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138B1 -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138B1
KR102463138B1 KR1020200162786A KR20200162786A KR102463138B1 KR 102463138 B1 KR102463138 B1 KR 102463138B1 KR 1020200162786 A KR1020200162786 A KR 1020200162786A KR 20200162786 A KR20200162786 A KR 20200162786A KR 102463138 B1 KR102463138 B1 KR 102463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machine
accident
machine vehicle
ran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363A (ko
Inventor
최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틱스
Priority to KR102020016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1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5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 차량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부터 상기 농기계 차량의 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전도각 내의 제1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에 발생된 충돌의 정도를 나타내는 충돌값과,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충돌값 내의 제2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충돌값이 상기 최대 충돌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되었을 경우,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사고가 발생되기 이전에,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OF ACCIDENT ON AGRCULTURAL MACHINERY VEHICLE}
본 발명은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농기계 차량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부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 및 충격값을 수집하고, 기 저장된 최대 전도 각도 및 최대 충격값과 비교하여 농기계 차량의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농업 분야에서 정보 통신 기술이 접목된 고도화된 농업 기술들이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실내 수직형 농장이나 스마트 축사와과 같은 스마트팜과 농산물 생산 관리의 효율을 최적화하는 정밀 농업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보 통신 기술이 접목된 농업 분야는 농산물을 생산하고 관리하는데에 그치고 있으며, 농업을 영위하는데 이용되는 차량용 농기계를 관리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보 통신 기술을 접목시킨 적절한 기술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도시로부터 접근성이 좋은 도시형 농장이 등장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대부분의 농장이 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이나 낙후된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의 경우 비포장 도로나 나대지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차량용 농기계의 사고 위험이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클수밖에 없다. 또한, 가격이 비싼 차량용 농기계의 경우 임대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차량용 농기계의 사고 위험을 관리하는 것은 농장주에게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차량용 농기계에 블랙박스 등과 같이 차량용 농기계를 관리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사고 발생 이후 또는 사고 당시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사고가 발생하기 전 사전에 사고를 예방하거나 경고함으로써 사고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1481호,(2020.06.03)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농기계 차량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부터 상기 농기계 차량의 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전도각 내의 제1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에 발생된 충돌의 정도를 나타내는 충돌값과,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충돌값 내의 제2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충돌값이 상기 최대 충돌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되었을 경우,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사고가 발생되기 이전에,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농기계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기 저장된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농기계 차량이 현재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농기계 차량이 사고 발생 지점으로 진입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지점의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최대 전도각 내에서 제1 범위는 다른 제1-1 범위로 변경되고, 상기 최대 충돌값의 제2 범위는 다른 제2-2 범위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충돌값이 상기 최대 충돌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농기계 차량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농기계 차량의 사고가 발생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새로운 사고 발생 지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고가 발생된 시점 당시의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값 및 충돌값 각각은 상기 최대 전도각 및 최대 충돌값으로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농기계 차량의 유형별 또는 상기 농기계 차량의 제조사 별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 장치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농기계 차량,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통신부,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농기계 차량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부터 상기 농기계 차량의 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전도각 내의 제1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에 발생된 충돌의 정도를 나타내는 충돌값과,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충돌값 내의 제2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충돌값이 상기 최대 충돌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되었을 경우,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사고가 발생되기 이전에,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기계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기 저장된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농기계 차량이 현재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이 사고 발생 지점으로 진입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경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하여 상기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을 실행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농기계 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존의 사고 발생 지점과 현재 농기계 차량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농기계 차량에 존재하는 