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316B1 -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 Google Patents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316B1
KR102462316B1 KR1020220088902A KR20220088902A KR102462316B1 KR 102462316 B1 KR102462316 B1 KR 102462316B1 KR 1020220088902 A KR1020220088902 A KR 1020220088902A KR 20220088902 A KR20220088902 A KR 20220088902A KR 102462316 B1 KR102462316 B1 KR 10246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odule
temperature
unit
therm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병석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3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81Thermal management, e.g. liquid flow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63Heat dissipaters releasing heat from coola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72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expand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for removing gas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a display device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controls internal temperature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o prevent abnormal operation of elements due to a temperature rise in a display device mounted on a multifunctional console of a combat system. The device comprises: a control power supply (17) supplying power to a control module (11); a thermoelectric module (13) includ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driven by a driving power supply (12) independent from the control power supply (17); a detection sensor (15) detecting temperature of a cooling target (14); an operation data unit (16) determining an operation level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based on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5); a signal generation unit (21) connecting the control power supply (17) and the control module (11); and a switch unit (22) connecting the driving power supply (12)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in response to transmission of a start signal for the driving power supply (12).

Description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투체계 다기능 콘솔에 장착되는 전시기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소자의 비정상 동작을 막기 위해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display device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controlling an internal temperature in order to prevent abnormal operation of the element due to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display mounted on a multi-function console of a combat system. It relates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the used display device.

국내 함정 전투체계 다기능 콘솔의 내부 구성품은 미 군사규격의 표준인 외부온도 43도를 기준으로 운용 적합성을 평가하고 있다.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multi-function console of the domestic warship combat system are evaluated for operational suitability based on the external temperature of 43 degrees, which is the standard of US military standards.

해당 다기능 콘솔을 수출을 위하여 수출국의 환경기준인 외부온도 50도 기준으로 시험한 결과 내부 구성품의 이상동작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of testing the multi-function console based on the external temperature of 50 degrees, which is the environmental standard of the exporting country for export, abnormal operation of internal components was confirmed.

이상동작을 하는 부품은 상용부품으로 외부의 인의적인 온도제어가 없을 경우, 정상동작이 불가하며 현재까지는 상용품에 대하여 외부 온도제어를 적용한 사례가 없다.Parts with abnormal behavior are commercial parts, and if there is no external temperature control, normal operation is impossible.

일반적으로, 열전 소자의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하는 전자 냉각 방식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고, 이와 같은 열전 모듈은 PN 반도체, 단열재 또는 방열 수단을 포함한다. In general, an electronic cooling method using heat absorption or heat generation of a thermoelectric element is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such a thermoelectric module includes a PN semiconductor, a heat insulating material, or a heat dissipation means.

이와 같은 전자 냉각 기술은 의료 기기, 컴퓨터 부품 또는 작동에 따라 발열이 되는 전자 또는 전기기기에 적용되고 있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Such electronic cooling technology is applied to medical devices, computer parts, or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that generate heat according to operation, and various related technologies are known.

결국, 종래의 전시기의 제품 제작 시 부품, 소자 등은 상용품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는 외부온도 43도 기준으로 정상 동작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After all, parts and elements are used as commercial products when manufacturing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and currently, normal operation is checked based on an external temperature of 43 degrees.

이와 같이 외부온도 기준이 50도인 경우 해당 품목인 전시기의 내부온도는 67도를 상회하며, 소자의 온도는 정상동작 범위를 벗어나, 현재는 외부 온도 제어가 없어 높은 온도에서는 동작이 불가하다. In this way,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standard is 50 degre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isplay device, which is the item, exceeds 67 degre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device is out of the normal operating rang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투체계 다기능 콘솔에 장착되는 전시기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소자의 비정상 동작을 막기 위해 내부 온도를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조절하도록 한 열전 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prevent abnormal operation of the element due to the temperature rise of the display mounted on the multi-function console of the combat syst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displa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o be controlled using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는, 제어 모듈(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 전원(17); 열전 소자를 포함하면서 제어 전원(17)과 독립된 구동 전원(12)에 의하여 구동되는 열전 모듈(13); 냉각 대상(14)의 온도를 탐지하는 탐지 센서(15); 탐지 센서(15)에서 탐지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13)의 작동 수준을 결정하는 작동 데이터 유닛(16); 제어 전원(17)과 제어 모듈(11)을 연결시키는 신호 발생 유닛(21); 및 구동 전원(12)에 대한 작동 개시 신호의 전송에 따라 구동 전원(12)과 열전 모듈(13)을 연결하는 스위치 유닛 (22)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displa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comprising: a control power supply 17 for supplying power to a control module 11; a thermoelectric module 13 includ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driven by a driving power source 12 independent of the control power supply 17; a detection sensor 15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target 14; an operation data unit 16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level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5; a signal generating unit 21 connecting the control power source 17 and the control module 11; and a switch unit 22 connecting the driving power source 12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according to transmission of an operation start signal to the driving power source 12 .

상기 신호 발생 유닛은, 광전 변환 소자, 트랜지스터 소자, FET 반도체 소자 또는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 transistor element, a FET semiconductor element, and a relay.

