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43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435B1
KR102465435B1 KR1020170183048A KR20170183048A KR102465435B1 KR 102465435 B1 KR102465435 B1 KR 102465435B1 KR 1020170183048 A KR1020170183048 A KR 1020170183048A KR 20170183048 A KR20170183048 A KR 20170183048A KR 102465435 B1 KR102465435 B1 KR 102465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disposed
display area
insulating layer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005A (ko
Inventor
공수철
정성우
김훈
채경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435B1/ko
Priority to US16/226,384 priority patent/US10978671B2/en
Priority to CN201811609714.7A priority patent/CN109979972A/zh
Publication of KR2019008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005A/ko
Priority to US17/216,437 priority patent/US1195698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01L51/5237
    • H01L27/3211
    • H01L27/3258
    • H01L27/3262
    • H01L51/526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 상기 비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 개의 댐 부재들, 및 상기 댐 부재들 및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열들로 배열된 복수 개의 홀들이 정의된 더미 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들 중 h 번째 열에 배치된 홀들은 h+1 번째 열에 배치된 홀들과 엇갈리게 배치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댐 부재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들 중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광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부를 요구하지 않고 우수한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을 갖는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응답 속도가 빠르고 소비 전력이 낮은 장점을 갖는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시, 기판 상에 발광 소자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화소들이 형성된 후, 화소들을 덮도록 기판 상에 박막 봉지층이 제공된다. 박막 봉지층은 무기 절연층 및 유기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절연층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 상에 유동성을 갖는 유기 물질이 제공되고, 유기 물질이 경화되어 유기 절연층이 형성된다. 기판 상에 유기 물질이 제공될 때 유기 물질이 과도하게 도포될 경우, 유기 물질이 기판을 넘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댐 부재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 상기 비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 개의 댐 부재들, 및 상기 댐 부재들 및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열들로 배열된 복수 개의 홀들이 정의된 더미 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들 중 h 번째 열에 배치된 홀들은 h+1 번째 열에 배치된 홀들과 엇갈리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 상기 비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 개의 댐 부재들, 및 상기 댐 부재들 및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더미 댐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댐 부재들 각각은,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측벽부 및 상기 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 개의 댐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댐 부재들 각각은,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측벽부 및 상기 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테두리에 배치된 복수 개의 댐 부재들 및 복수 개의 홀들이 정의된 더미 댐 부재를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의 제2 박막층을 형성하기 위한 유기 물질이 기판 상에 도포될 때,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이 홀들 및 댐 부재들 사이의 홈에 수용되므로,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이 기판을 넘치지 않고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의 평면도로서, 더미 댐 부재의 소정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더미 댐 부재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들의 평면도로서, 더미 댐 부재들 각각의 소정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더미 댐 부재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1 및 제2 댐 부재들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및 제2 댐 부재들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주사 구동부(120)(scan driver), 데이터 구동부(130)(data driver), 발광 구동부(140)(emission driver), 복수 개의 댐 부재들(DM1,DM2), 및 더미 댐 부재(DDM)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들이 표시 패널(110)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가요성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은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 및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전자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제1 방향(DR1)으로 단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장변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평면을 갖고, 표시 패널(110)의 평면 영역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복수 개의 주사 라인들(SL1~SLm),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복수 개의 발광 라인들(EL1~ELm)을 포함한다. m 및 n은 자연수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는 하나의 화소(PX)가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복수 개의 화소들(PX)이 표시 패널(110)에 배치된다. 화소들(PX)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표시 영역(DA)에 배치되고, 주사 라인들(SL1~SLm),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발광 라인들(EL1~ELm)에 연결된다.
주사 구동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및 발광 구동부(140)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다. 주사 구동부(120)는 표시 패널(110)의 장변들 중 어느 한 장변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110)의 일측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구동부(140)는 표시 패널(110)의 일측의 반대측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110)의 타측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제작되어 표시 패널(110)의 단변들 중 어느 한 단변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주사 구동부(120)에 연결되고, 주사 구동부(120)로부터 주사 신호들을 수신한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데이터 구동부(130)에 연결되고, 데이터 구동부(130)로부터 데이터 전압들을 수신한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발광 구동부(140)에 연결되고, 발광 구동부(140)로부터 발광 신호들을 수신한다.
