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018B1 -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018B1
KR102463018B1 KR1020200144818A KR20200144818A KR102463018B1 KR 102463018 B1 KR102463018 B1 KR 102463018B1 KR 1020200144818 A KR1020200144818 A KR 1020200144818A KR 20200144818 A KR20200144818 A KR 20200144818A KR 102463018 B1 KR102463018 B1 KR 102463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toughness
less
wire rod
excellent impact
auste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372A (ko
Inventor
이형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4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0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우수한 충격인성이 요구되는 구조용 소재로 적용할 수 있는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용접봉용 소재로도 적용할 수 있는 선재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되는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로, C: 0.05 내지 0.8%, Si: 0.05 내지 0.7%, Mn: 16 내지 31%, P: 0.020% 이하, S: 0.010% 이하, N: 0.15 내지 0.40%, Ni: 8.0% 이하, Cr: 1.0 내지 3.5%, Mo: 1.0 내지 3.5%, V: 0.1 내지 0.3%,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으로 오스테나이트상을 면적분율로 95% 이상 포함하며, 상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고경각계 중 Σ3 쌍정경계가 차지하는 분율이 20% 이상일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STEEL WIRE ROD WITH EXCELLENT IMPACT TOUGHNE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우수한 충격인성이 요구되는 구조용 소재로 적용할 수 있는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용접봉용 소재로도 적용할 수 있는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교량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는 기계구조용 소재는 우수한 강도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특성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북유럽, 북미, 시베리아 등과 같은 한랭지에서 사용되는 교량용 강선과 심해에서 사용되는 로프 등은 저온에서 취성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충격인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미세조직이 페라이트-펄라이트로 이루어진 강은 강도가 커질수록 충격인성은 열위해지기 쉽다. 따라서, 고강도이면서 동시에 높은 충격인성을 만족하는 소재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또는 베이나이트 조직의 강을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또는 베이나이트 조직강은 한랭지나 심해 등과 같은 극저온 활경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충격인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충격인성을 갖는 강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8621호 (공개일:2016년07월05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금조성과 제조방법을 통해 미세조직을 제어함으로써 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는 중량%로, C: 0.05 내지 0.8%, Si: 0.05 내지 0.7%, Mn: 16 내지 31%, P: 0.020% 이하, S: 0.010% 이하, N: 0.15 내지 0.40%, Ni: 8.0% 이하, Cr: 1.0 내지 3.5%, Mo: 1.0 내지 3.5%, V: 0.1 내지 0.3%,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으로 오스테나이트상을 면적분율로 95% 이상 포함하며, 상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고경각계 중 Σ3 쌍정경계가 차지하는 분율이 2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도는 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에 있어서, 인장강도가 900 내지 1100MPa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에 있어서, -196℃에서의 충격인성이 100J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05 내지 0.8%, Si: 0.05 내지 0.7%, Mn: 16 내지 31%, P: 0.020% 이하, S: 0.010% 이하, N: 0.15 내지 0.40%, Ni: 8.0% 이하, Cr: 1.0 내지 3.5% 이하, Mo: 1.0 내지 3.5%, V: 0.1 내지 0.3%,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1050 내지 1150℃까지 재가열하는 단계,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 850 내지 950℃로 열간압연하고, 권취하는 단계, 5℃/s 이상으로 냉각하는 단계, 감면율 70% 이상으로 냉간인발하는 단계 및 600 내지 800℃에서 어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선재의 미세조직으로 오스테나이트상을 면적분율로 95% 이상 포함하며, 상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고경각계 중 Σ3 쌍정경계가 차지하는 분율이 2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재의 기지 조직을 미세한 오스테나이트로 제어함으로써 자동차, 건설 및 해양용 소재 또는 부품에서 요구되는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때문에 가령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여야만 하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덧붙여,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명확히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지,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를 예비적으로 배제하고자 사용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특정 용어가 과도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가령,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는 중량%로, C: 0.05 내지 0.8%, Si: 0.05 내지 0.7%, Mn: 16 내지 31%, P: 0.020% 이하, S: 0.010% 이하, N: 0.15 내지 0.40%, Ni: 8.0% 이하, Cr: 1.0 내지 3.5%, Mo: 1.0 내지 3.5%, V: 0.1 내지 0.3%,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합금원소의 성분범위를 한정한 이유를 이하에서 서술한다.
C의 함량은 0.05 내지 0.8중량%일 수 있다.
C는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로, 강도를 증가시키고 저온 환경에서 충격인성을 향상시키킨다. C함량이 0.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목표하는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C함량이 0.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화물 석출로 인해 충격인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Si의 함량은 0.05 내지 0.7중량%일 수 있다.
Si는 강의 탈산을 위해서 유용할 뿐만 아니라, 고용 강화를 통해 강도 확보에도 효과적이지만 충격특성을 열위하게 하는 원소이다.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 Si은 0.05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0.7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Mn의 함량은 16 내지 31중량%일 수 있다.
