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068B1 -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068B1
KR101879068B1 KR1020160169308A KR20160169308A KR101879068B1 KR 101879068 B1 KR101879068 B1 KR 101879068B1 KR 1020160169308 A KR1020160169308 A KR 1020160169308A KR 20160169308 A KR20160169308 A KR 20160169308A KR 101879068 B1 KR101879068 B1 KR 10187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less
impact toughness
conten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894A (ko
Inventor
이형직
박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6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068B1/ko
Priority to PCT/KR2017/013391 priority patent/WO2018110850A1/ko
Priority to EP17881235.0A priority patent/EP3556885A4/en
Priority to CN201780076488.8A priority patent/CN110062813B/zh
Priority to JP2019531080A priority patent/JP6806905B2/ja
Priority to US16/468,115 priority patent/US20200071792A1/en
Publication of KR2018006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21D1/28Normal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1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73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 C21D9/5732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of wires; of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73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 C21D9/5735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중량%로, C: 0.05% 미만(0% 제외), Si: 0.05% 이하(0% 제외), Mn: 3.0~4.0%, P: 0.020% 이하, S: 0.020% 이하, Ni: 1.0~3.0%, B: 0.0010~0.0030%, Ti: 0.010~0.030%, N: 0.0030% 미만, Al: 0.01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그 미세조직으로 3면적% 이하(0면적% 포함)의 도상 마르텐사이트(MA), 2면적% 이하(0면적% 포함)의 초석 페라이트 및 95면적% 이상(100면적% 포함)의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선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HIGH STRENGTH WIRE ROD HAVING EXCELLENT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외부 부하 환경에 노출되는 산업 기계 또는 자동차 등의 소재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는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전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자동차의 배기가스를 규제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자동차 메이커들은 연비 향상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려고 하고 있다. 그런데 연비 향상을 위해서는 자동차의 경량화 및 고성능화가 요구되므로, 이에 따른 자동차용 소재 또는 부품의 고강도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정성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으므로, 충격인성도 소재 또는 부품의 중요한 물성으로 인식되고 있다.
페라이트 또는 펄라이트 조직의 선재는 우수한 강도 및 충격 인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들 조직을 갖는 소재는 통상 충격 인성은 높은 반면,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특징이 있으며,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냉간 신선을 행하게 되면 고강도를 얻을 수 있으나, 충격 인성은 강도 상승에 비례해 급격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강도이면서 우수한 충격 인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베이나이트 조직이나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이용하게 된다. 베이나이트 조직은 열간 압연한 강재를 사용하여 항온변태 열처리를 통해 얻을 수 있고, 템퍼트 마르텐사이트 조직은 담금질 및 뜨임 열처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열간 압연 및 연속 냉각 공정만으로 이러한 조직들은 안정적으로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열간 압연된 강재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을 거쳐야만 한다.
추가적인 열처리를 하지 않고도 고강도 및 우수한 충격 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소재로부터 부품 생산에 이르기까지 공정의 일부가 생략되거나 단순해질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 없이 열간압연 및 연속 냉각 공정을 이용하여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선재는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어, 이러한 선재 개발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추가적인 열처리 없이도,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05% 미만(0% 제외), Si: 0.05% 이하(0% 제외), Mn: 3.0~4.0%, P: 0.020% 이하, S: 0.020% 이하, Ni: 1.0~3.0%, B: 0.0010~0.0030%, Ti: 0.010~0.030%, N: 0.0030% 미만, Al: 0.01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그 미세조직으로 3면적% 이하(0면적% 포함)의 도상 마르텐사이트(MA), 2면적% 이하(0면적% 포함)의 초석 페라이트 및 95면적% 이상(100면적% 포함)의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고강도 선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중량%로, C: 0.05% 미만(0% 제외), Si: 0.05% 이하(0% 제외), Mn: 3.0~4.0%, P: 0.020% 이하, S: 0.020% 이하, Ni: 1.0~3.0%, B: 0.0010~0.0030%, Ti: 0.010~0.030%, N: 0.0030% 미만, Al: 0.01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재를 열간압연하여 선재를 얻는 단계, 상기 선재를 Bs℃ 내지 (Bs+50)℃까지 10~20℃/sec의 속도로 1차 냉각하는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선재를 (Bf-50)℃ 내지 Bf℃까지 2~5℃/sec의 속도로 2차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냉각된 선재를 공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러 효과 중 하나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재는 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외부 부하 환경에 노출되는 산업기계 또는 자동차 등의 소재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재는 추가 열처리 없이도 우수한 강도 및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고강도 선재의 합금 성분 및 바람직한 함량 범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각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모두 중량 기준임을 미리 밝혀둔다.
