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302B1 -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302B1
KR102464302B1 KR1020220058212A KR20220058212A KR102464302B1 KR 102464302 B1 KR102464302 B1 KR 102464302B1 KR 1020220058212 A KR1020220058212 A KR 1020220058212A KR 20220058212 A KR20220058212 A KR 20220058212A KR 102464302 B1 KR102464302 B1 KR 10246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count
shopping mall
platfor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우창
Original Assignee
(주)커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커넥 filed Critical (주)커넥
Priority to KR102022005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6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messaging services or messaging ap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상기 유저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들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가 포함된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계정 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정보 저장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하는 연동 설정 단계; 및 상기 계정 정보가 링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인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LINKING INTEGRATED MANAGED ACCOUNT INFORMATION TO SHOPPING MALL ACCOUNTS}
본 발명은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계정 정보를 수신 시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하는 경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한 상태에서,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 정보를 통해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빅 테크를 중심으로 한 간편 결제 시장이 성장하면서, 간편 결제 서비스의 일 평균 이용 금액은 4492억원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하였으며, 카드의 일 평균 이용 금액은 2조 5210억원으로 전년 대비 0.6%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그러나, 간편 결제 서비스 시장의 규모가 급성장하는데 반면에 기존의 결제 시장의 규모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카드사들이 결제 부문 점유율에 위기감을 느낌에 따라 자사 플랫폼 강화를 통해 간편 결제 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10-2390349(디바이스 인증 기반 간편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에는 결제 정보에 사용자 설정 비밀번호를 결합해 고유 키 값을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에서는 단순히 사용자로부터 결제 정보와 간편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키를 수신 시, 모바일 단말의 간편 결제를 위한 고유 키 값을 생성하여, 생성된 고유 키 값을 활용해 모바일 단말의 간편 결제를 수행하는 기술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계정 정보를 수신 시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하는 경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한 상태에서,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 정보를 통해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을 통해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계정 정보를 수신 시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하는 경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한 상태에서,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 정보를 통해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개의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 시, 결제 정보를 별도로 입력하지 않고도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연동해 결제를 진행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이 향상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상기 유저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들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가 포함된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계정 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정보 저장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하는 연동 설정 단계; 및 상기 계정 정보가 링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인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정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핀 테크 플랫폼 가입 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플랫폼에서 활동한 상기 유저 계정의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 설정 단계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설정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설정 요청 수신 단계의 기능이 완료되면, 상기 유저 계정이 접속된 전자 장치에 열람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알람 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열람 요청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람 요청 정보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된 승인 허가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승인 허가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정 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쇼핑몰 플랫폼인 제2 쇼핑몰 플랫폼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2 쇼핑몰 계정이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2 쇼핑몰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인 허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세부 정보들에 대한 열람 범위가 설정된 정보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동 설정 단계는, 상기 승인 허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승인 허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하는 링크 모드 설정 단계; 및 상기 링크 모드 설정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 저장된 혜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 개의 혜택 정보 중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혜택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하는 혜택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혜택 제공 단계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열람 가능한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혜택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쇼핑몰 계정 각각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상기 지정된 동작 중 제1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을 완료하는 정보 연동 단계; 상기 정보 연동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활동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광고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광고 키워드에 기반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계; 및 상기 정보 연동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상기 지정된 동작 중 제2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결제한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해 상기 상품을 결제한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되는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결제 프로세스 진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상기 유저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들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가 포함된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계정 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하는 연동 설정부; 및 상기 계정 정보가 링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인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상기 유저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들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가 포함된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계정 