사고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장소 또는 지점에서의 농기계 차량을 더욱 엄격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농기계 차량의 위치 변화 정보를 기반으로,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농기계 차량과 사용자가 분리된 공간에서도, 사용자의 농기계 차량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발생 지점으로의 진입을 경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지점으로의 진입을 경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지점으로의 진입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사고 지점의 소정 범위 내 농기계 차량의 진입 시 사고 발생 지점으로 진입을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은, 농기계 차량(20), 농기계 차량(20)에 구비된 센서 장치(40), 서버(30) 및 사용자 단말기(1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농기계 차량(20)’은, 농업에서 사용되는 승용형 농기계로서, 농작물을 재배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고, 농장주 또는 농장 관리인 등이 탑승하여 사용하는 농기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농기계 챠량으로는,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관리기, 이식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농기계 차량(20)에 구비된 센서 장치(40) 및/또는 농기계 차량(20)과 연동된 단말기로서,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 경고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즉,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스마트워치, 스마트카메라 등과 같은 전기 통신 장치, 리모트 콘트롤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농기계 차량(20)에 구비된 센서 장치(40)와 연동된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버(30)에 등록된 해당 농기계 차량(20) 및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연동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기(10)는 실시간으로 센서 장치(40)가 구비된 농기계 차량(20)에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센서 장치(40)에 의해 수집된 센싱 정보를 서버(30)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30)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한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 예측 정보 또는 사고 발생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제2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장치(40)’는 농기계 차량(20)과 별도로 생산되어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일측에 부착된 센서 장치(40)를 의미한다. 또한 농기계 차량(20)의 생산 당시부터 내재되어 농기계 차량(20) 자체에 구비된 센서 장치(40) 또한 의미한다. 센서 장치(4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와 연동되며, 농기계 차량(20)으로부터 센싱한 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센서 장치(40)’는 농기계 차량(20)의 기울기 각도를 측정(센싱)하는 제1 센서부와 농기계 차량(20)의 충돌값을 측정(센싱)하는 제2 센서부와 농기계 차량(20)의 실시간 위치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를 측정(센싱)하는 제3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 따라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센서 장치(40)는 사용자 단말기(10)와의 센싱 정보 송수신을 위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농기계 차량(20)에 관한 센싱 정보를 서버(30)에 직접 송신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인터넷 모듈을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서버(30)는 통신부(31), 메모리(32) 및 제어부(33)를 포함한다.
서버(30)의 메모리(32)에는 농기계 차량(20)의 종류 별 및 위치에 따라 설정된 최대 전도각 및 최대 충돌값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이전에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관한 위치 정보 또한 저장된다.
한편, 통신부(31)는, 농기계 차량(20)에 구비된 센서 장치(40)에 의해 측정된 해당 농기계 차량(20)의 기울기 각도, 충돌값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3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10)로, 사용자 단말기(10)와 연동된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서버(30)가 송신한 사고 발생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피드백 정보 또한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3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단계들은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장치는 서버(이하, 서버) 컴퓨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농기계 차량(20)에 구비된 센서 장치(40)로부터 농기계 차량(20)의 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210).
한편, ‘운행 데이터’는 농기계 차량(20)의 운행 중 각각의 농기계 차량(20)에 구비된 센서 장치(40)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각도 정보, 충돌값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농기계 차량(20)의 운행 데이터는 센서 장치(40)에 의해 측정된 후 센서 장치(4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된 후 서버(30)가 운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선, 센서 장치(40)의 무선 통신모듈 통해, 직접 운행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버(30)가 운행 데이터를 수신한 후,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전도각 내의 제1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최대 전도각은 농기계 차량(20)의 종류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앙기, 트랙터, 콤바인, 이식기 등에 따라서 최대 전도각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최대 전도각은 센서 장치(40) 및 사용자 단말기(10)에 기반하여 설정된 지역 내 위치에 따라서 최대 전도각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지역 내 A 위치와 B 위치에서의 최대 전도각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서버(30)는 운행 데이터를 수신한 후,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전도각 내의 제1 비율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기계 차량(20)이 트랙터이고, 트랙터의 A위치에서의 최대 전도각이 30도이고, 제1 비율이 0.9라고 가정하면, 서버(30)는 농기계 차량(20)인 트랙터의 A위치에서 측정된 기울기 각도가 27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다시 도 3을 살펴보면, 서버(30)는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20)에 발생된 충돌의 정도를 나타내는 충돌값과,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충돌값 내의 제2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최대 충돌값은 농기계 차량(2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40) 및 사용자 단말기(10)에 기반하여 설정된 지역 내 위치에 따라서도 최대 충돌값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서버(30)에 센서 장치(40)와 사용자 단말기(10)에 관한 정보를 등록할 때, 농기계 차량(20)이 운행되는 지역 정보에 관한 정보를 함께 입력받거나, 센서 장치(40)의 GPS 정보에 기반하여 농기계 차량(20)의 운행 지역 또는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서버(30)는 상기 지역 또는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농기계 차량(20)에 적용되는 최대 전도값과 충돌값을 설정한다. 