C: 0.05% 미만(0% 제외)
탄소는 강중에 고용되거나 탄화물 또는 세멘타이트 형태로 존재하여 선재의 강도를 상승에 기여하나, 본 발명에서는 의도적으로 첨가하지는 않으며, 탄소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물성 확보 측면에서 큰 지장은 없다. 다만, 제조상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양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한다. 한편, 탄소 함량이 증가할수록 연성과 충격 인성은 감소하기 때문에 일정한 범위 내로 탄소의 첨가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탄소 함량이 증가할수록 베이나이트 변태시 도상 마르텐사이트(MA) 형성이 많아져 충격 인성을 저해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탄소 함량을 0.05% 미만으로 제어한다.
Si: 0.05% 이하(0% 제외)
실리콘은 알루미늄과 함께 탈산 원소로 알려져 있고, 페라이트에 고용되어 강재의 고용 강화를 통한 강도 증가에 매우 효과가 큰 원소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의도적으로 첨가하지는 않으며, 실리콘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물성 확보 측면에서 큰 지장은 없다. 다만, 제조상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양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한다. 한편, 실리콘 첨가에 의해 강도는 크게 증가하지만 연성과 충격 인성은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충분한 연성을 필요로 하는 냉간 단조 부품의 경우 실리콘 첨가를 매우 제한하고 있다. 또한 실리콘은 베이나이트 변태시 시멘타이트의 석출을 방해하여, 오스테나이트 상에 탄소가 농화되게 하기 때문에 도상 마르텐사이트(M/A)가 형성되기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 함량을 0.05% 이하로 제어한다.
Mn: 3.0~4.0%
망간은 강재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경화능을 향상시켜 넓은 범위의 냉각속도에서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와 같은 저온조직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만약, 망간 함량이 3.0% 미만이면 경화능이 충분하지 못해 열간압연 후 연속냉각 공정으로 저온조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곤란해진다. 반면, 4.0%를 초과하면 경화능이 너무 높아 공냉시에도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못하다.
P: 0.020% 이하
인은 강 중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써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강의 인성을 저하시키고, 지연파괴 저항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가능한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그 상한을 0.020%로 관리한다.
S: 0.020% 이하
황은 강 중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써 인과 마찬가지로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인성을 저하시키고, 저융점 유화물을 형성시켜 열간 압연을 저해하기 때문에 가능한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그 상한을 0.020%로 관리한다.
Ni: 1.0~3.0%
니켈은 망간과 함께 경화능을 높이는 원소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도상 마르텐사이트(M/A) 형성을 줄일 수 있다. 니켈 함량이 1.0% 미만이면 경화능이 충분하지 못해 도상 마르텐사이트(M/A)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해지고, 3.0%를 초과하면 경화능이 너무 높아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못하다.
B: 0.0010~0.0030%
보론은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로 확산되어 냉각시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고,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원소이다. 그러나, 그 첨가량이 0.0010%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0.0030%를 초과하면 더 이상 효과 상승을 기대할 수 없음과 아울러 입계에 보론계 질화물의 석출로 인해 입계강도가 저하되어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Ti: 0.010~0.030%
타이타늄은 질소와의 반응성이 가장 커서 제일 먼저 질화물을 형성한다. 타이타늄 첨가로 TiN을 형성하여 강중의 질소를 대부분 소진하게 되면 BN의 석출을 막아 붕소가 용해(soluble)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도록 도와 경화능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첨가량이 0.010%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흡하고, 0.030%를 초과하면 조대한 질화물을 형성해 기계적 물성을 열위하게 할 수 있다.
N: 0.0030% 미만
질소는 보론과 용해(soluble)된 상태로 유지되어, 경화능 향상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 가능한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베이나이트 변태시 도상 마르텐사이트(M/A)를 형성을 용이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도 제한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 함량을 0.0030% 미만으로 제어한다.
