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855B1 - 독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독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2855B1 KR102462855B1 KR1020200085971A KR20200085971A KR102462855B1 KR 102462855 B1 KR102462855 B1 KR 102462855B1 KR 1020200085971 A KR1020200085971 A KR 1020200085971A KR 20200085971 A KR20200085971 A KR 20200085971A KR 102462855 B1 KR102462855 B1 KR 1024628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rning
- information
- module
- user
- tim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23 couns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학습진행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이 관리자단말기로 실시간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어디서나 사용자의 학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기간 동안 학습해야할 과목과, 각 과목에 따른 온라인 강의정보, 교재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이에 대한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진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학습정보 뿐만 아니라 기타 활동, 생활정보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함께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대한 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학습진행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이 관리자단말기로 실시간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어디서나 사용자의 학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기간 동안 학습해야할 과목과, 각 과목에 따른 온라인 강의정보, 교재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이에 대한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진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학습정보 뿐만 아니라 기타 활동, 생활정보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함께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대한 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학은 도서관이나 독서실에서 주로 이루어지는데, 도서관이나 독서실에서는 별도의 통제가 관리 없이 학생이 자율적으로 공부하여야 하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 나태해지는 경우 학습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독학 관리 학원과 같이 학생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학습 공간과 환경을 제공하고 관리해주는 학원도 생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독학 관리 학원도 학생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해주고 있지 못하며, 이에 불안함을 느끼는 부모들은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학생관찰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생들을 감시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도 여전히 학생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해주고 있지는 못하며, 특히 학생들이 도서관이나 독서실, 집 등에서 혼자 공부를 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관리를 전혀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0104호(2006. 01. 06. 공개)"학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한 학생관찰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학습진행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이 관리자단말기로 실시간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어디서나 사용자의 학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기간 동안 학습해야할 과목과, 각 과목에 따른 온라인 강의정보, 교재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이에 대한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진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수강하는 온라인 강의정보가 자동으로 관리서버에 등록되도록 하고, 교재에 대한 학업정보도 관리서버에 등록되도록 하여 누적 저장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진행율을 산출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과목 비중에 따른 학습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교재정보의 경우 타 사용자들의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완료시간을 고려하여 스케줄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재 학습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학습효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학습정보 뿐만 아니라 기타 활동, 생활정보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함께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대한 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 생활과정이 자동으로 일일보고서 형태로 출력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과정을 일별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과정, 생활과정에 따라 벌점 또는 포인트를 부여하도록 하고, 이를 합산하여 포인트에 따른 보상과 벌점에 대한 징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과 생활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학습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진행되는 학습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학습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일정기간 동안의 학습계획을 설정하는 계획설정부와, 상기 계획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계획에 대한 학습진행과정을 등록하는 학습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획설정부는 학습 진행기간을 설정하는 기간설정모듈과, 학습 진행기간동안 수행되어야 할 과목과 각 과목의 비중을 설정하는 과목설정모듈과, 각 과목에 대한 온라인 강의 정보를 등록하는 인강정보설정모듈과, 각 과목에 대해 학습해야 할 교재정보를 등록하는 교재정보설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기록부는 상기 학습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강의의 시청에 따라 자동으로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습정보가 등록되는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과, 