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012B1 - Gondola for work at height - Google Patents

Gondola for work at h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012B1
KR102464012B1 KR1020200132291A KR20200132291A KR102464012B1 KR 102464012 B1 KR102464012 B1 KR 102464012B1 KR 1020200132291 A KR1020200132291 A KR 1020200132291A KR 20200132291 A KR20200132291 A KR 20200132291A KR 102464012 B1 KR102464012 B1 KR 102464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ola
handrail
cage
work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8897A (en
Inventor
이동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곤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곤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곤도라
Priority to KR102020013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012B1/en
Publication of KR2022004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8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기술은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난간부; 및 상기 난간부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건물의 다양한 형상의 외벽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의 작업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 gondola for work at height. The gondola for work at height of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s a cage on which a worker rides, the cage comprising: a bottom; a handrail extending upwar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art; and a working part configured to be slidable to the front of the han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the working ability in the depth direction for exterior walls of various shapes of buildings is greatly improved.

Description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Gondola for work at height}Gondola for work at heigh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작업 반경이 확장된 곤도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ndola for work at heigh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ndola with an extended working radius.

건물용 곤도라는 건물 외부에 대한 고소 작업을 위한 장치이다. A gondola for a building is a device for aerial work on the exterior of a building.

일반적으로 건물용 곤도라는 건물의 이동용 레일 또는 고정 패드에 지지되는 프레임과, 이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건물의 외측으로 연장된 암, 이 암의 선단부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걸이 부재와, 일단부가 지지 프레임의 드럼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 부재를 경유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하향 연장된 와이어와, 이 와이어의 하단부에 매달리는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윈치 기구가 구비된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윈치 기구를 작동시켜 와이어를 풀거나 감음으로써, 케이지를 건물의 원하는 위치까지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general, a gondola for a building includes a frame supported on a moving rail or a fixed pad of a building, an arm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 hook member installed to protrude from one or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arm; , a wir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drum of the support frame and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via the hanging member, and a cage provided with a winch mechanism so as to unwind or wind the wire inside the wire suspended at the lower end of the wir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by operating the winch mechanism to unwind or wind the wire,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aise and lower the cage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building.

또한, 전측에 2 개의 와이어에 고정바를 설치하고 여기에 윈치를 설치하여 중량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fixing bar is installed on the two wires on the front side and a winch is installed here to support the weight.

이러한 곤도라를 이용함으로써 무거운 중량체 및 작업자를 싣고 높은 곳까지 이송할 수 있게 된다. By using such a gondola, it is possible to transport heavy objects and workers to high places.

특히, 최근에는 중량 및 부피가 큰 유리 등의 작업물을 고층 건물의 벽측에 부착 또는 교체하는 등의 공법도 많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또한 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건물의 외벽 디자인이 설계됨에 따라, 이러한 복잡한 디자인을 가진 외벽을 작업 시, 즉 예를 들어, 건물의 외벽이 돌출 또는 함몰된 부분을 가지도록 설계된 경우, 함몰된 건물의 외벽에 대해 작업 시, 단순 구조의 케이지 형태로 인해 정밀한 작업 수행이 어렵고, 함몰된 건물의 외벽에 밀착된 작업 수행이 상당히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construction methods such as attaching or replacing work pieces such as heavy and bulky glass to the wall side of high-rise buildings are also increasing. As designed, when working on an exterior wall with such a complex design,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is designed to have a protruding or recessed part, when working on the exterior wall of a depressed building, it is in the form of a cage with a simple structure. Due to this, it is difficult to perform precise work,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perform work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a collapsed building.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ong research and trial and erro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의 건물의 외벽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의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곤도라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ndola for improving the working ability in the depth direction for the exterior walls of various types of buildings.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는,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난간부; 및 상기 난간부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ondola for work at height, including a cage on which a worker rides, wherein the cage includes: a bottom; a handrail extending upwar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art; And it may include a working part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front of the handrail.

