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034B1 -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034B1
KR102465034B1 KR1020200057056A KR20200057056A KR102465034B1 KR 102465034 B1 KR102465034 B1 KR 102465034B1 KR 1020200057056 A KR1020200057056 A KR 1020200057056A KR 20200057056 A KR20200057056 A KR 20200057056A KR 102465034 B1 KR102465034 B1 KR 102465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case
switchboar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946A (ko
Inventor
정석관
Original Assignee
정석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관 filed Critical 정석관
Priority to KR102020005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03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1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05Y2900/606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하고, 로드바의 연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배전반 도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배전반; 도어 핸들이 결합되는 케이스를 가지는 제1 유니트; 상기 제1 유니트의 양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로드바를 구비하는 제2 유니트; 상기 한쌍의 로드바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도어의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하게 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니트, 제2 유니트 및 걸림 부재는 상기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상기 도어를 닫으면 상기 제1 유니트, 상기 제2 유니트 및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 감추어지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Locking device of door for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하고, 로드바의 연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배전반용 도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발전소 또는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를 위해 각종 스위치, 릴레이 등의 여러가지 부품들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전반은 수납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와 , 이러한 본체부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함체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도어록 장치가 갖추어진다.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하로 이동하는 로드바와, 이 로드바의 중간에 갖추어지면서 상하 배치된 로드바의 단부가 결합되어서 도어핸들에 의해 로드바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상하 배치된 로드바가 하나식 일자 형태로 배치되어서 상하 이동을 하면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데, 회전판의 양측에 로드바의 단부가 결합되어 있어, 회전판의 회전운동에 따라 로드바는 직선 운동을 하지 못하고, 약간 경사진 상태로 상하 운동을 하려고 한다.
따라서, 도어측에 고정된 상태의 로드바 지지대를 로드바가 관통하여 지지된 경우, 로드바의 상,하 이동시, 로드바가 경사진 상태로 상하 이동을 하므로, 로드바 지지대에서 간섭을 받게 되어 로드바가 원할한 상하 이동을 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전반의 함체를 구성하는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어 핸들에 의해 동작하는 로드바의 직선운동이 확실하게 유지되고, 로드바의 교체가 용이하며, 함체의 규격에 따라 로드바의 연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배전반; 도어 핸들이 결합되는 케이스를 가지는 제1 유니트; 상기 제1 유니트의 양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로드바를 구비하는 제2 유니트; 상기 한쌍의 로드바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도어의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하게 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니트, 제2 유니트 및 걸림 부재는 상기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상기 도어를 닫으면 상기 제1 유니트, 상기 제2 유니트 및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 감추어지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전반의 함체를 구성하는 도어 핸들과 결합되는 제1 유니트와, 제1 유니트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로드바를 통해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유니트는 도어 핸들의 축과 연결되고, 도어 핸들의 잠금 및 해제 동작시 회전되면, 회전하는 회전 기어, 회전 기어와 맞물리고, 로드바와 각각 결합되어서 직선 운동하는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에 의해 로드바의 직선 이동이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
로드바는 가이드 유니트에 의해 가이드되며, 가이드 유니트는 간격 조절부를 마련하여 도어와 로드바와의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도어 핸들의 규격이 달라져서 도어와의 간격을 변경할때 적절히 간격을 맞추어서 로드바가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는 로드바와 결합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결합되므로,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와 로드바의 전체 연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유니트를 이루는 케이스는 도어 핸들의 개방시 방향(좌측 또는 우측)을 따라 케이스의 양쪽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제1 유니트의 일측면 또는 도어와 제1 유니트 사이에 고정되는 브라켓에는 열쇠를 걸 수 있는 제1 고리 또는 제2 고리가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시 열쇠를 별도 구비하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니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니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니트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제1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커 벤딩부의 개략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커 벤딩부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드바 체결부를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유니트의 결합 상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브라켓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격 조절형 브라켓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에 고리 수납부를 개략적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고리를 개략적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니트 결합공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30) 잠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30) 잠금 장치는 도어(30) 핸들(20)의 동작에 의해 회전 동작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해주는 제1 유니트(100), 제1 유니트(100)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고, 제1 유니트(100)의 동작에 의해 상하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배전반(10)의 도어(30)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제2 유니트(200), 제2 유니트(200)의 동작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 유니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니트(100) 