주사 구동부(120)는 복수 개의 주사 신호들을 생성하고, 주사 신호들은 주사 라인들(SL1~S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된다. 주사 신호들은 순차적으로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복수 개의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고, 데이터 전압들은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된다. 발광 구동부(140)는 복수 개의 발광 신호들을 생성하고, 발광 신호들은 발광 라인들(EL1~E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100)는 주사 구동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및 발광 구동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미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주사 제어 신호,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구동부(130)와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영상 신호들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130)에 제공한다.
주사 구동부(120)는 주사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주사 신호들을 생성하고, 발광 구동부(140)는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발광 신호들을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영상 신호들을 제공받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한다.
화소들(PX)은 주사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받는다. 화소들(PX)은 발광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에 대응하는 휘도의 광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들(PX)의 발광 시간은 발광 신호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댐 부재들(DM1,DM2)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댐 부재들(DM1,DM2)은 주사 구동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및 발광 구동부(140)를 둘러싸도록 표시 패널(11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더미 댐 부재(DDM)는 댐 부재들(DM1,DM2) 및 표시 영역(DA) 사이에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2개의 댐 부재들(DM1,DM2)이 설명되었으나, 댐 부재들(DM1,DM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댐 부재들(DM1,DM2)은 더미 댐 부재(DDM)에 인접한 제1 댐 부재(DM1) 및 표시 패널(110)의 테두리에 인접한 제2 댐 부재(D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 부재(DM1)는 더미 댐 부재(DDM)와 제2 댐 부재(DM2) 사이에 배치된다. 댐 부재들(DM1,DM2) 및 더미 댐 부재(DDM)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에는 하나의 화소(PX)의 구성만 도시되었으나, 표시 패널(110)에 배치되는 화소들(PX)은 도 2에 도시된 화소(PX)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PX)는 주사 라인들(SL1~SLm) 중 대응하는 주사 라인(SLi), 데이터 라인들(DL1~DLn)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DLj), 및 발광 라인들(EL1~ELm) 중 대응하는 발광 라인(ELi)에 연결된다. i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j는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화소(PX)는 발광 소자(OLED), 구동 트랜지스터(T1), 용량 소자(Cst),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OLE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정의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단자는 제1 전압(ELVDD)을 제공받고,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단자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의 소스 단자에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단자는 주사 라인(SLi)에 연결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소스 단자는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다. 용량 소자(Cst)의 제1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단자에 연결되고, 용량 소자(Cst)의 제2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된다.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단자는 발광 라인(ELi)에 연결되고,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단자는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다. 발광 소자(OLED)의 캐소드 전극은 제2 전압(ELVSS)를 인가받는다. 제2 전압(ELVSS)은 제1 전압(ELVDD)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주사 라인(SLi)을 통해 제공받은 주사 신호(SCAN)에 응답하여 턴 온된다. 턴 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데이터 라인(DLj)을 통해 제공받은 데이터 전압(DATA)을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에 제공한다. 용량 소자(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DATA)을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2)가 턴 오프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단자는 발광 라인(ELi)을 통해 발광 신호(EM)를 제공받고,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는 발광 신호(EM)에 응답하여 턴 온된다. 턴 온된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는 구동 트랜지스터(T1)에 흐르는 전류(Ioled)를 발광 소자(OLED)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화소(PX)는 발광 신호(EM)의 인가시간 동안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제공받은 전류(Ioled) 량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한다.