구체적으로, 상기 난간부는, 상기 바닥부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 난간; 및 상기 바닥부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방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후측 및 좌우측에만 각각 상기 후방 난간 및 상기 측방 난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전측에서 상기 작업부가 상기 후방 난간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후방 난간을 향하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andrail may include: a rear handrail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floor; and a side railing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or, wherein the bottom part has the rear railing and the side railing formed only on the rea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or, respectively, and the working 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floor part is the rear It may be formed to slide away from the handrail or toward the rear handrail.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측에서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방 난간; 및 상기 베이스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방 난간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추가 측방 난간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ork unit, the base; a front handrail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base; And it is form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it may include an additional side railing that is form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side railing.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측방 난간과 상기 케이지의 내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추가 측방 난간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it further comprises a sliding portion configured to slide with the additional side railing of the work portion, the sliding portion, the side railing and a base frame connec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age; and a slid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and configured to be slidable with the additional side railing.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더는, 복수 개의 롤러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lider may be a plurality of rollers.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작업부의 슬라이딩 운동에 대한 위치를 확정시키는 위치 확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정부는, 상기 작업부가 상기 케이지 내에 배치되는 기본 사용 모드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키며, 상기 작업부의 상기 전방 난간에 형성되는 제1 돌기;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돌기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제1 걸쇠; 상기 작업부가 상기 케이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 배치되는 개방 사용 모드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키며,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에 형성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걸쇠보다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돌기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제2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liding unit further includes a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position for the sliding motion of the work unit, wherein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 final position in the basic use mode in which the work unit is disposed in the cage, the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handrail of the work unit; a first latch which is rotatably formed in front of the base frame of the sliding part and is fixed or released with the first protrusion through rotation;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additional lateral railing of the work unit to determine a final position in the open use mode in which the work unit is slid forward of the cage to protrude; and a second latch which is rotatab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latch on the base frame of the sliding part, and is fixed or released with the second protrusion through rot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확정부는, 상기 기본 사용 모드시, 상기 제1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1 돌기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2 돌기와 해제되며, 상기 개방 사용 모드시, 상기 제2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2 돌기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1 돌기와 해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sitioning unit, in the basic use mode, the first latch is rotated and fixed by coupling with the first protrusion, the second latch is rotated and released with the second protrusion, and in the open use mode , The second latch may be rotated to be fixed by coupling with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first latch may be rotated to release the first protrusion.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에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걸리도록 상기 추가 측방 난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업부의 최대 슬라이딩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lid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part formed on the additional side railing of the working part, and the stopper par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additional side railing to be caught on one side of the slider, and the maximum of the working part It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sliding position.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부의 상기 전방 난간의 상측과 상기 난간부의 상기 측방 난간의 상측에 연결되되, 상기 작업부의 슬라이딩 운동 시 상기 작업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작업부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1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handrail of the work unit and the upper side of the lateral handrail of the handrail, and is formed to be movable together with the work unit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work unit, thereby preventing the work unit from falling. 1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부는, 체인 또는 신축가능한 부재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part may be a chain or a stretchable member.

구체적으로, 피작업물로부터 상기 케이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작업부의 추락을 추가 방지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피작업물로부터 상기 케이지를 향해 연장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과 상기 작업부의 상기 전방 난간의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된 후크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it is arranged to extend from the workpiece toward the cag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pport for additionally preventing the work part from falling, the second support part, the body extending from the workpiece toward the cage wealth;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front handrail of the working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caught by a hook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는,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는, 상기 곤도라의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식 난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ondola for work at height, and includes a cage on which an operator rides, the cage comprising: a frame part determ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gondola; and a movable handrail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to be slidably movable.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지원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부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부에 롤러 구조 및 하부에 레일 구조를 통한 구름 접촉을 갖고, 상기 제2 슬라이디웁는 상부에 레일 구조 및 하부에 롤러 구조를 통한 구름 접촉을 가질 수 있다. a first sliding unit supporting the sliding movement; and a second sliding unit disposed below the first sliding unit, wherein the first sliding unit has rolling contact through a roller structure at an upper portion and a rail structure at a lower portion, and a rail structur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lide-up and It may have rolling contact through a roller structure at the bottom.

본 기술에 따르면, 건물의 외벽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의 작업 능력이 향상되어, 건물의 외벽에 대한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the working ability in the dep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is improved, and precise work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is attained.

또한 건물의 외벽에 대해 밀착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work closely against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reby preventing worker safety accidents during work.

또한 위치 확정부 및 스토퍼 구조를 통해서 케이지의 슬라이딩 작동이 신뢰성 있게 구현된다. In addition,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cage is reliably implemented through the positioning unit and the stopper structure.

또한 2중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의 구조를 통해서 케이지의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획기적으로 예방한다. In addition,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cage is dramatically prevent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art formed in a double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슬라이딩부 상세도이다.
도 6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기본 상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가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개념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of a sliding part of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is a basic state diagram of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It is reveal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emplified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the interval are expres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the actual physical thicknes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ell-known componen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슬라이딩부 상세도, 도 6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기본 상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가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view of the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side view of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detailed view of a sliding part of the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 is a basic state diagram of the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this view It is a state diagram of a gondola in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a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케이지(10), 와이어(20), 블록스톱(30), 과부하 방지장치(40), 와인더(50) 및 모터(60)를 포함한다. 1 to 7, the gondol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ge 10, a wire 20, a block stop 30, an overload prevention device 40, and a winder ( 50 ) and a motor 60 .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gondol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곤도라(1)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rst, looking at the gondola (1) is as follows.

곤도라(1)는, 와이어(20)에 의해 매달려 있는 케이지(10)에 보조 와이어(부호 도시하지 않음), 블록스톱(30)과 과부하 방지장치(40)를 설치하여 추락 사고와 같은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곤도라(1)는 건물의 건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용 외에도 선박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건물용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gondola 1 installs an auxiliary wire (not shown), a block stop 30 and an overload prevention device 40 in a cage 10 suspended by a wire 20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a fall accident. provided for prevention. Here, the gondola 1 may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for ships in addition to building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for buildings will be mainly described.

블록스톱(30)은, 케이지(10)의 양측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블록스톱(30)은 와이어(20)의 절단 시 보조 와이어를 자동으로 잡아 케이지(10)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블록스톱(30)에는 보조 와이어가 설치된다. The block stop 30 is installed at both upper ends of the cage 10 , respectively. The block stop 30 serves to prevent the cage 10 from falling by automatically holding the auxiliary wire when the wire 20 is cut. At this time, an auxiliary wire is installed in the block stop 30 .

