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602B1 - 주방용 쉴드 - Google Patents

주방용 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602B1
KR102461602B1 KR1020210119991A KR20210119991A KR102461602B1 KR 102461602 B1 KR102461602 B1 KR 102461602B1 KR 1020210119991 A KR1020210119991 A KR 1020210119991A KR 20210119991 A KR20210119991 A KR 20210119991A KR 102461602 B1 KR102461602 B1 KR 10246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transparent plate
elastic band
kitche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리
Original Assignee
(주)미리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리클 filed Critical (주)미리클
Priority to KR102021011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602B1/ko
Priority to PCT/KR2022/012911 priority patent/WO2023038354A1/ko
Priority to JP2024510509A priority patent/JP2024530264A/ja
Priority to EP22867623.5A priority patent/EP440077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구 주위에 설치되는 주방용 쉴드로서, 제1 쉴드와, 제2 쉴드 및 상기 제1 쉴드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쉴드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쉴드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쉴드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쉴드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쉴드의 타측 단부가 닿도록 상기 제1 쉴드와 상기 제2 쉴드를 고정하고, 상기 높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탄성밴드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쉴드와 상기 제2 쉴드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주방용 쉴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쉴드{Kitchen shield}
본 발명은 주방용 쉴드에 관한 것으로, 조리 시 비산되는 기름이나 음식물 등이물질을 다양한 방향에서 차단하고,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설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주방용 쉴드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 쉴드는 조리 기구 주변에 설치되어, 조리 시, 비산되는 기름이나 음식물 등이 주방의 벽이나 조리 기구의 주변 또는 사람에게 튀지 않도록 물리적으로 조리 공간을 둘러싸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레인지나 인덕션과 같은 조리기구는 주방 벽에 인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조리 시, 기름이나 조리물이 튀어, 주방 벽에 묻게 된다.
가스 레인지의 경우, 가스 레인지의 후방에 가드가 설치되어, 어느 정도 기름이나 조리물이 주방 벽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가드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기름이나 조리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인덕션의 경우, 가스 레인지와 같은 가드 조차 없기 때문에, 기름이나 조리물이 주방 벽으로 바로 튈 수 있다.
주방용 쉴드는 조리 기구나 조리대와 별물로서, 조리 기구와 주방 벽 사이에 위치하여, 이처럼 기름이나 조리물이 주방의 벽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리시, 튀는 기름이나 조리물은 주방용 쉴드에 묻게 된다. 사용자는 기름이나 조리물이 묻은 주방용 쉴드만을 세척하면 되기 때문에 조리 기구의 주변을 깨끗이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주방용 쉴드는 판넬로 이루어져, 조리기구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판넬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판넬 뒤의 시인성을 확보하거나 조리 과정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판넬은 난연성, 내화성 재료로 이루어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판넬은 사각형의 판상부재로서, 조리 기구 주변의 조리대에 세워진 형태로 배치된다.
