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469B1 -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fill up machine - Google Patents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fill up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469B1
KR102464469B1 KR1020220006559A KR20220006559A KR102464469B1 KR 102464469 B1 KR102464469 B1 KR 102464469B1 KR 1020220006559 A KR1020220006559 A KR 1020220006559A KR 20220006559 A KR20220006559 A KR 20220006559A KR 102464469 B1 KR102464469 B1 KR 102464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conveyor
unit
cem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호
박상준
권세곤
박용범
백인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투트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투트랙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4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05Making of concrete parts of the tra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76Parts or details thereof, e.g. opening, closing or un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81Plant for proportioning, supplying or b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6Supplying the solid ingredients, e.g. by means of endless conveyors or jigging conveyors
    • B28C7/10Supplying the solid ingredients, e.g. by means of endless conveyors or jigging conveyors by means of rotary members, e.g. inclinable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14Supply means incorporated in, or mounted on,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4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the plant being mobile, e.g. mounted on a carriage or a set of carriages
    • B28C9/0472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the plant being mobile, e.g. mounted on a carriage or a set of carriages provided with two or more carriages for storing the ingredients or for the mixing device, e.g. transportable on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7/00Hopper cars
    • B61D7/02Hopper cars with discharge openings in the bot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7/00Hopper cars
    • B61D7/14Adaptations of hopper elements to rail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7/00Making, maintaining, renewing, or taking-up the ballastway or the track,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E01B27/00 - E01B3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rtar placing equipment for rapid construction of a railway concrete track.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quipment capable of automatically spraying mortar by automatically manufacturing mortar in a bogie unit movable along a rail and moving it to the vicinity of a targeted position for constructing a railroad concrete track.

Description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FILL UP MACHINE}Railroad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FILL UP MACHINE}

본 발명은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부에서 모르터를 자동화하여 제조하고, 이를 철도 콘크리트궤도의 구축을 위한 타켓팅된 위치의 근처로 이동시켜 모르터를 신속하게 분사할 수 있는 장비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by automating and manufacturing a mortar in a bogie that can move along a rail, and moving it to the vicinity of a targeted posi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railway concrete track It is an invention related to equipment capable of quickly spraying mortar.

일반적으로, 궤도(track)는 레일과 그 부속품, 침목 및 도상으로 구성된다. 견고한 노반 위에 도상(자갈, 콘크리트)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고, 그 위에 침목을 일정 간격으로 부설하며 침목 위에 두 줄의 레일을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채결한 것으로서, 레일, 침목, 도상의 3가지 조건이 구비된 상태에서 노반과 함께 열차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도상 윗부분을 총칭하여 궤도라고 한다.In general, tracks are composed of rails and their accessories, sleepers and ballast. A road bed (gravel, concrete) is formed with a certain thickness on a solid road bed, sleepers are laid on it at regular intervals, and two lines of rails are fastened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leepers. When the conditions are met, the upper part of the roadbed that plays a role in directly supporting the train load together with the roadbed is collectively called the track.

궤도의 구성 중 도상과 관련하여, 도상은 크게 자갈도상과 콘크리트도상으로 구분된다. 기존에는 자갈도상이 주로 설치되었으나, 과밀화로 인해 자갈의 파손, 이로 인한 궤도틀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유지보수 주기가 짧아지는 문제가 다수 발생하였다.Regarding the ballast of track construction, the ballast is largely divided into a gravel ballast and a concrete ballast. In the past, a gravel bed was mainly installed, but due to overcrowding, many problems occurred such as breakage of gravel, continuous track irregularities, and shortened maintenance cycle.

이에, 최근에는 콘크리트도상 및 콘크리트침목을 기반으로 한 콘크리트궤도가 주로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콘크리트궤도의 일 예를 표현한 것으로, 복수 개의 콘크리트침목(1)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며, 복수 개의 콘크리트침목(1)을 따라 레일(2)이 부속품을 통해 설치된다.Accordingly, recently, concrete tracks based on concrete ballast and concrete sleepers have been mainly installed. 1 shows an example of a concrete track, in which a plurality of concrete sleepers (1) are spaced apart and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ail (2) along the plurality of concrete sleepers (1) passes through accessories. installed

이때, 복수 개의 콘크리트침목(1)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도상(3)을 형성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침목(1) 사이에 모르터(또는 몰타르, 몰탈, Mortar)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붓는 작업을 하였다. 특히, 이러한 모르터를 제조하기 위해서, 콘크리트궤도를 형성하는 작업 구간 외의 장소에서 모르터를 제조하고, 이를 일일이 작업 구간에 운반하여 붓는 작업을 진행하였다.At this time, in order to form the concrete ballast (3)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crete sleepers (1), conventionally, the work of manually pouring mortar (or mortar, mortar, mortar) between the plurality of concrete sleepers (1) did In particular, in order to manufacture such a mortar, the mortar was manufactured in a place other than the working section forming the concrete track, and the mortar was transported to the working section one by one and poured.

이로 인해, 모르터를 제조하는 시간, 모르터를 운반하는 시간, 붓는 시간 등이 다수 소요되어 전체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공정이 일체화되지 않고 모두 분리되어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a lot of time is required to manufacture the mortar, time to transport the mortar, time to pour the mortar, etc., resulting in a long working time. That is, since the processes are not integrated and all are separ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 efficiency is remarkably lowered.

이에, 본 발명은 레일 상에서 곧바로 모르터를 제조하여 급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비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capable of producing and rapidly supplying mortar directly on a rail, and wa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1029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21029

본 발명은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부에서 모르터를 자동화하여 제조하고, 이를 철도 콘크리트궤도의 구축을 위한 타켓팅된 위치에 신속하게 분사할 수 있는 장비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atically manufacture mortar in a bogie that can move along a rail, and to quickly spray it to a targeted posi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railway concrete track. It is an invention about a device that can