케이지(20)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작업자(3)가 발을 딛는 부위인 바닥부(11)와 바닥부(11)의 둘레를 따라 펜스 형태로 설치된 난간부(12)로 이루어진다. The cage 20 provides a working space, and is composed of a floor 11 , which is a site on which the operator 3 steps, and a handrail 12 installed in the form of a fe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loor 11 .

케이지(10)의 양측에는 각각 와인더(50)가 설치되며, 각각의 와인더(50)에는 모터(60)가 설치된다. Winders 5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age 10 , and a motor 60 is installed in each winder 50 .

와인더(50)에는 와이어(20)가 권취되며, 와인더(50)에 권취된 와이어(20)의 상단부는 건물의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2)에 연결된다. A wire 20 is wound around the winder 50 , and an upper end of the wire 20 wound around the winder 50 is connected to a fixed frame 2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uilding.

이와 같이, 곤도라(1)는, 케이지(10)에 블록스톱(30), 과부하 방지장치(40), 와인더(50) 및 모터(60)가 설치되어, 케이지(10)가 와이어(20)에 의해 매달려 상향 또는 하향 구동된다. In this way, in the gondola 1, the block stop 30, the overload prevention device 40, the winder 50 and the motor 60 are installed in the cage 10, and the cage 10 is connected to the wire 20. It is hung by the upward or downward driven.

한편, 최근에는 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건물(4; 피작업물, 도 7 참조)의 외벽 디자인이 설계됨에 따라, 이러한 복잡한 디자인을 가진 외벽을 작업 시, 즉 예를 들어, 건물(4)의 외벽이 돌출(4a) 또는 함몰(4b)된 부분을 포함하는 디자인으로 설계된 경우, 함몰(4b)된 부분에 대한 작업 시, 종래에는 단순 구조의 케이지 형태로 인해 정밀한 작업 수행이 어렵고, 함몰된 건물의 외벽(4b)에 밀착된 작업 수행이 상당히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s exterior wall designs of various types of buildings (4; work piece, see FIG. 7) are designed, when working with exterior walls having such a complex design, that is, for example, the building ( When the outer wall of 4) is designed with a design including a protruding (4a) or depressed (4b) part, when working on the depressed (4b) part, it is difficult to perform precise work in the prior art due to the cage form of a simpl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perform work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4b of the collapsed build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곤도라(1)를 발명하였으며, 이러한 곤도라(1)의 구성 중 케이지(10)에 대해서 하기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invented the gondo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ge 10 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gondola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케이지(10)는, 와이어(20)에 의해 매달려 상향 또는 하향되며, 바닥부(11), 난간부(12), 작업부(13), 슬라이딩부(14), 제1 지지부(15) 및 제2 지지부(16)를 포함한다. 물론 케이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The cage 10 is suspended upward or downward by the wire 20, and the bottom part 11, the handrail part 12, the work part 13, the sliding part 14, the first support part 15 and the first 2 supports 16 . Of course, the cage may be movable left and right.

케이지는 전체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위해 스틸, SUS, 알루미늄 등의 재질일 수 있다. The cage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eel, SUS, or aluminum for a solid overall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부(14)는 상부와 하부에 마련된다. 각각 상부 슬라이딩부(14_U, 도 2 및 도 3)와 하부 슬라이딩부(14_D)로 참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portion 14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t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sliding part 14_U ( FIGS. 2 and 3 ) and a lower sliding part 14_D, respectively.

바닥부(11)는, 케이지(10)의 바닥을 형성하며, 중앙 부위의 상측에 기본 사용 모드 시 후술할 작업부(13)가 배치되고, 개방 사용 모드 시 작업자(3)의 발을 딛는 부위일 수 있으며, 둘레에는 상측에 후술할 난간부(12)가 설치될 수 있다. The bottom part 11 forms the bottom of the cage 10, and a work part 13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above the central part in the basic use mode, and the part where the operator 3 steps in the open use mode. may be, and a handrail 1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hereof.

이러한 바닥부(11)는, 바닥부(11)의 후측 및 좌우측에만 각각 후술할 후방 난간(121) 및 측방 난간(122)이 형성되고, 바닥부(11)의 전측에서 작업부(13)가 후방 난간(12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후방 난간(121)을 향하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bottom part 11, a rear handrail 121 and a side railing 122 to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only on the rea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or 11, respectively, and the working part 13 is It may be formed to slide away from the rear railing 121 or toward the rear railing 121 .

즉, 바닥부(11)는, 전측에는 난간부(11)가 설치되지 않고, 작업부(13)가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부(11)는 작업부(13)와 맞닿는 곳에 후술할 슬라이드부(14)의 슬라이더(142)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롤러(14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롤러(142)를 통해서 작업부(13)의 하면에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41)을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추가 측방 난간(132)이 측방 난간(122)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구름 접촉만을 고려하면, 롤러와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작업부가 개방 사용 모드시 피작업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롤러가 바닥부에 구비되고, 베이스 프레임이 작업부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That is, the floor part 1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andrail part 11 is no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and the work part 13 slides. At this time, the bottom part 11 may include a slider 142 of the slide part 14 to be described later in abutment with the working part 13 , preferably a plurality of rollers 142 , and through this roller 142 , It may be configured to slide the base frame 14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unit 13 . This may help to make it easier for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2 to slide relative to the side railing 122 . In consideration of only rolling contact, the positions of the roller and the base frame may be interchang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is provided at the bottom so that the working part can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workpiece in the open use mode, and the base frame is operated An embodiment provided in the part will be mainly described.