상기 열전 모듈(13)은, 표적(MT)에 접촉되거나 접촉이 되지 않은 상태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 교환 블록 (33); 열 교환 블록(33)의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도록 내부에 냉각 유로(364)를 형성하는 냉각 모듈(36); 열 교 환 블록(33)에 결합된 열전 소자로부터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열을 외부로 분산시키는 방열 핀 유닛(32); 및 방열 핀 유닛(32)에 의하여 유도된 열을 외부로 분산시키는 방열 팬(3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includes a heat exchange block 33 for heat exchange with or without contact with the target MT; a cooling module 36 forming a cooling passage 364 therein to absorb or release heat of the heat exchange block 33; a heat dissipation fin unit 32 for dissipating heat emitted or absorb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coupled to the heat exchange block 33 to the outside; and a heat dissipation fan 31 for dispersing the heat induced by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32 to the outside.

상기 탐지 센서(15)는, 냉각 대상이 되는 발열체의 온도 및 발열체의 주변 온도를 각각 탐지하는 제 1 및 제2 온도 센서(151, 1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ction sensor 15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151 and 152 for respectively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to be cooled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상기 냉각 유로(364)는, 다수 개의 곡선 경로가 병렬로 배치되면서 분리벽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고, 다수 개의 곡선 경로 각각은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The cooling passage 364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artition wall while a plurality of curved path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urved paths may have different depths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상기 냉각 모듈(36)은, 냉각 유로(364)의 양쪽 끝에 각각 형성되는 유입 유닛(363a) 및 배출 유닛(36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module 36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unit 363a and an outlet unit 363b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oling passage 364 .

상기 유입 유닛(363a) 및 배출 유닛(363b) 각각은, 냉각 유로(364)의 각각의 곡선 경로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냉각 유로(364)에 형성된 유동 경로와 다른 방향을 가지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 개의 체류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Each of the inflow unit 363a and the discharge unit 363b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each curved path of the cooling flow path 364,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low path formed in the cooling flow path 364. The branch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retention walls defining a flow path.

상기 방열 핀 유닛(32)은, 냉각 모듈(36)의 냉매와 독립적으로 유동되도록 냉각 유체를 유도하는 다수 개의 방열 홀(323)이 형성된 방열 홀 블록(322) 및 방열 핀(3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32 includes a heat dissipation hole block 322 and a heat dissipation fin 321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323 for guiding a cooling fluid to flow independently of the refrigerant of the cooling module 36 are formed. can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기 조립체에서 기준 외기온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소자가 있는 경우, 열전소자 및 방열구조를 적용하여 외기온도에 대한 정상 동작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n element that does not satisfy the reference outdoor temperature in the display assembly,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may be applied to enable normal operation at the outdoor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용품을 적용하는 조립체의 경우에도 온도제어를 통해 고온의 환경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n assembly to which commercial products are applied,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through temperature control.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 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에 적용되는 열전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are provide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provide embodiments together with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specific drawings, and features disclosed in each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constitute a new embodiment.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displa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to which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displa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ermoelectric module applied to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of a displa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displa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소자를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소자를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는, 제어 모듈(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 전원(17), 열전 소자를 포함하면서 제어 전원(17)과 독립된 구동 전원(12)에 의하여 구동되는 열전 모듈(13), 냉각 대상(14)의 온도를 탐지하는 탐지 센서(15), 및 탐지 센서(15)에서 탐지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13)의 작동 수 준을 결정하는 작동 데이터 유닛(16)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a displa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power supply 17 for supplying power to a control module 11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is independent of the control power supply 17 .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driven by the driving power source 12, the detection sensor 15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target 14,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5 may include an operational data unit 16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al level of

상기 구동 전원(12)은 제어 모듈(11)에서 전송된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고, 전기적으로 구동 전원(12)과 분리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ower source 12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11 , and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driving power supply 12 .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 장치는 제어 부분과 구동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어 부분은 온도 탐지 정보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13)의 작동 여부, 작동 방법 또는 작동 수준을 결정하고, 구동 부분은 제어 부분으로부터 전송된 작동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13)을 작동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displa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part and a driving part, and the control part determines whether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operates, an operation method, or an operation level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part may have a function of operat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part.

또한, 작동 개시 신호를 포토다이오드,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과 같은 자기장 발생 소자에 의한 마그네틱 방식 또는 릴레이 방식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start signal may be a magnetic method or a relay method by a magnetic field generating element such as a photodiode, an electromagnet, or a permanent magn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 부분은 제어 모듈(11), 열전 모듈(13)의 작동 방식을 결정하는 작동 데이터 유닛(16) 및 제어 모듈(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 전원(1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par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11 , an operation data unit 16 that determines how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operates, and a control power supply 17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module 11 .

그리고, 구동 부분은 구동 전원(12), 구동 전원(12)에 의하여 작동되어 냉각 대상(14)을 냉각시키는 열전 모듈(13) 및 열전 모듈(13)의 온도, 냉각 대상(14)이 되는 발열체의 온도 또는 주변 온도를 탐지하는 탐지 센서(15)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part is operated by the driving power supply 12 and the driving power supply 12 to cool the cooling target 14 , and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and the heating element serving as the cooling target 14 . It may include a detection sensor 15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r ambient temperature.