Al: 0.010~0.050%,
알루미늄은 강력한 탈산 원소로서 강중의 산소를 제거해 청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강중에 고용된 질소와 결합하여 AlN을 형성함으로써, 충격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을 적극적으로 첨가하며, 만약 함량이 0.010% 미만이면, 그 첨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0.050%를 초과하면 알루미나 개재물이 다량 생성되어 기계적 물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 이외에 나머지는 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성분범위를 갖는 강재의 합금설계시, C, Si, Ni 함량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1] 0.01 ≤ ([C]+[Si])/[Ni] ≤ 0.03
(여기서, [C], [Si], [Ni] 각각은 해당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
본 발명에서 탄소는 시멘타이트나 도상 마르텐사이트(M/A)를 형성하여 충격인성을 열화시킬 수 있고, 실리콘은 강중 고용되거나 도상 마르텐사이트(M/A) 형성을 용이하게 해 충격인성을 열화시킬 수 있다. 한편, 니켈은 경화능을 높여서 도상 마르텐사이트(M/A)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상기 탄소, 실리콘 및 니켈의 함량이 관계식 1을 만족할 경우, 우수한 강도 및 충격인성을 가지는 베이니틱 페라이트 조직의 선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성분범위를 갖는 강재의 합금설계시, Mn, Ti, N, B의 함량은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2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0.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한 범위는 12.0 이상이다.
[관계식 2] [Mn]+5([Ti]-3.5[N])/[B] ≥ 5.0
(여기서, [Mn], [Ti], [N], [B] 각각은 해당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
본 발명에서 망간은 경화능을 높여서 냉각속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베이니틱 페라이트가 용이하게 생성되도록 돕는다. 그리고, 타이타늄은 질소와 결합하여 질화물을 형성하고, 보론이 강중에 충분히 고용되게 함으로써 페라이트 생성을 억제하고 베이니틱 페라이트가 용이하게 생성되게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상기 망간, 타이타늄, 보론 및 질소의 함량이 관계식 2를 만족할 경우, 우수한 강도와 충격 인성을 가지는 베이티닉 페라이트 조직의 선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의 미세조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재는 그 미세조직으로 3면적% 이하(0면적% 포함)의 도상 마르텐사이트(MA), 2면적% 이하(0면적% 포함)의 초석 페라이트 및 95면적% 이상(100면적% 포함)의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선재는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주조직으로 하며, 제2상으로 도상 마르텐사이트(MA) 및 초석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는 있으나, 이들의 면적율은 각각 3%, 2% 이하로 한정된다. 한편, 베이나이트는 탄소함량이나 형태(morphology)에 따라 다양한 용어로 불리는데, 통상적으로 중탄소(약 0.2~0.45wt%) 이상에서는 상부/하부 베이나이트(upper/lower bainite)로 불리며, 0.2% 이하의 저탄소 범위에서는 온도 영역에 따라 베이니틱(bainitic) 페라이트, 침상(acicular) 페라이트, 그래뉼라(granular) 페라이트 등으로 불린다. 본 발명의 선재의 경우 이들 중 베이니틱 페라이트 조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선재의 경우 상기와 같이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주조직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강도 및 충격인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만약, 베이니틱 페라이트가 아닌 통상의 페라이트가 주조직일 경우 충격인성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강도의 저하를 막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 높을수록 선재의 강도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충격인성이 열화되게 된다. 이를 고려하면,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율은 가능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3% 이하로 관리한다.
초석 페라이트는 주로 구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를 따라 형성되어 충격인성을 크게 열화시킨다. 따라서, 초석 페라이트의 면적율 또한 가능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2% 이하로 관리한다.
일 예에 따르면,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결정립도는 5μm 이하(0μm 제외)일 수 있다. 만약, 결정립도가 5μm를 초과할 경우 베이니틱 페라이트 기지와 접하는 계면의 면적이 커져 충격인성이 열화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립도란 선재의 일 단면을 관찰하여 검출한 입자들의 원 상당 직경 (equivalent circular diameter)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고강도 선재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한 일 예로써,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성분계를 갖는 강재를 마련한 후, 이를 재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강재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는 블룸(bloom)이나 빌렛(billet)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재가열 온도는 950~105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강재의 재가열을 실시함으로써, 결정립 조대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재가열된 강재를 마무리 열간압연하여 선재를 얻는다.
이때,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는 750~85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분한 저온 압연을 통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미세화 시키고, 상변태후 최종적으로 미세한 베이나이트 조직을 얻어 충격 인성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선재를 Bs℃ 내지 (Bs+50)℃까지 10~20℃/sec의 속도로 1차 냉각한다. 여기서, Bs는 연속냉각곡선 상에서 베이나이트 상변태가 시작되는 온도로써, 본 발명에서는 베이나이트 상변태 직전까지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선재를 냉각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를 따라 초석 페라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억제한다.