및 제2 유니트(200)는 도어(30) 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도어(30)를 닫으면 제1 유니트(100) 및 제2 유니트(200)는 배전반(10) 내부에 감추어질 수 있고, 제1 유니트(100)는 도어(30) 내측에 고정되며 도어(30) 핸들(20)의 축(22)과 결합할 수 있고, 제2 유니트(200)는 가이드 유니트(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유니트(100)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회전 기어(105), 회전 기어(105)의 양측에서 맞물리고 회전 기어(105)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는 제1 링크부(103a) 및 제2 링크부(103b)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2개의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일면 소정 위치에는 각각 케이스 조립공(143a)(143b)이 형성되고,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가 결합되어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에는 도어(30) 핸들(20)의 축(22)이 관통되는 관통공(101a)이 형성되고, 관통공(101a)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링크 가이드(111)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111)는 제1 케이스(10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의 내측면은 제2 케이스(102)와 결합되는 면일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의 내측면 가장 자리에는 케이스 체결 돌기(141a)가 형성되고, 제2 케이스(102)의 내측면 가장 자리에는 케이스 체결 돌기(141a)가 삽입되는 케이스 체결공(141b)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체결 돌기(141a)와 케이스 체결공(141b)은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결합시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케이스 체결 돌기(141a)와 케이스 체결공(141b)를 통해 먼저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케이스 조립공(143a)(143b)을 통해 체결 부재로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케이스(102)의 가장 자리에도 케이스 체결 돌기(141a)와 케이스 체결공(141b)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가장 자리에 각각 2개씩의 케이스 체결 돌기(141a)와 케이스 체결공(141b)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게 할 수 있고, 2개씩의 케이스 체결 돌기(141a)와 케이스 체결공(141b)는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가장 자리에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씩의 케이스 체결 돌기(141a)와 케이스 체결공(141b)를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 가이드(111)의 사이에는 링크 돌기(121b)가 형성되고,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에는 링크 돌기(121b)가 삽입되어서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하는 가이드공(121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공(121a)의 장공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된 상태의 링크 돌기(121b)가 가이드공(121a)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의 이동시, 직선 이동이 보다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의 관통공(101a) 상부 및 하부와, 제2 케이스(102)의 회전 기어(105)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제1 브라켓공(124b)(124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02)에는 회전 기어(105), 회전 기어(105)의 양측면에 맞물려서 직선 이동하는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의 로드바 체결부(131a)(131b)에는 각각 복수의 로드바 체결공(1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내측면이고, 관통공(101a)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기어 가이드(112)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기어 가이드(112)는 제1 링크부(103a)와 제 2링크부(103b)의 제1 링크 기어(113a)와 제2 링크 기어(113b)의 정면을 지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의 직선 이동시 기어 가이드(112)에 의해 직선 이동시 들뜨지 않고 가이드해줄 수 있다.
회전 기어(105)의 중앙에는 도어(30) 핸들(20)의 축(22)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12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120)은 다각형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공(120)에 삽입되는 축(22)도 단면상 원형이 아닌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결합공(120)에 체결되는 핸들(20)이 배전반(10) 도어(30)와 정렬될 수 있도록 결합공(1200의 방향을 맞출 필요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은 다각형이 수렴 가능한 체결공(120)을 포함함으로써, 제1 결합공(120a)을 통한 결합과 제2 결합공(120b)(도 15에서 점선으로 도시)을 통한 결합으로 도어(30)와 핸들(20)의 정렬 방향을 자유 자재로 변경하여 맞출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양측면에는 오목부(101b)(102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조립공(143a)(143b)는 오목부(101b)(102a)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결합시, 케이스 조립공(143b)(143b)를 통해 체결 부재가 결합되므로, 케이스 조립공(143b)(143b)에서 체결력이 작용될 수 있고, 그러면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간의 조립에 따른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케이스 조립공(143b)(143b)이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끝단부 위치에 형성되고 체결 부재로 체결하는 경우, 케이스 조립공(143b)(143b)간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체결 부재에 의한 체결력이 작용하더라도 케이스 조립공(143b)(143b) 사이에서 밀착되지 못하고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간의 조립시 밀착되지 못하고 들뜸 현상이 발생하면, 그 내부에 있는 회전 기어(105) 및 제1 링크부(103a), 제2 링크부(103b)가 흔들릴 수 있는 여유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결합 상태는, 회전 기어(105) 및 제1 링크부(103a), 제2 링크부(103b)의 동작시 지장을 주지 않도록 가장 자리만 밀착되는 상태이지만,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가장 자리의 밀착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들뜬 상태가 발생하면, 축(22) 방향으로 회전 기어(105) 및 제1 링크부(103a), 제2 링크부(103b)가 유동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회전 기어(105)에 의한 회전력이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도어(30) 핸들(20)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스 조립공(143b)(143b)간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결합시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 조립공(143b)(143b)간의 거리는 회전 기어(105), 제1 링크부(103a) 및 제2 링크부(103b)의 제1 링크 기어(113a)와 제2 링크 기어(113b)가 마련된 위치일 수 있다. 이럼으로써, 케이스 조립공(143b)(143b)를 통해 체결 부재로 체결시, 해당 위치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01b)(102a)를 통해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가장 자리의 밀착면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밀착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에는 각각 제2 브라켓공(146a)(146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니트(100)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니트(100)의 배면도이다.