제어 모듈(11)은 작은 전류 또는 작은 전압 조건에서 작동될 수 있고, 제어 모듈(11)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은 제어 전원(17)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1 may be operated under a small current or low voltage condition, and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11 may be supplied by the control power supply 17 .

제어 모듈(11)은 구동 전원(12)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광 개시 신호, 전자기 개시 신호 또는 이와 유사한 작동 개시 신호를 구동 전원(12)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1 may have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riving power source 12 is operated, and may transmit, for example, a light start signal, an electromagnetic start signal, or a similar operation start signal to the driving power source 12 .

구동 전원(12)은 제어 전원 (17)과 독립적으로 작동되고,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은 제어 전원(17)의 작동 여부에 관계없이 구동 전원(12)이 구동되어 열전 모듈(13)을 작동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The driving power supply 12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control power supply 17 and may be electrically isolated. Independently operated, the driving power supply 12 is driven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trol power supply 17 is operated, and thus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or may not be operated.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제어 모듈(11)의 제어 회로가 보호되면서 예를 들어 구동 전원(12)의 누설과 같은 전류 누설 또는 유사한 구동 부분의 전기적 작동 오류에 대하여 제어 부분의 안전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trol circuit of the control module 11 is protected by being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operated independently, for example, the control part against current leakage such as leakage of the driving power supply 12 or an electrical operation error of the similar driving part. safe operation can be guaranteed.

열전 모듈(13)의 작동을 위하여 큰 전류 또는 큰 전압이 요구되고, 구동 전원(1 2)은 열전 모듈(13)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A large current or a large voltage i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 and the driving power source 12 may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

열전 모듈(13)은 적어도 하나의 열전 소자 및 방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열전 소자는 예를 들어 PN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열전 모듈(13)에 포함된 방열 수단은 방열 핀, 방열 팬 또는 냉각 유체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include at least on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heat dissipation means,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N semiconductor element.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means included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heat dissipation fin, a heat dissipation fan, or a cooling fluid.

열전 모듈(13)은 열 교환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이와 같은 열 교환 기능에 의하여 냉각 대상(14)이 되는 발열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have a heat exchange function, and may cool a heating element to be cooled 14 by such a heat exchange function.

냉각 대상(14)은 예를 들어 고주파 발생, 레이저 발생 또는 이와 유사하게 전력 소비에 의하여 치료 기능을 가지는 의료 기기가 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온도 범위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The cooling target 14 may be, for example, a medical device having a therapeutic function by high-frequency generation, laser generation or similar power consumption, and needs to be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열전 모듈 (13)은 냉각 대상(14)의 온도 또는 주변 조건에 따라 냉각 대상(14)을 냉각시키거나(cooling), 가열시킬 (heating)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cool or heat the cooling target 14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r ambient conditions of the cooling target 14 .

냉각 대상(14)은 전력 공급에 의하여 작동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발열체가 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열전 모듈(13)과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또는 냉각유와 같은 매체를 냉각을 시키거나 가열을 시켜 냉각 대상(14)으로 유도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cooling target 14 may be a heating element of various types that is operated by power supply to generate heat, and heat exchange with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be made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 medium such as cooling water or cooling oil may be cooled or heated to induce heat exchange to the cooling target 14 .

냉각 대상(14)의 온도에 따라 열전 모듈(13)의 작동 수준이 조절될 수 있고, 냉각 또는 가열 수준이 조절될 수 있다. The operating level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target 14 , and the cooling or heating level may be adjusted.

이를 위하여 냉각 대상(14)의 온도가 탐지 센서(15)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target 14 may be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5 .

또한, 탐지 센서(15)에 의하여 냉각 대상(14) 또는 발열체의 온도가 탐지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냉각 대상(14)의 주변 온도가 탐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target 14 or the heating element may be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5 , and optionally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oling target 14 may be detected.

발열체의 온도는 열전 모듈(13)의 작동 수준을 결정하는 직접적인 매개변수가 되고, 주변 온도는 열전 모듈(13)의 작동 수준을 결정하는 간접적인 매개변수가 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may be a direct parameter determining the operating level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 and the ambient temperature may be an indirect parameter determining the operating level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

구체적으로 발열체의 온도를 탐지하여 미리 결정된 범위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어 열전 모듈(13)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o determine whether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operates.

그리고 주변 온도가 탐지되어 열전 모듈(13)의 작동 방법이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냉각수 또는 냉각유의 순환 속력, 유동 압력, 유동 양 또는 열전 소자의 작동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And the ambient temperature is detected to determin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for example,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coolant or coolant, the flow pressure, the flow amount, or the operation tim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n be determined.

탐지 센서(15)에 의하여 탐지된 발열체의 온도 또는 주변 온도가 작동 데이터 유닛(16)으로 전송될 수 있고, 작동 데이터 유닛(16)은 탐지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의 작동 방식을 결정하여 제어 모듈(11)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r ambient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5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data unit 16, and the operation data unit 16 determine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based on the detected temperatur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1 .

