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914B1 - 카테터 장치 및 근접 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테터 장치 및 근접 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914B1
KR102461914B1 KR1020207000592A KR20207000592A KR102461914B1 KR 102461914 B1 KR102461914 B1 KR 102461914B1 KR 1020207000592 A KR1020207000592 A KR 1020207000592A KR 20207000592 A KR20207000592 A KR 20207000592A KR 102461914 B1 KR102461914 B1 KR 102461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sleeve
structures
catheter device
l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456A (ko
Inventor
카이-린 양
흐쉬엔-미엔 왕
웨이-절 창
정-위 초우
성-위 라이
밍-청 천
Original Assignee
브락스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락스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락스 바이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42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14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7Emission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6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generating temporal series of image data
    • A61B6/487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generating temporal series of image data involving fluo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2Intraluminal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7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introduction of source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4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elements which are assembled, connected or fused, e.g. splittable tubes, outer sheaths creating lumina or separate co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61M2025/1004Balloons with folds, e.g. folded or multifol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61M2025/1015Multiple balloon catheters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movable balloons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balloons can be adjusted, e.g. two balloon catheters concentric to each other forming an adjustable multiple balloon cathet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61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separate inflations tubes, e.g. coaxial tubes or tubes otherwise arranged apart from the catheter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special balloon surface topography, e.g. pores, protuberances, spik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2Intraluminal radiation therapy
    • A61N2005/1003Intraluminal radiation therapy having means for centering a radioactive source within the lumen, e.g.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7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introduction of sources into the body
    • A61N2005/1008Apparatus for temporary insertion of sources, e.g. afterloa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61N2005/1052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r tomography [SPECT]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61N2005/1055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61N2005/1061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using an x-ray imaging system having a separate imag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4Shielding, protecting agains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막 부재(3), 및 팁(4)을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1)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는 근위 방향(12) 및 원위 방향(11)을 구비하며 일체로 성형되고, 하나의 관상 구조(21) 및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22)를 포함하고, 상기 관상 구조(21) 및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22)는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제1 축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슬리브 막 부재(3)는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 외부 가장자리에 코팅되고, 상기 슬리브 막 부재(3)는 강화 구조(31) 및/또는 완충 구조(35)를 포함한다. 상기 팁(4)은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에 결합되고,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카테터 장치(1)를 채택하는 근접 치료 시스템은 식도암 등의 체강 내 종양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장치 및 근접 치료 시스템
본 발명은 근접 방사선 치료를 위한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화 구조 및/또는 완충 구조를 구비한 식도암 근접 방사선 치료 카테터 장치와 식도암 근접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접치료(brachytherapy)는 체강 내 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 방법으로, 카테터를 체강 또는 기관에 넣어 종양 조직 주변에 인접시킨 후 다시 후장전(after-loading) 치료기로 방사선원을 카테터에 도입하여 방사선원이 종양 부위 내에 머물도록 함으로써 그 광파 또는 고속입자 형태의 방사선이 종양세포를 파괴하여 종양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기술이다.
식도암(esophageal cancer)은 식도의 악성 종양이다. 근접 치료 기술로 식도암을 치료할 경우 방사선량 누적으로 인해 방사선성 폐렴, 방사선성 식도염 또는 식도 급성 출혈 등과 같은 부작용이 현저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부작용은 방사선 치료에서 조사되는 부위 및 방사선량과 관계가 있고, 방사선원의 강도는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여 저감되며, 방사선원에 가까운 정상 조직일수록 흡수 용량이 높고 부작용이 심각하다. 이는 도 1(Hitoshi Ikushima, Radiation therapy: state of the art and the future, The Journal of Medical Investigation Vol. 57 February 20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또한 근접 치료는 수차례에 걸친 치료에서 일관성과 재현성을 유지해야 하는 치료 과정이며, 정확하게 위치를 정하여 매회 치료 과정에서 종양에 일관된 치료 용량을 가해야 한다. 체내 기관은 내부 위치 이동(internal movement)이 일어날 수 있는데(예를 들어 숨을 들이마시면 횡격막 이동으로 인해 흉강이 수축 팽창하며 흉강 내의 장기가 이동함), 정확하게 방사선원을 종양에 상대적으로 고정하지 못할 경우 정상 조직이 비교적 높은 방사선량에 노출되어 방사선 치료가 부정확해진다. 이는 도 2(Hitoshi Ikushima, Radiation therapy: state of the art and the future, The Journal of Medical Investigation Vol. 57 February 20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따라서 임상 측면에서 맞춤화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난제는 환자마다 체강/기관 및 종양 크기가 달라 각 환자의 정상 조직, 종양 및 방사선원 상황에 따라 최적의 치료 용량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현재 임상에서 비위관(nasogastric tube)을 이용한 치료가 다수 있으나, 직경이 비교적 작고 고정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방사선원을 식도 내강에 위치시킬 수 없고, 식도암 근접 치료에서는 높은 방사선량이 도입되어야 하므로 비위관이 식도벽에 무작위로 부착될 때 방사선원과 정상 식도벽 거리가 너무 가까워 과도한 방사선량에 노출되고 복사 핫스팟이 생겨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며 이 때문에 의사들이 사용을 기피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식도암 근접 치료용 카테터는 환자 구강에서 넣어 후두를 거쳐 식도로 진입하기 때문에 환자가 불쾌감을 느끼기 쉽다.