예시적으로 화소(PX)의 트랜지스터들(T1~T3)은 PMOS 트랜지스터들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PX)의 트랜지스터들(T1~T3)은 NMOS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PX)는 발광 소자(OLED) 및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TR)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3)일 수 있다. 트랜지스터(TR) 및 발광 소자(OLED)는 기판(SUB) 상에 배치되며, 기판(SUB)은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투명한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SUB)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되며, 버퍼층(BFL)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 층(SM)이 배치된다. 반도체 층(SM)은 아모포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 재료의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층(SM)은 산화물 반도체(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도체 층(SM)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층(SM)을 덮도록 버퍼층(BFL) 상에 제1 절연층(INS1)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INS1)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 반도체층(SM)과 오버랩하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GE)은 반도체 층(SM)의 채널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을 덮도록 제1 절연층(INS1) 상에 제2 절연층(INS2)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INS2)은 층간 절연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소스 전극(S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1 컨택 홀(CH1)을 통해 반도체층(SM)의 소스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2 컨택 홀(CH2)을 통해 반도체층(SM)의 드레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덮도록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3 절연층(INS3)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INS3)은 평평한 상면을 제공하는 평탄화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 상에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E1)이 배치된다. 제1 전극(E1)은 제3 절연층(INS3)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3 컨택홀(CH3)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오픈부(OP)가 정의되며, 오픈부(OP)가 배치된 영역은 화소 영역(PA)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영역(PA) 주변은 비화소 영역(NP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오픈부(OP) 내에서 제1 전극(E1) 상에 유기 발광층(OEL)이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생성하는 유기 물질들의 조합에 의해 백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기 발광층(OEL)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ting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주입층이 제1 전극(E1) 상에 배치되고, 정공 주입층 상에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층(OEL) 상에 제2 전극(E2)이 배치된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이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경우, 제1 전극(E1)은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E2)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이 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경우 제1 전극(E1)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E2)은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화소 영역(PA)에 형성되고, 화소 영역(PA)에서 제1 전극(E1), 유기 발광층(OEL),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한다. 제1 전극(E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이며, 제2 전극(E2)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일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화소(PX)를 덮도록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박막 봉지층(TFE)은 제2 전극(E2) 상에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TFE)은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된 제1 봉지층(EN1), 제1 봉지층(EN1) 상에 배치된 제2 봉지층(EN2), 및 제2 봉지층(EN2) 상에 배치된 제3 봉지층(EN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3 봉지층들(EN1,EN3) 각각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제2 봉지층(EN2)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봉지층(EN2)의 두께는 제1 및 제3 봉지층들(EN1,EN3) 각각보다 두꺼울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에 의해 발광 소자(OLED)의 유기 발광층(OEL)을 발광시키기 위한 제1 전압(ELVDD)이 제1 전극(E1)에 인가되고, 제1 전압(ELVDD)과 반대 극성의 제2 전압(ELVSS)이 제2 전극(E2)에 인가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발광 소자(OLED)가 발광 된다. 발광 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의 평면도로서, 더미 댐 부재의 소정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고, 기판(SUB)의 표시 영역(DA)은 화소 영역(PA) 및 비화소 영역(NP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의 기판(SUB) 상에 화소(PX)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DA)의 기판(SUB) 상에 댐 부재들(DM1,DM2) 및 더미 댐 부재(DDM)가 배치된다.
주사 구동부(120)는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주사 구동부(120)의 트랜지스터들은 기판(SUB) 상에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도 4에는 주사 구동부(120)의 하나의 트랜지스터(TS)만 도시되었다. 또한, 도 4의 단면에서 주사 구동부(120)가 배치된 부분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축소하여 도시하였다.
버퍼층(BFL) 및 제1 절연층(INS1)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의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표시 영역(DA)에서 기판(SUB) 상에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DA)으로 연장하여 더미 댐 부재(DDM)에 인접하게 배치되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기판(SUB) 상에 배치된 제3 절연층(INS3)은 비표시 영역(NDA)으로 연장하여 더미 댐 부재(DDM)에 인접하고 제2 절연층(INS2) 상에 배치되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층(INS3)은 트랜지스터들(TR,TS) 상에 배치되어 트랜지스터들(TR,TS)을 덮는다. 발광 소자(OLED)는 제3 절연층(INS3) 상에 배치된다. 발광 소자(OLED)의 제2 전극(E2)은 비표시 영역(NDA)으로 연장하고,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3 절연층(INS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댐 부재들(DM1,DM2)은 비표시 영역(NDA)의 기판(SUB) 상에 배치되어 기판(SUB)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더미 댐 부재(DDM)는 댐 부재들(DM1,DM2) 및 표시 영역(DA) 사이의 기판(SUB) 상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댐 부재(DDM)에는 복수 개의 홀들(H)이 정의된다. 홀들(H)은 복수 개의 열들로 배열될 수 있다. 열들 중 h 번째 열에 배치된 홀들(H)은 h+1 번째 열에 배치된 홀들(H)과 엇갈리게 배치된다. h는 자연수 이다.