제어 모듈(11)은 전송된 작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13)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고 구동 신호를 구동 전원(12)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1 may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based on the transmitted operation data and transmit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power source 12 .

그리고 구동 전원(12)은 제어 모듈(11)로부터 전송된 작동 신호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13)의 작동을 개시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power source 12 may start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11 .

이후 탐지 센서(15)에서 탐지된 온도 정보가 제어 모듈(11)로 피드백 형태로 전송되고 제어 모듈 (11)은 그에 기초하여 구동 전원(12)의 구동을 유지시키거나, 중단시킬 수 있다. Thereafter, the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5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1 in the form of feedback, and the control module 11 may maintain or stop the driving of the driving power source 12 based thereon.

탐지 정보의 분석에 따른 열전 모듈(13)의 작동 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etec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제어 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2 shows an embodiment to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전원(17)은 광전 변환 소자(photo coupler), 트랜지스터 소자, FET 반도체 소자, 릴레이 또는 이와 유사한 신호 발생 유닛(21)에 의하여 제어 모듈(11)과 연결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트랜지스터와 같은 신호 증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power source 17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1 by a photo coupler, a transistor device, a FET semiconductor device, a relay, or a similar signal generating unit 21 . It may include a signal amplifying means such as a transistor.

제어 모듈(11)은 미리 결정된 작동 전압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고, 구동 전원(12)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1 may be operated based on a predetermined operating voltage and may be electrically isolated from the driving power supply 12 .

그리고, 냉각 대상이 되는 발열체(23)의 온도가 제1 온도 센서(151)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발열체(23)의 주변 온도가 제2 온도 센서(152)에 의하여 탐지되어 제어 모듈(11)로 전송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23 to be cooled may be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51 ,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23 may be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52 and the control module 11 ) can be transmitted.

제어 모듈(11)은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13)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열전 모듈 (13)의 작동이 결정되면 작동 개시 신호를 구동 전원(12)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1 may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an operation start signal to the driving power source 12 when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is determined.

구동 전원(12)에 대한 작동 개시 신호의 전송에 따라 구동 전원(12)과 열전 모듈(13)을 연결하는 스위치 유닛(22)이 작동되어 열전 모듈(13)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전 모듈(13)이 작동되어 발열체(23)를 냉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operation start signal to the driving power source 12 , the switch unit 22 connecting the driving power source 12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be operated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 and thus Accordingly,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be operated to cool the heating element 23 .

제어 모듈(11)은 냉각과 발열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작동 개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신호 전송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1 may transmit an operation start signal through different paths according to cooling and heat generation, and signal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in a digital or analog manner.

이에 따라 열전 모듈(13)은 주변 온도에 따라 또는 발열체(23)의 작동 조건에 따라 발열체(23)를 냉각을 시키거나 가열을 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정해진 범위에서 냉각 또는 발열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cool or heat the heating element 23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or operating conditions of the heating element 23 . In addition, the cooling rate may be adjusted, and cooling or heat genera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이와 같이 열전 모듈(13)에 의하여 냉각 및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조건에 따라 작동되도록 다수 개의 스위치 유닛(22)이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way, cooling and heat generation may be achieved by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 and a plurality of switch units 22 may be installed to operate according to each condition.

구체적으로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냉각 기능이 작동되고,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 중단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온도는 50도 일 수 있으며, 이해 한정되지 않는다. Specifically, it may be set to operate the cooling function when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or more, and to stop the operation when the set reference temperature or more. Here,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50 degrees, and the understanding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은 냉각 또는 가열 기능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어 전원(17)과 제어 모듈(11)의 분리 구조 및 그에 적합한 열전 모듈(13)의 구조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Such a cooling or heating function may be achieved by a separate structure of the independently operated control power source 17 and the control module 11 and a structur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suitable therefor.

또한, 이와 같은 작동 구조에서 발열에 서 냉각으로 또는 그 역으로 작동 조건이 변경되면 변경 시간 간격(interval time)이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such an operating structure, when the operating condition is changed from heating to cooling or vice versa, an interval time for change may be set.

구체적으로 냉각에서 발열로 또는 그 역으로 가열 조건이 변경되면 열전 소자의 작동 전극이 변경되어야 하므로 전압 조건 또는 전류 조건의 설정이 되어야 하고, 이미 작동하고 있는 조건에 따른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변경 시간 간격이 설정되고, 적절한 탐지 수단에 의하여 변경 시점이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 시간 간격은 1 내지 5 초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변경 시간 간격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전기 쇼트 현상과 같은 전기적 오류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heating condition is changed from cooling to heating or vice versa, the working electro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must be changed, so the voltage condition or current condition must be set, and the change time interval to remove the effect of the already operating condition This is set, and the time of change can be detected by an appropriate detection means. For example, the change time interval may be 1 to 5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By means of the change time interval,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al error, for example an electrical short, can be prevented.