예를 들어, Elekta의 Bonvoisin-Gerard Esophageal Applicator 제품은 전체 구간을 굵게 만든 카테터로 체강을 벌려 방사선원을 굵은 카테터 내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방사선량은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종양이 표면 얕은 지점에 성장할 때 조사된 정상 조직 부위가 비교적 많아 부작용을 유발하기 쉽다. 또한 무차별적으로 전체 구간의 식도를 벌리면 방사선 치료의 용량 계획에도 영향을 주어 가장 이상적인 용량 순응도(dose conformity)를 제공할 수 없으며, 종양이 비교적 크고 식도가 좁은 곳에서는 굵은 카테터의 관벽이 마찰로 인해 종양에 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굵은 카테터는 전체 구간이 두껍고 기복이 없는 관이기 때문에 연동 운동을 하는 매끈한 식도 내에서 미끄러지기 쉬워 고정 효과가 좋지 않다.
또 다른 예로, 중국 특허공개번호 CN202387089U의 카테터는 카테터 몸체, 현상 고리, 2개 이상의 풍선, 풍선 캐비티, 풍선 충진 채널, 풍선 주입구, 인도 와이어(인도선) 채널, 인도 와이어 채널 주입구를 포함한다. 풍선 직경이 동일하며 형상은 긴 원주형이고, 치료 시 먼저 말단 풍선을 충진시킨 후 이를 토대로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풍선을 충진시킨다. 말단 풍선이 확장되면 풍선 카테터 교체 없이 곧바로 풍선 전체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길이가 3cm 이상인 종양을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풍선은 외부에서 추가하는 긴 원주형 풍선이기 때문에, 공기 주입량이 지탱력을 갖출 수 있는 기준치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풍선이 불균일하게 팽창하고 방사선원이 카테터 내에 위치하지 않아 치료 계획의 재현성이 낮아지는 결과를 낳게 된다. 그 외, 상기 카테터는 치료를 보조할 인도선이 더 필요해 조작 상 절차가 추가된다.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 American Brachytherapy Society는 근접 치료용 관재 직경이 적어도 10mm이도록 권장하고 있다. Elekta와 Varian사도 상기와 같이 관경을 넓힌 치료 관재를 개발하였다. 임상에서 위장관외과 의사와 협진이 필요하며, 내시경 보조 하에서 인도선으로 굵은 관재를 경구를 통해 체강으로 삽입해야 한다. 이 방법은 인도선 사용으로 인해 작업 절차가 늘어나며 경구 삽입으로 인해 구토반사나 연하반사가 나타나 카테터 위치가 바뀌어 환자가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진정제나 마취제를 주사해야 하고 환자도 반드시 측면으로 누워야 하며, 종양 영상 자료를 얻고 환자 치료 계획(방사선원 정체 위치와 정체 시간 결정)을 결정한 후 환자에게 임상 준비를 시켜 근접치료를 받도록 할 때, 환자가 측면으로 누운 자세의 기울기가 바뀌면 의사의 치료 계획의 적용 정도가 낮아져 치료가 부정확해지고 조작 상의 불편과 리스크가 커진다.
또한 원위 풍선, 근위 풍선 및 원위 풍선과 근위 풍선 사이에 독립적으로 팽창 가능한 중간 풍선을 갖는 미국 특허공개번호 US20170173362A1의 어플리케이터가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독립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풍선으로, 방사선량이 환자의 종양에 인접한 건강한 조직 영역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부작용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풍선의 불균일한 팽창, 방사선원이 식도 중앙에서 멀어져 복사 핫스팟이 생성되면서 상처 출혈을 야기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여전히 내강 및 팁을 안내해 어플리케이터가 환자 식도에 진입하도록 인도 와이어 등과 같은 보조 기구를 사용하며, 인도선을 적용하는 작업 절차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의료진이 이를 사용하도록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
위장관 질환 등과 같은 전문의의 작업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미국 특허공개번호 US20100185173A1은 유사 유연성을 구비한 카테터를 제안하였으며, 여기에는 의료 풍선 카테터, 2개의 팽창 가능 풍선 및 제거 가능 내부 카테터가 있고, 비전문의도 코와 목을 통해 수축된 의료 풍선 카테터를 환자 식도로 삽입하고 팽창 가능 카테터를 치료 영역에 위치시킨 다음 방사선원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카테터는 불충분한 풍선 공기 주입으로 인해 방사선원이 식도 중심에서 멀어져 복사 핫스팟이 생성되어 상처 출혈을 야기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풍선이 일정한 부피로 팽창되고 식도벽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지탱력을 구비하지 못할 경우, 각 환자의 정상 조직, 종양 및 방사선원 상황에 따라 최적의 치료 용량을 제공할 수 없다.
중국 특허공개번호 CN2345224Y는 식도 내강 치료 카테터를 제안하였으며, 상기 카테터에는 흡인강, 약액 점적강, 2개의 풍선 공기주입강, 2개의 풍선 및 폐쇄되어 속이 찬 뭉툭한 원뿔형 헤드가 있다. 상기 카테터를 비강에서 식도로 삽입한 후, 팽창된 2개의 풍선을 종양 양단에서 차단하여 타액을 흡인강으로 추출한 다음, 약액 점적강으로 화학요법 약물 또는 면역치료 약물을 투입하며, 튜브의 길이는 100mm 내지 150mm로 하여 충분한 약액 거치 공간을 확보하고 부작용을 줄인다. 그러나 상기 카테터는 카테터가 식도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콧대 고정대를 추가로 적용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카테터가 식도벽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지탱력을 갖지 못하거나 근접 치료에서 종양, 정상 조직 및 방사선원에 대해 최적의 치료 용량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확산성 종양을 치료할 때 풍선과 종양 사이의 마찰로 인해 출혈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원추형 헤드는 수술 도중 식도에서 탈락해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다.
