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672B1 -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 - Google Patents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672B1
KR102461672B1 KR1020210010732A KR20210010732A KR102461672B1 KR 102461672 B1 KR102461672 B1 KR 102461672B1 KR 1020210010732 A KR1020210010732 A KR 1020210010732A KR 20210010732 A KR20210010732 A KR 20210010732A KR 102461672 B1 KR102461672 B1 KR 10246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unit
adhesive
lin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728A (ko
Inventor
김대근
이기봉
Original Assignee
다이텍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텍연구원 filed Critical 다이텍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1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6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역 제품의 소재원단으로 사용 가능한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단위원단과 제2단위원단의 사이에 필터원단을 개재하고 일체로 합포하여 비말 차단 기능을 가지는 방역 제품에 사용되는 소재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단위원단과 상기 제2단위원단 및 상기 필터원단을 각각 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언코일링하여 전방으로 공급하고 합포된 상기 소재원단을 코일링하여 전방에서 회수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제1단위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단위원단의 하면에 접착제로 상기 방역 제품의 내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제1접착라인을 도포하는 제1접착제도포부; 상기 제2단위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단위원단의 상면에 접착제로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복수 개의 평행라인과 대응되는 제2접착라인을 도포하는 제2접착제도포부; 및 상기 필터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단위원단과 상기 제2단위원단을 상기 필터원단과 일체로 접착하여 상기 소재원단으로 합포하는 원단합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Material fabric combination appartus for quarantine products}
본 발명은 방역 제품의 소재원단으로 사용 가능한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 계열의 변종인 SARS-CoV-2에 의해 발병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병인 코로나19 등과 같은 전염성이 매우 강한 범유행전염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코와 입을 가려주는 방역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방역 마스크는 적어도 KF80 이상의 비말 차단 성능을 발휘함에 따라 운동이나 야외활동 중에 숨이 차오르면서 입과 코로 행해지는 호흡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말 차단 성능은 떨어지지만 운동이나 야외활동시 입과 코를 통한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기능성 마스크를 많이 착용하고 있다.
여기서 기능성 마스크는 대부분 안면에 밀착되어 입과 코를 가리는 마스크본체의 양측에 양쪽 귀에 걸기 위한 한 쌍의 귀걸이공이 뚫린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능성 마스크는 소재원단의 재질 특성에 따라 소재원단을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 가능하여 미려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
한편 기능성 마스크는 소재원단이 직물 재질로만 이루어져 있고 비말 차단을 위한 필터가 포함되지 않아 입과 코를 통한 호흡을 용이하게 하지만 비말이 소재원단을 그대로 통과하여 범유행전염병을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소재원단에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진 필터원단을 적용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비말 차단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성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말 차단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에 입구가 개방된 필터수납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터수납구에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진 필터원단을 교체 가능하게 수납 사용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형태에 따라 필터원단을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다루어야 하므로 범유행전염병 감염의 우려가 높고, 필터수납구에 수납된 필터원단이 마스크본체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여러 겹으로 겹치거나 아래로 쳐지면서 비말 차단 면적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착용감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비말 차단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의 사용을 기피하게 되면서 비말 차단 기능이 부재한 일반 기능성 마스크를 여전히 많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능성 마스크 등의 소재원단에 적용하여 방역 제품으로 충분히 사용 가능하도록 비말 차단 기능을 가진 필터원단이 일체로 합포된 소재원단의 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2439호, 2019.07.23.