응축효율이 향상된 공기조화장치
KR101621469B1 (ko) * 2014-11-20 2016-05-16 (주)에스와이시스템 응축수 비산식 일체형 에어컨
KR20170082821A (ko) * 2016-01-07 2017-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009U (ko)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공기조화기의 실외열교환기 응축장치
JP2002372259A (ja) * 2001-06-14 2002-12-26 Mitsubishi Heavy Ind Ltd 一体型空気調和機のドレン処理装置およびそのドレン処理装置を備えた一体型空気調和機
KR20040039768A (ko) 2002-11-04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 장치
KR20050039032A (ko) * 2003-10-23 2005-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비산 장치
KR20060065033A (ko) * 2004-12-09 2006-06-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응축효율이 향상된 공기조화장치
KR101621469B1 (ko) * 2014-11-20 2016-05-16 (주)에스와이시스템 응축수 비산식 일체형 에어컨
KR20170082821A (ko) * 2016-01-07 2017-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4182B2 (en) Control box,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KR100442237B1 (ko) 열전냉방기
US6718793B2 (en) Refrigerator incorporating condenser functioning as backcover
KR102033933B1 (ko) 냉장고
JP2009079778A (ja) 冷蔵庫
KR102465562B1 (ko) 냉.온풍 기능을 갖는 일체형 에어컨
US5778973A (en) Cooling apparatus having a spirally wound conductive pipe
KR100315774B1 (ko) 창문형슬림에어컨
WO2023213317A1 (zh) 冷藏冷冻装置
KR200153996Y1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장치
CN111396997A (zh) 空调室外机
JPH0996468A (ja) 冷却装置
RU2196275C2 (ru) Кондиционер (варианты)
KR100436935B1 (ko) 과냉각응축기 일체형 증발기
KR20000044074A (ko) 열전 반도체를 이용한 에어컨
KR20000044075A (ko) 열전 반도체를 이용한 에어컨
KR200313220Y1 (ko) 에어컨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 냉각장치
KR20000044071A (ko) 열전 반도체를 이용한 에어컨
RU2270403C1 (ru) Кондиционер
KR102172969B1 (ko) 응축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0285314Y1 (ko) 에어컨 장치
KR20000032669A (ko) 열전 소자의 냉각 효율을 증진시키는 냉각관과 이 냉각관을 이용한 냉방장치
KR200366368Y1 (ko) 수냉식 이동형 에어콘
JPH09292188A (ja) 熱交換器
KR0122712Y1 (ko) 보조방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