각 과목의 교재에 대한 학습학습정보가 입력되어 등록되는 교재정보입력모듈과, 온라인 강의 및 교재에 대한 학습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누적저장모듈과, 각 온라인 강의 및 교재에 대한 학습 누적 정보에 따라 각 과목의 학습비율을 산출하는 학습비율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록부는 등록된 교재에 대한 성취율을 산출하여 학습 계획을 점검하도록 하는 성취율산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성취율산출모듈은 성취율을 산출할 교재정보를 입력하는 교재정보입력모듈과, 입력된 교재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학습완료 시간정보를 불러오는 성취시간로딩모듈과, 교재의 현재 잔여 범위와 타 사용자들의 학습완료 시간을 고려하여 교재의 달성 가능 정도를 산출하는 가능도산출모듈과, 산출된 가능도에 따른 학습계획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요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록부는 교재에 대한 학습효율을 평가하는 학습효율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효율평가모듈은 학습중인 교재정보를 불러오는 교재정보로딩모듈과, 불러온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정보를 산출하는 학습시간산출모듈과, 학습이 진행된 해당 교재의 분량에 대한 학습시간을 타 사용자의 학습시간과 비교하는 학습시간비교모듈과, 동일한 분량에 대한 학습시간을 비교하여 학습효율을 산출하는 학습효율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를 등록하는 상태기록부와,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기록부는 모의고사의 진행 정보와 시간정보를 등록하는 모의고사정보등록모듈, 식사 중인 정보와 식사시간정보를 등록하는 식사정보등록모듈, 휴식 정보와 휴식시간정보를 등록하는 휴식정보등록모듈, 외출 정보와 외출시간정보를 등록하는 외출정보등록모듈, 조퇴정보와 조퇴시간정보를 등록하는 조퇴정보등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표시부는 사용자의 학업상태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표시하고, 학습의 진행 및 상태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종합정보표시모듈과; 사용자가 현재 진행중인 학습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학습정보표시모듈과;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활동정보표시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연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의 일일 활동에 관한 보고서를 등록하는 일일보고서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일보고서등록부는 상기 학습기록부 및 상태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학습 및 활동정보를 불러오는 입력정보연동모듈과, 불러온 학습 및 활동정보를 시간순으로 배열하는 순차배열모듈과, 학습 및 활동정보에 관한 상세정보를 시간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단말기 화면에 출력하는 리스트출력모듈과, 출력된 일일보고서 정보를 저장하는 보고서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의 학습, 활동 상태에 따라 상벌을 부여하는 상벌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벌제공부는 사용자의 활동이 설정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벌점을 부여하는 생활벌점부여모듈과, 사용자의 학습이 설정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벌점을 부여하는 학습벌점부여모듈과,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가 계획에 부합하는 정도에 따라 포인트를 부여하는 학습포인트부여모듈과, 일정주기별로 벌점 및 포인트를 합산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주기보상제공모듈과, 벌점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패널티를 부여하는 벌점징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학습진행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이 관리자단말기로 실시간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어디서나 사용자의 학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정기간 동안 학습해야할 과목과, 각 과목에 따른 온라인 강의정보, 교재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이에 대한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진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수강하는 온라인 강의정보가 자동으로 관리서버에 등록되도록 하고, 교재에 대한 학업정보도 관리서버에 등록되도록 하여 누적 저장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진행율을 산출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과목 비중에 따른 학습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교재정보의 경우 타 사용자들의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완료시간을 고려하여 스케줄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재 학습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학습효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학습정보 뿐만 아니라 기타 활동, 생활정보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함께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대한 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 생활과정이 자동으로 일일보고서 형태로 출력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과정을 일별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과정, 생활과정에 따라 벌점 또는 포인트를 부여하도록 하고, 이를 합산하여 포인트에 따른 보상과 벌점에 대한 징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과 생활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학습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계획설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계획설정을 위해 사용자단말가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도 3의 학습기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의 성취율산출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의 도 6의 학습효율평가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3의 상태기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3의 상태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종합정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2는 학습정보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3은 활동정보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4는 도 3의 일일보고서등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일일보고서의 출력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6은 도 3의 상벌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8은 도 17의 관리서버의 구성도