아래에서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열전 모듈(13)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The structur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having such a func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제어 장치에 적용되는 열전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thermoelectric module applied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열전 모듈은 내부에 냉각 유로(364)가 형성된 냉각 모듈(36)을 포함한다. 또한 냉각 유로 (364)는 다수 개의 곡선 경로가 병렬로 배치되면서 분리 벽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고, 각각의 곡선 경로는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진다. Referring to FIG. 3 , the thermoelectric module includes a cooling module 36 having a cooling passage 364 formed therein. In addition, the cooling passage 364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dividing wall while a plurality of curved path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each curved path has a different depth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열전 모듈(13)은 열 교환 방식으로 발열체가 되는 표적(MT)을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킬 수 있고, 열전 모듈(13) 은 표적(MT)의 용도, 구조, 작동 형태에 적합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 모듈은 냉각수 또는 냉각유와 같은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표적(MT)과 열전 소자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can cool or heat the target MT, which is a heating element in a heat exchange manner,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can be made into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purpose, structure, and operation form of the target MT. can For example, the thermoelectric module may allow heat exchange between the target MT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by the flow of a fluid such as coolant or coolant.

이를 위하여 열전 모듈(13)은 표적(MT)에 접촉되거나, 접촉이 되지 않은 상태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 교환 블록(33); 열 교환 블록(33)의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냉각 모듈(36); 및 열 교환 블록(33)에 결합된 열전 소자로부터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열을 외부로 분산시키는 방열 핀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is in contact with the target MT, or a heat exchange block 33 for heat exchange in a non-contact state; a cooling module 36 for absorbing or dissipating the heat of the heat exchange block 33; And it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fin unit 32 for dissipating heat emitted or absorb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coupled to the heat exchange block 33 to the outside.

선택적으로 방열 핀 유닛(32)에 의하여 유도된 열을 외부로 분산시키는 방열 팬(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적(MT) 또는 표적 주변의 온도를 탐지하는 제1, 2 온도 센서(151, 152)가 표적(MT) 또는 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It may optionally include a heat dissipation fan 31 for dissipating the heat induced by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32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151 and 152 for detecting the target MT or a temperature around the target may be disposed on or around the target MT.

냉각 모듈(36)은 냉각수 또는 냉각유와 같은 냉매를 발열체가 되는 표적(MT)과 연결되는 유입 라인(L11, L12)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cooling module 36 may have a function of guiding a refrigerant such as cooling water or cooling oil to the inlet lines L11 and L12 connected to the target MT serving as a heating element.

냉각 모듈(36)은 예를 들어,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이와 유사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냉매의 유동을 위한 유동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module 36 may be made of, for example, high thermal conductivity aluminum, an aluminum alloy, or a similar metal, and may include a flow path for the flow of the refrigerant.

구체적으로 냉각 모듈 (36)의 내부에 열 교환을 위한 매체가 되는 냉각수 또는 냉각유의 유동을 위한 냉각 유로(364)가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cooling water serving as a medium for heat exchange or a cooling passage 364 for the flow of cooling oil may be formed in the cooling module 36 .

냉각 유로(364)는 다수 개의 곡선 경로가 병렬로 배치되면서 분리 벽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고, 서로 다른 곡선 경로의 끝 부분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oling passage 364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dividing wall while a plurality of curved path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ends of different curved path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각각의 곡선 경로는 경로 길이의 증가를 위하여 곡선 형상이 되면서 서로 다른 곡선 경로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Each curved path may have a curved shape to increase the path length, and different curved paths may have a similar shape.

냉각 유로(364)의 둘레 벽은 열전도성 소재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중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 유로(364)의 양쪽 끝에 각각 유입 유닛(363a)과 배출 유닛(363b)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eripheral wall of the cooling passage 364 may be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or a material similar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 double wall if necessary. An inlet unit 363a and an outlet unit 363b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oling passage 364 , respectively.

유입 유닛(363a)은 냉각 유로(364)의 각각의 곡선 경로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체류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 유닛 (363b)은 또한 유입 유닛(363a)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inlet unit 363a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retention wall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each curved path of the cooling passage 364, and the outlet unit 363b is also the same as the inlet unit 363a. Or it may be made of a similar structure.

다수 개의 체류 벽은 한쪽 끝이 둘레 벽과 곡선 경로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인접하는 체류 벽이 각각 둘레 벽과 곡선 경로에 연결되면서 다른 끝 부분과 체류 벽 및 곡선 경로와 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유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retention walls may be integrally formed by one end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the curved path, and adjacent retention wall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the curved path to form a gap with the other end of the retention wall and the curved path. By doing so, a flow path can be formed.

유입 유닛(363a)의 한쪽 끝에 형성된 입구(362a)를 통하여 유입된 냉각수는 유입 유닛(363a)에 형성된 다수 개의 체 류 벽을 따라 흘러 냉각 유로(364)로 유도될 수 있다. The cool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62a formed at one end of the inflow unit 363a may flow along the plurality of retention walls formed in the inflow unit 363a and be guided to the cooling passage 364 .

냉각 유로(364)에 형성된 다수 개의 곡선 경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고, 깊이 변화는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urved paths formed in the cooling passage 364 may have different depth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epth may be irregularly changed.

이에 의하여 냉각 유로(364)에서 와류가 형성되면서 체류 시간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As a result, while a vortex is formed in the cooling passage 364 , the residence time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area may be increased.