더미 댐 부재(DDM)는 기판(SUB) 상에 단일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댐 부재(DDM)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댐 부재(DDM)를 형성하기 위해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포토 레지스트가 기판(SUB) 상에 배치되고, 포토 레지스트의 소정의 부분들이 제거되어 홀들(H)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댐 부재(DM1)는 더미 댐 부재(DDM) 보다 높으며, 제2 댐 부재(DM2)는 제1 댐 부재(DM1)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댐 부재(DM1) 및 제2 댐 부재(DM2) 사이의 공간은 홈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댐 부재(DM2)는 기판(SUB)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댐 부재(DM1)는 더미 댐 부재(DDM)와 제2 댐 부재(DM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과 더미 댐 부재(DDM) 각각의 높이는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과 더미 댐 부재(DDM) 각각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더미 댐 부재(DDM)의 폭은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 각각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과 더미 댐 부재(DDM) 각각의 폭은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과 더미 댐 부재(DDM) 각각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댐 부재(DM1)는 기판(SUB) 상에 배치된 제1 댐 절연층(DM1_1), 제1 댐 절연층(DM1_1) 상에 배치된 제2 댐 절연층(DM1_2), 및 제2 댐 절연층(DM1_2) 상에 배치된 제3 댐 절연층(DM1_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댐 부재(DM2)는 기판(SUB) 상에 배치된 제4 댐 절연층(DM2_1), 제4 댐 절연층(DM2_1) 상에 배치된 제5 댐 절연층(DM2_2), 제5 댐 절연층(DM2_2) 상에 배치된 제6 댐 절연층(DM2_3), 및 제6 댐 절연층(DM2_3) 상에 배치된 제7 댐 절연층(DM2_4)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7 댐 절연층들(DM1_1~DM2_4)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댐 절연층들(DM1_1~DM2_3)은 제2 절연층(INS2), 제3 절연층(INS3), 또는 화소 정의막(PDL)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7 댐 절연층(DM2_4)은 별도의 유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7 댐 절연층(DM2_4)은 제2 절연층(INS2), 제3 절연층(INS3), 또는 화소 정의막(PDL)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봉지층(EN1)은 발광 소자(OLED), 비표시 영역(NDA)의 제3 절연층(INS3), 더미 댐 부재(DDM), 및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을 덮도록 기판(SUB) 상에 배치된다. 제1 봉지층(EN1)이 더미 댐 부재(DDM) 상에 배치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댐 부재(DDM)의 홀들(H)이 정의된 부분에서 제1 봉지층(EN1)이 보다 아래에 배치되므로, 제1 봉지층(EN1)에 홈들(G)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제1 봉지층(EN1) 상에 배치된 제2 봉지층(EN2)은 비표시 영역(NDA)으로 연장되고,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3 절연층(INS3)의 경계와 이격되어 제3 절연층(INS3)의 소정의 부분과 오버랩하는 제1 봉지층(EN1) 상에 배치된다. 제3 봉지층(EN3)은 제2 봉지층(EN2)을 덮도록 제1 봉지층(EN1) 상에 배치된다. 더미 댐 부재(DDM)는 제2 및 제3 절연층들(INS2,INS3)의 경계들과 제1 댐 부재(DM1) 사이에 배치된다. 더미 댐 부재(DDM)의 높이는 제2 절연층(INS2)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박막 봉지층(TFE)의 제조시, 제2 봉지층(EN2)을 형성하기 위한 유기 물질이 제1 봉지층(EN1) 상에 도포된다. 제2 봉지층(EN2)을 형성하기 위한 유기 물질이 과도하게 도포될 경우 유기 물질이 기판(SUB) 밖으로 넘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유기 물질이 과도하게 도포되더라도, 과도하게 도포된 유기 물질은 더미 댐 부재(DDM)의 홀들(H)에 수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은 홀들(H)에 의해 정의된 제1 봉지층(EN1)의 홈들(G)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은 제1 댐 부재(DM1) 및 제2 댐 부재(DM2) 사이의 홈에도 수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기 물질(OR1)이 첫 번째 열의 홀들(H) 사이를 통과하더라도 두 번째 열(또는 가운데 열)의 홀(H)에 수용되고, 제2 유기 물질(OR2)은 첫 번째 열의 홀(H)에 수용될 수 있다. 두 번째 열의 홀들(H)이 첫 번째 및 세 번째 열들의 홀들(H)과 동일한 행으로 배열된다면, 제1 유기 물질(OR1)은 홀들(H) 사이를 투과하여 홀들(H)에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두 번째 열의 홀들(H)이 첫 번째 및 세 번째 열들의 홀들(H)과 엇갈리게 배치되므로, 제1 유기 물질(OR1)이 홀들(H)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제1 유기 물질(OR1)의 흐름이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홀들(H)에 수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의 테두리에 배치된 댐 부재들(DM1,DM2) 및 홀들(H)이 정의된 더미 댐 부재(DDM)를 통해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더미 댐 부재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DDM)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더미 댐 부재들(DDMP,DDMP1,DDMP2,DDMP3)이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더미 댐 부재(DDMP)는 몸체부(BD) 및 몸체부(BD)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P)을 포함한다. 