본 발명의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부; 상기 대차부에 결합되되, 시멘트가 저장되는 호퍼부; 상기 대차부에 결합되되,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부; 상기 대차부에 결합되되, 상기 워터탱크부와 연동되어 물을 공급받는 믹서부; 및 상기 호퍼부에서 낙하된 시멘트를 상기 믹서부에 공급하는 컨베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믹서부에 공급된 시멘트 및 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모르터가 분사되고, 이를 통해 철도 콘크리트궤도를 형성한다.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gie movable along the rail; Doedoe coupled to the bogie portion, a hopper portion in which cement is stored; a water tank unit coupled to the bogie unit and storing water; a mixer unit connected to the bogie unit and interlocked with the water tank unit to receive water; and a conveyor unit supplying the cement dropped from the hopper unit to the mixer unit, and the mortar formed by mixing the cement and water supplied to the mixer unit is sprayed, thereby forming a railroad concrete trac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대차부에 결합되는 제1 컨베이어프레임; 상기 제1 컨베이어프레임과 연결되되, 상기 대차부와 경사를 지닌 제2 컨베이어프레임;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프레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프레임을 따라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부로부터 낙하된 시멘트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안착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믹서부의 상부에 공급된다.In addition, the conveyor unit of the railroad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veyor frame coupled to the bogie; a second conveyor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or frame and having an inclination with the bogie part; and a conveyor belt rotating along the first conveyor frame and the second conveyor frame, wherein the cement dropped from the hopper unit is seated on the conveyor belt and moves along the conveyor belt to reach the top of the mixer unit. are suppl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상기 대차부와 상기 호퍼부 사이에 위치되어 시멘트의 상기 믹서부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피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더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피더프레임; 상기 피더프레임의 일단에 위치되어 회전 가능한 피더헤드풀리; 상기 피더프레임의 타단에 위치되어 회전 가능한 피더테일풀리; 및 상기 피더프레임, 피더헤드풀리 및 상기 피더테일풀리를 따라 회전하는 피더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부에서 낙하된 시멘트는 상기 피더벨트에 안착되고, 상기 피더벨트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낙하되므로 상기 피더벨트의 회전 정도에 따라 시멘트의 공급량이 조절된다.In addition, a feeder unit located between the bogie unit and the hopper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cement to the mixer unit; further comprising, the feeder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xtended feeder frame; a rotatable feeder head pulley located at one end of the feeder frame; a rotatable feeder tail pulley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feeder frame; and a feeder belt rotating along the feeder frame, the feeder head pulley, and the feeder tail pulley, wherein the cement dropped from the hopper unit is seated on the feeder belt and moves along the feeder belt, and the conveyor belt Since it falls on the feeder belt, the amount of cement supplie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feeder bel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상기 피더부는, 상기 피더헤드풀리 및 상기 피더테일풀리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피더벨트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피더캐리어롤러;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eeder unit of the railroad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eeder head pulley and the feeder tail pulley, and a plurality of feeder carrier rollers supporting the feeder belt ; is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상기 호퍼부 및 상기 피더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피더부의 각각의 상기 피더벨트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되, 각각의 상기 피더벨트에 낙하된 시멘트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이 설정된다.In addition, the hopper part and the feeder par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s a pair, and each of the feeder belts of the pair of feeder parts rotate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 feeder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se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ment dropped on the belt comes closer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상기 호퍼부에는 로드셀이 형성되어, 시멘트의 낙하에 따른 상기 호퍼부 내의 시멘트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 load cell is formed in the hopper par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cement in the hopper part according to the fall of cement can be check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상기 호퍼부에는 바이브레이터가 형성되어, 상기 호퍼부에 진동을 전달하여 시멘트의 낙하를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a vibrator is formed in the hopper par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pper part to facilitate the fall of cement.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를 통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부 내에서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신속하게 모르터를 제조하고, 철도 콘크리트궤도 형성을 위한 타켓팅 위치의 근처에 대차부를 이동시켜 모르터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멘트와 물의 공급량을 정량화하여 원하는 수준의 모르터를 예측 가능한 범위에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증대되어, 종래의 전체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rough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rtar is quickly manufactured by an automated system within the bogie part that can move along the rail, and the mortar is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targeting position for forming the railway concrete track. can be spray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desired level of mortar can be manufactured in a predictable range by quantifying the amount of cement and water supplied. Due to this, the work efficiency is increased,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total work time being long.

도 1은 콘크리트궤도의 일 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호퍼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호퍼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피더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피더부 및 컨베이어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피더부를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컨베이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워터탱크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1 is a representation of an example of a concrete track.
Figure 2 shows a railroad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3 is a front view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hopper par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hopper par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the feeder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the feeder unit and the conveyor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the feeder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the conveyor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the water tank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indic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therefore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는 대차부(100), 호퍼부(200), 워터탱크부(300), 피더부(400), 컨베이어부(500), 믹서부(600), 공급부(700), 제너레이터부(800) 및 서포트프레임부(900)를 포함한다.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gie part 100, a hopper part 200, a water tank part 300, a feeder part 400, a conveyor part 500, a mixer part 600, and a supply part 700, a generator unit 800, and a support frame unit 90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Figure 2 shows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Figure 3 shows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Hereinafter, based on FIGS. 2 and 3,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대차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대차부(100)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된 대차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에 바퀴(110)가 결합된다. 바퀴(110)는 철도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대차부(100) 전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대차부(100)에 결합된 호퍼부(200) 내지 서포트프레임부(900) 전체도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급속 시공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bogie part 100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alance unit 100 is preferably in the shape of a balanc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rames, and the wheels 110 ar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Since the wheels 110 are movable along the rails of the railway, the entire bogie 100 is movable along the rails. In addition, since the whole of the hopper part 200 to the support frame part 900 coupled to the bogie part 100 can be moved along the rail, rapid construction is possible and work efficiency is increased.

호퍼부(200)는 대차부(100)의 상부에 위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대차부(100)에 결합되는 서포트프레임부(900)를 통해 대차부(10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hopper unit 200 is located above the bogie unit 100. In more detail, it may be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lance unit 100 through the support frame unit 900 coupled to the balance unit 10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호퍼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호퍼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호퍼부(200)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4 is a side view of the hopper par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hopper par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hopper unit 200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호퍼부(200)는 상부호퍼(210), 하부호퍼(220), 제1 가이드(230), 로드셀(240), 바이브레이터(250), 게이트(260), 사이드월(270) 및 제2 가이드(280)를 포함한다.The hopper unit 200 includes an upper hopper 210, a lower hopper 220, a first guide 230, a load cell 240, a vibrator 250, a gate 260, a side wall 270, and a second guide ( 280).

상부호퍼(210) 및 하부호퍼(220)는 연장 형성되어 하나의 호퍼를 형성하며, 시멘트를 저장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호퍼(210) 및 하부호퍼(220)는 시멘트뿐만 아니라, 자갈, 석분, 모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합친 레미탈을 저장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시멘트'만을 서술하나, 반드시 시멘트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The upper hopper 210 and the lower hopper 220 are extended to form one hopper, and preferably have a housing type capable of storing cement. The upper hopper 210 and the lower hopper 220 may store not only cement, but also gravel, stone dust, sand, and the like, and may store remital combined with them. In the following, only 'cement' is described to prevent redundant description,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cement.