도 19는 도 18의 생활관리부에 따른 출결 및 생활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0은 도 18의 진학관리부에 의해 수행되는 관리진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학습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계획설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계획설정을 위해 사용자단말가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도 3의 학습기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의 성취율산출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의 도 6의 학습효율평가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3의 상태기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3의 상태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종합정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2는 학습정보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3은 활동정보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4는 도 3의 일일보고서등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일일보고서의 출력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6은 도 3의 상벌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8은 도 17의 관리서버의 구성도
도 19는 도 18의 생활관리부에 따른 출결 및 생활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0은 도 18의 진학관리부에 의해 수행되는 관리진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독학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사용자단말기(2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관리자단말기(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진행되는 학습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정보와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 정보를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하는 관리서버(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학습을 진행하는 사용자에 대해 장소에 관계없이 학습 및 생활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독학 관리 시스템은 학원이나 독서실, 도서관 등에도 제대로 갈 수 없는 코로나 상황에서도 학업을 진행하는 학생, 수험생들에 데해 원격에서의 관리가 가능하며, 학습, 생활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학업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학습을 진행하는 학생, 수험생 등이 소지한 단말기로 네트워크와 연결된 데스크탑,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학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관리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정보와 수강하는 강의정보, 생활정보 등을 관리서버(10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들이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되어 사용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에 대한 정보도 관리서버(10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학습상태, 생활상태에 대한 실시간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는 본 시스템의 이용을 위한 웹, 앱 등이 설치되어 학습, 생활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어 관리서버(100)에 저장되는 학습정보, 생활정보 등을 전달받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학부모, 학원관리자, 선생님 등이 소지하는 데스크탑,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생 등의 학습, 생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단말기(2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연동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정보, 생활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이를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 및 관리자단말기(30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학습, 생활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들을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학습, 생활에 관한 정보들을 기록하고 저장하며, 학습에 대한 계획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며 이를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일일학습과정을 보고서 형태로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학습, 생활과정에 따라 벌점 또는 포인트를 부여하여 이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20)는 계획설정부(122a), 학습기록부(122b), 상태기록부(122c), 상태표시부(122d), 일일보고서등록부(122e), 상벌제공부(122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획설정부(122a)는 일정기간 동안의 학습계획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입력에 따라 학습계획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계획설정부(12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기별로 학습할 과목, 과목에 대한 강의, 교재 등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간설정모듈(122a-1), 과목설정모듈(122a-2), 인강정보설정모듈(122a-3), 교재정보설정모듈(122a-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간설정모듈(122a-1)은 학습기간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기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한 학기의 기간기 학습기간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간설정모듈(122a-1)에 의해 설정된 기간을 이용하여 각 과목, 인강, 교재 등에 대한 성취율이 계산되고 이를 통해 정해진 시간 안에 학습계획을 완료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과목설정모듈(122a-2)은 학습기간 중에 수행될 과목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각 과목에 대한 강의, 교재 정보 등이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과목설정모듈(122a-2)은 설정되는 각 과목별로 그 시간 비율을 설정하여 비율에 맞추어 학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강정보설정모듈(122a-3)은 학습기간 중에 수강할 온라인 강의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각 과목별로 온라인 강의의 종류와 범위,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재정보설정모듈(122a-4)은 학습기간 중에 학습할 교재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각 