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239B1 -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games - Google Patents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gam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239B1
KR102463239B1 KR1020210017612A KR20210017612A KR102463239B1 KR 102463239 B1 KR102463239 B1 KR 102463239B1 KR 1020210017612 A KR1020210017612 A KR 1020210017612A KR 20210017612 A KR20210017612 A KR 20210017612A KR 102463239 B1 KR102463239 B1 KR 10246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frame
plate support
user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4296A (en
Inventor
송병섭
박상우
박상철
이진규
오윤성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239B1/en
Publication of KR20220114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2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8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 A63B2225/68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for electronic devices, e.g. phone, PDA, GPS device, noteboo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립한 사용자의 상반신이 지지되는 상판지지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무릎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무릎거치부;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조절벨트부; 일단이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상측 공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하는 단말거치부; 및 상기 상판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지지부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센서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를 제공한다.a body frame part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an upper plate support part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upper body of the user standing up; a knee hold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and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a user's knee is seated; an adjustment belt unit worn on the body to balance the user's standing state; a terminal hol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ody frame part, the other end being disposed in the space above the body frame part, and allowing the user's smart terminal to be mounted; and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to a smart terminal; Provides a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Description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GAMES}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GAMES

본 발명은 기립 균형 훈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애 아동의 좌, 우 균형 감각을 훈련하기 위해 게임을 활용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ing balance tr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a game using a game to train the left and right balance sens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일반적으로, 기립 균형 훈련기는 대상자 신체의 좌우 이동을 이용하여 기립 균형을 훈련하는 장치를 말한다. 기립 균형 훈련기는 크게 기기 몸체, 상판 지지대, 무릎 보호대 등으로 구성된다. 기립 균형 훈련기는 기기 몸체 앞에 바로 선 채로 무릎 보호대의 벨트를 체결한 후에, 상판 지지대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대상자 신체의 좌우 이동을 이용하여 수동식으로 기립 균형 훈련하도록 제조되어 있다.In general,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refers to a device for training the standing balance by us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ubject's body.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is mainly composed of the machine body, the upper plate support, and the knee protector.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is manufactured to perform standing balance training manually by us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ubject's body while holding the handle of the upper plate support after fastening the knee protector belt while standing right in front of the device body.

그러나, 종래의 기립 균형 훈련기는 아동용이 별도 존재하지 않았다. 특히 뇌병변 장애아동은 편마비일 경우 주로 환측보다 건측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성장하면서 척추 옆굽음 등의 변형 위험이 있다. 그로 인해, 뇌병변 장애아동의 경우 어렸을 때부터 좌,우 균형을 맞춰서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아동의 보행과 균형을 위한 기립 균형 훈련을 적용해야 하는데 종래 기립 균형 훈련기는 아동용이 존재하지 않고, 아동의 경우 기립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anding balance trainer did not exist separately for children. In particular, children with cerebral lesions tend to use the unaffected side rather than the affected side in the case of hemiplegia, and there is a risk of deformation such as lateral curvature of the spine as they grow up. Therefore, fo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it is important to train with a left and right balance from an early age. That is, standing balance training for children's gait and balance should be applied, but conventional standing balance trainers do not exist for children, and in the case of children, it is difficult to repeatedly perform standing train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2334호 (2016.08.24. 등록) 상지와 하지 슬라이딩에 의한 전동식 기립형 하지재활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52334 (registered on August 24, 2016) Electric standing-type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device by sliding upper and lower extremiti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3860호 (2018.06.27. 등록) 균형 훈련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73860 (registered on June 27, 2018) Balance training syste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054호 (2014.08.29. 등록)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38054 (Registered on August 29, 2014) Upright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뇌병변 장애아동의 기립 균형 훈련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를 개발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intended to develop a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standing balance training for children with brain lesion disorders.

또한, 아동의 평균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갖는 아동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립 균형 훈련 과정에서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하여 자발적인 훈련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기립 균형 훈련 결과를 제공하여 훈련 성취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average body size of children, children with various physical conditions can use it. In addition, voluntary training is possible by inducing continuous interest in the course of standing balance training.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result of standing balance trai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e of training achievement.