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비밀 차단 기능을 하는 필터원단이 일체로 합포되어 방역 제품으로 충분히 사용 가능한 소재원단을 제공할 수 있는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역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는 제1단위원단과 제2단위원단의 사이에 필터원단을 개재하고 일체로 합포하여 비말 차단 기능을 가지는 방역 제품에 사용되는 소재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단위원단과 상기 제2단위원단 및 상기 필터원단을 각각 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언코일링하여 전방으로 공급하고 합포된 상기 소재원단을 코일링하여 전방에서 회수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제1단위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단위원단의 하면에 접착제로 상기 방역 제품의 내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제1접착라인을 도포하는 제1접착제도포부; 상기 제2단위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단위원단의 상면에 접착제로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복수 개의 평행라인과 대응되는 제2접착라인을 도포하는 제2접착제도포부; 및 상기 필터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단위원단과 상기 제2단위원단을 상기 필터원단과 일체로 접착하여 상기 소재원단으로 합포하는 원단합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위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단위원단의 상면에 상기 제1단위원단과는 다른 색상을 가진 코팅액으로 상기 제1접착라인의 좌측단과 우측단과 후측단 및 전측단 위치와 대응되는 제1라인과 제2라인과 제3라인 및 제4라인을 포함하는 센싱라인을 도포하여 표시하는 센싱라인표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재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센싱라인표시부에 의해 상기 소재원단의 상면에 표시된 상기 센싱라인을 비전 처리를 통해 인식하고 상기 센싱라인의 인식에 따라 상기 센싱라인에 대한 인식 시작 시점인 제1시각정보와 상기 센싱라인에 대한 인식 종료 시점인 제2시각정보를 각각 출력하는 비전처리부 및 상기 소재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비전처리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비전처리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시각정보와 상기 제2시각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여 상기 소재원단을 상기 제1접착라인에 대응되게 재단하는 원단재단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비말 차단 기능을 하는 필터원단을 두 개의 단위원단 사이에 개재하여 일체로 합포함으로써 방역 제품으로 사용 가능한 소재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원단에 방역 제품의 내외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접착라인을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접착제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고 방역 제품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원단의 외면에 접착라인의 선단과 후단과 좌단 및 우단을 각각 나타내는 센싱라인을 단위원단과 다른 색상을 가진 코팅액으로 표시하고 센싱라인을 비전 처리를 통해 인식함으로써 소재원단의 재단할 때 접착라인을 따라 정확하게 재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의 제1도포롤러 외면을 평면 형태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의 제2도포롤러 외면을 평면 형태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의 제3도포롤러 외면을 평면 형태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발명은 방역 마스크 등을 포함하는 방역 제품의 소재원단으로 사용 가능한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는 방역 제품의 본체를 이루는 소재원단이 비발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재원단에 필터원단을 간소한 공정과 저렴한 비용 및 우수한 품질로 일체화시켜 합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소재원단의 외면을 이루는 제1단위원단과, 소재원단의 내면을 이루는 제2단위원단의 사이에 미발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원단에 개재한 후 제1단위원단과 제2단위원단을 필터원단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접착제로 