과목별로 교재의 종류와 범위, 교재를 학습할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학습기록부(122b)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시청하는 온라인 강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교재학습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학습기록부(122b)는 이러한 정보들이 누적저장되어 학습기간동안 수행중인 학습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과목의 학습 비중 및 교재에 대한 현재의 성취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학습기록부(122b)는 각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다른 사용자들과 비교하여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학습기록부(122b)는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122b-1), 교재정보입력모듈(122b-2), 누적저장모듈(122b-3), 학습비율산출모듈(122b-4), 성취율산출모듈(122b-5), 학습효율평가모듈(122b-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122b-1)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수강한 온라인 강의 정보가 자동으로 관리서버(100)에 등록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온라인 강의의 종류, 수강시간, 범위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122b-1)은 사용자의 온라인 강의 수강과 함께 수강정보가 자동으로 관리서버(100)에 등록되고, 이에 관한 정보가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되므로 수강 진행 상태에 대한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재정보입력모듈(122b-2)은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한 교재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교재의 상세정보와 범위 등의 정보가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합정보 화면에서 교재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교재정보입력모듈(122b-2)은 해당 교재의 학습중으로 입력되도록 하고, 교재의 종류와 학습시간이 기록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누적저장모듈(122b-3)은 사용자의 학습시간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122b-1), 교재정보입력모듈(122b-2)에 의해 등록되는 온라인 강의, 교재 학습의 진행시간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누적저장모듈(122b-3)은 각 과목의 강의, 교재에 관한 학습시간을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각 과목에 대한 학습비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학습비율산출모듈(122b-4)은 각 온라인 강의,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에 따라 각 과목의 학습비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누적저장모듈(122b-3)에 의해 저장되는 학습시간 정보에 따라 각 과목의 학습시간비중을 파악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학습비율산출모듈(122b-4)은 각 과목의 누적 학습비중을 파악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정보 화면에 현시점의 각 과목에 대한 학습비중을 표시하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각 과목의 학습비중과의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계획한 과목간의 학습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취율산출모듈(122b-5)은 교재의 학습에 대한 성취정도를 파악하는 구성으로, 각 교재의 잔여범위와 각 과목의 학습비중을 고려한 잔여시간에 따라 교재의 학습이 성취 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취율산출모듈(122b-5)은 동일한 교재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학습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하며, 타 사용자들이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을 완료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이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기간 내에 학습 완료가 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성취율산출모듈(122b-5)은 교재정보입력모듈(122b-51), 성취시간로딩모듈(122b-52), 가능도산출모듈(122b-53), 수정요청모듈(122b-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재정보입력모듈(122b-51)을 성취율을 산출하고자 하는 교재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교재의 과목, 종류정보와 함께 학습기간에 완료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 현재까지 학습한 범위 등의 정보를 저장부(130)에서 불러와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성취시간로딩모듈(122b-52)은 입력된 교재와 동일한 교재에 대한 학습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불러오는 구성으로, 타 사용자들의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130)에는 타 사용자들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정보도 저장되므로, 이러한 정보들을 축적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성취시간로딩모듈(122b-52)은 축적된 정보들로부터 교재의 학습시간에 관한 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은 입력된 교재에 대해 정해진 학습기간 내에 학습을 완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해당 교재에 대해 남아있는 범위를 남아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학습 완료 가능성을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은 상기 성취시간로딩모듈(122b-52)에 의해 불러온 타 사용자들의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고, 산출된 평균값에 대해 현재 남아있는 교재의 학습범위를 고려하여 그 비율에 따라 타 사용자들의 평균적으로 해당 범위를 학습 완료한 시간을 산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은 현재 남아있는 학습기간에서 해당 과목의 비중을 고려하여 학습가능시간을 산출하고, 평균 학습 완료시간에 대한 학습가능시간의 비율에 의해 학습완료 가능성이 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에 의해 산출되는 가능도가 높을수록 학습 완료 가능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은 각 과목에서 남아있는 온라인 강의의 시간의 제외하고 학습가능시간을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수정요청모듈(122b-54)은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에 의해 산출되는 가능도가 일정값 미만인 경우 학습계획의 수정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해당 과목에 대한 학습비중을 늘려 해당 교재의 학습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학습효율평가모듈(122b-6)은 교재에 대한 학습을 진행중인 사용자의 현재 학습 효율을 평가하는 구성으로, 현재 학습의 진행분량 및 학습시간과 다른 사용자들의 