또한 바닥부(11)는, 하측에 복수 개의 롤러가 구비되어, 케이지(10)의 지상 이동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part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on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ground movement of the cage (10).

난간부(12)는, 바닥부(11)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후방 난간(121) 및 측방 난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rail 12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11 , and may include a rear handrail 121 and a side handrail 122 .

후방 난간(121)은, 바닥부(11)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프레임 구조 또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rear handrail 121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rear side of the bottom portion 11, and may have a frame structure or a plate structure.

후방 난간(121)은, 일례로 측방 난간(122)과 그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곤도라(1)가 높은 위치에 위치 시, 작업자(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시 작업자의 후방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방 난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rear railing 12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ide railing 122, for example, and when the gondola 1 is positioned at a high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or 3 from fall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rear railing"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at it is located behind the operator during operation, and the direction is not limited.

측방 난간(122)은, 바닥부(11)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프레임 구조 또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ide railing 122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art 11, and may have a frame structure or a plate structure.

측방 난간(122)은, 일례로 후방 난간(121)과 그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스톱(30), 과부하 방지장치(40), 와인더(50) 및 모터(6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ide railing 122, for exampl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rear railing 121, and the block stop 30, the overload protection device 40, the winder 50 and the motor 60 are disposed. can be

측방 난간(122)은, 후방 난간(121)과 같이 곤도라(1)가 높은 위치에 위치 시, 작업자(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ide railing 122 can prevent the worker 3 from falling when the gondola 1 is positioned at a high position like the rear railing 121 .

작업부(13)는, 난간부(12)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131), 전방 난간(132) 및 추가 측방 난간(1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ork unit 13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front of the handrail 12 , and may include a base 131 , a front handrail 132 , and an additional side handrail 133 .

베이스(131)는, 작업부(13)의 바닥을 이루며, 작업자(3)의 발을 딛는 부위이고, 둘레에는 전측에 전방 난간(132) 및 좌우측에 추가 측방 난간(133)이 설치될 수 있되, 후측에는 난간이 설치되지 않아 작업자(3)가 개방 모드 시 바닥부(11)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즉, 기본 사용 모드시 작업자는 바닥부를 딛고서 작업하고, 개방 모드 사용시 작업자는 베이스를 딛고서 작업할 수 있다. The base 131 forms the floor of the work unit 13 and is a site on which the operator 3 steps on the foot, and around the periphery, a front handrail 132 on the front side and an additional side railing 133 on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installed. , a handrail is not installed on the rear side so that the operator 3 can move to the floor 11 in the open mode. That is, in the basic use mode, the operator can work while stepping on the floor, and when using the open mode, the operator can work while stepping on the base.

베이스(131)는, 일례로 바닥부(11)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131)는, 하면에 슬라이딩부(14)의 베이스 프레임(141)이 돌출 형성되어, 바닥부(11)에 형성된 롤러(142)와 서로 맞닿아 이 롤러(142)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base 131 may be form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part 11 , for example. That is, the base 131 is a base frame 141 of the sliding portion 1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llers 142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1 to be slid by the rollers 142 . can

전방 난간(132)은, 베이스(131)의 전측에서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프레임 구조 또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ront handrail 132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base 131, and may have a frame structure or a plate structure.

전방 난간(132)은, 일례로 작업자 전방으로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후방 난간(121) 및 측방 난간(12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 난간(121) 및 측방 난간(122)과 같이 곤도라(1)가 높은 위치에 위치 시, 작업자(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ront handrail 132 may be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rear handrail 121 and the side handrail 122 in order to secure a working space in front of the operator, for example, and the rear handrail 121 and the side handrail 122. As such, when the gondola 1 is positioned at a high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er 3 from falling.

추가 측방 난간(133)은, 베이스(131)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전방 난간(132)에 연결 형성되며, 프레임 구조 또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측방 난간(122)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is spaced up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131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handrail 132, and may have a frame structure or a plate structure, and is form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side railing 122. can be

추가 측방 난간(133)은, 일례로 전방 난간(13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곤도라(1)가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개방 사용 모드 시, 작업자(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측방 난간(133)은 측방 난간(12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므로 작업자(3)의 추락 위험이 조금 더 확대될 수 있으나 이는 후술할 제1 지지부(15)에 의해서 보조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추가 측방 난간(133)은 후방 난간(121) 및 측방 난간(122)과 같은 높이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may be formed, for example, at a lower height than the front railing 132, and the gondola 1 is located in a high position, and when the open use mode, the operator 3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have. At this time, since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side railing 122 , the risk of falling of the operator 3 may be slightly increased, but this may be assisted by the first support 15 to be described later. Of course, in contrast to this,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ear railing 121 and the side railing 122 .

추가 측방 난간(133)은, 슬라이드부(14)의 슬라이더(142),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롤러(142)와 맞닿아 롤러(142)가 굴러가기 용이하게 즉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lider 142 of the slide portion 14, preferably a plurality of rollers 142, so that the roller 142 can easily roll, that is, easily slide.