다음으로, 1차 냉각된 선재를 (Bf-50)℃ 내지 Bf℃까지 2~5℃/sec의 속도로 2차 냉각한 후, 공냉한다. 여기서, Bf는 연속냉각곡선 상에서 베이나이트 상변태가 종료되는 온도로써, 만약, 2차 냉각 종료 온도가 Bf℃를 초과하면 충분한 양의 베이니틱 페라이트 조직을 확보하기 어렵고, Bf-50℃ 미만이면 강재가 충분히 식어 취급은 용이하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2차 냉각속도가 2℃/s 미만이면 초석 페라이트의 형성이 많아질 수 있으며, 5℃/s 초과하게 되면, 강 중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강도와 충격인성이 열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실시예 )
하기 표 1의 합금 조성을 갖는 용강을 주조한 후, 이를 1000℃로 재가열한 후 직경 15mm로 선재 압연(마무리 열간압연 온도: 750℃)한 후, 표 2의 조건으로 1차 및 2차 냉각한 후, Bf 온도 이하인 350℃ 이하의 온도로부터 공냉하여 선재를 제조하였다. 한편, 베이나이트 상변태 종료 온도인 Bf는 Dila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화학조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나며, 대략 350~400℃의 범위를 보였다.
이렇게 제조된 선재의 미세조직을 분석하여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인장강도와 충격 인성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선재의 미세조직 중 도상 마르텐사이트(MA)의 면적분율과 결정립도는 화상 분석기(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온 인장시험은 crosshead speed를 항복점까지는 0.9mm/min, 그 이후로는 6mm/min의 속도로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충격 시험은 시편에 충격을 가하는 striker의 edge부 곡률이 2mm이고, 시험 용량이 500J인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시편
No.
조성성분(중량%) 관계식 1 관계식 2
C Si Mn Ni Ti B N P S Al
1 0.04 0.01 3.2 2.6 0.017 0.0019 0.0029 0.015 0.007 0.027 0.019 21.2
2 0.02 0.05 3.4 1.9 0.023 0.0024 0.0025 0.009 0.009 0.033 0.029 33.1
3 0.03 0.04 3.5 2.2 0.027 0.0029 0.0020 0.011 0.006 0.021 0.028 38.0
4 0.04 0.02 3.7 1.4 0.013 0.0016 0.0023 0.012 0.008 0.042 0.022 19.2
5 0.03 0.03 3.9 2.0 0.015 0.0026 0.0027 0.008 0.007 0.036 0.030 14.6
6 0.03 0.03 3.6 0.1 0.021 0.0021 0.0024 0.014 0.005 0.025 0.600 33.6
7 0.15 0.05 3.2 2.3 0.026 0.0018 0.0028 0.010 0.010 0.032 0.087 48.2
8 0.04 0.3 3.5 1.8 0.023 0.0023 0.0021 0.016 0.006 0.038 0.189 37.5
9 0.02 0.02 2.3 2.0 0.017 0.0005 0.0023 0.015 0.004 0.022 0.020 91.8
10 0.03 0.04 3.4 1.6 0.016 0.0025 0.0025 0.009 0.008 0.030 0.044 17.9
11 0.04 0.02 3.3 2.4 0.022 0.0017 0.0022 0.013 0.007 0.034 0.025 45.4
12 0.03 0.03 3.5 2.2 0.005 0.0026 0.0029 0.012 0.012 0.029 0.027 -6.4
13 0.02 0.04 4.4 2.6 0.016 0.0019 0.0026 0.016 0.011 0.026 0.023 22.6
14 0.04 0.01 3.1 5 0.020 0.0017 0.0028 0.011 0.005 0.035 0.008 33.1
구분 시편
No.