해당 분량에 대한 학습 진행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학습효율을 평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학습효율평가모듈(122b-6)은 교재정보로딩모듈(122b-61), 학습시간산출모듈(122b-62), 학습시간비교모듈(122b-63), 학습효율산출모듈(122b-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재정보로딩모듈(122b-61)은 학습효율을 평가하고자 하는 교재의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학습기간 동안 진행되는 각 과목들의 교재들에 대한 정보를 일정주기별로 불러오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재 진행된 해당 교재의 학습시간과 학습범위에 대한 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학습시간산출모듈(122b-62)은 불러온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해당 교재에 대해 현재 학습기간에서 누적된 학습시간 정보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학습시간비교모듈(122b-63)은 현재 사용자의 학습시간과 타 사용자의 학습시간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현재 사용자의 학습시간에 대한 학습범위에 대해 동일한 학습범위를 갖는 타 사용자의 학습시간정보를 불러와 비교하도록 한다. 이때, 타 사용자의 학습시간정보는 다른 사용자들의 학습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학습효율산출모듈(122b-64)은 동일한 범위에 대한 학습시간의 비교에 따라 학습효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타 사용자의 학습시간에 대한 현재 사용자의 학습시간의 비율에 의해 학습효율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학습효율산출모듈(122b-64)은 사용자가 현재 얼마나 효율적으로 해당 교재를 학습하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추후의 학습속도를 결정하는데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태기록부(122c)는 사용자의 현태 활동에 대한 상태를 기록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입력에 따라 현재 상태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기록부(122c)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의 현재 상태는 상기 상태표시부(122d)에 의해 사용자단말기(200)에 표시되며,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은 관리자단말기(300)로 그대로 전달되어 학부모, 선생님 등의 관리자가 학생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상태기록부(122c)는 모의고사가 진행중인 정보를 등록하는 모의고사정보등록모듈(122c-1), 식사중임을 등록하는 식사정보등록모듈(122c-2), 휴기중임을 등록하는 휴식정보등록모듈(122c-3), 외출중임을 등록하는 외출정보등록모듈(122c-4), 조퇴함을 등록하는 조퇴정보등록모듈(122c-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기록부(122c)의 각각은 소요되는 시간정보도 함께 등록하도록 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활동을 마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도 함께 관리자단말기(300)로 제공되어 관리자가 사용자의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알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122d)는 사용자의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종합적인 학습 계획과 진행상태, 사용자의 활동에 대한 상태를 사용자단말기(200)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은 관리자단말기(300)에도 연동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태표시부(122d)는 종합정보표시모듈(122d-1), 학습정보표시모듈(122d-2), 활동정보표시모듈(122d-3), 표시연동모듈(122d-4)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합정보표시모듈(122d-1)은 사용자가 현재 진행중인 학습과정의 전체적인 상태를 사용자단말기(200)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기간, 진행률, 각 과목 비중에 따른 진행률, 각 과목의 강의,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종합정보표시모듈(122d-1)은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등록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하며, 일일보고서의 제출 또한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학습정보표시모듈(122d-2)은 사용자가 진행중인 학습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강의, 교재, 특강 등에 대한 수업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화면은 관리자단말기(300)에 표시되어 관리자가 사용자의 강의 수강 상태를 한번에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활동정보표시모듈(122d-3)은 사용자의 현재 활동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종합정보표시모듈(122d-1)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서 모의고사, 식사, 휴식, 외출 등의 정보를 선택하여 시간과 함께 등록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활동의 잔여시간 정보도 함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연동모듈(122d-4)은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정보를 관리자단말기(300)에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종합상태, 각 활동 및 학습의 상태가 모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쉽게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일일보고서등록부(122e)는 사용자의 일일 학습 및 활동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사용자의 활동들이 자동으로 순차배열되어 보고서 작성이 완료되도록 한다. 상기 일일보고서등록부(122e)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루 동안의 각 학습 및 활동에 대한 세부정보와 시간이 함께 저장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학습과 활동을 점검할 수 있고, 관리자는 사용자에 대한 실시간 관리를 하지 못한 경우에도 추후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대한 점검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일일보고서등록부(122e)는 입력정보연동모듈(122e-1), 순차배열모듈(122e-2), 리스트출력모듈(122e-3), 보고서저장모듈(122e-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연동모듈(122e-1)은 상기 학습기록부(122b) 및 상태기록부(122c)에 의해 등록되는 학습 및 활동에 대한 정보들을 자동으로 불러오도록 하는 구성으로, 당일에 대한 기록들을 불러와 일일보고서의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순차배열모듈(122e-2)은 상기 입력정보연동모듈(122e-1)에 의해 불려진 학습 및 활동정보들을 시간순으로 배열하는 구성으로, 각 기록에 함께 저장된 시간정보에 따라 순차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스트출력모듈(122e-3)은 순차 배열된 학습 및 활동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200) 화면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학습 및 