이를 통해, 기립 균형 훈련기의 훈련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본 장치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다.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secure the training reliability of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In addition, by facilitat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device, maintenance and management are conveni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립한 사용자의 상반신이 지지되는 상판지지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무릎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무릎거치부;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조절벨트부; 일단이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상측 공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하는 단말거치부; 및 상기 상판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지지부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센서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ody frame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an upper plate support part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upper body of the user standing up; a knee hold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and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a user's knee is seated; an adjustment belt unit worn on the body to balance the user's standing state; a terminal hol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ody frame part, the other end being disposed in the space above the body frame part, and allowing the user's smart terminal to be mounted; and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to a smart terminal; Provides a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지면에 접촉되며, 상기 상판지지부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전복방지프레임; 상기 전복방지프레임에 연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아우터프레임에 인입출되는 이너프레임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프레임; 및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fram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pair of overturn prevention frame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support portion; a height adjustment frame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through an outer frame coupled to the overturn prevention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inner frame drawn in and out of the outer frame; and a top plate mounting fram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frame.

상기 무릎거치부는 상기 아우터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의 중간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knee support portion be fixedly dispos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outer frames.

상기 중간위치에서, 상기 무릎거치부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동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ntermediate position, when the knee support portion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t is preferabl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 조절벨트부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X자형으로 교차되면서 감싸며, 길이 조절되는 제1벨트부; 양단이 상기 제1벨트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2벨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justment belt portion,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crossed in an X-shape wrapped around the first belt portion, the length of which is adjust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irst belt portion, the second belt portion for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스마트단말기에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며,The game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smart terminal,

상기 상판지지부에 지지되어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사용자가 양측 발을 모은 상태에서 상반신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면,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a user who is supported by the upper plate support and maintains a standing state reciprocates the upper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both feet together, the game application is preferably operated.

상기 센서부는 상기 상판지지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감지센서이며, 상기 측정값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어, 좌우 방향의 조작을 위한 위치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nsor unit is at least one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and the measured value is input to a game application and converted into position data for oper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상판지지부에는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기가 배치되며,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position signal is disposed on the upper plate support,

상기 센서부는 상기 상판지지부의 양단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센서부가 고장나면 제2센서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nsor unit is disposed below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and if the first sensor unit fails, a second sensor unit is us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items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only when exhibiting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는 뇌병변 장애아동의 기립 균형 훈련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평균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갖는 아동들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립 균형 훈련 과정에서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하여 자발적인 훈련이 가능하다. 또한, 기립 균형 훈련 결과를 제공하여 훈련 성취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erform standing balance training for children with brain lesion disorder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average body size of children, children with various physical conditions may also be used. In addition, voluntary training is possible by inducing continuous interest in the course of standing balance train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e of training achievement by providing the result of the standing balance training.

이를 통해, 기립 균형 훈련기의 훈련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training reliability of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In addition, by facilitat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device, maintenance and management are convenien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도 1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스마트단말기에 인스톨되는 게임의 예시.
도 5는 도 1의 상판지지부, 무릎거치부의 규격을 채택하기 위해 국내 9세 아동의 신체사이즈 통계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for showing the operation method of Figure 1;
4 is an example of a game installed in a smart terminal.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body size statistics of 9-year-old children in Korea to adopt the standard of the upper plate support portion and knee support portion of Figure 1;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it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known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4는 스마트단말기에 인스톨되는 게임의 예시이고, 도 5는 도 1의 상판지지부, 무릎거치부의 규격을 채택하기 위해 국내 9세 아동의 신체사이즈 통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of FIG. 1, and FIG. 3 is a view to show the operation method of FIG. 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n example of a game to be installed in a smart terminal,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body size statistics of 9-year-old children in Korea to adopt the standard of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and the knee support part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는 본체프레임부(100), 상판지지부(200), 무릎거치부(300), 조절벨트부(400), 단말거치부(500), 센서통신모듈(6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립 균형 훈련기는 특히, 훈련에 집중하기 어려운 뇌병변 장애 아동을 위한 것으로 훈련과 게임을 접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1 to 5 ,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a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rame part 100 , an upper plate support part 200 , a knee support part 300 , and an adjustment belt part 400 . ), a terminal holder 500 ,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600 , and the like.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fo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who have difficulty concentrating on training, and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combining training and games.

본체프레임부(100)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부(100)는 철, 알루미늄 등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프레임부(100)는 사각프레임 등의 형상을 갖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프레임부(100)는 전복방지프레임(110), 높이조절프레임(120), 상판거치프레임(130), 수평연결프레임(140) 등을 포함한다.The body frame part 1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s by a method such as welding. The body frame part 1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iron or aluminum. The body frame part 100 may have a shape such as a square frame. Specifically, the body frame unit 100 includes an overturn prevention frame 110 , a height adjustment frame 120 , a top plate mounting frame 130 , a horizontal connection frame 140 , and the like.