하부호퍼(2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시멘트가 후술할 피더부(400)에 정밀하게 시멘트를 낙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ower hopper 220 preferably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Due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ement can be precisely dropped into the feeder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제1 가이드(230) 및 제2 가이드(280)는 하부호퍼(220)에 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가이드(230)는 하부호퍼(220)의 하부의 정면 또는 배면의 일 지점에 결합되며, 제2 가이드(280)는 하부호퍼(220)의 하부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이로 인해, 하부호퍼(220)가 피더부(400)를 향해 낙하하는 과정에서, 피더부(400)가 외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멘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guide 230 and the second guide 280 are coupled to the lower hopper 220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guide 230 is coupled to one point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pper 220, and the second guide 28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pper 220, respectively. do. Thus, in the process of the lower hopper 220 falling toward the feeder unit 400, the loss of cement can be minimized by preventing the feeder unit 400 from falling to the outside.

제1 가이드(230) 및 제2 가이드(280)는 일 예로 고무(러버)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호퍼(220)의 하부에서 볼팅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수명 연한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For example, the first guide 230 and the second guide 280 are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hopper 220 is detachably coupled through bolting. Due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replacement according to the lifespan.

로드셀(240)은 하부호퍼(220)의 일 지점에 결합된다. 로드셀(load cell)은 하중 센서로, 호퍼부(200) 내의 시멘트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얼만큼의 시멘트가 피더부(400)를 향해 낙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낙하된 시멘트 양을 통해 제조될 모르터의 양을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oad cell 240 is coupled to one point of the lower hopper 220. The load cell is a load sensor and can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cement in the hopper unit 20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heck how much cement has fallen toward the feeder unit 400,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mortar to be manufactured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of cement that has fallen.

바이브레이터(250)는 하부호퍼(220)의 일 지점에 결합된다. 바이브레이터(250)는 진동발생기로, 하부호퍼(220) 내의 시멘트에 진동을 전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시멘트가 하부호퍼(220) 내에서 상호 끼여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시멘트의 낙하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vibrator 250 is coupled to one point of the lower hopper 220. The vibrator 250 is a vibration generator, and transmits vibration to the cement in the lower hopper 220.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in which cement cannot be discharged due to being caught in the lower hopper 220 in advance. That is, it serves to facilitate the fall of cement.

게이트(260)는 하부호퍼(220)의 일 지점에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가이드(230)와 마주보는 배면 또는 정면에 위치된다. 게이트(260)는 도어(261) 및 도어프레임(262)을 포함한다. 도어프레임(262)은 하부호퍼(220)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도어프레임(262)과 도어(261)는 일 예로 LM 가이드 형식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도어(261)가 하강하게 되면 후술할 피더부(400)의 피더벨트(450)와 하부호퍼(220)의 하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막게 된다. 이로 인해, 도어(261)가 하강 시에는 호퍼부(200) 내의 시멘트가 도어(261)에 의해 막히게 되며, 피더벨트(450)를 따라 후술할 컨베이어벨트(590)에 낙하할 수 없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어(261)를 승강하게 되면, 시멘트가 피더벨트(45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고, 후술할 컨베이어벨트(590)에 낙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261)의 승하강에 따라 시멘트의 호퍼부(200)로부터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모르터의 공급량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때, 도어(261)의 승하강은 전자제어로 이루어진다.The gate 260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lower hopper 220 . In more detail, it is located on the back or front facing the first guide 230 . The gate 260 includes a door 261 and a door frame 262 . The door frame 262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hopper 220, and the door frame 262 and the door 261 are coupled to be slidable through, for example, an LM guide type. At this time, when the door 261 descends, a spaced space between the feeder belt 450 of the feeder unit 4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pper 220 is blocked. Due to this, when the door 261 descends, the cement in the hopper unit 200 is blocked by the door 261 and cannot fall along the feeder belt 450 onto a conveyor belt 590 to be described later. Conversely, when the door 261 is moved up and down, cement can move along the feeder belt 450 and fall onto a conveyor belt 590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ischarge of cement from the hopper unit 20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door 261, so that the supply amount of the mortar can be easily controlled. At this time, the door 261 is moved up and down by electronic control.

사이드월(270)은 호퍼부(200)의 하부 측부에 형성되며, 제2 가이드(280)와 마찬가지로 시멘트가 피더부(400)외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멘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idewall 27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pper part 200, and like the second guide 280,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loss of cement by preventing cement from falling out of the feeder part 400. .

피더부(400)는 대차부(100)와 호퍼부(200)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호퍼부(200)로부터 낙하된 시멘트를 수용하여 이동시키고, 이를 다시 대차부(100)에 낙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eeder unit 400 is located between the cart unit 100 and the hopper unit 200. In addition, it serves to accommodate and move the cement that has fallen from the hopper unit 200 and drop it back to the bogie unit 10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피더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피더부 및 컨베이어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피더부를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피더부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feeder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feeder unit and the conveyor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the feeder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FIG. 6 will explain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feeder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피더부(400)는 피더프레임(401), 피더헤드풀리(410), 피더테일풀리(420), 피더캐리어롤러(430), 피더리턴롤러(440), 피더벨트(450), 피더텐셔너(460), 피더모터(470), 피더사이드월(480) 및 피더가이드(490)를 포함한다.The feeder unit 400 includes a feeder frame 401, a feeder head pulley 410, a feeder tail pulley 420, a feeder carrier roller 430, a feeder return roller 440, a feeder belt 450, and a feeder tensioner 460. ), a feeder motor 470, a feeder sidewall 480 and a feeder guide 490.

피더프레임(40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더프레임(401)은 대차부(100)에 결합된 서포트프레임부(900)에 의해 지지되며, 이를 통해 대차부(10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상부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The feeder frame 401 is preferably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eeder frame 40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unit 900 coupled to the carriage unit 100, and through this, it can be positioned at the top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rriage unit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

피더프레임(401)의 일단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피더헤드프레임(4011)이 형성되며, 피더프레임(401)의 타단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피더테일프레임(4012)이 형성된다.A feeder head frame 4011 having a hollow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eeder frame 401 , and a feeder tail frame 4012 having a hollow portion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eeder frame 401 .