활동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고서저장모듈(122e-4)은 상기 리스트출력모듈(122e-3)에 의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되는 일일보고서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관리자단말기(300)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지 일일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벌제공부(122f)는 사용자의 활동 및 학습에 대한 벌점, 포인트를 부여하여 이에 대한 보상 및 징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생활벌점부여모듈(122f-1), 학습벌점부여모듈(122f-2), 학습포인트부여모듈(122f-3), 주기보상제공모듈(122f-4), 벌점징계모듈(122f-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활벌점부여모듈(122f-1)은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벌점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설정된 기준에 어긋나는 활동을 하는 경우 이에 대한 벌점이 주어지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생활벌점부여모듈(122f-1)은 외출시간, 식사시간 등의 기준을 지키지 않거나 학습시간을 지키지 않는 경우 그 위반정도에 따라 벌점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학습벌점부여모듈(122f-2) 및 학습포인트부여모듈(122f-3)은 사용자의 학습 상태에 따라 벌점 또는 포인트를 부여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학습시간이 계획된 시간의 일정범위에서 지켜지는 경우 포인트를 부여하고 학습시간이 일정범위를 벗어나 지켜지지 않는 경우 포인트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기보상제공모듈(122f-4)은 일정주기로 포인트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포인트와 벌점을 합산하여 포인트가 일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보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학원 수강권, 할인권 등을 보상으로 제공하여 학습 및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벌점징계모듈(122f-5)은 누적되는 벌점이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즉각 징계조치를 실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학원 수강을 제한하거나 포인트를 삭감하는 등의 방식으로 징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독학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학습계획, 학습기록, 활동기록, 일일보고서, 상벌 등에 관한 정보가 모두 저장되도록 하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정보가 누적 저장되어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이에 대한 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독학 관리 시스템을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독학 관리 시스템은 학생들을 촬영하는 CCTV(400)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은 일 실시예와 같은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도록 하면서도 독학 관리 시스템이 독학 관리 학원 등 일정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학생 등의 사용자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서는 독학 관리 학원 등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을 통해 학부모, 학원 관리자 등을 통한 사용자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독학 관리 학원에 등원하는 학생 등의 사용자에 대해 CCTV(400)를 통한 추가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학생들의 학원 내에서의 생활, 출석여부, 성적 및 진학에 대한 관리 또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독학 관리 시스템의 학습관리부(122)는 영상관리부(122g)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생활관리부(124) 및 진학관리부(126)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CCTV(400)는 학생의 학습 상황 및 생활 관리를 위하여 건물이나 개인 지정석, 자습실, 생활관, 식당 등 학생의 활동을 감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폐쇄회로 카메라로,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촬영 영상이 관리서버(100)로 전달되며, 관리자단말기(300)로도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관리부(122g)는 상기 CCTV(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도록 하면서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관리자단말기(300)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지 로딩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활관리부(124)는 학생의 학원에 대한 출결 및 생활과정을 관리하는 구성으로, 출결관리모듈(124a) 및 생활관리모듈(12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결관리모듈(124a)은 출결사항과, 조퇴, 외출 등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생활관리부(124)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어 상태기록부(122c)에 의 의해 등록되는 것과는 별개로 학원 내의 출입장치, 별도 학원관리장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활관리모듈(124b)은 학생이 현재 어디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개인지정석, 스터디 카페, 자습실, 생활관, 학생 식당 및 매점 등에 각각 형성된 CCTV(400)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을 전달받아 후술할 생활영상DB(134)에 저장하고, 추후 관리자단말기(3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생활관리모듈(124b)은 사용자의 학원 내에서의 활동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학관리부(126)는 성적관리모듈(126a)과 컨설팅관리모듈(126b)을 포함할 수 있다. 성적 관리모듈(126a)은 학생의 수능 및 모의고사 성적을 성적자료
DB(135)에 저장하고 관리자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이를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그리고, 컨설팅 관리모듈(126b)은 학생의 성적을 기초로 학기계획을 수립하고 대학
진학 전략에 대한 컨설팅 내역을 컨설팅내역DB(136)에 저장하고, 관리자단말기
(3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학부모와 공유한다. 이에 따
라, 학생의 성적에 따른 맞춤형 학습 계획 수립과 진학 컨설팅이 가능하며, 학부모