전복방지프레임(110)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전복방지프레임(110)은 지면에 접촉되며, 상판지지부(200)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대향 배치된다. 전복방지프레임(110)은 기립 균형 훈련기를 통한 훈련 과정에서 본체프레임이 전후 방향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Rollover prevention frame 110 is composed of a pair. The roll-over prevention frame 11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upper plate support 200 . The overturn prevention frame 110 prevents the body frame from overturn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during the training process through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이를 위해, 전복방지프레임(110)의 길이는 가변되며, 전복방지프레임(110)은 높이조절프레임(120)의 높이 증가 또는 사용자의 체중 등에 비례하여, 그 길이가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복방지프레임(110)은 상판지지부(20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는 보조돌출프레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애 아동의 경우 훈련 과정에서, 기립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To this end, the length of the rollover prevention frame 110 is variable, and the rollover prevention frame 110 preferably increases in length in proportion to an increase in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ment frame 120 or the weight of the user. In addition, the overturn prevention frame 11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rotruding frame (not shown) that extends and protrudes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200 .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a standing state was taken into account during the training process.

높이조절프레임(120)은 전복방지프레임(110)에 연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아우터프레임에 인입출되는 이너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높이조절프레임(120)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이너프레임이 어느 일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노브(knob)가 형성된 볼트 등을 사용하여 이너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frame 120 includes an outer frame coupled to the overturn prevention frame 1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inner frame drawn in and out of the outer frame. Through this, the height adjustment frame 120 can be adjusted in height. When the inner frame is positioned at a certain position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inner frame may be fixed using a bolt or the like having a knob formed thereon.

상판거치프레임(130)은 높이조절프레임(120)의 상단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거치프레임(130)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판거치프레임(130)의 상면에는 상판지지부(20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32)은 대향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홈(132)의 양단에는 반동요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반동요소는 예를 들어,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동요소는 상판지지부(200)가 일단에 도달하였을 때, 상판지지부(200)에 반동을 제공하여 타단 방향으로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The upper plate mounting frame 1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frame 120 . The upper plate mounting fram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On the other hand, a guide groove 13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supporting frame 130 to allow the upper plate supporting part 200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rooves 132 are configured as a pair of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a reaction element (not shown)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132 . The reaction element may be formed, for example, of an elastic material. The recoil element provides a recoil to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200 when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200 reaches one end, thereby facilitating the change of direction to the other end direction.

또한, 상판거치프레임(130)의 상면에는 상판지지부(20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보조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가이드홈은 대향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있다. 보조가이드홈은 상판거치프레임(130)의 나머지 프레임에 형성된다. 상판지지부(200)는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보조가이드홈의 홈 깊이는 가이드홈(132)과 달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판지지부(200)가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동 과정에서 서로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 auxiliary guide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supporting frame 130 to allow the upper plate supporting part 200 to sl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auxiliary guide grooves may be configured as a pair of facing each other. The auxiliary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remaining frame of the upper plate mounting frame (130).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200 may be moved along any one direction selected from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 depth of the auxiliary guide groove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guide groove 132 .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during the movement process when the upper plate support 200 is moved in any one of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수평연결프레임(140)은 높이조절프레임(120) 사이를 연결시킨다. 수평연결프레임(140)에는 무릎거치부(300)가 결합된다. 특히, 중간위치에는 무릎거치부(30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아우터프레임과 이너프레임에는 높이 방향으로 체결홀이 이격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홀의 위치는 국내 9세 아동의 신체 사이즈에 대한 통계 자료를 근거로 하였다.The horizontal connection frame 140 connects between the height adjustment frames 120 . The knee support unit 30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frame 140 . In particular, a coupling hole 142 for coupling the knee support unit 300 may be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Meanwhile,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have fasten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Here,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based on statistical data on the body size of a 9-year-old child in Korea.

상판지지부(200)는 본체프레임부(100)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립한 사용자의 상반신이 지지되는 부품이다. 상판지지부(200)의 하면에는 가이드홈(132)에 삽입되어 롤링되는 구름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름부재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회동될 때,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판지지부(200)는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그립봉(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그립봉(210)을 그립한 상태에서 상반신을 지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upper plate support part 200 is a part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frame part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supports the upper body of the user who has stood up. A rolling member (not shown)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32 and rolle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support 20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lling member is rotated including the bear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rictional force. The upper plate support 200 may include a grip bar 210 that a user can grip. Through this, the user can support the upper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grip bar 210 is gripped, so that the user can more stably maintain the standing state.