제1 유니트(100)를 구성하는 케이스는 앞뒤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어(30) 핸들(20)을 우측으로 회전시켜서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도면상 제1 케이스(101)의 결합공(120) 우측에 식별부(108a)를 형성할 수 있다. 식별부(108a)는 양 방향 화살표 또는 문자 등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30) 핸들(20)을 좌측으로 회전시켜서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도면상 제2 케이스(102)(101)를 정면으로 배치하고, 결합공(120) 좌측에 식별부(108a)를 형성할 수 있다. 식별부(108b)는 양방향 화살표 또는 문자 등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제1 유니트(100)의 사시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제1 유니트(100)를 이루는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101b)(102a)에는 열쇠(K)를 걸 수 있는 제1 고리(106)가 형성될 수 있다.
열쇠(K)는 도어(30) 핸들(20)을 기본적으로 록킹할 수 있는데, 도어(30) 핸들(20)을 열쇠(K)를 통해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고 조작함으로써 배전반(10)의 도어(3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10)의 도어(30)의 안쪽에 마련되는 제1 유니트(100)를 이루는 케이스의 측면에 열쇠(K)를 걸어두고 필요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30) 잠금 장치를 제작후 납품시, 열쇠(K)도 동반해서 납품해야 하는데, 테이프로 적당한 위치에 부착하거나 또는 케이블 타이로 결박해서 납품하는 경우, 열쇠(K)를 테이프로 부착 또는 케이블 타이 등으로 결박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더욱이 납품후 사용자가 열쇠 사용후 열쇠를 배전반(10)에 비치하기가 마땅치 않아 부주의해서 분실하거나 또는 다른 곳에 두고 휴대하지 못하여 필요시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유니트(2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로드바(210), 로드바(210)의 끝단부에 마련되는 걸림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바(21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하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제작할 수 있다. 단면상 4각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로드바(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드바(210)의 양 측면은 오목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 오목부(233)의 사이에 삽입홈(232)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로드바(210)는 제1 유니트(100)의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는 각각 로드바(210)의 삽입홈(232)안에 삽입되고, 나사 또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를 통해 체결할 수 있다.
로드바(210)의 일측에는 오목부(233)를 관통하여 체결공(231)이 간격을 두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바(210)의 체결공(231)과 제1 링크부(103a) 및 제2 링크부(103b)의 로드바 체결공(132)중 원하는 위치의 체결공을 맞춘 다음 체결 부재로 결합할 수 있다.