는 해당 학습 계획과 컨설팅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진학관리부(126)에 의한 학생 관리 과정을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이 새롭게 입학하게 되면 관리서버(100)의 성적 관리모듈(126a)에서 입학생의 지난 연도 수능성적을 입력받아 성적자료DB(135)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지난 연도 수능 성적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과목별로 입력 저장되며, 점수와 등급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지난연도 지원 대학 및 합격 여부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적자료DB(135)에는 동급 성적의 과거 수강생의 입학전 연도 수능 성적과 대학 지원 정보 및 합격 여부, 그리고 입학후 수능 성적과 학습 전략, 지원 대학 및 합격 여부 등의 정보가 저장되며, 관리자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동급 성적 과거 수강생의 성적 및 진학 정보를 참고로 하여,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과 학원이 함께 1학기 계획을 수립하고, 이러한 수립 계획에 의해 상기 계획설정부(122a)에 의해 학습계획이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학기가 시작되고 일정 기간 학습후 1차 모의고사를 치르고 나면, 관
리서버(100)의 성적 관리모듈(126a)에서는, 도 20(d)와 같이, 입력된 1차 모의
고사 성적을 성적자료DB(135)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자단말기(300)와 공유한다. 이
와 함께, 1차 모의고사 후 성적을 바탕으로 한 컨설팅 수행 내역, 장학금 지급 내
역, 특강수강 변경 사항 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도 20(e), (f), (g)와 같이, 1차 모의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2학기 계획이 수립되어 저장
되고, 2차 모의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3학기 계획이 수립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당 연도 수능 성적이 발표되면, 관리서버(100)의 성적 관리모듈(126a)에서는 입
력된 수능 성적을 성적자료DB(135)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자단말기(300)와 공유한다. 상기 수능 성적을 기초 컨설팅 관리모듈(126b)에서는, 도 20(h)에 도시된바와 같이, 수시 또는 정시 등 지원 전략, 지원 대학 및 지원 학과 등을 제안하는 컨설팅 내역을 컨설팅내역DB(136)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자단말기(300)와 공유한다. 이에 따라, 학부모는 관리자단말기(300)를 통하여 학생의 수능 성적과 지원
전략 등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부(130)는 일 실시예와 같이 독학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학습영상DB(131), 계획서/보고서DB(132), 출결자료DB(133), 생활영상DB(134), 성적자료DB(135), 컨설팅내역DB(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관리서버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22: 학습관리부
122a: 계획설정부 122a-1: 기간설정모듈 122a-2: 과목설정모듈
122a-3: 인강정보설정모듈 122a-4: 교재정보설정모듈
122b: 학습기록부 122b-1: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
122b-2: 교재정보입력모듈 122b-3: 누적저장모듈
122b-4: 학습비율산출모듈 122b-5: 성취율산출모듈
122b-51: 교재정보입력모듈 122b-52: 성취시간로딩모듈
122b-53: 가능도산출모듈 122b-54: 수정요청모듈
122b-6: 학습효율평가모듈 122b-61: 교재정보로딩모듈
122b-62: 학습시간산출모듈 122b-63: 학습시간비교모듈
122b-64: 학습효율산출모듈 122c: 상태기록부
122c-1: 모의고사정보등록모듈 122c-2: 식사정보등록모듈
122c-3: 휴식정보등록모듈 122c-4: 외출정보등록모듈
122c-5: 조퇴정보등록모듈 122d: 상태표시부
122d-1: 종합정보표시모듈 122d-2: 학습정보표시모듈
122d-3: 활동정보표시모듈 122d-4: 표시연동모듈
122e: 일일보고서등록부 122e-1: 입력정보연동모듈
122e-2: 순차배열모듈 122e-3: 리스트출력모듈
122e-4: 보고서저장모듈 122f: 상벌제공부 122f-1: 생활벌점부여모듈
122f-2: 학습벌점부여모듈 122f-3: 학습포인트부여모듈
122f-4: 주기보상제공모듈 122f-5: 벌점징계모듈 122g: 영상관리부
124: 생활관리부 126: 진학관리부 130: 저장부
200: 사용자단말기 300: 관리자단말기 400: CCTV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22: 학습관리부
122a: 계획설정부 122a-1: 기간설정모듈 122a-2: 과목설정모듈
122a-3: 인강정보설정모듈 122a-4: 교재정보설정모듈
122b: 학습기록부 122b-1: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
122b-2: 교재정보입력모듈 122b-3: 누적저장모듈
122b-4: 학습비율산출모듈 122b-5: 성취율산출모듈
122b-51: 교재정보입력모듈 122b-52: 성취시간로딩모듈
122b-53: 가능도산출모듈 122b-54: 수정요청모듈
122b-6: 학습효율평가모듈 122b-61: 교재정보로딩모듈
122b-62: 학습시간산출모듈 122b-63: 학습시간비교모듈
122b-64: 학습효율산출모듈 122c: 상태기록부
122c-1: 모의고사정보등록모듈 122c-2: 식사정보등록모듈
122c-3: 휴식정보등록모듈 122c-4: 외출정보등록모듈
122c-5: 조퇴정보등록모듈 122d: 상태표시부
122d-1: 종합정보표시모듈 122d-2: 학습정보표시모듈
122d-3: 활동정보표시모듈 122d-4: 표시연동모듈
122e: 일일보고서등록부 122e-1: 입력정보연동모듈
122e-2: 순차배열모듈 122e-3: 리스트출력모듈
122e-4: 보고서저장모듈 122f: 상벌제공부 122f-1: 생활벌점부여모듈
122f-2: 학습벌점부여모듈 122f-3: 학습포인트부여모듈
122f-4: 주기보상제공모듈 122f-5: 벌점징계모듈 122g: 영상관리부
124: 생활관리부 126: 진학관리부 130: 저장부
200: 사용자단말기 300: 관리자단말기 400: CCTV
Claims (3)
-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학습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진행되는 학습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학습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일정기간 동안의 학습계획을 설정하는 계획설정부와, 상기 계획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계획에 대한 학습진행과정을 등록하는 학습기록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 활동 상태를 등록하는 상태기록부와,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대한 벌점, 포인트를 부여하여 보상 및 징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벌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획설정부는,
학습 진행기간을 설정하는 기간설정모듈과, 학습 진행기간동안 수행되어야 할 과목과 각 과목의 비중을 설정하는 과목설정모듈과, 각 과목에 대한 온라인 강의 정보를 등록하는 인강정보설정모듈과, 각 과목에 대해 학습해야 할 교재정보를 등록하는 교재정보설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기록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강의의 시청에 따라 자동으로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습정보가 등록되는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과; 각 과목의 교재에 대한 학습학습정보가 입력되어 등록되는 교재정보입력모듈과; 온라인 강의 및 교재에 대한 학습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누적저장모듈과; 각 온라인 강의 및 교재에 대한 학습 누적 정보에 따라 각 과목의 학습비율을 산출하는 학습비율산출모듈과; 학습에 대한 성취정도를 파악하고, 성취정도에 따른 잔여범위와 각 과목의 학습비중을 고려한 학습 성취 가능 여부를 파악하는 성취율산출모듈과; 학습을 진행중인 사용자의 현재 학습 효율을 평가하는 학습효율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성취율산출모듈은,