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정보 저장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하는 연동 설정 단계; 및 상기 계정 정보가 링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인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은 핀 테크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복수 개의 플랫폼에 등록된 플랫폼 계정에 연동 가능하여, 플랫폼 계정에 여러 개의 결제 수단을 등록할 필요 없이 사용자에게 빠르고 간편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플랫폼에게 플랫폼 계정에 대한 유지 및 관리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의 연동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장치의 승인 허가 정보 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장치의 연동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의 서비스 제공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은 정보 저장 단계(S101 단계), 연동 설정 단계(S103 단계) 및 서비스 제공 단계(S10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이하, 프로세서로 칭함)는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유저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들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가 포함된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계정 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핀 테크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 정보가 포함된 계정 정보가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유저 계정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써, 보다 자세하게, 사용자가 핀 테크 플랫폼 가입 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예: 인명정보)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플랫폼(예: 쇼핑몰 플랫폼, 스트리밍 플랫폼 및 서비스 구독 플랫폼 등)에서 활동한 플랫폼 계정의 활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플랫폼에서 활동한 플랫폼 계정(예: 유저 계정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계정)의 활동 로그 정보로써, 사용자가 핀 테크 플랫폼에 회원 가입 시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복수 개의 플랫폼에 가입된 유저 계정(예: 플랫폼 계정)의 식별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 개의 플랫폼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식별은 사용자 정보의 동일 여부에 기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때 식별되는 플랫폼 계정은 상기 핀 테크 플랫폼과 사전 협의(예: 정보 열람 및 송수신 동의)된 복수 개의 플랫폼에 가입되어 있는 계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수단 정보는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정보로써, 보다 자세하게는 온라인 상에서 상거래 시, 상기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를 진행할 때 필요한 결제 수단에 매칭된 카드 번호, 유효 기간, CVC 코드, 비밀번호 및 휴대폰 번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계정 정보를 상기 토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경우, 연동 설정 단계(S10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 저장 단계(S101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핀 테크 플랫폼에 유저 계정 가입 시 등록하였던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플랫폼 계정이 접속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핀 테크 플랫폼의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각각에서 관리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가 연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각각에 접속하는 쇼핑몰 계정의 접속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인 유저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쇼핑몰 계정의 접속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접속한 제1 쇼핑몰 계정에 계정 정보를 연동하기 위해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접속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모드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활동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 측에서 열람해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 가능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모드로써, 보안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제1 쇼핑몰 플랫폼 측에서 일시적으로 연동하도록 승인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 설정이 완료되면, 서비스 제공 단계(S10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계정 정보가 링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 정보를 통해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동작은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 상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의 사용자가 수행하는 동작으로써, 결제 동작, 장바구니 조회 동작, 배송 조회 동작 등 상기 핀 테크 플랫폼과 상기 쇼핑몰 플랫폼에서 지정한 동작일 수 있으며, 상기 계정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활동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핀 테크 플랫폼과 상기 복수 개의 플랫폼 각각이 연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수행하는 동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쇼핑몰 계정의 활동 정보인 활동 로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제1 쇼핑몰 계정에 의한 지정된 동작의 수행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동작이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함으로써,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된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형 광고를 출력하도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된 결제 수단 정보는 상기 계정 정보에 설정된 링크 모드 해지되는 경우, 제1 쇼핑몰 계정과의 연동이 해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맞춤형 광고는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광고 컨텐츠로써, 상기 복수 개의 플랫폼에서 활동한 플랫폼 계정의 활동 로그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의 연동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은 연동 설정 단계(예: 도 1의 연동 설정 단계(S10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동 설정 단계는 정보 저장 단계(예: 도 1의 정보 저장 단계(s103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이 접속하는 경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를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동 설정 단계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단계로써, 설정 요청 수신 단계(S201 단계), 알람 정보 전송 단계(S203 단계) 및 허가 정보 수신 단계(S20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이하, 프로세서로 칭함)는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정보를 가지는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의 계정 정보를 링크 모드로 설정하기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쇼핑몰 플랫폼인 제2 쇼핑몰 플랫폼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2 쇼핑몰 계정이 제2 쇼핑몰 플랫폼에 접속하는 경우, 제2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제2 쇼핑몰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기존에 연동되어 있는 복수의 플랫폼뿐만 아니라 새로운 쇼핑몰이 개설되어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새롭게 연동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람 정보 전송 단계(S20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요청 수신 단계(S201 단계)의 기능이 완료되면, 상기 유저 계정이 접속된 전자 장치에 열람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요청 신호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유저 계정이 접속된 전자 장치에 상기 열람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열람 요청 정보는 상기 요청 신호에 기반해 상기 유저 계정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의 모드를 링크 모드로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알람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열람 요청 정보를 통해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 유무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제1 