Mn은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하게 만들고, 상온뿐 아니라 저온에서 충격인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원소이다. Mn함량이 16중량% 미만이면 저온에서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의해 충격인성이 열위해질 수 있고, 그 함량이 31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P의 함량은 0.020중량% 이하일 수 있다.
P는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강재에 가능한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P는 0.020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S의 함량은 0.010중량% 이하일 수 있다.
S는 P와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인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저융점 유화물을 형성시켜 열간 압연을 저해하는 원소이기 때문에 강재에 가능한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S는 0.010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N의 함량은 0.15 내지 0.40중량%일 수 있다.
N는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하게 만들고, 상온뿐 아니라 저온에서 충격인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원소이다. N함량이 0.15중량% 미만일 경우 상온 강도 향상 효과가 크지 않고, 0.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인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Ni의 함량은 8.0중량% 이하일 수 있다.
Ni은 오스테나이트상 안정화 원소로서, 충격인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Ni은 고가의 원소로서 일정량 이상 첨가 시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며, 과다 첨가 시 상온 강도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Ni함량은 8.0중량% 이하로 관리된다.
Cr의 함량은 1.0 내지 3.5중량%일 수 있다.
Cr은 페라이트상 안정화 원소로서, 페라이트의 형성을 촉진시켜 오스테나이트상 영역을 축소시킨다. Cr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상온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Cr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상온 강도 향상 효과가 크지 않고, Cr함량이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화물을 생성시켜 충격인성을 열위하게 할 수 있으며, 오스테나이트상 영역이 축소될 우려가 있다.
Mo의 함량은 1.0 내지 3.5중량%일 수 있다.
Mo은 Cr에 비해 상온 강도 향상 효과가 더 우수하며, 탄화물 형성도 용이하지 않아 충격인성의 저하가 적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본 발명에서 Mo은 1.0중량% 이상 첨가될 수 있다. 다만, Mo은 고가의 원소로서 일정량 이상 첨가 시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며, 과다 첨가 시 극저온 충격인성의 저하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Mo함량은 3.5중량% 이하로 관리된다.
V의 함량은 0.1 내지 0.3중량%일 수 있다.
V은 Cr과 Mo에 비해 상온 강도 향상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본 발명에서 V은 0.1중량% 이상 첨가될 수 있다. 다만, V은 고가의 원소로서 일정량 이상 첨가 시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므로 0.3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는 미세조직으로 오스테나이트상을 면적분율로 95% 이상 포함한다. 만일 강 중에 탄화물이 다량 형성되면 오스테나이트 상안정화도가 낮아지고,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가 다량 형성되면 조직이 불균일해질 뿐만 아니라 충격인성이 열위해질 문제가 있으므로, 탄화물이나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등 기타 불순 조직들은 최대한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도는 작을수록 미세한 결정립에 의한 충격인성 향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는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도가 5㎛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재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은 정적 재결정(static recrystallization) 과정을 거쳐 형성되며, 오스테나이트의 결정 간의 방위차(misorientation angle)가 15°이상에 해당하는 고경각계(high angle boundary) 중 Σ3 쌍정경계(twin boundary)가 차지하는 분율이 20% 이상일 수 있다. 쌍정경계의 분율이 커질수록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도를 추가적으로 미세화하여 충격인성 향상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우수한 충격인성 향상 확보를 위해 합금조성, 제조공정 등의 조건을 제어하여 Σ3 쌍정경계의 분율이 20% 이상이 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Σ3 쌍정경계의 분율은 고경각계 전체 길이 중 쌍정경계가 차지하는 길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재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합금조성을 포함하는 강재를 1050 내지 1150℃까지 재가열하는 단계,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 850 내지 950℃로 열간압연하고, 권취하는 단계, 5℃/s 이상으로 냉각하는 단계, 감면율 70% 이상으로 냉간인발하는 단계 및 600 내지 800℃에서 어닐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술한 합금조성을 갖는 강재를 마련한 다음, 재가열한다. 재가열 온도범위는 1050 내지 1150℃일 수 있다. 만일 재가열온도가 1050℃ 미만이면 강재에 포함된 석출물이 완전히 용해되어 오스테나이트에 재고용되지 않기 때문에 목표로 하는 미세조직과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1150℃를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하게 성장해서 기계적 성질을 열위하게 할 뿐 아니라 표면산화가 심해져 표면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재가열된 강재를 열간압연한다. 이때,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는 850 내지 950℃일 수 있다. 만일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가 850℃ 미만이면 동적 재결정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아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작을 수 있고, 950℃를 초과하면 결정립이 조대하게 되어 원하는 기계적 성질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는 850 내지 950℃의 온도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열간압연된 강재를 권취한 다음 5℃/s 이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만일 냉각속도가 5℃/s 미만이면 냉각 중 석출물이 형성되어 강도가 과도하게 증가 되고, 충격인성은 열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어서, 상기 냉각된 강재를 감면율 70% 이상으로 냉간인발할 수 있다. 만일 감면율이 70% 미만이면 축적된 변형량이 적어 어닐링 시 정적 재결정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결정립의 크기가 충분히 미세하게 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어서, 상기 냉간인발된 강재를 600 내지 800℃에서 어닐링할 수 있다. 만일 어닐링 온도가 600℃ 미만이면 정적 재결정이 완료되지 못해 강도는 크게 증가하고, 충격인성이 열위해질 우려가 있다. 반면, 어닐링 온도가 800℃를 초과하면 결정립이 과도하게 성장하여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따른 합금조성의 강재를 마련한 다음,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재가열-열간압연-권취-냉각-냉간인발-어닐링 순으로 선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선재들에 대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도 및 결정립계 중 Σ3 쌍정경계 분율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도는 화상 분석기(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쌍정경계 분율은 후방 산란전자 회절(EBSD)을 이용하여 얻었다.