한편, 동일한 지역이라 하더라도, 위치에 따라서 적용되는 최대 전도값과 충돌값이 상이할 수 있다. 이는, 농기계 차량(20)과 관련한 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서버(30)는 운행 데이터를 수신한 후,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충돌값이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충돌값 내의 제2 비율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기계 차량(20)이 이앙기이고, 이앙기의 A위치에서의 충돌값이 40이고, 제2 비율이 0.9라고 가정하면, 서버(30)는 농기계 차량(20)인 트랙터의 A위치에서 측정된 기울기 각도가 36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한편, 다시 도 3을 살펴보면, 농기계 차량(20)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충돌값이 상기 최대 충돌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되었을 경우, 상기 농기계 차량(20)에 사고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사고가 발생되기 이전에,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0)로 상기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농기계 차량(20)에 구비된 센서 장치(40)로부터 수집된 농기계 차량(20)의 기울기 각도가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충돌값이 최대 충돌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되면, 해당 농기계 차량(20)이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사고가 발생되기 전에, 농기계의 기울기 각도와 충돌값으로 사고 발생을 예측함으로써, 사전에 사고 발생 자체를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서버(30)에 의해 사고 발생이 예측되면, 서버(30)에 등록된 해당 농기계 차량(20)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10)로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 지점으로의 진입을 경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 지점으로의 진입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사고 지점의 소정 범위 내 농기계 차량(20)의 진입 시 사고 발생 지점으로 진입을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면, 농기계 차량(20)의 현재 위치 정보와 기 저장된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농기계 차량(20)이 현재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50), 농기계 차량(20)이 사고 발생 지점으로 진입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 상기 경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290).
구체적으로, 도 5를 살펴보면, 먼저 농기계 차량(20)에 구비된 센서 장치(40)에 의해 수집된 농기계 차량(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30)가 수집한다. 이때, 농기계 차량(20)의 현재 위치 정보는 GPS 정보로 센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서버(30)의 메모리(32)에는 실시간으로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간으로 사고가 발생된 지점은, 서버(30)에 등록된 농기계 차량(20)의 운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30)의 메모리(32)에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정에 관한 정보 또한 저장한다.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점이란, 빈번하게 사고가 발생된 장소를 말한다.
따라서, 농기계 차량(20)이 실시간으로 사고가 발생된 지점 또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정에 진입한 경우에, 해당 농기계 차량(20)의 센서장치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에 ‘사고 발생 지점의 진입’에 대하여 경고하는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이를 통해, 농기계 차량(20)을 운행하는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 시, 경고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연쇄적인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빈번하게 발생되는 사고 발생 지점에 진입한 경우에도, 경고 정보 수신을 통해,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지점의 진입 여부와 관련하여, 각각의 사고 지점의 소정 범위 내 진입한 경우에 농기계 차량(20)이 사고 지점에 진입하였음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고 지점으로부터 제3 범위 내, 예를 들어 반경 10m 내 진입 시, 농기계 차량(20)에 경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술한 제3 범위는 사고 횟수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고 횟수가 제1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3 범위는 제3-3범위(제3 범위보다 더 큰 값)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곳에서의 농기계 차량(20)의 철저한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 지점의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최대 전도각 내에서 제1 범위는 다른 제1-1 범위로 변경되고, 상기 최대 충돌값의 제2 범위는 다른 제2-2 범위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1-1범위는 제1 범위보다 더 넓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2범위도 제2 범위보다 더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범위가 최대 전도각의 20%범위이고, 제2 범위가 최대 충돌값의 10%범위라고 가정한다면, 제1-1범위는 20%보다 더 큰 30%로, 제2-2범위는 10%보다 더 큰 20%로 각각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지점의 경우, 기울기 각도 및 충격값을 판단하는 범위를 더 넓게 설정하여, 농기계 차량(20)의 운행 중 존재하는 사고 발생 가능성을 신중하게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충돌값이 상기 최대 충돌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농기계 차량(20)에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S270), 농기계 차량(20)에 사고가 발생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농기계 차량(20)의 기울기 각도가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농기계 차량(20)의 충돌값이 최대 충돌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된 상태, 즉 사고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태에서, 농기계 차량(20)의 위치 정보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농기계 차량(20)에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농기계 차량(20) 또는 농기계 차량(20)의 센서 장치(4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10)로, 해당 농기계 차량(20)의 사고가 발생됨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을 예측함으로써, 농기계 차량(20)과 분리된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농기계 차량(20)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농기계 차량(20)에 사고가 발생됨을 알리는 정보가 송신되는 사용자 단말기(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제2 사용자 단말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기(10)는 센서 장치(40)로부터 센싱 또는 측정된 기울기 각도, 충돌값 그리고 위치 정보를 서버(30)에 송신하는 것이라면, 제2 사용자 단말기(10)는 해당 농기계 차량(20)과 관련하여 서버(30)에 등록된 또 다른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제1 사용자 단말기(10)가 농기계 차량(20)에 탑승한 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라고 가정한다면, 제2 사용자 단말기(10)는 농기계 차량(20)과 분리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농기계 차량(20)의 정보를 분리된 공간 속에서 실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버(3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고 발생의 확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가 사고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사고 발생에 상응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고 발생의 확정 또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음을 확정하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농기계 차량(20)에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사고가 발생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새로운 사고 발생 지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30)의 메모리(32)에는 설정된 지역 또는 범위 내 사고 발생 지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를 통해,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 지점의 진입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판단하게 된다.