피더헤드프레임(4011) 내에는 피더헤드풀리(4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피더테일프레임(4012) 내에는 피더테일풀리(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피더헤드풀리(410)는 피더모터(470)와 연동되어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게 된다. 피더헤드풀리(410)는 전자제어를 통해 회전이 제어된다.The feeder head pulley 410 is rotatably coupled within the feeder head frame 4011, and the feeder tail pulley 420 is rotatably coupled within the feeder tail frame 4012. At this time, the feeder head pulley 410 is interlocked with the feeder motor 470 to receive power and rotate. The rotation of the feeder head pulley 410 is controlled through electronic control.

피더벨트(450)는 피더헤드풀리(410), 피더테일풀리(420) 및 피더프레임(401)을 감싸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피더헤드풀리(4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피더벨트(450)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eeder belt 450 rotates while surrounding the feeder head pulley 410, the feeder tail pulley 420, and the feeder frame 40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eeder belt 450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eeder head pulley 410 .

피더캐리어롤러(430)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된다. 피더캐리어롤러(430)는 피더헤드풀리(410)와 피더테일풀리(420) 사이에 위치되며, 피더벨트(450)와 맞닿아 이를 지지하게 된다. 피더캐리어롤러(430)의 구성으로 인해, 피더벨트(450)의 회전 안정성이 증대되며, 시멘트가 컨베이어부(500) 외로 낙하하는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feeder carrier rollers 430 are form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eeder carrier roller 430 is positioned between the feeder head pulley 410 and the feeder tail pulley 42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eeder belt 450 to support it.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eeder carrier roller 430, rotational stability of the feeder belt 450 is increased, and the probability of cement falling out of the conveyor unit 500 can be minimized.

이때, 도 7을 참조하여 피더캐리어롤러(4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feeder carrier roller 4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피더캐리어롤러(430)는 센터피더캐리어롤러(431) 및 사이드피더캐리어롤러(432)를 구비한다. 사이드피더캐리어롤러(432)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센터피더캐리어롤러(431)의 양단에 위치된다. 센터피더캐리어롤러(431) 및 한 쌍의 사이드피더캐리어롤러(432)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eeder carrier roller 430 includes a center feeder carrier roller 431 and a side feeder carrier roller 432 . The side feeder carrier rollers 432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center feeder carrier roller 431.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feeder carrier roller 431 and the pair of side feeder carrier rollers 432 rotate independently.

이때, 센터피더캐리어롤러(431)는 대차부(100)와 평행하게 회전하나, 사이드피더캐리어롤러(432)의 중심축은 센터피더캐리어롤러(431)의 중심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꺾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사이드피더캐리어롤러(432)는 각각 동일한 경사만큼 꺾이되,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센터피더캐리어롤러(431)를 향하여 꺾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더벨트(450)는 센터피더캐리어롤러(431) 및 한 쌍의 사이드피더캐리어롤러(432)와 모두 맞닿아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enter feeder carrier roller 431 rotates in parallel with the bogie 100, but the central axis of the side feeder carrier roller 432 is bent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enter feeder carrier roller 431. do. At this time, preferably, the pair of side feeder carrier rollers 432 are bent by the same inclination, but preferably bent toward the center feeder carrier roller 431 in a direction that becomes closer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feeder belt 450 comes into contact with both the center feeder carrier roller 431 and the pair of side feeder carrier rollers 432 to rotate.

따라서, 피더벨트(450)는 단면이 'U' 혹은 'V'자 형태를 이루며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피더벨트(450)의 양 측이 마치 '벽'이 형성된 것과 같은 구조가 형성되므로, 피더벨트(450)에 낙하된 시멘트가 피더벨트(450)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별도의 가이드 설치 없이도, 이러한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어 원가 절감에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설치 시, 피더벨트(450)에 낙하되는 시멘트 관찰이 어려우나, 가이드가 불요하므로 시멘트를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작업자의 즉각적인 대응력이 향상되는 장점 또한 있다.Accordingly, the feeder belt 450 rotates in a 'U' or 'V' shape in cross section. As a result, since both sides of the feeder belt 450 are formed as if 'walls' are formed,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separation of the cement dropped on the feeder belt 450 to the side of the feeder belt 450 there is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in cost reduction because these effects can be expressed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guide. In addition, when the guide is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observe the cement falling on the feeder belt 450, but since the guide is unnecessary, the cement can be directly observed, so the worker's immediate response ability is improved.

또한, 센터피더캐리어롤러(431) 및 한 쌍의 사이드피더캐리어롤러(432) 각각은 피더캐리어롤러잭(433)에 의해 고정된다. 피더캐리어롤러잭(433)은 일 지점서 변곡된 프레임이며, 중심축과 결합된 프레임을 동시에 관통하여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center feeder carrier roller 431 and the pair of side feeder carrier rollers 432 is fixed by a feeder carrier roller jack 433. The feeder carrier roller jack 433 is a frame bent at one point, and serves to support it by simultaneously penetrating the frame coupled to the central axis.

피더리턴롤러(440)는 피더프레임(401)의 하부에 결합된다. 피더리턴롤러(440)는 피더벨트(450)와 맞닿으며, 피더벨트(450)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eeder return roller 44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er frame 401. The feeder return roller 4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eeder belt 450 and serves to prevent the feeder belt 450 from sagging.

피더텐셔너(460)는 피더테일풀리(420)의 중심축과 연동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피더텐셔너(460)에 따라, 피더테일풀리(420)의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피더텐셔너(460)는 피더텐션볼트(461)를 포함한다. 피더텐션볼트(46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feeder tensioner 460 is interlocked and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feeder tail pulley 420 . Accordingly, movement of the central axis of the feeder tail pulley 4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feeder tensioner 460 . The feeder tensioner 460 includes a feeder tension bolt 461. The feeder tension bolt 46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screw thread.

롤러 및 벨트 타입의 구조는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벨트의 늘어짐 현상 등으로 인해 피더벨트(450)의 텐션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때, 작업자가 피더텐션볼트(461)의 조절을 통해 피더테일풀리(420)의 중심축 이동이 가능해지며, 다시 피더벨트(450)의 텐션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oller and belt type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tension of the feeder belt 450 drops due to a belt sagging phenomenon when continuously used. 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move the central axis of the feeder tail pulley 420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feeder tension bolt 461,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ension of the feeder belt 450 can be increased again.