또한, 제조된 선재들에 대해 상온 인장시험 및 저온(-196℃) 샤르피 충격시험(V노치)을 통해 인장강도와 저온 충격인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인장강도는 JIS4호 시험편을 이용해 JIS Z 2241에 따라 측정하였고, 샤르피 충격인성은 JIS Z 2202 시험편을 이용해 JIS Z 2242에 따라 측정하였다.
강종 합금조성 (중량%)
C Si Mn P S N Ni Cr Mo V
1 0.25 0.20 23 0.020 0.007 0.30 3 2.1 2.3 0.1
2 0.32 0.35 28 0.019 0.005 0.25 2 1.8 2.0 0.3
3 0.65 0.40 19 0.017 0.010 0.20 3 3.3 1.4 0.2
4 0.13 0.37 25 0.010 0.007 0.23 6 1.2 3.1 0.2
5 0.41 0.62 21 0.016 0.008 0.35 5 2.5 1.3 0.3
6 0.33 0.33 18 0.011 0.006 0.22 6 1.5 2.7 0.1
7 0.24 0.25 26 0.015 0.009 0.18 3 2.1 1.9 0.2
8 0.52 0.21 25 0.013 0.005 0.48 4 2.7 2.0 0.3
9 0.34 0.35 29 0.014 0.003 0.09 3 1.0 1.1 0.1
강종 재가열
온도
(℃)
마무리
열간
압연
온도
(℃)
냉각
속도
(℃/s)
냉간
인발
감면율
(%)
어닐링
온도
(℃)
오스테
나이트
결정
입도
(㎛)
Σ3
쌍정
경계
분율
(%)
인장
강도
(MPa)
충격
인성
(J)
발명예1 1 1100 910 5 70 700 3 25 980 175
발명예2 2 1080 890 6 80 650 1 30 1010 160
발명예3 3 1130 930 8 75 680 2 27 1090 115
발명예4 4 1090 940 7 85 750 4 34 950 170
비교예1 5 950 920 5 75 690 2 29 1150 70
비교예2 6 1250 1050 6 70 700 33 23 790 190
비교예3 7 1120 1030 5 80 730 16 26 880 175
비교예4 1 1110 930 1 75 720 3 23 1110 80
비교예5 2 1100 950 6 40 780 8 20 890 160
비교예6 3 1070 910 5 78 550 - 0 1580 5
비교예7 4 1090 930 7 73 900 50 21 680 210
비교예8 8 1080 940 5 77 710 3 27 1370 55
비교예9 9 1060 880 6 80 790 5 31 885 180
상기 표 1,2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합금조성과 제조조건을 충족하는 발명예 1-4의 선재들은 인장강도가 900 내지 1100MPa로 고강도이며, 동시에 -196℃에서의 충격인성이 100J 이상으로 저온에서 충격인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은 재가열온도가 낮아 강재에 포함된 석출물이 완전히 용해되어 오스테나이트에 재고용되지 못했기 때문에 강도는 크게 증가하고, 충격인성은 열위해졌다.
비교예 2는 재가열온도와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가 높아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매우 커져서 인장강도가 크게 저하되었다.
비교예 3 은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가 높아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매우 커져서 인장강도가 크게 저하되었다.
비교예 4는 권취 후 냉각속도가 낮아 기지조직에 석출물이 형성되어 인장강도가 크게 증가하고, 충격인성은 열위해져졌다.
비교예 5는 냉간인발 감면율이 너무 낮아 후속되는 어닐링 시 정적 재결정이 일어날 수 있는 임계 변형량이 부족하였다. 이로 인해 최종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충분히 작아지지 못해 강도가 열위해졌다.