로드바(210)의 체결공(231)과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의 로드바 체결공(132)는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로드바(210)와 제1,2 링크부(103a)(103b)의 결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10)의 도어(30)규격이 달라지더라도 이에 맞추어서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로드바(210)에 형성되는 체결공(231)을 하나만 형성하고,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의 로드바 체결공(132)을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하여도 결합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로드바(210)의 체결공(231)을 복수로 형성하고 체결 부재를 여러개 체결함으로써, 확실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도어(30) 핸들(20)의 작동시 로드바(210)의 직선 이동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로드바(210)에 형성되는 체결공(231)을 하나만 형성하고, 제1 링크부(103a)와 제2 링크부(103b)의 로드바 체결공(132)을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하여 체결 부재로 체결하는 경우에는 자칫 체결 상태가 헐거워져서 도어(30) 핸들(20)의 동작시 회전력이 회전 기어(105), 제1 링크부(103a) 및 제2 링크부(103b)를 거쳐서 로드바(210)에 전달될때, 로드바(210)가 약간 편향되게 힘을 받을 수 있고, 그러면 로드바(210)의 직선 이동이 확실하게 구현되지 못하고, 자칫 도어(30) 핸들(20)의 회전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로드바(210)의 단부측에 마련되는 걸림 부재(220)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로드바(210)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일측 방향으로 벤딩된 구조를 이룰 수 있고, 롤러(221)가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로드바(210)의 단부와 결합시, 로드바(2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32)에 끼워지고 체결 부재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걸림 부재(220)의 양측면에는 절개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222)은 걸림 부재(220)를 로드바(2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오목부(233) 사이에 끼워지게 할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한쪽 방향으로 벤딩된 구조를 이루는 구조이므로, 만일 배전반(10)의 도어(30) 규격이 달라지는 경우, 이에 맞추어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30)의 규격이 작은 경우, 즉 도어(30) 핸들(20)은 동일한 상태에서, 배전반(10) 본체와 도어(30)간의 거리가 작은 경우, 걸림 부재(220)는 벤딩되지 않은 쪽을 배전반(10)의 본체 상부 및 하부에 걸리도록 로드바(2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어(30)의 규격이 큰 경우, 즉, 도어(30) 핸들(20)은 동일한 상태에서, 배전반(10) 본체와 도어(30)간의 거리가 큰 경우, 걸림 부재(220)는 벤딩된 쪽을 배전반(10)의 본체 상부 및 하부에 걸리도록 로드바(21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유니트(300)의 결합 상태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유니트(300)는 배전반(10) 도어(30) 내측면 걸림 부재(220)와 제1 유니트(100) 사이에서 로드바(210)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복수의 가이드 유니트(300)가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니트(300)는 제2 유니트(200)의 로드바(210)가 직선 이동이 보장되도록 로드바(210)를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니트(300)는 로드바(210)가 관통되게 결합되는 가이드 몸체부(333), 가이드 몸체부(3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폐가능한 개폐 부재(340), 가이드 몸체부(33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30)의 안쪽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310), 가이드 몸체부(333)가 고정 부재(3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해주는 간격 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부(333)에는 로드바(210)가 관통되는 로드바 결합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바 결합부(331)는, 예를 들어 H바(H bar) 형태의 로드바(210)를 수용 가능한 제1 관통부(331a)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다른 형상의 로드바(210), 예를 들어 단면상 원형의 로드바가 관통되면서 수용되도록 곡선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관통부(331b)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부(333)가 고정 부재(3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해주는 간격 조절부는, 가이드 몸체부(333)를 관통하고 고정 부재(310)의 체결공(312)에 나사결합되는 체결 부재(311), 고정 부재(310)의 삽입홈(310a)안에서 가이드 몸체부(333)의 이동시 탄지되는 제1 탄성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부는 가이드 몸체부(333)의 로드바 결합부(331)를 관통하여 지지되는 로드바(210)와 도어(30)의 안쪽면과의 간격을 조절해줄 수 있다.
제1 유니트(100)와 도어 핸들(20)간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서 로드바(210)와 도어(30)의 안쪽면과의 간격도 달라질 수 있고, 그러면 가이드 유니트(300)의 로드바 결합부(331)의 위치도 달라져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간격 조절부를 통해 로드바 결합부(331)의 위치를 조절해줄 수 있다.
개폐 부재(340) 및 가이드 몸체부(333)에는 체결 부재(311)를 조작할 수 있는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342)(333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만일, 로드바(210)와 도어(30)의 안쪽면과의 간격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드라이버 등을 관통공(342)(333a)안으로 삽입하고, 체결 부재(311)를 조이는 방향으로 돌리면, 체결 부재(311)는 고정 부재(310)의 체결공(312)내에서 고정 부재(310)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체결 부재(311)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몸체부(333)는 고정 부재(310)의 삽입홈(310a)내에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몸체부(3330가 삽입홈(310a)내에서 이동시, 제1 탄성 부재(313)는 압축될 수 있다.