몸체부(BD)는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몸체부(BD)에는 홀들(H)이 정의되며 홀들(H)은 도 5에 도시된 홀들(H)과 동일하다. 몸체부(BD)는 실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DDM)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돌출부들(P)은 표시 영역(DA)과 마주하는 몸체부(BD)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되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들(P)은 돌출부들(P)에 인접한 열에 배치된 홀들(H)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BD)에 돌출부들(P)이 배치되지 않는 더미 댐 부재(DDM)의 일측은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더미 댐 부재(DDM)의 일측은 표시 영역(DA)과 마주본다. 도 7과 같이, 몸체부(BD)의 일측에 돌출부들(P)이 배치될 경우, 표시 영역(DA)과 마주보는 더미 댐 부재(DDMP)의 일측은 돌출된 구조를 가지므로, 돌출부들(P)에 의해 더미 댐 부재(DDMP)의 일측의 표면적이 증가된다. 이러한 경우, 더미 댐 부재(DDMP)의 일측에 닿을 수 있는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의 양이 증가되므로,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더미 댐 부재(DDMP1)는 몸체부(BD) 및 몸체부(BD)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P_1)을 포함하고, 돌출부들(P_1)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미 댐 부재(DDMP1)의 다른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DDMP)와 동일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더미 댐 부재(DDMP2)는 몸체부(BD) 및 몸체부(BD)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P_2)을 포함하고, 돌출부들(P_2)은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미 댐 부재(DDMP2)의 다른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DDMP)와 동일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더미 댐 부재(DDMP3)는 몸체부(BD) 및 몸체부(BD)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P_3)을 포함하고, 돌출부들(P_3)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들(P_3) 중 서로 인접한 2 개의 돌출부들(P_3)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더미 댐 부재(DDMP3)의 다른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DDMP)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더미 댐 부재(DDM')의 배치 위치를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의 단면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의 단면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더미 댐 부재(DDM')의 배치 구성을 위주로 표시 장치(200)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고 표시 장치(200)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더미 댐 부재(DDM')는 도 4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DDM)와 다르게, 제3 절연층(INS3)의 경계와 제2 봉지층(EN2)의 경계 사이에서 제3 절연층(INS3)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더미 댐 부재(DDM')는 비표시 영역(NDA)의 제2 전극(E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댐 부재(DDM')는 도 4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DDM)와 비교하여 크기만 작아졌을 뿐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더미 댐 부재(DDM')에는 도 5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DDM)와 같이 복수 개의 홀들(H)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더미 댐 부재(DDM')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들(DDMP,DDMP1,DDMP2,DDMP3)과 같이 직사각형, 삼각형, 반원,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돌출부들(P,P_1,P_2,P_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들의 평면도로서, 더미 댐 부재들 각각의 소정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의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의 단면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의 단면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의 배치 구성만 설명될 것이며, 표시 장치(300)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300)는 복수 개의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을 포함하고,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은 제1 댐 부재(DM1) 및 표시 영역(DA) 사이의 기판(SUB) 상에 배치된다. 더미 댐 부재들(DDM1,DDM2) 각각의 높이는 제1 댐 부재(DM1)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은 제2 및 제3 절연층들(INS2,INS3)의 경계에 인접한 제1 더미 댐 부재(DDM1) 및 제1 더미 댐 부재(DDM1)와 댐 부재들(DM1,DM2) 사이에 배치된 제2 더미 댐 부재(DDM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측벽부들(SW1,SW2) 및 측벽부들(SW1,SW2)의 일측들에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P1,P2)을 포함한다.