현재 카테터에는 상기의 결점이 있기 때문에, 의사의 사용 습관이 바뀌지 않는 상황에서 높은 치료 용량을 제공하여 종양 세포를 죽이고 재발률을 낮추며, 정상 조직을 보호하고 근접 치료 시 복사 핫스팟 생성을 방지하고 부작용을 줄이며, 인도선의 보조가 필요 없고 여러 종양 또는 확산성 종양의 경우 여러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카테터 장치가 식도 내에서 변위되지 않고 의사의 에너지 투입을 줄이고 환자의 불편함을 경감시키는 방법을 설계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막 부재, 및 팁을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는 근위 방향 및 원위 방향을 구비하며 일체로 성형되고, 하나의 관상 구조 및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관상 구조 및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는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의 제1 축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슬리브 막 부재는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 외부 가장자리에 코팅되고, 강화 구조 및/또는 완충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팁은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에 결합되어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복수개의 외부 고리 부재가 상기 슬리브 막 부재 외부 가장자리에 더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외부 고리 부재는 상기 슬리브 막 부재를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에 긴밀하게 고정시켜 복수개의 막 슬리브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막 슬리브 구조는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을 둘러싸는 원통형 또는 장구형 등의 구조이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막 슬리브 구조는 막 두께, 중앙 구간 및 양측 구간을 가지며, 상기 막 두께는 상기 중앙 구간에서 상기 양측 구간을 향해 감소한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 막 부재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유체 유관 구조 수량은 3개 이상이고, 상기 막 슬리브 구조는 3개 이상이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팁과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팁은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에 결합된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 등의 구조이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팁은 폐쇄 구조이고, 상기 팁은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팁은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의 서브 결합 구조에 고정하기 위한 메인 결합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메인 결합 구조 및 상기 서브 결합 구조는 서로 대응하는 클램핑 테넌(clamping tenon), 스냅핏(snap-fit) 또는 회전 결합 등의 구조이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강화 구조는 상기 슬리브 막 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막 슬리브 구조가 각각 축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따라 사방으로 등속도로 균일하게 팽창되도록 만든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강화 구조는 상기 막 슬리브 구조에 분포된 적어도 하나의 띠 모양 또는 복수개의 점 모양 등의 구조이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띠 모양 구조는 대칭, 평행, 교차 및/또는 불연속 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완충 구조는 상기 슬리브 막 부재 외측에 설치된 오목, 돌출 또는 절첩 등의 구조이며, 상기 막 슬리브 구조가 초기 팽창 시 균일하게 압력이 방출되도록 만든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는 상기 근위 방향 상에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유체 유관 구조의 상기 원위 방향에 연결된 상기 막 슬리브 구조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축 팽창시킨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는 상기 근위 방향 상에 복수개의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어 부재는 상기 복수개 유체 유관 구조의 상기 근위 방향 상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유체 유관 구조의 상기 원위 방향에 연결된 상기 막 슬리브 구조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축 팽창시킨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는 각각 독립된 연통 구조를 더 가지며, 상이한 상기 막 슬리브 구조의 위치와 각각 연통하여, 상이한 상기 유체 유관이 각각의 상기 독립된 연통 구조를 통해 유체를 상이한 상기 막 슬리브 구조로 전달하도록 만든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독립된 연통 구조는 파이프 또는 개구 등의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근접 치료 시스템을 더 제안하고, 상기 근접 치료 시스템은 후장전 치료기, 상기 후장전 치료기에 연결되는 본 발명의 상기 카테터 장치, 및 상기 후장전 치료기에서 방출하여 상기 카테터 장치의 상기 관상 구조 내에 도달하는 방사선원을 포함한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종양 영상화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장전 치료기는 상기 종양 영상화 기기에 의거하여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관상 구조의 상기 막 슬리브 구조 위치에 방출시키는 것을 결정한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종양 영상화 기기에는 X레이 영상화, 형광 투시 렌즈, 컴퓨터 단층촬영, 양전자 단층촬영, 단일광자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상에 따르면, 상기 근접 치료 시스템은 식도암 등과 같은 체강내 종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방사선 치료의 용량과 조직 독성 관계도이다.
도 2는 체외 방사선 치료 수행 시 방사선 범위와 변위 편차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서 막 슬리브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서 막 슬리브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서 막 슬리브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 및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 및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B-B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 및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 및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 및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 및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5(c)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D-D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전의 측면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후의 측면도이다.
도 16(c)는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후의 사시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전의 측면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후의 측면도이다.
도 17(c)는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후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서 막 슬리브 구조가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된 것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의 막 슬리브 구조를 종양의 형태에 맞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수축 팽창하여 그 크기를 제어하는 모식도이다.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본문에서 사용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알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는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그 창작 정신을 이해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완성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1)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는 도 3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의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일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도는 도 4를 참조한다.