한편, 로드바(210)와 도어(30)의 안쪽면과의 간격을 늘리고자 하는 경우, 드라이버 등을 관통공(342)(333a)안으로 삽입하고, 체결 부재(311)를 조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체결 부재(311)는 고정 부재(310)의 체결공(312)내에서 고정 부재(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체결 부재(311)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몸체부(333)는 고정 부재(310)의 삽입홈(310a)내에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몸체부(333)는 고정 부재(310)의 삽입홈(310a)내에서 이동시, 압축된 제1 탄성 부재(313)의 반발력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313)는 항상 가이드 몸체부(333)를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지력이 작용하고 있고, 이때 고정된 체결 부재(311)에 의해 저지되면서 흔들림없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개폐 부재(340)의 일단은 가이드 몸체부(333)의 일측에 힌지(33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개폐 부재(340)의 타단에는 가이드 몸체부(333) 일면의 홈안에 결합되도록 제1 잠금부(341)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1차적 잠금 역할로서 로드바(210)와 가이드 유니트(300)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개폐 부재(340)에 형성된 제1 잠금부(341)로 인해 로드바(210)와 가이드 유니트(300)의 체결을 일정 수준 유지할 수 있지만, 가이드 유니트(300)에 전달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서 그 체결이 느슨해질 수 있으므로, 이에 고정 부재(310)의 측벽에 제2 잠금장치의 역할로서 스토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부는 고정 부재(310)의 일측 외면에 고정되는 스토퍼 커버(350), 스토퍼 커버(350)의 내부에서 이동하고 개폐 부재(340)의 단부가 가이드 몸체부(333)로부터 개방되지 않도록 저지해주는 스토퍼(352), 스토퍼 커버(350)의 내부에서 스토퍼(352)를 탄지하는 제2 탄성 부재(3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352)는 도면상 수직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저지편(352a), 제1 저지편(352a)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고, 스토퍼 커버(35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2 저지편(35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 커버(350)의 상면에는 스토퍼(352)의 제1 저지편(352a)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공(355)이 형성되고, 스토퍼 커버(350)의 측면에는 스토퍼(352)의 제2 저지편(352b)가 관통하여 돌출되고, 이동 가능케 하는 제2 슬라이드공(35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354)의 반발력에 의해 스토퍼(352)는 항상 상부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서, 스토퍼(352)의 제1 저지편(352a)이 개폐 부재(340)의 단부의 측면에서 저지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부재(340)는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가이드 몸체부(333)로부터 쉽게 개방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일, 로드바(210)를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위해 개폐 부재(340)를 개방하는 경우, 스토퍼(352)의 제1 저지편(352a)를 누르거나 또는 제 2저지편(352b)를 누르면, 제2 탄성 부재(354)는 압축되면서 스토퍼(352)는 스토퍼 커버(350)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저지편(352a)은 스토퍼 커버(350)의 제1 슬라이드공(355)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저지편(352b)은 스토퍼 커버(350)의 제2 슬라이드공(356)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러면 제1 저지편(352a)은 개폐 부재(340)의 단부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되므로, 개폐 부재(340)를 가이드 몸체부(333)로부터 개방시킬 수 있다.
개폐 부재(340)의 개방시에는 개폐 부재(340)의 측면에 형성된 걸고리(344)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고 잡아 당기면, 개폐 부재(340)는 가이드 몸체부(333)로부터 힌지(33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쉽게 개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브라켓의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 핸들(20), 도어(30) 및 도어(30)의 안쪽에 위치한 제1 유니트(100)의 결합 매개체로서 브라켓(50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00)은 대략 "ㄷ"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유니트(100)와 도어(30) 내측면과의 간격이 유지되게 하고, 도어 핸들(20)이 결합되고, 도어 핸들(20)의 축(22)이 제1 유니트(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브라켓(5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제2 고리(530a)가 마련될 수 있고, 제2 고리(530a)는 브라켓(5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530b)에 회전축(530c)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530b)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 부재(530b)의 안쪽에 제2 고리(530a)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리(530a)는 폐쇄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일부분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리(530a)에는 도어(3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핸들(20)을 개폐시키는 열쇠(K)를 걸어 두고 필요시 사용할 수 있다.
지지 부재(530b)의 하부에는 결합관(530d)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제2 고리(530a)는 지지 부재(530b)로부터 회전시켜 접어 둘 수 있다.