쇼핑몰 계정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전자 장치(예: 데스크 탑, 랩 탑, 스마트 폰 등)를 사용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이 접속된 상태의 전자 장치에게 상기 열람 요청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열람 요청 정보를 통해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 유무를 제어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저 계정이 접속된 전자 장치에 열람 요청 정보를 전송한 경우, 승인 허가 정보 수신 단계(S20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열람 요청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람 요청 정보를 통해 개인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된 승인 허가 정보를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예: 유저 계정이 로그인된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승인 허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승인 허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람 요청 정보에 기반해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 여부를 결정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인 허가 정보는, 사용자가 개인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로써, 사용자에 의해 개인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세부 정보들에 대한 열람 범위가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승인 허가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이름 정보, 성별 정보, 생년월일 정보, 메일 정보와 활동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플랫폼 각각에서 활동한 사용자의 활동 로그 정보들과 결제 수단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가 보유한 복수 개의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정보와 같은 세부 정보 각각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링크 모드가 설정되어 열람 범위가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장치의 승인 허가 정보 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장치는 승인 허가 정보 수신부(300)(예: 도 2의 승인 허가 정보 수신 단계(S205 단계)와 동일한 기능 수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인 허가 정보 수신부(300)가 상기 열람 요청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기 이전에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하는 경우, 설정 요청 수신부(예: 도 2의 설정 요청 수신 단계(S201 단계))가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요청 수신부가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알람 정보 전송부(예: 도 2의 알람 정보 전송 단계(S203 단계))는 유저 계정이 접속된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상기 요청 신호에 기반한 알람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인 허가 정보 수신부(300)는, 열람 요청 정보가 전자 장치에 전송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열람 요청 정보를 통해 개인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된 승인 허가 정보(301)를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인 허가 정보(301)는, 사용자가 개인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로써, 사용자에 의해 개인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세부 정보들에 대한 열람 범위가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열람 요청 정보에 기반해 개인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개인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중 성명 정보, 생년월일 정보, 성별 정보 및 메일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결제 수단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삼성 카드"의 결제 수단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상기 개인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을 완료한 상태에서 전송 버튼을 터치(또는 클릭)하는 경우, 링크 모드의 설정이 완료된 세부 정보들에 기반한 승인 허가 정보(301)가 생성되고, 상기 승인 허가 정보 수신부(300)는 생성된 승인 허가 정보(301)를 사용자의 유저 계정이 로그인된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상기 승인 허가 정보 수신부(300)가 상기 승인 허가 정보(301)를 수신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열람 요청 정보에 기반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를 추가로 설정하거나 설정된 링크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링크 모드로 설정된 "삼성 카드"의 결제 수단 정보가 제1 쇼핑몰 플랫폼의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연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링크 모드로 설정된 "삼성 카드"의 결제 수단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연동되어 있던 "삼성 카드"의 결제 수단 정보의 연동을 중간 해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장치의 연동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장치는 연동 설정부(400)(예: 도 1의 연동 설정 단계(S103 단계)와 동일한 기능 수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동 설정부(400)는 정보 저장부(예: 도 1의 정보 저장 단계(S101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401a)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403a)이 접속 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401a)에 저장된 계정 정보(401b)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403a)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동 설정부(400)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구성으로, 링크 모드 설정부(401) 및 혜택 제공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모드 설정부(401)는 승인 허가 정보 수신부(예: 도 3의 승인 허가 정보 수신부(300))가 전자 장치로부터 승인 허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승인 허가 정보를 기반으로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상기 링크 모드 설정부(401)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열람 요청 정보에 기반해 개인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세부 정보들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된 승인 허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승인 허가 정보를 통해 통합 데이터베이스(401a)에 저장되어 있는 계정 정보(401b)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링크 모드 설정부(401)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승인 허가 정보를 통해 통합 데이터베이스(401a)에 저장되어 있는 계정 정보(401b)의 링크 모드를 설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계정 정보(401b)는 상기 전자 장치에 로그인(또는 접속)되어 있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모드 설정부(401)에 의해 링크 모드로 설정된 통합 데이터베이스(401a)에 저장된 계정 정보(401b)는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쇼핑몰 계정(403a)과 연동될 준비가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혜택 제공부(403)는 상기 링크 모드 설정부(401)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 저장된 혜택 데이터베이스(405)에 저장된 복수 개의 혜택 정보 중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혜택 정보를 식별하여, 식별된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제1 쇼핑몰 계정(403a)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저장된 혜택 데이터베이스(405)는 핀 테크 플랫폼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들 각각에 대응되는 혜택에 관한 복수 개의 혜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혜택 제공부(403)가 상기 복수 개의 혜택 정보 중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 중 혜택을 제공하는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혜택 정보 각각에는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플랫폼 각각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가 입력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혜택 제공부(403)는 상기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통해 복수 개의 플랫폼 각각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 중 혜택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혜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혜택 정보는 결제 수단마다 매칭되어 있는 