카테터 장치(1)는 일체로 성형된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를 구비하고,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는 관상 구조(21) 및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22)를 포함한다. 관상 구조(21)는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제1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카테터 장치(1)의 중간에 위치하여 방사선원(25)을 거치하도록 구성된다.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22)는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제1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관상 구조(21)의 둘레에 분포한다(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축방향"은 카테터 장치의 긴 변을 축으로 삼는 방향을 말함).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막 부재(3)는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외부 가장자리를 코팅하고, 복수개의 외부 고리 부재(5)는 슬리브 막 부재(3)의 외부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슬리브 막 부재(3)를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에 긴밀하게 고정하여 복수개의 막 슬리브 구조(32)을 형성한다. 슬리브 막 부재(3)의 내측 또는 외측은 강화 구조(31) 및/또는 완충 구조(35)를 가질 수 있다(도 13 참조).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22)는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에서 길이가 동일하며, 그 원위 방향(11)에 각각 하나의 독립된 연통 구조(24)를, 그 근위 방향(12)에 각각 하나의 독립된 제어 부재(6)를 구비한다. 상이한 제어 부재(6)는 각각 유체(미도시)를 유체 유관 구조(22)로 이송하며, 유체는 원위 방향(11)으로 각 유체 유관 구조(22)의 말단까지 유통될 수 있고, 동시에 유체 유관 구조(22) 중간에 설치된 각 상이한 독립된 연통 구조(24)를 통해 상이한 막 슬리브 구조(32) 내측의 공간을 채워 막 슬리브 구조(32)를 수축 팽창시킴으로써 위치 고정의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이한 독립된 연통 구조(24)가 각각 상이한 막 슬리브 구조(32)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이한 유체 유관 구조(22)는 각각의 독립된 연통 구조(24)를 통해 유체를 상이한 막 슬리브 구조(32)로 이송함으로써, 막 슬리브 구조(32)를 각각 수축 팽창시키고 수축 팽창 정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팁(4)은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원위 방향(11)에 설치되고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와 상호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팁(4)은 메인 결합 구조(41)를 구비하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원위 방향(11)은 서브 결합 구조(23)를 구비하고, 메인 결합 구조(41)와 서브 결합 구조(23)는 팁(4)과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를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팁(4)이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에 단단히 고정되어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팁(4)의 메인 결합 구조(41)와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서브 결합 구조(23)는 상호 대응하는 클램핑 테넌, 스냅핏 또는 회전 결합 등의 구조일 수 있으며 추력, 견인력 또는 각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저항하여 팁이 치료 과정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팁(4)은 인체 내에서 카테터 장치(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방사선을 흡수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6)는 의료용 펌프, 주사기 또는 주사기형 장치 등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6)는 단방향 밸브 또는 양방향 밸브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22)는 단일 제어 요소(미도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퓨터로 제어하는 공기 주입 장치에서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22)에 연결하여 밸브를 통해 독립적으로 각 원위 방향(11)에 연결된 막 슬리브 구조(32)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1)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슬리브 막 부재(3)는 일체로 성형된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외부 가장자리를 코팅하고, 슬리브 막 부재(3)를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외부 가장자리에 고정하고, 각 슬리브 막 부재(3)의 양단에 2개의 외부 고리 부재(5)가 각각 그 외부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각 슬리브 막 부재(3)를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에 각각 긴밀하게 고정하여 복수개의 막 슬리브 구조(32)를 형성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1개의 슬리브 막 부재(3)가 일체로 성형된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외부 가장자리를 코팅하고, 다시 3개의 외부 고리 부재(5)가 슬리브 막 부재(3)를 고정하여 2개의 막 슬리브 구조(32)를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슬리브 막 부재(3) 및/또는 1개의 슬리브 막 부재(3)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수량이 3개 이상인 막 슬리브 구조(32)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와 슬리브 막 부재(3)를 완전히 기밀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미도시)로 외부 고리 부재(5)를 보조하여 슬리브 막 부재(3)를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에 단단히 고정시켜 복수개의 막 슬리브 구조(32)를 순조롭게 수축 팽창시킬 수 있다. 또는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와 슬리브 막 부재(3) 사이를 완전히 기밀시키기 위하여, 외부 고리 부재(5)를 사용하지 않고 곧바로 접착제(미도시)로 슬리브 막 부재(3)를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외부 가장자리에 고정시킴으로써 복수개의 막 슬리브 구조(32)를 순조롭게 수축 팽창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유관 구조(22)는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에서 길이가 각기 다르므로 상이한 유체 유관 구조(22)를 각각 곧바로 상이한 막 슬리브 구조(32)에 연통시킴으로써 막 슬리브 구조(32)가 각각 수축 팽창되어 수축 팽창 정도를 각각 조절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독립된 연통 구조(24)는 파이프 또는 개구 등의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메인 결합 구조(41)와 서브 결합 구조(23)는 핫 마운팅(hot mounting) 등 방식을 통해 가열 가압 성형하여 팁(4)과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팁(4)은 원뿔형 또는 절두체 원뿔형 등과 같은 폐쇄 구조일 수 있으며, 이러한 폐쇄 구조는 속이 차거나 비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다른 충진 방식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다른 상이한 공정을 통해 팁(4)과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체로 성형된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 슬리브 막 부재(3) 및 팁(4)의 재질은 유연하고 구부릴 수 있으며, 재료는 실리콘(silicone), 라텍스(latex), 플라스틱(예를 들어 PVC, PU, PP, PE, PTFE 등) 또는 기타 생체적합성 물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고, 슬리브 막 부재(3)를 고정하여 형성한 막 슬리브 구조(32)는 충진 후 팽창될 수 있다.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2)의 관상 구조(21) 및 유체 유관 구조(22)는 상이한 환부에 따라 상이한 길이와 구경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막 슬리브 구조(32)도 필요에 따라 다른 거리 길이로 설계할 수 있다.
식도암에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카테터 장치(1)의 길이는 600mm 내지 1500mm로 설계할 수 있고,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120mm이고, 카테터 장치(1)의 외경은 1.5mm 내지 10mm로 설계할 수 있으며,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6mm이다.
식도암에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관상 구조(21)의 외경은 2mm 내지 6mm로 설계할 수 있고,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2.5mm이고, 내경은 1mm 내지 5mm로 설계할 수 있고,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1.2mm 내지 2.0mm이며, 방사선원을 지원하는 루멘 캐스(lumen cath, 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면 된다.
식도암에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유체 유관 구조(22)와 관상 구조(21)는 길이가 같다. 유체 유관 구조(22)의 내경은 0.2mm 내지 3mm 사이일 수 있으며,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0.7mm이다. 유체 유관 구조(22) 중심과 관상 구조(21) 중심 사이의 거리는 0.6mm 내지 3mm이며,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1.8mm 내지 1.9mm이다.