접합하여 제1단위원단과 제2단위원단 및 필터원단을 일체로 합포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원단(F1)과 제2단위원단(F2)의 사이에 필터원단(F3)을 개재한 후 일체로 합포하여 비말 차단 기능을 하는 방역 제품에 사용 가능한 소재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단공급부(100)와 제1접착제도포부(200)와 제2접착제도포부(300)와 센싱라인표시부(400)와 원단합포부(500)와 비전처리부(600) 및 원단재단부(7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원단공급부(100)는 소재원단(F)의 외피과 내피를 각각 이루는 제1단위원단(F1)과 제2단위원단(F2)과 함께 제1단위원단(F1)과 제2단위원단(F2)의 사이에 개재되어 비말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원단(F3)을 릴투릴(reel to reel) 방식으로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단공급부(100)는 제1공급보빈에 코일링된 제1단위원단(F1)을 언코일링하여 전방으로 공급하는 제1공급롤러(110)와, 제2공급보빈에 코일링된 제1공급롤러(1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1공급롤러(110)의 하측에서 제2단위원단(F2)을 언코일링하여 전방으로 공급하는 제2공급롤러(120)와, 제1공급롤러(110)와 제2공급롤러(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공급롤러(110)와 제2공급롤러(120)의 사이에서 제3공급보빈에 코일링된 필터원단(F3)을 언코일링하여 전방으로 공급하는 제3공급롤러(130)와, 제1공급롤러(110)와 제2공급롤러(120) 및 제3공급롤러(130)의 전방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제1공급롤러(110)와 제2공급롤러(120) 및 제3공급롤러(130)의 전방에서 제1단위원단(F1)과 필터원단(F3) 및 제2단위원단(F2)이 차례대로 합포된 소재원단(F)을 회수보빈에 코일링하여 회수하는 회수롤러(14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공급롤러(110)는 제2공급롤러(120)와 제3공급롤러(1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공급롤러(120)는 제3공급롤러(130)의 하측에 배치되며, 회수롤러(140)는 제1공급롤러(110)와 제2공급롤러(120) 및 제3공급롤러(130)의 전방에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공급롤러(110)와 제2공급롤러(120)와 제3공급롤러(130) 및 회수롤러(140)는 제1단위원단(F1)과 제2단위원단(F2)과 필터원단(F3)을 원활하게 공급하고 소재원단(F)을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서로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공급롤러(110)와 제2공급롤러(120)와 제3공급롤러(130)의 전방에는 제1단위원단(F1)과 제2단위원단(F2)과 필터원단(F3)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텐션롤러(150)와 제2텐션롤러(160)와 제3텐션롤러(17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접착제도포부(200)는 제1단위원단(F1)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제1단위원단(F1)의 하면에 제1접착제(B1)로 방역 제품의 내외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제1접착라인(L1)을 도포할 수 있다.
즉, 제1접착제도포부(200)는 제1단위원단(F1)과 필터원단(F3)을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제1단위원단(F1)의 하면에 제1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접착라인(L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접착제도포부(200)는 제1접착제가 내부에 담기고 상부 일측에 제1접착제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211)가 형성되는 제1수조(210)와, 외면 상측이 제1단위원단(F1)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외면 하측이 제1수조(210)의 제1배출구(211)에 삽입되며 외면에 제1접착제가 담지되는 제1접착제담지홈(221)이 제1접착라인(L1)과 대응되는 패턴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도포롤러(220)와, 제1도포롤러(2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도포롤러(220)의 제1접착제담지홈(221)에서 넘치는 제1접착제를 긁어내는 제1블레이드(2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도포롤러(220)의 제1접착제담지홈(221)이 방역 제품(M)의 내외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것은 제1접착제의 도포 면적을 줄여 제1접착제의 소비량을 최소화하면서 방역 제품(M)의 테두리를 견고하게 접착시켜 방역 제품(M)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단위원단(F1)은 제1공급롤러(110)에 의해 전방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1도포롤러(220)의 제1접착제담지홈(221)에 담긴 제1접착제가 일정간격으로 반복해서 도포되면서 하면에 제1접착라인(L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접착제도포부(300)는 제2단위원단(F2)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제2단위원단(F2)의 상면에 제2접착제(B2)로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복수 개의 평행라인과 대응되는 제2접착라인(L2)을 도포할 수 있다.