다만, 이렇게 주방용 쉴드가 조리 기구와 주방 벽 사이에 배치된다 하더라도, 조리 기구 주변으로 기름이나 조리물이 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름이나 조리물이 주방 벽과 방향이 상이한 조리 기구의 주변의 조리대 위로 튀거나, 인접한 조리 도구나 주방 장치에 튈 수 있다. 또는 인덕션과 같은 조리기구가 설치된 아일랜드형 식탁의 경우, 식탁 주위의 다른 사용자에게 기름이나 조리물이 튈 수 있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최근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구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출시되고 있는데, 단순히 평평한 판상 형태의 주방용 쉴드 경우, 다양한 조리기구의 형태에 대응하여 조리기구를 가리기 어렵고, 설치 공간이 크게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리기구의 여러 방향에서, 기름이나 조리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형태가 가변적이어서 보다 다양한 형태로 배치 가능한 주방용 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기구 주위에 설치되는 주방용 쉴드로서, 제1 쉴드와, 제2 쉴드 및 상기 제1 쉴드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쉴드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쉴드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쉴드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쉴드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쉴드의 타측 단부가 닿도록 상기 제1 쉴드와 상기 제2 쉴드를 고정하고, 상기 높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탄성밴드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쉴드와 상기 제2 쉴드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주방용 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는,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는 제1 경첩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쉴드는, 제2 투명판과 상기 제2 투명판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는 제2 경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경첩의 내면의 일부와 상기 제1 투명판의 일측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경첩의 내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투명판의 타측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는 제1 투명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쉴드는 제2 투명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투명판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투명판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투명판은 제1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투명판은 상기 제1 측면과 접촉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은 각각 곡면이며, 상기 제1 측면은 제1 세레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제2 세레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레이션과 상기 제2 세레이션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1 투명판은 상기 제1 홀과 연통되어 상기 탄성밴드의 일측을 상기 제1 홀로 안내하는 제1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투명판은 상기 제2 홀과 연통되어 상기 탄성밴드의 타측을 상기 제2 홀로 안내하는 제2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홀까지 곡선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2 홀까지 곡선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의 입구는 상기 제1 투명판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롯의 입구는 상기 제2 투명판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홀을 향한 상기 탄성밴드의 삽입방향과 상기 제2 홀을 향한 상기 탄성밴드의 삽입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판은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투명판은 상기 제2 홀과 연통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착부는 상기 제1 개구에 노출된 상기 탄성밴드의 일부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흡착부는 상기 제2 개구에 노출된 상기 탄성밴드의 일부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착부가 상기 제1 투명판에 흡착되는 위치 또는 상기 제2 흡착부가 상기 제2 투명판에 흡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탄성밴드의 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복수 개의 쉴드를 탄성밴드를 통해 연결하고, 각각의 쉴드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조리기구의 여러 방향에서, 기름이나 조리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제1 쉴드와 제2 쉴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축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구, 다양한 형태의 주방 조건에 대응하여,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탄성밴드로 경첩을 구성하여, 조립 또는 해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탄성밴드로 경첩을 구성하여, 제1 쉴드와 제2 쉴드가 완전히 포개진 상태로 접힐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부피를 크게 줄여 배송이나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제1 쉴드와 제2 쉴드의 접촉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접촉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제1 쉴드와 제2 쉴드의 결합성을 높이고, 제1 쉴드와 제2 쉴드가 이루는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제1 쉴드와 제2 쉴드에 각각 탄성밴드가 걸리는 홀과 슬롯을 포함하고 각각의 슬롯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탄성밴드의 조립성을 높이고, 제1 쉴드와 제2 쉴드의 결합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탄성밴드와 연결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흡착부의 흡착 위치를 변경하여, 제1 쉴드와 제2 쉴드의 위치 또는 탄성밴드의 탄성의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밴드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제1 쉴드와 제2 쉴드의 투명판은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어, 투명성을 확보하면서도, 강도를 높이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제1 쉴드와 제2 쉴드의 투명판은 예를 들어, 옥수수 유래 성분을 중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어, 주방 환경에 양호하게, 열기가 가해지면, 친환경 물질이 발생되는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제1 쉴드와 제2 쉴드의 투명판에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코팅층은 미세먼지, 오염물질을 흡수하거나,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거나, 조리기구의 열효율을 높이거나 내연성, 내화성을 높이는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구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주방용 쉴드의 분해도,
도 4, 도 5 및 도 6은 도 3 에서 도시한 제1 쉴드와 제2 쉴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2는 주방용 쉴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쉴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를 포함하는 주방용 쉴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3에서 도시한 주방용 쉴드에서, 제1 쉴드와 제2 쉴드의 다양한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쉴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주방용 쉴드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주방용 쉴드의 두께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주방용 쉴드의 폭방향을 나타내고, z축은 주방용 쉴드의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쉴드는,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와, 탄성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는 주방용 쉴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쉴드 중 하나로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쉴드들로 정의된다. 이러한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는 탄성밴드(300)로 묶이며, 높이방향(z)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 탄성밴드(300)는 폐곡선을 이루는 탄성밴드(300)로서,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이러한 주방용 쉴드(10)는 조리기구(1)의 주위에 배치된다.