무릎거치부(300)는 본체프레임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무릎거치부(300)에는 사용자의 무릎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한 쌍으로 마련된다. 무릎거치부(300)는 내부에 스펀지가 내장되어 안착되는 무릎 부분에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무릎거치부(300)는 아우터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140)의 중간위치에 고정 배치된다. 그리고, 중간위치에서, 무릎거치부(30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동되면, 무릎거치부(30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The kne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unit 100 , and the knee holder 3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ating grooves in which the user's knee is seated. The knee support unit 300 may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knee part on which the sponge is built-in and seated therein. On the other hand, the knee support unit 300 is fixedly dispos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frame 140 connecting the outer frames. An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when the knee support unit 300 is axially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knee support unit 30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한편, 무릎거치부(300)에는 제4스트랩(510)이 결합되어 있다. 기립 균형 훈련을 할 때, 사용자는 두 발을 모은 상태에서 양쪽 무릎이 무릎거치부(30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4스트랩(510)은 무릎거치부(300)에 양쪽 무릎이 안착된 상태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는 양쪽 무릎을 포함하는 하지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무릎거치부(30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동되면,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여, 사용자는 기립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쉽게 된다. 탄성 복원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 등을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urth strap 510 is coupled to the knee support unit 300 . When performing the standing balance training, the user maintains a state in which both knees are seated on the knee support unit 300 in a state where both feet are gathered. The fourth strap 510 is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knee holder 300 in a state in which both knees are seated. At this time, the user may move the lower extremities including both kne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other hand, when the knee support unit 300 is axially rotated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it becomes easier for the user to maintain a standing balanc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may be provided by combining at least one or more springs.

조절벨트부(400)는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용자인 장애 아동이 훈련 과정에서 보다 용이하게 균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djustment belt unit 400 is worn on the body and serves to balance the user so that the user's standing state is maintained. This makes it easier for users with disabilities to maintain their balance in the training process.

구체적으로, 조절벨트부(400)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X자형으로 교차되면서 감싸며, 길이 조절되는 제1스트랩(410)과, 양단이 제1스트랩(410)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2스트랩(420)을 포함한다. 한편, 조절벨트부(400)는 일단이 제1스트랩(410)에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제3스트랩(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트랩(410) 내지 제3스트랩(43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트랩(410) 내지 제3스트랩(430)에는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벨트부가 각각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adjustment belt unit 400 is wrapped around the user's upper body in an X-shape, the length of which is adjusted, the first strap 410, and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irst strap 410,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nd a second strap 420 . Meanwhile, the adjustment belt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trap 43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trap 41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ody frame unit 100 . Here, the first strap 410 to the third strap 43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first straps 410 to the third straps 430 are each arranged with a belt portion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belt.

제2스트랩(420)은 사용자가 기립 상태에서 균형을 잃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제2스트랩(420)은 사용자가 뒤로 넘어지는 경우 발생되는 심각한 신체 손상을 예방하는 용도를 갖는다. 여기서, 제2스트랩(420)은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스트랩(420)을 사용하는 경우, 조절벨트부(400)에는 사용자에 의한 하중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이는 본체프레임부(100)에 전달되는 바, 제2스트랩(420)을 사용하는 경우, 전복방지프레임(110)을 최대한 길게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trap 420 prevents the user from falling due to loss of balance in the standing state. In particular, the second strap 420 has a purpose of preventing serious damage to the body that occurs when the user falls backwards. Here, the second strap 420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 When the second strap 420 is used, the load by the user is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adjustment belt portion 400 . This is transmitted to the body frame portion 100, when using the second strap 420, it is preferable to extend the rollover prevention frame 110 as long as possible.

단말거치부(500)는 일단이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프레임부(100)의 상측 공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한다. 단말거치부(500)는 스마트단말기가 상판지지부(200)의 상측 어느 일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단말거치부(500)에는 태블릿 등이 거치될 수 있다.The terminal holder 500 has one end coupled to the body frame unit 100 , and the other end disposed in the upper space of the body frame unit 100 , so that the user's smart terminal is mounted. The terminal holder 500 allows the smart terminal to be disposed in any one space above the upper plate support portion 200 . Meanwhile, a tablet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500 .