도 12는 브라켓의 다른 실시 예로 간격 조절 브라켓(52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간격 조절 브라켓(520)은 제1 유니트(100)에 고정되는 제1 조절 브라켓(520a), 제1 조절 브라켓(520a)과 겹치면서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조절 브라켓(5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조절 브라켓(520b)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장공(5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절 브라켓(520a)은 제2 조절 브라켓(520b)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대면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리(530a)는 제1 조절 브라켓(520a)과 제2 조절 브라켓(520b)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 부재(5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고리(530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부재(530b)의 하부에는 결합관(530d)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장공(521)에 삽입되면, 체결 부재(522)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리(503a)는 지지 부재(530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수직 방향으로 세우거나 접는 동작이 가능하고, 지지 부재(530b)는 체결 부재(52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며, 체결 부재(522)의 조임 및 풀림 동작에 따라 간격 조절 브라켓(520)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브라켓(520)은 도어(30)와 제1 유니트(100)의 사이의 간격에 맞춰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 조절 브라켓(520)은 도어(30)와 제1 유니트(100) 간의 간격이 가변되더라도 가변된 간격에 맞추어서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만일, 일체형 구조의 브라켓(500)을 설치한 경우에는 간격 조절이 안되므로, 도어(30)와 제1 유니트(100) 간의 간격이 가변되면, 가변된 간격에 맞는 길이를 가지는 브라켓(500)으로 대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격 조절 브라켓(5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 체결 부재(522)를 느슨하게 풀고, 제2 조절 브라켓(520b)을 제1 조절 브라켓(520a)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좁혀서 원하는 간격으로 조절하면, 제2 조절 브라켓(520b)에는 장공(5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간격 조절을 위한 이동이 가능하고,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면, 체결 부재(522)를 다시 조여서 고정시킬 수 있다.
10...배전반 20...도어 핸들
22... 축
30...도어 100...제1 유니트
101...제1 케이스 101a...관통공
101b...오목부 102a...오목부
102...제2 케이스
103a...제1 링크부 103b...제2 링크부
105...회전 기어 106...제1 고리
107...표시부 108a,108b...식별부
111...링크 가이드
112...기어 가이드 113a...제1 링크 기어
113b...제2 링크 기어 120...결합공
120a...제1 결합공 120b...제2 결합공
121a...가이드 공 121b...링크 돌기
123a...제1 내벽 123b...제2 내벽
124a...제1 브라켓 체결부재 124b...제1 브라켓 공
124c...제1 브라켓 공 131a...로드바 체결부
131b...로드바 체결부 132...로드바 체결공
141a...케이스 체결돌기 141b...케이스 체결공
143a...케이스 조립공 143b...케이스 조립공
145...제2 브라켓 체결부재 146a...제2 브라켓공
146b...제2 브라켓공 200...제2 유니트
210...로드바 220...걸림 부재
221...롤러 222...로커 체결공
230...로드바 체결부 231...링크 체결공
232...링크 삽입공 233...오목부
300...가이드 유니트 310...고정 부재
311...체결부재 312...체결공
313...제1 탄성부재 331...로드바 결합부
332...힌지 333...가이드 몸체부
333a... 관통공 340...개폐부재
341...제1 잠금부 342...관통공
344... 걸고리 350...스토퍼 커버
352...스토퍼 352a... 제1 저지편
352b... 제2 저지편 353...스토퍼 지지편
354...제2 탄성부재 355...제1 슬라이드공
356...제2 슬라이드공 500...브라켓
501...브라켓 체결공 510...일체형 브라켓
520...간격 조절 브라켓 520a...제1 조절 브라켓
520b...제2 조절 브라켓 521...장공
522...체결부재 530a...제2 고리
530b...지지 부재 530c... 회전축
530d... 결합관

Claims (14)

  1.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배전반;
    도어 핸들이 결합되는 케이스를 가지는 제1 유니트;
    상기 제1 유니트의 양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로드바를 구비하는 제2 유니트;
    상기 한쌍의 로드바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도어의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하게 하는 걸림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니트, 제2 유니트 및 걸림 부재는 상기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닫으면 상기 제1 유니트, 상기 제2 유니트 및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 감추어지고,
    상기 로드바의 단부에는 배전반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져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걸림 부재의 양측에는 롤러가 구비되며, 로드바와 도어간의 간격에 따라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걸림 부재의 일측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니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도어 핸들의 축과 결합되는 회전 기어, 회전 기어의 양측에 맞물리도록 각각 제1 기어부와 제2 기어부를 가지는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상기 회전 기어에는 상기 도어 핸들의 축이 관통되게 결합되는 다각형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도어 핸들은 상기 케이스의 양쪽 면을 통해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결합되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 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안쪽면에는 상기 가이드 공에 끼워져서 가이드 역할을 하는 링크 돌기가 형성되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에 의해 조립되는 케이스의 한쪽 또는 양쪽 측면에는 체결 부재에 의해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결합시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한 체결력이 