또한 추가 측방 난간(133)은, 후단에 후술할 스토퍼부(14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a stopper portion 144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슬라이딩부(14)는, 작업부(13)의 추가 측방 난간(133)과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 프레임(141), 슬라이더(142), 위치 확정부(143) 및 스토퍼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ing part 14 is configured to slide with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of the working part 13, and the base frame 141, the slider 142, the positioning part 143, and the stopper part 144. may include

베이스 프레임(141)은, 측방 난간(122)과 케이지(10)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측에 슬라이더(14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frame 141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railing 122 and the cage 10 spaced apart in an inner direction, and a slider 142 may be formed on one side, preferably on the lower side.

베이스 프레임(141)은, 전방측에 제1 걸쇠(1432)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제2 걸쇠(14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41)의 길이는 제1 걸쇠(1432)와 제2 걸쇠(1434)의 배치 거리와 함께 작업부(13)의 슬라이딩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The base frame 141, a first clasp 1432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 second clasp 1434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and the length of the base frame 141 is the first clasp 1432 and The sliding length of the working unit 13 may be determined together with the arrangement distance of the second clasp 1434 .

슬라이더(142)는, 베이스 프레임(141)의 일측에 형성되되, 추가 측방 난간(133)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142)는 복수 개의 롤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롤러일 수 있다. 구름 접촉만을 고려하면, 슬라이더는 베이스 프레임쪽이 아닌 추가 측방 난간쪽에 설치될 수도 있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작업부가 개방 사용 모드시 피작업물과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가 베이스 프레임쪽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slider 14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141 ,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e with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 Here, the slider 142 may be a plurality of rollers, preferably at least three or more rollers. Considering only rolling contact, the slider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railing side instead of on the base frame side. It will be explained with an examp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부가 상하부에 마련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part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상부 슬라이딩부(14_U,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나는 구름 접촉은 상부에 롤러 구조(142)와 하부에 레일 구조(1331)를 통한다. 고정형 롤러 구조에 이동형 레일 구조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배치되는 레일 구조가 하중을 지지한다. 레일 구조(1331)는 추가 측방 난간(133)의 상부에 마련된다. The rolling contact appearing in the upper sliding part 14_U ( FIGS. 2 and 3 ) is through the roller structure 142 at the upper part and the rail structure 1331 at the lower part. It is a movable rail structure with a fixed roller structure. A rail structure disposed relatively below supports the load. The rail structure 1331 is provided on top of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

하부 슬라이딩부(14_D,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나는 구름 접촉은 상부에 레일 구조(141)과 하부에 롤러 구조(142)를 통한다. 고정형 롤러 구조에 이동형 레일 구조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배치되는 롤러 구조가 하중을 지지한다. 상술한 상부 슬라이딩부와는 지지 방향이 반대임을 주목한다. The rolling contact appearing in the lower sliding part 14_D, FIGS. 2 and 3 is through the rail structure 141 on the upper part and the roller structure 142 on the lower part. It is a movable rail structure with a fixed roller structure. A roller structure disposed relatively below supports the load. Note that the support direction is opposite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upper sliding portion.

곤도라(1)의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프레임부에 대해, 서랍형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작업부(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난간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이동식 난간부로 참조될 수 있다. With respect to the frame portion that determine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gondola 1, the working portion 13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a drawer type may be referred to as a movable handrail in that it is in charge of the front handrail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술한 상하부의 슬라이딩부에서 롤러 구조들은 (이동식 난간부가 아닌) 프레임부에만 마련됨으로써 작업간 피작업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이는 또한 작업부(13)에 가해지는 총 하중을 고려할 때 안전한 지지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And, in the above-described upper and lower sliding parts, the roller structures are provided only in the frame part (not the movable handrail part), there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with the workpiece between operations. This also makes it possible to secure a safe support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load applied to the work unit 13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슬라이딩부(14)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서 건물(4)의 외벽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의 작업 능력 즉, 도 7의 함몰 부분(4b)에 대한 작업 능력이 향상되어, 건물(4)의 외벽에 대한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고, 건물(4)의 외벽에 대해 더욱 밀착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 작업자(3)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돌출된 부분에 대해서는 기본 사용 모드로 사용할 수 있고, 함몰된 부분에 대해서는 개방 사용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곤도라에서 작업자가 앞으로 다가서기 힘든 부위에 대해 발판을 앞쪽으로 빼줌으로써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gondol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ility to work in the dep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4 through the sliding structure of the sliding part 14, that is, the recessed portion 4b of FIG. 7 . The working ability is improved, so that precise work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4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work in closer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4, thereby reducing the safety accident of the worker 3 during work. It has a preventable effect. That is, the protruding part may be used in the basic mode of use, and the recessed part may be used in the open mode of use. Consider securing a working space by pulling the footrest forward for areas that are difficult for workers to reach in the existing gondola.

위치 확정부(143)는, 작업부(13)의 슬라이딩 운동에 대한 위치를 확정시킬 수 있으며, 제1 돌기(1431), 제1 걸쇠(1432), 제2 돌기(1433), 제2 걸쇠(14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ing unit 143 may determine the position for the sliding motion of the working unit 13, the first protrusion 1431, the first clasp 1432, the second protrusion 1433, the second clasp ( 1434).

제1 돌기(1431)는, 작업부(13)의 전방 난간(132)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1 걸쇠(1432)와 결합 시, 작업부(13)가 케이지(10) 내에 배치되는 기본 사용 모드 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킬 수 있다. 즉,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작업부를 잡아준다. The first protrusion 1431 is formed on the front handrail 132 of the working unit 13, and when combined with a first clasp 1432 to be described later, the working unit 13 is placed in the cage 10 for basic use. The final position in the mode can be confirmed. That is, it holds the work part so that it is not opened arbitrarily.