제1 쉴드(100)는 제1 투명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투명판(110)은 두께보다 폭이 넓은 판상부재로서, 예를 들어,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쉴드(200)는 제2 투명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투명판(210)도 두께보다 폭이 넓은 판상부재로서, 예를 들어,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두께가 얇기 때문에 설치 공간에 제약이 크지 않고,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제2 쉴드(200)는 제1 쉴드(100)와 크기가 모양이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에 따라 제1 쉴드(100)와 크기와 모양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판(110)의 두께와 제2 투명판(210)의 두께도 상이할 수 있다.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은 각각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져 투명성을 확보하면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주방 환경에 대응하여,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은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배제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은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은 미세먼지, 오염물질을 흡수하거나,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거나, 조리기구의 열효율을 높이거나 내연성, 내화성을 높이는 등의 기능을 갖는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은 각각 금속알콕사이드(alkoxide)와 실란 커플링제의 혼합물에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와 단량체 및 용매를 첨가하여 생성된 혼합용액에 광개시제를 교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은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복합졸에 실란 커플링제, 금속알콕사이드(alkoxide) 및 용매를 혼합한 후 질소분위기에서 진공상태인 글로브 박스를 이용하여 교반한 혼합물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은 주방 환경에 대응하여,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은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에 옥수수 유래 성분을 중합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쉴드는, 제1 경첩(120)과 제2 경첩(220)을 통해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경첩(120)은 제1 투명판(110)과 사이에서 탄성밴드(300)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 홀(H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경첩(220)은 제2 투명판(210)과 사이에서 탄성밴드(300)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 홀(H2)을 형성한다.
제1 경첩(120)은 제1 투명판(110)의 일측 단부에 장착된다. 제1 경첩(120)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내측에 제1 투명판(11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경첩(12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경첩(120)은 제1 투명판(110)의 일측 단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1 경첩(120)은 제1 투명판(110)의 일측 단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경첩(220)은 제2 투명판(210)의 타측 단부에 장착된다. 제2 경첩(220)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내측에 제2 투명판(210)의 타측 단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 경첩(22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2 경첩(220)은 제2 투명판(210)의 타측 단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 경첩(220)은 제2 투명판(210)의 타측 단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H1)은 제1 경첩(120)의 내벽과 제1 투명판(110)의 일측 단부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며, 높이방향(z)을 따라 배치된다. 제2 홀(H2)은 제2 경첩(220)의 내벽과 제2 투명판(210)의 타측 단부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며, 높이방향(z)을 따라 배치된다.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밴드(300)의 일측은 제1 홀(H1)에 위치하고, 탄성밴드(300)의 타측은 제2 홀(H2)에 위치한다.
도 7 내지 도 12는 주방용 쉴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경첩(120)과 제2 경첩(220)은 개방면이 서로 반대측을 향하도록,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탄성밴드(300)를 늘려, 제1 경첩(120)과 제2 경첩(220)의 맞닿은 부분에 탄성밴드(300)를 장착하면, 탄성밴드(300)가 제1 경첩(120)과 제2 경첩(220)을 조여 연결한다. 탄성밴드(300)는 신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 경첩(120)과 제2 경첩(220)이 맞닿은 부분이 축중심이 되어, 탄성밴드(300)의 탄성변형에 따라,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구, 다양한 형태의 주방 조건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투명판(110)과 제2 투명판(210)에는 각각 제1 홈(G1)과 제2 홈(G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G1)은 제1 투명판(110)의 일측단부 중 제1 경첩(120)이 부착되는 영역에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홈(G2)은 제2 투명판(110)의 타측단부 중 제2 경첩(220)이 장착되는 영역에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홈(G1)과 제2 홈(G2)은 탄성밴드(300)의 설치공간과 밴딩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면, 여러 개의 쉴드를 조합하여, 조리기구 주변의 여러 방향에서, 기름이나 조리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면, 조리대나 식탁에 세우기 편한 이점이 있다.