또한, 스마트단말기에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며, 상판지지부(200)에 지지되어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사용자가 양측 발을 모은 상태에서 상반신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면,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특히 아동용 게임으로 예를 들어, 스키 타기, 리듬 게임, 축구 게임, 복싱 게임, 낚시 게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game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smart terminal, and when a user who is supported by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200 and maintains a standing state reciprocates the upper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both feet together, the game application is preferably operated. Here, the game application is a game especially for childre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skiing, a rhythm game, a soccer game, a boxing game, a fishing game, and the like.

센서통신모듈(600)은 상판지지부(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판지지부(200)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측정값을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센서통신모듈(600)은 배터리가 내장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판지지부(200)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 게임의 조작이 가능하여 기립 균형 훈련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 점수를 통해 훈련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바, 장애 아동은 훈련에 대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60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200, and includes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200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to the smart terminal.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600 has a built-in battery to receive power. When the upper plate support 200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manipulate the game, thereby inducing participation in standing balance training and arousing interest.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training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through the game score, so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feel a sense of achievement in training.

한편, 센서통신모듈(600)은 L자형프레임(150)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L자형프레임(150)은 상판거치프레임(130) 중 가이드홈(132)이 형성된 프레임의 일 측면에 평행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립 훈련 과정에서, 상판지지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판거치프레임(130)에는 하중, 진동, 스트레스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L자형프레임(150)과 상판거치프레임(130) 사이에는 진동완충부재(7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600 may be fixedly installed through the L-shaped frame 150 . The L-shaped frame 150 is preferably coupled i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frame in which the guide groove 132 is formed among the upper plate mounting frame 130 . In the standing training process, since the upper plate support 200 is continuously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user, a load, vibration, stress, etc. may be generated in the upper plate supporting frame 130 .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700 is disposed between the L-shaped frame 150 and the upper plate mounting frame 130 .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는 상판지지부(200)의 위치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감지센서이며, 이를 통한 측정값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어, 좌우 방향의 조작을 위한 위치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센서부는 레이저 센서, 위치 센서 등일 수 있다. 이 때, 센서부의 측정값은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 등 통신부에 의해 스마트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t least one or more infrared sens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200, and the measured value thereof is input to the game application, and may be converted into position data for oper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may be a laser sensor, a position sensor,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by the communication unit such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uetooth, etc.).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는 상판지지부(200)의 양단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센서부가 고장나면 제2센서부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는 상판지지부(200)까지의 거리, 위치 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상판지지부(200)의 좌우 방향에 대한 이동 거리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바, 정확하게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support 200, respectively, if the first sensor unit fails, the second sensor unit may be used. The sensor unit may measure the distance and position coordinates to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200 . Since the moving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support 200 is closely related to operability for game applications, it is preferable to measure accurately.

예를 들어, 센서부는 L자형프레임(15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가 사용되는 경우, 상판지지부(20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L자형프레임(150)의 양단에는 센서부의 렌즈(610)가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shaped frame 150 , respectively. When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second sensor unit are used,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200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To this end,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lens 610 of the sensor unit is expose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shaped frame 150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지지부(200)에는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판지지부(200)에 대한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신호생성기는 위치 신호를 센서통신모듈(600)로 전달하고, 통신부는 위치 신호를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한다. 그 결과,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좌우 방향에 대한 조작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signal gener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position signal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rough this,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200 can be measured more precisely. At this time, the signal generator transmits the position signal to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6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position signal to the smart terminal. As a result, manipulation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game application may be performed more precisel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100: 본체프레임부 200: 상판지지부
300: 무릎거치부 400: 조절벨트부
500: 단말거치부 600: 센서통신모듈
700: 진동완충부재

110: 전복방지프레임 120: 높이조절프레임
130: 상판거치프레임 140: 수평연결프레임
150: L자형프레임
210: 그립봉
410: 제1스트랩 420: 제2스트랩
430: 제3스트랩
510: 제4스트랩 610: 렌즈
100: body frame part 200: upper plate support part
300: knee support unit 400: adjustable belt unit
500: terminal holder 600: sensor communication module
700: vibration damping member

110: rollover prevention frame 120: height adjustment frame
130: top plate mounting frame 140: horizontal connection frame
150: L-shaped frame
210: grip bar
410: first strap 420: second strap
430: third strap
510: fourth strap 610: lens