성취율을 산출하고자 하는 교재 정보를 입력하는 교재정보입력모듈과, 타 사용자들의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정보를 불러오는 성취시간로딩모듈과, 사용자의 해당 교재 학습 완료 가능정도를 산출하는 가능도산출모듈과, 상기 가능도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가능정도가 일정값 미만인 경우 학습계획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요청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능도산출모듈은,
사용자의 잔여 학습범위를 고려하여 해당 교재에 대한 타 사용자의 평균 학습시간을 산출하고, 현재 사용자의 학습 비중을 고려하여 해당 교재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시간을 산정하며, 타 사용자의 평균 학습시간에 대한 현재 사용자의 잔여 학습시간의 비율에 따라 학습 가능 정도를 산출하도록 하고,
상기 학습효율평가모듈은,
효율을 평가할 교재정보를 불러오는 교재정보로딩모듈과, 불러온 교재에 대한 현재까지 학습한 범위에 대한 총 학습시간을 산출하는 학습시간산출모듈과, 동일한 학습범위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평균 학습시간 정보를 비교하는 학습시간비교모듈과, 동일한 학습범위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평균 학습시간에 대한 현재 사용자의 학습시간의 비율에 의해 학습효율을 산출하는 학습효율산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벌제공부는,
사용자의 시간 기준 위반에 대한 벌점을 부여하는 생활벌점부여모듈과, 사용자의 계획에 따른 학습시간 내에 학습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 벌점을 부여하는 학습벌점부여모듈과, 계획시간 내에 학습을 완료한 경우 포인트를 부여하는 학습포인트부여모듈과, 일정주기로 포인트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주기보상제공모듈과, 벌점이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징계를 실행하는 벌점징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5971A KR102462855B1 (ko) | 2020-07-13 | 2020-07-13 | 독학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5971A KR102462855B1 (ko) | 2020-07-13 | 2020-07-13 | 독학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7985A KR20220007985A (ko) | 2022-01-20 |
KR102462855B1 true KR102462855B1 (ko) | 2022-11-02 |
Family
ID=8005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5971A KR102462855B1 (ko) | 2020-07-13 | 2020-07-13 | 독학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285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80191A (zh) * | 2022-04-18 | 2022-07-22 | 高途教育科技集团有限公司 | 一种信息提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8232B1 (ko) * | 2012-07-20 | 2014-10-08 | (주)아이티언 | 엔-스크린 기반 스마트 학습 방법 및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2633B1 (ko) * | 2006-06-13 | 2008-01-09 | 주식회사 케이티 | 온라인 교육을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지도 방법. |
KR20120001987A (ko) * | 2010-06-30 | 2012-01-05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020820A (ko) * | 2014-08-14 | 2016-02-24 | 김용섭 | 자기 주도 학습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2020
- 2020-07-13 KR KR1020200085971A patent/KR1024628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8232B1 (ko) * | 2012-07-20 | 2014-10-08 | (주)아이티언 | 엔-스크린 기반 스마트 학습 방법 및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7985A (ko) | 2022-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ook et al. | A new program to prevent primary school absenteeism: Results of a pilot study in five schools | |
Fitzgerald et al. | Advanced practice nursing education: challenges and strategies | |
Jette et al. | How do we improve quality in clinical education? Examination of structures, processes, and outcomes | |
Suplee et al. | Fostering a smooth transition to the faculty role | |
US10147335B2 (en) | Education data platform to support a holistic model of a learner | |
Mills et al. | Survey of mathematics tutoring centres in the USA | |
Laliberté et al. | An in-depth analysis of ethics teaching in Canadian physio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 |
KR102462855B1 (ko) | 독학 관리 시스템 | |
Beachy-Quick et al. | SafeCare Colorado program evaluation report 2014–2017 | |
KR20210028338A (ko) | 독학 관리 학원 학사 관리 시스템 | |
JP6627068B1 (ja) | 学習管理システム | |
Hawksley et al. | Going the Distance: Are There Common Factors in High Performance Distance Learning? Research Report. | |
Ruddy et al. | Managing talent in global organizations | |
Robinson et al. | Building connections in aged care: developing support structures for student nurses on placement in residential care | |
Cole et al. | Evaluating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dissemination of a multisite card study in the WWAMI Region Practice and Research Network | |
Donahue | IMPACT OF BEING A RESIDENT ASSISTANT ON STUDENT'S ACADEMIC SUCCESS | |
O’Brien et al. | The utility of simulated clients in macro-practice courses | |
Kumm et al. | Teacher preparation | |
Sebastian et al. | The academic nursing practice dean: An emerging role | |
Gast | Student Readiness in an Asynchronous Online Environment: A Correlational Study on Student Success | |
Mnemba | Influence of Head-teachers’ Leadership on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Public Primary Schools in Rabai Sub-County in Kilifi County-Kenya | |
Poertner et al. | Managing for outcomes: The selection of sets of outcome measures | |
Thielges | Athletic director's perceptions of evaluation and supervision practices in North Dakota | |
JP2003345909A (ja) | 学業指導方法および学業指導システム | |
Keeley | Learning online in jail: A study of Cook County jail’s high school diploma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