피더사이드월(480)은 피더프레임(401)의 일단 및/또는 타단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피더프레임(401)의 일단 및/또는 타단에서 낙하된 시멘트가 피더사이드월(480)에 의해 측부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컨베이어부(500) 외로 낙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eeder sidewall 480 is formed at one end and/or the other end of the feeder frame 401,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toward the bottom. Therefore, since the movement of the cement dropped from one end and/or the other end of the feeder frame 401 to the side is restricted by the feeder sidewall 48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falling outside the conveyor unit 500 can be minimized. .

또한, 피더사이드월(480)의 하부에는 피더가이드(490)가 보강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제1 가이드(230) 및 제2 가이드(280)와 동일한 원리이다.In addition, the feeder guide 490 may be reinforced under the feeder sidewall 480, which is the same principle as the first guide 230 and the second guide 280 described above.

전술한 피더부(400)를 종합하면, 호퍼부(200)에서 낙하된 시멘트는 피더부(400)의 피더벨트(450)에 안착된다. 이때, 피더벨트(450)는 피더헤드풀리(410)의 리드로 인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시멘트 또한 이동된다. 피더벨트(450)가 변곡되는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피더벨트(450)에 안착되어 있는 시멘트가 낙하하게 되며, 이는 피더부(400)의 하부에 위치된 컨베이어부(500)에 안착된다.Combining the feeder unit 400 described above, the cement dropped from the hopper unit 200 is seated on the feeder belt 450 of the feeder unit 400. At this time, the feeder belt 450 rotates due to the lead of the feeder head pulley 410, and the cement is also moved correspondingly. When the feeder belt 450 reaches the inflection point, the cement seated on the feeder belt 450 falls, and is seated on the conveyor unit 500 located below the feeder unit 400.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호퍼부(200)에서 컨베이어부(500)에 공급되는 시멘트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피더벨트(450)의 회전 정도(회전수)와 호퍼부(200) 내의 시멘트의 잔여량을 연동하여 원하는 만큼의 정량화된 시멘트를 컨베이어부(500)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컨베이어부(500)는 믹서부(600)와 연동되므로, 결론적으로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모르터의 양을 정량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cement supplied from the hopper unit 200 to the conveyor unit 500 can be adjusted. That is, the amount of quantified cement can be supplied to the conveyor unit 500 by interlocking the rotation degree (revolution number) of the feeder belt 450 and the remaining amount of cement in the hopper unit 200. Since the conveyor unit 500 is interlocked with the mixer unit 60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mortar finally produced can be quantified.

이때, 피더부(400)는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퍼부(200)도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호퍼부(200)의 하부에 각각의 피더부(400)가 위치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eeder unit 400 is formed as a pai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hopper units 200 are also formed. Each feeder unit 400 is located under each hopper unit 200 .

또한, 한 쌍의 피더부(400)의 각각의 피더벨트(45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피더벨트(450)에 낙하된 시멘트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대차부(100)에 적재할 수 있는 시멘트의 양을 늘려 장비 내에서의 모르터의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가 컨베이어부(500)로 떨어지는 위치를 최대한 장비 중심부와 가깝게 두어 시멘트의 장비 외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eeder belts 450 of the pair of feeder units 400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se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ement dropped on each of the feeder belts 450 becomes closer to each other. it is desirable to be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of maximizing the output of mortar in the equipmen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cement that can be loaded on the bogie unit 100.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ement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equipment by placing the position where the cement falls to the conveyor unit 500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enter of the equipment.

컨베이어부(500)는 대차부(100)에 결합되며, 피더부(400)의 하부에 위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컨베이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부(500)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veyor unit 500 is coupled to the bogie unit 100 and is positioned below the feeder unit 400 . 9 is a side view of the conveyor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9,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conveyor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컨베이어부(500)는 제1 컨베이어프레임(510),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 컨베이어헤드풀리(530), 컨베이어테일풀리(540), 컨베이어캐리어롤러(550), 컨베이어서포트롤러(560), 컨베이어텐셔너(570), 컨베이어리턴롤러(580) 및 컨베이어벨트(590)를 포함한다.The conveyor unit 500 includes a first conveyor frame 510, a second conveyor frame 520, a conveyor head pulley 530, a conveyor tail pulley 540, a conveyor carrier roller 550, a conveyor support roller 560, It includes a conveyor tensioner 570, a conveyor return roller 580 and a conveyor belt 590.

제1 컨베이어프레임(5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차부(100)의 상부에서 평행하게 결합된다.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은 제1 컨베이어프레임(510)과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대차부(100)와 경사를 지니게 된다. 또한,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의 일단은 제1 컨베이어프레임(510)과 연동되고,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의 타단은 믹서부(600)의 상부와 연동된다.The first conveyor frame 5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in parallel at the top of the carriage unit 100. The second conveyor frame 5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or frame 5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n inclination with the carriage unit 100. 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conveyor frame 52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conveyor frame 5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veyor frame 520 is interlocked with the top of the mixer unit 600.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의 타단에는 컨베이어헤드풀리(530)가 위치되며, 제1 컨베이어프레임(510)의 단부에는 컨베이어테일풀리(540)가 위치된다. 이때, 컨베이어벨트(590)는 제1 컨베이어프레임(510),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 컨베이어헤드풀리(530) 및 컨베이어테일풀리(540)를 감싸 회전하게 된다. 회전 방향과 관련, 도 9를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벨트(590)에 안착된 시멘트가 믹서부(600)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onveyor head pulley 530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veyor frame 520, and a conveyor tail pulley 540 is positioned at an end of the first conveyor frame 510. At this time, the conveyor belt 590 wraps around the first conveyor frame 510, the second conveyor frame 520, the conveyor head pulley 530, and the conveyor tail pulley 540 to rotate. Regard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it is preferable to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FIG. 9 ,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ement seated on the conveyor belt 590 is rota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mixer unit 600 .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피더부(400)에서 낙하된 시멘트는 컨베이어벨트(590)에 안착된 뒤, 컨베이어벨트(590)의 이동에 대응하여 믹서부(600)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 구조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믹서부(600)의 상부에서 시멘트가 공급되므로, 시멘트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며 믹서부(600) 내에서 모르터를 제조하기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 믹서부(600) 하부에 시멘트가 공급되면, 시멘트가 상방으로 적층되면서 믹서부(600) 내에서 누적되는 구조가 형성되므로 믹서부(600)에서 배출이 어렵게 된다.Therefore, due to the above structure, the cement dropped from the feeder unit 400 is seated on the conveyor belt 590 and then moved to the top of the mixer unit 60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conveyor belt 590. This is because the inclined structur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since cement is supplied from the top of the mixer unit 600, smooth supply of cement is possible and it is easy to manufacture mortar in the mixer unit 600. When cement is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xer unit 600, a structure is formed in which cement is accumulated in the mixer unit 600 while being stacked upward, making it difficult to discharge the cement from the mixer unit 600.