식도암에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막 슬리브 구조(32)의 길이는 5mm 내지 100mm일 수 있고,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40mm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mm이고, 선택적으로 30mm 이하의 직경까지 확장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서 막 슬리브 구조(32)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에서 막 슬리브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슬리브 막 부재(3)의 양측은 각각 2개의 외부 고리 부재(5)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되어 다중 루멘 파이프(2)를 둘러싸는 막 슬리브 구조(32)를 형성하며, 여기에서 막 슬리브 구조(32)는 원통형 또는 장구형 등의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막 슬리브 구조(32)의 중앙 구간(33) 및 양측 구간(34)은 각각의 막 두께를 가지며, 중앙 구간(33)의 막 두께는 X1일 수 있고, 양측 구간(34)의 막 두께는 X2일 수 있고, X2<X1이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구간(33)은 상이한 막 두께를 가지며, 상기 막 두께는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데, 즉 중앙 구간(33)의 중앙은 막 두께가 X1이고 양측은 막 두께가 X2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X2=1/10 X1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31)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강화 구조(31)는 슬리브 막 부재(3)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할 수 있고, 외부 고리 부재(5)가 슬리브 막 부재(3)를 막 슬리브 구조(32)로 구획하고 유체(미도시) 충전으로 막 슬리브 구조(32)가 팽창될 때, 강화 구조(31)는 각 막 슬리브 구조(32)가 축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따라 사방을 향해 등속도로 균일하게 팽창하도록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31)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며, 일부 실시예에서, 강화 구조(31)는 슬리브 막 부재(3)의 내측 또는 외측에 균일하게 설치되고, 외부 고리 부재(5)가 슬리브 막 부재(3)를 막 슬리브 구조(32)로 구획하고 막 슬리브 구조(32)가 유체(미도시) 충전으로 팽창될 때, 각 막 슬리브 구조(32) 중앙에 위치한 단일 강화 구조(31)는 카테터 장치(1)의 축심을 기준으로 등속도로 방사 방향을 따라 팽창하고, 중앙 방사선원 카테터를 식도의 중앙에 유지함으로써, 방사선원 카테터가 식도 중앙에 위치하도록 보장하고 나아가 복사 핫스팟 발생을 감소시킨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31)의 일 실시예의 따른 구조도이며, 여기에서 막 슬리브 구조(32)에 분포된 강화 구조(31)은 점 모양, 띠 모양 또는 다른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 모양의 강화 구조(31)는 대칭으로 막 슬리브 구조(32)에 분포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9(a) 내지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 구조(31)는 2개 이상의 띠 모양 구조이고, 막 슬리브 구조(32)의 긴 변 축심을 따라 대칭으로 전체 막 슬리브 구조(32)에 분포하거나, 막 슬리브 구조(32)의 중앙 또는 양측에 분포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 구조(31)는 적어도 하나의 띠 모양 구조일 수 있고, 막 슬리브 구조(32)의 짧은 변 축심을 따라 평행하게 대칭으로 전체 막 슬리브 구조(32)에 분포하거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 구조(31)는 서로 수직이며 교차 대칭적으로 전체 막 슬리브 구조(32)에 분포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11(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이 불연속적인 강화 구조(31)는 대칭으로 전체 막 슬리브 구조(32)에 분포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 구조(31)는 교차하며 대칭으로 전체 막 슬리브 구조(32)에 분포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칭하는 강화 구조(31)는 막 슬리브 구조(32)가 균일하게 팽창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막 슬리브 구조(32)의 외형은 구형, 원통형 또는 다른 형상(미도시)일 수 있다. 팽창된 후의 외형을 한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막 슬리브 구조(32)의 기초 공기 주입량을 한정할 필요도 없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서 강화 구조(31) 및 완충 구조(35)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강화 구조(31)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리브 막 부재(3)에 설치되는 띠 모양의 강화 구조(31)는 직사각형 기둥체 또는 원주체 등의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강화 구조(31)을 참조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띠 모양 또는 점 모양의 강화 구조(31)는 높이가 X3이며, 일부 실시예에서 X3은 0.01mm 내지 2mm로 설계할 수 있고,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0.1mm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완충 구조(35)를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완충 구조(35)는 슬리브 막 부재(3) 외측에 설치된 돌기 구조이며 각 막 슬리브 구조(32) 양측에 위치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완충 구조(35)는 슬리브 막 부재(3) 외측에 설치된 오목 구조(미도시)이며, 각 막 슬리브 구조(32) 양측에 위치한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35)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6(a)은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35)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전의 측면도이며, 일부 실시예에서 완충 구조(35)는 슬리브 막 부재(3) 외측에 설치되며 각 막 슬리브 구조(32) 양측에 위치한다. 충진 및 팽창 전에 완충 구조(35)의 양단은 각각 절첩되어 슬리브 막 부재(3)의 외측 표면에 평평하게 부착된다. 도 16(b) 및 도 16(c)는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35)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후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며, 충진 시 카테터 장치의 축심을 기준으로 막 슬리브 구조(32)의 장력이 완충 구조(35)보다 우선적으로 방출 및 팽창되고, 완충 구조(35)는 절첩되어 슬리브 막 부재(3) 외측 표면의 양단에 평평하게 부착되어 이에 따라 팽창된다.