Claims (8)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립한 사용자의 상반신이 지지되는 상판지지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무릎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무릎거치부;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조절벨트부;
일단이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상측 공간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하는 단말거치부; 및
상기 상판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지지부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센서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
a body frame part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an upper plate support part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upper body of the user standing up;
a knee hold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and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a user's knee is seated;
an adjustment belt unit worn on the body to balance the user's standing state;
a terminal hol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ody frame part, the other end being disposed in the space above the body frame part, and allowing the user's smart terminal to be mounted; and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sensor part for measuring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and a communication part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part to a smart terminal;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지면에 접촉되며, 상기 상판지지부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전복방지프레임;
상기 전복방지프레임에 연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아우터프레임에 인입출되는 이너프레임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프레임; 및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frame portion,
A pair of overturn prevention frame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support;
a height adjustment frame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through an outer frame coupled to the overturn prevention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inner frame drawn in and out of the outer frame; and
Standing balance training machine for children through a game comprising; a top plate mounting fram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거치부는 상기 아우터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연결프레임의 중간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anding balance training machine for children through a g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knee support portion is fixedly arrang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outer fram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위치에서, 상기 무릎거치부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 회동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
4.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when the knee holder pivot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a g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벨트부는,
사용자의 상반신에 X자형으로 교차되면서 감싸며, 길이 조절되는 제1벨트부;
양단이 상기 제1벨트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2벨트부;를 포함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justment belt portion,
A first belt part wrapped around the user's upper body in an X-shape, the length of which is adjusted;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irst belt portion, the second belt portion for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standing balance training machine for children through a gam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단말기에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며,
상기 상판지지부에 지지되어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사용자가 양측 발을 모은 상태에서 상반신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면,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
According to claim 1,
The game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smart terminal,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a g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me application is operated when the user who is supported by the upper plate support and maintains the standing state reciprocates the upper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both feet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상판지지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감지센서이며,
상기 측정값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어, 좌우 방향의 조작을 위한 위치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s at least one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support,
The measured value is input to a game application, and the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a g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verted into position data for oper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지지부에는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기가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상판지지부의 양단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센서부가 고장나면 제2센서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통한 아동용 기립 균형 훈련기.
8. The method of claim 7,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position signal is disposed on the upper plate support,
The sensor unit is disposed below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support, respectively, the second sensor unit is used when the first sensor unit fails.
KR1020210017612A 2021-02-08 2021-02-08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games KR102463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612A KR102463239B1 (en) 2021-02-08 2021-02-08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gam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612A KR102463239B1 (en) 2021-02-08 2021-02-08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gam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96A KR20220114296A (en) 2022-08-17
KR102463239B1 true KR102463239B1 (en) 2022-11-03

Family

ID=8311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612A KR102463239B1 (en) 2021-02-08 2021-02-08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gam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239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54B1 (en) 2012-11-21 2014-09-15 (주)맨엔텔 a Rehabilitation Motion Device of Upright Type
KR101604913B1 (en) * 2014-07-31 2016-03-1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Motion trainer for lower body dysfunctions recover
KR101652334B1 (en) 2015-03-13 2016-08-31 (주)맨엔텔 Upper limb and Lower limb Rehabilitation Motion Device of Upright Type
KR101873860B1 (en) 2016-03-23 2018-07-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Balance trai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96A (en)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2610B1 (en) Lower body mimetic exercise device with fully or partially autonomous right and left leg links and ergonomically positioned pivot points
CN106999751B (en) Exercise apparatus
US5330404A (en) Exercise apparatus
US5224914A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8343022B1 (en) Cheerleader training device
US5913752A (en) Total body exercise machine
KR101566613B1 (en) Brain Functions And Muscle Strength Exercise Equipment Using Bicycle
US7329210B1 (en) Vertical training apparatus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KR102116336B1 (en) Healthcare system using elastic force
KR102463239B1 (en)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games
US6984196B2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and method
KR102402869B1 (en) Exercise equipment with stick rod fastening structure
CN211383651U (en) Medical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US20080194388A1 (en) Treadmill
JP6345365B1 (en) Exercise equipment
KR101739685B1 (en) Combine exercise ball exercise bike
KR20190113280A (en) Device to assist the squat exercise
KR101653647B1 (en) Hand-standing apparatus
JP7101979B2 (en) Real run type exercise assist device
JP6552147B1 (en) Training equipment
KR102418714B1 (en) Bent over support bench
JP3210050U (en) Waist exercise equipment
KR20220011942A (en) a standing balance trainer for children through games
US20200078637A1 (en) Perfecto Ab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