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 시 기 저장된 사고 발생 지점과 상이한 경우, 새로운 사고 발생 지점으로 등록함으로써,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장소 또는 지점을 식별하여, 농기계 차량(20)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를 위해, 농기계 차량(20)의 사고가 발생된 지점의 위치 정보(제1 위치 정보)와 기 저장된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제2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제2 위치 정보가 상이하거나, 제1 위치 정보가 제2 위치 정보의 제4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새로운 사고 지점으로 등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고가 발생되지 않음을 확정하는 정보를 입력한 경우에는, 해당 사고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새로운 사고 발생 지점으로 등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고가 발생된 시점 당시의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기울기 값 및 충돌값 각각은 상기 최대 전도각 및 최대 충돌값으로 갱신될 수 있다. 즉, 사고가 발생된 경우에는, 해당 기울기 값(각도)와 충돌값을 해당 지점에서의 농기계 차량(20)의 종류에 관한 최대 전도각 및 최대 충돌값으로 갱신함으로써, 농기계 차량(20)을 관리하는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고가 발생된 시점 당시의 농기계의 차량의 기울기 값 및 충돌값이 각각 최대 전도각의 제5범위 및 최대 충돌값의 제6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울기 값 및 충돌값을 각각 최대 전도각과 최대 충돌값으로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갱신을 보류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동일한 해당 지점 및 동일한 종류의 농기계 차량(20)의 사고가 발생된 경우에, 이후 사고가 발생된 시점에서의 농기계 차량(20)의 기울기 값 및 충돌값과의 평균값으로, 최대 전도각 및 최대 충돌값을 갱신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시점에서의 제1 트랙터의 A지점에서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고, 제1 트랙터의 기울기 값과 충돌값이 각각 최대 전도각의 제5범위 및 최대 충돌값의 제6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대 전도각 및 최대 충돌값의 갱신을 보류한다. 그리고 제2 시점에서의 제2 트랙터의 A지점에서 사고가 발생된 경우, 제1 트랙터 및 제2 트랙터의 기울기 값과 충돌값의 평균값으로 최대 전도각 및 최대 충돌값을 갱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버(30)는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농기계 차량(20)의 유형별 또는 상기 농기계 차량(20)의 제조사 별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빅데이터를 기초하여, 지역에 따라, 그리고 지역 내 위치에 따라서 설정되는 최대 충돌값과 최대 전도각이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농기계 차량(20)의 제조사에 따라서도 최대 충돌값과 최대 전도각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30)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32)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30)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32)(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농기계 차량
30 : 서버
40 : 센서 장치

Claims (10)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 차량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부터 상기 농기계 차량의 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전도각 내의 제1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에 발생된 충격의 정도를 나타내는 충격값이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충격값 내의 제2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충격값이 상기 최대 충격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되었을 경우,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사고가 발생되기 이전에, 농기계 차량에 탑승한 자가 소지하고 있는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농기계 차량과 분리된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농기계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기 저장된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농기계 차량이 현재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농기계 차량이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제3 범위 내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농기계 차량이 상기 현재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제3 범위내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충격값이 상기 최대 충격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농기계 차량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이 사고발생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범위 및 상기 제2 범위는 각각 제1-1 범위 및 제2-2 범위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제3 범위는 사고 횟수에 기초하여 제3-3 범위로 변경될 수 있는,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지점의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최대 전도각 내에서 제1 범위는 다른 제1-1 범위로 변경되고, 상기 최대 충격값의 제2 범위는 다른 제2-2 범위로 변경되는,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기계 차량의 사고가 발생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새로운 사고 발생 지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사고가 발생된 시점 당시의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값 및 충격값 각각은 상기 최대 전도각 및 최대 충격값으로 갱신되는,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별 또는 상기 농기계 차량의 제조사 별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
  8.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 장치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농기계 차량;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통신부;
    메모리; 및