도 17(a)은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전의 측면도이며, 일부 실시예에서 완충 구조(35)는 슬리브 막 부재(3) 외측에 설치되며 각 막 슬리브 구조(32) 양측에 위치한다. 충진 및 팽창 전에 완충 구조(35)의 일단은 절첩되어 슬리브 막 부재(3)의 외측 표면에 평평하게 부착된다. 도 16(b) 및 도 16(c)는 본 발명에서 완충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 후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며, 충진 시 카테터 장치의 축심을 기준으로 막 슬리브 구조(32)의 장력이 완충 구조(35)보다 우선적으로 방출 및 팽창되고, 완충 구조(35)는 절첩되어 슬리브 막 부재(3) 외측 표면의 일단에 평평하게 부착되어 이에 따라 팽창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유체(미도시) 유입으로 막 슬리브 구조(32)가 팽창될 때, 완충 구조(35)의 돌출, 오목 또는 절첩 등 구조 설계를 통해 막 슬리브 구조(32)의 장력이 완충 구조(35)보다 우선하여 방출 및 팽창하기 때문에, 전체 막 슬리브 구조(32)가 팽창될 때, 카테터 장치의 축심을 기준으로 장력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유지함으로써 막 슬리브 구조(32) 팽창 과정 도중 및 팽창 후 형태의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서 막 슬리브 구조(32)가 각각 팽창된 것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 막 슬리브 구조(32)는 유체 유입 여부 또는 각 유입되는 양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막 슬리브 구조(32)의 수축 팽창 정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구간의 종양 성장 크기가 다른 경우, 환자의 체강 내 종양 성장 상황의 실제 요구에 따라, 체강이 좁은 지점(종양이 비교적 크거나 비교적 돌출된 경우)에 비교적 소량의 유체를 충진시켜 막 슬리브 구조(32)를 팽창시킨다. 종양이 비교적 표면 얕은 지점에서 성장한 경우(식도 내강이 비교적 좁은 경우)에는 비교적 많은 유체를 충진시켜 막 슬리브 구조(32)를 더 팽창시킴으로써, 비교적 적은 방사선량을 이용해 종양을 사멸시켜 부작용을 줄인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테터 장치(1)를 후장전 치료기(103)에 연결한 후, 카테터 장치(1)(일부 구성 요소는 생략)는 체강에서 종양 조직(101)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어느 막 슬리브 구조(32)를 수축 팽창시켜야 하는지와 그 수축 팽창 크기를 결정하여 방사선원(25)을 가해 근접치료를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1)의 막 슬리브 구조(32)는 균일하게 수축 팽창하여 카테터 장치(1)의 축심을 식도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를 위해 치료 계획을 세울 때 방사선원을 식도 중앙에 위치시켜 복사 핫스팟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막 슬리브 구조(32)의 수축 팽창 위치 및 수축 팽창 크기는 종양 영상화 기기(104)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따라 결정되며, 종양 영상화 기기(104)에는 X레이 영상화, 형광 투시 렌즈(fluoroscope), 컴퓨터 단층촬영(CT Scan), 양전자 단층촬영(PET), 단일광자 단층촬영(SPECT), 자기공명영상(MRI) 등이 포함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기술특징을 식도암의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적용 단계이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가능한 적용 방식을 이해하고 본 발명의 특허 출원 범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다른 단계를 치환해 본 발명에 적용하도록 돕는다.
카테터 장치(1)는 비강에서 식도로 삽입한다. 막 슬리브 구조(32)가 수축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카테터 장치(1)를 구강으로 삽입할 필요 없이 비강으로 순조롭게 식도로 삽입한다. 카테터 장치(1)를 식도에 삽입한 후 테이프를 콧구멍 외부에 부착해 고정한다.
루멘 캐스(미도시)를 카테터 장치(1)의 관상 구조(21)에 끝까지 삽입하고 테이프로 루멘 캐스(미도시)와 관상 구조(21)를 단단히 부착한다.
다시 루멘 캐스(미도시) 개구단을 후장전 치료기(103)에 연결하고, 식도 내강에 삽입되는 상대 깊이를 측정할 수 있고 CT 영상으로 현상할 수 있는 모의 방사선원을 넣는다.
환자의 상기 부위 영상의 재구성한 평면 영상(scout view)을 취하여 모의 방사선원의 분포 범위를 관찰하고, 치료 계획 시스템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재구성한 평면 영상과 그 종양 범위를 대조하여, 카테터 장치(1)의 팽창한 막 슬리브 구조(32)에 대응하는 위치와 팽창 정도를 결정한다.
일부 막 슬리브 구조(32)가 팽창된 후, 컴퓨터 단층촬영을 스캔하여 팽창 크기가 적절한지 확인하며, 크기 조정이 필요한 경우 수정 후 다시 컴퓨터 단층촬영을 스캔한다.
컴퓨터 단층영상을 치료 계획 시스템에 전송하고, 막 슬리브 구조(32) 팽창 시의 종양 위치와 종양 범위는 물론 그 주변의 정상 조직(예를 들어 폐, 심장, 골수 등)을 스캔한다.
환자의 각종 종양 크기 형상에 대해 3D 치료 계획을 제작하여(용량 계산) 종양 범위에 충분한 용량이 분포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정상 조직이 흡수하는 용량은 안전 범위 내에 있도록 만든다.
치료를 진행하며 방사선원을 조사한다.