제1 더미 댐 부재(DDM1)는 제1 측벽부(SW1) 및 표시 영역(DA)과 마주하는 제1 측벽부(SW1)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들(P1)을 포함한다. 제2 더미 댐 부재(DDM2)는 제2 측벽부(SW2) 및 표시 영역(DA)과 마주하는 제2 측벽부(SW2)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돌출부들(P2)을 포함한다. 제1 돌출부들(P1)은 제2 돌출부들(P2)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들(P1) 및 제2 돌출부들(P2)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 각각의 두께는 2 내지 5 마이크로미터이고,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 각각의 폭은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 각각의 두께는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 각각의 하면에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 각각의 폭은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 각각의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은 제2 및 제3 절연층들(INS2,INS3)의 경계들과 제1 댐 부재(DM1) 사이에 배치된다.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은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고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은 제1 및 제2 돌출부들(P1,P2)을 포함하므로, 제1 및 제2 더미 댐 부재들(DDM1,DDM2) 각각의 일측의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돌출부들(P1,P2)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므로, 제1 및 제2 돌출부들(P1,P2)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때보다, 유기 물질의 흐름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는 댐 부재들(DM1,DM2) 및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을 통해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더미 댐 부재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도 13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들(DDM1,DDM2)과 다른 구성을 위주로 더미 댐 부재들(DDM1_1,DDM2_1,DDM1_2,DDM2_2,DDM1_3,DDM2_3)이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더미 댐 부재(DDM1_1)는 제1 측벽부(SW1) 및 제1 측벽부(SW1)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들(P1_1)을 포함한다. 제2 더미 댐 부재(DDM2_1)는 제2 측벽부(SW2) 및 제2 측벽부(SW2)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돌출부들(P2_1)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돌출부들(P1_1,P2_1)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더미 댐 부재(DDM1_2)는 제1 측벽부(SW1) 및 제1 측벽부(SW1)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들(P1_2)을 포함한다. 제2 더미 댐 부재(DDM2_2)는 제2 측벽부(SW2) 및 제2 측벽부(SW2)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돌출부들(P2_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돌출부들(P1_2,P2_2)은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더미 댐 부재(DDM1_3)는 제1 측벽부(SW1) 및 제1 측벽부(SW1)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들(P1_3)을 포함한다. 제2 더미 댐 부재(DDM2_3)는 제2 측벽부(SW2) 및 제2 측벽부(SW2)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돌출부들(P2_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돌출부들(P1_3,P2_3)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들(P1_3) 중 서로 인접한 제1 돌출부들(P1_3)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돌출부들(P2_3) 중 서로 인접한 제2 돌출부들(P2_3)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의 배치 위치를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400)의 단면 구성은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300)의 단면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의 배치 구성을 위주로 표시 장치(400)의 구성이 설명되고, 표시 장치(400)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었다.
도 17을 참조하면,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은 도 12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들(DDM1,DDM2)과 다르게, 제3 절연층(INS3)의 경계와 제2 봉지층(EN2)의 경계 사이에서 제3 절연층(INS3) 상에 배치된다.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은 도 12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들(DDM1,DDM2)과 비교하여 크기만 작아졌을 뿐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더미 댐 부재들(DDM1',DDM2')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더미 댐 부재들(DDM1,DDM2,DDM1_1,DDM2_1,DDM1_2,DDM2_2,DDM1_3,DDM2_3)과 같이 직사 각형, 삼각형, 반원,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돌출부들(P1,P2,P1_1,P2_1,P1_2,P2_2,P1_3,P2_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1 및 제2 댐 부재들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및 제2 댐 부재들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표시 장치(500)에 더미 댐 부재(DDM)가 배치되지 않고,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의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500)의 단면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의 단면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의 구성을 위주로 표시 장치(500)의 구성이 설명되고, 표시 장치(500)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었다.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2 댐 부재(DM2')는 기판(SUB)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댐 부재(DM1')는 제2 댐 부재(DM2')와 표시 영역(DA)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댐 부재(DM1')는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제1 측벽부(SW3_1) 및 표시 영역(DA)과 마주하는 제1 측벽부(SW3_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들(P3_1)을 포함한다. 제2 댐 부재(DM2')는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제2 측벽부(SW3_2) 및 표시 영역(DA)과 마주하는 제2 측벽부(SW3_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돌출부들(P3_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의 적층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과 동일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8 및 도 19에서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의 적층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되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들(P3_1)은 제2 돌출부들(P3_2)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0에는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 각각의 최상층의 구조물만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제1 돌출부들(P3_1) 및 제2 돌출부들(3_2)에 의해 제1 및 제2 댐 부재들(DM1',DM2') 각각의 일측의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과 도포된 유기 물질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주사 구동부 130: 데이터 구동부
140: 발광 구동부 DDM: 더미 댐 부재
DM1,DM2: 제1 및 제2 댐 부재 TFE: 박막 봉지층
EN1,EN2,EN3: 제1, 제2, 및 제3 봉지층
P: 돌출부

Claims (29)

  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
    상기 비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 개의 댐 부재들; 및