컨베이어헤드풀리(530)는 컨베이어모터(531)와 연동되며, 일 예로 체인(532)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헤드풀리(530)의 리드에 의해 컨베이어벨트(590)가 회전되므로 컨베이어테일풀리(540)는 무동력을 회전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veyor head pulley 530 is interlocked with the conveyor motor 531 and receives power through, for example, the chain 532. Therefore, since the conveyor belt 590 is rotated by the lead of the conveyor head pulley 530, the conveyor tail pulley 540 can rotate without power. Due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컨베이어캐리어롤러(550)는 제1 컨베이어프레임(510) 및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의 상부에 위치되며, 복수 개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컨베이어캐리어롤러(550)는 컨베이어벨트(590)의 하부에 위치되며, 컨베이어벨트(5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veyor carrier rollers 550 are located above the first conveyor frame 510 and the second conveyor frame 520, and are formed in plurality and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veyor carrier roller 550 is positioned below the conveyor belt 590 and serves to support the conveyor belt 590.

컨베이어캐리어롤러(550)는 도 7을 참조하면, 센터컨베이어캐리어롤러(551) 및 한 쌍의 사이드컨베이어캐리어롤러(552)를 포함한다. 또한, 컨베이어캐리어롤러잭(553)을 포함한다. 이는 전술한 피더캐리어롤러(430)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하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conveyor carrier roller 550 includes a center conveyor carrier roller 551 and a pair of side conveyor carrier rollers 552 . It also includes a conveyor carrier roller jack 553. This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feeder carrier roller 430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o prevent redundant description.

컨베이어서포트롤러(560)는 제1 컨베이어프레임(510)과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의 접점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컨베이어프레임(510)과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의 접점에 위치된 컨베이어벨트(590)의 상부에 위치되어 컨베이어벨트(590)를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컨베이어프레임(510)과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의 접점에서 컨베이어벨트(590) 또한 경사에 의해 밴딩되어야 한다. 이때, 컨베이어서포트롤러(560)가 컨베이어벨트(590)를 가압하는 구조가 형성되므로, 컨베이어벨트(590)를 밴딩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접점에서의 시멘트의 이동이 원활하여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veyor support roller 560 is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conveyor frame 510 and the second conveyor frame 520, and is positioned at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conveyor frame 510 and the second conveyor frame 520.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on top of the conveyor belt 590 and press the conveyor belt 590.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veyor frame 510 and the second conveyor frame 520, the conveyor belt 590 should also be bent by an inclination. At this time, sinc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veyor support roller 560 presses the conveyor belt 590 is formed, the conveyor belt 590 can be bent, so that the cement moves smoothly at the contact point, thereby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There are advantages.

컨베이어텐셔너(570)는 컨베이어서포트롤러(560)의 중심축과 연동되어 컨베이어서포트롤러(560)의 중심축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컨베이어벨트(590)의 사용 연한으로 인해 텐션이 떨어진 경우, 컨베이어텐셔너(570)의 컨베이어텐션볼트(571)의 위치 조절을 통해 컨베이어벨트(590)에 텐션을 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피더텐셔너(460)의 효과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conveyor tensioner 570 is interlock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onveyor support roller 560 to allow the central axis of the conveyor support roller 560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Due to this, when the tension of the conveyor belt 590 has fallen due to the age of use, it is possible to apply tension to the conveyor belt 590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veyor tension bolt 571 of the conveyor tensioner 570, which is Since it is the same as the effect of the tensioner 460, redundant description is prevented.

컨베이어리턴롤러(580)는 컨베이어벨트(590)의 하부를 지지하여 컨베이어벨트(590)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컨베이어리턴롤러(580)는 전술한 피더리턴롤러(440)의 효과와 동일하다.The conveyor return roller 580 serves to prevent the conveyor belt 590 from sagging b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or belt 590 . The effect of the conveyor return roller 58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eeder return roller 440 described above.

워터탱크부(300)는 대차부(100)에 결합되며 물이 저장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호퍼부(200)에 인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tank unit 300 is coupled to the carriage unit 100 and stores water.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be adjacent to the hopper unit 20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워터탱크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의 워터탱크부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2에서는 워터탱크부(300)의 구성을 생략하였으며, 이는 내부 구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10 is a side view of the water tank portion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water tank unit of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in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tank unit 300 is omitted, which is to easily understand the internal configuration.

워터탱크부(300)는 워터스토리지(310), 워터펌프(320), 공급플랜지(330) 및 배출플랜지(340)를 포함한다. The water tank unit 300 includes a water storage 310, a water pump 320, a supply flange 330 and a discharge flange 340.

워터스토리지(310)는 물을 저장하는 곳으로, 서포트프레임부(9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storage 310 stores water and is prefer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900 .

워터펌프(320)는 대차부(100)의 일 지점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워터펌프(320)에는 공급플랜지(330) 및 배출플랜지(340)가 결합된다.The water pump 320 is preferably coupled to one point of the balance unit 100, and the supply flange 330 and the discharge flange 340 are coupled to the water pump 320.

공급플랜지(330)의 일단은 워터스토리지(310)에 결합되고, 공급플랜지(330)의 타단은 워터펌프(320)에 결합된다. 또한, 배출플랜지(340)의 일단은 믹서부(600)와 결합되고, 배출플랜지(340)의 타단은 믹서부(6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워터스토리지(310)에 저장된 물은 공급플랜지(330), 워터펌프(320) 및 배출플랜지(340)를 거쳐 믹서부(600)에 공급된다. 공급플랜지(330)의 일 지점에는 공급밸브(331)가 형성되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터탱크부(300) 또한 워터스토리지(310) 내의 물의 저장량을 정량화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supply flange 330 is coupled to the water storage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ly flange 330 is coupled to the water pump 320. In addition, one end of the discharge flange 340 is coupled to the mixer unit 600,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flange 340 is connected to the mixer unit 600. Thu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310 is supplied to the flange 330. ), the water pump 320 and the discharge flange 340 are supplied to the mixer unit 600. It is preferable that a supply valve 331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supply flange 330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tank unit 300 also includes a configuration capable of quantify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310 .