선행 기술의 비위관 근접 치료 기술, 또는 종래 기술(예를 들어, Elekta의 Bonvoisin-Gerard Esophageal Applicator 제품, 미국 특허공개번호 US20170173362A1, 미국 특허공개번호 US20100185173A1, 중국 특허공개번호 CN2345224Y 등)에 개시된 카테터와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카테터 장치(1)는 슬리브 막 부재(3)의 강화 구조(31) 또는 막 두께 설계로 인해, 복수개의 각각 독립된 막 슬리브 구조(32)가 유체 유입 여부와 각 유입 부피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황 하에서, 각각 축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따라 사방을 향해 등속도로 균일하게 팽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카테터 장치(1)의 축심이 식도 내 중간에 위치하고 관상 구조(21)를 도입한 방사선원도 식도 중앙에 위치하여, 선행 기술에서 카테터 축심을 중간에 위치시킬 수 없어 도입한 방사선원이 복사 핫스팟을 유발하는 문제를 개선하였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1)의 막 슬리브 구조(32)는 그 기초 공기 주입량을 한정할 필요가 없으며 환자의 식도 크기에 맞추어 임의 액체 충진량을 통해 식도 내에 충분한 지탱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카테터 장치(1)는 체외 고정대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곧바로 환자의 자세 변화 또는 식도 연동의 영향에 의해 카테터가 식도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1)의 팁(4) 설계는 보조 도구(예를 들어 내시경, 가이드 와이어 등)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곧바로 비강에서 후두를 통해 식도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근접 치료 과정에서 팁이 환자 체내에서 탈락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에서 카테터 장치(1)는 충진 팽창 전의 전체 외경이 10mm 미만이며, 종래 기술에 비해 체강 내 및 체강벽 마찰로 인해 강벽이 손상되거나 출혈이 일어나지 않아 환자의 좁은 체강 내에 삽입할 때의 부드러움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카테터 장치(1)는 충분히 많은 막 슬리브 구조(32)(예를 들어, 8개의 수축 팽창 가능한 막 슬리브 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확산성 종양이라 하더라도 카테터 장치를 삽입한 후에는 어떠한 이동도 필요하지 않아 환자가 마취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료진의 사용 습관을 변경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인도선으로 보조할 필요가 없고 팁이 체내에서 탈락하지 않으며 1회 근접 치료 중 전체 구간의 확산성 종양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카테터와 방사선원을 반복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환자 호흡 또는 이동으로 인해 카테터와 종양 사이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의 에너지를 줄이고 치료 계획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화 구조 및/또는 완충 구조 설계는 장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유지하여 막 슬리브 구조가 팽창 과정 및 팽창 후에 형태가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해 준다. 그 외, 본 발명은 식도암을 치료할 때 경구로 삽입하지 않으므로 환자를 마취할 필요가 없고, 수축 팽창이 가능한 막 슬리브 구조는 일반적으로 카테터에 외부에서 풍선을 추가하는 것과 달리 체강에 삽입할 때 체강벽과 마찰이 일어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강벽이 손상되어 출혈이 일어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더욱이 방사선원이 식도 중앙에 위치하도록 보장하여 복사 핫스팟 생성으로 인한 근접 치료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가져다준다.
1: 카테터 장치
11: 원위 방향
12: 근위 방향
2: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
21: 관상 구조
22: 유체 유관 구조
23: 서브 결합 구조
24: 독립된 연통 구조
25: 방사선원
3: 슬리브 막 부재
31: 강화 구조
32: 막 슬리브 구조
33: 중앙 구간
34: 양측 구간
35: 완충 구조
4: 팁
41: 메인 결합 구조
5: 외부 고리 부재
6: 제어 부재
101: 종양 조직
102: 정상 조직
103: 후장전 치료기
104: 종양 영상화 기기
A-A, B-B, C-C, D-D: 단면도
X1, X2, X3: 막 두께
GTV: 종양 크기
CTV: 분포 범위
ITV: 이동 편차 범위
PTV: 치료 경계 범위

Claims (22)

  1.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막 부재, 및 팁을 포함하되,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는, 근위 방향 및 원위 방향을 구비하며 일체로 성형되고, 여기에서 하나의 관상 구조 및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관상 구조 및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는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의 제1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막 부재는,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 외부 가장자리에 코팅되고, 복수개의 막 슬리브 구조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강화 구조 및/또는 완충 구조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상기 강화 구조는 상기 막 슬리브 구조가 각각 축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따라 사방으로 균일하게 팽창되도록 만들고; 및
    상기 팁은,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에 결합되어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에 단단히 고정되고, 상기 팁은 폐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외부 고리 부재가 상기 슬리브 막 부재 외부 가장자리에 더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외부 고리 부재는 상기 슬리브 막 부재를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에 긴밀하게 고정시켜 상기 복수개의 막 슬리브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 슬리브 구조는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을 둘러싸는 원통형 또는 장구형 등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 슬리브 구조는 막 두께, 중앙 구간 및 양측 구간을 가지며, 상기 막 두께는 상기 중앙 구간에서 상기 양측 구간을 향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막 부재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유체 유관 구조 수량은 3개 이상이고; 상기 막 슬리브 구조는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과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에 결합된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상기 다중 루멘 파이핑 구조의 서브 결합 구조에 고정하기 위한 메인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합 구조 및 상기 서브 결합 구조는 서로 대응하는 클램핑 테넌(clamping tenon), 스냅핏(snap-fit) 또는 회전 결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구조는 상기 슬리브 막 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막 슬리브 구조가 각각 축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따라 사방으로 등속도로 균일하게 팽창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구조는 상기 막 슬리브 구조에 분포된 적어도 하나의 띠 모양 또는 복수개의 점 모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구조는 대칭, 평행, 교차 및/또는 불연속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는 상기 슬리브 막 부재 외측에 설치된 오목, 돌출 또는 절첩 구조이며, 상기 막 슬리브 구조가 초기 팽창 시 균일하게 압력이 방출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는 상기 근위 방향 상에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유체 유관 구조의 상기 원위 방향에 연결된 상기 막 슬리브 구조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축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는 상기 근위 방향 상에 복수개의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어 부재는 상기 복수개 유체 유관 구조의 상기 근위 방향 상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유체 유관 구조의 상기 원위 방향에 연결된 상기 막 슬리브 구조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축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관 구조는 각각 독립된 연통 구조를 더 가지며, 상이한 상기 막 슬리브 구조의 위치와 각각 연통하여, 상이한 상기 유체 유관이 각각의 상기 독립된 연통 구조를 통해 유체를 상이한 상기 막 슬리브 구조로 전달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연통 구조는 파이프 또는 개구 등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9. 근접 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후장전 치료기;
    상기 후장전 치료기에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카테터 장치; 및
    상기 후장전 치료기에서 방출하여 상기 카테터 장치의 상기 관상 구조 내에 도달하는 방사선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치료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종양 영상화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장전 치료기는 상기 종양 영상화 기기에 의거하여 상기 방사선원을 상기 관상 구조의 위치에 방출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치료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영상화 기기에는 X레이 영상화, 형광 투시 렌즈, 컴퓨터 단층촬영, 양전자 단층촬영, 단일광자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중 하나 또는 다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치료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치료 시스템은 식도암 또는 기타 체강내 종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치료 시스템.