제1 걸쇠(1432)는, 슬라이딩부(14)의 베이스 프레임(141)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제1 돌기(1431)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시킬 때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H)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clasp 1432 is rotatably formed in front of the base frame 141 of the sliding unit 14, and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or released with the first protrusion 1431 through rotation. A handle (H) that the operator can hold when rotating may be provided.

제2 돌기(1433)는, 작업부(13)의 추가 측방 난간(133)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2 걸쇠(1434)와 결합 시, 작업부(13)가 케이지(10)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 배치되는 개방 사용 모드 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킬 수 있다. 즉, 임의로 폐쇄되지 않도록 작업부를 잡아준다. The second protrusion 1433 is formed on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of the working part 13, and when combined with a second clasp 1434 to be described later, the working part 13 is slid in front of the cage 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final position in the open use mode in which the projecting arrangement is carried out. That is, it holds the working part so that it is not arbitrarily closed.

제2 걸쇠(1434)는, 슬라이딩부(14)의 베이스 프레임(141) 상에서 제1 걸쇠(1432)보다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제2 돌기(1433)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시킬 때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clasp 1434 is rotatab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clasp 1432 on the base frame 141 of the sliding unit 14, and the fixing or release with the second protrusion 1433 through rotation is It can be configured to be done. Similarly, it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that the operator can hold when rotating.

이러한 위치 확정부(143)의 제1 돌기(1431), 제1 걸쇠(1432), 제2 돌기(1433), 제2 걸쇠(1434)의 구성들을 통해 기본 사용 모드와 개방 사용 모드 시, 상기 구성들의 결합 및 고정구조를 하기 기술하도록 한다.Through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protrusion 1431 , the first latch 1432 , the second protrusion 1433 , and the second latch 1434 of the positioning unit 143 , the basic use mode and the open use mode, the configuration Their coupling and fixing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below.

기본 사용 모드 시, 위치 확정부(143)는, 제1 걸쇠(1432)가 회전하여 제1 돌기(1431)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제2 걸쇠(1434)가 회전하여 제2 돌기(1433)와 해제되며, 개방 사용 모드 시, 위치 확정부(143)는, 제2 걸쇠(1434)가 회전하여 제2 돌기(1433)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제1 걸쇠(1432)가 회전하여 제1 돌기(1431)와 해제될 수 있다. In the basic use mode, the positioning unit 143, the first clasp 1432 rotates and is fixed by coupling with the first protrusion 1431, and the second clasp 1434 rotates with the second protrusion 1433 Released, in the open use mode, the positioning unit 143, the second latch 1434 is rotated to be fixed by coupling with the second protrusion 1433, and the first latch 1432 is rotated to rotate the first protrusion ( 1431) and can be released.

구체적으로, 기본 사용 모드 시, 위치 확정부(143)는, 제1 걸쇠(1432)와 제1 돌기(1431)가 결합 상태에 있고 제2 걸쇠(1434)가 제2 돌기(1433)와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당연히 제2 걸쇠(1434)와 제2 돌기(1433)는 해제 상태로 놓여져 있다. 이후, 개방 사용 모드로 변경 시, 먼저 제1 걸쇠(1432)가 회전하여 제1 돌기(1431)와 해제됨에 따라, 작업부(13)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 놓이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3)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외부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업부(13)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제2 걸쇠(1434)와 제2 돌기(1433)가 서로 가까워지고 결국 맞닿게 되어 제2 걸쇠(1434)가 회전하여 제2 돌기(1433)와의 결합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개방 사용 모드는 작업부(13)의 최대 연장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이 길이는 제2 걸쇠(1434)와 제2 돌기(1433)의 결합으로 결정지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basic use mode, the positioning unit 143, the first clasp 1432 and the first protrusion 1431 are in a coupled state, and the second clasp 1434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protrusion 1433 Since there is a state, of course, the second latch 1434 and the second protrusion 1433 are placed in a released state. Thereafter, when changing to the open use mode, the first clasp 1432 is rotated and released with the first protrusion 1431 , so that the working part 13 is placed in a slidable state forward. Then, when the working part 13 is slid forward manually by the operator 3 or automatically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the second clasp 1434 and the second protrusion 1433 come close to each other and eventual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lasp. 1434 is rotated and fixed by coupling with the second protrusion 1433 . This open use mode may be at the maximum extended position of the working part 13 , and the length may b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clasp 1434 and the second protrusion 1433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위치 확정부(143)의 구조를 통해서 케이지(10)의 개방 사용 모드 시, 케이지(10)가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the gondol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fely implemented without the cage 10 being separated in the open use mode of the cage 10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ositioning unit 143 . has the effect of

스토퍼부(144)는, 작업부(13)의 추가 측방 난간(133)에 형성되며, 슬라이더(142)의 일측에 걸리되록 추가 측방 난간(133)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작업부(13)의 최대 슬라이딩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부(144)는, 위치 확정부(143)에 더해 작업부(13)의 최대 슬라이딩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The stopper part 144 is formed on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of the working part 13 and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so as to be caught on one side of the slider 142 , and the working part 13 ) can be configured to limit the maximum sliding position of the. That is, the stopper unit 144 may limit the maximum sliding position of the work unit 13 in addition to the positioning unit 143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스토퍼부(144)의 구조를 통해서 위치 확정부(143)와 함께 이단으로 케이지(10)의 개방 사용 모드 시, 케이지(10)가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the gondol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ouble-staged together with the positioning unit 143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stopper unit 144 in the open use mode of the cage 10, the cage 10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it to be safely implemented without breaking out.