    상기 농기계 차량에 구비된 센서 장치로부터 상기 농기계 차량의 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전도각 내의 제1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행 중인 상기 농기계 차량에 발생된 충격의 정도를 나타내는 충격값이 상기 농기계 차량의 종류 및 상기 농기계의 현재 주행 위치에 해당하는 최대 충격값 내의 제2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충격값이 상기 최대 충격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되었을 경우,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사고가 발생되기 이전에, 농기계 차량에 탑승한 자가 소지하고 있는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농기계 차량과 분리된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기 저장된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농기계 차량이 현재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이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제3 범위 내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이 상기 현재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제3 범위내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사고 발생을 경고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최대 전도각의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의 충격값이 상기 최대 충격값의 제2 범위에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농기계 차량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에 사고가 발생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이 사고발생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범위 및 상기 제2 범위는 각각 제1-1 범위 및 제2-2 범위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제3 범위는 사고 횟수에 기초하여 제3-3 범위로 변경될 수 있는,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기계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기 저장된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농기계 차량이 현재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농기계 차량이 사고 발생 지점으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경고 정보를 송신하는,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10. 컴퓨터와 결합하여 제1 항, 제3 항 및 제5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62786A 2020-11-27 2020-11-27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463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786A KR102463138B1 (ko) 2020-11-27 2020-11-27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786A KR102463138B1 (ko) 2020-11-27 2020-11-27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363A KR20220074363A (ko) 2022-06-03
KR102463138B1 true KR102463138B1 (ko) 2022-11-04

Family

ID=8198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786A KR102463138B1 (ko) 2020-11-27 2020-11-27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43355A1 (en) 2021-08-04 2023-02-0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567778B1 (ko) * 2022-10-11 2023-08-17 (주)아이하트 이동체의 속성에 따라 보정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체의 위험발생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4035A (ja) * 2017-11-28 2019-06-20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転倒防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604A (ko) * 2015-10-05 2017-04-13 자동차부품연구원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한 충돌 회피 장치 및 방법
KR20190009018A (ko) * 2017-07-17 2019-01-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율주행 농업기계의 작업안전을 위한 속도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29110B1 (ko) 2018-11-23 2020-07-03 오연재 사고 예방 기능을 갖는 농업용 기계 안전사고 감지장치
KR102553053B1 (ko) * 2018-12-28 2023-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주변의 위험 요소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4035A (ja) * 2017-11-28 2019-06-20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転倒防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363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3138B1 (ko) 농기계 차량의 사고 발생 경고 시스템 및 방법
US11160089B2 (en) Assessment and mitigation of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of networked devices
US73301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trigger
EP3023961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ula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210192445A1 (en) Sending reports of asset transport status
KR101493360B1 (ko) 주변 차량의 상태 변화 감지를 통한 차량 주행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103235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destrian-to-vehicle collision avoidance based on emitted wavelength
US10332396B1 (en) Technology for managing autonomous vehicle operation in association with emergency events
EP371669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short-range communication links between asset tracking devices
CN102196557A (zh) 选择用于位置推断的信标
US2009008574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mobile radio frequency reader based on its location
US20230059638A1 (en) Micro-Navigation For A Vehicle
CN110800324B (zh) 一种改善道路安全和/或管理的系统和方法
US20200312142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Road Safety and/or Management
CN111541751B (zh) 一种轨迹监测的方法及装置
KR102304095B1 (ko) 스마트폰 연계 전기자동차 진단 시스템
WO2022155301A1 (en) Distributed method and system for collision avoidance between vulnerable road users and vehicles
US11307578B2 (en) Manual drive changing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101336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job status information of assets
CN108663674B (zh) 车辆定位方法、汽车、存储介质及定位系统
Kim et al. Signal processing and alert logic evaluation for IoT–based work zone proximity safety system
US9584600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construction equipment and management server
Yang et al. Stochastic Parameter Identification Method for Driving Trajectory Simulation Processes Based on Mobile Edge Computing and Self‐Organizing Feature Mapping
CN115769163A (zh) 矿井内部的碰撞检测和避免
US1137324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igital security breaches of connected assets based on location tracking and asset profi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