KR1020207000592A 2017-12-15 2017-12-15 카테터 장치 및 근접 치료 시스템 KR102461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16407 WO2019113929A1 (zh) 2017-12-15 2017-12-15 一种导管装置及近接治疗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456A KR20200042456A (ko) 2020-04-23
KR102461914B1 true KR102461914B1 (ko) 2022-11-01

Family

ID=6681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92A KR102461914B1 (ko) 2017-12-15 2017-12-15 카테터 장치 및 근접 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39155A1 (ko)
JP (1) JP7021801B2 (ko)
KR (1) KR102461914B1 (ko)
WO (1) WO2019113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5409B (zh) * 2021-01-14 2023-01-17 陕西省肿瘤医院 一种用于食道肿瘤治疗的放射碘粒子防护式胃管
CN113198115B (zh) * 2021-05-19 2023-04-11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饲喂型食管球囊粒子套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3595A1 (en) * 2014-04-02 2015-10-08 Gc Medtech Llc Internal body cavity therapeutic applicators and methods for using them
CN106039551A (zh) * 2016-06-17 2016-10-26 贝克生医股份有限公司 一种导管装置及近接放射治疗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6629A (en) * 1987-06-03 1989-01-10 Joseph Grayzel Stiffened dilation balloon catheter device
US5320605A (en) * 1993-01-22 1994-06-14 Harvinder Sahota Multi-wire multi-balloon catheter
US20030032963A1 (en) * 2001-10-24 2003-02-13 Kyphon Inc. Devices and methods using an expandable body with internal restraint for compressing cancellous bone
US5810767A (en) * 1994-05-11 1998-09-22 Local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urized intraluminal drug delivery
US5833682A (en) * 1996-08-26 1998-11-10 Illumenex Corporation Light delivery system with blood flushing capability
DE19732965A1 (de) * 1997-07-31 1999-02-18 Knoerig Joachim Michael Dr Ballonkatheter
JP2001515773A (ja) * 1997-09-11 2001-09-25 ク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医療放射線治療剤注入装置
US5938582A (en) * 1997-09-26 1999-08-17 Medtronic, Inc. Radiation delivery centering catheter
WO1999040962A1 (en) * 1998-02-17 1999-08-19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adiation centering catheter with blood perfusion capability
CN2345224Y (zh) * 1998-08-26 1999-10-27 仇德惠 食管腔内治疗导管
US6527692B1 (en) * 1999-11-19 2003-03-04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Radiation catheters optimized for stepped delivery technique
US20020120321A1 (en) * 2001-02-26 2002-08-29 Gunderson Richard C. Stent retention mechanism
US7354419B2 (en) * 2004-10-15 2008-04-08 Futuremed Interventional, Inc. Medical balloon having strengthening rods
JP5618828B2 (ja) * 2007-08-29 2014-11-05 アクロシュター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被験者に小線源療法を施す(delivery)方法及びキット
WO2009027394A1 (en) * 2007-08-29 2009-03-05 Acrostak Corp. Method and kit for delivery of brachytherapy to a subject
EP2254645B1 (en) * 2008-03-13 2014-04-1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forming a cutting balloon with connector and dilation element
US20090254113A1 (en) * 2008-04-04 2009-10-08 Medtronic Vascular, Inc. Dilatation balloon with ridges and methods
CN202387089U (zh) * 2011-10-09 2012-08-22 东南大学 一种长度可调控式食管多球囊导管
GB2525005B (en) * 2014-04-09 2016-03-0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Delivery system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3595A1 (en) * 2014-04-02 2015-10-08 Gc Medtech Llc Internal body cavity therapeutic applicators and methods for using them
CN106039551A (zh) * 2016-06-17 2016-10-26 贝克生医股份有限公司 一种导管装置及近接放射治疗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6327A (ja) 2020-08-31
JP7021801B2 (ja) 2022-02-17
US20200139155A1 (en) 2020-05-07
KR20200042456A (ko) 2020-04-23
WO2019113929A1 (zh)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4314B2 (en) Method and kit for delivery of brachytherapy to a subject
US9149653B2 (en) Brachytherapy device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radiation procedures
US201201726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ouble Balloon Breast Brachytherapy Device
US11633576B2 (en) Multi-purpose balloon catheter for intra cavity radiation delivery
US11511087B2 (en) Dual double balloon catheter
KR102461914B1 (ko) 카테터 장치 및 근접 치료 시스템
JP6803402B2 (ja) 導管装置及び近接照射治療システム
US9498644B2 (en) Apparatus for brachytherapy
CN106039551A (zh) 一种导管装置及近接放射治疗系统
JP5618828B2 (ja) 被験者に小線源療法を施す(delivery)方法及びキット
TWI584836B (zh) 一種導管裝置及近接治療系統
TWI678217B (zh) 一種導管裝置及近接治療系統
CN109925592B (zh) 一种导管装置及近接治疗系统
WO2023147188A1 (en) Launcher for introduction of a med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