    상기 댐 부재들 및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열들로 배열된 복수 개의 홀들이 정의된 더미 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들 중 h 번째 열에 배치된 홀들은 h+1 번째 열에 배치된 홀들과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h는 자연수인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는 상기 기판 상에 단일 층으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는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의 폭은 상기 댐 부재들 각각의 폭보다 큰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 부재들은,
    상기 더미 댐 부재보다 높은 제1 댐 부재; 및
    상기 제1 댐 부재보다 높은 제2 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댐 부재는 상기 기판의 상기 테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댐 부재는 상기 더미 댐 부재와 상기 제2 댐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 부재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댐 절연층;
    상기 제1 댐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2 댐 절연층; 및
    상기 제2 댐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3 댐 절연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댐 부재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4 댐 절연층;
    상기 제4 댐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5 댐 절연층;
    상기 제5 댐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6 댐 절연층; 및
    상기 제6 댐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7 댐 절연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7 댐 절연층들 각각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는,
    상기 홀들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몸체부; 및
    상기 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돌출부들에 인접한 열의 홀들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직사각형, 삼각형, 및 반원 형상들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돌출부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으로 연장하여 상기 더미 댐 부재에 인접한 절연층; 및
    상기 화소들을 덮도록 배치된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들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트랜지스터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트랜지스터들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들은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절연층에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들에 연결되고,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발광 소자들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발광 소자들,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절연층, 상기 더미 댐 부재, 및 상기 댐 부재들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봉지층;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봉지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비표시 영역으로 연장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절연층의 경계와 이격되어 상기 절연층의 소정의 부분과 오버랩하는 상기 제1 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2 봉지층; 및
    상기 제2 봉지층을 덮도록 상기 제1 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3 봉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봉지층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봉지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는 상기 절연층의 상기 경계와 상기 댐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는 상기 절연층의 상기 경계와 상기 제2 봉지층의 경계 사이에서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8.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
    상기 비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 개의 댐 부재들; 및
    상기 댐 부재들 및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더미 댐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댐 부재들 각각은,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측벽부; 및
    상기 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직사각형, 삼각형, 및 반원 형상들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들 각각의 상기 돌출부들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돌출부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표시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댐 부재들은,
    상기 더미 댐 부재들 각각보다 높은 제1 댐 부재; 및
    상기 제1 댐 부재보다 높은 제2 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댐 부재는 상기 기판의 상기 테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댐 부재는 상기 더미 댐 부재들과 상기 제2 댐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들 각각의 하면에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는 상기 더미 댐 부재들 각각의 두께는 2 내지 5 마이크로미터이고, 상기 더미 댐 부재들 각각의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는 상기 더미 댐 부재들 각각의 폭은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표시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들은,
    제1 더미 댐 부재; 및
    상기 제1 더미 댐 부재와 상기 댐 부재들 사이에 배치된 제2 더미 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 댐 부재의 돌출부들은 상기 제2 더미 댐 부재의 돌출부들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으로 연장하여 상기 더미 댐 부재들에 인접한 절연층; 및
    상기 화소들을 덮도록 배치된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들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트랜지스터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트랜지스터들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들은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절연층에 정의된 복수 개의 컨택홀들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들에 연결되고,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발광 소자들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발광 소자들,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절연층, 상기 더미 댐 부재들, 및 상기 댐 부재들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봉지층;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봉지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비표시 영역으로 연장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절연층의 경계와 이격되어 상기 절연층의 소정의 부분과 오버랩하는 상기 제1 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2 봉지층; 및
    상기 제2 봉지층을 덮도록 상기 제1 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3 봉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들은 상기 절연층의 상기 경계와 상기 댐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댐 부재들은 상기 절연층의 상기 경계와 상기 제2 봉지층의 경계 사이에서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8.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복수 개의 댐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댐 부재들 각각은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측벽부; 및
    상기 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댐 부재들은,
    제1 댐 부재; 및
    상기 제1 댐 부재보다 높은 제2 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댐 부재는 상기 기판의 상기 테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댐 부재는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댐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 부재의 돌출부들은 상기 제2 댐 부재의 돌출부들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표시 장치.