즉, 제2접착제도포부(300)는 제2단위원단(F2)과 필터원단(F3)을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제2단위원단(F2)의 상면에 제2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접착라인(L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접착제도포부(300)는 제2접착제가 내부에 담기고 하부 일측에 제2접착제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211)가 형성되는 제2수조(210)와, 외면 하측이 제2단위원단(F2)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외면 상측이 제2수조(210)의 제2배출구(211)에 삽입되며 외면에 제2접착제가 담지되는 제2접착제담지홈(221)이 제2접착라인(L2)과 대응되는 패턴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도포롤러(220)와, 제2도포롤러(2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2도포롤러(220)의 제2접착제담지홈(221)에서 넘치는 제2접착제를 긁어내는 제2블레이드(2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도포롤러(220)의 제2접착제담지홈(221)이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복수 개의 평행라인과 대응되게 형성된 것은 제2접착제의 도포 면적을 줄여 제2접착제의 소비량을 최소화하면서 방역 제품의 전면을 균일하게 접착시켜 방역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2단위원단(F2)은 제2공급롤러(120)에 의해 전방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2도포롤러(220)의 제2접착제담지홈(221)에 담긴 제2접착제가 연속적으로 도포되면서 상면에 제2접착라인(L2)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센싱라인표시부(400)는 제1단위원단(F1)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제1단위원단(F1)의 상면에 제1단위원단(F1)과는 다른 색상을 가진 코팅액(P)으로 센싱라인(L3)을 도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센싱라인표시부(400)는 소재원단(F)을 재단할 때 제1단위원단(F1)의 하면에 도포된 방역 제품의 내외측 테두리 형성과 대응되는 제1접착라인(L1)을 따라 정확하게 재단할 수 있도록 제1단위원단(F1)의 상면에 센싱라인(L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라인표시부(400)는 코팅액이 내부에 담기고 하부 일측에 코팅액이 배출되는 제3배출구(411)가 형성되는 제3수조(410)와, 외면 하측이 제1단위원단(F1)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외면 상측이 제3수조(410)의 제3배출구(411)에 삽입되며 외면에 코팅액이 담지되는 코팅액담지홈(421)이 제1접착라인(L1)의 좌측단과 우측단과 후측단 및 전측단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제1접착라인(L1)의 좌측단과 우측단과 후측단 및 전측단 위치와 각각 대응되는 제1라인(S1)과 제2라인(S2)과 제3라인(S3) 및 제4라인(S4)을 포함하는 센싱라인(L3)과 대응되는 패턴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도포롤러(420)와, 제3도포롤러(4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3도포롤러(420)의 코팅액담지홈(421)에서 넘치게 담긴 코팅액을 긁어내는 제3블레이드(4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라인(L3)에 제1라인(S1)과 제2라인(S2)과 제3라인(S3) 및 제4라인(S4)이 포함된 것은 소재원단(F)을 재단할 때 방역 제품의 내외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제1접착라인(L1)의 좌측단과 우측단과 후측단 및 전측단 위치를 비전 처리를 통해 정확하게 센싱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단위원단(F1)은 제1공급롤러(110)에 의해 전방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3도포롤러(420)의 코팅액담지홈(421)에 담긴 코팅액이 일정간격으로 도포되면서 하면에 제1라인(S1)과 제2라인(S2)과 제3라인(S3) 및 제4라인(S4)을 포함한 센싱라인(L3)이 일정간격으로 반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단합포부(500)는 필터원단(F3)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필터원단(F3)을 사이에 두고 제1단위원단(F1)과 제2단위원단(F2)을 필터원단(F3)과 일체로 접착하여 소재원단(F)으로 합포할 수 있다.
즉, 원단합포부(500)는 제1단위원단(F1)의 하면에 제1접착라인(L1)을 따라 도포된 제1접착제와, 제2단위원단(F2)의 상면에 제2접착라인(L2)을 따라 도포된 제2잡착제를 이용하여 제1단위원단(F1)과 필터원단(F3) 및 제2단위원단(F2)을 상하로 적층하고 가열하며 압착하여 소재원단(F)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단합포부(500)는 필터원단(F3)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제1단위원단(F1)과 필터원단(F3) 및 제2단위원단(F2)을 상하 이격공간으로 통과되도록 안내하면서 제1단위원단(F1)과 필터원단(F3) 및 제2단위원단(F2)을 상하로 적층시키는 한 쌍의 안내적층롤러(510)와, 안내적층롤러(510)의 전방에 구비되고 안내적층롤러(510)를 통과하면서 상하로 적층된 제1단위원단(F1)과 필터원단(F3) 및 제2단위원단(F2)을 상하 이격공간으로 통과시키면서 가열 압착하여 제1접착제와 제2접착제를 매개로 제1단위원단(F1)과 필터원단(F3) 및 제2단위원단(F2)을 일체로 합포하여 소재원단(F)으로 제조하는 한 쌍의 가열압착롤러(52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단위원단(F1)과 