혜택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 개의 혜택 정보는 복수 개의 결제 수단 중 하나를 통해 제1 쇼핑몰 계정(403a)이 구매하려는 상품을 결제 시, 상품을 결제한 결제 수단을 사용한 보상으로써, 제1 쇼핑몰 계정(403a)에게 제공되는 혜택(예: 할인, 페이백, 사은품 증정 등)과 관련된 세부 정보(예: 할인률, 페이 백 금액, 결제한 금액에 따라 구분된 사은품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혜택 정보는 사은품 유형 정보, 무이자 할부 유형 정보, 할인 유형 정보, 페이 백 유형 정보 및 쿠폰 유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쇼핑몰 계정(403a)이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제1 상품을 구매해 제1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되는 "국민카드"로 제1 상품을 결제하는 경우, 상기 혜택 제공부(403)에 의해 식별된 혜택 정보를 통해 제1 쇼핑몰 계정(403a)에게 사은품 혜택, 무이자 할부 혜택, 할인 혜택, 페이 백 혜택 및 쿠폰 혜택 중 하나를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혜택 제공부(403)는 상기 제1 쇼핑몰 계정(403a)이 상기 제1 상품을 구매하기 이전에 상기 복수 개의 혜택 정보 중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혜택 정보를 식별한 상태에서, 계정 정보가 제1 쇼핑몰 계정(403a)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제1 상품을 결제한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혜택을 제1 쇼핑몰 계정(403a)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혜택 제공부(403)는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열람 가능한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혜택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쇼핑몰 계정에게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혜택 제공부(403)는 상기 링크 모드 설정부(401)에 의해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이 완료되면,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열람 가능한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상기 혜택 제공부(403)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플랫폼 중 상기 계정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계정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플랫폼 계정들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계정 정보를 열람 가능한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혜택 제공부(40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을 완료하면,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혜택 정보를 상기 기 저장된 혜택 데이터베이스(405)에서 식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쇼핑몰 계정에게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의 서비스 제공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은 서비스 제공 단계(예: 도 1의 서비스 제공 단계(S10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계정 정보가 링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 정보를 통해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단계로써, 정보 연동 단계(S501 단계), 컨텐츠 제공 단계(S503 단계) 및 결제 프로세스 진행 단계(S50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501 단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이하, 프로세서로 칭함)는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 중 제1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을 시작해 완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의 활동 로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활동 로그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 상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 중 제1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동작은 제1 쇼핑몰 플랫폼 상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의 사용자가 수행하는 동작으로써, 결제 동작, 장바구니 조회 동작, 배송 조회 동작 등 상기 핀 테크 플랫폼과 상기 쇼핑몰 플랫폼에서 지정한 동작일 수 있으며, 상기 계정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활동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장바구니 항목에 저장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1 쇼핑몰 계정이 장바구니에 상품을 저장하는 행위는 제1 상품을 구매할 의도가 있기 때문에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서 링크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을 시작해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되는 계정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성명 정보, 주소 정보, 나이 정보, 번호 정보 등이 연동될 수 있으며, 결제 수단 정보에 포함된 "국민 카드"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가 연동될 수 있다. 이 때, 연동되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링크 모드로 설정완료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계정 정보의 연동이 완료되면, 컨텐츠 제공 단계(S50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정보 연동 단계(S501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 및 활동 정보를 분석해 유저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광고 키워드에 기반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성별 정보, 연령 정보, 주소 정보와 더불어, 활동 정보에 기반한 복수 개의 플랫폼 상에서의 사용자의 활동 로그 정보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광고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 키워드를 활용해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이고, 나이가 25세인 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활동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활동 로그 정보를 확인해 사용자가 다이어트 용품 및 다이어트 식품을 판매하는 플랫폼에서의 로그 정보가 다수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와 활동 정보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광고 키워드로써, "다이어트", "운동 방법", "다이어트 식품" 등의 광고 키워드를 기 저장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고 키워드의 추출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광고 키워드에 기반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맞춤형 광고 컨텐츠로 선택해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은 제1 쇼핑몰 플랫폼은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하고 있는 동안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맞춤형 광고 키워드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추출된 맞춤형 광고 키워드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제공해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상기 맞춤형 광고 키워드를 활용해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지도 학습 알고리즘, 준지도 학습 알고리즘, 비지도 자율 학습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활동 정보를 통해 상황 별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 정보 및 활동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정보들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 및 학습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ANN 모델(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CNN 모델(convolution neural network model) 및 RNN 모델(recurrent neural network mode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모델의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 연동 단계(S501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경우, 결제 프로세스 진행 단계(S50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 연동 단계(S501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 중 제2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제1 쇼핑몰 계정이 결제한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해 상기 상품을 결제한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되는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의 활동 로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활동 로그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 상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 중 제2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은 장바구니 항목에 저장된 상품을 결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된 결제 수단 정보를 활용해 결제한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정보는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결제한 상품에 대한 정보(예: 상품 이름, 상품 스펙)와 더불어, 상품을 결제한 상거래 정보(예: 결제자 성명, 결제 수단, 결제 금액, 할부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의 수신을 완료하면, 상기 수신된 결제 정보를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금융 기관 서버는 상품을 결제한 결제 수단을 발행한 금융 기관의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금융 기관 서버에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EH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6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6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상기 유저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들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가 포함된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계정 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정보 저장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하는 연동 설정 단계; 및