이와 같이 냉각 유로(364)에서 체류 시간이 조절되어 정해진 온도 범위로 만들어진 냉매가 배출 유닛(363b)에 형성된 출구(362b)를 통하여 배출되어 유입 라인(L11, L12)을 따라 유도되어 표적(MT)을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frigerant made i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by adjusting the residence time in the cooling passage 364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62b formed in the discharge unit 363b and is guided along the inlet lines L11 and L12 to the target MT. can be cooled or heated.

이후 표적(MT)에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흐르면서 표적과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매가 배출 라인 (L22, L21)을 따라 배출되어 입구(362a)로 유입되어 위에서 설명된 경로를 따라 흐를 수 있다. Thereafter, while flowing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 the target MT, the refrigerant having heat exchange with the target is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lines L22 and L21 and introduced into the inlet 362a to flow along the path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유입 유닛(363a)과 배출 유닛(363b)에 형성된 유동 경로가 냉각 유로(364)에 형성된 유동 경로가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냉각 유로(364)에서 냉각수의 유동이 인가되는 외부 압력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As such, the flow paths formed in the inflow unit 363a and the discharge unit 363b have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flow paths formed in the cooling passage 364, so that the flow of the coolant in the cooling passage 364 is applied to the external pressur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제시된 실시 예에서 냉각 모듈(36)의 한쪽 부분이 제시되어 있지만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냉각 모듈(36)이 서로 결합되어 밀폐 구조를 형성하거나, 적절한 밀폐 덮개에 의하여 냉각 모듈(36)이 밀폐될 수 있다. Although one part of the cooling module 36 is shown in the presented embodiment, the cooling modules 36 having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ealed structure, or the cooling module 36 may be sealed by an appropriate sealing cover. can

선택적으로 방열 홀 블록(322)에 다수 개의 방열 홀(323)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방열 홀(323)을 따라 냉각수, 냉각유와 같은 유체 또는 냉각 기체가 냉각 모듈(36)의 냉매와 독립적으로 유동되도록 유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열 핀(321)으로 전달된 열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어 냉각 모듈(36)의 냉각 또는 가열 효율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Optionally,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s 323 may be formed in the heat dissipation hole block 322 , and a fluid such as cooling water or cooling oil or a cooling gas is mixed with the refrigerant of the cooling module 36 along each heat dissipation hole 323 . It can be induced to flow independently, so that the heat transferred to the heat dissipation fins 321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the cooling or heat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module 36 .

냉각 모듈(36)에 형성된 냉각 유로(364)는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접촉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oling passage 364 formed in the cooling module 36 may hav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or adjusting the contact area,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또한 선택적으로 방열 팬(31)에 의하여 열의 방출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 모듈(36)에서 냉각수 또는 냉각유의 흐름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improve heat dissipation by the heat dissipation fan 31 . The flow of cooling water or cooling oil in the cooling module 36 may be adjust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열전 소자 모듈의 온도 제어 장치는 탐지 센서(15)에서 탐지된 온도에 따라 냉각(Cooling) 또는 가열(heating)을 결정하는 비교기(4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module includes a comparator 45 that determines cooling or heating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5 .

온도 제어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독립 전원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 모듈(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1 전원(41) 및 열전 모듈(13)의 작동을 위한 제2 전원(4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two independent power sources, for example a first power source 41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11 and a second power source 43 for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 may include

냉각 대상(14)에 설치된 제1 온도 센서(151) 또는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정보가 탐지 신호 처리 유닛(44)으로 전송될 수 있고, 탐지 신호 처리 유닛(44)은 발열체에 해당하는 냉각 대상(14)의 온도와 주변 온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여 비교기(45)로 전송할 수 있다. Temperatur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signal processing unit 44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51 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cooling target 14 , and the detection signal processing unit 44 is a cooling target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element. The temperature of (14) and the ambient temperature may be converted and amplifi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comparator (45).

비교기(45)는 발열체의 온도와 주변 온도를 대비하여 열전 모듈(13)의 작동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The comparator 45 may set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ambient temperature.

또한 냉각 대상(14) 또는 열전 모듈(13)의 작동 오류가 탐지되면 차단 신호 유닛(451)을 통하여 차단 신호를 생성시켜 작동 선택 모듈(42)로 전송하여 냉각 대상(14) 또는 열전 모듈(1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operation error of the cooling target 14 or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is detected, a blocking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blocking signal unit 451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lection module 42 to be transmitted to the cooling target 14 or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 may stop working.

작동 선택 모듈(42)은 가열 또는 냉각을 결정할 수 있고, 냉각과 가열 사이의 변경을 위한 변경 시간 간격이 설정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lection module 42 may determine heating or cooling, and a change time interval for changing between cooling and heating may be set.

비교기(45)의 비교 결과가 작동 데이터 유닛(46)으로 전송될 수 있고 작동 데이터 유닛 (46)은 열전 모듈(13)의 작동 여부, 열전 모듈(13)의 작동 방법 또는 제1 온도 센서(151)의 정보 전송 주기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작동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ator 45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data unit 46 , and the operation data unit 46 determines whether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is operating,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or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51 . ) can determin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eriod, and operation data can be generated accordingly.