제1 지지부(15)는, 작업부(13)의 전방 난간(132)의 상측과 난간부(12)의 측방 난간(122)의 상측에 연결되되, 작업부(13)의 슬라이딩 운동 시 작업부(13)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작업부(13)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5)는, 체인 또는 신축가능한 부재일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art 15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handrail 132 of the work unit 13 and the upper side of the side handrail 122 of the handrail 12 , the work unit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work unit 13 . (13) is formed to be movable toge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 of the work unit (13).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part 15 may be a chain or a stretchable member.

제1 지지부(15)는, 곤도라(1)가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개방 사용 모드 시, 추가 측방 난간(133)에 더해 작업자(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art 15 is located in a high position of the gondola 1, and in the open use mode, in addition to the additional side railing 13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or 3 from falling.

제2 지지부(16)는, 피작업물(4)로부터 케이지(10)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작업부(13)의 추락을 추가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161) 및 연결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16)는, 작업부(13)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art 16 is arranged to extend from the workpiece 4 toward the cage 10 , and can further prevent the working part 13 from falling, and the body part 161 and the connection part 162 . may include.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unit 16 may also serve to guide the sliding of the work unit 13 .

몸체부(161)는, 피작업물(4)로부터 케이지(10)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61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workpiece 4 toward the cage 10 , and may have a frame structure, for example.

연결부(162)는, 몸체부(161)의 하측과 작업부(13)의 전방 난간(132)의 상측을 연결할 수 있으며, 몸체부(161)의 하측에 형성된 후크(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162 may connect the lower side of the body 161 and the upper side of the front handrail 132 of the working unit 13, and is hooked on a hook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61 . can be formed to

일례로, 연결부(162)는, 후크에 걸리는 고리 및 고리와 전방 난간(132)의 상측을 연결하는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라인은, 체인일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onnection part 162 may be composed of a line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hook and the hook and the front handrail 132, and the line, where the line, may be a chain.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곤도라는 케이지에 슬라이딩 서랍형 구조를 갖는다. 즉,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작업부는 케이지의 프레임에 마련된 롤러 구조를 통해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다. In summary, the gond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liding drawer type structure in a cage. That is, the work unit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can be drawn out and drawn in through the roller structure provided in the frame of the cag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케이지(10)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서 건물(4)의 외벽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의 작업 능력이 향상되어, 건물(4)의 외벽에 대한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the gondol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ability in the depth direction is improved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4 through the sliding structure of the cage 10 , so that the precis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4 is improved. It has the effect of making work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케이지(10)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서, 건물(4)의 외벽에 대해 밀착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 작업자(3)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gondol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work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4 through the sliding structure of the cage 10 , thereby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of the worker 3 during operation. It has a preventabl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위치 확정부(143) 및 스토퍼(144) 구조를 통해서 케이지(10)의 슬라이딩 작동이 신뢰성 있게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gondol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cage 10 is reliably implement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ositioning unit 143 and the stopper 144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곤도라(1)는, 2중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5, 16)의 구조를 통해서 케이지(10)의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획기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gondol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markabl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cage 10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arts 15 and 16 formed in a double layer.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곤도라
2. 고정 프레임
3: 작업자
4: 피작업물(건물)
4a: 돌출 부분
4b: 함몰 부분
10: 케이지
11: 바닥부
12: 난간부
121: 후방 난간
122: 측방 난간
13: 작업부
131: 베이스
132: 전방 난간
133: 추가 측방 난간
14: 슬라이딩부
141: 베이스 프레임
142: 슬라이더
143: 위치 확정부
1431: 제1 돌기
1432: 제1 걸쇠
1433: 제2 돌기
1434: 제2 걸쇠
144: 스토퍼부
15: 제1 지지부
16: 제2 지지부
161: 몸체부
162: 연결부
20: 와이어
30: 블록스톱
40: 과부하 방지장치
50: 와인더
60: 모터
1: Gondola
2. Fixed frame
3: worker
4: Workpiece (Building)
4a: protruding part
4b: recessed part
10: cage
11: bottom
12: handrail
121: rear railing
122: side railing
13: Work Department
131: base
132: front handrail
133: additional side railings
14: sliding part
141: base frame
142: slider
143: positioning unit
1431: first projection
1432: first clasp
1433: second projection
1434: second clasp
144: stopper part
15: first support part
16: second support part
161: body part
162: connection part
20: wire
30: block stop
40: overload protection device
50: winder
60: motor