도 2를 참조하여 믹서부(600)를 설명하도록 한다.The mixer unit 6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믹서부(600)는 믹서스토리지(601), 믹서인렛(610), 믹서아웃렛(620) 및 믹서핸들(630)을 포함한다.The mixer unit 600 includes a mixer storage 601, a mixer inlet 610, a mixer outlet 620, and a mixer handle 630.

믹서스토리지(601)는 대차부(100)의 일 지점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베이어부(500)를 통해 시멘트를 공급받고, 워터탱크부(300)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 이로 인해, 믹서스토리지(601) 내에서 시멘트 및 물이 혼합되어 모르터가 제조된다. 믹서스토리지(601)는 회전하면서 혼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인 바 회전을 위한 상세한 구성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mixer storage 601 is preferably coupled to one point of the carriage unit 100, and receives cement through the conveyor unit 500 and water through the water tank unit 300. Due to this, cement and water are mixed in the mixer storage 601 to manufacture mortar. Mixer storage 601 can increase mixing efficiency while rotating, which is a well-known technique, so detailed configuration for rotation will be omitted.

믹서인렛(610)은 컨베이어부(500)의 단부와 연동되며, 컨베이어부(500)보다 수직 방향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컨베이어부(500)에서 낙하된 시멘트가 믹서인렛(610)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mixer inlet 610 is interlocked with the end of the conveyor unit 500 and is preferably located lower than the conveyor unit 500 in a vertical direction. This is because cement dropped from the conveyor unit 5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mixer inlet 610 .

믹서아웃렛(620)은 믹서핸들(630)의 회전과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믹서핸들(630)의 회전에 따라 틸팅 각도가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믹서아웃렛(620)을 통해 배출되는 모르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ixer outlet 620 preferably interlocks with the rotation of the mixer handle 630, and preferably has a tilting angle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ixer handle 630. Due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mortar discharged through the mixer outlet 620 can be adjusted.

공급부(700)는 주입구(710), 분사구(720) 및 공급모터(730)를 포함한다.The supply unit 700 includes an injection hole 710 , a spray hole 720 and a supply motor 730 .

주입구(710)는 믹서아웃렛(620)과 연동된다. 믹서아웃렛(620)을 통해 배출된 모르터는 주입구(710)를 통해 공급부(700) 내부로 유입되고, 펌프 역할을 하는 공급모터(730)를 기반으로 분사구(720)에서 고속 분사된다. 분사구(720)에 별도의 호스를 결합하여, 원하는 지점에 모르터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The inlet 710 is interlocked with the mixer outlet 620. The mortar discharged through the mixer outlet 620 is introduced into the supply unit 700 through the inlet 710 and is injected at high speed from the injection port 720 based on the supply motor 730 serving as a pump. By coupling a separate hose to the spray hole 720, it is possible to spray the mortar to a desired point.

제너레이터부(800)는 발전기 역할을 하며, 발전기는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generator unit 800 serves as a generator, and since the generator is a well-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서포트프레임부(900)는 대차부(100)에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서포트프레임부(900)는 베이스프레임(910), 기둥프레임(920) 및 경사프레임(930)을 지닌다. 베이스프레임(9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기둥프레임(92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베이스프레임(910) 및 기둥프레임(920)은 호퍼부(200), 워터탱크부(300) 등을 지지한다.The support frame part 900 is coupled to the bogie part 100 and serves to suppor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unit 900 has a base frame 910, a column frame 920 and an inclined frame 930. The base frame 9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illar frame 92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ase frame 910 and the pillar frame 920 support the hopper unit 200 and the water tank unit 300.

경사프레임(930)은 대차부(100)의 일 지점에 결합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을 지지한다. 이를 통해, 경사진 제2 컨베이어프레임(5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inclined frame 930 is coupled to one point of the bogie unit 100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second conveyor frame 520 .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inclined second conveyor frame 520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를 통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부(100) 내에서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신속하게 모르터를 제조하고, 타켓팅 위치의 근처에 대차부(100)를 이동시켜 모르터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멘트와 물의 공급량을 정량화하여 원하는 수준의 모르터를 예측 가능한 범위에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증대되어, 종래의 전체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this way, through the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tar is quickly manufactured by an automated system within the bogie unit 100 movable along the rail, and the bogie unit 100 near the targeting position You can spray the mortar by moving it.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desired level of mortar can be manufactured in a predictable range by quantifying the amount of cement and water supplied. Due to this, the work efficiency is increased,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total work time being long.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find the spirit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대차부,
200 : 호퍼부,
300 : 워터탱크부,
400 : 피더부,
500 : 컨베이어부,
600 : 믹서부,
700 : 공급부,
800 : 제너레이터부,
900 : 서포트프레임부.
100: balance sheet,
200: hopper part,
300: water tank part,
400: feeder unit,
500: conveyor unit,
600: mixer unit,
700: supply unit,
800: generator unit,
900: support frame part.