1차
냉각속도
(℃/s)
1차 냉각
종료 온도
(℃)
2차
냉각속도
(℃/s)
MA 분율
(면적%)
F 분율
(면적%)
인장강도
(MPa)
충격 인성
(J)
발명예 1 15 605 2 1 1.0 642 213
2 10 630 4 3 1.5 660 204
3 18 620 2.8 2 0.9 646 212
4 13 615 3.5 2 1.2 633 217
5 20 640 2.3 1 0.6 638 220
비교예 6 11 610 2.2 5 1.5 677 151
7 17 645 3 8 0.9 763 81
8 16 635 4 9 1.0 747 99
9 14 620 2.7 2 1.1 536 184
10 18 640 8 10 1.0 769 83
11 12 630 0.1 1 1.2 506 173
12 15 625 3 2 1.1 524 182
13 13 635 5 3 1.2 813 60
14 19 615 4 2 0.8 754 89
※ MA는 도상 마르텐사이트를 F는 초석 페라이트를 의미함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합금 조성 및 공정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시편 1 내지 5는 인장강도가 600MPa 이상일 뿐 아니라, 충격인성이 200J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시편 6은 니켈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에 미달하여 MA상이 많이 형성되었으며, 충격인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시편 7은 탄소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를 초과하여 인장 강도는 우수하나, 충격 인성은 열위하게 나타났다. 이는 탄소가 MA상에 고용되어 안정한 MA상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시편 8은 실리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를 초과한 경우로서, 실리콘 또한 탄소와 유사하게 그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기지에 고용량이 증가하고 결국 고용강화의 효과를 나타내게 되고, MA상도 증가시키기 때문에 인장 강도는 우수하나, 충격 인성은 열위하게 나타났다. 시편 9는 망간 및 보론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에 미달하여 강재의 경화능이 낮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냉각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페라이트와 베이니틱 페라이트 조직이 혼립되어 인장 강도가 열위하게 나타났다.
또한, 시편 10은 합금 조성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를 만족하나 제조공정에서 2차 냉각속도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를 초과함에 따라 도상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인장 강도는 우수하나, 충격인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시편 11은 합금 조성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를 만족하나, 2차 냉각속도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에 미달함에 따라, 페라이트가 형성되어 인장강도가 열위하게 나타났다.
또한, 시편 12는 타이타늄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에 미달한 경우로서, solute 보론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경화능이 감소하고, 냉각속도도 작을 경우 초석 페라이트 석출량이 많아져 인장강도는 저하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시편 13과 14는 각각 망간과 니켈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안한 범위를 초과한 경우로, 상대적으로 경화능이 너무 커지기 때문에 발명에서 제시한 냉각속도로 냉각하더라도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어 강도가 증가한 반면, 충격인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8)

  1. 중량%로, C: 0.05% 미만(0% 제외), Si: 0.05% 이하(0% 제외), Mn: 3.0~4.0%, P: 0.020% 이하, S: 0.020% 이하, Ni: 1.0~3.0%, B: 0.0010~0.0030%, Ti: 0.010~0.030%, N: 0.0030% 미만, Al: 0.01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며,
    그 미세조직으로 3면적% 이하(0면적% 포함)의 도상 마르텐사이트(MA), 2면적% 이하(0면적% 포함)의 초석 페라이트 및 95면적% 이상(100면적% 포함)의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고강도 선재.
    [관계식 1] 0.01 ≤ ([C]+[Si])/[Ni] ≤ 0.03
    (여기서, [C], [Si], [Ni] 각각은 해당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고강도 선재.
    [관계식 2] [Mn]+5([Ti]-3.5[N])/[B] ≥ 5.0
    (여기서, [Mn], [Ti], [N], [B] 각각은 해당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결정립도는 5μm 이하(0μm 제외)인 고강도 선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i 함량은 1.2~2.8중량%인 고강도 선재.