KR1020170183048A 2017-12-28 2017-12-28 표시 장치 KR102465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048A KR102465435B1 (ko) 2017-12-28 2017-12-28 표시 장치
US16/226,384 US10978671B2 (en) 2017-12-28 2018-12-19 Display apparatus having dam members
CN201811609714.7A CN109979972A (zh) 2017-12-28 2018-12-27 显示装置
US17/216,437 US11956989B2 (en) 2017-12-28 2021-03-29 Display apparatus having dam memb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048A KR102465435B1 (ko) 2017-12-28 2017-12-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005A KR20190081005A (ko) 2019-07-09
KR102465435B1 true KR102465435B1 (ko) 2022-11-10

Family

ID=6705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048A KR102465435B1 (ko) 2017-12-28 2017-12-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978671B2 (ko)
KR (1) KR102465435B1 (ko)
CN (1) CN1099799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086B1 (ko) * 2016-09-30 2019-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CN109585690B (zh) * 2018-12-29 2021-03-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271185B2 (en) * 2019-02-27 2022-03-0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structure having a dam and gap
CN110350106B (zh) * 2019-07-15 2021-11-16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0504386B (zh) * 2019-08-29 2022-04-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WO2021056261A1 (en) * 2019-09-25 2021-04-0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substrate
CN111129034A (zh) * 2019-12-20 2020-05-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KR20210102526A (ko) 2020-02-10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4398A (ko) * 2020-02-17 2021-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653589B (zh) * 2020-04-29 2021-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564479B (zh) * 2020-05-20 2023-10-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制作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85622A (ko) 2020-12-15 202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CN115148928A (zh) * 2022-06-20 2022-10-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7995B1 (en) * 1992-01-28 2004-09-07 Fujitsu Limited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KR102250759B1 (ko) 2013-09-02 2021-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71538A (ko) * 2013-12-18 2015-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133327B (zh) 2014-08-21 2017-05-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KR102250048B1 (ko) 2014-09-16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91361B1 (ko) 2015-01-14 2022-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92670B1 (ko) 2015-02-27 2021-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323242B1 (ko) 2015-03-10 2021-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20160123424A (ko) 2015-04-15 2016-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362189B1 (ko) 2015-04-16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0352B1 (ko) 2015-07-29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36650B1 (ko) 2015-11-02 2022-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7147165A (ja) * 2016-02-19 2017-08-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615113B1 (ko) 2016-05-10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5789979U (zh) * 2016-05-30 2016-12-07 鄂尔多斯市源盛光电有限责任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器件面板、显示设备
CN107195803B (zh) * 2017-07-21 2019-02-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78671B2 (en) 2021-04-13
US20210217994A1 (en) 2021-07-15
US11956989B2 (en) 2024-04-09
KR20190081005A (ko) 2019-07-09
US20190207157A1 (en) 2019-07-04
CN109979972A (zh)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435B1 (ko) 표시 장치
KR102457583B1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115869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10497886B2 (en) Display device
US9941340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a shielding electrode with reduced crosstalk
KR10238926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14078B1 (ko) 표시 장치
US20180102400A1 (en) Display device having an emission layer
CN108091672B (zh) 具有高孔径比的大面积超高密度平板显示器
US9812518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70047390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KR102515890B1 (ko) 표시 장치
TW200535766A (en) Display device, data driving circuit, and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KR102430429B1 (ko) 표시 장치
US894110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0621912B2 (en) Display device to display images on rear and front surfac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US20160307981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TWI599084B (zh) 有機發光電晶體及包含其之顯示裝置
KR102027213B1 (ko)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US11398508B2 (en) Thin-film device
KR10125826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394409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11271182B2 (en) Display device
USRE50012E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KR20240036261A (ko) 화소 회로 및 화소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