여러 개의 쉴드들을 조합하여, 쉴드들이 조리 기구를 전체적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주방용 쉴드는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완전히 포개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탄성밴드(300)가 회전축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완전히 포개지기 용이하다. 여러 개의 쉴드를 완전히 포갠 상태에서 조리기구(1) 주번에 세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탄성밴드(300)를 늘려, 탄성밴드(300)를 제1 경첩(120)과 제2 경첩(220)에서 분리하면,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쉽게 분리된다. 때문에.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의 조립 뿐 아니라 해체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탄성밴드(300)는 제1 경첩(120)의 개수 및 제2 경첩(220)의 개수와 대응하여 여러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
도 13을 참조하면, 경첩이 배제되고, 탄성밴드(300)가 삽입되는 제1 홀(H3)이 제1 투명판(13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홀(H4)이 제2 투명판(2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H3)은 제1 투명판(130)의 일측 단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H4)은 제2 투명판(230)의 타측 단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투명판(130)은 탄성밴드(300)를 제1 홀(H3)에 삽입하기 위한 제1 슬롯(ST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롯(ST1)은 그 입구가 제1 투명판(130)의 후면(R1)에 배치되고 제1 홀(H3)과 연결되어, 탄성밴드(300)의 일측을 제1 홀(H3)로 안내한다. 이러한 제1 슬롯(ST1)은 높이방향(z)을 따라 제1 투명판(13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투명판(230)은 탄성밴드(300)를 제2 홀(H4)에 삽입하기 위한 제2 슬롯(ST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롯(ST2)은 그 입구가 제2 투명판(230)의 전면(F2)에 배치되고 제2 홀(H4)과 연결되어, 탄성밴드(300)의 타측을 제2 홀(H4)로 안내한다. 이러한 제2 슬롯(ST2)은 높이방향(z)을 따라 제2 투명판(23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명판(130)은 일측 단부에 곡면 형태의 제1 측면(S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투명판(230)은 타측 단부에 곡면 형태의 제2 측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S1)과 제2 측면(S2)은, 마주보고 배치되어, 탄성밴드(300)에 의해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결합될 때, 서로 접촉한다.
제1 투명판(130)은 제1 세레이션(serration)(S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레이션(SR1)은 제1 측면(S1)을 따라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세레이션(SR1)은 높이방향(z)을 따라 제1 투명판(13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투명판(230)은 제2 세레이션(serration)(S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레이션(SR2)은 제2 측면(S2)을 따라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세레이션(SR2)은 높이방향(z)을 따라 제2 투명판(23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밴드(300)의 일측이 제1 슬롯(ST1)을 거쳐 제1 홀(H3)에 삽입되고, 탄성밴드(300)의 타측이 제2 슬롯(ST2)을 거쳐 제2 홀(H4)에 삽입되면, 탄성밴드(300)에 의해 제1 투명판(130)에 제2 투명판(230)이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슬롯(ST1)은 제1 홀(H3)까지 곡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롯(ST1)은 제1 홀(H3)에 인접하는 제1 걸림턱(T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턱(T1)은 제1 슬롯(ST1)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제1 홀(H3)에 삽입된 탄성밴드(300)가 제1 홀(H3)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제2 슬롯(ST2)도 제2 홀(H4)까지 곡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슬롯(ST2)은 제2 홀(H4)에 인접하는 제2 걸림턱(T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턱(T2)은 제2 슬롯(ST2)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제2 홀(H4)에 삽입된 탄성밴드(300)가 제2 홀(H4)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제1 투명판(130)의 제1 측면(S1)과 제2 투명판(230)의 제2 측면(S2)이 접촉한 상태에서, 제1 슬롯(ST1)의 입구방향과 제2 슬롯(ST2)의 입구방향이 반대이고, 두께방향(x)으로 제1 홀(H3)과 제2 홀(H4)의 위치도 상이하다. 따라서, 탄성밴드(300)는 제1 투명판(130)의 일측 단부와 제2 투명판(230)의 타측 단부를 사선으로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회전할 때, 제1 투명판(130)과 제2 투명판(230)의 접촉성과 결합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이처럼, 탄성밴드(300)에 의해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결합되면, 곡면 형태의 제1 측면(S1)과 제2 측면(S2)이 접촉하면서, 높이방향(z)을 따라 제1 측면(S1)과 제2 측면(S2)이 맞닿은 부분이 축중심이 되어, 탄성밴드(300)의 탄성변형에 따라, 제1 투명판(130)과 제2 투명판(230)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구, 다양한 형태의 주방 조건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제1 투명판(130)과 제2 투명판(23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결합되면, 제1 세레이션(SR1)과 제2 세레이션(SR2)이 맞물린다. 때문에,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회전할 때, 제1 투명판(130)과 제2 투명판(230)의 접촉성과 결합성이 좋고,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이루는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는 제1 흡착부(400)와 제2 흡착부(500)를 포함하는 주방용 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주방용 쉴드는 제1 흡착부(400)와 제2 흡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착부(400)와 제2 흡착부(500)는 각각 흡착판일 수 있다.