필터원단(F3) 및 제2단위원단(F2)은 안내적층롤러(510)와 가열압착롤러(520)를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상하로 적층되고 가열 압착되어 제1접착제와 제2접착제에 의해 견고하게 합포됨으로써 비말 차단 기능을 가진 방역 제품의 소재원단(F)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전처리부(600)는 소재원단(F)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센싱라인표시부(500)에 의해 소재원단(F)의 제2단위원단(F2)에 표시된 센싱라인(L3)을 비전 처리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즉, 비전처리부(600)는 원단재단부(700)가 소재원단(F)을 제1접착라인(L1)을 따라 정확하게 재단할 수 있도록 소재원단(F)이 원단공급부(100)에 의해 전방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그 제2단위원단(F2)에 표시된 센싱라인(L3)을 비전 처리를 통해 인식하고 센싱라인(L3)을 인식한 시점인 제1시각정보와 함께 센싱라인(L3)을 인식하지 못한 시점인 제2시각정보를 원단재단부(7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전처리부(600)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소재원단(F)의 상면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원단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와, 영상획득부에서 획득한 원단영상을 비전 처리하여 센싱라인(L3)을 인식하는 영상인식부와, 영상인식부에서 센싱라인(L3)을 인식함에 따라 센싱라인(L3)의 인식 시작 지점인 제1시각정보와 함께 센싱라인(L3)의 인식 종류 지점인 제2시각정보를 원단재단부(700)로 출력하는 시각정보출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인식부는 센싱라인(L3)을 제1단위원단(F1)과 코팅액 간의 색상값이나 명도값의 차이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각정보출력부는 소재원단(F)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센싱라인(L3)의 제4라인(S4)을 인식한 시점인 제1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센싱라인(L3)의 제3라인(S3)을 인식한 시점인 제2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원단재단부(700)는 비전처리부(600)에서 제공되는 제1시각정보와 제2시각정보에 기초하여 원단공급부(100)와 연동하면서 제1접착라인(L1)과 대응되는 재단칼날이 구비된 재단금형으로 재단 작동을 수행함에 따라 소재원단(F)을 방역 제품의 형태에 대응되게 재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단재단부(700)는 비전처리부(600)로부터 입력받은 제1시각정보와 제2시각정보와 함께 소재원단(F)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원단공급부(100)를 통해 소재원단(F)을 반복적으로 이동 또는 정지시켜가면서 소재원단(F)을 제1접착라인(L1)을 따라 재단할 수 있다.
즉, 원단재단부(700)는 소재원단(F)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지연시간을 제1시각정보에 따른 제1시각과 제2시각정보에 따른 제2시각에 각각 더한 후 제1시각과 제2시각의 사이 중간 시점인 제3시각에 센싱라인(L3)의 전후 중심이 재단금형의 중심과 일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시각과 제2시각의 사이 중간 시점에 이동이 중지된 소재원단(F)을 재단금형으로 재단함으로써 소재원단(F)을 제1접착라인(L1)을 따라 정확하게 재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원단공급부
110: 제1공급롤러
120: 제2공급롤러
130: 제3공급롤러
140: 회수롤러
150: 제1텐션롤러
160: 제2텐션롤러
170: 제3텐션롤러
200: 제1접착제도포부
210: 제1수조
212: 제1배출구
220: 제1도포롤러
221: 제1접착제담지홈
230: 제1블레이드
300: 제2접착제도포부
310: 제2수조
312: 제2배출구
320: 제2도포롤러
321: 제2접착제담지홈
330: 제2블레이드
400: 센싱라인표시부
410: 제3수조
411: 제3배출구
420: 제3도포롤러
421: 코팅액담지홈
430: 제3블레이드
500: 원단합포부
510: 안내적층롤러
520: 가열압착롤러
600: 비전처리부
700: 원단재단부
F1: 제1단위원단
F2: 제2단위원단
F3: 필터원단
F: 소재원단
B1: 제1접착제
B2: 제2접착제
P: 코팅액

Claims (3)

  1. 제1단위원단과 제2단위원단의 사이에 필터원단을 개재하고 일체로 합포하여 비말 차단 기능을 가지는 방역 제품에 사용되는 소재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단위원단과 상기 제2단위원단 및 상기 필터원단을 각각 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언코일링하여 전방으로 공급하고 합포된 상기 소재원단을 코일링하여 전방에서 회수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제1단위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단위원단의 하면에 접착제로 상기 방역 제품의 내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제1접착라인을 도포하는 제1접착제도포부;
    상기 제2단위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단위원단의 상면에 접착제로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복수 개의 평행라인과 대응되는 제2접착라인을 도포하는 제2접착제도포부;
    상기 필터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단위원단과 상기 제2단위원단을 상기 필터원단과 일체로 접착하여 상기 소재원단으로 합포하는 원단합포부; 및