비교예 6은 어닐링 온도가 낮아 재결정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고, 회복과정만 일어나기 때문에 고경각계 형성이 어려워 결정립계가 뚜렷하지 못하고, 쌍정도 관찰하기 어려웠으며, 풀리지 않은 전위가 다량으로 잔존하여 강도는 크게 증가하였고, 충격인성은 매우 열위해졌다.
비교예 7은 어닐링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 재결정 후에 결정립 성장이 일어났으며, 이로 인해 강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비교예 8은 질소 첨가량이 과다하여 오스테나이트 기지에 고용된 질소의 양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고용강화 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인장강도는 매우 커지는 반면 충격인성은 열위해졌다.
비교예 9는 질소 첨가량이 너무 적어 오스테나이트 기지에 고용된 질소의 양이 크게 감소하여 고용강화 효과가 크게 감소하였다. 이로 인해 인장강도는 다소 열위해졌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중량%로, C: 0.05 내지 0.8%, Si: 0.05 내지 0.7%, Mn: 16 내지 31%, P: 0.020% 이하, S: 0.010% 이하, N: 0.15 내지 0.40%, Ni: 8.0% 이하, Cr: 1.0 내지 3.5%, Mo: 1.0 내지 3.5%, V: 0.1 내지 0.3%,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으로 오스테나이트상을 면적분율로 95% 이상 포함하며, 상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고경각계 중 Σ3 쌍정경계가 차지하는 분율이 20% 이상인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도는 5㎛ 이하인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3. 제1항에 있어서,
    인장강도가 900 내지 1100MPa인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4. 제1항에 있어서,
    -196℃에서의 충격인성이 100J 이상인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5. 중량%로, C: 0.05 내지 0.8%, Si: 0.05 내지 0.7%, Mn: 16 내지 31%, P: 0.020% 이하, S: 0.010% 이하, N: 0.15 내지 0.40%, Ni: 8.0% 이하, Cr: 3.5% 이하, Mo: 1.0 내지 3.5%, V: 0.1 내지 0.3%,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1050 내지 1150℃까지 재가열하는 단계;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 850 내지 950℃로 열간압연하고, 권취하는 단계;
    5℃/s 이상으로 냉각하는 단계;
    감면율 70% 이상으로 냉간인발하는 단계; 및
    600 내지 800℃에서 어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미세조직으로 오스테나이트상을 면적분율로 95% 이상 포함하며, 상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고경각계 중 Σ3 쌍정경계가 차지하는 분율이 20% 이상인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의 제조방법.
KR1020200144818A 2020-11-02 2020-11-02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63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818A KR102463018B1 (ko) 2020-11-02 2020-11-02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818A KR102463018B1 (ko) 2020-11-02 2020-11-02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372A KR20220059372A (ko) 2022-05-10
KR102463018B1 true KR102463018B1 (ko) 2022-11-03

Family

ID=8159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818A KR102463018B1 (ko) 2020-11-02 2020-11-02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0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899B1 (ko) 2013-12-06 2015-10-15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와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 용접 및 가스메탈 아크 용접용 와이어
JP2017502842A (ja) 2013-12-06 2017-01-26 ポスコPosco 極低温衝撃靭性に優れた高強度溶接継手部及びこのためのフラックスコアー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02B1 (ko) * 2011-03-11 2013-07-0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냉간 압조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망간 강선재와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강선재를 이용한 볼트의 제조방법
KR20150066372A (ko)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포스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아크용접 및 가스금속아크용접용 용접재료
KR101657825B1 (ko) 2014-12-24 2016-09-20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강용 tig 용접 재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899B1 (ko) 2013-12-06 2015-10-15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와 극저온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 용접 및 가스메탈 아크 용접용 와이어
JP2017502842A (ja) 2013-12-06 2017-01-26 ポスコPosco 極低温衝撃靭性に優れた高強度溶接継手部及びこのためのフラックスコアー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372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170B1 (ko) 고강도 고인성 강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78711B1 (ko) 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28713B1 (ko) 철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8036B1 (ko) 절삭성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3532A (ko)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저온용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4903B1 (ko) 강도와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26074B1 (ko) 템퍼 취성 저항성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3920B1 (ko) 항복비와 균일연신율이 우수한 항복강도 700 MPa급 철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3018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79068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6590B1 (ko) 고강도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68494B1 (ko) 중탄소 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4474A (ko) 소입성 및 연화저항성이 향상된 저탄소 보론강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9371A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6602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8753B1 (ko) 절삭성 및 충격인성이 향상된 중탄소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15B1 (ko) 강도와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85471B1 (ko)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91061B1 (ko)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12B1 (ko)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102200225B1 (ko) 극저온 횡팽창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22308A (ko)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58851B1 (ko)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20738B1 (ko) 강도와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70032B1 (ko) 강도 및 연신율 특성이 우수한 합금강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