탄성밴드(300)가 반복 사용으로 늘어지거나,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밴드(300)의 복원력에 변화가 필요한 경우, 제1 흡착부(400)와 제2 흡착부(500)를 통해, 탄성밴드(300)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투명판(130)은 제1 홀(H3)과 연통하는 제1 개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31)는 제1 투명판(130)의 전면(F1)에 배치된다. 제2 투명판(230)은 제2 홀(H4)과 연통하는 제2 개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141)는 제2 투명판(230)의 후면(R2)에 배치된다. 제1 흡착부(400)는 제1 개구(131)에 노출된 탄성밴드(300)의 일부영역과 연결된다. 제2 흡착부(500)는 제2 개구(132)에 노출된 탄성밴드(300)의 일부영역과 연결된다.
제1 흡착부(400)는 제1 투명판(130)의 전면(F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2 흡착판은 제2 투명판(230)의 후면(R2)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흡착부(400)는 탄성밴드(300)의 탄성 변위 범위 내에서 제1 투명판(130)의 여러 영역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흡착부(500)도 탄성밴드(300)의 탄성 변위 범위 내에서 제1 투명판(130)의 여러 영역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흡착부(400)가 제1 개구(131)에서 멀어지거나 제2 흡착부(500)가 제2 개구(141)에서 멀어지면, 탄성밴드(300)가 늘어나면서 복원력이 커진다. 반대로 제1 흡착부(400)가 제1 개구(131)에 가가워지거나 제2 흡착부(500)가 제2 개구(141)에 가까워지면, 탄성밴드(300)가 줄어들면서 복원력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제1 투명판(130)에서 제1 흡착부(400)의 부착 위치나, 제2 투명판(230)에서 제2 흡착부(500)의 부착 위치에 따라 탄성밴드(300)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탄성밴드(300)의 복원력이 조절된다.
도 15는 도 3에서 도시한 주방용 쉴드에서,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의 다양한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a)와 같이, 주방용 쉴드는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180°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조리 기구의 어느 한 방향에서 보다 넓은 영역을 가리기 위해 위한 사용 양태일 수 있다.
도 15에서 (b)와 같이, 주방용 쉴드는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조리 기구의 여러 방향을 가리기 위해 위한 사용 양태이다. 여러 개의 쉴드들을 조합하여, 쉴드들이 조리 기구를 전체적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5에서 (c)와 같이, 주방용 쉴드는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완전히 포개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탄성밴드(300)가 회전축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완전히 포개지기 용이하다.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가 완전히 포개지면, 판매된 주방용 쉴드를 배송할 때, 부피가 크게 줄기 때문에, 배송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부피가 작기 때문에 보관 공간이 크지 않은 이점이 있다. 또한, 조리 기구 주변의 환경이나 조리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보다 두꺼운 주방용 쉴드가 필요한 경우, 제1 쉴드(100)와 제2 쉴드(200)를 포개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쉴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1,H3: 제1 홀
H2,H4: 제2 홀
100: 제1 쉴드
110,130: 제1 투명판
120: 제1 경첩
131: 제1 개구
200: 제2 쉴드
210,230: 제2 투명판
220: 제2 경첩
231: 제2 개구
300: 탄성밴드
400: 제1 흡착부
500: 제2 흡착부

Claims (5)

  1. 조리기구 주위에 설치되는 주방용 쉴드로서,
    제1 쉴드;
    제2 쉴드;및
    상기 제1 쉴드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쉴드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쉴드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쉴드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쉴드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쉴드의 타측 단부가 닿도록 상기 제1 쉴드와 상기 제2 쉴드를 고정하고,