또한, 작동 데이터가 제어 모듈(11)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 모듈(11)은 작동 선택 모듈(42)을 통하여 제2 전원(43)으로 작동 개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operation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1 , and the control module 11 may transmit an operation start signal to the second power source 43 through the operation selection module 42 .

작동 선택 모듈(42)에서 전송된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전원(42)은 유동 조절 유닛(431) 또는 소자 조절 유닛(432)을 작동시킬 수 있다.Based on the star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lection module 42 , the second power source 42 may operate the flow control unit 431 or the element control unit 432 .

유동 조절 유닛(431)은 예를 들어 순환 펌프(CR)를 작동시켜 냉각수의 순환 속도 또는 방열 팬의 작동 수준을 조절할 수 있고, 소자 조절 유닛(432)에 의하여 열전 모듈(13)의 작동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The flow control unit 431 may, for example, operate the circulation pump CR to adjust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coolant or the operating level of the heat dissipation fa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be controlled by the element control unit 432 . can be decided.

이후, 냉각수 또는 냉각유의 순환 및 열전 모듈(13)의 작동에 의하여 냉각 대상(14)이 정해진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oling target 14 may be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by circulation of cooling water or cooling oil and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

열전 모듈(13)의 작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may be adjust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소자 모듈의 온도 제어 장치는 큰 전력이 요구되는 구동 전원과 비교적 작은 전력으로 작 동이 가능한 제어 전원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에 의하여 냉각 기기의 전력 소비 효율이 높아지도록 한다.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thermoelectric ele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of a cooling device by electrically separating a driving power that requires a large amount of power and a control power that can be operated with a relatively small power.

또한 주변 온도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 조건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oling performance is improved by adjusting the cooling or heat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제어 장치는 팬 또는 냉각수 또는 냉각유와 같은 냉매에 의한 방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냉매의 속 력, 압력 또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정해진 범위에서 작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냉각 제어 오류 또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한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by a refrigerant such as a fan or coolant or cooling oil, and may be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ile allowing the adjustment of the cooling time by adjusting the speed, pressure or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By blocking the operation, various types of cooling control errors or safety accidents are prevented.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1: 제어 모듈 12: 구동 전원
13: 열전 모듈 14: 냉각 대상
15: 탐지 센서 16: 작동 데이터 유닛
17: 제어 전원 21: 신호 발생 유닛
22: 스위치 유닛 23: 발열체
31: 방열 팬 32: 방열 핀 유닛
33: 열 교환 블록 36: 냉각 모듈
41, 43: 제1, 2 전원 42: 작동 선택 모듈
44: 탐지 신호 처리 유닛 45: 비교기
46: 작동 데이터 유닛 151, 152: 제1, 2 온도 센서
321: 방열 핀 322: 방열 홀 블록
323: 방열 홀 362a: 입구
362b: 출구 363a: 유입 유닛
363b: 배출 유닛 364: 냉각 유로
431: 유동 조절 유닛 432: 소자 조절 유닛
451: 차단 신호 유닛 CR: 순환 펌프
L11, L21: 유입 라인 MT: 표적
11: control module 12: drive power
13: thermoelectric module 14: cooling target
15: detection sensor 16: operation data unit
17: control power 21: signal generating unit
22: switch unit 23: heating element
31: heat dissipation fan 32: heat dissipation fin unit
33: heat exchange block 36: cooling module
41, 43: first, second power source 42: operation selection module
44: detection signal processing unit 45: comparator
46: operating data unit 151, 152: first, second temperature sensor
321: heat dissipation fin 322: heat dissipation hole block
323: heat dissipation hole 362a: entrance
362b: outlet 363a: inlet unit
363b: exhaust unit 364: cooling flow path
431: flow control unit 432: element control unit
451: shut-off signal unit CR: circulation pump
L11, L21: inlet line MT: target

Claims (8)