Claims (10)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난간부; 및
상기 난간부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작업부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부는,
상기 바닥부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 난간; 및
상기 바닥부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방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후측 및 좌우측에만 각각 상기 후방 난간 및 상기 측방 난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전측에서 상기 작업부가 상기 후방 난간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후방 난간을 향하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업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측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방 난간; 및
상기 베이스의 좌우측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방 난간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추가 측방 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As a gondola for work at height,
including a cage in which the operator rides,
The cage is
bottom;
a handrail extending upwar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art; and
It includes a working part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front of the handrail,
the handrail,
a rear railing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bottom part; and
and a side railing extending up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art,
the bottom part,
The rear handrail and the side handrail are formed only on the rea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or, respectively, and the working part is formed to slide away from the rear handrail or toward the rear handrail at the front side of the floor,
The work unit,
Base;
a front handrail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base; and
The gondola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up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and comprises an additional side railing that is slidab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side rail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측방 난간과 상기 케이지의 내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추가 측방 난간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liding portion configured to slide with the additional side railing of the work portion,
The sliding part,
a base frame connected to the side railing and the cage in an inward direction; and
Doedo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the gondola comprising a slider configured to be slidable with the additional side rail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복수 개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lider comprises:
A gondola,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lurality of rolle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작업부의 슬라이딩 운동에 대한 위치를 확정시키는 위치 확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정부는,
상기 작업부가 상기 케이지 내에 배치되는 기본 사용 모드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키며, 상기 작업부의 상기 전방 난간에 형성되는 제1 돌기;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돌기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제1 걸쇠;
상기 작업부가 상기 케이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 배치되는 개방 사용 모드시의 최종 위치를 확정시키며,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에 형성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걸쇠보다 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돌기와의 고정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제2 걸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lid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for the sliding motion of the work unit,
The positioning unit,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handrail of the working unit to determine the final position of the working unit in the basic use mode in which the working unit is disposed in the cage;
a first latch which is rotatably formed in front of the base frame of the sliding part and is fixed or released with the first protrusion through rotation;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additional lateral railing of the work unit to determine a final position in the open use mode in which the work unit is slid forward of the cage to protrude; and
The sliding part is formed rotatably on the rear side than the first latch on the bas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latch that is fixed or released with the second protrusion through rotation, the gondol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정부는,
상기 기본 사용 모드 시, 상기 제1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1 돌기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2 돌기와 해제되며,
상기 개방 사용 모드 시, 상기 제2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2 돌기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걸쇠가 회전하여 상기 제1 돌기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ositioning unit,
In the basic use mode, the first latch is rotated to be fixed by coupling with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latch is rotated to release the second protrusion,
In the open use mode, the second latch is rotated to be fixed by coupling with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first latch is rotated to release the first protrusion, the gondol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작업부의 상기 추가 측방 난간에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걸리도록 상기 추가 측방 난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업부의 최대 슬라이딩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lid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portion formed on the additional side railing of the work portion,
The stopper part,
The gondola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additional side railing so as to be caught on one side of the slider, and is configured to limit the maximum sliding position of the work part.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는,
상기 곤도라의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식 난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지원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부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부에 롤러 구조 및 하부에 레일 구조를 통한 구름 접촉을 갖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부에 레일 구조 및 하부에 롤러 구조를 통한 구름 접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도라.
As a gondola for work at height,
including a cage in which the operator rides,
The cage is
a frame part determ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gondola; and
and a movable handrail coupled to the frame part so as to be slidably moved.
supporting the sliding movement,
a first sliding part; and
and a second sliding part disposed below the first sliding part,
The first sliding part has a rolling contact through a roller structure on the upper part and a rail structure on the lower part,
The second sliding part, a gondola,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olling contact through a rail structure on the upper portion and a roller structure on the lower portion.
삭제delete
KR1020200132291A 2020-10-13 2020-10-13 Gondola for work at height KR102464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91A KR102464012B1 (en) 2020-10-13 2020-10-13 Gondola for work at h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91A KR102464012B1 (en) 2020-10-13 2020-10-13 Gondola for work at he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897A KR20220048897A (en) 2022-04-20
KR102464012B1 true KR102464012B1 (en) 2022-11-07

Family

ID=8139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291A KR102464012B1 (en) 2020-10-13 2020-10-13 Gondola for work at h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0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583B1 (en) 2023-02-14 2023-04-12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Gondola Working Plat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550B1 (en) 2022-08-31 2022-11-03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Functional Gondol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940B1 (en) * 2017-03-10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igh place work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583B1 (en) 2023-02-14 2023-04-12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Gondola Working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897A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012B1 (en) Gondola for work at height
GB1561488A (en) Load transporter
JP5264581B2 (en) Self-climbing lift
KR101501899B1 (en) Hatch of work scaffold
KR100514133B1 (en) Carrier for curtain-wall panel establishing use and curtain-wall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JP6975455B2 (en) Safety fence device for manholes
JP4454765B2 (en) elevator
CN211622520U (en) House building construction platform
KR101954940B1 (en) High place working device
JP6049049B2 (en) Opening and closing handrail for temporary scaffolding
JP3662064B2 (en) Manual lifting floor device
JP2017052640A (en) Cab guard provided for crane
JP4804144B2 (en) Top sheave device in climbing method for construction elevators
JP2003010566A (en) Curtain apparatus for stage facility
CN215047846U (en) A safe elevating gear for housing construction
JP5778943B2 (en) Aerial work platform
KR102515456B1 (en) Apparutus for high place work
JP3172791U (en) Retractable trap
JP3261412B2 (en) Simple crane
JPH1150665A (en) Vertical weight lifting device for form material and pipe support
US1376253A (en) Elevator
JP3486158B2 (en) Elevating device for ceiling storage
JPS587303B2 (en) Building evacuation device
JPH0646932Y2 (en) Elevator with moving hoist
JPS6219840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