    상기 높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탄성밴드의 복원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쉴드와 상기 제2 쉴드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제1 쉴드는,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는 제1 경첩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쉴드는, 제2 투명판과 상기 제2 투명판의 타측 단부에 체결되는 제2 경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1 경첩의 내면의 일부와 상기 제1 투명판의 일측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경첩의 내면의 일부와 상기 제2 투명판의 타측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주방용 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19991A 2021-09-08 2021-09-08 주방용 쉴드 KR10246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91A KR102461602B1 (ko) 2021-09-08 2021-09-08 주방용 쉴드
PCT/KR2022/012911 WO2023038354A1 (ko) 2021-09-08 2022-08-30 주방용 쉴드
JP2024510509A JP2024530264A (ja) 2021-09-08 2022-08-30 キッチン用レンジガード
EP22867623.5A EP4400771A1 (en) 2021-09-08 2022-08-30 Kitchen shie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91A KR102461602B1 (ko) 2021-09-08 2021-09-08 주방용 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602B1 true KR102461602B1 (ko) 2022-11-03

Family

ID=8404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991A KR102461602B1 (ko) 2021-09-08 2021-09-08 주방용 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400771A1 (ko)
JP (1) JP2024530264A (ko)
KR (1) KR102461602B1 (ko)
WO (1) WO202303835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164A (ja) * 1998-04-17 1999-11-05 Fuji Kogyo Kk 油飛散防止パネル
JP2004293959A (ja) * 2003-03-27 2004-10-21 Matsukinrii:Kk レンジ用油飛散防止ガード及びレンジ用油飛散防止ガードにおけるガード板の取付金具
JP2005321174A (ja) * 2004-05-11 2005-11-17 Sekisui House Ltd 油飛散防止パネル
KR20140016676A (ko) * 2012-07-31 2014-02-10 이광모 바람막이가 구비된 휴대용 가스레인지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790A (ko) * 2004-12-30 2005-02-28 박덕수 휴대용 가스렌지 보관용 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164A (ja) * 1998-04-17 1999-11-05 Fuji Kogyo Kk 油飛散防止パネル
JP2004293959A (ja) * 2003-03-27 2004-10-21 Matsukinrii:Kk レンジ用油飛散防止ガード及びレンジ用油飛散防止ガードにおけるガード板の取付金具
JP2005321174A (ja) * 2004-05-11 2005-11-17 Sekisui House Ltd 油飛散防止パネル
KR20140016676A (ko) * 2012-07-31 2014-02-10 이광모 바람막이가 구비된 휴대용 가스레인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30264A (ja) 2024-08-16
EP4400771A1 (en) 2024-07-17
WO2023038354A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602B1 (ko) 주방용 쉴드
US20070188987A1 (en) Housing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WO2002025362A1 (en) Multi display device
JP2021523404A (ja) 装飾部材および装飾部材の製造方法
AU701729B2 (en) A cover
EP0608035B1 (en) Light-shielding device for a screen
US5662395A (en) Underdesk computer desk structure with antireflecting viewing window
US20070079824A1 (en) Edge guard having a stiff edge attachment with a tapered upper surface
TWM644725U (zh) 具集煙板的排油煙機
CN116134269A (zh) 门和家用烹饪器具
ES2456826A2 (es) Placa de un aparato doméstico con al menos una cubierta a modo de capa
JP3559302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レンジ用のグリル排気口カバー
CN216822894U (zh) 烹饪器具
CN109907651B (zh) 盖体及烹饪器具
US20210120933A1 (en) Camouflaged hair fastener
US20130327310A1 (en) Oven door shield
KR19990011301A (ko) 모니터 보안경
KR102317799B1 (ko) 위생 가림판
CN214284603U (zh) 煎烤机
CN209026874U (zh) 电磁炉
JPH0131857Y2 (ko)
KR102563519B1 (ko) 조리기기
USD468159S1 (en) Oven vent cover for a cooking appliance
WO2011070378A2 (en) Oven door shield
TW202405345A (zh) 具集煙板的排油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