Claims (7)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부;
상기 대차부에 결합되되, 시멘트가 저장되는 호퍼부;
상기 대차부에 결합되되,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부;
상기 대차부에 결합되되, 상기 워터탱크부와 연동되어 물을 공급받는 믹서부; 및
상기 호퍼부에서 낙하된 시멘트를 상기 믹서부에 공급하는 컨베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믹서부에 공급된 시멘트 및 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모르터가 분사되고, 이를 통해 철도 콘크리트궤도를 형성하고,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대차부에 결합되는 제1 컨베이어프레임;
상기 제1 컨베이어프레임과 연결되되, 상기 대차부와 경사를 지닌 제2 컨베이어프레임;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프레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프레임을 따라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부로부터 낙하된 시멘트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안착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믹서부의 상부에 공급되고,
상기 대차부와 상기 호퍼부 사이에 위치되어 시멘트의 상기 믹서부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피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더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피더프레임;
상기 피더프레임의 일단에 위치되어 회전 가능한 피더헤드풀리;
상기 피더프레임의 타단에 위치되어 회전 가능한 피더테일풀리; 및
상기 피더프레임, 피더헤드풀리 및 상기 피더테일풀리를 따라 회전하는 피더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부에서 낙하된 시멘트는 상기 피더벨트에 안착되고, 상기 피더벨트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낙하되므로 상기 피더벨트의 회전 정도에 따라 시멘트의 공급량이 조절되고,
상기 피더부는,
상기 피더테일풀리의 중심축과 연동되어 결합되는 피더텐셔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더텐셔너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피더텐션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피더텐션볼트의 조절을 통해 상기 피더테일풀리의 중심축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더벨트의 텐션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컨베이어프레임과 상기 제2 컨베이어프레임의 접점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누르는 컨베이어서포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서포트롤러의 중심축과 연동되어 결합되는 컨베이어텐셔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텐셔너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컨베이어텐션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컨베이어텐션볼트의 조절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서포트롤러의 중심축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
a bogie unit movable along the rail;
Doedoe coupled to the bogie portion, a hopper portion in which cement is stored;
a water tank unit coupled to the bogie unit and storing water;
a mixer unit connected to the bogie unit and interlocked with the water tank unit to receive water; and
A conveyor unit supplying the cement dropped from the hopper unit to the mixer unit;
The mortar formed by mixing the cement and water supplied to the mixer unit is sprayed, thereby forming a railway concrete track,
The conveyor part,
A first conveyor frame coupled to the balance unit;
a second conveyor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or frame and having an inclination with the bogie part; and
A conveyor belt rotating along the first conveyor frame and the second conveyor frame; includes,
The cement dropped from the hopper unit is seated on the conveyor belt, moves along the conveyor belt, and is supplied to the top of the mixer unit,
A feeder unit located between the carriage unit and the hopper unit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cement to the mixer unit; further comprising,
The feeder part,
Feeder fram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tatable feeder head pulley located at one end of the feeder frame;
a rotatable feeder tail pulley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feeder frame; and
A feeder belt rotating along the feeder frame, the feeder head pulley, and the feeder tail pulley,
The cement dropped from the hopper unit is seated on the feeder belt and moves along the feeder belt, and since it falls on the conveyor belt, the amount of cement supplie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feeder belt,
The feeder part,
A feeder tensioner interlocked with and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feeder tail pulley, wherein the feeder tensioner includes a feeder tension bolt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eeder tension bolt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feeder tension bolt. The central axis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the tension of the feeder belt,
At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conveyor frame and the second conveyor frame, a conveyor support roller located above the conveyor belt and pressing the conveyor belt; further comprising,
A conveyor tensioner interlocked with and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nveyor support roller, wherein the conveyor tensioner includes a conveyor tension bol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veyor support roller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conveyor tension bolt.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axis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crease the tension of the conveyor belt
Railroad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부는,
상기 피더헤드풀리 및 상기 피더테일풀리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피더벨트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피더캐리어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
According to claim 1,
The feeder par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eeder carrier roller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eeder head pulley and the feeder tail pulley to support the feeder belt
Railroad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 및 상기 피더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피더부의 각각의 상기 피더벨트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되, 각각의 상기 피더벨트에 낙하된 시멘트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방향이 설정되는 것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
According to claim 1,
The hopper part and the feeder part are formed as a pair,
Each of the feeder belts of the pair of feeder units rotates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rotation direction is se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ement dropped on each of the feeder belts becomes closer to each other.
Railroad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에는 로드셀이 형성되어,
시멘트의 낙하에 따른 상기 호퍼부 내의 시멘트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
According to claim 1,
A load cell is formed in the hopper par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cement in the hopper part according to the fall of cement
Railroad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에는 바이브레이터가 형성되어, 상기 호퍼부에 진동을 전달하여 시멘트의 낙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인
철도 콘크리트궤도 모르터 급속시공 장비.
According to claim 1,
A vibrator is formed in the hopper part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hopper part to facilitate the fall of cement.
Railroad concrete track mortar rapid construction equipment.
KR1020220006559A 2021-12-27 2022-01-17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fill up machine KR10246446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8247 2021-12-27
KR1020210188247 2021-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469B1 true KR102464469B1 (en) 2022-11-18

Family

ID=8423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559A KR102464469B1 (en) 2021-12-27 2022-01-17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fill up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46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026Y1 (en) * 2007-03-12 2008-05-20 정도산업 주식회사 Weighting apparatus of batch plant
KR101731414B1 (en) * 2015-06-29 2017-05-02 서울메트로 Rail stations Concrete Supply
KR102093669B1 (en) * 2017-04-05 2020-03-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ortar supplying equipment for fast-hardening track for improving ballast track
KR102121029B1 (en) 2020-02-06 2020-06-10 정주건설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of railroad way concre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026Y1 (en) * 2007-03-12 2008-05-20 정도산업 주식회사 Weighting apparatus of batch plant
KR101731414B1 (en) * 2015-06-29 2017-05-02 서울메트로 Rail stations Concrete Supply
KR102093669B1 (en) * 2017-04-05 2020-03-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ortar supplying equipment for fast-hardening track for improving ballast track
KR102121029B1 (en) 2020-02-06 2020-06-10 정주건설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of railroad way concre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4042B (en) Prestressed pipe pile production system
PL129816B1 (en) Mobile machine for cleaning aggregate bed and method of treating aged aggregate
KR102450934B1 (en) mortar mixing equipment for precast concrete track slab construction
KR101731414B1 (en) Rail stations Concrete Supply
CN201297025Y (en) Hydraulic vibrating type wall plastering machine
KR102464469B1 (en) Railway concrete track mortar fill up machine
CN112878714B (en) Automatic brick laying machine for building engineering
JP2016061131A (en) Loading device, loading system and levee body construction method
RU2247804C1 (en) Tie renewal machine and method of renewal of ties
EP0947630B1 (en) Stone metering system for railroad track maintenance vehicle
CN216465291U (en) Concrete prefabricated part pouring device
CN215755277U (en) Stock yard system
JPS5929723B2 (en) A crushed rock cleaning mechanism that can operate even on branch tracks, extracting crushed rock from the roadbed, separating it for cleaning, and refilling it.
CN111827150B (en) Reinforcing method for additionally arranging new arch ring under main arch ring of old stone arch bridge
KR100476477B1 (en) Slip form paver casting concrete in the slope of a embankment
CN107288347A (en) A kind of concrete placing installation and the concreting method using the equipment
KR100222656B1 (en)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reinforcing rod
US3274659A (en)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articles
CN113403916A (en) Concrete pavement paver and concrete paving method
CN207415604U (en) Split vibration platform mechanism
RU69448U1 (en) LOADING SYSTEM OF THE TECHNOLOGICAL LINE FOR THE PRODUCTION OF BUILDING MIXES
KR20060072651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materials of freight car from scattering thereof
JP3381044B2 (en) Dam construction method
CN219671351U (en) Quick pouring device for dam concrete
CN217992952U (en) Concrete pipe form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