작용하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에는 각각 도어 핸들의 개방시 방향을 나타내는 식별부가 형성되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에는 도어 핸들의 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면이고 관통공의 양측에는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의 로드바 체결부 양 측면을 지지해주는 링크 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로드바의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니트의 상기 로드바가 관통되고, 상기 로드바의 이동시 가이드해주는 가이드 유니트;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유니트는 상기 로드바가 관통되게 결합되는 가이드 몸체부, 상기 가이드 몸체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의 안쪽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몸체부가 상기 고정 부재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도어 내측면으로부터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니트와 도어의 사이에는 도어 핸들의 축이 관통되는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1 유니트와 체결시 상기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의 가이드 공을 체결 부재로 관통하여 결합시키며, 상기 체결 부재는 가이드 공에서 가이드 역할을 겸하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11. 삭제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열쇠를 걸어두고 사용할 수 있는 제1 고리가 형성되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니트와 도어의 사이에는 도어 핸들의 축이 관통되는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열쇠를 걸어 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제2 고리가 형성되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14.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배전반;
    도어 핸들이 결합되는 케이스를 가지는 제1 유니트;
    상기 제1 유니트의 양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로드바를 구비하는 제2 유니트;
    상기 한쌍의 로드바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도어의 걸림 및 해제가 가능하게 하는 걸림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니트, 제2 유니트 및 걸림 부재는 상기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닫으면 상기 제1 유니트, 상기 제2 유니트 및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 감추어지고,
    상기 제1 유니트와 도어의 사이에는 도어 핸들의 축이 관통되는 간격 조절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간격 조절 브라켓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조절 브라켓과 제2 조절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 조절 브라켓의 상기 제2 조절 브라켓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 브라켓과 대면되는 제1 조절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 열쇠를 걸어 두고 사용할 수 있는 제2 고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간격 조절 브라켓의 간격 조절시, 상기 체결 부재의 조임 상태를 느슨하게 하고, 제2 조절 브라켓을 제1 조절 브라켓으로부터 이동시켜서 간격을 조절한 다음, 체결 부재를 조여서 고정시키는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KR1020200057056A 2020-05-13 2020-05-13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KR102465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056A KR102465034B1 (ko) 2020-05-13 2020-05-13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056A KR102465034B1 (ko) 2020-05-13 2020-05-13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946A KR20210138946A (ko) 2021-11-22
KR102465034B1 true KR102465034B1 (ko) 2022-11-09

Family

ID=7871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056A KR102465034B1 (ko) 2020-05-13 2020-05-13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0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4435A1 (en) * 2012-07-21 2015-07-02 Dieter RAMASAUER Rod Guid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979B1 (ko) * 2002-11-01 2005-04-07 김기성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4435A1 (en) * 2012-07-21 2015-07-02 Dieter RAMASAUER Rod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946A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576B2 (en) Anti-tip interlocking linkage mechanism for vertical cabinets
US7856857B2 (en) Door lock of key-driven transmission structure
GB2102279A (en) Drawer made of plastics material
KR102465034B1 (ko)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KR102480163B1 (ko) 가이드 유니트를 구비한 배전반용 도어 잠금 장치
KR101831246B1 (ko) 도어 록킹장치
CN215212810U (zh) 一种可调节锁槽宽度的锁扣盒
AU2008200245C1 (en) Window winder
KR100607678B1 (ko) 냉장고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JP2710920B2 (ja) 扉取付装置
KR19980056589U (ko) 컴퓨터 시스템의 덮개 잠금장치
KR100619167B1 (ko) 냉장고의 보조선반조립체
JP4951778B2 (ja) 施錠機構
EP1910635B1 (en) Safety frame for doors and windows
KR200166864Y1 (ko) 도어핸들 겸 로크장치
KR200283281Y1 (ko) 화일박스의 안전 잠금장치
KR20040038499A (ko) 도어 잠금장치
KR940006905Y1 (ko) 록킹장치
KR200234840Y1 (ko) 고가사다리용 대차의 각도조절장치
JP3547476B2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タンクレールの取付構造
KR19990037510U (ko) 도어개폐장치
KR20020032367A (ko) 접이문 장치
KR100322615B1 (ko) 창문이탈 방지장치
KR0128179Y1 (ko) 여닫이문의 핸들장치 및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