    상기 계정 정보가 링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인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계정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핀 테크 플랫폼 가입 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플랫폼에서 활동한 상기 유저 계정의 활동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 설정 단계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설정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설정 요청 수신 단계의 기능이 완료되면, 상기 유저 계정이 접속된 전자 장치에 열람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알람 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열람 요청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람 요청 정보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된 승인 허가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승인 허가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 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쇼핑몰 플랫폼인 제2 쇼핑몰 플랫폼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2 쇼핑몰 계정이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2 쇼핑몰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승인 허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핀 테크 플랫폼 가입 시 입력한 성명, 생년월일, 성별 및 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플랫폼에서 활동한 플랫폼 계정의 활동 로그 정보인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세부 정보들에 대한 열람 범위가 설정된 정보이되,
    상기 연동 설정 단계는,
    상기 승인 허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승인 허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하는 링크 모드 설정 단계; 및
    상기 링크 모드 설정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 저장된 혜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 개의 혜택 정보 중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혜택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하는 혜택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혜택 제공 단계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열람 가능한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혜택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쇼핑몰 계정 각각에게 제공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상기 지정된 동작 중 제1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을 완료하는 정보 연동 단계;
    상기 정보 연동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활동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광고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광고 키워드에 기반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계; 및
    상기 정보 연동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상기 지정된 동작 중 제2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결제한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해 상기 상품을 결제한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되는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결제 프로세스 진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상기 유저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들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가 포함된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계정 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하는 연동 설정부; 및
    상기 계정 정보가 링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인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정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핀 테크 플랫폼 가입 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플랫폼에서 활동한 상기 유저 계정의 활동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 설정부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설정 요청 수신부;
    상기 설정 요청 수신부의 기능이 완료되면, 상기 유저 계정이 접속된 전자 장치에 열람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알람 정보 전송부; 및
    상기 열람 요청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람 요청 정보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된 승인 허가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승인 허가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 요청 수신부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쇼핑몰 플랫폼인 제2 쇼핑몰 플랫폼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2 쇼핑몰 계정이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2 쇼핑몰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승인 허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핀 테크 플랫폼 가입 시 입력한 성명, 생년월일, 성별 및 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플랫폼에서 활동한 플랫폼 계정의 활동 로그 정보인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세부 정보들에 대한 열람 범위가 설정된 정보이되,
    상기 연동 설정부는,
    상기 승인 허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승인 허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하는 링크 모드 설정부; 및
    상기 링크 모드 설정부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 저장된 혜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 개의 혜택 정보 중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혜택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하는 혜택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혜택 제공부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열람 가능한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혜택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쇼핑몰 계정 각각에게 제공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상기 지정된 동작 중 제1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을 완료하는 정보 연동부;
    상기 정보 연동부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활동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광고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광고 키워드에 기반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및
    상기 정보 연동부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상기 지정된 동작 중 제2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결제한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해 상기 상품을 결제한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되는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결제 프로세스 진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장치.