제어 모듈(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 전원(17);
열전 소자를 포함하면서 제어 전원(17)과 독립된 구동 전원(12)에 의하여 구동되는 열전 모듈(13);
냉각 대상(14)의 온도를 탐지하는 탐지 센서(15);
탐지 센서(15)에서 탐지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13)의 작동 수준을 결정하는 작동 데이터 유닛(16);
제어 전원(17)과 제어 모듈(11)을 연결시키는 신호 발생 유닛(21); 및
구동 전원(12)에 대한 작동 개시 신호의 전송에 따라 구동 전원(12)과 열전 모듈(13)을 연결하는 스위치 유닛 (22)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발생 유닛은,
광전 변환 소자, 트랜지스터 소자, FET 반도체 소자 또는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 모듈(13)은,
표적(MT)에 접촉되거나 접촉이 되지 않은 상태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 교환 블록 (33);
열 교환 블록(33)의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도록 내부에 냉각 유로(364)를 형성하는 냉각 모듈(36);
열 교 환 블록(33)에 결합된 열전 소자로부터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열을 외부로 분산시키는 방열 핀 유닛(32); 및
방열 핀 유닛(32)에 의하여 유도된 열을 외부로 분산시키는 방열 팬(31)을 포함하고,
상기 탐지 센서(15)는,
냉각 대상이 되는 발열체의 온도 및 발열체의 주변 온도를 각각 탐지하는 제 1 및 제2 온도 센서(151, 152)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유로(364)는,
다수 개의 곡선 경로가 병렬로 배치되면서 분리벽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고, 다수 개의 곡선 경로 각각은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고,
상기 냉각 모듈(36)은,
냉각 유로(364)의 양쪽 끝에 각각 형성되는 유입 유닛(363a) 및 배출 유닛(363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 유닛(363a) 및 배출 유닛(363b) 각각은,
냉각 유로(364)의 각각의 곡선 경로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냉각 유로(364)에 형성된 유동 경로와 다른 방향을 가지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 개의 체류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 핀 유닛(32)은,
냉각 모듈(36)의 냉매와 독립적으로 유동되도록 냉각 유체를 유도하는 다수 개의 방열 홀(323)이 형성된 방열 홀 블록(322) 및 방열 핀(321)를 포함하는 것인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시기의 온도 제어장치.
a control power supply 17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11;
a thermoelectric module 13 includ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driven by a driving power source 12 independent of the control power supply 17;
a detection sensor 15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target 14;
an operation data unit 16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level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5;
a signal generating unit 21 connecting the control power source 17 and the control module 11; and
a switch unit 22 for connecting the driving power supply 12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an operation start signal to the driving power supply 12;
The signal generating unit is
At least one of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 transistor element, a FET semiconductor element, or a relay,
The thermoelectric module 13,
a heat exchange block 33 for heat exchange with or without contact with the target MT;
a cooling module 36 forming a cooling passage 364 therein to absorb or release heat of the heat exchange block 33;
a heat dissipation fin unit 32 for dissipating heat emitted or absorb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coupled to the heat exchange block 33 to the outside; and
and a heat dissipation fan 31 for dispersing the heat induced by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32 to the outside,
The detection sensor 15,
and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151 and 152 for respectively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to be cooled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The cooling passage 364 is,
A plurality of curved path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dividing wal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urved paths has a different depth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The cooling module 36,
Further comprising an inlet unit 363a and an outlet unit 363b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oling passage 364,
Each of the inlet unit 363a and the outlet unit 363b,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retention wall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each curved path of the cooling flow path 364 to form a flow path having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low path formed in the cooling flow path 364,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32,
A displa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including a heat radiation hole block 322 and a heat radiation fin 321 having a plurality of heat radiation holes 323 for inducing a cooling fluid to flow independently of the coolant of the cooling module 36 temperature contro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88902A 2022-07-19 2022-07-19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KR102462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02A KR102462316B1 (en) 2022-07-19 2022-07-19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02A KR102462316B1 (en) 2022-07-19 2022-07-19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316B1 true KR102462316B1 (en) 2022-11-03

Family

ID=8404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902A KR102462316B1 (en) 2022-07-19 2022-07-19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31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7770A (en) * 2005-11-30 2007-06-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Cool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its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its temperature control program
JP2011091301A (en) * 2009-10-26 2011-05-06 Toyota Industries Corp Liquid cooling type cooling device
WO2016047335A1 (en) * 2014-09-22 2016-03-31 富士電機株式会社 Electronic component cooling device
KR101951892B1 (en) * 2017-09-06 2019-05-09 (주)라온솔루션 Temperature controlled test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7770A (en) * 2005-11-30 2007-06-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Cool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its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its temperature control program
JP2011091301A (en) * 2009-10-26 2011-05-06 Toyota Industries Corp Liquid cooling type cooling device
WO2016047335A1 (en) * 2014-09-22 2016-03-31 富士電機株式会社 Electronic component cooling device
KR101951892B1 (en) * 2017-09-06 2019-05-09 (주)라온솔루션 Temperature controlled test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6341A (en) Passive CPU cooling and LCD heating for a laptop computer
JP5114092B2 (en) Method for generating voltage and system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thermoelectric module
US20180279500A9 (en) Heat dissipating system
KR102596489B1 (en) Cooling apparatus for surveillance camera
WO2020088452A1 (en) Chip heat dissipation apparatus and projection device
CN112243339B (en) Double-circulation heat dissipation system
KR102462316B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CN113966159B (en) Water-cooling heat dissipation module,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KR20060050828A (en) Cooling device for comput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KR102370846B1 (e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a Thermoelement Module
KR20100054968A (en) Monitoring camera with thermoelectric device
KR20200083413A (e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a Thermoelement Module
KR20200059582A (e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a Thermoelement Module
CN102478751A (en) Cooling system for cooling heat source and projection equipment
KR20220025503A (en)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9797292B2 (en) Fan cooled ignition coil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73263A (en) Heating structure of ethernet switch
CN113152229A (en) Intelligent asphalt road water-cooling microwave maintenance vehicle and cooling control method
CN215218540U (en) Cooling structure of refrigeration type infrared spectrum imag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CN220674220U (en) Outdoor power supply
CN218850081U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solid gain medium of laser
CN220235272U (en) Radio frequency power supply
CN216390013U (en) Heat conducting assembly structure of high-energy laser
CN218244192U (en) Heat dissipation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30176460A1 (en) Optical engine device with heat dissipation function and projecto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