  6. 중량%로, C: 0.05% 미만(0% 제외), Si: 0.05% 이하(0% 제외), Mn: 3.0~4.0%, P: 0.020% 이하, S: 0.020% 이하, Ni: 1.0~3.0%, B: 0.0010~0.0030%, Ti: 0.010~0.030%, N: 0.0030% 미만, Al: 0.01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강재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재를 열간압연하여 선재를 얻는 단계;
    상기 선재를 Bs℃ 내지 (Bs+50)℃까지 10~20℃/sec의 속도로 1차 냉각하는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선재를 (Bf-50)℃ 내지 Bf℃까지 2~5℃/sec의 속도로 2차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냉각된 선재를 공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
    [관계식 1] 0.01 ≤ ([C]+[Si])/[Ni] ≤ 0.03
    (여기서, [C], [Si], [Ni] 각각은 해당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재가열시, 재가열 온도는 950~1050℃인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압연시,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는 750~850℃인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
KR1020160169308A 2016-12-13 2016-12-13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7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08A KR101879068B1 (ko) 2016-12-13 2016-12-13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7/013391 WO2018110850A1 (ko) 2016-12-13 2017-11-23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EP17881235.0A EP3556885A4 (en) 2016-12-13 2017-11-23 HIGH-RESISTANCE TENSION WITH EXCEPTIONAL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1780076488.8A CN110062813B (zh) 2016-12-13 2017-11-23 具有优异冲击韧性的高强度线材及其制造方法
JP2019531080A JP6806905B2 (ja) 2016-12-13 2017-11-23 衝撃靭性に優れた高強度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16/468,115 US20200071792A1 (en) 2016-12-13 2017-11-23 High-strength wire rod having superior impact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08A KR101879068B1 (ko) 2016-12-13 2016-12-13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894A KR20180067894A (ko) 2018-06-21
KR101879068B1 true KR101879068B1 (ko) 2018-07-16

Family

ID=6255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308A KR101879068B1 (ko) 2016-12-13 2016-12-13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71792A1 (ko)
EP (1) EP3556885A4 (ko)
JP (1) JP6806905B2 (ko)
KR (1) KR101879068B1 (ko)
CN (1) CN110062813B (ko)
WO (1) WO2018110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441B1 (ko) * 2019-10-08 2021-02-19 주식회사 포스코 비자성 고강도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1317B1 (ko) * 2019-10-16 2021-11-02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4524A (ja) * 1984-11-22 1986-06-12 Sumitomo Metal Ind Ltd 鉄筋コンクリ−ト用棒鋼の製造方法
KR101536847B1 (ko) * 2011-04-13 2015-07-14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국부 변형능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과 그 제조 방법
KR20160053776A (ko) * 2014-11-03 2016-05-13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와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7012A (ja) * 1986-06-03 1987-12-12 Kobe Steel Ltd 溶接性に優れた低温用鉄筋棒の製造法
KR100891866B1 (ko) * 2002-12-20 2009-04-08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탈탄이 적은 고실리콘 첨가 중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JP4354754B2 (ja) * 2003-08-06 2009-10-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母材靭性およびhaz靭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
JP5176271B2 (ja) * 2005-03-22 2013-04-0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処理による加熱後の降伏強度の上昇を抑制した引張強さ760MPa以上の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管の製造方法
JP5034290B2 (ja) * 2006-03-28 2012-09-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降伏比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11791A1 (ja) * 2011-07-20 2013-01-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76398B2 (ja) * 2011-02-24 2015-09-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060678B (zh) * 2012-12-25 2016-04-27 钢铁研究总院 一种中温形变纳米奥氏体增强增塑钢及其制备方法
WO2016072679A1 (ko) * 2014-11-03 2016-05-12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와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4524A (ja) * 1984-11-22 1986-06-12 Sumitomo Metal Ind Ltd 鉄筋コンクリ−ト用棒鋼の製造方法
KR101536847B1 (ko) * 2011-04-13 2015-07-14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국부 변형능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과 그 제조 방법
KR20160053776A (ko) * 2014-11-03 2016-05-13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와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9169A (ja) 2020-03-26
CN110062813A (zh) 2019-07-26
CN110062813B (zh) 2021-05-04
WO2018110850A1 (ko) 2018-06-21
EP3556885A4 (en) 2019-10-30
EP3556885A1 (en) 2019-10-23
JP6806905B2 (ja) 2021-01-06
KR20180067894A (ko) 2018-06-21
US20200071792A1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711B1 (ko) 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JP7221475B6 (ja) 延性及び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11371B1 (ko)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4903B1 (ko) 강도와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79068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US20200347486A1 (en) High-strength austenite-based high-manganese steel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101736590B1 (ko) 고강도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75586B1 (ko) 신선가공성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6602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6115B1 (ko) 강도와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90382865A1 (en) Heavy-wall steel plate having 450mpa-grade tensile strength and excellent resistance to hydrogen induced crac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76112B1 (ko) 고강도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097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비조질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0738B1 (ko) 강도와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39895B1 (ko) 강도와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6601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9278B1 (ko) 연질화 열처리의 생략이 가능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16B1 (ko)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14905B1 (ko)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3565A (ko)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14B1 (ko) 강도와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58851B1 (ko)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10B1 (ko) 강도와 충격 인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95863B1 (ko) 열간압연성 및 절삭성이 우수한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6113B1 (ko)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