    상기 제1단위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단위원단의 상면에 상기 제1단위원단과는 다른 색상을 가진 코팅액으로 상기 제1접착라인의 좌측단과 우측단과 후측단 및 전측단 위치와 대응되는 제1라인과 제2라인과 제3라인 및 제4라인을 포함하는 센싱라인을 도포하여 표시하는 센싱라인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센싱라인표시부에 의해 상기 소재원단의 상면에 표시된 상기 센싱라인을 비전 처리를 통해 인식하고 상기 센싱라인의 인식에 따라 상기 센싱라인에 대한 인식 시작 시점인 제1시각정보와 상기 센싱라인에 대한 인식 종료 시점인 제2시각정보를 각각 출력하는 비전처리부; 및
    상기 소재원단의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비전처리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비전처리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시각정보와 상기 제2시각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여 상기 소재원단을 상기 제1접착라인에 대응되게 재단하는 원단재단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
KR1020210010732A 2021-01-26 2021-01-26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 KR102461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732A KR102461672B1 (ko) 2021-01-26 2021-01-26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732A KR102461672B1 (ko) 2021-01-26 2021-01-26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28A KR20220107728A (ko) 2022-08-02
KR102461672B1 true KR102461672B1 (ko) 2022-11-01

Family

ID=8284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732A KR102461672B1 (ko) 2021-01-26 2021-01-26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6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27B1 (ko) 2018-03-02 2019-10-04 김한주 주름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439A (ko) 2000-06-26 2002-01-05 배길훈 자동차 열교환기용 헤드어셈블리
KR100419240B1 (ko) * 2001-12-29 2004-02-21 주식회사 일신텍스타일 액상(液狀)접착제를 이용한 원단 합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27B1 (ko) 2018-03-02 2019-10-04 김한주 주름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28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114B1 (ko) 마스크 제조방법
EP33618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utting and placing nose wires in a facemask manufacturing process
AU2015417918B2 (en) Facemasks with material layers for enhanced bonding process
CN102028316B (zh) 平面口罩的制造方法及其制品
EP211004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ree dimensional face mask
EP33623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splicing nose wire in a facemask manufacturing process
US20060266364A1 (en) Fluid barrier face mask
US20100154806A1 (en) Expandable face mask with reinforcing netting
US20080035153A1 (en) Facemask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60021192A (ko) 마스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20110131854A1 (en) Sheet of wristbands
KR101864148B1 (ko) 롤 형태의 일회용 위생장갑
EP33618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cing pre-cut nose wires in a facemask manufacturing process
TWI544882B (zh) Zipper chain bel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220125133A1 (en) Three-dimensional mask with an expression window, and a manufacturing method and production equipment thereof
KR102461672B1 (ko) 방역 제품용 소재원단 합포 장치
KR101343204B1 (ko) 손으로 자르는 망사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212345448U (zh) 一种口罩
CN112293822A (zh) 具有表情窗口之立体口罩
JP6822697B2 (ja) 手袋及び該手袋の製造方法
JP3782813B2 (ja) 化粧用パッティング材
JP7477429B2 (ja) マスクの製造装置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KR102430214B1 (ko) Tpu를 포함하는 일회용 위생 장갑
KR102574544B1 (ko)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필터프레임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CN207167897U (zh) 通用型一次性帽用内衬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