  10.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핀 테크 플랫폼의 회원으로 등록된 유저 계정으로부터 상기 유저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결제 수단들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가 포함된 계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계정 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정보 저장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유저 계정과 대응되는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키기 위해 링크 모드(link mode)로 설정하는 연동 설정 단계; 및
    상기 계정 정보가 링크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시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인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맞춤화된 광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계정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핀 테크 플랫폼 가입 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플랫폼에서 활동한 상기 유저 계정의 활동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 설정 단계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접속 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설정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설정 요청 수신 단계의 기능이 완료되면, 상기 유저 계정이 접속된 전자 장치에 열람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의 설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알람 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열람 요청 정보가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람 요청 정보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된 승인 허가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승인 허가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 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쇼핑몰 플랫폼인 제2 쇼핑몰 플랫폼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의 계정인 제2 쇼핑몰 계정이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2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2 쇼핑몰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의 설정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승인 허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핀 테크 플랫폼 가입 시 입력한 성명, 생년월일, 성별 및 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복수 개의 플랫폼에서 활동한 플랫폼 계정의 활동 로그 정보인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세부 정보들에 대한 열람 범위가 설정된 정보이되,
    상기 연동 설정 단계는,
    상기 승인 허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승인 허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링크 모드를 설정하는 링크 모드 설정 단계; 및
    상기 링크 모드 설정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 저장된 혜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 개의 혜택 정보 중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혜택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하는 혜택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혜택 제공 단계는,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 개의 쇼핑몰 플랫폼 중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열람 가능한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코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혜택 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한 혜택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플랫폼의 쇼핑몰 계정 각각에게 제공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계정 정보의 링크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상기 지정된 동작 중 제1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링크 모드로 설정된 계정 정보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 연동을 완료하는 정보 연동 단계;
    상기 정보 연동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활동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광고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광고 키워드에 기반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계; 및
    상기 정보 연동 단계의 기능 수행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상기 지정된 동작 중 제2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쇼핑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제1 쇼핑몰 계정이 결제한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해 상기 상품을 결제한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되는 금융 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결제 프로세스 진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20058212A 2022-05-12 2022-05-12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64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212A KR102464302B1 (ko) 2022-05-12 2022-05-12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212A KR102464302B1 (ko) 2022-05-12 2022-05-12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302B1 true KR102464302B1 (ko) 2022-11-09

Family

ID=8404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212A KR102464302B1 (ko) 2022-05-12 2022-05-12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3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372A (ko) * 2007-02-16 2008-09-18 배재광 결제수단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71839A (ko) * 2014-12-12 2016-06-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구매 상품에 대한 최적 정보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구매 상품에 대한 최적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01617A (ko) * 2020-06-30 2022-01-06 카페24 주식회사 고객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372A (ko) * 2007-02-16 2008-09-18 배재광 결제수단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71839A (ko) * 2014-12-12 2016-06-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구매 상품에 대한 최적 정보 제공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구매 상품에 대한 최적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01617A (ko) * 2020-06-30 2022-01-06 카페24 주식회사 고객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850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missions management
US10325307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a secure direct purchase option
WO2019196579A1 (zh) 智能券的发放方法、装置及利用智能券的核销方法、装置
US82346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upload of a program with export compliance information
CN108780550B (zh) 预先交易分期付款支付解决方案和分期付款模拟的方法和系统
US10242351B1 (en) Digital wallet for groups
JP7159310B2 (ja) 収集可能アイコンアニメーションを表示する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KR102285820B1 (ko) 유저의 의료 정보를 통한 의료용품 추천 및 판매 장치
KR102445745B1 (ko) 메타버스를 활용한 캐릭터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2016018408A (ja) 取引装置及びプログラム
Guarino et al. A machine learning-based approach to identify unlawful practices in online terms of service: analysi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CN107710264A (zh) 将报价动态链接到交易账户的方法和系统
KR102464302B1 (ko) 통합 관리되는 계정 정보를 쇼핑몰 계정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302600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post-transaction orders and redemption
CN104395922A (zh) 用于对手机钱包提供优惠价的系统、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Sitek et al. POS-originated transaction traces as a source of contextual information for risk management systems in EFT transactions
KR20200097140A (ko) 아이템 체험 서비스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53522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220245662A1 (en) Redemption Code Auto-Complete for Online Offers and Tracking
KR102419588B1 (ko) 개통 여부에 기반한 이동 단말기의 실시간 재고 확인 시스템
KR102484269B1 (ko) 퀴즈 형식의 휴대폰 잠금화면을 통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93609B1 (ko) 설치 장소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가 반영된 맞춤형 화면을 제공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시스템
KR102323300B1 (ko) 온라인 축의가 가능한 웨딩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634635B1 (ko) Nft를 활용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장치, 서버 및 방법
KR102590271B1 (ko)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한 제품 후기 콘텐츠 검증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